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016B1 - 공구또는공작물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구또는공작물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016B1
KR100338016B1 KR1019950024656A KR19950024656A KR100338016B1 KR 100338016 B1 KR100338016 B1 KR 100338016B1 KR 1019950024656 A KR1019950024656 A KR 1019950024656A KR 19950024656 A KR19950024656 A KR 19950024656A KR 100338016 B1 KR100338016 B1 KR 100338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cess
contact lug
lug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099A (ko
Inventor
샨츠 만프레드
Original Assignee
에로바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4428310A external-priority patent/DE4428310A1/de
Application filed by 에로바 에이지 filed Critical 에로바 에이지
Publication of KR960007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016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지지부에 2개의 부재(1, 3), 예를 들어 도구와 부품의 고정은, 두개를 서로 고정하는 부재(1, 3)는 사용 위치에 서로 놓인 접합면(4, 5)를 가지며 횡으로 또는 상기 접합면(4, 5)의 접평면과 직각으로 연장된 고정 수단을 통해서, 예를 들어 하나의 스크류 볼트(2)를 통해 서로 잡아당기도록 구비된다. 동시에 부갖거으로 대향 측면을 Z-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접합면(4, 5)에 대해 한부분에 접합 돌기(9)를 다른 부분에 접합 리세스(10)를 구비한다. 이는 접합면의 접평면 내에서 고정 수단과 횡으로 서로 연결되고 서로 잡아당기는 부재(1, 3)의 변위를 막으며 두개의 부재(1, 3)를 상기 접평면과 횡으로 X-와 Y- 방향에 접합 정확하게 중심 정렬시킨다. 볼트를 통해 생길 수 있는 변형력에 맞서 축방향으로 접합 돌기를 구성하는 부재(1, 3)의 탄성부(11)에 접합 돌기(9)가 있어서, 접합 돌기(9)는 접합면(4, 5)에 접촉되기 전에 접합 정확하게 접합 리세스(10)에 결합된다. X-와 Y- 방향으로 조정 또는 중심 정렬을 위한 추가 부분이 필요하지 않고 고정 수단의 강한 인력으로 접합면(4, 5)은 대향 접촉된다.

Description

공구 또는 공작물 고정 장치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공구 또는 공작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 장치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클램핑 척에 전극 홀더 또는 전극 자체를 정밀하게 결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럽 특허 제0 111 092호에 이런 고정 장치가 개시되었으며, 리세스를 갖는 금속판이 서로 고정되는 두 개의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X 및 Y 방향으로 조정을 위해 제공되며, 그에 의해, 금속판의 리세스의 엣지에 의해 두 부재가 제공된 결합면상에서 접촉될 때까지 하나의 부재의 러그가 중심정렬되며, Z축, 즉, 전체 유니트의 종방향 중심 축으로 정렬되고 조정된다. 이러한 예에서, 세 방향으로 정확히 접촉, 조정, 정렬될 필요가 있으나, 중간 금속판은 전체 유니트 구조의 높이를 증가시키며 제조 비용 및 조립 비용을 크게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간 금속판을 추가로 제조하여 정밀하게 설치해야 할 필요 없이, Z 방향으로 정밀하게 서로 안착되면서 동시에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정밀한 중심정렬 또는 조정이 가능한,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두 개의 부재의 고정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의해, 동시에 중심정렬 또는 조정 중 정밀한 접촉을 위한 다른 보조 부품이 추가로 필요한 것이 방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위치에서, 접촉면은 두 개의 서로 고정되는 부품이 기울어지는 위험 없이 견고하게 서로 맞대어지며, 동시에 X 및 Y 방향으로 중심정렬 또는 조정되어야 한다. 