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161B1 -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약물 전달용 필름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약물 전달용 필름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161B1
KR100337161B1 KR1020000018566A KR20000018566A KR100337161B1 KR 100337161 B1 KR100337161 B1 KR 100337161B1 KR 1020000018566 A KR1020000018566 A KR 1020000018566A KR 20000018566 A KR20000018566 A KR 20000018566A KR 100337161 B1 KR100337161 B1 KR 100337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ilm
polyether
skin
polyethylene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284A (ko
Inventor
김영소
최양규
김정주
배유한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김효근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김효근,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2000001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161B1/ko
Publication of KR2001010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161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끈적이지 않으며 뛰어난 피부 부착력 및 탄성을 지니는 필름을 형성시키는 약물 전달용 필름 형성제 및 이 필름 형성제와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약물 전달용 필름 형성제는 폴리에칠렌글리콜과 폴리에칠렌글리콜보다 소수성이 강한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폴리디올 및 양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를 가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물로부터 얻어진 폴리우레탄과 폴리에칠렌글리콜과 폴리에칠렌글리콜보다 소수성이 강한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폴리디올 및 양 말단에 에폭사이드기를 가지는 알리파틱 디글리시딜 에테르의 반응물로부터 얻어진 폴리에테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약물 전달용 필름 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 {Film-forming composition for transdermal delivery of active ingredients and percutaneous administration formulation containing the same}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하는 약물 전달용 필름 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과 폴리에테르를 필수적으로 함유하며, 뛰어난 부착력 및 탄성을 갖는 필름을 형성시키는 필름 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를 통하여 활성물질을 전달 시키는 경피 투여형 제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및 그의 문제점>
최근에 피부를 통한 약물의 흡수 시스템인 경피 흡수 제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경피 흡수 제형은 피부를 통하여 국소 부위 혹은 전신으로 활성 물질을 전달하는 제제로서, 그 특징으로는 국소 작용이 가능한 것과 유효 혈중 농도를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점, 경구 투여 시 우려될 수 있는 간에서의 초회 통과 영향을 피할 수 있는 점 및 주사 투여시의 불편함과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점 등이 있다. 특히,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및 항생제와 같은 소화관계에 부적절한 부작용을 유발하는 약물의 경우 이러한 부작용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제형으로서는 플라스타, 카타프라스마 등의 첩부제와 연고, 겔 등의 반고형제가 있다.
이 중 첩부제는 정확한 투여량의 활성 성분을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 노출 부위에 부착 시 외관상 수려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인체의 굴곡 부위에 부착 되었을 경우 쉽게 탈착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별도의 지지체 (면, 필름, 박리지 등)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원가 부담의 가중을 야기한다.
다른 경피 흡수 제형으로는 연고 혹은 겔 등의 도포형 반고형제가 있다. 이와 같은 도포형 제형은 적용 부위의 형태와 면적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노출 부위에도 자유로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빈번하게 사용하였을 경우 반복되는 부착과 탈착으로 자극을 유발하는 첩부제에 비하여 피부에 대한 자극 정도가 낮다. 이러한 도포용 약물 전달체의 예로, 미국 특허 제 4393076 호에는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 고분자를 피막 형성제로 하는 소염 진통용 겔 제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특허공고 제 96-8225 호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펙틴 등을 이용한 속건성(速乾性) 피막 제조제를 이용한 소염 진통제, 니코틴 등의 경피 투여 조성물이 보고되어 있으며, 대한민국특허공고 제 97-5282 호에서는 피로피온산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 약물을 함유하는 폴록사머를 이용한 겔 제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바르는 제형의 경우, 연고나 크림 등의 제형은 끈적이며 잘 묻어나 옷이나 양말을 더럽히는 단점을 지니며, 끈적이지 않는 피막을 형성하는 제형의 경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젤라틴 또는 펙틴과 같은 고분자로 조제되었으나, 이들 고분자들은 신장력이 떨어져 신체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짐으로 인하여 건조 후 생성된 피막이 딱딱해져서 쉽게 부스러지며 피부로부터 쉽게 박리 되는 등의 단점을 지닌다.
한편, 폴리우레탄은 생체적합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신장력과 강도를 가지는 고분자로, 카테타, 심장 밸브 등의 생체 이식용 기제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미국특허 제 5041100 호에서는 폴리우레탄으로 카테타의 표면을 개질하여 카테타 삽입 시 발생하는 마찰 현상을 줄이고자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미국특허 제 5017664 호에서는 생체적합성 폴리우레탄을 개발하여 의료 기구의 혈액 적합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폴리우레탄을 외용제의 기제로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도 진행되어, 미국특허 제 4542012 호에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기제를 개발, 요오드를 전달하는 외용 항균제를 연구하였고, 미국특허 제 4560555 호에서는 손상된 피부와 직접 반응하는 폴리우레탄 필름기제를 약물 전달용 외용 보호제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WO 9914283 호에서는 폴리우레탄,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비닐 아세테이트 타입의 고분자, 지방산 혹은 폴리올을 함유하는 유효 성분을 전달하는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우레탄만을 필름 형성 기제로 사용할 경우 기제의 부착력이 부족해 반복되는 신체 움직임에 의하여 쉽게 탈착 될 수 있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연고나 겔 제제의 단점을 갖지 않으면서 종래의 필름 형성 경피 투여형 제제가 가졌던 문제점, 즉 신체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건조후에 부스러지거나 피부로부터 박리되거나, 혹은 부착력이 약해 쉽게 피부로부터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지 않는 새로운 조성의 약물 전달용 필름 형성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위와 같은 필름 형성제 및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새로운 타입의 경피 투여형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는 기존의 외용제와 차별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는 용매에 용해된 상태로 피부에 쉽게 도포 되며, 도포 후 수 분 이내에 피막을 형성하며, 이 피막은 얇고 투명하여 외관상 식별이 잘 되지않아 노출부위에도 지속적인 도포가 가능하다. 그리고, 빠르게 형성된 피막은 옷이나 양말 등을 더럽히지 않으며, 다른 신체 부위로 묻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이 필름 형성제를 함유하여 된 경피 투여형 제제를 피부에 도포한 경우, 형성된 피막이 부착성이 뛰어나 적용 부위에서 장시간 지속되며 유효 성분을 방출하기 때문에, 적은 적용 횟수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는 탄성이 뛰어난 폴리우레탄 및 점착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피부 굴곡 부위에 형성되어도 신체의 움직임에 잘 부합하여 움직임에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또 지속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온 이하의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기 때문에 상온에서 신체의 움직임에 부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지닌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를 이루는 폴리우레탄과 폴리에테르는 동일한 주쇄를 갖기 때문에 상분리 없이 섞일 수 있어서 우수한 상용성 및 안정성을 지니고, 또한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을 모두 가지고 있는 다중 블록 공중합체이기 때문에 친수성 및 소수성 약물과의 배합성이 뛰어나며, 여러 종류의 피부 흡수 증진제와도 무리 없이 섞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는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수팽윤체(하이드로젤)로서 그 자체가 수분을 함유하여 유연성을 유지하며, 피부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피 흡수제로 형성된 피막은 약물 전달이 끝난 이후 손으로 박리하거나 혹은 물에 팽윤시켜 쉽게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다음의 의미를 갖는다:
필름 형성제는 피부에 끈적이지 않으며 뛰어난 피부 부착력 및 탄성을 지니는 필름을 형성하는 고분자 자체, 즉 폴리우레탄(A) 및 폴리에테르(B)로 이루어진 피부에 필름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필름 형성제 조성물은 상기의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피부에 바르도록 준비된 조성물로서, 필름 형성제를 용해한 액제 및 기타 첨가제도 포함한다.
