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855B1 -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855B1
KR100335855B1 KR1019990029691A KR19990029691A KR100335855B1 KR 100335855 B1 KR100335855 B1 KR 100335855B1 KR 1019990029691 A KR1019990029691 A KR 1019990029691A KR 19990029691 A KR19990029691 A KR 19990029691A KR 100335855 B1 KR100335855 B1 KR 100335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gas
poppet
hous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671A (ko
Inventor
문성대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90029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855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8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스의 입구, 제 1챔버, 유통로, 제 2챔버, 제 3챔버, 제 4챔버 및 출구의 순서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입구와 제 1챔버 사이에 위치되는 제 1밸브시트와, 상기 제 1밸브시트의 아래에 위치되어 제 1스프링의 힘으로 폐쇄 작동되는 제 1포핏과, 상기 제 1포핏에 제 1축봉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밸브시트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 1포핏을 하방향 작동시키는 제 1플런저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제 1플런저를 직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 1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1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전자밸브; 및 상기 제 2챔버가 위치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가스를 상기 제 4챔버로 공급하는 제 1작동부재와, 상기 제 3챔버가 위치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2작동부재 및 상기 제 2작동부재 상부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4챔버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제 4챔버 내의 압력이 조절되는 압력조정장치로 이루어진 비례밸브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 내의 유로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고, 압력조정장치의 제 4스프링과 설정스프링에 의해 가스의 배출량을 정확히 조절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비례제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PROPORTIONAL CONTROL VALVE DEVICE FOR A GAS}
본 발명은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의 하우징 내에는 제 1다이아프램, 제 2다이아프램과 함께 제 2챔버, 제 3챔버 및 제 4챔버를 연이어 형성하는 한편, 비례밸브의 제 3축봉에는 보조포핏으로 개폐되도록 오리피스를 관통하여 가스 압력에 따라 제 2포핏이 자동개폐되게 하고, 압력조정장치의 제 4스프링과 설정스프링에 의해 가스의 배출량을 정확히 비례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는 조정 가능한 목표값에 대해 배출 가스압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의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의거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PG)는 하우징(1)에 비례밸브(40)와 전자밸브(3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에는 스로틀(22)이 설치된 입구(2)를 비롯하여 제 1다이아프램(44)과 제 2다이아프램(62), 제 1챔버(8), 제 2챔버(10), 제 3챔버(12), 출구(4) 및 유통로(14)를 형성하되, 상기 제 1챔버(8)와 제 2챔버(10)에 제 1밸브시트(16)를, 상기 제 2챔버(10)와 제 3챔버(12)에 제 2밸브시트(18)를, 상기 제 3챔버(12)와 유통로(14)에 제 3밸브시트(2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전자밸브(30)는 상기 제 1밸브시트(16)를 개폐하는 제 1포핏(32)과, 상기 제 1포핏(32)과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에 설치되는 제 1로드(34)와, 상기 제 1로드(34)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제 1포핏(32)이 제 1밸브시트(16)를 폐쇄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리셋스프링(36)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상기 비례밸브(40)는 상기 제 1다이아프램(44)과 제 2다이아프램(62)에 각각설치된 제 1작동부재(42)와 제 2작동부재(60)로 이루어져 있었다.
