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707B1 - 국부통신버스시스템의상호접속 - Google Patents

국부통신버스시스템의상호접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707B1
KR100341707B1 KR1019950705326A KR19950705326A KR100341707B1 KR 100341707 B1 KR100341707 B1 KR 100341707B1 KR 1019950705326 A KR1019950705326 A KR 1019950705326A KR 19950705326 A KR19950705326 A KR 19950705326A KR 100341707 B1 KR100341707 B1 KR 100341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gateway
station
bus
sign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971A (ko
Inventor
젤레호에크스트라
베르나르드반스틴브루게
Original Assignee
디2비시스템즈캄퍼니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2비시스템즈캄퍼니리미티드 filed Critical 디2비시스템즈캄퍼니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60702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7Coupling between buses using bus bridges
    • G06F13/405Coupling between buses using bus bridges where the bridge performs a synchronising function
    • G06F13/4054Coupling between buses using bus bridges where the bridge performs a synchronising function where the function is bus cycle extension, e.g. to meet the timing requirements of the target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5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with control bus for exchanging commands between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제 1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는 제 1 데이터 버스(20)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수의 디바이스(14, 16)와 그러한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제 2 버스(12)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10)를 구비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18)가 제공되어 상호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버스를 연결시킨다. 제 1 세트의 프로토콜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하진 요구에 제 1 디바이스에로 응답하기 위한 최장 시간을 지정한다. 요구가 제 1 버스의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10)로 전송하질 때 게이트웨이(18)는 요구시기에 맞추고 만약 지정된 최장 응답 시간내에 다른 장치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게이트웨이(18)는 요구 디바이스(14)에 일시적 응답을 발생시켜 보낸다. 상기 시스템은 둘 이상의 디바이스 클러스터를 구비할 수 있고 각각은 각각의 게이트웨이 디바이스(18, 22)에 의해 다른 버스(12)에 연결된다.

Description

국부 통신 버스 시스템의 상호 접속{Interconnection of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s}
본 발명은 제 1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제 1 통신 프로토콜 세트에 따라 메시지의 통신을 위해 상호 접속된 다수의 스테이션과, 상술한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다른 스테이션과, 제 1 데이터 버스와 다른 스테이션을 연결하고 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스템을 사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통신 프로토콜 세트는 도메스틱 디지털 버스(D2B) 표준이며, 스위스 제네바의 국제 전기 표준 회의에서 표준화되어 참조문 IEC 1030에 발행되었다. D2B는 통신 프로토콜 사양과 시스템 요구사항이 담긴 패키지로 구성되며, 소비자 전자 제품이 도메스틱 디지털 버스를 통해 각각의 다른 기능을 액세스하고 제어하는 방식을 정의하고 있다. D2B는 제한된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가능하게 하는 범용 제어 버스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비디오(AV) 장치에 적용된다.
이런 도메스틱 장치 상호 접속 체계에 있어서, 문제점은 상술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장치에 상호 접속 장치를 접속할 때에 발생한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제 2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텔레비젼, 비디오 레코드 및 위성 수신기로 구성된 시청각 시스템과 함께, 제 1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이용하여서로 통신을 하는 콤팩트 디스크(CD) 플레이어, 증폭기, 튜너 및 카세트 플레이어같은 상호 접속된 유니트들로 구성된 뮤직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만일, 기존의 시스템과 어느 정도의 호환성이 없는 경우 사용자는 동시에 많은 아이템들을 대체해야만 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가지 방법은 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여 상기 통신 프로토콜 사이의 메시지를 "번역"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D2B는 홈 일렉트로닉 버스(HEB) 시스템내의 서브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IEC 표준 1030은 섹션 11에서 D2B를 HEB에 연결시키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 요구되는 최소 요구 사항을 정의한다.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메시지 타이밍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른 디바이스에 정보를 요구한 어떤 디바이스가 응답받길 기대하는 시간에 관한 것이다. 제 1 디바이스가 자체의 국부 버스 시스템에 접속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요구를 수신하면, 가능한한 빨리 이동가능한 응답을 하여야만 한다; 즉 여러 이유로 응답할 수 없는 디바이스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리는 동안 어떤 디바이스도 "정체"되지 않도록 최장 응답 시간을 특정화할 수 있다. 그러나 한 D2B 클러스터에서 다른 클러스터로 D2B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중간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게이트웨이 통신을 하는 현 상황에서는 중간 버스에서 전송 지연이 발생하므로 불가피한 예측 불가능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문단 서두에 설명된 타입의 국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통신 프로토콜 세트는 제 2 스테이션이 전송한 메시지를 제 1 스테이션이 응답할 수 있는 최장 응답 시간을 특정하고,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응답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 1 버스 시스템의 스테이션과 상기 다른 스테이션 사이에서 전달되면, 상기 특정한 최장 응답 시간보다 짧은 소정의 주기 동안에 메시지 발생 스테이션에 일시적 응답을 발생시켜 전송하며, 메시지를 수신한 스테이션으로부터 응답이 도착하자마자 연속해서 상기 응답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전달된 메시지에 대한 기록을 유지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제 1 요구 스테이션에 일시적 응답을 전송한 이후에, 바람직하게 다른 요구 디바이스로부터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제 1 메시지에 대한 기록을 유지하는 상기 메모리 수단을 가진다.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 외부의 다른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식별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위해 제 1 데이터 버스에 접속된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요구를 지원하고, 다른 게이트웨이 외부의 스테이션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거나 검출하는 메시지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다른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통해 다른 스테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통해 제 1 데이터 버스에 연결된 각각의 다른 스테이션의 가동을 제 1 버스에 접속된 각각의 스테이션에, 제 1 통신 프로토콜 세트에 따라 에뮬레이트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각각의 데이터 버스로 상호 접속된 다수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 세트에 따라 클러스터내에서 통신하는 두개 이상의 클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스터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는 다른 통신 버스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 의해 다른 버스에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일시적 응답을 제공함으로써 응답이 최장 주기 동안에 수신될 수 있게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일시적 응답으로 타이밍을 맞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들은 본 발명의 청구항과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명백해지며 다음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겠다.
제 1도는 다수의 상후 접속 버스를 이용한 도메스틱 오디오/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 2도 및 제 3도는 두 데이터 버스를 연결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제 4도는 두 개의 국부 데이터 네트워크 클러스터의 연결을 도시하는 도면;
제 5도는 멀티플 클러스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 번호 결정을 도시하는 도면;
제 6도는 다수의 다른 게이트웨이 디바이스 중 제 1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 의한 한정 요인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 7도는 제 2 게이트웨이에 접속된 디바이스의 배치의 제 1 게이트웨이에 접속된 디바이스에 의한 한정 요인을 도시하는 도면;
제 8도는 게이트웨이 타이밍 관리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 9도 및 제 10도는 소스 및 목적 클리스터의 신호 경로 빌딩의 타이밍도;
제 11도 및 제 12도는 게이트웨이에 의한 에뮬레이션을 도시하는 도면;
제 13도 내지 제 15도는 클러스터 상호 접속시 RF 및 베이스밴드 신호 조종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다음에 제 1 버스 시스템(하기에 X-버스로 기재됨)상의 디바이스가 D2B 시스템내의 사용가능한 기능을 액세스하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겠다.