경피 투여형 제제 혹은 제제는 상기의 필름 형성제, 이를 녹일 수 있는 용매, 유효 성분 및 기타 첨가제를 함유하는 제제를 의미한다.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필름은 상기 필름 형성제를 피부 등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시킨 필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및 이와 동일한 성분의 주쇄를 구성하는 부착력이 우수한 폴리에테르를 블렌딩함으로써 피부 도포 시 형성되는 필름제에 신장력 및 부착력을 동시에 부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와 폴리우레탄은 동일한 주쇄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상분리 없이 충분히 섞여 기제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동시에 각 고분자 성분의 충분한 팽윤으로 유효 성분의 방출 또한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폴리우레탄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생기는 부착성 불량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기존에 필름 형성제에 사용되었던 폴리아크릴레이트나 폴리비닐비롤리돈 등을 사용할 수 있겠지만, 이 경우에는 이들 고분자들의 주쇄가 폴리우레탄과 상이하기 때문에 상용성에 문제가 있다. 외관상으로 균일상을 이룬다고 하더라도 상이한 물리화학적 성질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및 첨가한 제3의 고분자의 주쇄가 충분히 팽윤 되지 못하여 유효 성분의 기제를 통한 방출이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일반식(B)을 갖는 폴리에테르를 폴리우레탄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이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부착성을 갖는 필름 형성제는 다음의 (A) 폴리우레탄10-90 중량% 및 (B) 폴리에테르 10-90 중량%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A) 다음 성분 (a-1), (a-2) 및 (a-3)의 중합반응에 의해 만들어지고 아래의 일반식으로 나타내지는 무게 평균분자량이 10,000-500,000인 폴리우레탄 :
(a-1) 폴리에칠렌글리콜;
(a-2) 상기 (a-1)폴리에칠렌글리콜보다 소수성이 강한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디올;
(a-3) 양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디이소시아네이트
(A)
상기 식중,
m은 -(OCH2CH2)m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200 ~ 50,000이 되도록 하는 정수;
p 및 p'는 폴리우레탄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10,000 ~ 500,000 이 되도록 하는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q, q'및 q''는 (R)q, (R)q'및 (R)q''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200 ~ 50,000이 되도록 하는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R은 다음 중 선택된 한 가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다음 중 선택된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O(CH2)n; OCO(CH2)n; O-CO-(CH2)n-CO-O-(CH2)n'; O(CH(CH3)(CH2)n)n'; O(C(CH3)2(CH2)n)n' (여기에서 n 및 n'는 1 이상 10 이하의 같거나 혹은 다른정수); OCOCH(CH3)CH2; OSi(CH3)2; (OCH2CH2)x-(OCH(CH3)CH2)y-(OCH2CH2)x' (여기에서, x, x' 및 y는 1 이상 100 이하의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R'는 다음 중 선택된 한 가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다음 중 선택된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CH2) l (여기에서l은 1 이상 10 이하의 정수);
(B) 다음 성분 (b-1), (b-2) 및 (b-3)의 중합반응에 의해 만들어지고 아래의 일반식으로 나타내지는 무게 평균분자량이 6,000-500,000인 폴리에테르 :
(b-1) 폴리에칠렌글리콜;
(b-2) 상기 (b-1)폴리에칠렌글리콜보다 소수성이 강한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디올;
(b-3) 양말단에 에폭사이드기를 갖는 알리파틱 디글리시딜 에테르
(B)
상기 식중,
m은 -(OCH2CH2)m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200 ~ 50,000이 되도록 하는 정수;
p 및 p'는 폴리에테르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6,000 ~ 500,000이 되도록 하는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q, q'및 q''는 (R)q, (R)q'및 (R)q''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200 ~ 50,000이되도록 하는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R는 다음 중 선택된 한 가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다음 중 선택된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O(CH2)n; OCO(CH2)n; O-CO-(CH2)n-CO-O-(CH2)n'; O(CH(CH3)(CH2)n)n'; O(C(CH3)2(CH2)n)n' (여기에서 n 및 n'는 1 이상 10 이하의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OCOCH(CH3)CH2; OSi(CH3)2; (OCH2CH2)x-(OCH(CH3)CH2)y-(OCH2CH2)x' (여기에서, x, x' 및 y는 1 이상 100 이하의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R'는 다음 중 선택된 한 가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다음 중 선택된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CH2-O-(CH2) l -O-CH2; CH2-O-CH2CH(CH3)-O-CH2; CH2O-(CH2CH2O) l -CH2; CH2O-(CH2CH(CH3)O) l -CH2; (CH2) l (식중,l은 1 이상 10 이하의 정수).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혹은 폴리에테르는 하나의 분자내에 서로 다른 R 또는 R'이 들어가도록 하여 합성한 여러 종류의 폴리우레탄 혹은 폴리에테르, 즉 상기 식중 R과 R'은 각각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는 두 가지의 상이한 친수성의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고분자(폴리올)를 사용하여 합성한다. 즉 폴리우레탄(A)의 경우에는 (a-1)과 (a-2)를, 그리고 폴리에테르(B)의 경우에는 (b-1)과 (b-2)를 사용한다. 첫번째 폴리올(a-1)(b-1)은 폴리에칠렌글리콜로서 필름 형성제에 친수성을 부여하여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필름 형성제의 함수능을 결정한다. 폴리에칠렌글리콜(a-1)(b-1)은 (a-1)+(a-2)+(a-3) 또는 (b-1)+(b-2)+(b-3)의 총중량에 대하여 10 ~ 9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은 200 ~ 50000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1000 ~ 5000인 것이 좋다.
두 번째 폴리올(a-2)(b-2)은 폴리에칠렌글리콜보다 소수성이 강한 고분자로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칠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 폴리헥사메칠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칠렌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삼중블록공중합체 (상품명 Pluronic)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류; 및 개환 중합으로 얻은 폴리에스테르의 디올 즉, 폴리카프로락톤 디올, 폴리락톤 디올, 폴리글리콜산 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 폴리올(a-2)(b-2)은 (a-1)+(a-2)+(a-3) 또는 (b-1)+(b-2)+(b-3)의 총중량에 대하여 10 ~ 9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은 200 ~ 50000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1000 ~ 5000인 것이 좋다.
