KR100341739B1 - Mf모듈을이용하여액체를여과하는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Mf모듈을이용하여액체를여과하는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739B1
KR100341739B1 KR1019960701477A KR19960701477A KR100341739B1 KR 100341739 B1 KR100341739 B1 KR 100341739B1 KR 1019960701477 A KR1019960701477 A KR 1019960701477A KR 19960701477 A KR19960701477 A KR 19960701477A KR 100341739 B1 KR100341739 B1 KR 10034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module
microfiltration
clean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4618A (ko
Inventor
게르하드 스트롬
게오르그 슈나이더
볼프강 헤프
Original Assignee
사이츠-필테르-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츠-필테르-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사이츠-필테르-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6070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2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특히 맥주같은 이질 분산 현탁액)의 여과를 위한 것으로, 그 분석적 외양에 대해 여과되어지는 특정 액체에 대한 최적 횡막 압력과 동일하도록 선택되어지는 선 설정 압력을 횡막 압력이 초과할 때면 언제나 MF 모듈의 세정 공정이 수행되어진다. 맥주 여과에 있어서 이 값은 1.5로 설정된다. 미세 여과장치는 가로-세로로 정렬된 수많은 MF 모듈 5, MF 모듈 5를 세정하는 장치, 조절 장치 7에 부착피어 횡막 압력을 기록하는 측정장치 3으로 장착되고, 그것은 선 설정 횡막 압력을 달성하면, 여과 공정을 중단하고 세정 공정을 시작한다.

Description

MF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및 장치
맥주 양조에 있어서 여과는 소비자의 기대에 일치하는 상품을 생산하기 위한 중요한 공정단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현재, 이것을 위하여 규조토와 층-여과(layer filtration)가 이용되어진다. 그러나 이것들은 처리를 요하는 여과 보조물이 지나치게 만들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것은 필수적으로 사용된 규조토에 적용되며, 그 소비는 세계적으로 년간 150,000톤 가량에 이른다. 처분되는 규조토 찌꺼기는 불과 20-25%정도의 건조한 성분만을 함유하고 있어, 처분되는 규조토의 총량은 적어도 상기 중랑의 4배에 달한다. 규조토 찌꺼기의 처분은 중대한 환경문제를 초래한다. 규조토 찌꺼기에 의해 야기되는 더미의 불안전성과 아울러, 규조토 찌거기로부터 스며 나오는 물은 높은 BSB, CSB(각각 생화학적 산소소비량과 화학적 산소소비량의측정치) 수치때문에 커다란 환경 부담을 초래한다. 때때로 전통적인 처리방법에 대한 대체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교차 흐름(Cross flow)기술(벽을 거쳐 두 유체가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흐름)은 하나의 대안으로 이미 검토되어졌고, 특히 와인분야에서 인정을 받았다. 지금까지 이 기술은 주로 낮은 특정 표면 처리와 수시간동안 지속되는 여과 과정동안에 여과된 맥주의 분석적인 변화량때문에 양조제품에는 성공적으로 이용되지 못하였다.
와인 분야에서는 독일특허 DE34 23 594 A1으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여과될 와인을 가열하여 교차 흐름 여과에서의 유출율(fluk rate)을 뚜렷이 증가시킬 가능성을 갖는다. 만약 그제품이 섭씨 35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교차흐름 공정의 수행은 두배로 될 수 있다.
맥주는 섭씨 -1도내지 +3도의 온도에서 여과되어여 하기 때문에, 맥주 여과 분야에는 이러한 방법이 불가능하고 맥주같은 저온도 불안정 물질은 소비자가 그것을 보았을 때는 흐릿하게 된다. 맥주의 특별한 성분때문에 맥주의 여과는 예컨대, 와인의 여과보다 휠씬 더 어렵다. 더우기, 맥주는 효모같은 조악한 분산입자를 함유하고, 맥주 유해물 혹은 콜로이드 성분등도 함유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주로 탄수화물, 타닌산, 그리고 호프 수지를 가진 고분자량의 단백질을 다룬다. 제3의 성분 그룹으로 지정된 것은 0.001μm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진 분자-분산성분이다.