즉, 접촉 러그는, 접촉면이 서로 맞대어질 때 이들 접촉면의 최종 접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서로 상충되는 문제의 해결책은, 하나의 부재 상에 접촉면들 사이에 배치된 접촉 러그와 상기 부재와 결합되는 다른 부재 상의 대응 위치에 서로 고정 중 정확하고 확실하게 결합되는 결합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 러그는 변형력에 대해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거나 또는 굽혀질 수 있는 접촉 러그를 형성하는 부재의 영역에 제공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설계된 부재가 서로 고정되고 서로 비틀리면, 접촉면이 서로 맞대어지기 전 접촉 러그는 결합 리세스 내에 결합된다. 접촉 러그가 X 및 Y 방향으로 중심정렬 또는 조정되게 하거나 또는 이들을 지지하는 영역이 조임 방향으로 약간 이동되기 때문에, 축방향 탄성 또는 고정력이 증가됨으로써, 임의의 중간 금속판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접촉면들이 소정의 방식으로 서로 접촉되고, 즉, 두 개의 부재가 서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러그 및 결합 리세스가 어떤 추가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그들의 최종 위치에서 확실한 로킹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면, 변형 가능 또는 가요성 영역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은 접촉 러그 상의 접촉면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접촉면들이 코너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 접촉 러그가 배치된, 공구 또는 공작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의 위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대해 거꾸로 도시된 제1도의 홀더와 조립 및 조정 직전 홀더에 부착되는 공구 또는 공작물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슬롯 및/또는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가요성 영역이 접촉 러그 부분에 제공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접촉면들이 접촉전 공작물 또는 공구와 홀더의 조립 상태로서, 고정장치의 부분 단면된 측면도.
제4도는 고정 나사의 조임후 접촉면들이 접촉된 측면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가요성 영역의 변형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홀더
4, 5 : 접촉면
9 : 접촉 러그
10 : 결합 리세스
13 : 슬롯
13a : 리세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이고 다른 공구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공구로서 사용되는 제1 부재인 공구 또는 공작물을 위한 고정 장치는, 제2 부재인 홀더(3)(또는, 부재(3))에 제1 부재(1)를 설치하기 위한 중심 조임 나사(이하, 간단히 나사(2)라 함)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서로 고정되는 두 개의 부재(1, 3)는 준비 상태에서 공동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안착되는 접촉면들(4, 5)을 각각 갖는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1, 3)는 추가 고정을 위한 추가의 나사 구멍(6)을 가질 수도 있다. 통상, 접촉면들(4, 5)이 서로에 대해 조여질 때면 언제나 나사(2)에 대해 축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수직으로 정확한 상대 위치로 유도되기 때문에, 나사(2)를 사용하여 홀더(3)의 중심 나사 구멍(7)과 공작물 또는 부재(1)의 나사 구멍(8)으로 충분히 확실한 고정을 이룰 수 있다. 서로에 대한 축방향 위치를 고정시키는 접촉면들(4, 5)에 더하여, 서로 대향하는 면에 의해 형성된 고정 점에서 접촉 러그(9)가 제공된다. 접촉 러그(9)는 접촉면(4, 5)의 접촉 평면 내에 고정 수단에 대해 경사지게 서로 결합된 부재(1, 3)의 변위를 방지하며, 또한, X 및 Y 방향으로 접촉 평면에 경사지게 부재(1, 3) 모두를 정밀하게 중심정렬시킨다.
이를 위해, 접촉 러그(9)가 두 부재 중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부재(3))의 접촉면(5)에 배치되며, 연결될 다른 부재(본 실시예에서는 부재(1))는 상응되는 위치에 결합 리세스(10)를 갖는다. 접촉 러그(9) 및 결합 리세스(10)는,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서로 고정 중, 확실한 로킹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그리고 서로 정확하게 결합되어, 두 부재(1, 3)의 상호 조정과 중심정렬을 이룬다.
제3도는 접촉 러그(9)가 결합 리세스(10)에 확실한 로킹 방식으로 정확하게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접촉면(4, 5)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서로 접촉되지 않으며, 따라서, 부재(1, 3)는 경사질 수 있다.
