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541B1 - 자기헤드장치와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헤드장치와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541B1
KR100336541B1 KR1019940020624A KR19940020624A KR100336541B1 KR 100336541 B1 KR100336541 B1 KR 100336541B1 KR 1019940020624 A KR1019940020624 A KR 1019940020624A KR 19940020624 A KR19940020624 A KR 19940020624A KR 100336541 B1 KR100336541 B1 KR 100336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agnetic head
magneto
member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739A (ko
Inventor
다까하시도모유끼
다나까히데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0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0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 G11B21/21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with provision for maintaining desired spacing of head from record carrier, e.g. fluid-dynamic spacing, sl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8Fly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480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specially adapted for disk drive assemblies, e.g. assembly prior to operation, hard or flexible disk drives
    • G11B5/4833Structure of the arm assembly, e.g. load beams, flexures, parts of the arm adapted for controlling vertical force on the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60Fluid-dynamic spacing of heads from recor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2Hinges, pivo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0Structure or manufacture of housings or shields for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480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specially adapted for disk drive assemblies, e.g. assembly prior to operation, hard or flexible disk drives
    • G11B5/4826Mounting, aligning or attachment of the transducer head relative to the arm assembly, e.g. slider holding members, gimbals,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Abstract

광자기 기록 매체의 기록/재생 장치용의 자기 헤드 장치는 헤드 본체와 암 형의 지지 기구를 포함한다. 헤드 본체는 수직 자계를 발생하는 자기 헤드 소자와, 이 자기 헤드 소자가 부착되며 광 자기 기록 매체에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를 가진다. 암 지지기구는 헤드 본체가 부착되어서 자기 헤드 소자가 광자기 기록 매체에 접하는 방향 또는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암형의 지지기구는 암부, 고정부,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를 가진다. 암부의 한 단부에 제 1 탄성 변위부를 거쳐서 헤드 본체가 부착되어 있다. 고정부는 한 단부가 고정 부재에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단부가 제 2 탄성 변위부를 거쳐서 암부의 다른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암형의 지지기구는 이 기구의 중심 축선을 품으면서 배치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판상의 탄성 부재와, 각각의 탄성의 부재의 적어도 한편의 측면에 만들어지며 암부와 고정부를 형성하는 수지로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기 헤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기 헤드 장치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미끄럼 접촉하는 자기 헤드 장치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광 빔을 이용하여 정보의 기록, 소거 및 판독을 행할 수 있는 소위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 중에서 광 자기 디스크 (magneto-optical disc)라고 부르는 것이 있다.
제 1 도는 이와 같은 광 자기 디스크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투명 기판(2)상에 수직 자화막으로 된 광 자기 기록층(3)이 놓이고, 광 자기 기록층(3)상에 금속 박막,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박막으로 된 반사막(4)이 적층되고, 또한 이 반사막(4)상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등에 의하여 보호막(5)을 형성하여 광 자기 디스크(1)가 구성된다.
광 자기 디스크의 기록 방식으로서는 자계 변조 방식, 광 변조 방식등이 알려져 있다.
자계 변조 방식은 기록된 신호상에 새로운 신호를 겹쳐서 쓰는 소위 오버라이트(over-write)를 가능하게 한다. 이 자계 변조 방식의 광 자기 기록/재생 장치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자화막에 의해 광 자기 기록층을 갖는 광 자기 디스크(1)를 삽입하고, 기판(2) 측에 광 빔(6)을 대물렌즈를 거쳐서 조사하는 광 픽업(도시 생략)을, 보호막 (5)측에 광 스포트와 동기하여 이동하는 자계 발생 수단, 즉 자기 헤드(7)를 배치하고 있다. 광 자기 디스크(1)에 정보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자기 헤드(7)로 흐르는 전류 방향을 기록하는 정보 신호를 기초로하여 변화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수직 자계 방향을 변화시킨다.
광 자기 디스크(1)는 기록, 재생시에 그 중앙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선속도 또는 일정한 각속도로서 회전된다.
그래서 기록 신호에 대응한 수직 자계가 광 스포트 (spot) (6a) 부근에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디스크(1)의 재기록(rewriting)이 요구되는 부분(1A)이 광 빔 스포트(6a)에 의해 큐리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소자된다. 그 후 광 자기 디스크(1)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광 자기 디스크와 광 빔 스포트(6a)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큐리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재기록이 요구되는 부분(1A)이 자기 헤드(7)로부터의 수직 자계 방향을 따라서 자화된다. 그 결과 광 자기 디스크에 정보가 기록된다.
광 자기 디스크(1)는 비접촉 매체이고, 따라서 자기 헤드(7)는 디스크(1)로부터 필요 충분한 간격(d0) (예를 들어 0.2mm)만큼 떨어져 배치된다. 이 간격(d0)은 광 자기 디스크 (1)가 디스크 자신의 휘어짐에 의해 디스크의 회전시에 제 2 도 중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변위하였을 때 광 자기 디스크(1)와 자기 헤드 (7)가 접하지 않게 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광 자기 디스크는 진술한 바와 같이 비접촉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광 자기 기록용의 자기 헤드(7)는 디스크(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서 회전시에 디스크(1)의 경사, 두께의 불균일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디스크(1)의 표면 진동에 추종하도록 전자 서보 기구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 자기 디스크에 대하여 비접촉 방식을 취하는 기록 재생기에서는 소비 전력의 감소화, 기기의 소형화, 특히 기기 두께를 작게 하는 것 등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자기 헤드를 광 자기 디스크에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도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미끄럼 이동형 자기 헤드(11)는 페라이트 코아(12)의 중심 자극 코아(12A)에 코일(13)을 감아서 구성된 헤드 소자(14)의 주변에 코아 재료보다 유연한 미끄럼 이동부(14a)가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형 자기 헤드(11)에서는, 미끄럼 이동부(14a)가 디스크에서 접촉하여 이동하며, 중심 자극 코아(12A)가 디스크(1)에 더욱 작은 간격(d1)을 가지며대향하고 직접 디스크 (1)와 접촉되지 않은 구조이기 때문에, 디스크(1)의 보호막(5)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자기 헤드(11)를 광 자기 디스크(1)에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시키는 접촉 방식으로 하기 때문에, 자기 헤드(11)의 지지 탄성체를 거쳐서 헤드 암에 부착된다고 하는 단순한 기구로 완성되므로, 종래의 용적을 갖는 전극 서보 기구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의 소비 전력의 감소화, 기기의 소형화 등에 유리하게 된다. 더욱이, 전술한 비접촉 방식에 비하여 자기 헤드(11)를 디스크(1)에 가까이 두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1)에 부여하는 수직 자계가 강하게 되며 따라서 기록시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자기 헤드에서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자기 헤드(11)가 디스크(1)에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제 4 도는 상기 자기 헤드(11)의 지지 기구를 모델화 하여 도시하고 있다. 자기 헤드(11)는 스프링 부재(817)를 거쳐서 고정체(18)에 지지되고, 스프링 압력에 의해 자기 헤드(11)가 디스크면(1a)에 접촉한다.
이제, 외력에 의해 가속도 a 가 고정체(813) 및 디스크(1)에 가해진다고 하면, 가속도 a 의 방향이 아래로 향하는 경우 관성에 의해 자기 헤드(11)가 현재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자기 헤드(11)가 디스크(1)와 떨어진다. 즉, 제 3 도의 이유에서 이해되듯이, 가속도 a 와 자기 헤드(11)의 질량을 곱한 것과 같은 힘 F가 위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이 힘 보다 큰 역방향의 스프링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자기 헤드 (11)와 디스크(1)가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외부 충격에 대하여 예측되는 가속도 a 에 견딜 수 있는 힘 이상의 하중을 자기 헤드(11)에 가하는 방법이 채택되어 있다.
그러나, 커다란 하중은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가시켜서 디스크(1)에 부여하는 손상을 크게 만들든가, 디스크를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에의 부하도 크게 될 우려가 있다. 또 미끄럼 이동부(14a)의 마모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자기 헤드(11)에 가하는 스프링 압력은 외부 충격에 대하여 예측되는 가속도 a 에 견딜 수 있는 힘이 필요하며, 미끄럼 이동 저항을 줄이는 정도로 한다는 목적에서부터 전술한 힘을 내려가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저항을 줄이는 방법이 요청된다.
상기 요청에 따른다고 하면 자기 헤드의 지지 구조가 복잡하게 되며 제조원가의 앙등을 초래한다.