G.E.Walla("양조에 있어서의 교차흐름 미세여과": 1992년 뮌헨 공과대학 기술적 미생물학및 양조 기술부편, p7)에 의하면, 맥주 여과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요구된다.
1. 여과수는 충분한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가질것.
2. 여과과정으로부터 어떠한 나쁜 맛이 나는 제품상의 하자도 없을 것.
3. 여과수의 생물학적 안정성.
4. 뛰어난 품질과 깨끗한 여과수: 이산화탄소 보존
Walla는 그의 연구에서 횡막 압력은 맥주여과를 위해 최적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했다. 여과수분석은 높은 혹은 낮은 압력에 비하여 원래의 맥아즙성분은 1.5바(bar)의 횡막 압력에 도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나아가서 Walla는 1.5바의 일정한 횡막 압력을 유지하는 동안에 유출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유출율은 막위에 형성되어진 커버층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리하여 정기적인 후-세정(back-rinsing)에 의하여 이것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과정은 작동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출율은 이전 공정에서보다 더 낮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것은 막의 봉쇄를 제한된 정도까지 이르게하는 어떤 특정한 흡착효과가 발생한다는 사실에 의해 설명되어질수 있다.
게다가, Walla는 정기적인 후-세정에도 불구하고 교차흐름 공정을 이용하는 수시간동안의 여과에서, 특히 여과수에서의 원래의 맥아즙, 명백한 추출, 두께, 그리고 거품 안정성이 하락한다는 것을 밝혔다. 평균적으로 원래의 맥아즙의 여과는 정기적인 후-세정없이 평균 0.5중량%의 감소를 하였다. 정기적인 후-세정으로도 그 변화는 여전히 0.2중량%이었다. 정기적인 후-세정없이 거품수치는 21거품점(foam-points)으로 떨어지고 정기적인 후-세정을 하여도 여전히 6거품점으로 떨어진다.
보다 큰 유출율을 얻기 위한 또 다른 방안은 오버플로우(익류:overflow)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있다(Walla저의 Dissertation페이지 62쪽 참조). 그것은 연구로부터 명백히 얻어질 수 있지만, 장기간의 높은 오버플로우율조차도 명백히 더 높은 유출율(flux rate)을 초래하지 않는다. 약 6시간의 여과(6m/sec의 율로)후의 평균 동작은 불과 35L/㎡ h에 달한다. 그 이유는 비록 보다 높은 오버플로우속도가 이루어졌을 때도 박막 표면위의 커버층의 형성은 완전히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커버층은 소위 두번째 막의 형성에 의하여 여과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그러한 방법에서 실제의 막 선택은 더욱 중요하게 된다. 이것은 비록 커다란 기공(pore) 사이즈를 가진 막이 사용되어도, 막의 통상의 기공 사이즈보다 휠씬 아래의 커버층이 형성되어 필수성분들이 맥주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높은 유출속도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해서 맥주여과에서는 피할 수 있게 된다. 첫째, 오버플로우 펌핑(pumping)은 거대한 양의 에너지가 본 시스템으로 전달되게 하므로, 보충적인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맥주는 매우 급속히 가열된다. 맥주에 콜로이드물질(특히 글루칸같은)을 기계적으로 주입함으로 인하여 맥주의 여과능력은 β-글루칸의 빙결을 통하여 교차 흐름 시스템에서의 펌핑 이동때문에 계속적으로 점점 나빠지게 된다.
DE39 36 797 C2로부터 발효과정동안에 이동되는 원료의 흐름에서 맥주를 분리시키는 공정이 알려져 있다. 이공정에서는 중합체 막과 대조되게 세라믹 막이 이용리고,세라믹 막은 온수에 의해 살균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세라믹 막들은 화학세척제를 이용하여 긴시간 간격으로 세정되어지고, 여러 중간 세척단계로 여분의 화학약품미 없어질때까지 온수를 이용하여 후-세정되어진다. 세라믹 막의 차단이 증가됨에 따라 여과수 유출이 감소된다면 세정공정만이 실행된다. 또한, 이공정에서는 여과되어지는 액체의 가용한 필수 성분들이 커버층에 의해 여과되여, 여과의 근본 양태를 해칠 위험이 있다.
