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942B1 -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942B1
KR100335942B1 KR1019990032294A KR19990032294A KR100335942B1 KR 100335942 B1 KR100335942 B1 KR 100335942B1 KR 1019990032294 A KR1019990032294 A KR 1019990032294A KR 19990032294 A KR19990032294 A KR 19990032294A KR 100335942 B1 KR100335942 B1 KR 100335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low rate
fuel
vehicle
natura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007A (ko
Inventor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3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94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7Means to treat or clean gaseous fuels or fuel systems, e.g. removal of tar, cracking, reforming or enric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15Mixtures of gaseous fuels; Natural gas; Biogas; Mine gas; Landfill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NG 충전소에서 가스충전시 천연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불필요한 오일을 천연가스로부터 여과시키고 여과되는 오일이 일정량까지 축적되면 이를 자동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압축 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CNG)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이 연료탱크로부터 압송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엔진에 필요한 압력으로 강하시키는 레귤레이터와, 이 레귤레이터를 통해 압력이 강하된 가스를 분배하는 연료 분배 파이프와, 이 연료 분배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하는 인젝터로 구성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료 분배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가스와 함께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과하면서 압력강하에 의하여 액화되는 오일을 여과하고 이를 배출하기 위한 오일여과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와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장치 및 방법{GAS FILTE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NG VEHICLES}
본 발명은 압축 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 이하 CNG라 함) 차량의 연료계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의 충전시에 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오일을 여과시켜서 일정량만큼 축적되면 이를 자동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동향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차량의 연료로 사용되는 가솔린이나 경유 등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대체연료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는데, 이 중에서 압축 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 CNG)를 연료로 사용하는 CNG차량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압축 천연가스가 가솔린 등에 비해 연소 효율이 좋고 대기오염이 적은 장점이 있기 때문인데, 이를 위해 CNG 차량에 주입되는 압축 천연가스는 다른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아야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으므로 그 순도가 중요하다.
그런데 상기 압축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CNG 차량은 통상 CNG충전소에서 가스를 충전 받고 있는바, 현재 국내 CNG충전소에서 천연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는 대부분이 낙후되어 있어 천연가스의 압축시 압축기에 사용되는 오일과 같은 불순물도 함께 압축 기화되어 천연가스에 포함되므로 천연가스의 순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일반적인 CNG차량의 연료장치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된 가스를 저장하는 연료탱크(112)와, 이 연료탱크로부터 압송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엔진에 필요한 압력으로 강하시키는 레귤레이터(114)와, 이 레귤레이터를 통해 압력이 강하된 가스를 분배하는 연료 분배 파이프(116)와, 이 연료 분배 파이프(116)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하는 인젝터(118)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연료탱크(112)로부터 나오는 소정 압력(약 200~250bar)의 가스는 레귤레이터(114)를 거치면서 엔진에서 원하는 압력으로 강하되어 연료 분배 파이프 (116)로 공급되고, 이 연료 분배 파이프(116)에 있는 다수의 인젝터(118)에 의해 각각의 실린더로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레귤레이터(114)를 거치면서 가스는 단지 압력만 강하되나 오일은 액체상태로 다시 환원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CNG 연료장치에 있어서는 압축 천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오일을 포집하거나 포집된 오일을 배출할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엔진 내로 천연가스 외에 오일이 함께 유입되었으며 운전자는 엔진내의 오일팬 등에 축적되는 오일을 주기적으로 배출해 주어야 했다.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직접 오일을 배출하는 경우, 오일의 냄새가 고약하여 배유작업이 불쾌하였으며, 운전자의 배유작업이 주기적이지 않았을 경우에는 엔진내에 오일이 축적되게 되고 이로 인해 각종 센서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일이 제대로 제거되지 못했을 경우에는 인젝터에 의해 실린더로 분사되는 압축 천연가스의 순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엔진의 출력과 연비가 저하되며 점화플러그 계통이 오염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CNG 충전소에서 가스충전시 천연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불필요한 오일을 천연가스로부터 여과시키고 여과되는 오일이 일정량까지 축적되면 이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연료 여과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장치내로 유입되는 압축 천연가스의 순도를 높이고 이에 섞여 유입되는 오일의 회수를 원활히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여과장치가 포함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장치에 대한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여과장치의 오일여과수단에 대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여과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여과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5는 일반적인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오일여과수단 22 : 오일여과기
28 : 필터 30 : 배유구
32 : 유량감지센서 34 : 구동수단
36 : 전자제어장치 38 : 에어탱크
40 : 솔레노이드 밸브 42 : 액츄에이터
44 : 피스톤 46 : 릴레이
48 : 유량제어밸브 52 : 회전수 감지센서
54 : 경고램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장치는
압축 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CNG)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이 연료탱크로부터 압송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엔진에 필요한 압력으로 강하시키는 레귤레이터와, 이 레귤레이터를 통해 압력이 강하된 가스를 분배하는 연료 분배 파이프 와, 이 연료 분배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하는 인젝터로 구성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료 분배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가스와 함께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과하면서 압력강하에 의하여 액화되는 오일을 여과하고 이를 배출하기 위한 오일여과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방법은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감압용 레귤레이터와 연료 분배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오일여과기에서 여과되는 오일의 유량을 유량감지센서에 의하여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검출되는 유량이 오일배출개시유량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검출되는 유량이 오일배출개시유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차량이 현재 시동이 멈춘 상태에서 전원 공급단에 의하여 전원만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차량이 현재 시동이 멈추고 전원만 공급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오픈(OPEN)시켜서 오일을 배출시키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배출되고 남은 유량이 오일배출종료유량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에서 남은 유량이 오일배출종료유량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클로즈(CLOSE)시켜서 오일의 배출을 종료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의 부호 12는 연료탱크를 지칭한다.