상기 제 1작동부재(42)는 상기 하우징(1)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어셈블리(52)와, 상기 솔레노이드 어셈블리(52)의 캔티레버(54)에 의해 하강되는 작동핀(46)과, 상기 작동핀(46)의 하단과 상기 제 1다이아프램(44)에 작동스프링(50)과 함께 설치되어 상기 제 2밸브시트(18)를 개폐하는 제 2포핏(32)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 2작동부재(60)는 상기 제 2다이아프램(62)의 하부로 돌출되는 조절핀(64)과, 상기 조절핀(64)의 외주면에 끼워져 한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조절스프링(66)과, 상기 조절핀(64)의 하단에 연결되어 제 3밸브시트(20)를 폐쇄하는 제 3포핏(68)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여기서, 상기 제 1로드(34)는 솔레노이드 어셈블리(52)의 전기자(56)와 브레이드 스프링(58)에 의해 하강 작동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PG)의 대략적인 작동 상태를 볼 때, 하우징(1)의 입구(2)에는 가스가 유입되어 스로틀(22)을 거쳐 제 1챔버(8)로 공급되고, 이때 솔레노이드 어셈블리(52)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전기자(56)와 브레이드 스프링(58)이 작동되고, 이에 리셋스프링(36)이 압축되면서 제 1로드(34)가 하강하여 제 1포핏(32)은 제 1밸브시트(16)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제 1챔버(8)내의 가스는 제 2챔버(1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제 2챔버(10)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가스의 일부는 제 2포핏(48)을 상부로 밀어 제 2밸브시트(20)를 개방함에 따라, 제 2챔버(20)의 가스는 제 3챔버(12)를 거쳐 출구(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제 2챔버(10)내의 가스의 일부는 제 2다이아프램(62)과 함께 조절핀(64)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외부의 조절스프링(66)이 압축되면서 가장 하단의 제 3포핏(68)은 제 3밸브시트(20)를 개방함으로써,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가 제 1챔버(8), 제 2챔버(10) 및 제 3챔버(12)의 유로를 통하는 대신, 가스는 하우징(1)의 하부에 형성된 유통로(14)로부터 제 3밸브시트(20)를 통과하여 출구(4)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가스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PG)는 하우징(1) 내에 제 1챔버(8), 제 2챔버(10), 제 3챔버(12), 유통로(14) 등과 같은 가스의 유로를 연이어 형성하지 않고, 각각 떨어진 장소에 형성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1)내에 설치되는 전자밸브(30) 및 비례밸브(40)의 부품수가 많아 설치 비용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고, 또한 조절핀(64)의 스트로크 범위를 정밀 제어하지 못해 가스량 제어를 정확히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하우징 내에 제 1다이아프램, 제 2다이아프램과 함께 제 2챔버, 제 3챔버 및 제 4챔버가 연속적으로 간단히 형성할 수 있고, 비례밸브의 제 3축봉에는 보조포핏으로 개폐되도록 오리피스를 관통하여 가스 압력에 따라 제 2포핏이 자동 개폐되게 하면서 압력조정장치의 제 4스프링과 설정스프링에 의해 가스의 배출량을 보다 정확히 비례제어할 수 있는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스의 입구, 제 1챔버, 유통로, 제 2챔버, 제 3챔버, 제4챔버 및 출구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입구와 제 1챔버 사이에 위치되는 제 1밸브시트와, 상기 제 1밸브시트의 아래에 위치되어 제 1스프링의 힘으로 폐쇄 작동되는 제 1포핏과, 상기 제 1포핏에 제 1축봉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밸브시트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 1포핏을 하방향 작동시키는 제 1플런저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제 1플런저를 직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 1챔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1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진 전자밸브; 및 상기 제 2챔버가 위치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챔버와 상기 유통로를 따라 상기 제 2챔버로 이동되어 온 가스를 상기 제 4챔버로 공급하는 제 1작동부재와, 상기 제 3챔버가 위치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4챔버 내의 가스압에 따라 가스가 제 3챔버로 통과되어 상기 출구로 배출되는 제 2작동부재 및 상기 제 2작동부재 상부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제 4챔버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제 4챔버 내의 압력이 조절되는 압력조정장치로 이루어진 비례밸브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작동부재는 상기 제 2챔버 내로 선단의 보조포핏이 제 2스프링과 함께 돌출되는 제 2축봉에 의해 제 4챔버에 연결되는 제어 유로를 개폐하는 안전장치; 상기 제 2축봉의 하단에 연결되어 제 2솔레노이드의 전원 인가에 따라 수직 작동되는 제 2플런저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 2작동부재는 제 2밸브시트에 접촉 개폐되며, 내부 중앙에는 제 3축봉이 끼워지는 제 2포핏; 상기 제 3축봉과 접속되어 보조포핏에 의해 개폐되도록 내부로 플러그가 끼워져 있는 제 3축봉; 상기 제 3축봉의 상단에 연결되어 가스 압력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3챔버 상부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다이아프램; 및 상기 제 1다이아프램의 상부로 위치하여 상기 제 1다이프램 사이에 제 3챔버를 형성하는 스페이스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압력조정장치는 제 2다이아프램의 상부로 제 4스프링과 함께 설치되어 스페이스판을 개폐하는 제 3포핏과 제 2다이아프램 하부에 제 3챔버 압력을 수용하는 유로를 통해 수용한 압력의 힘과, 상기 제 