연속적인 바이오 반응기(bio-reactor)의 물질 교환 가속 공정이 DE39 14 956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공정에서는 압력 변조를 이용하여 여과막위의 두번째 층의 형성이 방지된다. 압력 변화는 막에서 측정되는 압력 차이에 따라 조절된다. 이러한 변화는 발생된 시스템에 액체와 자양분을 공급하도록 유도되어야 한다.
Weinwirtschaft-Technik, 1990, PP 15-21에서 추천되는 것은 잉여온도가 너무 올라 가거나, 여과 성능이 너무 떨어지는 경우에 교차흐름 여과가 중단되어 세정 공정이 착수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과과정이 세척과정과 번갈아 일어나며, 여과과정동안에 횡막압력이 계속 측정되어지도록 MF모듈을 이용하여 액체, 특히 맥주같은 이질 분산 현탁액을 여과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록, 여과 과정은 어떠한 액체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맥아즙, 그린맥주(green beer)와 오래 묵은 맥주가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제 1도는 여과장치의 개요도.
제 2도는 맥주 A에 대해 시간에 따라 유출율과 횡막 압력이 표시된 도면.
제 3도는 맥주 B에 대한 제 2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 4도는 맥주 C에 대한 제 2도에 대응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비 여과액 2. 급수펌프 3. 측정 장치
4. 순환펌프 5. MF 모듈 6. 세정제 용기
7. 조절장치 8. 비여과액 급수라인 밸브
10. 여과액 측면 오버플로우밸브 11. 물 밸브
12. 여과액 밸브 13. 급수 라인 14. 농축액 라인
15. 여과액 라인 16. 세정 라인 17. 압축된 가스라인
18. 물 라인 19. 농축액 공간 급수 밸브
20. 압축된 가스밸브 21. 여과액 공간 급수밸브
23. 농축액 측면 유출 밸브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 1항의 특성에 따른 방법으로 달성된다. 본 장치의 주제는 청구범위 제 14항에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가 종속항에 있다. 각 여과 공정은 낮은 횡막 압력으로 시작된다. 여과공정동안에 이것은 특별한 액체에 대한 최적의 횡막 압력에 바람직하게 매칭되는 특별한 선(pre)-설정값까지 안정적으로 상승한다. 그러므로 맥주에 있어서, 1-2바아(bar)의 값, 더 좋게는 1,5바아의 값을 갖는 것이 좋다.
여과 공정의 마지막으로 횡막 압력이 선-설정 횡막 압력에 가까워질때, 유출율은 불가피하게 형성할 커버층때문에 다소간 급격히 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언제나 대개 최대간의 50%를 상회하는 비교적 높은 수치이다. 여과는 교차 흐름 여과로서 바람직하게 실행되고 CMF모듈이 사용될 때와 같이 정지여과가 가능하다.
여전히 높은 유출율에도 불구하고 세정공정은 NaOH, KOH를 이용하는 알칼리 세정, 및/혹은 tenside 함유 세정제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그뒤, 물로 하는 세정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바람직하게 알칼리 세정전에 후-세정이 물로 일어난다. 이러한 관점에서 물로 하는 후-세정이전에 여과되어지는 액체는 반드시 이산화탄소 압착개스를 이용하는 MF모듈로부터 나와야 한다. 질소 압착개스는 또한 이산화탄소를 대체하여 이용되어질 수 있다.
세정 공정을 가속화하기 위하여 세정공정동안에 MF모듈의 오버플로우가 수행된다. 여과되는 액체(특히, 맥주)의 타입에 따라, 여과이전에 선(pre)-여과는 MF모듈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분리기혹은 돗자리필터(matting filter)에 의해 수행되어질 수 있다.
불연속적인 여과 공정의 발명에 의하여 형성되어지는 커버층은 알칼리 고속 세정에 의해 거의 완전히 제거되고, 여과공정동안에 단지 막의 기공 직경이 실제적인 인터페이스로서 작동한다. 맥주의 성분은 그리하여 어려움없이 막으로 침투해 들어갈 수 있다.