발명의 개요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자기 헤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자기 헤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헤드 본체 및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장치가 제공된다. 헤드 본체는 헤드 소자와, 이 헤드 소자를 지지하여 기록 매체에 미끄럼 접촉시키는 미끄럼 접촉부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는 헤드 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지지부와,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를 가진다. 제 1 지지부의 한 단부쪽에 제 1 탄성 변위부를 거쳐서 헤드 본체가 부착되어 있다. 제 2 지지부는 한 단부가 고정단부로서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단부가 제 2 탄성 변위부를 거쳐서 제 1 지지부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재는 제 1, 제 2 탄성 변위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와, 이 탄성 부재에 일체로 만들어진 수지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헤드 본체 및 암상의(arm-shaped)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헤드 분체는 자기 헤드 소자와, 이 자기 헤드 소자를 지지하여 기록 매체에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를 가진다. 암상의 지지 부재는 헤드 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지지부와,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를 가진다. 제 1 지지부의 한 단부쪽에 제 1 탄성 변위부를 거쳐서 헤드 본체가 부착되어 있다. 제 2 지지부는 한 단부가 고정단부로서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단부가 제 2 탄성 변위부를 거쳐서 제 1 지지부의 다른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는 제 1, 제 2 탄성 변위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 탄성 부재와, 탄성 부재에 일체로 만들어진 수지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헤드 본체 및 암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헤드 본체는 자기 헤드 소자와, 이 자기 헤드 소자를 지지하여 기록 매체에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를 가진다. 암상의 지지부재는 헤드 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 1 및 제 2 지지부와,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를 가진다. 제 1 지지부의 한 단부쪽에 제 1 탄성 변위부를 거쳐서 헤드 본체가 부착되어 있다. 제 2 지지부는 한 단부가 고정단부로서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른 단부가 제 2 탄성 변위부를 거쳐서 제 1 지지부의 다른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재는 이 지지부재의 중심축선을 품으면서 배치됨과 동시에, 제 1, 제 2 탄성 변위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판상 탄성 부재와, 각각의 탄성 부재의 적어도 한쪽 측 면에 만들어진 제 1 및 제 2 지지부를 형성하는 수지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 탄성 부재와, 수지로 구성된 자기 헤드 소자가 부착되어 있는 헤드 본체부, 제 1 및 제 2 지지부를 갖는 자기 헤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헤드 본체부와 제 1 지지부는 제 1 탄성 변위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 1 탄성 변위부와 제 2 탄성 변위부는 상기 제 2 탄성 변위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조 방법은, 탄성 부재를 제 1 및 제 2 지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캐비티(cavity)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로 이루어진 부분을 상하 금형에 따라 끼워두고, 복수의 캐비티내에 수지를 사출하여 헤드 본체와, 제 1 및 제 2 지지부를 탄성 부재의 두께 방향의 상하로부터 탄성 부재를 끼우듯이 탄성 부재에 일체로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변위부를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로서 구성하고 있고, 헤드 본체의 기록 매체에의 미끄럼 접촉을 제 1 탄성 변위부에 따라 행하고, 기록 매체의 미소한 진동에 대하여 제 2 탄성 변위부에 따라 행하기 때문에 헤드 본체와 기록 매체의 접촉 압력을 작게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기록 매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본체의 기록 매체에의 미끄럼 접촉을 확실히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기록/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를 형성하는 탄성 부재와, 이 탄성 부재에 일체로 만들어진 수지로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헤드 장치의 중량을 경량화로 실현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제 1 및 제 2탄성 변위부를 형성하는 탄성 부재와, 이 탄성 부재에 일체로 만들어진 수지로서 구성함에 따라서 구조를 간략하게 할 수 있고, 제조도 용이하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장치가 이용되는 광 자기 디스크의 기록/재생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5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광 자기 디스크를 이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광 자기 디스크(1)는 디스크 카트리지(42)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광 자기 디스크(1)에는 보호막이 미끄럼 성질(sliding property)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거나, 미끄럼 성질을 갖는 또 하나의 막이 보호막 상에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카트리지(42)는, 도시하지 않은 후술하는 광 픽업(light pick-up) 및 자기 헤드에 의해 광 자기 디스크(1)에의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광 픽업에 의해 광 자기 디스크(1)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 디스크 카트리지(42)에는 구멍을 개폐하는 도시하지 않은 셔터가 부착되어 있다. 셔터는 디스크 카트리지(42)를 장치 본체에 장전할 때 구멍을 개방하고, 디스크 카트리지(42)가 장치 본체에서 배출되었을 때 구멍을 폐쇄한다. 디스크 카트리지(42)에 수납된 광자기 디스크(1)는 스핀들 모터(43)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광 자기 디스크(1)는 스핀들 모터에 의해 일정한 선속도 또는 일정한 각속도로서 회전 구동된다.
스핀들 모터(4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광 자기 디스크(1)에는 광 픽업(41)에서 방사된 광 빔이 디스크의 기판측으로 조사된다. 또한, 광 자기 디스크(1)의 보호막 측으로부터는, 자기 헤드(27)에서 나온 수직 자계가 광 자기 디스크(1)에 정보 신호를 기록할 때 인가된다. 광 픽업(45)은 대물렌즈(44), 광원, 검출기 및 광학계를 포함한다. 광원에서 방사된 광 빔은 대물렌즈(44)로서 집광된 상태에서 광 자기 디스크(1)에 조사된다. 광 자기 디스크(1)에 조사된 광 빔은 광 자기 디스크(1)의 기록막 및/또는 반사막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대물렌즈(44)를 거처서 광 픽업(45)내에 입사되고, 광학계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 빔과 분리되어서 광 검출기로 안내된다. 대물렌즈(44)는 광 픽업 (45)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적어도 포커스(focus) 방향으로 후술하는 포커스 에러가 제로로 되도록 구동된다. 예를 들면 액츄에이터로서는 전자 액츄에이터가 이용되고 있다. 광 픽업(45)은 도시하지 않아도 자기 헤드 (27)가 부착된 후술하는 암 형상의 헤드 지지체와 연결되어 있고, 자기 헤드(27)와 동시에 이송 모터(46)에 의해 광 자기 디스크 (1)의 반경 방향으로 이송된다. 자기 헤드(27)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광 픽업(45)의 광 검출기에서 나오는 출력 신호는 RF 앰프(48)로 공급된다. RF 앰프(48)는 광 검출기에서 나온 신호를 기초로 하여 RF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RF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 회로군에 공급한다. RF 앰프(48)는 광 검출기로부터 나온 출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등 에러 신호를 발생하고, 서보 제어 회로(47)에 공급한다. 서보 제어 회로(47)는 공급된 에러 신호를 기초로 하여, 포커스 서보 신호, 트래킹 서보 신호 및 스핀들 서보 신호의 각 서보 신호를 발생하여 광 픽업(45)의 액츄에이터 (actuator), 스핀들 모터(43)등에 공급한다. 그 결과, 포커스 서보, 트래킹 서보, 및 스핀들 서보등의 서보가 행해진다. 또한, 트래킹 에러 신호를 기초로 하여 서보 제어 회로(47)는 이송 신호를 발생하고, 이송 신호를 이송 모터(46)에 공급한다. 광 픽업(45) 및 자기 헤드(27)는 기록 또는 재생 동작시에 광 자기 디스크(1)의 트랙을 따라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이송된다. 또한, RF 앰프(48)는 자기 디스크(1)에 미리 기록된 어드레스 신호를 추출하여 어드레스 디코더(49)에 공급한다. 어드레스 디코더(49)는 공급된 어드레스 신호를 복호(decoder)하여 어드레스 데이타로서 후술하는 제어 회로군에 공급한다.
제어 회로군(50)은, RF 앰프(48)로부티 공급된 RF 회로에 소정의 복호 처리, 예를 들면 EFM의 복조 처리나 에러 정정 부호의 복합화 처리등의 복조 처리를 시행하는 디코더부와,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소정의 인코더 처리 예를 들면 EFM의 부호화 처리나 에러 정정 부호의 부호화 처리등의 부호화 처리를 시행하는 인코더부와, 기록/재생 장치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군(50)의제어부에는 조작부(55)와 표시부(56)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 (55)는 복수의 조작키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광 자기 디스크(1)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동작의 개시, 재생 동작의 정지, 선곡 동작등을 제어부에 입력한다. 제어부는 조작부(55)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각종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의 개시 및 정지, 선곡 동작을 수행한다. 표시부(56)에서는 광 자기 디스크(1)의 목록 영역에 기록된 정보가 판독되어서 표시되는 것 외에, 곡명이나 기록 경과시간, 재생 경과 시간등의 시간 정보가 표시된다.