지금까지 접촉되지 않고 유지되면서 X 및 Y 방향으로 조정 및 중심정렬을 야기하였지만, 고정 요소, 즉, 나사(2) 또는 다수의 나사를 보다 타이트하게 조절하면, 접촉면(4, 5)의 접촉에 의해 Z 방향으로 조정 및 정렬이 이루어지며, 축방향으로, 즉, 고정 나사(2)의 진행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가요성인 부채(3)의 영역에 러그(9)가 접촉 제공된다. 접촉 러그(9)를 지지하는 부재(1)의 가요성 영역에 결합 리세스(10)가 부가적으로 또는 접촉 러그(9) 대신에 배치될 수 있지만, 접촉 러그(9) 자체는 이러한 과정에서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결합 리세스에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접촉 러그(9)는 축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보다 양호하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면(4, 5)은,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리세스(10) 내에 접촉 러그(9)의 결합 중 서로 소정 거리에 있으며, 이러한 거리는 변형 가능 영역(11)의 변형량 이하이다. 따라서, 축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안착되는 접촉 러그(9) 및 결합 리세스(10)의 근처에서 나사(2)가 조여질 경우에, 접촉면(4, 5)이 서로 접촉될 수 있을 정도의 가요성을 보장한다.
제3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나사(2)가 보다 세게 조여지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영역(11)이 축방향으로 약간 변형되며, 접촉 러그(9)와 결합 리세스(10) 사이의 중심정렬 및 조정을 유지하면서 접촉면(4, 5)은 서로 접촉되어, 부재(1, 3)의 상호 정렬을 야기하여 Z 방향으로 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러그(9)는 횡단면에 웨지 형상이며, 즉,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따라서, 저면(9a)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형상을 일치시키기 위해 결합 리세스(1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 위치에서 단면 상에서 경사지게 연장된 접촉 러그(9)의 측면(9b) 상에 면 접촉하게 되는, 경사지게 배치된 대향 면(12)을 갖는다. 따라서, 두 개의 부재(1, 3) 사이의 분리 또는 접촉면의 방향으로, 따라서, Z 축 또는 중심 축에 대해 그리고 나사(2)를 가로질러 정확한 중심정렬과 조정이 가능하다.
필요시, 접촉 러그(9)는, 경사진 대향 면(12)들 또는 마찬가지로 형성된 대향 면들과 협력하는 원호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영역(11)의 가요성은, 조임 방향으로 접촉 러그(9)에 인접하여 제공된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면(5)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슬롯(13)인) 리세스(13a) 또는 슬롯(13)에 의해 발생된다. 슬롯(13)은 부재(3)의 영역(11)을 분리하여, 각 접촉 러그(9)와 접촉 러그 이외의 부분에서 부재(3)의 나머지 영역과 일체형 연결부를 형성한다. 제4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13)의 치수, 즉, 슬롯의 폭(W)은, 특히 접촉 러그(9)의 바로 위 또는 아래의 슬롯의 중심에서 조임 프로세스에 의해 탄성 감소된다, 또한, 리세스(13a) 또는 슬롯, 또는 공동이 접촉 러그(9) 후방으로 그리고 조임 방향으로, 각 접촉 러그(9)가 형성된 부재(3)에 대응 배치된다. 약간 방사상으로 배치된 접촉 러그(9)의 경로를 가로지르는 슬롯(13)의 측방향 길이(l)는, 제1도, 제2도 및제4도에서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향으로 저부(9a)에서 접촉 러그(9)의 폭보다 크다. 이에 의해, 슬롯 폭(w)이 감소되면서 나사(2)의 도움으로 전체 고정 장치를 탄성 조임할 수 있는 정도로 충분히 긴 영역(1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정 및 중심정렬 유지를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갖는 영역(11)의 충분한 스프링 효과와, 탄성 또는 가요성을 얻기 위해, 접촉 러그(9)의 연장부를 가로지르는 슬롯(13)의 또는 리세스(13a)의 길이(l)는 접촉 러그(9)의 저면(9a)에서 접촉 러그(9)의 폭의 약 3배 내지 5배일 수 있다.