만약, 본 공정이 맥주 여과에 이용되면 여과 공정(바람직하게 CMF:Crossflow microfiltration 여과 공정)은 1-4시간의 여과후에 중단되게 된다. 이산화탄소는CMF설비로부터 맥주가 나오도록 하는데 이용되어진다. 그 설비는 물로 하는 선-세정을 거치야만 되고, 그 다음 알칼리 중간 세정이 섭씨 40-90도의 온도에서 행해진다. 알칼리 세정 공정 다음에는 설비는 물로써 세정되어진다. 이것은 이산화탄소를 그 설비에서 빼는 것과 유사하다. 그 다음에 그 설비는 다시 맥주로 채워진다. 이 공정은 CMF기술로 대표되는, 첫번째 여과단계동안 높은 유출 성능을 순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만일 우리가 1-4시간후에 순환적인 세정을 이용하면 여과수 유출의 중단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인 CMF여과 공정으로 얻어진 이전의 유출율을 상회하는 100%에 가까운 유출율을 얻을 수 있다.
중단없이 8시간 가까운 여과를 하는 연속적인 CMF여과 공정에서 평균 20-30L/㎡ 만이 얻어졌다. 이와 대조적으로 새로운 타입의 공정에서는 같은 시간동안에 100L/㎡ 에 이르는 유출이 이루어졌다.
높은 유출율이 낮은 오버플로우속도로도 또한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바람직하게 오버플로우율은 2.5m/s이하이다. MF모듈의 정적인 작동을 또한 포함하는 낮은 오버플로우의 장점은, 여과되는 액체가 단지 기계적, 열적으로 약간 부하가 걸린다는 것이다.
또한, 맥주의 분석적인 외양이 변하지 않았다는 것은 놀라웠다. 특히, 맥주의 한가지 분석적인 특징 즉,원래의 맥아즙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여과된 맥주의 분석값은 여과되지 않은 제품과 다르지 않다. 맥주의 거품 안정성은 불연속적인 MF공정에 의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현재의 모든 여과 모듈 타입,특히 교차 유출 모듈 타입, 바람직하게는 모세관의 평면모듈을 구비한 장치는 횡막 압력을 재는 측정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MF여과장치는 횡막 압력 측정장치가 붙어 있는 조절기구를 가진다.
횡막 압력이 선-설정 압력에 이를 때마다 조절장치는 여과를 멈추고 선-설정 세정 프로그램이 있는 세정장치를 작동시킨다. 세정공정이 끝나면, 상기 조절장치에 의해 여과가 계속된다. 상기 조절장치는 MF여과장치 라인내의 밸브를 가장 적절하게 조절한다.
상기 조절장치는 특정 용액이 여과되는 각각의 경우에 최적 횡막 압력을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선-설정 횡막 압력을 입력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MF모듈은 명목상 0.2-0.5μm크기의 작은 구멍이 있는 막들을 가진다. 막으로는 중합체(polymer)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머 직물이나 금속 직물도 사용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여과될 맥주가 저장탱크(1)로부터 급수펌프(2)와 두개의 순환펌프(4)를 지나 병렬 연결된 다수의 MF모듈(5)로 향하는 미세 며과장치를 보여준다. 농축액은 상기 장치에 남거나 농축액 라인을 거쳐 배출되고, 여과액은 밸브로 잠글수 있는 여과액 라인(15)에 축적된다. 순환펌프(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므로서 정적여과및 동적여과, 즉, 교차 흐름 여과가 가능하다. 상기 미세 여과 장치는 또한 세정설비를 보여 주는데, 이설비는 화학 세정제와 후-세정수를 담기 위한 세정 콘테이너(6)를 보여준다. 이세정 컨테이너(6)는 세정 라인(16)과 워터라인(18)을 거쳐 급수라인(13)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9)가 열리면 화학 세정제가 급수펌프(2)로 이송되어서 MF 모듈(5)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비는 압력 측정장치(3)를 갖추고 있다. 여과및 비여과 공간의 압력이 계속해서 측정되어 조절장치(7)로 전해진다. 이 조절장치는 각각의 밸브로부터 횡막압력을 산정하여 선-설정값과 비교한다.
선-설정 횡막 압력을 얻으면 상기 조절장치(7)는 여과를 멈추고 세정공정을 시작한다. 이를 위하여 조절장치는 밸브 8, 12, 19-22와 펌프 2, 4와 연결되어 있다. 여과가 중단되면 첫번째 밸브(8)가 닫히고 밸브(20)가 열려 상기 장치의 내부를 비운다.