그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실례는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D2B(20)를 통하여 접속된 텔레비젼(14), VCR(16), 및 게이트웨이(18)가 도시된)내에 있는 텔레비젼(14)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기능을 이용하고 X-버스(12)에 부착된 전화기(10)를 포함한다. 전화기(10)는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해, 전화가 오면 전화한 사람에게 자세한 설명을 해주기 위해, OSD 기능을 이용한다. 또한, 전화기(10)는 D2B 클러스터의 VCR(16)을 원거리에서 프로그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1도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D2B 클러스터는 각각의 게이트웨이(18, 22)를 통해 X-버스에 연결되고, 상기 X-버스를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18, 22)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가 D2B 클러스터의 디바이스와 X-버스상의 디바이스 사이는 물론 격리된 D2B 클러스터의 장치들 사이에도 전송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게이트웨이(18)는 D2B 및 X-버스 사이에서 D2B에서 X-버스로의 메시지 전송을 관리하는 논리 인터페이스를 제공 한다.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웨이(18)는 D2B와 X-버스 사이의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그 기능은 D2B 및 X-버스 사이의 통신과 게이트웨이의 X-버스 프로토콜에 의해 X-버스 메시지로 번역되어 X-버스 디바이스(26)로 전송되는 D2B 디바이스(24)로부터의 메시지와 관련된다. X-버스 디바이스가 다른 D2B클러스터(제 1도와 같이)인 경우에 X-버스 메시지는 다른 클러스터를 X-버스(12)에 접속시키는 게이트웨이(22)에 의해 D2B 프로토콜로 번역된다.
제 3도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18)의 D2B 측면을 도시하며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30)는 X-버스 프로토콜(28)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클러스터 외부의 장치와 명확한 메시지 통신을 실행하는 기본 역할을 담당한다.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30)는 D2B 게이트웨이를 통하는 간단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허용해야 한다. 더욱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게이트웨이(30)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예컨대 스위치 박스 서브 디바이스(30)와 같은 다른 서브 디바이스를 구비하여 오디오/비디오 신호 분배를 위해 D2B 클러스터로부터 또는 D2B 클러스터로 신호 접속을 할 수 있다. 게이트 웨이로부터의 중앙 제어와 같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AVC 서브 디바이스(34)와 사용자 I/O 서브 디바이스(36)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내에서 필요할 수 있다.
만약 게이트웨이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예컨대 X-버스 A와 X-버스 B에 접속되면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30)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격리된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제 1도를 다시 언급하면, 하나의 D2B 클러스터내의 디바이스 또는 서브 디바이스가(이 경우 텔레비젼(38)) 다른 D2B 클러스터의 디바이스 또는 서브 디바이스에 애플리케이션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때 VCR(16)로의 플레이백 명령 소스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은 게이트웨이 루팅 정보를 명령 및 요구와 함께 D2B 메시지로 간주되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로 어셈블링한다. 디바이스의 통신 장치는 D2B 메시지를 자체의 클러스터내 게이트웨이(22)로 송신한다. D2B 메시지의 게이트웨이 루팅 정보는 메시지가 송신되어야 할 D2B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18)를 식별하는 게이트웨이 번호를 포함한다.
제 1 클러스터 게이트웨이(22)는 이 게이트웨이 번호를 이용하여 X-버스(12)를 목적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18)로 접속 하므로써 메시지 내용을 전달한다. 메시지가 수신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18)에 도착할때 게이트웨이(18)는 루팅 정보의 자체 번호를 메시지를 수신하는 디바이스 또는 서브 디바이스가 그것의 발생 클러스터를 식별할 수 있도록 발생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22)의 번호와 대체한다. 수신 게이트웨이(18)는 그다음 변경된 애플리케이션 메시지를 이용하여 D2B(20)를 경유하여 목적 디바이스 또는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기 위한 D2B 프로토콜을 따라 새로운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한 D2B 클러스터의 디바이스 또는 서브 디바이스가 애플리케이션 메시지를 X-버스의 디바이스로 전송하려 할때(그 디바이스는 D2B 클러스터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지원한다) 예컨대 텔레비젼(14)이 안전 카메라(14)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려 할때 텔레비젼(14)은 게이트웨이 루팅 정보를 명령 및 요구와 함께 D2B 메시지로 간주되는 애플리케이션 메시지로 어셈블링 한다. 이러한 예에서 게이트웨이 루팅 정보는 발생 클러스터내의 게이트웨이(18)의 게이트웨이 번호를 포함한다. 텔레비젼 네트워크 통신 장치는 D2B 메시지를 식별된 클러스터 게이트웨이(18)로 전송하여 X-버스를 거쳐 카메라(40)에 전송한다.
X-버스의 디바이스가 D2B 클러스터의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송하려 할때 메시지는 X-버스에 의해 상술한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18)에 전송되며 여기서 수신 게이트웨이를 식별하는 D2B 메시지는 어셈블링되고 다음으로 목적 디바이스 예를들어 VCR(16)에 D2B를 거쳐 전달된다.
각각의 버스에서 각각의 디바이스는 어드레스를 갖는다.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따라서 두개의 어드레스를 가지며 하나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가 부착되는 각각의 버스를 위한 것이다.
제 4도에 도시된 예시에서 각각의 D2B 클러스터의 두 게이트웨이 장치(42, 44)는 X-버스(12)에 접속된다. 이 예시에서 게이트웨이 번호, D2B 어드레스 및 X-버스 어드레스 사이의 관계는 부합한다.
적합하게 단일 D2B 버스 시스템에 접속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가 8개로 한정되며 게이트웨이의 D2B 어드레스는 다음과 같다 :
표 1
D2B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는 통신, 전화 기술(CT) 서비스 타입 에어리어('0000'H로 명기된 서비스 타입)에서 지정된다.
D2B의 디바이스내에 단 하나의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가 있어야 하는 제한이 있다.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는 CT 서비스 에어리어에 할당되고위의 표 1의 제 1 엔트리의 '0B0'H와 같이 명기된다.