한쪽에는 슬롯(13)이 다른쪽에는 리세스(13a)가 도시되어 있는 제2도에서는, 슬롯(13) 대신에 리세스(13a)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가요성 영역(11)에 리세스(13a)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도에 따르면, 이들 리세스(13a)는 접촉 러그(9)로부터 반대의 대향면인 상부면(18)이 개방되며, 측면 경계벽(13b)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측면(14)과 상부면(18)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결합 리세스(10)의 아래에 리세스(13a)를 배열하는 경우에, 결합 리세스(10)는 마찬가지로 부재(1)의 대응 하부면(17)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슬롯(13)이 대향 측면들에 제공되고, 리세스(13a)가 다른 대향 측면들에 제공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이는, 가요성 영역(11)으로부터 이격되게 향한 슬롯 경계부가 실질적으로 제거되거나 또는 생략된, 슬롯의 특수한 경우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재(1, 3)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영역(11)의 탄력 변형이 기본적으로 일어나지만, 부재(3)는 무게가 보다 가볍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접촉 러그(9)는 긴 형태이며, 부재(3)의 엣지 또는 측면(14)으로부터 부재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며, 부재의 중간 앞에서 종료된다. 제2도에서와 같은 결합 리세스(10)는 동일한 방식으로 방향이 정해지며, 부재(1)의 측면(15) 근처의 엣지에서 개방된다. 접촉 러그(9)는, 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3)의 외주에서 균일하게 분포되고 부분적으로 둥근 단면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부분으로 측면(14) 및 대응하는 엣지와 수직하게 연장된 프리즘형 중심정렬 스트립 또는 중심정렬편이다.
서로 대향하는 측면(15)에서 각각 종료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 리세스(10)는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같은 높이이며(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님), 예를 들어, 결합 리세스의 단부 구역이 접촉 러그(9)와 상응하여 함께 협력하도록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 리세스에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향한 결합 리세스(10)가 하나의 작업 단계에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스트립 형태의 접촉 러그(9) 및 대응하는 결합 리세스(10)는 직각으로 교차하는 라인 상에 배치되어, 결합 리세스(10)의 엣지 개방 형상 때문에 상대적인 콜로이드 운동(mutual colloidal movement)이 방해받지 않는다. 이러한 콜로이드 운동은 부재(1)가 공작물로서 기계가공되거나 또는 그 후 부재(1)가 전극과 같은 공구로서 사용될 때 나타난다. 접촉 러그(9) 및 결합 리세스(10)의 배열처럼 서로에 대해 편평한 접촉면(4, 5)의 배열에 의해, 측방향 열 팽창 및 콜로이드 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체 유니트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X, Y, Z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가요성 영역(11)을 형성하기 위한 슬롯(13) 또는 리세스(13a)를 갖는 부재(3)는 중심에 배열된 공동(16)을 갖는다. 슬롯(13) 또는 리세스(13a)는 공동(16) 내에 개방되어 종료된다. 슬롯(13) 또는 리세스(13a)는 측면을 향해 개방되어 모두 연속된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영역(11)의 가요성을 가능하게 한다. 가능한한 큰 조정면 및 중심정렬면을 유지하기 위해, 접촉 러그(9)는 외부면(14)으로부터 공동(16)까지 연장된 슬롯부의 전체 폭에 대해 연장된다. 따라서, 접촉 러그(9)는 슬롯(13) 또는 리세스(13a)의 전체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또한 이에 의해, 전체 고정 장치의 조임중 그리고 접촉면(4, 5)이 상호 압박될 때 가능한 균일한 변형 상태가 생긴다.