상기 장치가 압축 건조되면 밸브 12,20과 19가 닫히고, 밸브21,11과 22가 열린다. 급수펌프(2)가 가동되고, MF모듈(5)는 여과 방향과 반대방향을 물로 세정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장치의 화학 세정이다. 이를 위해 밸브(22,21,11)는 닫히고 밸브(19,9,10)는 열리게 된다.
화학세정을 끝내기 위해서 세정수는 밸브(9)가 닫히고 밸브(1)이 열린후 상기 장치로부터 물이 제거된다. 상기 세정공정이 종결되면 뒤이어 밸브(20,10)가 닫히고 밸브 (8,12)가 다시 열린다.
다음의 실시예는 전술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여과 장치는 0.45μm크기의 작은 구멍이 있는 친수성 막을 영구적으로 포함하는 총 4개의 여과 모듈을 갖추고 있다. 전체적인 막 표면은 총 20㎡ 이고, 오버플로우속도는 2.5m/s였다.
선-설정 횡막 압력은 1.7바에 맞춰져 있고 두번의 여과공정은 7시간 30분이내에 수행되는데, 30분의 세정공정에 의해 중단된다. 그결과는 제2도에 나타나 있으며 시간에 따른 유출율과 횡막압력을 보여주고 있다. 횡막 압력은 0.25바에서 시작하여 선-설정 횡막압력인 1.7바로 올라간다. 횡막압력은 0.25바에서 시작하여선-설정 횡막압력인 1.7바아로 올라간다. 이 횡막압력에 이르게 되면 곧 여과 공정이 중단되고 세정공정이 수행된다.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여과공정이 시작될 때의 유출율은 제1 여과공정이 시작될 때와 마찬가지로 높다. 제 1주기 동안 유출율은 2시간 동안 일정하다가 그 이후로 떨어진다. 제1 여과 주기가 끝날때 유출율은 아직 처음 값의 60%임. 제2여과주기에서 유출율은 한 시간 가량 계속해서 떨어지기만 그이후로 약 한시간 반동안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평균 유출율은 75 L/㎡ h이다.
다음의 표는 분석값들을 요약해 놓은 것이다.
[표]
Ⅰ. 원심 분리기 출구
Ⅱ. 교차흐름 출구
Ⅲ. 교차흐름 출구(제2여과 공정)
Ⅳ. 기술/출구층상태
원심분리기(제1도에는 도시안됨)를 이용하여 부가적인 선여과가 실행된다. 그러므로,세로줄 Ⅰ에서 분석값은 원심분리기의 출구에 나타나 있고, 따라서 이 값들은 CMF여과에서 비여과량을 나타낸다. 세로줄 Ⅱ에는 제1 여과공정 이후의 분석값이, 세로줄Ⅲ에는 제2 여과 공정이후의 분석값이 나타나있다. 반면, 이에 비해 세로줄Ⅳ에는 층으로 이루어진 여과기로 전통적인 여과를 실시할 때 이에 따른 분석값들이 요약되어 있다.
상기 수치들을 비교해 보면 EBC컬러와 같은 값은 현재상태의 여과보다 더 나아진 것을 알수 있다. 최초의 맥아즙 내용물은 비여과액의 내용물과 관련하여 변하지 않았다. 거품값은 세로줄 Ⅳ와 비교해볼 때 상당히 더 높으며, 비여과액값과도 비교할 수 있다.
제 3도는 세번의 여과주기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여기서, 여과는 또 다른 종류의 맥주인 PJLS맥주로 시행하였다. 이때, 평균 유출율은 54L/㎡ h였다. 여과 주기가 끝난 후의 분석값은 상기 표의 분석값과 비교 가능하였다. 동일한 내용이 제4도에도 적용되는데, 제4도는 세번째 맥주 여과 실험에서의 횡막 압력과 유출율을 도시한다.