D2B 디바이스에 대해 오직 하나의 어드레스를 허용한다. 게이트웨이의 디바이스 어드레스는 디바이스의 주요 기능에 의해 결정되며 그것은 정의된 실행자이다. 만약 게이트웨이가 독립형 게이트웨이(말하자면 D2B AV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와 같은 것이 아님) 라면 8게이트웨이 어드레스중 하나는 그것에 할당된다. 게이트 웨이가 AV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중 하나로서 실행되면 디바이스는 AV 디바이스 어드레스로 한정된다. 만약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가 예를들어 모니터 서브 디바이스, 튜너 서브 디바이스, 스위치 박스 서브 디바이스 및 그 외의 것들과 같은 다른 서브 디바이스를 가지는 텔레비젼 세트에서 실행되면 게이트 웨이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비디오 모니터 서브 디바이스로 식별되며 그것은 그 디바이스의 주요 기능이다. 만약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가 예컨대 롬 제어기 또는 전화기와 같은 X-버스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면 D2B 프로토콜로 D2B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비록 X-버스 디바이스가 아무런 특정 AV 기능을 가지지 않아도 AVC 서브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AVC 디바이스 어드레스는 X-버스 디바이스에 할당된다.
각각의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비트 인코딩된 게이트웨이 번호가 할당된다. 게이트웨이에 의해 접속된 D2B 클러스터 및 X-버스로 이루어진 시스템에서 최대의 16게이트웨이가 허용된다. 모든 게이트웨이는 그것이 접속하는 버스의 어느쪽이든 접속된 모든 게이트웨이를 알거나 또는 결정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번호는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어 알려진 게이트웨이를 논리적으로 확인한다. 메시지가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전송되려 할때 게이트웨이 번호가 사용된다. 각각의 게이트웨이는 알려진 게이트웨이에 번호를 붙여야 하며 둘을 저장해야 한다.
제 5도에서, 클러스터(46)(D2B')는 게이트웨이(48)(GWnew)를 통하여 X-버스(12)에 접속된다. X-버스로 접속한 후 게이트웨이 GWnew는 X-버스와 클러스터 D2B' 둘 다의 가능한 게이트웨이를 알아야 하고 그것은 X-버스의 게이트웨이 GWa 내지 GWd와 D2B'의 GWA'와 GWB'이다.
X-버스의 게이트웨이를 위해 게이트웨이(GWnew)의 X-버스 측면은 X-버스의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를 수집하고 게이트 웨이 서브 디바이스(D2B 측면)에 그것을 통지한다. 게이트웨이의 X-버스 측면은 할당된 게이트웨이 번호와 GWnew와 GWa 내지 GWd(모든 X-버스 어드레스)가 각각 1 내지 5로 번호매겨진 각각의 게이트웨이의 X-버스 어드레스 표를 가져야 한다. D2B'의 게이트 웨이를 위해 GWnew의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D2B의 어떤 게이트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만약 있으면 그러한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본 예시에서 D2B' 어드레스 GWA'와 GWB'는 각각 6과 7로서 표에 저장된다.
메시지가 GWnew를 통하여 D2B'의 디바이스에서 X-버스로 전송되려 할때 게이트웨이는 게이트웨이 번호를 대응하는 X-버스 어드레스로 번역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X-버스로 전송한다.
메시지가 X-버스로부터 전송되고 D2B로 전송되려 할때 GWnew의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 번호를 대응하는 D2B 어드레스로 번역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메시지가 X-버스로부터 전송되어 D2B로 전달될 때, GWnew에 있는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D2B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게이트웨이 번호를 번역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에 전달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GWa는 예컨대 GWa를 위해 표는 GWa 내지 GWd와 GWnew이(모든 X-버스 어드레스) 각각 1 내지 5로 주어지고 GWA내지 GWC(모든 D2B 어드레스)는 6 내지 8로 각각 주어지는 것 같이 어떤 다른 게이트웨이 번호와는 독집적으로 자체 게이트웨이 번호를 가질 수 있다.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의 기본 기능은 루팅 명령을 실행할 수 있고 메시지 루팅을 게이트웨이를 넘어 네트워크로 셋업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를 넘어 네트워크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루팅 정보를 설명하는 루팅 명령과 함께 그 메시지를 D2B 디바이스로 보낼 수 있다.
루팅 명령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 기재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또한 게이트웨이는 다음과 같은 것(게이트웨이 통신을 위해 필요함)을 포함해야 한다.
-클러스터를 관리하여 클러스터 외부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타이밍을 관리하여 D2B 통신 관리 프로토콜에 따른 D2B 클러스터내의 적합한 통신 타이밍을 보증한다.
원격 AV 애플리케이션에서 게이트웨이를 통하는 신호 분배가 필요할 수 있다. 한 클러스터에서 다른 클러스터로 또는 D2B 및 X-버스 사이에 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D2B 게이트웨이는 임의로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 AV 소스 또는 목적으로 기동하는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 및 D2B 클러스터에서 신호를 접속시키는 스위치 박스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신호 분배기능.
다음 문단에서 클러스터 관리, 타이밍 관리의 기능 및 신호 분배 기능이 상세히 기재된다.
클러스터 관리
D2B 클러스터내의 각각의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의 특성 메모리를 판독할 수 있다. 예를들어 VCR은 요구를 다른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어느것이 화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지 찾을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클러스터의 구성은 게이트웨이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다른 D2B 클러스터의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한 클러스터의 디바이스는 요구되는 기능이 다른 클러스터에서 이용가능한지를 알 필요가 있고 그 다른 클러스터의 디바이스에 메시지를 전송해야 한다. 이 정보를 얻기 위해 관계하는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한 클러스터에서 다른 클러스터로의 요구 메시지를 요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통신하기 위해 디바이스는 루팅 명령에서 사용될 게이트웨이 번호와 원격 클러스터의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각각의 원격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원격 클러스터의 디바이스와 통신할 디바이스는 어느 다른 D2B 클러스터가 이용가능한지를 알 필요가 있다. X-버스의 각각이 게이트웨이는 게이트웨이 통신이 필요하기 전에 이 정보를 얻어서 저장해야 한다. 이 정보를 어떻게 얻느냐는 한정된 이행자이고 X-버스 프로토콜에 기초하며 관련된 디바이스는 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게이트웨이에 "이용가능한 클러스터인가"라는 요구를 할 수 있다. 상술한 요구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는 제 6도의 게이트 웨이 GW1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X-버스에 속하는 이용가능한 게이트웨이의 게이트웨이 번호를 돌려준다.