폴리우레탄(A)의 합성에 이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분자(a-3)로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4-클로로-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페녹시-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메톡시-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부칠-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m-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큐멘디이소시아네이트, 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나프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 1,8-나프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나프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테트라히드로나프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 p,p'-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헥산-1,6-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바이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아로마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메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 에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칠렌-Ω,Ω'-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칠렌-Ω,Ω'-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칠렌-Ω,Ω'-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칠렌-Ω,Ω'-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칠렌-Ω,Ω'-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나메칠렌-Ω,Ω'-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칠렌-Ω,Ω'-디이소시아네이트, 2-클로로-트리메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 2,3-디메칠테트라메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칠렌비스(p-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알리파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a-3)의 사용 몰수는 폴리우레탄 합성에 사용된 폴리에칠렌글리콜(a-1)의 몰수와 폴리에칠렌글리콜보다 소수성이 강한 폴리디올 (a-2)의 몰수를 합한 것과 동일한 몰수가 사용된다. 상기 열거한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바람직하게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칠렌-Ω,Ω'-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칠렌-Ω,Ω'-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칠렌-Ω,Ω'-디이소시아네이트, 메칠렌비스(p-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B)의 합성에 사용되는 디에폭시기를 가지는 분자(b-3)로는 에칠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디글리시딜에테르,폴리에칠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알킬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혹은 1,2,3,4-디에폭시부탄, 1,2,7,8-디에폭시옥탄, 1,2,9,10-디에폭시데칸 등의 디에폭시알칸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디에폭시기를 가지는 분자(b-3)의 사용 몰수는 폴리에테르 합성에 사용된 폴리에칠렌글리콜(b-1)의 몰수와 폴리에칠렌글리콜보다 소수성이 강한 폴리디올 (b-2)의 몰수를 합한 것과 동일한 몰수가 사용된다. 상기 열거한 디에폭시기를 가지는 분자 중 바람직하게는 에칠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칠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폴리우레탄(A)의 무게 평균 분자량은 10,000 ~ 500,000이고, 바람직한 신장력, 유연성 및 강도를 지니기 위해서는 30,000 ~ 300,000이 좋으며, 폴리에테르(B)는 무게평균분자량이 6,000 ~ 500,000인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10,000 ~ 300,000이다.
상술한 각각의 모노머들로부터 원하는 물성을 갖는 폴리우레탄(A) 혹은 폴리에테르(B)를 얻는 것은 당업자들에게 주지된 중합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A)은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주지의 합성법을 통하여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amba등이 저술한 Polyurethanes in biomedical applications (New York, CRC Press, 1998)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A)을 합성하기 위하여 폴리에칠렌글리콜(a-1)과 폴리에칠렌글리콜보다 소수성이 강한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디올(a-2)을 목적하는 비율로 준비하고, 두 가지 폴리디올을 합한 것과 동일한 몰수((a-1) + (a-2))의 디이소시아네이트(a-3)를 준비하여 축합 중합 반응(condensation polymerization)을 실시한다. 반응은 최소 상온 이상의 가온 조건에서 행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온 ~ 80℃의 온도에서 실시되며, 적절한 반응 온도는 반응물과 촉매의 종류와 양에 따라 결정된다. 반응의 활성화를 위하여 촉매, 예를 들어, 디부칠틴디라우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용매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B)는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주지의 합성법을 통하여 합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Aivery등이 저술한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3, 1473(1969)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테르(B)를 합성하기 위하여 폴리에칠렌글리콜(b-1)과 폴리에칠렌글리콜보다 소수성이 강한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디올(b-2)을 목적하는 비율로 준비하고, 두 가지 폴리디올을 합한 것과 동일한 몰수((b-1) + (b-2))의 디에폭사이드(b-3)를 준비하여 축합 중합 반응(condensation polymerization)을 실시한다. 반응은 최소 상온 이상의 가온 조건에서 행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온 ~ 100℃의 온도에서 실시되며, 적절한 반응 온도는 반응물과 촉매의 종류와 양에 따라 결정된다. 반응의 활성화를 위하여 촉매, 예를 들어,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디에칠에테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용매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형성제는 폴리우레탄(A) 10-90 중량% 및 폴리에테르(B) 10-90 중량%를 필수적으로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A) 50 ~ 90 중량% 및 폴리에테르 10 ~ 50 중량%를 필수적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는 인체에 적용 가능한 용매, 예를 들면,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액 등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액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에탄올은 1 ~ 90%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10 ~ 70%가 좋다. 용매내의 필름 형성제(A+B)의 함량은 0.1 ~ 50%인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1 ~ 30%인 것이 좋다. 함량이 0.1% 이하인 경우 적정한 두께의 피막 형성이 어려우며, 50% 이상의 필름 형성제를 포함할 경우 점도가 높아 펴 바르기가 힘들어진다.
폴리우레탄(A)과 폴리에테르(B)의 블랜딩을 통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로부터 형성되는 필름의 인장 강도, 영스 모둘러스 (Young's modulus)와 신장 (elongation)은 ASTM 시험 법 중 '플라스틱 물질의 인장력을 측정하는 표준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부착력은 PSTC 시험 법 중 부착력 (peel adhesion) 시험 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필름의 물성은 -20℃이상의 온도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인장 강도는 0.5 ~ 100 ㎫인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1 ~ 50 ㎫인 것이 좋다. 인장 강도가 0.5 ㎫ 이하 인 경우 강도가 부족하여 피막 제거 시 중도에서 필름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용이하고도 깔끔한 피막의 제거를 어렵게 한다. 또한 100 ㎫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경우 피막이 형성된 부위의 움직임을 방해하여 불편함 및 거부감을 주게 된다. 영스 모둘러스는 0.1 ~ 80 ㎫인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1 ~ 50 ㎫인 것이 좋다.