Claims (18)

  1. 여과 공정이 세정공정과 번갈아 일어나고 여과공정동안에 횡막 압력이 계속적으로 측정되는 액체 여과공정에 있어서,
    미세여과(MF:microfiltration) 모듈을 통해 상기 모듈의 횡막압력이 액체의 분석에 근거한 적정치를 초과할 때까지 상기 액체를 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를 중지하고 미세여과 모듈을 세정하는 단계와, 이후 미세여과 모듈의 횡막압력이 다시 상기 적정치를 초과할 때 까지 상기 미세여과 모듈을 통해 액체의 여과를 계속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선-설정 횡막 압력이 선택되어져서 적정한 값을 얻으면 미세여과 모듈을 통한 유출율이 여전히 그 최대값의 반을 상회함을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선-설정 평균 횡막압력값이 1-2바(bar)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선-설정 횡막 압력의 적정치는 실제로 1.5바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액체가 소정의 유출율로 미세 여과 모듈을 통해 흐르고, 여과 공정 사이클의 한개 시간 간격동안에 상기 미세여과 모듈을 통해 유출율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세정 공정은 NaOH,KOH나 tenside 함유 세정제를 이용하는 알칼리 세정을 포함하고, 그 다음에 물로 하는 세정이 뒤따름을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물로 하는 후-세정이 알칼리 세정이전에 일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여과되는 액체는 이산화탄소나 질소 압착가스를 이용하는, 물로 하는 후-세정이전에 MF모듈로부터 유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세정 공정동안에 미세 여과모듈이 알칼리로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MF모듈에 의한 여과 이전에 선-여과(pre-filtration)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선-여과는 분리기(separator) 혹은 매트(돗자리)여과기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공정은 교차 흐름 여과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여과동안의 정적인 상태에서의 MF모듈 여과기를 특징으로 하는, MF(미세여과)모듈을 이용하여 액체를 여과하는 방법.
  14. 횡과 종으로 정렬된 수많은 MF모듈을 구비한 여과장치에서, MF모듈을 세정하는 장치와, 횡막 압력을 기록하는 측정장치와, 항상 선-설정 횡막압력 도달시에 여과공정을 중단하고 세정공정을 실행하도록 하는 측정장치(3)에 부착된 조절장치(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여과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선-설정 횡막 압력을 입력시키는 조절장치(7)가 배치되어 수많은 여과장치가 제어될 수 있고, 여과와 세정동작을 번갈아 일어나게 하므로서연속적인 여과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여과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MF 모듈(5)이 0.2 - 5μm의 기공 크기를 갖는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여과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MF모듈(5)이 중합체 막(polymeric membrane), 중합체 직물, 혹은 금속 직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여과 장치 .
  18. 제 14항에 있어서, MF모듈(5)은 평면의, 공동파이버의, 모세관의, 관모양의, 나선형으로 감긴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여과 장치.
KR1019960701477A 1993-09-22 1994-09-17 Mf모듈을이용하여액체를여과하는방법및장치 KR100341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32175A DE4332175C2 (de) 1993-09-22 1993-09-2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Cross-Flow-Filtration von Flüssigkeiten mittels CMF-Modulen
DEP4332175.5 1993-09-22
PCT/EP1994/003132 WO1995008386A1 (de) 1993-09-22 1994-09-17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ILTRATION VON FlÜSSIGKEITEN MITTELS MF-MODU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618A KR960704618A (ko) 1996-10-09
KR100341739B1 true KR100341739B1 (ko) 2002-11-29

Family

ID=649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477A KR100341739B1 (ko) 1993-09-22 1994-09-17 Mf모듈을이용하여액체를여과하는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79557A (ko)
EP (1) EP0720509B1 (ko)
JP (1) JP3447741B2 (ko)
KR (1) KR100341739B1 (ko)
DE (2) DE4332175C2 (ko)
DK (1) DK0720509T3 (ko)
ES (1) ES2111334T3 (ko)
WO (1) WO1995008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1456A1 (de) * 1994-01-19 1995-07-20 Wissenschaftsfoerderung Der De Verfahren zum Klären von Bier mit Hilfe der Crossflow-Mikrofiltration
DE19607740A1 (de) * 1996-02-29 1997-09-04 Gessner & Co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von Filtrationsanlagen
DE19711082A1 (de) * 1997-03-18 1998-09-24 Degussa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Tetrahydropyrimidinen aus wäßrigen Lösungen
AUPP633298A0 (en) * 1998-10-05 1998-10-29 Carlton And United Breweries Limited Controlling the supply of bodyfeed to a filter
EP1184070A3 (en) * 2000-09-01 2003-12-17 Haldor Topsoe A/S Method for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from aqueous suspension
FR2817768B1 (fr) * 2000-12-13 2003-08-29 Lyonnaise Eaux Eclairage Procede de regulation d'une installation de filtration sur membranes
DE10164555A1 (de) * 2001-12-14 2003-06-26 Seitzschenk Filtersystems Gmbh Cross-Flow-Mikrofiltrations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Cross-Flow-Mikrofiltrationsanlage