이 연료탱크(12)는 압축 천연가스를 저장하며 레귤레이터(14)에 가스를 압송하게 되며, 상기 레귤레이터(14)는 압송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엔진에 필요한 압력으로 강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오일여과수단(16)은 상기 레귤레이터(14)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바, 가스와 함께 상기 레귤레이터(14)를 통과하면서 압력강하에 의하여 액화되는 오일을 여과하고 이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에서 오일여과수단을 거쳐 나오는 가스는 오일이 제거되어 순도가 향상되어진 가스로 연료 분배 파이프(18)에 공급되며, 이 연료 분배 파이프(18)를 통해 가스를 인젝터(20)로 분배하여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하게 된다.
상기 오일여과수단(1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을 여과하기 위한 오일여과기(22)와; 이 오일여과기내에 설치되어 이에 축적되는 오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32)와;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어 차량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개폐하는 구동장치(34)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여과기(22)에는 상기 레귤레이터(14)를 통해 나오는 가스를 관통시키기 위한 가스투입구(24)와 가스 투출구(26)가 마련되고, 가스에 포함되는 오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28) 및 이 필터에 축적된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배유구(30)를 갖춘다.
이 때, 상기 가스투입구(24)는 상기 레귤레이터(14)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투출구(26)는 상기 연료 분배 파이프(18)에 연결되며, 상기 배유구(30)는 상기 구동장치(34)에 의하여 개폐시 실링이 원활히 되도록 각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부에 구동장치(34)와의 결합을 위한 삽입부(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감지센서(32)는 축적되는 오일의 상한지점을 설정하여 이에 설치되는 제1유량센서(32a)와, 축적되는 오일의 하한지점을 설정하여 이에 설치되는 제2유량센서(32b)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3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제어장치 (ECU,36)의 작동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에어탱크(38)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40)와; 이 솔레노이드 밸브(4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42)및; 이 액츄에이터(42)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연료 여과기의 배유구를 개폐하는 피스톤(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2)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3포트 2웨이 전자밸브를 이용하며 전자제어장치(36)의 작동신호에 의하여 그 방향이 전환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2)는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제어되지 않고 릴레이(46)를 개재시켜 간접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액츄에이터(42)는 단동형 실린더로서,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2)를 통하여 에어탱크(38)로부터 압축공기가 작용하여 풀스트로크 상태에 있도록 설정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2)와는 유량제어밸브(48)를 개재하여 연결시켜서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44)은 상기 액츄에이터(42)에 연결되어 초기상태에서는 풀스트로크만큼 전진한 상태로서 상기 오일여과기의 배유구(30)에 형성되는 삽입부(50)에 삽입된다.