슬롯(13) 또는 리세스(13a)와 접측 러그(9), 경우에 따라서는 결합 리세스(10) 사이에 존재하는 가요성 영역(11)의 재질의 두께는, 장력 방향으로의 변형이 접촉 러그(9) 당 적어도 약 200N의 힘을 필요로 하도록 선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요성에도 불구하고 접촉 러그(9) 근처의 결합이 접촉 없이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홀더와 공구 및 공작물과 같은 두 개의 부재(1, 3)를 서로에 조임으로써, 준비 위치에서 서로에 안착되는 접촉면(4, 5)의 접촉 평면과 수직으로 또는 그를 가로질러 연장된, 예를 들어 하나의 스크류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두 개의 부재(1, 3)가 서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Z 방향으로 서로에 대한 축방향 위치를 고정하는 접촉면(4, 5)에 더하여, 하나의 부재 상에 접촉 러그(9)가 다른 부재 상에 결합 리세스(10)가 구비되며, 이는 접촉면(4, 5)의 접촉 평면 내에서 고정 수단을 가로질러 서로 연결되어 조여지는 부재(1, 3)의 변위를 막으며, X 및 Y 방향으로 접촉 평면을 가로질러 두 개의 부재(1, 3)를 정확하게 중심정렬시킨다. 부재(1, 3)의 가요성 영역(11)에 나사(2)에 의해 가해진 변형력에 대향하여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거나 굽혀질 수 있는 접촉 러그(9) 및/또는 결합 리세스(10)가, 접촉면(4, 5)이 서로 접촉하기 전에 접촉 러그(9)가 결합 리세스(10)와 정밀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위치된다. X 및 Y 방향으로 조정 또는 중심정렬을 위한 추가의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면서, 고정 수단의 강한 조임이 접촉면(4, 5)을 상호 접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금속판을 추가로 제조하여 정밀하게 설치해야 할 필요 없이, Z 방향으로 정밀하게 서로 안착되면서 동시에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정밀한 중심정렬 또는 조정이 가능한,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두 개의 부재의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동시에 중심정렬 또는 조정 중 정밀한 접촉을 위한 다른 보조 부품이 추가로 필요한 것이 방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 위치에서, 접촉면은 두 개의 서로 고정되는 부품이 기울어지는 위험 없이 견고하게 서로 맞대어지며, 동시에 X 및 Y 방향으로 중심정렬 또는 조정된다.

Claims (15)

  1. 제1 부재(1)로서 공구 또는 공작물을 제2 부재로서 홀더(3)에 고정하며, 두 개의 서로 고정되는 부재(1, 3)는 준비 상태에서 서로 안착되는 접촉면(4, 5)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4, 5)의 접촉 평면과 수직으로 또는 그를 가로질러 연장된 고정 수단에 의해 서로 조여지며, 서로 대향하는 면에 의해 형성된 고정 위치에 상대적인 축방향 위치를 고정하는 접촉면(4, 5)에 부가하여 접촉 러그(9)를 구비하며, 이는 접촉면(4, 5)의 접촉 평면 내에 또는 고정 수단에 경사지게 서로 연결된 부재(1, 3)의 변위를 방지하고 적어도 X 및 Y 방향으로 상기 접촉 평면과 경사지게 두 개의 부재(1, 3)를 정확하게 중심정렬시키는 공구 또는 공작물 고정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부재 상에 접촉 러그(9)가 접촉면 사이에 배열되며, 그에 부착되는 다른 부재는 상응하는 위치에 서로 고정 중 확실한 로킹 방식으로 정확히 결합되는 결합 리세스(10)를 가지며, 변형력에 대해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거나 또는 굽혀질 수 있고 접촉 러그(9)를 구성하는 부재의 영역(11)에 접촉 러그(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 리세스(10) 내에 접촉 러그(9)의 결합중 접촉면(4, 5)이 서로에 대해 소정 거리에 있으며, 상기 거리는 가요성 영역(11)의 변형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러그(9)는 단면이 웨지형 또는 원형이거나 또는 반원형 또는 사다리꼴 단면을 구비하며, 결합 리세스(10)는 경사지게 배열된 대향면(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임 방향으로 접촉 러그(9)에 인접하여 접촉면(5)에 평행하게 연장된 리세스(13a), 공동 및/또는 슬롯(13)이 구비되며, 이는 부재(3)의 가요성 영역(11)을 상기 부재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키며, 조임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공동, 리세스(13a) 또는 슬롯(13)의 크기는 조임 과정을 통해 탄성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세스(13a), 공동 또는 슬롯(13)이 조임 방향으로 상기 접촉 러그(9)의 뒤에 접촉 러그(9)를 구성하는 부재(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러그는 장방형 형태를 가지며 부재(3)의 엣지로부터 특히 부재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심 앞에서 종료되며, 결합 리세스(10)는 동일한 방식 및 방향으로 배향되며 엣지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러그(9)는 부재(3)의 외주에 대해 균일하게 분포된 프리즘형 중심정렬 스트립이며, 둥근 부재의 경우에는 방사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부재의 경우에는 