DE10231835B4 (de) * 2002-07-12 2004-05-19 Sartorius Ag Verfahren zur Crossflow-Filtration von Getränken
EP1546187B1 (en) * 2002-09-25 2008-06-04 Novo Nordisk A/S Purification process comprising microfiltration at elevated temperatures
US7229554B2 (en) * 2002-09-25 2007-06-12 Novo Nordisk A/S Purification process comprising microfiltration at elevated temperatures
DE102007007894A1 (de) * 2007-02-14 2008-08-21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Verfahren zur Wiederherstellung optimaler Durchströmungseigenschaften von Membranfiltern
CN100556798C (zh) * 2007-04-27 2009-11-04 华中科技大学 透析分离纯化法制备钙磷生物材料的生产装置
DE102008060446A1 (de) * 2008-12-04 2010-06-10 Krones Ag Verfahren zum Ermitteln der Filtrierbarkeit von Bier
FR2940140B1 (fr) * 2008-12-23 2011-11-11 Degremont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a gestion du colmatage de modules membranaires et de membranes de filtration
US20100224558A1 (en) * 2009-03-09 2010-09-09 Jack Barker Water Filtration System
DE102011014184A1 (de) 2011-03-16 2012-09-20 Kh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einer Flüssigkeit, insbesondere Bier
CA2910083C (en) * 2013-04-25 2018-03-20 Suntory Holdings Limited Fermented malt beverage
DE102016225841A1 (de) * 2016-12-21 2018-06-21 Krones Ag Regelung der Aufkonzentrierung im Crossflow bei der Membranfiltration von Bier
IT201700068160A1 (it) * 2017-06-20 2018-12-20 Win & Tech S R L Impianto di recupero e filtrazione di bevande alimentari comprendente mezzi di ridosaggio e procedimento di ridosaggio tramite detto impianto
IT202000008533A1 (it) * 2020-04-22 2021-10-22 Nicon Srl Impianto di filtrazione e microfiltrazione perfezionato particolarmente ma non esclusivamente per il settore enologico e per i processi di trattamento dei liquidi alimentari
WO2022268307A1 (de) * 2021-06-23 2022-12-29 Kron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iltrieren von b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7552A (en) * 1990-07-30 1992-09-15 Le Carbone Lorraine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s in tangential microfilt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8401C (ko) *
US4000065A (en) * 1974-11-18 1976-12-28 Basf Wyandot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aqueous streams contaminated with organic materials
JPS53108882A (en) * 1977-03-04 1978-09-22 Kuraray Co Ltd Back washing method for hollow filament membrane
BR8205658A (pt) * 1981-10-02 1983-08-30 Du Pont Processo e aparelho de plasmaferese por filtracao
US4708790A (en) * 1984-06-04 1987-11-24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Ultrafiltration system with regeneration control
DE3423594A1 (de) * 1984-06-27 1986-01-02 Akzo Gmbh, 5600 Wuppertal Weinklaerung mittels crossflow-filtration
SE451791B (sv) * 1984-09-11 1987-11-02 Alfa Laval Food & Dairy Eng Sett och anleggning for framstellning av mjolk med lag bakteriehalt
GB2176715A (en) * 1985-06-27 1987-01-07 Apv Int Ltd Beer filtration
GB8524972D0 (en) * 1985-10-10 1985-11-13 Atomic Energy Authority Uk Liquid treatment
DE3616426A1 (de) * 1986-05-15 1987-11-19 Schloemann Siemag Ag Ein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verunreinigungen, rueckstaenden und/oder alterungsprodukten aufweisenden fluessigkeiten
GB8807825D0 (en) * 1988-03-31 1988-05-05 Romicon Inc Multiple membrane filtration systems
US5262053A (en) * 1988-07-15 1993-11-16 Filtrox-Werk Ag Filtration process, use of stabilizers installation for a filtration process, and procedure for operating said installation
DE3914956A1 (de) * 1989-05-06 1990-11-22 Fischer Karl Heinz Verfahren zur beschleunigung des stoffaustauschs eines kontinuierlichen bioreaktors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EP0412184B1 (de) * 1989-08-09 1995-06-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toelektronischer Wandler mit einer Linsenkoppeloptik
DE3936797A1 (de) * 1989-11-04 1991-05-08 Dortmunder Actien Brauerei Ag Verfahren zur abtrennung von bier aus einem beim gaerverfahren ausgeschleusten stoffstrom, welcher die bei der gaerung entstehende ueberschusshefe mitfuehrt
FR2666245B1 (fr) * 1990-08-31 1992-10-23 Lyonnaise Eaux Procede de commande des modes de fonctionnement d'un appareil automatique de filtration d'eau sur membranes tubulaires.