한편, 다음 식:
{(끊김 시점 (break point)에서의 시편의 길이 - 최초 시편의 길이)/
최초 시편의 길이} X 100)
으로 표시 되는 신장률(elongation %)은 최소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5000%는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부착력은 스테인리스 스틸에 대하여 20 ~ 3000 g/in.인 것이 피부에 적절한 부착력을 부여하나 끈적임을 주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경피 투여형 제제는 상기 폴리우레탄(A) 및 폴리에테르(B); 상기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용해시킬 수 있으면서 피부에 적용 가능한 용매; 및 유효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피 투여형 제제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은 특별히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약물 또는 피부학적으로 생리학적 활성을 갖는 물질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해열, 진통, 소염작용을 나타내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인 케토프로펜, 인도메타신, 이부프로펜, 디클로페낙, 플루비프로펜, 케토롤락, 피록시캄, 메페나믹산, 살리실산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스테로이드인 덱사메타손, 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베타메타손,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플르오시놀론 아세토니드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베타 차단제인 프로프라놀롤, 아테놀롤, 핀돌롤, 티모롤, 부프라놀롤, 메토프로롤, 알프레놀롤, 옥스프레놀롤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항콜린제인 아트로핀, 옥시부티닌, 클리디니움, 스코폴라민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칼슘 차단제의 니페디핀, 베라파밀, 딜티아젬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기타 심혈관계 약물인 클로니딘, 프라조신, 니트로글리세린, 이질산이소소르비드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 에치닐에스트라디올, 프로제스테론 등 및 이들의 약화학적 허용 유도체; 남성 호르몬의 테스토스테론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국소 마취제인 염산 리도카인, 프로카인, 테트라카인, 프릴로카인, 부피바카인, 디부카인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항히스타민제인 디펜히드라민, 말레인산 디펜히드라민, 클로르페니라민, 케토티펜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합성 마약인 부프레노핀, 펜타닐, 수펜타닐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기관지 확장제인 살부타몰이나 터부말린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항생제인 겐타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네오마이신, 후시딕산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항진균제인 에코나졸, 이트라코나졸, 케토코나졸, 터비나핀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항 바이러스제인 아시클로버, 리바비린, 알파 인터페론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골격근 이완제인 염산 에페리손, 염산 톨페리손, 바클로펜, 염산 비페리덴, 염산 티자니딘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각질 제거제인 살리실산, 젖산, 글리콜산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여드름 치료제로 이용되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등; 피부 보호제인 알라토닌, 디멘치콘, 페트롤라툼, 덱스판테놀, 산화 아연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트레티노인, 이소트레티노인, 레티놀, 레티노익산,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A, B, C, D, E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금연 보조제로 이용되는 니코틴 및 이의 약학적 혀용 유도체; 피부 미백제로 쓰이는 알부친, 코직산, 히드로퀴논, 옥시벤존 등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생약 추출물인 센텔라 아시아티카; 탈모증에 사용되는 미녹시딜; 그 밖의 헤파린 나트륨, 캡사이신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유효 성분이란 상기에서 나열한 약물들로만 한정되지 않고, 기타의 약물들이나 피부에 공급하여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피 투여형 제제에 함유되는 이들 약물의 양은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에 충분한 양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양은 투여 대상의 상태, 체중, 투여 횟수, 약물의 종류 등을 참작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제제 총중량의 0.01 ~ 50%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경피 투여형 제제는 상술한 유효성분의 피부 투과를 증진시키는 피부흡수 증진제로, 올레익산 등의 고급 지방산; 라우릴 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폴리에칠렌글리콜 등의 폴리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등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모노라우레이트 등의 글리세린의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칠렌글리콜 라우릴 에테르 등의 폴리에칠렌글리콜의 지방산 에테르; 폴리에칠렌글리콜 라우레이트 등의 폴리에칠렌글리콜의 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라우릴 에테르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의 지방산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라우레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스판20)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칠렌글리콜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트윈60) 등의 폴리에칠렌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멘톨, 멘톨 유도체 및 리모넨 등의 테르펜류; 디메칠설폭사이드, 도데실설폭사이드 등의 설폭사이드류; N-메칠-2-피롤리돈 등의 피롤리돈류; 라우릴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에톡시디글리콜, N-히드록시 메칠락타이드, 소르비톨, 요소, 스쿠알렌, 스쿠알란, 올리브유, 파자마유 및 그 유도체 등을 제제 총중량의 0.5 ~ 30%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또한 보습제 혹은 유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습제 혹은 유연제로는 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젖산, 광유, 라놀린, 왁스류, 글루코스 유도체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제제 총중량에 대해 0.1 ~ 50%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1 ~ 30%인 것이 좋다. 0.1%이하에서는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며, 50% 이상을 함유할 경우 제제에 과도한 끈적임 혹은 미끈거림을 유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제는, 피부에 대한 부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카르복시산, 셀룰로오스, 알긴산, 펙틴, 히알루론산 및 그의 유도체를 필요에 따라 함유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그 함유량은 제제 총중량에 대해 0.1 ~ 10%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우레탄(A)의 합성
양 말단기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분자량 1000의 폴리에칠렌글리콜 10 g과 분자량 2000을 가지는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 20 g을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Na하에서 정제한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500 ㎖에 첨가하여 용해 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헥사메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3.3 ㎖와 디부칠틴디라우레이트 0.1 ㎖의 혼합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면서 60 ~ 70℃에서 테프론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합성물은 과량의 증류수에 침전 시킨 후 50℃ 진공 오븐에서 2일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2 ~ 7 ] 폴리우레탄(A)의 합성
일련의 폴리우레탄 시리즈를 실시예 1과 같은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사용된 폴리에칠렌글리콜과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 각각의 분자량들이 표1에 표시되어 있다.
폴리우레탄(A)의 조성
실시예 폴리에칠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 사용 몰 비
1 1000 2000 1:1
2 1000 1000 1:1
3 1500 1000 1:1
4 1500 2000 1:0.5
5 2000 2000 1:1
6 3400 2000 1:1
7 4600 2000 1:1
[실시예 8] 폴리우레탄(A)의 합성
양 말단기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분자량 1500의 폴리에칠렌글리콜 35 g과 분자량 1100을 가지는 폴리에칠렌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삼중블록공중합체 (상품명 Pluronic, BASF) 10 g을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Na과 같이 정제한 테트라히드로푸란 500 ㎖에 첨가하여 용해 시켰다. 본 용액을 HDI 5.2 ㎖와 디부칠틴디라우레이트 0.1 ㎖의 혼합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면서 60 ~ 70℃에서 테프론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합성물은 과량의 증류수에 침전 시킨 후 50℃ 진공 오븐에서 2일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9] 폴리우레탄(A)의 합성
양 말단기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분자량 2000의 폴리에칠렌글리콜 40 g과 분자량 1000을 가지는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 10 g을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Na하에서 정제한 테트라히드로푸란 500 ㎖에 첨가하여 용해 시켰다. 본 용액을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MDI) 7.6 g와 디부칠틴 디라우레이트 0.1 ㎖의 혼합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면서 60 ~ 70℃에서 테프론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합성물은 과량의 증류수에 침전 시킨 후 50℃ 진공 오븐에서 2일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10] 폴리우레탄(A)의 합성
양 말단기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분자량 2000의 폴리에칠렌글리콜 20 g과 분자량 2000을 가지는 폴리-ε-카프로락톤디올 20 g을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Na과 같이 정제한 THF 500 ㎖에 첨가하여 용해 시켰다. 본 용액을 메칠렌비스(p-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5.3 ㎖와 디부칠틴디라우레이트 0.1 ㎖의 혼합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면서 60 ~ 70℃에서 테프론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며 24시간 반응시켰다. 합성물은 과량의 증류수에 침전 시킨 후 50℃ 진공 오븐에서 2일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11] 폴리에테르(B)의 합성
양 말단기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분자량 2000의 폴리에칠렌글리콜 50 g과 분자량 2000을 가지는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 50 g을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Na하에서 정제한 THF 1 L에 첨가하여 용해 시켰다. 본 용액에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디에칠에테르레이트 0.15 g과 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0.66 ㎖을 첨가하고 45℃에서 테프론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며 72시간 반응시켰다. 합성물은 헥산에 침전 시켰다. 침전된 합성물을 헥산과 증류수로 수 회 씻어낸 후 진공 오븐에서2일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12 ~ 13 ] 폴리에테르(B)의 합성
또 다른 폴리에테르를 실시예 11과 같은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사용된 폴리에칠렌글리콜과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의 분자량이 표2에 표시되어 있다.