입력 단자(52)로부터 입력된 정보 신호로서의 아나로그 오디오 신호와 같은 아나로그 신호는 A/D 변환기(51)에 공급되어서 16 bit 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A/D 변환기 (5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는 제어 회로군(50)의 인코더부에 공급되어서 인코더 처리가 실시된 기록 데이타로 변환된 후에 자기 헤드 구동 회로(41)로 공급된다. 자기 헤드 구동 회로(4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자기 헤드(27)로 공급되어 자기 헤드(27)에 따른 기록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수직 자계가 자기 디스크(1)에 공급된다. 이 때 광자기 디스크(1)의 기판측으로 광 픽업(45)에서 기록 레벨의 광 빔이 조사되고 있다.
제어 회로군(50)의 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D/A 변환기(53)로 공급되어서 D/A 변환기(53)에 의해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D/A 변환기(53)에서 출력되는 아나로그 신호는 출력 단자(54)로부터 외부기기 예를들면 오디오 앰프 등에 공급된다.
광 자기 디스크(1)에 정보 신호의 기록을 행할 때에는, 광 픽업(45) 및 자기헤드(27)를 이송 모터(46)로써 디스크상의 기록 개시점에 대응하도록 이동시킨다. 기록 개시점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광 픽업(45)으로부터 기록에 필요한 출력 레벨을 갖는 광 빔을 디스크(1)의 기판측으로 조사함과 동시에, 자기 헤드(27)에 따른 기록 데이타에 대응한 수직 자계가 인가된다. 기록 데이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단자(52)로부터 입력된 정보 신호로서의 아나로그 신호가 A/D 변환기(51)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이 디지털 신호가 제어 회로군(50)의 인코더부에 공급되어서 인코더부에 의해 인코더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구해진다. 이 기록 데이타는 자기 헤드 구동 회로(41)를 거쳐서 자기 헤드(27)에 공급된다. 이때 광 자기 디스크(1)의 기록막은 광 픽업(45)에서 조사되는 광 빔에 의해 큐리온도 이상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기록막은 소자되어서 자기 헤드(27)로부터 공급된 수직 자계의 방향을 따라서 자화된다. 즉, 광 픽업(45)에서 조사된 광 빔에 의해 일단 큐리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기록막은 광 자기 디스크(1)가 스핀들 모터 (43)에 의해 회전되기 때문에, 광 픽업(45)에서 방사된 광 빔과 광 자기 디스크(1)의 기록막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큐리온도 이상으로 가열된 기록막은 상대이동에 따라 온도가 큐리온도 이하로 저하한다. 그 때 자기 헤드(27)로부터 광 자기 디스크(1)에 공급되어 있었던 수직 자계의 방향 S, N 극의 어느 극성에 따라 자화된다. 그 결과 광 자기 디스크(1)에 기록 데이타가 기록된다.
광 자기 디스크(1)에 기록된 정도 신호를 재생함에 있어서 이송 모터(46)를 구동하여 광 자기 디스크(1)상의 재생 개시점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광 픽업(45)을 이동시킨다. 이때 자기 헤드(27)도 광 자기 디스크(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재생에 관해서는 아무런 관여도 하지 않는다. 광 픽업(45)이 재생 개시점에 도달한 후에 광 픽업(46)은 재생에 필요한 출력 레벨의 광 빔을 광 자기 디스크(1)에 조사한다. 이 재생에 필요한 출력 레벨은 기록에 필요한 출력 레벨보다도 충분히 낮은 출력 레벨로서 광 자기 디스크(1)의 기록막의 자화를 손실시키지 않도록 한 출력 레벨이다. 광 픽업(45)에서 방사된 광 빔은 대물렌즈(44)에 의해 광 자기 디스크(1)의 투명 기판을 투과하여 기록막상에 집광된다. 대물렌즈(44)에 의해 집광된 광 빔은 광 자기 디스크(1)의 기록 막 및/또는 반사막에 의해 반사되며, 다시 대물렌즈(44)를 거쳐서 광 픽업(45)내로 안내된다. 이 광자기 디스크(1)에 의해 반사된 광 빔 이하 반사광 빔은 광 자기 디스크(1)의 기록막의 자화 방향에 따라 편광면이 회전된다. 환언하면, 자기학적 커 효과(kerr effect)에 의해 광 빔의 편광면이 회전된다. 광 픽업(45)에 재차 입사된 반사 광 빔은 광학계에 의해 광원에서 방사된 광 빔과 분리되어서 광 검출기로 안내된다. 광 검출기는 커 효과에 따라 반사 광 빔의 편광면의 회전 정보를 전기학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 신호로서 출력한다. 광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RF 앰프(48)로 공급되어서 RF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나 트래킹 에러 신호등의 에러신호를 발생시킨다. RF 앰프(48)로부터 출력된 RF 신호는 제어 회로군(50)의 디코더부에 공급되어서 복조처리가 실시된다. 제어 회로군(50)의 디코더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D/A 변환기(53)에 공급되어서 D/A 변환기(53)에 의해 디지털 신호에서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되어서 출력 단자(54)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이러한 광 자기 디스크(1)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동작 또는 광 자기 디스크(1)에 기록된 정보 신호의 재생 동작은 조작부(55)의 조작키가 조작됨에 따라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개시, 또는 정지한다. 또 조작부(55)의 조작키가 조작됨에 따라 광 자기 디스크(1)의 사용자가 요구하는 위치에서 광 자기 디스크(1)에 기록된 정보 신호가 재생되거나 또는 광 자기 디스크(1)에 정보 신호가 기록된다. 또한, 광 자기 디스크(1)에 대하여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개시하는 최초의 시점, 또는 기록/재생 장치에 광 자기 디스크 (1)가 장전된 시점에서, 광 자기 디스크(1)의 기록 영역의 내주부 쪽에 설치된 목록 영역에 기록된 정보가 광 픽업(45)에 의해 판독되며, 제어 회로군(50)의 제어부의 RAM 영역에 저장된다. 제어부에 저장된 목록 정보는 재생 동작시의 광 픽업(45)의 액세스 동작이나 표시부(56)에의 시간 정보나 곡번호등의 표시등에 이용된다.
제 6A 도 내지 6C 도에서, 보다 구체적인 광 자기 디스크를 이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 6A 도는 기록/재생 장치의 평면도이고, 제 6B도는 기록/재생 장치의 정면도이고, 제 6C 도는 기록/재생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광 픽업(45)은 가동부(18)와 고정부(15)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부(18)는 이송 모터(45)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a, 10b)를 따라서 광 자기 디스크(1)의 반경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한 쌍의 가이드 부재(10a, 10b)중 한 편의 가이드 부재가 이송 모터(46)에 의해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광 픽업(45)의 가동부(18)와 결합하는 리드 스크류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한편의 가이드 부재가 회전 구동됨에 따라 광 픽업 (45)의 가동부(18)가 광 자기 디스크(1)의 반경 방향으로 이송된다. 광 픽업(45)의 가동부(18)에는 전자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포커스 액츄에이터가설치되어 있다. 이 포커스 액츄에이터에 의해 대물렌즈(44)가 집속 방향으로 구동된다. 가동부(18)의 대물렌즈(44)의 광축선상에서 렌즈 아래쪽에는 굴곡 미러(18a)가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19)는 광원(19a), 광 검출기(19b)와 복수의 미러를 가진다. 광원에서 방사된 광 빔은 복수의 미러에 의해 편향되며, 고정부(19)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으로 출력되어서 가동부(18)의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거쳐서 굴곡 미러(18a)로 안내된다. 광원(19a)에서 방사된 광 빔은 미러(18a)에 의해 90°로 편향되어서 대물랜즈 (44)로 안내되고, 대물렌즈(44)에 의해 집광되어서 자기 디스크(1)의 기록막상에 집광된다. 광자기 디스크(1)로부터의 반사 광 빔은 대물렌즈(44), 미러(18a)를 거쳐서 고정부(19)의 구멍을 통해 고정부(19)내에 입사하고, 복수의 미러에 의해 편향됨과 동시에, 광원(19a)에서 방사되는 광 빔과는 분리되어서 광 검출기(19b)로 안내된다. 고정부(19)에서 복수의 미러 중 미러(19c)가 트래킹 에러 신호를 기초로 하여 발생된 트래킹 서보 신호가 공급되는 전자 백츄에이터에 의해 회전된다. 그 결과 트래킹 서보가 행해진다.