측면(14)과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트립형 접촉 러그(9) 및 결합 리세스(10)는 직각으로 교차되는 라인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요성 영역(11)을 형성하는 리세스(13a) 또는 슬롯(13)을 구성하는 부재(3)는 중심에 배치된 공동(16)을 가지며, 상기 공동 내에 리세스(13a) 또는 슬롯(13)이 개방되어 종료되며, 슬롯(13) 또는 리세스(13a)는 측면(14)을 향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러그(9)는 외부(14)로부터 공동(16)으로 도달되는 슬롯 형성 영역의 전체 측면에 대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러그(9)를 가로지르는 슬롯(13) 또는 리세스(13a)의 길이(l)는 그 방향으로 접촉 러그(9)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슬롯(13) 또는 리세스(13a)와 접촉 러그(9) 사이에 위치된 가요성 영역(11)의 재질의 두께는 조임 방향으로의 변형이 접촉 러그(9) 당 적어도 약 200 N의 힘을 필요로 할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러그(9)의 길이를 가로지르는 슬롯(13) 또는 리세스(13a)의 길이(l)는 횡 방향으로 접촉 러그(9)의 저면(9a)에서 접촉 러그(9) 폭의 3배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세스(13a)는 접촉 러그(9)와 거꾸로 되어 상부면이 개방되며, 측방향 경계벽(13b)은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또는 측면(14, 15), 상부면(18) 또는 하부면(17)과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대향 측면(15)에서 종료되는 적어도 두개의 결합 리세스(10)는 서로 같은 높이이며 그리고/또는 서로 중심을 통과하는 공동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KR1019950024656A 1994-08-10 1995-08-10 공구또는공작물고정장치 KR100338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28310.5 1994-08-10
DE4428310A DE4428310A1 (de) 1994-08-10 1994-08-10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Werkzeug oder Werkstü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099A KR960007099A (ko) 1996-03-22
KR100338016B1 true KR100338016B1 (ko) 2002-10-31

Family

ID=5139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656A KR100338016B1 (ko) 1994-08-10 1995-08-10 공구또는공작물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38016B1 (ko)
TW (1) TW2798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795B1 (ko) * 2017-04-18 2018-09-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심정렬 및 진동방지 구조를 가진 양면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1353B (zh) * 2015-07-02 2017-02-21 嘉新精密有限公司 縱向夾持的彈性定位塊結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795B1 (ko) * 2017-04-18 2018-09-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심정렬 및 진동방지 구조를 가진 양면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099A (ko) 1996-03-22
TW279821B (ko) 199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4757A (en) Fastening device for a tool or workpiece
KR100503671B1 (ko) 그리드 커넥터
MXPA04010988A (es) Aparato de fijacion.
KR20020063823A (ko) 툴 홀더
US7475466B2 (en) Alignment of body and frame of vehicle
JP2000176774A (ja) 工作機械にワ―ク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装置
KR100338016B1 (ko) 공구또는공작물고정장치
JP2001515794A (ja) 切り屑を除去する機械加工用の工具
US4945621A (en) Device for assembling a connector to a tube
US7101083B2 (en) Device for holding linear guide rail
JP3823349B2 (ja) 埋込型機器の取付装置
US11571784B2 (en) Optical fiber ferrule polishing holder
JP4279076B2 (ja) 取付クリップ
JP2000074020A (ja) 部材の取付具
JP2004263793A (ja) リニアガイドレールの保持装置
JP3004874B2 (ja) ナットとナット保持部材
CN215659895U (zh) 加工定位工装
JPH07332322A (ja) 部品の取付構造
SK287051B6 (sk) Upínacie zariadenie obrobku
KR20020063822A (ko) 툴 홀더
KR100422312B1 (ko) 체외고정장치의 로드 커넥터
KR200148029Y1 (ko) 자동차의 패널고정용 스프링너트
CZ298248B6 (cs) Upínací zarízení obrobku
JPH0567687U (ja) グレーチングの連結具
JPH01359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