D2B에서 디바이스는 프로토콜을 따르고 버스에 접속된 다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예를들어 서브 디바이스의 번호 및 각각의 어드레스)는 <서브 디바이스의 번호는>이라는 요구를 전송하는 관련된 디바이스로 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1 D2B 클러스터의 디바이스는 X-버스로써 요구를 전송하므로써 제 2 D2B 클러스터의 디바이스 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제 7도는 예시적 시스템의 원격 클러스터 및 디바이스 구성 정보 획득을 도시한다. D2B 클러스터 1의 VCR(52)의 AVC 서브 디바이스가 D2B 클러스터 2의 데크 서브 디바이스(54)의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알고 싶어한다고 가정하자. 우선 AVC(50)는 원격 클러스터의 TV(56)를 찾으려 한다. AVC(50)는 목적 어드레스로서 모니터 디바이스를 뒤따라 루팅 명령과 함께 원격 클러스터에 요구를 보낸다. 원격 클러스터의 모니터 디바이스 어드레스가 있는 TV(56)는 서브 디바이스의 번호와 서브 디바이스 각각의 어드레스를 전송하므로써 이러한 요구에 응답한다. 다음으로 국부 클러스터의 AVC 서브 디바이스는 그것의 애플리케이션(이 경우 모니터 서브 디바이스(58))을 위해 통신해야 하는 필요한 어드레스 정보를 알 수 있다.
X-버스상의 디바이스, 예컨대 카메라 장치(60)(제 7도)로부터 D2B 클러스터의 디바이스로의 통신을 위해 X-버스 디바이스는 어디로 메시지를 전송하야 하는지 인식해야 한다. X-버스(12)의 카메라 장치(60)가 디스플레이 설비상에 비디오 신호의 화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D2B 디바이스에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고자 한다고 가정하자 : 사실상 카메라는 D2B 클러스터에 TV가 있는지를 인식하길 원한다. 우선 카메라(60)가 메시지를 전송하여 목적 어드레스로서 모니터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가지고 디바이스 구성을 요구한다. 이 결과 카메라(60) 및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 디바이스(62)의 X-버스 측면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X-버스 프로토콜로 실행된다. X-버스 측면 게이트웨이는 수신된 X-버스 포맷 메시지를 적합한 D2B 메시지(<서브 디바이스의 번호는>이라는 요구)로 번역하고 그것을 게이트웨이(62)의 D2B 측면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루팅 명령 및 그 오퍼랜드를 따라 모니터 서브 디바이스(58)로 요구를 보낸다. 만약 응답이 D2B 디바이스로부터 적합하게 얻어지면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그 응답을 X-버스 측면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다음으로 X-버스 측면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X-버스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카메라 장치(60)에 그 응답을 전송한다.
또한 만약 카메라 장치(60)가 레코딩 장치를 구비하는 디바이스에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려 하면 카메라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목적 어드레스로서 데크 디바이스의 어드레스로 디바이스 구성을 요구하므로써 같은 방법으로 D2B 클러스터의 그러한 설비를 구비하는 디바이스가 있는지를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VCR(66)의 데크 서브 디바이스(64)의 어드레스는 리턴된다.
D2B 클러스터의 디바이스가 X-버스의 디바이스 구성을 알고자 하면 게이트웨이의 프로토콜간에서 번역되는 요구에 적용한 동일한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타이밍 관리
서브 디바이스가 요구를 수신할때 가능한한 빨리 응답을 해야 한다. 그러나 게이트웨이 통신의 현 상황에서 예컨대 한 D2B 클러스터에서 다른 D2B 클러스터로의 불가피하고 예측 불가능한 시간 지연이 X-버스를 통하여 전송할 때 생긴 지연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에 의한 타이밍 관리는 다른 클러스터내의 장치에 요구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에 일시적 응답을 하므로써 실행된다.
제 7도 및 또한 제 8도의 타이밍도를 다시 언급하면 클러스터 1의 디바이스가 요구 및 응답을 이용하는 클러스터(2)의 디바이스로부터의 특성 정보를 얻고자함을 알 수 있다. 우선 디바이스(1)은 루팅 명령으로 게이트웨이 GW1에 요구를 보낸다. GW1이 마지막 응답(예를들어 "실행" 메시지)을 클러스터(2)의 디바이스(4)로부터 얻을때까지 GW1은 명기된 최소 응답 시간 내에 디바이스(1)로부터의 요구의 일시적 응답을 리턴한다. 요구 시퀀스동안 특정한 독립 장치가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종속 장치)를 점유하지 못하게하기 위해 요구를 전송하는 장치는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일시적 응답을 수신한 후 <끝> 명령을 하므로써 게이트웨이를 열어야 한다. 디바이스(1)로부터의 다음 요구가 수신되기 전에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다른 D2B 디바이스 (예를들어 디바이스(2))로부터 클러스터를 넘어 전송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일지라도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디바이스(1)에 의한 계속적 요구 시퀀스를 유지해야 한다.
과정의 제 2 단계 GW1에서 GW2로 요구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X-버스 프로토콜에 따른 게이트웨이 및 D2B 루팅 프로토콜 사이의 통신에 의해 실행되어야 한다. 세번째 단계로 GW2는 마지막 응답이 얻어질때까지 반복되는 요구를 디바이스 4에 보낸다. 네번째 단계는 디바이스 4에 의해 응답을 되돌리는 것이다(마지막 응답이 될 수 있다). 다섯번째 단계는 마지막 값과 함께 얻어진 응답을 GW2에 의해 GW1로 전송하는 것이며, 마지막 응답을 GW1에 의해 저장하는 것이다 : 다시 이것은 X-버스 프로토콜에 따라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 의해 실행된다. 마지막 단계는 GW1에서 디바이스(1)로 마지막 값과 함께 응답을 리턴하는 것이다.
신호 분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D2B를 통하는 av 신호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av 신호를 전송하는 X-버스를 필요로 하여도 신호 분배 기능은 선택가능하다. 신호 분배 기능을 위해 AV 클러스터의 신호 접속과 X-버스로의 신호 송신이 요구된다. 다음 문단에서 X-버스는 AV 신호 출력 가능성을 가진다고 가정 한다.
D2B 클러스터내에서 '소스'에서 '목적'으로 베이스밴드에서 AVC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신호가 접속되고 하나이상의 스위치 박스를 경유한다. 만약 신호가 X-버스를 통하여 전송되어야 한다면 국부 목적은 게이트웨이가 된다. 다른 D2B 클러스터 사이에서 관련된 명령 및 요구는 루팅 명령으로 전송된다 : 즉 X-버스의 스위칭은 사실상 X-버스 프로토콜에 따라 행해져야 한다.
소스 및 목적 클러스터에서의 기본 접속 과정은 소스 클러스터(제 9도) 및 소스 클러스터와 목적 클러스터(제 10도)의 신호 경로 빌딩을 위한 타이밍도인 제 9도 및 제 10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소스 클러스터의 접속 과정에서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 어드레스는 <소스 목적을 접속하라>는 명령의 <목적>, <스위치 박스를 접속하라>는 명령, <완성된 스위치 박스를 접속하라>는 명령, <완성된 소스 목적을 접속 하라>는 명령으로 명기된다. 소스 클러스터 및 목적 클러스터 둘다의 신호 경로 완료후 X-버스와 함께 게이트웨이는 X-버스의 신호 경로 접속 빌딩 및 스위칭을 개시한다.