자기 헤드(27)는 헤드 지지체(21)의 선단부쪽에, 픽업(45)의 대물렌즈(44)에 의해 집광된 광 빔의 중심과 자기 헤드(27)의 자계 중심이 일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21)는 광 픽업(45)의 가동부(18)에 연결 암(16)으로서 단면이 대략자 모양으로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연결암 (16)은 가동부(18)에 나사(24a)로서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 픽업(45) 및 자기 헤드(27)를 광 자기 디스크(1)의 반경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제어는 RF 앰프(48)에서 발생된 트레킹 에러 신호의 저주파수 성분을 이송 모터(46)로 공급하여 이송 모터(46)를 구동함으로써 수행된다. RF 앰프(48)에서 생성된 트레킹 에러 신호의 고주파 성분은 광 픽업(45)의 미러(19c)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에 공급되고, 트래킹 서보가 행하여진다. 이에 의하여 광 픽업(45)에서 조사되는 광 빔의 위치가 변하여도 광 자기 디스크(1)에의 기록에 필요한 자계 예를들면, 150 Oe 의 수직 자계가 광 자기 디스크(1)에 인가될 수 있도록, 자기 헤드(27)에 의해 발생되는 자속의 크기 예를들어 70 ㎛Φ 가 설정된다. 더욱이 광 픽업(45)에서 방사되는 광 빔과 자기 헤드(27)에서 발생되는 자계 중심과의 위치차이 보상값으로서 예를들어 50 ㎛Φ를 더하여 자속 크기, 즉 70 + 50 = 120 ㎛Φ가 설정된다.
광 자기 디스크(1)에 대하여 기록 동작 또는 재생 동작이 종료하고, 광자기 디스크(1)의 회전이 정지하기 전에, 광 픽업(45) 및 자기 헤드(27)는 제어 회로군(50)의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이송 모터(46)에 공급되어서 광 자기 디스크 (1)의 외주 단부에서 떨어진 위치까지 이송된다. 이 때 헤드 지지체(21)는 광 픽업(45) 및 자기 헤드(27)가 광 자기 디스크의 외주측을 향하여 이동될 때 리프터 (lifter)(17)와 결합하여 광 자기 디스크(1)의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기 헤드(27)를 상승시킨다. 리프터(17)의 자유 단부에는 테이퍼 (taper)면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기부 단부에는 테이퍼면에 연속하여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21)는 리프터 (17)의 테이퍼면을 따라서 리프터(17)위로 이동하고, 광 픽업(45) 및 자기 헤드(27)의 이동이 종료한 시점에서는 리프터 (17)의 평탄면 위로 헤드 지지체(21)가 위치하고, 자기 헤드 (27)는 광 자기 디스크(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유지된다. 리프터(17)에 의해 상승되는 양은, 자기 헤드(27)가 광 자기 디스크(1)로부터 충분히 떨어져서 광 자기 디스크(1)와 맞닿을 염려가 없는 거리 즉 0.2mm 정도이다.
광 자기 디스크(1)에 대하여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을 개시함에 있어서는 광 픽업(45) 및 자기 헤드(27)는 자기 디스크(1)의 내주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헤드 지지체 (21)는 리프터(17)의 평탄면파 테이퍼면 위로 이동하기 때문에 자기 헤드(27)가 광 자기 디스크(1)를 향하여 서서히 강하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광 픽업(45) 및 자기 헤드(27)가 광 자기 디스크(1)의 내주측으로 이동이 완료하였을 때에는 자기 헤드 (27)는 광 자기 디스크(1)에 접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제 7 도 이하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7 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기 헤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암(arm) 형상의 헤드 지지체(21)는 헤드 본체부(22), 암부(23), 고정부(24)및 판 스프링(29)을 가진다. 헤드 본체부(22)는 오목부내에 자기 헤드(27)를 수납시켜서 부착 되도록 하고, 광 자기 디스크(1)의 보호막측에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28)를 가진다. 암부(23)는 자기 헤드(27)를 향하여 점차 두께가 얇아짐과 동시에, 선단부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와, 이 테이퍼부와 연속하여 형성된 평탄부를 가진다. 고정부(24)는 헤드 지지체(21)를 연결 암(16)에 나사(24a)로서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구멍(24b, 24c)이 형성되어 있다.판스프링(29)은 전체가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한 단부가 대략 U 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분기부(29a)를 갖추고 있음과 동시에, 다른 단부에서 나사구멍(24b, 24c)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 본체부(22), 암부(23), 고정부(24)는 합성수지 재료로서 형성되며 동시에 판스프링(29)이 파묻히는 형태로 부착되어 있다. 분기부(29a)는 미끄럼 접촉부(28)의 오목부를 포위하도록 미끄럼 접촉부(28)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판스프링(29)은 미끄럼 접촉부(28)와 암부(23)와의 사이를 외부를 향해 노출시켜서 제 1 탄성 변위부(29b)를 형성하고 있으며, 동시에 암부(23)와 고정부(24) 와의 사이를 노출시켜서 제 2 탄성 변위부(29d)를 형성하고 있다. 제 2 탄성 변위부(29d)에서 약간 아래로 향하여 굴곡되어 있다. 제 1 탄성 변위부(29b)의 폭보다 제 2 탄성 변위부(29d)의 폭이 넓게 되어 있고, 더욱이 제 2 탄성 변위부(29d)의 폭보다 고정부(24d)내의 기부단부(29e)의 폭이 넓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기부단부(29e)로부터 선단부의 제 1 탄성 변위부(29b)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판스프링(29)의 형성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탄성 변위부(29b)는 폭이 좁기 때문에 스프링력, 탄성력이 작고, 제 2 탄성 변위부(29d)는 폭이 넓기 때문에 스프링력, 탄성력이 크다. 제 1 탄성 변위부 (29b)의 탄성력은 제 2 탄성 변위부(29d)의 탄성력보다 작다. 그러므로 자기 헤드(27)의 광 자기 디스크(1)로의 미끄럼 접촉은 주로 제 2 탄성 변위부(29d)에 의해 행해지고, 광 자기 디스크(1)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미소한 변위 또는 미소한 진동에 대하여 미끄럼 접촉부(28)의 추종 동작은 제 2 탄성 변위부(29d)에 의해 행해진다. 결국 제 1 탄성 변위부(29b)는 광 자기 디스크(1)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감당한다. 이 판스프링(29)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테스강, 베릴 륨 청동, 인청동 등의 재료가 적절하고, 그외 탄성을 갖는 절연 재료로 하여도 좋다.
이 헤드 지지체(21)의 상부면에서는 헤드 본체부(22), 암부(23), 고정부(24)를 걸쳐서 가요성 프린트 기판(30)이 접착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가요성 프린트 기판(30)은 헤드 구동 회로(41)에서의 기록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구동 전류를 가요성 프린트 기판(30)의 다른 단부의 단자부(30d)를 거쳐서 자기 헤드(27)로 공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요성 프린트 기판(30)의 한 단부의 단자부(30a)에는 자기 헤드(27)가 접속되어 있다. 단자부(30d)와 단자부(30a)는 각각 배선(30c)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자기 헤드(27)는 제 9 도 및 10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자극 코어와 측면 자극 코어로서 구성된 단면 E 자형의 코어(25)와, 이 코어의 중심 자극에 감긴 코일(26)로 구성되어 있다. 이 코일(26)의 단자부(26a)가 가요성 프린트 기판(30)의 단자부(30a)에 납땜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 8 도는 제 7 도의 자기 헤드(27)의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자기 헤드(27)의 단자부 (26a)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30)의 단자부(30a)를 접속하기 위한 요령을 제 8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가요설 프린트 기판(30)의 배선(30c)의 선단부에 갖추어진 단자(30a)에는 구멍(3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30b)에 코일(26)의 단자 (26a)가 삽입되어 있다. 구멍(30b)에 코일(26)의단자(26a)가 삽입된 상태에서 예를들어 납땜에 의해 전속된다.
제 9 도는 제 7 도의 자기 헤드(27)의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자기 헤드(27)를 미끄럼 접촉부(22)에 부착하기 위한 요령을 제 9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미끄럼 접촉부(28)에 형성된 오목부(28a)내에 단자 (26a)를 제 9 도 중 위를 향한 상태에서 E 형 코어(25)의 길이 방향이 광 자기 디스크(1)의 반경 방향을 따라서 끼워져 있다.