한편, 엔진내로 유입되는 천연가스에 오일이 과다하게 포함되어 연료계통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아이들링시의 엔진의 회전수(RPM)를 감지하는 회전수감지센서(52)가 플라이휘일과 같은 엔진의 출력부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여과장치에서, 상기 유량감지센서 (32) 또는 회전수감지센서(52)에 의하여 오일여과기(22)내의 오일을 배출할 필요성이 생긴 것을 감지했을 경우에는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경고장치(54)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고장치(54)는 경고램프와 같이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이상상태를 디스플레이 해주는 장치로서 차량내의 인스트루먼트 판넬 등에 장착되며, 상기 유량감지센서(32)나 회전수감지센서(52)의 감지신호를 받은 전자제어장치(36)에 의하여 작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여과장치에서 연료를 여과하는 방법을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오일여과기(22)에 설치되는 유량감지센서(32)를 이용하여 축적된 오일의 유량을 검출한다.(S41)
상기에서 축적된 오일의 유량에 의하여 오일 유량의 상한지점에 설치되는 제1유량센서(32a)가 오프(OFF)되는지 여부에 따라 오일여과기(22)에 축적되는 유량이 오일배출개시유량 이상인지를 전자제어장치(36)에서 판단한다.(S42)
상기에서 축적되는 유량이 오일배출개시유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를 운전자가 인지하여 차량을 정지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전자제어장치(36)에서는 경고램프(54)를 점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S43)
상기 경고램프(54)가 점등되고 난 후에는, 전자제어장치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멈추고 전원공급단에 의하여 전원만 공급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44)
이는 차량의 아이들링 시나 운행중에는 오일여과기의 배출구(30)를 오픈(Open)시킬 경우 천연가스가 오일과 함께 배출될 수 있거나 천연가스에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차량의 연료계통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차량의 시동이 멈추고 전원공급단에 의하여 전원만 공급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전자제어장치는 오일여과기의 배유구(30)를 오픈(OPEN)한다.(S45)
상기 배유구(30)를 오픈시키는 과정은, 먼저 전자제어장치(ECU)에서 솔레노이드 밸브(4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이로써 액츄에이터(42)내의 압축공기가 외부대기로 방출되어 상기 배유구(30)를 밀폐시키고 있던 피스톤(44)이 후진함에 따라 상기 배유구(30)가 오픈되는 순서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오일이 배유구를 통하여 배출되기 시작하면, 전자제어장치는 축적되는 유량의 하한지점에 설치되는 제2유량센서(32b)가 온(ON)되는지 여부에 따라 오일여과기(22)에 남아있는 유량이 오일배출종료유량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46)
상기에서 남아있는 유량이 오일배출종료유량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전자제어장치는 오일여과기의 배유구(30)를 클로즈(CLOSE)시키게 되고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여과방법은 종료된다.(S47)
상기에서 남아있는 유량이 오일배출종료유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오픈시키는 작동을 계속하여 진행한다.
상기 배유구(30)를 클로즈시키는 과정은, 먼저 전자제어장치(ECU)에서 솔레노이드 밸브(40)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며, 이로써 액츄에이터(42)내로 다시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배유구(30)를 밀폐시키기 위한 피스톤(44)을 전진시켜 상기 배유구(30)를 클로즈시키는 순서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오일여과기의 배유구(30)를 개폐하는 과정(S45,S47)에서 솔레노이드 밸브(40)와 액츄에이터(42)사이에 형성되는 유량제어밸브(48)를 이용하여 피스톤(44)이 상기 배유구(30)를 개폐시키는 작동을 서서히 진행하게 하거나 빨리 진행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여과방법에는 상기 오일여과기내의 유량이 오일배출개시유량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2)에서 축적되는 오일의 유량이 오일배출개시유량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엔진의 아이들링 회전수를 검출하는 단계(S48) 및; 상기 단계(S48)에서 검출한 아이들링 회전수에 의하여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4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오일여과기의 기능저하로 엔진내로 오일이 스며들 경우에 대비하여, 오일여과기에 축적되는 오일이 비록 배출개시량에는 이르지 못하더라도 오일을 배출시켜서 오일여과기의 기능을 원활히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아이들링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9)에서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경고하는 단계(S43) 및 그 이후의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에서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여과방법이 더 이상 수행되지 아니하고 전자제어장치에 의한 작동은 종료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링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49)는 아이들링 회전수가 초기 셋팅값 보다 50(RPM) 이하이거나, 아이들링 회전수의 드롭(Drop)폭이 50(RPM) 이상인 경우에는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엔진의 회전수에 대한 비교치인 50(RPM)은 그 이하로 엔진의 회전수가 언더숏(Undershot)이 되거나 그 이상으로 엔진의 회전수가 드롭(Drop)되는 폭이 크면 연료계통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수치이다.