폴리에테르(B)의 조성
실시예 폴리에칠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 사용 몰 비
11 2000 2000 1:1
12 1000 1000 1:1
13 3400 2000 1:1
[실시예 14] 폴리에테르(B)의 합성
양 말단기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분자량 2000의 폴리에칠렌글리콜 50 g과 분자량 2000을 가지는 폴리헥사메칠렌글리콜 50 g을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Na하에서 정제한 THF 1 L에 첨가하여 용해 시켰다. 본 용액에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디에칠에테르레이트 0.15 g과 1,2,3,4-디에폭시부탄 4.4 g을 첨가하고 45℃에서 테프론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며 72시간 반응시켰다. 합성물은 헥산에 침전 시켰다. 침전된 합성물을 헥산과 증류수로 수회 씻어낸 후 진공 오븐에서 2일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15] 폴리에테르(B)의 합성
양 말단기에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분자량 2000의 폴리에칠렌글리콜 50 g과 분자량 2000을 가지는 폴리락톤디올 50 g을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Na과같이 정제한 THF 1 L에 첨가하여 용해 시켰다. 본 용액에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디에칠에테르레이트 0.2 g과 폴리에칠렌글리콜(200)디글리시딜에테르 12 g을 첨가하고 45℃에서 테프론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며 72시간 반응시켰다. 합성물은 헥산에 침전 시켰다. 침전된 합성물을 헥산과 증류수로 수회 씻어낸 후 진공 오븐에서 2일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16]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1의 폴리에테르(B)케토프로펜에톡시디글리콜멘톨글리세린폴리에칠렌글리콜 40050% 에탄올 수용액 9131223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케토프로펜, 에톡시디글리콜, 멘톨, 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17]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 필름 형성제실시예 11의 폴리에테르 필름 형성제디클로페낙 디에칠암모늄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트윈 80)디메칠설폭사이드글리세린폴리에칠렌글리콜 40040% 에탄올 수용액 8313525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디클로페낙 디에칠암모늄, 트윈 80, 디메칠설폭사이드, 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리콜 400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18]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2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1의 폴리에테르(B)피록시캄폴리에틸렌글리콜(2)라우릴에테르디메칠설폭사이드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칠렌글리콜 40090% 에탄올 수용액 730.525235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피록시캄, 폴리에칠렌글리콜(2)라우릴에테르, 디메칠설폭사이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칠렌글리콜 400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19]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2의 폴리에테르(B)플루비프로펜캡사이신메칠라우레이트d,I-캄파글리세린d,I-메톨폴리에칠렌글리콜 40080% 에탄올 수용액 5540.02525235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플루비프로펜, 캡사이신, 메칠라우레이트, d,l-캄파, 글리세린, d.l-멘톨, 폴리에칠렌글리콜 400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20]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2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1의 폴리에테르(B)케토롤락 트로메타민글리세롤모노라우레이트세라필-31글리세린d, I-멘톨폴리에칠렌글리콜 40050% 에탄올 수용액 85525235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케토롤락 트로메타민, 글리세롤모노라우레이트, 세라필-31, 글리세린, d,l-멘톨, 폴리에칠렌글리콜 400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21]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2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3의 폴리에테르(B)후시딕산 나트륨폴리에칠렌글리콜 라우레이트올리브유글리세린폴리에칠렌글리콜 40030% 에탄올 수용액 8221123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후시딕산 나트륨, 폴리에칠렌글리콜 라우레이트, 올리브유, 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22]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3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1의 폴리에테르(B)디프로피온산베타메타손클로트리마졸황산겐타마이신N-메칠-2-피롤리돈글리세린폴리에칠렌글리콜 40050% 에탄올 수용액 640.06410.1123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디프로피온산베타메타손, 클로트리마졸, 황산겐타마이신, N-메칠-2-피롤리돈, 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23]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3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2의 폴리에테르(B)프레드니솔론염산디펜히드라민황산네오마이신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글리세린폴리에칠렌글리콜 40060% 에탄올 수용액 850.50.10.5233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프레드니솔론, 염산디펜히드라민, 황산네오마이신,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24]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4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1의 폴리에테르(B)헤파린 나트륨덱스판테놀디메칠설폭사이드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40% 에탄올 수용액 1030.42.51532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헤파린 나트륨, 덱스판테놀, 디메칠설폭사이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25]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4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2의 폴리에테르(B)케토코나졸소르비톨모노라우레이트 (스판 20)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40% 에탄올 수용액 652132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케토코나졸, 소르비톨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 한다.
[실시예 26]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5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1의 폴리에테르(B)아시클로버폴리에칠렌글리콜 600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40% 에탄올 수용액 555532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아시클로버, 폴리에칠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27]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5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2의 폴리에테르(b)트레티노인글리세롤모노올레이트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70% 에탄올 수용액 20100.025132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트레티노인, 글리세롤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28]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제 조성물을 하기의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6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1의 폴리에테르(B)벤조일퍼옥사이드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스판 80)소르비톨멘톨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40% 에탄올 수용액 751012132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한다.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벤조일퍼옥사이드,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소르비톨, 멘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29]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6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4의 폴리에테르(B)코직산에톡시디글리콜소르비톨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30% 에탄올 수용액 10513232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한다.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코직산, 에톡시디글리콜, 소르비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30]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8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5의 폴리에테르(B)염산 에페리손라우릴디에탄올아미드리모넨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50% 에탄올 수용액 255101332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염산 에페리손, 라우릴디에탄올아미드, 리모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 한다.