FI86405C (fi) * 1990-11-01 1992-08-25 Tamglass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kallning av kantspaenning i vindruta i boejningsugn foer vindrutor.
JPH0516884A (ja) * 1991-02-05 1993-01-26 Sanshin Ind Co Ltd 船舶推進機のチルト角調整装置
US5221479A (en) * 1991-02-15 1993-06-22 Fuji Photo Film Co., Ltd. Filtration system
FR2674448B1 (fr) * 1991-03-26 1994-03-25 Dumez Lyonnaise Eaux Procede de nettoyage de membranes tubulaires mesoporeuses d'ultrafiltration.
US5277819A (en) * 1992-06-03 1994-01-11 Pall Corporation Cold draft beer filter membrane cleaning process
DE4227225A1 (de) * 1992-08-17 1994-02-24 Wissenschaftsfoerderung Der De Crossflow-Mikrofilt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7552A (en) * 1990-07-30 1992-09-15 Le Carbone Lorraine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s in tangential microfil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4618A (ko) 1996-10-09
EP0720509B1 (de) 1998-01-07
DE4332175A1 (de) 1995-03-23
US5879557A (en) 1999-03-09
DK0720509T3 (da) 1998-09-07
ES2111334T3 (es) 1998-03-01
WO1995008386A1 (de) 1995-03-30
JPH09503659A (ja) 1997-04-15
DE59404976D1 (de) 1998-02-12
JP3447741B2 (ja) 2003-09-16
DE4332175C2 (de) 1996-04-18
EP0720509A1 (de) 1996-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739B1 (ko) Mf모듈을이용하여액체를여과하는방법및장치
US4935143A (en) Cleaning of filters
EP0213157B1 (en) Concentration of solids in a suspension
JP4975950B2 (ja) 膜モジュール洗浄方法
US5024762A (en) Concentration of solids in a suspension
US5221479A (en) Filtration system
AU576424B2 (en) Concentration of solids in a suspension
US50471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flux rate of cross-flow filtration systems
US6692786B1 (en) Beer clarification process by crossflow microfiltration
WO1986005705A1 (en) Cooling hollow fibre cross-flow separators
JPS62502452A (ja) 可変容積濾過器或は濃縮器
JPH11309351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JP3198612B2 (ja) 膜分離装置
US6139724A (en) Procedure and device for filtration of fluids using MF modules
Stopka et al. Flux decline in microfiltration of beer and related solutions of model foulants through ceramic membranes
JPH06170178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濾過装置
JP2500181B2 (ja) セラミック膜の逆洗方法
JP3223568B2 (ja) 水処理装置
JPH07265055A (ja) ビールの微細濾過
JP3312964B2 (ja) クロスフロー濾過方法
JPS60166013A (ja) 濾過装置
JP2008221178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JPH08502923A (ja) 交差流ミクロ濾過法
JPS605269B2 (ja) 醤油の回収方法
JPH06218249A (ja) セラミック製濾過膜を備えるクロスフロー式濾過機の運転方法及びクロスフロー式濾過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