원격 클러스터(목적 클러스터)로 접속이 되려 하면 AVC 서브 디바이스가 소스 신호를 접속한 것 같이 AVC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에서 목적 클러스터의 목적 서브 디바이스(예를들어 모니터 서브 디바이스)로 목적 클러스터와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원격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목적 클러스터에서 소스 서브 디바이스로서 동작한다. 목적 클러스터의 접속은 소스 클러스터의 접속과 무관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소스 클러스터의 AVC 서브 디바이스는 목적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에 <소스 목적을 접속하라>는 명령을 전송하여 목적 클러스터에서 접속한다. <소스 목적을 접속 하라>는 명령 및 <완성된소스 목적을 접속하라>는 루팅 명령으로 한 클러스터에서 다른 클러스터로 명백히 전송된다. 소스 클러스터 및 목적 클러스터의 양쪽에서 접속이 이루어진 후 신호는 국부 클러스터의 소스 디바이스에서 원격 클러스터의 목적 서브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제 1 데이터 버스에 접속되고 통신 프로토콜의 그 국부 세트에 따라 각각의 스테이션으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통해 제 1 버스에 연결된 각각의 다른 스테이션 또는 바로 그 스테이션의 가동을 에뮬레이트 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제 11도는 룸 2의 텔레비젼을 에뮬레이팅 하는 룸 1의 게이트웨이 및 룸 1의 VCR을 에뮬레이팅 하는 룸 2의 게이트웨이가 있는 그러한 "에뮬레이팅 게이트웨이" 한쌍을 도시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연장으로, 여기서 제 1 프로토콜(이 경우 오디오 제어)을 지원하는 클러스터에서 다수의 디바이스가 함께 접속되며 그 디바이스중 하나는 제 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B 버스의 텔레비젼에 전체로서 AV 시스템을 모방하는 에뮬레이팅 게이트웨이로서 동작할 수 있다.
신호 표현은 X-버스 프로토콜에 따르고 또한 X-버스의 인가된 신호 할당 메카니즘에, 예를들어 정적-할당, 동적-할당 등등에 따른다. 이것은 신호 표현 기능이 신호 분배를 요구하는 특징을 위해 필요함을 의미하지만 사실상의 신호 스위칭은 반드시 X-버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행되어야 한다. 다음 설명은 단지 D2B 프로토콜만을 언급한다.
목적 클러스터의 신호 분배에서 신호 접속을 포함하는 사실상의 과정은 신호 분배 시스템의 타입에 따르며 또는 목적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가 신호를 X-버스에서 D2B 프로토콜에 의해 관리될 수 있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전환활 수 있는 성능을 가지는가에 따르며 D2B 프로토콜은 한정된 이행자이다.
신호 분배 시스템의 세가지 타입은 제 13도 내지 제 15도와 관련하여 논의되며 여기서 RF 신호 접속은 넓고 검은 선으로 도시되며 베이스밴드 경로는 넓고 옅은색 선으로 도시된다.
제 1 타입은 각각이 같은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며 다른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는 데이터 버스로 연결된 두 클러스터를 구비하며 신호 경로는 제 1 클러스터의 스테이션 및 제 2 클러스터의 스테이션 사이에 형성되고 각각의 스테이션 및 그 국부 게이트웨이 사이의 베이스밴드 신호 경로 및 연결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지원되는 통신 구조내에서 이용가능한 게이트로부터 게이트웨이중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의해 선택된 부가의 신호 경로로서 게이트웨이들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타입의 분배 시스템에서 국부 클러스터(소스 클러스터) 및 원격 클러스터(목적 클러스터)의 신호 접속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AVC 서브 디바이스에로 이루어져야 한다. 소스 및 목적 클러스터의 접속 과정은 실재하는 D2B 접속 및 보호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실행되어야 한다.
X-버스 및 D2B 클러스터 사이 또는 그 역에서의 신호 상호 교환을 위해 신호는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로 표현되어야 한다. 제 13도에 도시된 예시의 신호 표시를 위해 소스 클러스터 4의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70)는 베이스 밴드로부터 X-버스 신호 라인에 인가된 주파수중 하나로 변조기의 역할을 한다. 만약 하나 이상의 주파수(또는 채널)가 유효하면 X-버스(72)로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둘중 하나를 선택하는 몇몇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목적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74)는 X-버스 포맷에서 베이스밴드(RF)로의 복조기로서 기동한다. 클러스터 A의 TV(76)의 모니터 서브 디바이스로부터의 AV 신호는 게이트웨이(70)의 스위치 박스(78)로 스위칭되며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에서 변조된다. 원격 클러스터 B에서 변조된 신호(RF)는 게이트웨이(74)로 입력되고 베이스밴드 신호로 복조 되며 TV(80)의 모니터 서브 디바이스(목적 서브 디바이스)에 이른다.
상술한 시스템의 제 2 타입은 각각이 동일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며 다른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는 데이터 버스에 의해 연결된 두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신호 경로는 베이스 밴드 신호 경로로서 제 1 스테이션중 하나에서 국부 게이트웨이로 제 1 클러스터의 스테이션 및 제 2 클러스터의 스테이션 사이에 형성되며 부가의 신호 경로로서는 게이트웨이들 사이에 연결 데이터 버스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구조내에서 이용가능한 게이트웨이중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의해 선택되며 무선 주파수 신호 경로로서는 스테이션의 한쪽에서 다른 게이트웨이로의 경로로 형성된다. 이 제 2 타입은 목적 클러스터의 공중선 타입 입력을 적용하고 이 시스템에서 AV 신호는 X-버스에서 목적 클러스터로 직접 입력된다. 소스 클러스터의 신호 접속은 제 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AVC 서브 디바이스를 실행하므로써 이루어지며 목적 클러스터의 신호 접속은 다른 수단으로, 예컨대 수동으로 D2B 접속 과정이 필요하도록 이루어진다. 목적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신호 전환(복조) 성능이 필요치 않으며, 그것은 목적 디바이스, 예를 들어 TV의 튜너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된다.
제 14도에 도시된 예시에서 변조를 위해 사용된 주파수 (또는 채널)에 따라 목적은 전송되기전에 적합한 주파수로 맞추어져야 하며 전송은 국부 클러스터의 AVC로 <주파수> 또는 <채널> 명령을 원격 클러스터의 튜너 서브 디바이스로 전송하므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동력학적으로 할당된 주파수가 X-버스의 신호로 사용되면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AV 신호의 변조를 위해 X-버스에 대하여 가능한 주파수를 알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 X-버스에 대하여 가능한 주파수를 탐지하는 과정은 X-버스 프로토콜에 따르며 정의된 설정자이다.