제 10 도는 헤드 본체 부(22)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미끄럼 접촉부(28)의 오목부(28a)는 저부가 대단히 얇은 막힌 구멍 모양으로 헝성되어 있고, 자기 헤드(27)의 코어(25)의 중심자극과 대향하는 부분의 저면부(28b)는 다른 부분보다도 더욱 얇아서 예를들어 0.1 mm 로 형성되어 있다.
제 11 도 및 제 12 도는 둘다 미끄럼 접촉부(28)에 자기 헤드(27)를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29)은 미끄럼 접촉부(28)의 하면이 광 자기 디스크(1)의 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제 1 탄성 변위부 (29b)에서 약간 상부를 향해 굴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교적 큰 탄성력을 갖는 제 2 탄성 변위부(29d)와, 비교적 작은 탄성력을 갖는 제 1 탄성 변위부(29b)를 설치함에 의하여 미끄럼 접촉부(28)의 광 자기 디스크(1)에의 미끄럼 접촉을 확실히 하고, 광 자기 디스크(1)와 미끄럼 접촉부(28)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작게 하여서 광 자기 디스크 (1)에 손상을 주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헤드 지지체(21)를 판스프링(29)과 합성 수지로서 형성한 미끄럼 접촉부, 암부와 일체 구조로 한 것에 의하여 중량의 경감화와, 소정의 강성을 얻을수 있다.
판 스프링(29)은 미끄럼 접촉부(28)와 암부(23), 암부(23)와 고정부(24)와의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29b, 29d)로서, 미끄럼 접촉부(28), 암부(23)및 고정부(24)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노출되어 있지만, 다른 부분은 미끄럼 접촉부(28), 암부(23) 및 고정부(24)에 매입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성 프린트 기판(30)이 판 스프링(29)에 접촉하여 누설이나 단락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판 스프링(29)은 소위 인서트 성형에 의해 미끄럼 접촉부(28), 암부(23) 및 고정부(24)에 매입된 모양으로서 미끄럼 접촉부(28), 암부(23) 및 고정부(24)와 일체로 되어 있다. 제 13 도에 인서트 성형에 이용되는 금형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하고, 제 14 도에 판 스프링(29)을 세트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을 이용하여 금형, 인서트 성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금형은 하형(61) 및 상형(62)으로 구성되며, 상형(62) 및 하형(61)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는 판 스프링(29)의 굴곡한 형상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캐비티는 미끄럼 접촉부 성형용 캐비티(128), 암부 성형용 캐비티(123) 및 고정부 성형용 캐비티(124)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형(62) 및 하형 (61)의 금형이 합쳐진 면은 상형 및 하형에 의해 끼워진 판 스프링(29)의 두께 방향에 중심을 따라서 형성되어있다. 상형 (62) 및 하형(61)에 의해 판스프링(29)을 끼운 상태에서 미끄럼 접촉부 성형용 캐비티(128)와 암부 성형용 캐비티(123)는 제 1 탄성 변위부(29b)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음과 동시에, 암부 성형용 캐비티(123)와 고정부 성형용 캐비티 (124)는 제 2 탄성 변위부(29d)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분리된다. 하형(61)의 미끄럼 접촉부 성형용 캐비티(128), 암부 성형용 캐비티(123) 및 고정부 성형용 캐비티(124)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압출핀(64A, 64B, 64C, 64D, 64E)이 설치되고, 사출 성형후 수지가 경화한 시점에 미끄럼 접촉부(28), 암부(23) 및 고정부(24)를 압출핀(64A, 64B, 64C, 64D, 64E)에 의해 하형 (61)에서 압출하여 헤드 지지체(21)를 분리시킨다.
헤드 지지체(21)를 성형함에 있어서, 먼저 판스프링(29)을 하형(61)에 세트하고, 상형(62)을 덮어서 상형(62) 및 하형(61)에 의해 판스프링(29)을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 (29b, 29d)에 대응하는 위치에 끼워둔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 접촉부 성형용 캐비티(128)와 암부 성형용 캐비티 (123)는 제 1 탄성 변위부(29b)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암부 성형용 캐비티(123)와 고정부 성형용 캐비티 (124)는 제 2 탄성 변위부(29d)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분리된다. 이 때 복수의 수지의 작은 조각(40)을 미끄럼 접촉부 성형용 캐비티(128), 암부 성형용 캐비티(123) 및 고정부 성형용 캐비티(124)와 각 캐비티 내면과 판스프링(29)과의 사이에 배치하고, 각 캐비티 내에서 판 스프링(29)이 수평으로 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각 캐비티 내에 용융한 수지를 사출하여 충전하였을 때 사출된 수지의 압력에 의해 판스프링(29)이 캐비티 내의 수평 상태에서 부상 또는 강하 등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지의 작은 조각(40)은 각 캐비티 (128, 123, 124)에 사출하여 충전되는 수지와 동일한 수지 재료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후, 용융한 수지가 도시하지 않은 노즐에서 하형 (61)에 설치된 스풀(61g)로 사출된다. 스풀(61g)에 사출된 용융한 수지는 하형(61)에 갖추어진 탕도(runner) (61a, 61c, 61e) 및 게이트(61b, 61d, 61f)를 경유하여 각 캐비티(128, 123, 124)로 사출되고, 충전된다. 이와 같이하여 각 캐비티 (128, 123, 124)내에서 제 7 도에 도시한 미끄럼 접촉부(28), 암부(23) 및 고정부(24)에, 각각 판스프링(29)의 분기부 (29a), 암부(23)의 내측부분(29c) 및 고정부(24)의 내측 부분 (29e)이 매입되어 일체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작은 조각(40)은 미끄럼 접촉부(28), 암부(23) 및 고정부(24)와 동일한 수지재료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럼 접촉부(28), 암부(23) 및 고정부(24)와 일체로 된다.
각 캐비티(128, 123, 124)에 사출되어 충전된 수지가 경화한 후에 상형(62)과 하형(61)을 열어서, 다음에 압출핀 (61A, 64B, 64C, 64D, 64E)을 제 13 도 중 상부로 이동시켜서 각 캐비티(128, 123, 124)내에 성형된 미끄럼 접촉부(28), 암부(23) 및 고정부(24)를 압출하고, 하형(61)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어서 탕도(61a, 61c, 61e)내에 충전되어 있던 수지를 게이트(61b, 61d, 61f)의 위치에서 절단함으로써 제 7 도에 도시한 헤드 지지체(21)가 제조된다.
미끄럼 접촉부(28)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높은 치수 정확도를 얻는 것과, 내열성이 높은 것과, 내마모성이 좋은 것과, 경량인 것 등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료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재료로서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phide : PPS), 폴리아세탈(poly acetal : POM), 폴리아릴레이트 (poly arylate : PAR), 폴리이미드 6 (polyimide 6 : 6 나일론), 폴리아미드 66 (polyamide 66 : 66 나일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 PET), 초 고분자 폴리에틸린(UHMW-PE), 고분자 폴리에틸렌(HMW-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공중합체(ABS) 등이 있다. 또한, 암부(23), 고정부 (24)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AB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미끄럼 접촉부(28)와, 암부(23) 및 고정부(24)를 다른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각각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 14 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61g)을 탕도(61c, 61e)만으로 연통 하도록 짧게 하고, 탕도(61a)에만 연통하는 스풀(61h)을 설치하며, 스풀(61g, 61h)에 각각 다른 종류의 용융한 수지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미끄럼 접촉부(28)는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며 동시에, 암부(23) 및 고정부(24)에는 저렴한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어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자기 헤드 장치에 대해서 제 15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제 1 실시예와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상의 헤드 지지체 (121)는 자기 헤드(27)를 끼워서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판스프링(129)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판스프링 (129)은 암부(123)의 도중에 즉, 암부(123)에 매설되어 있는 부분(129c)의 도중에서 광 자기 디스크(1)에 자기 헤드(27)가 접하는 방향으로 약간 굴곡져 있다. 게다가, 2 개의 판스프링 (129)과 함께 선단부의 본체부(122)에 매설되어 있는 부분(129a)은 본체부(122)의 미끄럼 접촉부(128)가 광자기 디스크(1)의 면과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후술하는 제 1 탄성 변위부의 부분에서 약간 굴곡져 있다. 이러한 판 스프링 (129)은 탄성을 가지며, 또 전도성을 갖는 재료. 예를들어 베릴륨동, 인청동 또는 다른 동합금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판스프링(129)은 고정부(124), 암부(123) 및 본체부(122)에 걸쳐서 매설되어 있다. 이러한 2 개의 판스프링 (129)의 선단부(129f)가 본체부(122)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동시에, 다른 단부(l29g)는 고정부(124)의 기부 단부에 형성된 절결부(124d)에서 노출되어 있다. 선단부(129f)는 자기 헤드(27)의 코일(26)의 단부(130)와 예를들어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선단부(129f)는 코일(26)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로서의 기능을 한다. 다른 단부(129g)는 헤드 구동 회로(41)에서 구동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 단자로서의 기능을 하고, 자기 헤드 구동 회로(41)에서 배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2개의 판스프링(129)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고정부(124)와 암부(123), 암부(123)와 본체부(122)와의 사이에서 각각 외부를 향하여 노출되어 있고, 제 1 탄성 변위부(129b)와 제 2 탄성 변위부(129d)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24), 암부(123) 및 미끄럼 접촉부(128)는 각각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합성 수지 재료로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24)는 연결 암(16)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 구멍 (124b, 124c)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부 단부에 한 쌍의 절결부(124d)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24) 내에 2개의 판스프링(129)의 기부 단부(129e)가 매설되어 있다. 암부(123)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테이퍼부와, 이 테이퍼에 연속하는 평탄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선단부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22)는 자기 헤드(27)를 수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 접촉부(128)를 가진다.