한편, 상기 오일여과기의 유량을 검출하고 이를 판단하는 단계(S41,S42)를 엔진의 아이들링시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이를 판단하는 단계(S48,S49)로 대체하여 본 발명에 의한 CNG엔진의 연료 여과방법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CNG엔진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연료 여과방법은
엔진의 아이들링시의 회전수(RPM)를 검출하는 제11단계(S48)와; 상기 제11단계에서 검출한 아이들링 회전수에 의하여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12단계(S49)와; 상기 제12단계에서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차량이 현재 시동이 멈춘 상태에서 전원공급단에 의하여 전원만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13단계(S44)와;
상기 제13단계에서 차량이 현재 시동이 멈추고 전원만 공급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오픈(OPEN)시켜서 오일을 배출시키는 제14단계(S45)와;
상기 제14단계 배출되고 남은 유량이 오일배출종료유량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제15단계(S46) 및;
상기 제15단계에서 남은 유량이 오일배출종료유량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클로즈(CLOSE)시켜서 오일의 배출을 종료시키는 제16단계(S47)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장치 및 연료 여과방법에 의하면 CNG 연료에 불순물로서 포함되는 오일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장치 및 연료 여과방법에 의하면 엔진룸내로 천연가스와 함께 유입되는 불필요한 오일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엔진의 수명을 증대하고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일 배출작업이 자동화되며, 엔진의 노킹이 방지되어 소음이 저감되므로 운전자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압축 천연가스(Compressed Natural Gas,CNG)를 저장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압송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엔진에 필요한 압력으로 강하시키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압력이 강하된 가스를 분배하는 연료 분배 파이프,
    상기 연료 분배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를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하는 인젝터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와 연료 분배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가스와 함께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과하면서 압력강하에 의하여 액화되는 오일을 여과하고 이를 배출하기 위한 오일여과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여과수단은
    상기 레귤레이터를 통해 나오는 가스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귤레이터에 연결되는 가스투입구와 상기 연료 분배 파이프에 연결되는 가스투출구가 마련되고, 가스에 포함되는 오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 및 이 필터에 축적된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배유구를 갖추는 오일여과기,
    상기 오일여과기내에 설치되어 이에 축적되는 오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감지센서,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어 차량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개폐하는 구동장치(34)
    를 포함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34)는,
    전자제어장치(ECU)의 작동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에어탱크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40)와;
    이 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42) 및;
    이 액츄에이터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개폐하는 피스톤(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일여과수단(16)은 엔진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차량의 아이들링시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수감지센서(52)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일여과수단(16)은 상기 유량감지센서 또는 회전수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받은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작동되는 경고장치(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장치.
  6.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감압용 레귤레이터와 연료 분배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오일여과기에서 여과되는 오일의 유량을 유량감지센서에 의하여 검출하는 제1단계(S41)와;
    상기 제1단계에서 검출되는 유량이 오일배출개시유량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S42)와;
    상기 제2단계에서 검출되는 유량이 오일배출개시유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차량이 현재 시동이 멈춘 상태에서 전원공급단에 의하여 전원만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S44)와;
    상기 제3단계에서 차량이 현재 시동이 멈추고 전원만 공급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오픈(OPEN)시켜서 오일을 배출시키는 제4단계(S45)와;
    상기 제4단계 배출되고 남은 유량이 오일배출종료유량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제5단계(S46) 및;
    상기 제5단계에서 남은 유량이 오일배출종료유량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클로즈(CLOSE)시켜서 오일의 배출을 종료시키는제6단계(S47)를 포함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42)에서 검출되는 유량이 오일배출개시유량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제7단계(S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검출되는 유량이 오일배출개시유량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엔진의 아이들링시의 회전수(RPM)를 검출하는 제8단계(S48) 및;
    상기 제8단계에서 검출한 아이들링 회전수에 의하여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9단계(S4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9단계에서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3단계(S44)가 수행되고,
    상기 제9단계에서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S49)에서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제10단계(S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방법.
  10. 엔진의 아이들링시의 회전수(RPM)를 검출하는 제11단계(S48)와;
    상기 제11단계에서 검출한 아이들링 회전수에 의하여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12단계(S49)와;
    상기 제12단계에서 차량의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차량이 현재 시동이 멈춘 상태에서 전원공급단에 의하여 전원만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13단계(S44)와;
    상기 제13단계에서 차량이 현재 시동이 멈추고 전원만 공급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오픈(OPEN)시켜서 오일을 배출시키는 제14단계(S45)와;
    상기 제14단계 배출되고 남은 유량이 오일배출종료유량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제15단계(S46) 및;
    상기 제15단계에서 남은 유량이 오일배출종료유량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오일여과기의 배유구를 클로즈(CLOSE)시켜서 오일의 배출을 종료시키는 제16단계(S47)를 포함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2단계(S49)에서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제17단계(S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방법.