제 3 타입의 시스템은 각각이 동일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며 다른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는 데이터 버스로 연결되는 두 클러스터를 구비한다. 신호 경로는 제 1 클러스터의 스테이션 및 제 2 클러스터의 스테이션 사이에 형성되며 무선 주파수 신호 경로로서는 각각의 스테이션 및 그것의 국부 게이트 웨이 사이에 형성되며 부가의 신호 경로로서는 연결 데이터 버스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구조내에서 이용가능한 게이트웨이중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의해 선택된다. 제 3 타입의 시스템은 간단한 신호 분배 시스템(제 15도에 도시됨)이며 게이트웨이는 신호 전환 성능을 가지지 않는다. D2B 클러스터내의 신호 분배가 베이스밴드 신호의 상호 접속에 기초할때 이 타입의 시스템에서 신호 접속은 다른 방법(예를들어 수동)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며 D2B 접속 과정은 필요치 않다.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클러스터간의 명령을 전송하기 위해서만 기동한다.
오차를 피하기 위해 X-버스에 의한 AV 전송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초래하는 AVC 서브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한 신호 분배 시스템의 세 타입중 선택된 하나에 따라 적합한 방법으로 접속 과정을 밟아야 한다. 따라서 다음 규칙은 클러스터 및 목적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를 넘어 접속을 이루는 AVC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준수된다. 우선 복조 기능을 가지지 않는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가 소스 클러스터의 AVC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접속 명령을 수신하면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는 그것의 클러스터에서 접속해서는 안된다. 둘째로 만약 소스 클러스터의 AVC 서브 디바이스가 목적 클러스터로부터 <완성된 소스 목적을 접속하라>는 명령을 수신하지 않으면 이것은 목적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 서브 디바이스가 복조 기능을 가지지 않음을 의미하고 목적 클러스터의 신호 접속은 다른 수단으로 예를 들어 수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을 읽으므로써 당업자들에게는 다른 변형이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그러한 변형들은 설계, 제조와 통신 시스템,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그것의 구성 요소들을 사용하는 것에서 이미 공지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한 구조에 부가하거나 또는 그 구조 대신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청구범위가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한 구조들의 조합으로 공식화되었어도 본 애플리케이션의 개시 범위는 어떤 새로운 구조 또는 본 명세서에 함축적으로 또는 명확히 개시된 구조들의 새로운 조합 또는 그에 의한 어떤 통칙을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어떤 클레임에서도 청구가 되는 것과 동일한 본 발명과 관련이 되든 안되든 상관이 없으며 본 발명에서 발생하는 기술 문제와 동일한 것 전부 또는 그중 하나를 모방하던지 안하던지와 상관없다. 본 명세서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은 새로운 클레임이 본 애플리케이션이나 그에 의해 파생된 어떤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술한 구조 또는 그러한 구조의 조합에 공식화될 수 있음을 알린다.

Claims (17)

  1. 국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제 1 통신 프로토콜 세트에 따라 메시지의 통신을 위해 상호 접속된 다수의 스테이션과, 상기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다른 스테이션과, 제 1 데이터 버스와 다른 스테이션을 연결하고 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버스에 연결된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 세트는 제 2 스테이션이 전송한 메시지를 제 1 스테이션이 응답할 수 있는 최장 시간을 특정하고,
    응답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 1 버스 시스템의 스테이션과 상기 다른 스테이션 사이에서 전달되면,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응답이 도착하여 상기 응답을 전달하는 특정한 최장 응답 시간보다 짧은 소정의 주기 동안에 메시지 발생 스테이션에 일시적 응답을 발생시켜 전송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전달된 메시지에 대한 기록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 요구 스테이션에 일시적 응답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다른 요구 디바이스로부터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제 1 메시지에 대한 기록을 유지하는 메모리 수단을 가진 국부 통신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 넘어 다른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식별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위해 제 1 데이터 버스에 접속된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요구를 지원하고, 다른 게이트웨이 넘어의 스테이션 존재여부를 확인 및 검출하는 메시지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다른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통해 다른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를 통해 제 1 버스에 연결된 각각의 다른 스테이션의 가동을 제 1 데이터 버스에 접속된 각각의 스테이션에, 제 1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따라 에뮬레이트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각각의 클러스터는 각각의 데이터 버스로 상호 접속되는 다수의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 세트에 따라 클러스트내애서 통신하며, 다른 통신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는 다른 통신 버스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에 의해 다른 버스에 연결되는 국부 통신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제 1 클러스터의 게이트웨이는 클러스터 데이터 버스의 디바이스로서 클러스터 외부에 있는 상기 시스템을 상기 버스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에뮬레이트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각각이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며 다른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는 데이터 버스로 연결된 두개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신호 경로는 스테이션과 그 국부 게이트웨이 사이의 베이스밴드 신호 경로 및 연결 데이터 버스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구조내에서 이용되는 게이트웨이중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의해 선택되는 게이트웨이들 사이의 부가의 신호 경로로서, 신호 제 1 클러스터의 스테이션과 제 2 클러스터의 스테이션 사이에 형성되는 국부 통신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하나의 노미네이트된 스테이션("AV 센터")은 두개의 클러스터 사이의 베이스밴드 신호 경로를 인식하고, 상기 스테이션과 그 국부 게이트웨이 사이에 신호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두개의 클러스터용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하나의 노미네이트된 스테이션("AV 센터")은 제 1 클러스터의 베이스밴드 신호 경로를 인지하고, 상기 제 1 스테이션과 국부 게이트웨이 사이의 신호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고, 제 2 클러스터의 노미네이트된 스테이션이 제 2 클러스터의 스테이션과 그 국부 게이트웨이 사이의 신호 경로를 형성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
  11. 제 6항에 있어서,
    각각이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며 다른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는 데이터 버스로 연결된 두개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신호 경로는 스테이션중 제 1 스테이션과 그 국부 게이트웨이의 베이스밴드 신호 경로 및 연결 데이터 버스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구조내에서 이용되는 게이트웨이 중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의해 선택되는 게이트웨이들 사이의 부가의 신호 경로, 스테이션중 나머지 스테이션과 다른 게이트웨이의 무선 주파수 신호 경로로서, 제 1 클러스터의 스테이션과 제 2 클러스터의 스테이션 사이에 형성되는 국부 통신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하나의 노미네이트된 스테이션("AV 센터")은 제 1 클러스터의 베이스밴드 신호 경로를 인지하고, 스테이션과 그 국부 게이트웨이 사이의 제 1 클러스터의 신호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고, 상기 AV 센터는 제 2 클러스터의 무선 주파수 채널 사용을 제어하는 메시지를 사용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하나의 노미네이트된 스테이션("AV 센터")은 제 1 클러스터의 베이스밴드 신호 경로를 인지하고, 상기 스테이션과 국부 게이트웨이 사이의 제 1 클러스터의 신호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어 베시지를 이용하고, 제 2 클러스터의 노미네이트된 스테이션이 제 2 클러스터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는 정보를 부가로 제공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
  14. 제 6항에 있어서,
    각각이 상기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며 다른 통신 프로토콜 세트를 지원하는 데이터 버스로 연결된 두개의 클러스터를 포함하며,
    신호 경로는 각각의 스테이션과 그 국부 게이트웨이 사이는 무선 주파수 신호 경로 및 연결 데이터 버스에 의해 지원되는 통신 구조내에서 이용되는 게이트웨이중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의해 선택된 부가의 신호 경로로서, 제 1 클러스터의 스테이션과 제 2 클러스터의 스테이션 사이에 형성되는 국부 통신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하나의 노미네이트된 스테이션은 제 1 클러스터와 제 2 클러스터의 무선 주파수 채널 사용을 제어하는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하나의 노미네이트된 스테이션은 제 1 클러스터의 무선 주파수 채널 사용을 제어하는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고, 제 2 클러스터의 노미네이트된 스테이션이 제 2 클러스터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는 정보를 부가로 제공하는 국부 통신 시스템.