제 2 실시예에서는, 판 스프링(129)을 자기 헤드(27)를 끼워서 서로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광 자기 디스크(1)의 회전 방향의 강성을 보유한 상태에서 제 1 실시예 보다도 폭이 좁은 판 스프링이 이용되므로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129b, 129d)의 탄성력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하중력의 평형을 좌우에서 가지기 쉽고 자기 헤드(27)의 미끄럼 저항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광 자기 디스크(1)가 디스크 자신이 가지는 휨(warpage) 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디스크의 상하 운동에 의한 압력이 헤드 지지체(121)에 가하여도 롤링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 개의 판스프링(129)에 도전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자기 헤드(27)에의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배선부와 겸용할 수 있고, 헤드 지지체(121)에의 배선 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 외 배선 부재가 갖는 탄성력에 의한 영향, 즉 반력이 해소되는 등, 배선 부재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력이 헤드 지지체(121)에 가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자기 헤드(27)의 자세에 흔들림이 생기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자기 헤드(27)를 광 자기 디스크(1)에 대하여 수평으로 한 상태가 자세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2 개의 판 스프링(129)의 간격을 넓게 함으로써 헤드 지지체 (121)에 발생하는 흔들림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의한 헤드 지지체(121)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2 개의 판스프링(129)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 암부(123), 고정부(124) 및 미끄럼 접촉부(128)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에 대해서 제 16 도 내지 18 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제 1, 제 2 실시예와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것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6 도에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암 형상의 헤드 지지체를 구성하는 고정부(224), 암부 (223) 및 미끄럼 접촉부(228)는 각각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합성수지 재료로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24)는 연결암 (16)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구멍(224b, 324c)이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기부 단부에 1 쌍의 절결부(224d)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결부(224)로부터 2 개의 판스프링(129)의 다른 단부(129g)가 노출된다. 고정부(224)내에 2 개의 판스프링 (129)의 기부 단부(129e)가 매설되어 있다. 암부(123)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테이퍼부와, 이 테이퍼부에 연속하는 평탄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선단부를 향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22)는 자기 헤드(27)를 수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 접촉부 (228)를 가진다.
이러한 고정부(224), 암부(223) 및 미끄럼 접촉부 (228)의 양 측면에는 판스프링(129)의 폭과 동일한 깊이에서 판스프링(129)의 두께 보다도 약간 좁은 폭의 홈(1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홈(225)은 제 1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고정부(224), 암부(223) 및 미끄럼 접촉부(228)의 양측면의 두께 방향에서 거의 중앙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 고정부(224), 암부(223) 및 미끄럼 접촉부(228)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그후 제 17 도 1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홈에 판스프링(129)을 각각 압입하여 고정부(224), 암부(223) 및 미끄럼 접촉부(228)에 2 개의 판 스프링(129)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제 2 실시예와 같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판스프링과 고정부, 암부 및 미끄럼 접촉부를 일체화시키지는 않고, 미리 고정부(224), 암부(223) 및 미끄럼 접촉부(228)를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하고, 성형한 고정부(224), 암부(223) 및 미끄럼 접촉부(228)에 나중에 2 개의 판스프링(129)을 압입하여 부착함으로써 고정부, 암부 및 미끄럼 접촉부의 성형이 간단히 행해진다.
상술한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자기 헤드 장치에서는 제 1 탄성 변위부와 제 2 탄성 변위부를 설치함으로써 자기 헤드(27)를 광자기 디스크(1)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제 1 탄성 변위부와 제 2 탄성 변위부 외에 제 3 탄성 변위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제 3 탄성 변위부를 갖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를 자기 헤드 장치에 대하여 제 19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제 4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판스프링(229)과 본체부(322)의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암 형상의 지지체를 구성하는 판스프링(229)의 제 1 탄성 변위부의 전단부는 암부(23)에 매설된 부분(229c)에서 약간 폭이 넓게 형성되어서 평면이 대략 U 자 모양의 한쌍의 분기부 (229a)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 분기부(229a)의 선단부 쪽의 부분을 단면이 대략 U 자 모양으로 구부러지는 굴곡부 (229u)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굴곡부(229u)가 제 3 탄성 변위부로서의 기능을 한다. 굴곡부(229u)는 제 1 탄성 변위부(229)의 탄성력보다 더욱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판스프링 (229)의 다른 부분은 제 1 실시예의 판스프링(29)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322)는 자기 헤드(17)가 부착된 미끄럼 접촉부 (328)를 가진다. 미끄럼 접촉부(328)는 부착된 자기헤드(27)를 끼워서 그 양측에 한쌍의 돌출부(328u)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328u)에 굴곡부(229u)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또는 압입에 의해 부착된다. 돌출부 (328u)에 굴곡부(229u)가 부착된 상태에서 미끄럼 접촉부 (328)의 하면은 광 자기 디스크(1)의 면과 거의 평행하게 유지된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 2 탄성변위부(29d)와 동일하도록 헤드 지지체의 기부 단부에 제 2 탄성 변위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헤드 지지체의 자유 단부에 제 1 탄성 변위부(229), 더우기 제 1 탄성 변위부 (229)의 선단부에 제 3 탄성 변위부로서의 굴곡부(229u)를 갖추고 있다. 그 결과 광 자기 디스크(1)의 상하 방향의 변동, 진동에 대하여 본체부(322)가 확실하게 따라가고, 본체부(322)와 광자기 디스크(1)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을 줄일 수가 있다.
제 4 실시예에서는 돌출부(328u)에 굴곡부(229u)를 인서트 성형 또는 압입에의해 부착하였는데, 이것에 제한받지 않고 나사 고정식으로 부착하여도 좋다.
그 구성을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자기 헤드 장치로서 제 20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만, 제 4 실시예와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0 도에서, 암 형상의 지지체를 구성하는 미끄럼 접촉부(428)는 자기 헤드(27)가 부착되는 부분보다도 선단부를 향하여 부착부(429)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429)의 상부면은 미끄럼 접촉부(428)의 자기 헤드(37)가 부착되는 부분보다 한 단계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한쌍의 돌출부(428a)가 자기 헤드(27)를 끼워서 그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428a)중 한편의 돌출부(428a)는 제 20 도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각각 한쌍의 돌출부의 상부면에 판스프링(229)의 굴곡부(229u)가 복수의 태핑 나사(430)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제 5 실시예에서는 미끄럼 접촉부(428)에 굴곡부(229u)가 용이하게 부착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제 21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각 실시예와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 형상의 지지체(521)는 자기 헤드(27)를 끼워서 서로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2 개의 판스프링(529)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판스프링(529)은 암부(523)의 도중에 광자기 디스크(1)에 자기 헤드(27)가 접하는 방향으로 약간 굴곡하여 있음과 동시에, 신단부의 본체부(522)에 부착되는 부분(529a)은 미끄럼 접촉부(528)가 광자기 디스크(1)의 면과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후술하는 제 1 탄성 변위부의 부분에서 약간 굴곡져있다. 이러한 판스프링 (529)은 탄성을 가지며 또 도전성을 갖는 재료 예를들어 베릴륨동, 인청동 또는 다른 동합금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1 도에서, 2 개의 판스프링(529)이 고정부(524), 암부(523) 및 본체부(522)에 걸쳐서 이들의 상부면에 복수의 태핑 나사(530)에 의해 자기 헤드(27)를 끼워서 서로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2 개의 판스프링(529)의 선단부는 자기 헤드(27)의 코일(26)과 납땜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2 개의 판스프링(529)의 기부단부는 헤드 구동 회로(41)와 배선 부재등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고정부(524), 암부(523) 및 미끄럼 접촉부(528)는 각각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합성 수지 재료로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524)는 연결 암(56)에 부착되기 위한 복수의 나사 구멍(524c, 524b)이 형성되어 있다. 암부(523)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테이퍼부와, 이 테이퍼부에 연속하는 평탄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선단부를 항하여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522)는 자기 헤드(27)를 수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미끄럼 접촉부(528)를 가진다.