[실시예 31]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7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5의 폴리에테르(B)염산 리도카인글리세린30% 에탄올 수용액 3123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염산 리도카인,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32]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10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5의 폴리에테르(B)살리실산젖산요소비타민 E글리세린1,3-부탄디올폴리에칠렌글리콜 40040% 에탄올 수용액 8616.716.732225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살리실산, 젖산, 요소, 비타민 E, 글리세린, 1,3 - 부탄디올, 폴리에칠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33]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4의 폴리에테르(B)미녹시딜덱스판테놀폴리에칠렌글리콜(10)모노라우레이트글리세린폴리에칠렌글리콜 40040% 에탄올 수용액 10631.5358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미녹시딜, 덱스판테놀, 폴리에칠렌글리콜(10)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34]
다음의 성분과 배합량으로 구성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형 제제를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성 분 %(W/W)
실시예 9의 폴리우레탄(A)실시예 11의 폴리에테르(B)알라토닌디메치콘캄파글리세린폴리에칠렌글리콜 40040% 에탄올 수용액 155120.558100%가 되기 위한 적량
에탄올 수용액 40부에 폴리우레탄(A)와 폴리에테르(B)를 첨가하여 교반하며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 수용액을 얻는다. 한편, 에탄올 수용액 20부에 알라토닌, 디메치콘, 캄파, 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리콜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다. 이 액을 필름 형성제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교반하며 천천히 첨가한다. 잔량의 에탄올 수용액을 이 액에 첨가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시험예 1] 필름 형성제의 구조 확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과 폴리에테르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NMR 스펙트럼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300 ㎒Varian Gemini 2000 FT-NMR로 측정한 1H-NMR 스펙트럼, 그리고 용매는 CDCl3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대표적인 예인, (a-2)로서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과 (a-3)로서 헥사메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a-1)폴리에칠렌글리콜을 중합시켜 얻은 폴리우레탄의 경우, 폴리에칠렌글리콜의 -OCH 2 CH 2 -가 3.6 ppm (멀티플렛), 우레탄기와 연결된 종말부분의 -OCH2CH 2 O-CONH-가 4.2 ppm (트리플렛),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의 -OCH 2 (CH2)2CH 2 -가 3.4 ppm (멀티플렛), 우레탄기와 연결된 종말부분의 -OCH2CH2CH2CH 2 O-CONH-가 4.1 ppm (트리플렛), 헥사메칠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OCNH-CH 2 (CH2)4CH 2 -NHCO-가 3.1 ppm (멀티플렛), -OCNH-CH2(CH 2 )4CH2-NHCO- 와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의 -OCH2(CH 2 )2CH2-의 피크가 1.3 ~ 1.7 ppm (멀티플렛)에 걸쳐서 측정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폴리에테르인, (b-2)로서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과 (b-1)폴리에칠렌글리콜을 중합시켜 얻은 폴리에테르의 경우, 폴리에칠렌글리콜의 -OCH 2 CH 2 -가 3.6 ppm (멀티플렛),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의 -OCH 2 (CH2)2CH 2 -가 3.4 ppm (멀티플렛), -OCH2(CH 2 )2CH2-의 피크가 1.3 ~ 1.7 ppm (멀티플렛)에 걸쳐서 측정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합성된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의 분자량 혹은 폴리에칠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의 분자량과 무관하다.
[시험예 2]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의 분자량 확인
상기 실시예 1-15에서 합성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테르의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필름 형성제를 THF에 0.05%의 농도로 용해시킨 후 겔 투과 액체 크로마토그라피 (GPC)를 이용하여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3에 나타내었다.
겔 투과 액체 크로마토그라피 (GPC) 분석 조건
칼럼 : UltrastyragelTMHR1, HR2, HR4의 연속된 3개의 컬럼
이동상 : THF
유속 : 1㎖/min
검출기 : 굴절률 측정기 (Waters 사의 Differential Refractometer 410 )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의 분자량
실시예 분자량 분자량 분포(polydispersity)
1 200,000 2.9
2 108,000 2.2
3 150,000 2.8
4 120,000 2.4
5 220,000 2.3
6 115,000 2.6
7 98,000 2.3
8 70,000 1.5
9 110,000 2.4
10 131,000 1.5
11 29,000 1.2
12 31,000 2.1
13 25,000 1.9
14 41,000 2.4
15 33,000 2.1
[시험예 3] 인장 강도 (tensile strength), 신장률 (elongation %) 및 영스 모둘러스 (Young's modulus)의 측정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의 블랜딩을 통하여 형성한 약물 전달용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필름의 물리적 성질 (인장강도, 신장률, 영스 모둘러스)를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폴리우레탄 단독으로부터 형성된 필름, 폴리에테르 단독으로 형성된 필름 및 폴리비닐알코올 (PVA) 필름의 물리적 성질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ASTM기준 시험 방법 중 ASTM-D-638M 규정에 의거하여 만능시험기인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 HOUNSFIELD H25K-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편을 제작하기 위하여 실시예1의 폴리우레탄과 실시예11의 폴리에테르를 다양한 배합비로 아세톤에 7wt%의 농도로 첨가하여 용해 시킨 후 박리지 위에 캐스팅하여 건조 후 두께가 100 ~ 200㎛사이에 오도록 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시편을 제작하기 위하여 11g의 PVA 217 (Wako) 과 4g의 PVA 205 (Wako)를 정제수 75g에 배합하고, 용액을 5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 시킨다. 이 액을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다시 10g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 시킨 후 캐스팅하여 건조 후 두께가 100 ~ 200㎛사이에 오도록 하였다. 얻어진 필름을 ASTM-D-638M 규정의 Type M-Ⅲ 시편과 동일하게 절삭하여 만능시험기로 20㎜/min의 속도로 당기면서 인장 강도, 신장률 (elongation % = {(끊김 시점 (break point)에서의 시편의 길이 - 최초 시편의 길이)/최초 시편의 길이} X 100) 및 영스 모둘러스를 측정하였다.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필름의 영스 모둘러스, 인장강도, 신장
배합비(%) 영스 모둘러스(MPa) 인장 강도(MPa) 신장(%)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100 0 41 35 3800
70 30 26 22 3100
60 40 21 16 2800
50 50 19 9 1700
40 60 19 4 1000
30 70 18 2 200
0 100 10 0.4 20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3502 126 4
[시험예 4] 부착력 확인 실험 (Peel adhesion test)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의 블랜딩을 통하여 형성한 약물 전달용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필름의 부착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PSTC 시험법에 의거하여 만능시험기 (INSTRON, Autograph DSC-500, Shimadzu)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편을 제작하기 위하여 실시예1의 폴리우레탄과 실시예11의 폴리에테르를 다양한 배합비로 70% 에탄올 수용액에 15wt%의 농도로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스테인리스 스틸 기제에 캐스팅하여 건조 후 두께가 2㎜, 폭이 1 inch가 되도록 하였다. 부착된 필름을 만능시험기로 20㎜/min의 속도로 떼어내며 부착력을 측정하였다.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필름의 부착력
배합비(%) 부착력(g/in.)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100 0 15
70 30 200
60 40 800
50 50 700
40 60 1200
30 70 1300
0 100 1400