  12.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S49) 또는 상기 제12단계(S49)는
    아이들링 회전수가 초기 셋팅값 보다 50(RPM) 이하이거나, 아이들링 회전수의 드롭(Drop)폭이 50(RPM) 이상인 경우에는 아이들링 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방법.
KR1019990032294A 1999-08-06 1999-08-06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장치 및 방법 KR10033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294A KR100335942B1 (ko) 1999-08-06 1999-08-06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294A KR100335942B1 (ko) 1999-08-06 1999-08-06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007A KR20010017007A (ko) 2001-03-05
KR100335942B1 true KR100335942B1 (ko) 2002-05-10

Family

ID=1960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294A KR100335942B1 (ko) 1999-08-06 1999-08-06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94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0128U (ko) * 1986-11-29 1988-07-25 대우전자 주식회사 액상 연료공급장치의 침적수 자동 배출장치
JPH08158975A (ja) * 1994-12-09 1996-06-18 Mitsubishi Motors Corp 燃料供給装置
JPH08177681A (ja) * 1994-12-28 1996-07-1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H09250418A (ja) * 1996-03-19 1997-09-22 Denso Corp 内燃機関用燃料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KR19980048530A (ko) * 1996-12-18 1998-09-15 김영귀 연료필터의 수분 자동배출장치
KR19980036825U (ko) * 1996-12-16 1998-09-15 김영귀 워터 자동배출 구조를 갖춘 연료 여과장치
KR19990020686A (ko) * 1997-08-30 1999-03-25 추호석 천연압축가스 엔진의 연료공급 압력강하 자동보상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0128U (ko) * 1986-11-29 1988-07-25 대우전자 주식회사 액상 연료공급장치의 침적수 자동 배출장치
JPH08158975A (ja) * 1994-12-09 1996-06-18 Mitsubishi Motors Corp 燃料供給装置
JPH08177681A (ja) * 1994-12-28 1996-07-1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H09250418A (ja) * 1996-03-19 1997-09-22 Denso Corp 内燃機関用燃料フィルタ及び燃料供給装置
KR19980036825U (ko) * 1996-12-16 1998-09-15 김영귀 워터 자동배출 구조를 갖춘 연료 여과장치
KR19980048530A (ko) * 1996-12-18 1998-09-15 김영귀 연료필터의 수분 자동배출장치
KR19990020686A (ko) * 1997-08-30 1999-03-25 추호석 천연압축가스 엔진의 연료공급 압력강하 자동보상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007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6341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fuel-vapor gas leaks, and vent valve apparatus applied to this apparatus
JP3432458B2 (ja) ガス燃料用内燃機関のガス漏れ検知及びフェイルセーフ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EP0643219A1 (en) Fuel feed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615656A (en) Fuel-injec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particular for a diesel motor,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same
US6076507A (en) Pump system for preventing hot start knock in a diesel engine
JP5423334B2 (ja) 燃料フィルタ再生制御装置
JP4324601B2 (ja) Lpiエンジンの燃料供給システム及び燃料強制回収方法
CN1594847A (zh) 用于内燃机的燃料供应装置及燃料压力调节方法
KR100335942B1 (ko) 압축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여과 장치 및 방법
US9222428B2 (en) Engine device
KR100535500B1 (ko) 엔진 시동 정지시 연료 라인의 연료 배출 구조
KR200396713Y1 (ko) 디젤 엔진용 인젝터 클리너
KR100895707B1 (ko) 건설중장비용 연료탱크 수분 배출 시스템
AU2006201763B2 (en) System for Preventing Fuel Leakage for LPI Injector
EP2735722A1 (en) Fuel system for an excavator
JP2021152357A (ja) 圧縮天然ガス自動車
KR100513464B1 (ko) 연료 필터의 배수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0152900Y1 (ko) 연료필터의 수분 자동 배출장치
KR20020089534A (ko) 특히 자동차 엔진용 연료 공급 시스템 작동 방법
KR200142142Y1 (ko) 압축 천연가스 자동차의 연료분사장치
CN215333101U (zh) 一种集成除水系统
KR100444443B1 (ko) 디젤 엔진의 파라핀 제거장치
KR100791818B1 (ko) 디젤엔진의 연료휠터
CN108138676A (zh) 用于操作包括高压燃料注射系统的内燃机的方法和设备
KR19990024848U (ko) Lpg 엔진의 흡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