이 제 6 실시예에서는 2 개의 판스프링(529)의 고정부(524), 암부(523) 및 본체부(522)에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여기까지 설명한 각 실시예의 미끄럼 접촉부의 하부면은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미끄럼 접촉부에서는 광자기 디스크의 면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이 커진다.
이것을 개선하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 중 미끄럼 접촉부의 구성에 대해 제 22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22 도에 도시한 비끄럼 접촉부 이외의 부분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2 도에서, 암 형상의 헤드 지지체를 구성하는 미끄럼 접촉부(628)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합성 수지 재료로써 형성되고, 자기 헤드(27)가 부착되어 수납되는 오목부(628a)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접촉부(628)봐 상부면은 대략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광자기 디스크(1)에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면(628c)이 원호모양으로 헝성되어 있다. 오목(628a)의 자기 헤드(27)의 중심 자극에 대응하는 저면부(628b)는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접촉면(628c)을 원호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광 자기 디스크(1)와 미끄럼 접촉부(628)는 선 접촉 또는 점 접촉, 또는 이것에 가까운 상태로서 접촉하기 때문에 미끄럼 접촉부(628)와 광 자기 디스크(1)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가능한 작게 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지에 대해서 제 23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만 제 8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하고, 제 1 실시예와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제 23 도에서 판 스프링(629)의 선단부는 제 1 탄성 변위부(629b)의 부분에서 위를 향하여 구부러져 있다. 판스프링 (629)의 선단 부분은 후술하는 미끄럼 접촉부에 복수의 태핑 나사(530)로써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이 판스프링(629) 기부 단부는 암부(23) 및 고정부(24)에 매설되어 있다. 제 8 실시예의 경우, 판스프링 (629)이 한개 또는 2개라도 좋다.
미끄럼 접촉부(728)는 자기 헤드(27)가 부착되어 있는 헤드 부착부(728d)와, 판스프링(629)에 부착되는 부착부 (728c)가 일체로 제 1 실시예에서 도시한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접촉부(728)의 하부면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 부착부(728d)는 자기 헤드(27)가 부착되어 있는 오목부(72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728a)에 자기 헤드(27)가 끼워진다. 오목부(728a)의 자기 헤드(27)의 중심 자극과 대응하는 저면부(728b)는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728c)는 헤드 부착부(728d)의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하도록 헤드 부착부(728d)에 일체로 헝성되어 있다. 부착부(728c)의 상부 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에 나사(630)로서 판스프링(629)이 부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한 판스프링(629)의 선단부를 미끄럼 접촉부(728)의 부착부(728c)의 경사면에 복수의 태핑 나사 (630)로써 부착한다.
이와 같이 제 8 실시예의 결우에는 암부(23) 및 고정부(24)에 대하이 판스프 링(629)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후에, 암부(23) 및 고정부 (24)와는 다른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한 미끄럼 접촉부(728)를 부착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다른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암부(23), 고정부(24) 및 미끄럼 접촉부(728)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금형에 연구가 필요하지만, 제 8 실시예에 의하면 그와 같은 필요가 없게되고, 금형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8 실시예에 의하면 판스프링과 미끄럼 접촉부와의 연결은 여러 종류의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여기에 구애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미끄럼 접촉부를 성형하는 재료로서는 앞서 열거한 재료이외에, 티탄산칼륨, 탄소섬유, 탄소섬유를 충전재료로 하여 수지재료에 혼합한 재료를 이용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미끄럼 접촉부와 광자기 디스크와의 사이의 마찰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마찰부의 마모나 자기 디스크에서의 손상의 발생을 최대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자기 헤드로서 중심 자극의 양측에 자극이 만들어진 E 자형 코어를 이용한 자기 헤드에 대신하여, 중심 자극과 이 중심자극을 감싸도록 형성한 측면 자극을 갖는 소위 항아리형(pot) 코어를 이용한 자기 헤드이어도 좋다.
판 스프링은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를 형성할 수 있다면, 예를 들어 짧은 2 개의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고정부과 암부와의 사이에 1 개를 서로 연결하고, 나머지 1 개는 암부와 미끄럼 접촉부와의 사이에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부 암부 및 미끄럼 접촉부와 각 판 스프링을 일체로 성형하여도 좋다.
고정부, 암부 및 미끄럼 접촉부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나타낸 형상이외의 형상 및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자계 변조 방식의 광 자기 디스크의 기록/재생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광 변조 방식의 광 자기 디스크의 기록/재생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광 변조 방식이라는 것은 기록 데이타를 광 픽업의 광원에 공급하여 기록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온/오프(ON/OFF)하는 광 빔을 광 자기 디스크에 조사함과 동시에, 자기 헤드로부터는 직류적인 수직 자계를 광 자기 디스크에 인가하여 기록하는 방식이다. 이 외에 자기 디스크와 같은 자기 기록 매체를 이용한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1 도는 광 자기 디스크의 단면도.
제 2 도는 자계 변조 방식에 의한 광 자기 디스크의 기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3 도는 자기 헤드의 개략 단면도.
제 4 도는 자기 헤드의 지지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5 도는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 6A 도는 광 자기 디스크의 기록/재생 장치의 평면도.
제 6B 도는 광 자기 디스크의 기록/재생 장치의 정면도.
제 6C 도는 광 자기 디스크의 기록/재생 장치의 우측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8 도는 가요성 프린트 기판을 자기 헤드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 9 도는 자기 헤드와 부착 방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 10 도는 미끄럼 접촉부의 정면도.
제 11 도는 미끄럼 접촉부와 암부의 일부 단면으로서 후술하는 제 12 도의 V-Ⅴ 선의 단면도.
제 12 도는 제 11 도의 Ⅵ-Ⅵ 선의 단면도.
제 13 도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의 헤드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
제 14 도는 제 12 도에 도시한 금형의 평면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16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17 도는 제 16 도의 Ⅷ-Ⅷ 선의 단면도.
제 18 도는 판 스프링을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사시도.