  17. 제 1항에 청구된 국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기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의 기술적 구성을 구비한 장치.
KR1019950705326A 1994-03-31 1995-02-17 국부통신버스시스템의상호접속 KR100341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06477.1 1994-03-31
GB9406477A GB9406477D0 (en) 1994-03-31 1994-03-31 Interconnection of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s
PCT/IB1995/000111 WO1995027357A1 (en) 1994-03-31 1995-02-17 Interconnection of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971A KR960702971A (ko) 1996-05-23
KR100341707B1 true KR100341707B1 (ko) 2002-11-30

Family

ID=1075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5326A KR100341707B1 (ko) 1994-03-31 1995-02-17 국부통신버스시스템의상호접속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754548A (ko)
EP (1) EP0701754B1 (ko)
JP (1) JP3632046B2 (ko)
KR (1) KR100341707B1 (ko)
DE (1) DE69524323T2 (ko)
ES (1) ES2169123T3 (ko)
FI (1) FI114426B (ko)
GB (1) GB9406477D0 (ko)
TW (1) TW428407B (ko)
WO (1) WO1995027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1802B1 (en) 1999-02-01 2019-07-23 Blanding Hovenweep, Llc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935232A (en) * 1995-11-20 1999-08-10 Advanced Micro Devices, Inc. Variable latency and bandwidth communication pathways
GB2313524A (en) 1996-05-24 1997-11-26 Ibm Providing communications links in a computer network
AT408923B (de) * 1996-06-12 2002-04-25 Bse Elektro Technik Gmbh Regel- und/oder steuervorrichtung für die objektleittechnik
AT408819B (de) * 1996-06-12 2002-03-25 Bse Elektro Technik Ges M B H Regel- und/oder steuervorrichtung für die objektleittechnik
KR100228923B1 (ko) * 1996-10-14 1999-11-01 이종훈 TCP/IP를 이용한 Infi 90 시스템의 데이터 취득방법
US7383341B1 (en) 1996-10-15 2008-06-03 Kabushiki Kaisha Toshiba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relay device and control device suitable for home network environment
JP3660443B2 (ja) * 1996-10-15 2005-06-15 株式会社東芝 データ転送制御システム及び中継装置
JPH10126435A (ja) * 1996-10-23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宅内デジタル情報統合システム
US6167120A (en) * 1996-11-06 2000-12-26 Lextron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home networking
DE19707190A1 (de) * 1997-02-22 1998-08-27 Alsthom Cge Alcatel Netzübergangseinrichtung
JP4114970B2 (ja) * 1997-03-24 2008-07-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伝送装置
JP2002512758A (ja) * 1997-05-19 2002-04-23 コアクティブ ネット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ールド・ワイド・ウェブを用いて制御ネットワークと直接入出力装置をネットワークで結ぶためのサーバ・システムと方法
US6496862B1 (en) 1998-08-25 2002-12-1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devices connected to an IEEE 1394 bus via a gateway device
US6505255B1 (en) 1999-04-29 2003-01-07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Ita) Method for formatting and routing data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n internal network
US6199136B1 (en) * 1998-09-02 2001-03-06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w data-rate network to be represented on and controllable by high data-rate home audio/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
US7013354B1 (en) * 1998-10-05 2006-03-14 Canon Kabushiki Kaisha Channel protocol for IEEE 1394 data transmission
JP2000209220A (ja) * 1999-01-14 2000-07-28 Toshiba Corp コンピュ―タ、ネットワ―ク制御装置、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システム並びにリモ―ト起動方法
US7904187B2 (en) 1999-02-01 2011-03-08 Hoffberg Steven M Internet appliance system and method
US6427176B1 (en) * 1999-03-04 2002-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system labeling based on stored configuration labeling information
US6378000B1 (en) 1999-04-29 2002-04-23 Mitsubish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Address mapping in home entertainment network
US6633547B1 (en) 1999-04-29 2003-10-1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ommand and control transfer
US6523064B1 (en) 1999-04-29 2003-02-1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Network gateway for collecting geographic data information
US6618764B1 (en) * 1999-06-25 2003-09-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enabling interaction between two home networks of different software architectures
DE19929608C2 (de) * 1999-06-28 2002-08-29 Deutsche Bahn Ag Einrichtung zur Konvertierung von Kommunikationsprotokollen zwischen einem Fahrzeugbus und einem Zugbus in einem Zugkommunikationssystem
US7490293B1 (en) 1999-07-27 2009-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discovery and control in a bridged home network
AU6185900A (en) * 1999-07-27 2001-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discovery and control in a bridged home network
GB9921049D0 (en) 1999-09-07 1999-11-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lustered networked devices
JP4281201B2 (ja) * 2000-03-06 2009-06-17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TW496040B (en) * 2000-04-04 2002-07-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7002928B1 (en) 2000-06-21 2006-02-21 Sony Corporation IEEE 1394-based protocol repeater
US7277765B1 (en) 2000-10-12 2007-10-02 Bose Corporation Interactive sound reproducing
GB0026981D0 (en) * 2000-11-04 2000-12-2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Bridging system for interoperation of remote groups of devices
US7542474B2 (en) * 2001-02-26 2009-06-02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sochronous services over switched ethernet including a home network wall plate having a combined IEEE 1394 and ethernet modified hub
US7051143B2 (en) * 2001-06-25 2006-05-23 Schneider Automation Inc.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the transmission of modbus messages between networks
US7107358B2 (en) * 2001-09-12 2006-09-1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Bridge for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using data manipulation techniques
WO2003098847A1 (en) * 2002-05-22 2003-11-27 Helmes Josef J J Multi-media interaction system
JP3730599B2 (ja) * 2002-06-27 2006-01-05 株式会社東芝 サーバ装置および状態制御方法
US20040015620A1 (en) * 2002-07-18 2004-0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reporting information in a pervasive embedded environment
EP1396962A1 (en) * 2002-08-05 2004-03-10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Bus service interface
JP3655604B2 (ja) * 2002-08-09 2005-06-02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中継方法
DE10254285A1 (de) * 2002-11-20 2004-06-03 Robert Bosch Gmbh Gateway-Einheit zur Verbindung von Subnetzen, insbesondere in Fahrzeugen
US7174402B2 (en) * 2003-04-07 2007-02-06 The Boeing Company Systems, network devices and methods for highly configurable peer-to-peer communications between network devices communicating via a common bus
BE1015780A3 (nl) * 2003-11-19 2005-08-02 Niko Nv Inrichting voorzien van elektrische componenten en module.