부착성 부여를 위하여 첨가하여 준 폴리에테르의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필름의 부착력은 증가하였다. 즉, 기제에 대한 부착력이 폴리에테르에 의하여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필름의 피부 부착 지속 시간확인 실험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의 블랜딩을 통하여 형성한 약물 전달용 폴리우레탄/폴리에테르 필름 형성제의 인체 굴곡 부위에서의 부착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부착력의 비교 기제로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 단독으로 된 필름 형성제 및 폴리비닐알코올 (PVA)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 필름 형성제 (7wt%), 실시예 11의 폴리에테르 필름 형성제 (3wt%)를 60% 에탄올 수용액에 첨가하여 용해시켜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의 블랜딩을 통한 필름 형성제를 제조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 필름 형성제 (10wt%)을 60% 에탄올 수용액에 첨가하여 용해시켜 폴리우레탄 필름 형성제를 제조하였다. PVA 217 (Wako, 7wt%) 과 PVA 205 (Wako, 3wt%)를 20% 에탄올 수용액에 첨가하여 용해시켜 필름 형성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필름 형성제 0.3 g을 각각 손목 관절 부위 16 ㎠ 걸쳐 골고루 도포하고 용매가 완전히 건조되어 필름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필름이 형성된 부위의 관절의 구부려 펴기를 60회/분 반복하여 필름이 탈착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및 성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필름 형성제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형성제
∼ 3분 피부결 및 외곽 부위를 따라 들뜸 관찰됨
∼ 15분 외곽 부위의 들뜸관찰됨 형성된 필름의 50% 이상 면적 박리
∼ 30분 외곽 부위의 들뜸 관찰됨
∼ 1시간 형성된 필름의 10% 이하면적박리 형성된 필름의 50%면적 박리 형성된 필름의 90% 이상 면적 박리
[시험예 6] 피부자극실험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 및 실시예 11의 폴리에테르를 각각 10 wt%가 되도록 50% 에탄올 수용액에 첨가하여 용해시켜 피부 자극 확인을 위한 샘플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의 피부 자극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필름 형성제 100 ㎎을 미리 9 ㎠의 크기로 표시하여 둔 건강한 성인 남자 10 명의 전박 부위에 골고루 도포하였다. 30 분이 경과하여 용매가 건조된 이 후 밀착포를 사용하여 도포한 형성제층을 보호하였다. 24 시간이 지난 후 도포한 형성제를 제거하고 다음과 같은 판정 기준에 따라서 도포 부위의 일차 자극 정도를 판단하고, 다음과 같은 식으로부터 반응도를 계산하였다.
판정숫자 자극 정도
01234 자극 없음최소한의 자극약간의 자극(홍반)심한 자극(홍반, 부종)극심한 자극(홍반, 부종)
관찰된 자극 정도를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반응도를 계산한다.
반응도 (%) = [{(반응자수 Х판정숫자)의 합} Х100]/(시험자수 Х4)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 필름 형성제의 반응도는 각각 1.5, 1.9%였으며, 따라서 피부에 자극을 거의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들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는 신체의 움직임에 부합하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필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병부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필름 형성제 및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는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Claims (15)

  1. 다음의 폴리우레탄(A) 10-90 중량% 및 폴리에테르(B) 10-90 중량%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피부 부착성이 있는 필름 형성제.
    (A) 다음 성분 (a-1), (a-2) 및 (a-3)의 중합반응에 의해 만들어지고 아래의 일반식 (A)로 나타내지는 무게 평균분자량이 10,000-500,000인 폴리우레탄 :
    (a-1) 폴리에칠렌글리콜;
    (a-2) 상기 (a-1)폴리에칠렌글리콜보다 소수성이 강한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디올;
    (a-3) 양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디이소시아네이트
    (A)
    상기 식중,
    m은 -(OCH2CH2)m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200 ~ 50,000이 되도록 하는 정수;
    p 및 p'는 폴리우레탄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10,000 ~ 500,000 이 되도록 하는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q, q'및 q''는 (R)q, (R)q'및 (R)q''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200 ~ 50,000이 되도록 하는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R은 다음 중 선택된 한 가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다음 중 선택된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O(CH2)n; OCO(CH2)n; O-CO-(CH2)n-CO-O-(CH2)n'; O(CH(CH3)(CH2)n)n'; O(C(CH3)2(CH2)n)n' (여기에서 n 및 n'는 1 이상 10 이하의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OCOCH(CH3)CH2; OSi(CH3)2; (OCH2CH2)x-(OCH(CH3)CH2)y-(OCH2CH2)x' (여기에서, x, x' 및 y는 1 이상 100 이하의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R'는 다음 중 선택된 한 가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다음 중 선택된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CH2) l (여기에서l은 1 이상 10 이하의 정수);
    (B) 다음 성분 (b-1), (b-2) 및 (b-3)의 중합반응에 의해 만들어지고 아래의 일반식으로 나타내지는 무게 평균분자량이 6,000-500,000인 폴리에테르 :
    (b-1) 폴리에칠렌글리콜;
    (b-2) 상기 (b-1)폴리에칠렌글리콜보다 소수성이 강한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디올;
    (b-3) 양말단에 에폭사이드기를 갖는 알리파틱 디글리시딜 에테르
    (B)
    상기 식중,
    m은 -(OCH2CH2)m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200 ~ 50,000이 되도록 하는 정수;
    p 및 p'는 폴리에테르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6,000 ~ 500,000이 되도록 하는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q, q'및 q''는 (R)q, (R)q'및 (R)q''의 무게 평균 분자량이 200 ~ 50,000이 되도록 하는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R는 다음 중 선택된 한 가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다음 중 선택된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O(CH2)n; OCO(CH2)n; O-CO-(CH2)n-CO-O-(CH2)n'; O(CH(CH3)(CH2)n)n'; O(C(CH3)2(CH2)n)n' (여기에서 n 및 n'는 1 이상 10 이하의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OCOCH(CH3)CH2; OSi(CH3)2; (OCH2CH2)x-(OCH(CH3)CH2)y-(OCH2CH2)x' (여기에서, x, x' 및 y는 1 이상 100 이하의 같거나 혹은 다른 정수);
    R'는 다음 중 선택된 한 가지를 사용하거나 혹은 다음 중 선택된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CH2-O-(CH2) l -O-CH2; CH2-O-CH2CH(CH3)-O-CH2; CH2O-(CH2CH2O) l -CH2; CH2O-(CH2CH(CH3)O) l -CH2; (CH2) l (식중,l은 1 이상 10 이하의 정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A) 및 폴리에테르(B)는 이들을 용해시킬 수 있고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용매에 용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성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A)와 폴리에테르 (B)는 90:10 ~ 50:50의 중량비의 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성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알코올 수용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성제.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A) 및 폴리에테르(B)는 혼합되어 상기 용매에 0.1 ~ 50 중량%의 양으로 용해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성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2) 혹은 (b-2)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칠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칠렌글리콜, 폴리헥사메칠렌글리콜, 폴리프로페닐렌글리콜 및 폴리에칠렌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삼중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폴리알킬렌글리콜류; 및 폴리카프롤락톤디올, 폴리락톤디올 및 폴리글리콜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폴리에스테르디올류 중에서 선택된 한가지 혹은 두 가지 이상의 배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성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3) 성분은 아로마틱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알리파틱 디이소시아네이트에서 선택된 한가지 혹은 두 가지 이상의 배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성제.