제 20 도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 21 도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22 도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제 23 도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관한 자기 헤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자기 디스크 7, 11, 27 : 자기 헤드
21 : 헤드 지지체 22 : 헤드 본체부
23 : 암부 24 : 고정부
28 : 미끄럼 접촉부 29 : 판스프링
29b : 제 1 탄성 변위부 29d : 제 2 탄성 변위부
45 : 광 픽업 46 : 이송 모터
47 : 서보 제어 회로

Claims (11)

  1. 자기 헤드 소자와, 상기 자기 헤드 소자를 지지하면서 기록 매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기록 매체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되는 미끄럼 접촉부를 포함하는 헤드 본체와,
    상기 헤드 본체를 지지하는 암형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암형 지지 수단은,
    한 쌍의 판형 탄성 부재들로서, 상기 한 쌍의 판형 탄성 부재들은, 각각 단일 구조이고, 제1 및 제2 단부와, 2개의 판 표면들과, 상기 판 표면들보다 좁은 2개의 측면들을 가지며, 상기 헤드 본체는 상기 제1 단부들에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판형 탄성 부재들과,
    상기 탄성 부재들의 상기 제1 단부들과 중간 부분 사이에 있는 상기 탄성 부재들의 각각의 탄성 부재의 제1 부분을 매립하는 제1 수지 부재로서, 상기 제1 수지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들을 따라서 상기 헤드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헤드 본체와 상기 제1 수지 부재의 사이에 상기 탄성 부재들의 제1 탄성 변위부들을 한정하는, 상기 제1 수지 부재와,
    상기 중간 부분들과 상기 제2 단부들 사이에 있는 상기 탄성 부재들의 각각의 탄성 부재의 제2 부분을 매립하는 제2 수지 부재로서, 상기 제2 수지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들을 따라서 상기 제1 수지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수지 부재들의 사이에 상기 탄성 부재들의 제2 탄성 변위부들을 한정하는, 상기 제2수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들의 상기 제1 단부들은 실질적으로 U자형의 탄성 변위부들을 형성하며, 상기 U자형 탄성 변위부들에서 상기 탄성 부재들의 상기 제1 단부들은 자신의 위로 굽혀져서 상기 2의 판 표면들 중의 하나의 판 표면이 자신과 대향되며, 상기 헤드 본체는 상기 U자형 탄성 변위부들의 자유 단부측에 고정되고, 상기 U자형 탄성 변위부들의 베이스 단부측은 상기 제1 탄성 변위부들에 연결되는, 자기헤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접촉부는 상기 탄성 부재들의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지 재료로 형성된 자기 헤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는 상기 헤드 본체를 기록 매체에 접촉시키는 방향 또는 기록 매체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지 부재들은 상기 탄성 부재의 상하로부터 끼워지도록 상기 탄성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접촉부는 탄성 부재들의 선단부에 상기 탄성 부재들 상에 일체로 형성된 자기 헤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변위부의 탄성력보다 제 2 탄성 변위부의 탄성력이 크게 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수지 부재들의 연결 방향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자기 헤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도전성의 금속 재료로서 형성되고. 상기 자기 헤드 소자와 전기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접촉부의 기록 매체와 미끄럼 접촉하는 면은 단면이 원호 형상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장치.
  10.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들을 둘 다 형성하는 단일 구조의 한 쌍의 판형 탄성 부재들과, 자기 헤드 소자가 부착되는 헤드 본체와, 수지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수지 부재들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 본체와 제 1 수지 부재는 상기 제 1 탄성 변위부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지 부재들은 상기 제 2 탄성 변위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자기 헤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수지 부재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형 및 수형 금형들의 복수의 캐비티들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 변위부들로서 작용하는 부분들을 상기 암형 및 수형 금형들에 의해 깨워두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캐비티들 내에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헤드 본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수지 부재들을 상기 탄성 부재들의 두께 방향에서 상하 측부들로부터 상기 탄성부재들을 매립하도록 상기 탄성 부재들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 헤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성형품을 금형에서 꺼낸 후에 상기 헤드 본체에 자기 헤드 소자를 부착하도록 한 자기 헤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40020624A 1993-08-23 1994-08-22 자기헤드장치와그제조방법 KR100336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29486 1993-08-23
JP22948693 1993-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739A KR950006739A (ko) 1995-03-21
KR100336541B1 true KR100336541B1 (ko) 2002-11-18

Family

ID=1689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624A KR100336541B1 (ko) 1993-08-23 1994-08-22 자기헤드장치와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22154A (ko)
EP (1) EP0640965B1 (ko)
KR (1) KR100336541B1 (ko)
CN (1) CN1071473C (ko)
CA (1) CA2130602C (ko)
DE (1) DE6942123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08300B (en) * 1997-03-19 2000-10-11 Sony Corp Magnetic head device
US6057985A (en) * 1997-03-21 2000-05-02 Alps Electric Co., Ltd. Magnetic head device
US6115220A (en) * 1997-10-08 2000-09-05 Magnecomp Corp. Load beam having pitch adjustability
US6867948B1 (en) 1999-01-22 2005-03-15 Seagate Technology Llc Disc drives having flexible circuits with liquid crystal polymer dielectric
US7016267B2 (en) * 2001-09-03 2006-03-21 Canon Kabushiki Kaisha Magnetooptical recording apparatus having retreatable magnetic head
US9491275B2 (en) * 2005-09-15 2016-11-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y transfer of ownership from AT&T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ggregating contact inform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1277A (ja) * 1984-08-31 1986-03-29 Nec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の位置決めキヤリツジ用ア−ム
JPH0581726A (ja) * 1991-09-19 1993-04-02 Sony Corp 光磁気記録用磁気ヘツド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59628B1 (de) * 1970-12-03 1972-05-31 Lissmann Alkor Wer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einstueckigen Spritzgusskoerper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mit Oberflaechenbeschichtung
JPS5683870A (en) * 1979-12-13 1981-07-08 Fujitsu Ltd Magnetic head
US4456936A (en) * 1982-01-18 1984-06-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ntilevered transducer carriage
JPS59213066A (ja) * 1983-05-18 1984-12-01 Hitachi Ltd 磁気ヘツド素子用支持体
JPS61296580A (ja) * 1985-06-24 1986-12-27 Hitachi Ltd 磁気デイスクヘツド支持装置
JPS626473A (ja) * 1985-06-29 1987-01-13 Sony Corp ヘツド支持装置
JPS63100611A (ja) * 1987-09-30 1988-05-02 Sony Corp 磁気ヘッド支持装置
US4991045A (en) * 1987-12-21 1991-02-05 Hutchinson Technology, Inc. Suspension assembly
NL8801357A (nl) * 1988-05-27 1989-12-18 Ind Mouldings B 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roldeur of rolluik.
US5006946A (en) * 1989-04-19 1991-04-09 Tdk Corporation Flexible polymeric resinous magnetic head supporting device
JP2758436B2 (ja) * 1989-05-03 1998-05-28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ヘッド支持装置
US5115363A (en) * 1990-02-16 1992-05-1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Head/gimbal assembly having low stiffness cross band flexure
US5136445A (en) * 1990-08-31 1992-08-04 Seagate Technology, Inc. Air bearing slider design
US5339208A (en) * 1990-10-05 1994-08-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ssembly for supporting a magnetic head to float relative to a magnetic disk
JPH0581728A (ja) * 1991-09-20 1993-04-02 Sony Corp 光磁気記録用磁気ヘツド
JPH05128613A (ja) * 1991-10-31 1993-05-25 Sony Corp 磁気ヘツ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1277A (ja) * 1984-08-31 1986-03-29 Nec Corp 磁気デイスク装置の位置決めキヤリツジ用ア−ム
JPH0581726A (ja) * 1991-09-19 1993-04-02 Sony Corp 光磁気記録用磁気ヘツ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40965A1 (en) 1995-03-01
CA2130602C (en) 2003-01-28
US5822154A (en) 1998-10-13
CA2130602A1 (en) 1995-02-24
CN1115903A (zh) 1996-01-31
KR950006739A (ko) 1995-03-21
EP0640965B1 (en) 1999-10-20
DE69421232T2 (de) 2000-05-11
CN1071473C (zh) 2001-09-19
DE69421232D1 (de)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7207B1 (en) Optical memory apparatus
JP3496223B2 (ja) 光磁気記録用摺動型磁気ヘッド
US5657300A (en) Magnetic head having elastic members for magneto-optical recording device
EP0555815B1 (en) Disc recording apparatus
KR100336541B1 (ko) 자기헤드장치와그제조방법
US5508857A (en) Magnetic head loading/unloading apparatus maintaining a magnetic head at predetermined positions by permanent magnets
JP5335612B2 (ja) 磁性部材の取付構造、ならびにピックアップ装置
US20010048657A1 (en) Objective lens driving mechanism in optical storage device
US6510109B2 (en) Magnetic head including stepped core and magneto-optical recording device using the same
JP3501306B2 (ja) 磁気ヘッ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212044B1 (en) Magnetic head device
KR100298154B1 (ko) 광자기기록용슬라이드형자기헤드
EP0559177A2 (en) Magnetic head for magneto-optical recording
JPWO2009051198A1 (ja) 保持部材、駆動装置、ピックアップ装置、並びにディスク装置
US6091673A (en) Magneto-optical head
JP3030968B2 (ja) 光磁気記録用磁気ヘッド
JP3379250B2 (ja) 光ヘッド複合体及び光記録再生装置
JP2003075763A (ja) 光学素子支持装置
JP2004213710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情報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291253A (ja) 光記憶装置及び光記憶装置の対物レンズ駆動機構
JP3925483B2 (ja) 磁気ヘッド装置
JP2000339723A (ja) 対物レンズ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ヘッド装置
US20050232087A1 (en) Magnetic head device and magneto-optical disc apparatus
US20040233582A1 (en) Magnetic head device
JPH05128621A (ja) 光磁気記録用摺動型磁気ヘツド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