US7610463B2 (en) * 2004-10-22 2009-10-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n atomic semaphore operation
US7921429B2 (en) * 2005-06-09 2011-04-05 Whirlpool Corporation Data acquisition method with event notification for an appliance
US7831321B2 (en) * 2005-06-09 2010-11-09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and accessory for controlling a cycle of operation
US8155120B2 (en) * 2005-06-09 2012-04-10 Whirlpool Corporation Software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ing components within an appliance using fuctionality identifiers
US9009811B2 (en) * 2005-06-09 2015-04-14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system with electronic credentials and authentication for appliances
US8250163B2 (en) * 2005-06-09 2012-08-21 Whirlpool Corporation Smart coupling device
US8571942B2 (en) * 2005-06-09 2013-10-2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product demonstration
US8027752B2 (en) * 2005-06-09 2011-09-27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for changing resource consumption in an appliance
US8816828B2 (en) * 2005-06-09 2014-08-26 Whirlpool Corporation Recipe wand and recipe book for use with a networked appliance
US7917914B2 (en) * 2005-06-09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Event notification system for an appliance
US20070288331A1 (en) * 2006-06-08 2007-12-13 Whirlpool Corporation Product demonstration system and method
US8856036B2 (en) * 2005-06-09 2014-10-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product demonstrations
US8676656B2 (en) * 2005-06-09 2014-03-1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t demonstration
US9122788B2 (en) * 2005-06-09 2015-09-01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network for a networked appliance with a network binder accessory
EP2228969B1 (en) * 2005-06-09 2017-04-19 Whirlpool Corporation Software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nd management of, at least one component within a household appliance
US9164867B2 (en) * 2005-06-09 2015-10-20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consumable to an appliance
US10333731B2 (en) 2005-06-09 2019-06-2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vely coupling internal components within appliances, and appliances with external components and accessories
US8615332B2 (en) 2005-06-09 2013-12-24 Whirlpool Corporation Smart current attenuator for energy conservation in appliances
US20080137670A1 (en) * 2005-06-09 2008-06-12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System with Message Binding for Appliances
US7813831B2 (en) * 2005-06-09 2010-10-12 Whirlpool Corporation Software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ppliance in multiple operating modes
US8682733B2 (en) * 2006-06-08 2014-03-25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for product demonstration
JP4388125B2 (ja) * 2008-05-13 2009-12-24 株式会社東芝 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
US9654604B2 (en) * 2012-11-22 2017-05-16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ata flow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transfer response
DE102013018596A1 (de) * 2013-11-07 2015-05-0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Netzwerksystem, Koppel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Netzwerk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55567T2 (de) * 1987-07-20 1997-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Übertragungssystem
US5088032A (en) * 1988-01-29 1992-02-11 Cisco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ommunications among computer networks
US5237566A (en) * 1989-03-30 1993-08-17 Ungermann-Bass, Inc. Network hub for maintaining node bandwidth in a single-node network
IL96808A (en) * 1990-04-18 1996-03-31 Rambus Inc Introductory / Origin Circuit Agreed Using High-Performance Brokerage
CA2047321C (en) * 1990-07-19 1997-11-18 Henry Yang Testing a communications network for duplicate station addresses
CA2051029C (en) * 1990-11-30 1996-11-05 Pradeep S. Sindhu Arbitration of packet switched busses, including busses for shared memory multiprocessors
US5117430A (en) * 1991-02-08 1992-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nodes in a network
US5280481A (en) * 1991-09-20 1994-01-18 Extension Technology Corp. Local area network transmission emulator
JPH0653965A (ja) * 1992-07-29 1994-02-25 Sony Corp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5371852A (en) * 1992-10-14 1994-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cluster of computers appear as a single host on a network
JP2862160B2 (ja) * 1993-05-31 1999-02-2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式
GB9314460D0 (en) * 1993-07-13 1993-08-25 Int Computers Ltd Computer systems integration
US5490152A (en) * 1994-08-04 1996-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ortened timeout period during frame retry in a communication l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54548A (en) 1998-05-19
TW428407B (en) 2001-04-01
KR960702971A (ko) 1996-05-23
DE69524323D1 (de) 2002-01-17
GB9406477D0 (en) 1994-05-25
FI955751A0 (fi) 1995-11-29
EP0701754A1 (en) 1996-03-20
EP0701754B1 (en) 2001-12-05
ES2169123T3 (es) 2002-07-01
JPH08511402A (ja) 1996-11-26
FI114426B (fi) 2004-10-15
FI955751A (fi) 1995-11-29
WO1995027357A1 (en) 1995-10-12
DE69524323T2 (de) 2002-08-14
JP3632046B2 (ja)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707B1 (ko) 국부통신버스시스템의상호접속
JP5036098B2 (ja) ディジタルバスを介して周辺電子装置を制御する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装置
US6925518B2 (en) Bridging system for interoperation of remote groups of devices
CN1842044B (zh) 用于改进的设备互用性的装置和方法
US7676824B2 (en) Method for the processing of remote control signals within a home audiovisual network, corresponding signal,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US6725285B2 (en) Communication system, controlling device and controlled device
JP3318635B2 (ja) 電子機器及び通信方法
AU5579999A (en) A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communication
JPH0931259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用の中央ノード変換装置及び方法
US7187661B2 (en) Gathering of device discovery information
KR19990082959A (ko) 가정용 네트워크 환경에서 오디오/비디오/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용 자원 공유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750686A (ja) ネットワーク構成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5463619A (en)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 comprising a set of interconnected devices, a control bus, and a set of signal interconnections, and a device and a switchbox for use in such system
JP2000188725A (ja) ディジタル放送の受信システム及びディ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
MXPA01001975A (es) Metodo para determinar automaticamente la configuracion de un aparato de procesamiento de video de entradas multiples.
US79167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lucent bridging
US7639919B2 (en) Signal processing system, signal outputting device, signal inputting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H07131470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信機器
KR20010091734A (ko) 인터넷 및 아날로그 영상 서비스 시스템
JP2003143146A (ja) 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通信機器
JP2003324439A (ja) 信号処理システム、信号出力装置、信号入力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03143155A (ja) 電子機器及び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