  8. 제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필름 형성제는 피부에 도포된 후 필름을 형성하였을 때, 그 필름이 인장 강도 (tensile strength) 0.5 ~ 100 ㎫, 신장률 (elongation %)이 30%에서 최대 5000%이며, PSTC 시험법 중 부착력 (peel adhesion) 시험법에 의거하여 측정한 부착력이 스테인리스 스틸에 대하여 20 ~ 3000 g/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성제.
  9. 제1항의 필름 형성제;
    상기 필름 형성제를 용해시킬 수 있고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용매; 및
    피부로 전달 가능한 유효 성분
    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상기 용매에 대하여 0.1~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상기 유효 성분은 제제 총중량에 대하여 0.01~5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투여가 가능한 유효 성분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 국소 마취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항진균제;항 바이러스제; 골격근 이완제; 각질 제거제; 여드름 치료제; 피부 보호제; 비타민 A, B, C, D, E 및 이들의 약학적 허용 유도체; 피부 미백제; 생약 추출물; 헤파린 나트륨; 또는 캡사이신으로부터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은 케토프로펜, 디클로페낙 디에칠암모늄, 피록시캄, 플루비프로펜, 케토롤락 트로메타민, 후시딕산 나트륨, 캡사이신, 디프로피온산베타메타손, 클로트리마졸, 황산겐타마이신, 프레드니솔론, 염산디펜히드라민, 에리스로마이신, 황산네오마이신, 헤파린나트륨, 덱스판테놀, 케토코나졸, 아시클로버, 트레티노인, 벤조일퍼옥사이드, 코직산, 염산에페리손, 염산리도카인, 살리실산, 젖산, 요소,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미녹시딜 또는 알라토닌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피부 흡수 증진제, 유연제, 보습제 또는 점도 및 피부 부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수용성 고분자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흡수 증진제는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폴리올; 고급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의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칠렌글리콜의 지방산에테르; 폴리에칠렌글리콜의 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의 지방산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칠렌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테르펜류; 설폭사이드류; 피롤리돈류; 아미드류; 에톡시디글리콜, N-히드록시 메칠락타이드, 소르비톨, 요소, 스쿠알렌, 스쿠알란, 올리브유, 파자마유 및 그 유도체중의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5. 제13항에 있어서, 보습제 혹은 유연제는 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젖산, 광유, 라놀린, 왁스류 또는 글루코스 유도체 중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KR1020000018566A 2000-04-10 2000-04-10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약물 전달용 필름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 KR100337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566A KR100337161B1 (ko) 2000-04-10 2000-04-10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약물 전달용 필름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566A KR100337161B1 (ko) 2000-04-10 2000-04-10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약물 전달용 필름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284A KR20010100284A (ko) 2001-11-14
KR100337161B1 true KR100337161B1 (ko) 2002-05-18

Family

ID=4578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566A KR100337161B1 (ko) 2000-04-10 2000-04-10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약물 전달용 필름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086B1 (ko) * 2000-10-18 2003-03-15 주식회사 태평양 약물 전달용 필름 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제제
KR100433363B1 (ko) * 2002-04-15 2004-05-28 주식회사 동구제약 아시클로버함유 외용필름형성 하이드로겔 제제
KR100511114B1 (ko) * 2002-07-16 2005-08-31 우원홍 항진균제를 함유한 피부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미백용 외용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1133A (en) * 1984-11-13 1988-06-14 Thermedics, Inc. Medical patche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JPS63146812A (ja) * 1986-05-14 1988-06-18 Takiron Co Ltd 経皮投与用貼付剤
JPH02174714A (ja) * 1988-10-28 1990-07-06 Pharmetrix Corp 長時間活性を有するニコチン膏薬
KR100190466B1 (ko) * 1990-09-28 1999-06-01 와인스타인 폴 폴리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 탄성중합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1133A (en) * 1984-11-13 1988-06-14 Thermedics, Inc. Medical patche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JPS63146812A (ja) * 1986-05-14 1988-06-18 Takiron Co Ltd 経皮投与用貼付剤
JPH02174714A (ja) * 1988-10-28 1990-07-06 Pharmetrix Corp 長時間活性を有するニコチン膏薬
KR100190466B1 (ko) * 1990-09-28 1999-06-01 와인스타인 폴 폴리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아 탄성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284A (ko)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0291B2 (en) Film-forming agent for drug delivery and preparation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containing the same
Jin et al. Influence of hydrophilic polymers on functional properties and wound healing efficacy of hydrocolloid based wound dressings
US6461644B1 (en) Anesthetizing plastics, drug delivery plastics, and related medical products, systems and methods
US4997656A (en) Adhesive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US5723145A (en) Transdermal absorption preparation
JP5243262B2 (ja) ポリウレタン群ヘアケア用皮膜形成ポリマーの使用、ならびに該ポリマーを含有する医薬製剤およびパッチの使用
US20080208099A1 (en) Film base material for adhesive skin patch and adhesive skin patch
JPS63160649A (ja) 口腔貼付用基材
GB2047094A (en)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KR20040054557A (ko) 의료용 양이온성 알키드 폴리에스테르
KR20010021611A (ko) 블록 공중합체
JP5242950B2 (ja) ゲル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KR20070122521A (ko) Peg-폴리아세탈 및 peg-폴리아세탈-poe 그래프트공중합체 및 약학 조성물
CN101346134A (zh) 聚氨酯类成膜毛发护理聚合物的用途以及含有这些聚合物的药物制剂和贴剂
KR20010111593A (ko) 신축성 첩부제
EP0531938A1 (en) Acrylic gel material and gel-based medical preparation for percutaneous absorption employing the same
KR100337161B1 (ko)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약물 전달용 필름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 제제
KR100376086B1 (ko) 약물 전달용 필름 형성제 및 이를 함유하는 경피 투여형제제
EP2163267A2 (en) Patch and patch preparation
JP3496727B2 (ja) 製剤用基剤
KR20110109250A (ko) 수성/비수성 약물전달에 적용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을 이용한 고분자 수성 혼합용액으로 만들어진 필름 형성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S2239372T3 (es) Lamina adhesiva medica y su produccion.
KR20110027434A (ko) 약물의 서방출이 가능한 발수필름 형성용 조성물
JP3032871B2 (ja) 経皮吸収製剤用粘着剤
JPS63146812A (ja) 経皮投与用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