4스프링의 상단에 위치되어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 3플런저의 힘이 대향되어 항상 평형을 이루는 압력을 유지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 3솔레노이드에는 상기 제 3플런저를 일정위치 범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3솔레노이드 상하에 설정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제 3포핏의 변위에 비해 제 3플런저의 변위가 적은 상기 설정스프링의 상부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 3솔레노이드의 상부로 수동조절부를 설치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포핏의 개방에 따른 가스의 이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포핏의 개방에 따른 가스의 이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3포핏의 개방에 따른 가스의 이동 상태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판의 개폐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로, 도 7a는 스페이스판의 개방 상태이고, 도 7b는 스페이스판의 폐쇄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G1 :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100 : 하우징 102 : 입구
104 : 출구 106 : 유통로
108 : 제 1챔버 110 : 제 2챔버
112 : 제 3챔버 114 : 제 4챔버
116 : 필터 200 : 전자밸브
202 : 제 1밸브시트 204 : 제 1스프링
206 : 제 1포핏 208 : 제 1축봉
210 : 제 1플런저 212 : 제 1솔레노이드
300 : 비례밸브 310 : 제 1작동부재
311 : 보조포핏 312 : 제 2스프링
313 : 제 2축봉 314 : 제 2솔레노이드
315 : 제 2플런저 320 : 제 2작동부재
321 : 제 2포핏 322 : 플러그
323 : 제 3축봉 324 : 유로
325 : 제 1다이아프램 326 : 스페이스판
330 : 압력조정장치 331 : 제 4스프링
332 : 제 3포핏 333 : 제 3플런저
334 : 제 3솔레노이드 335 : 설정스프링
336 : 수동조절부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a, 도 7b에 의거하여 자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로,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PG1)의 하우징(100)에 전자밸브(200)와 비례밸브(300)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포핏의 개방에 따른 가스의 이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2포핏의 개방에 따른 가스의 이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3포핏의 개방에 따른 가스의 이동 상태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스판의 개폐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로, 도 7a는 스페이스판의 개방 상태이고, 도 7b는 스페이스판의 폐쇄 상태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PG1)는 하우징(100)에 전자밸브(200)와 비례밸브(30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가스의 입구(102), 제 1챔버(108), 유통로(106), 제 2챔버(110), 제 3챔버(112), 제 4챔버(114) 및 출구(104)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자밸브(200)는 상기 입구(102)와 제 1챔버(108) 사이에 위치되는 제 1밸브시트(202)와, 상기 제 1밸브시트(202)의 아래에 위치되어 제 1스프링(204)의 힘으로 폐쇄 작동되는 제 1포핏(206)과, 상기 제 1포핏(206)에 제 1축봉(208)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밸브시트(202)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 1포핏(206)을 하방향 작동시키는 제 1플런저(210)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제 1플런저(210)를 직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 1챔버(108)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1솔레노이드(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례밸브(300)는 상기 제 2챔버(110)가 위치된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챔버(108)와 상기 유통로(106)를 따라 상기 제 2챔버(110)로 이동되어 온 가스를 상기 제 4챔버(114)로 공급하는 제 1작동부재(310)와, 상기 제 3챔버(112)가 위치된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제 4챔버(114) 내의 가스압에 따라 가스가 제 3챔버(112)로 통과되어 상기 출구(104)로 배출되는 제 2작동부재(320) 및 상기 제 2작동부재(320) 상부의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제 4챔버(114)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제 4챔버(114) 내의 압력이 조절되는 압력조정장치(330)로 이루어진 비례밸브(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작동부재(310)는 상기 제 2챔버(110) 내로 선단의 보조포핏(311)이 제 2스프링(312)과 함께 돌출되는 제 2축봉(313)에 의해 제 4챔버(114)에 연결되는 제어 유로를 개폐하는 2차안전장치; 상기 제 2축봉(313)의 하단에 연결되어 제 2솔레노이드(314)의 전원 인가에 따라 수직 작동되는 제 2플런저(3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작동부재(320)는 제 2밸브시트(326)에 접촉 개폐되며, 내부 중앙에는 제 3축봉(323)이 끼워지는 제 2포핏(321); 상기 제 3축봉(323)과 접속되어 보조포핏(311)에 의해 개폐되도록 내부로 플러그(322)가 끼워져 있는 는 제 3축봉(323); 상기 제 3축봉(323)의 상단에 연결되어 가스 압력에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3챔버(112) 상부의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제 1다이아프램(325); 및 상기 제 1다이아프램(325)의 상부로 위치하여 상기 제 1다이아프램(325)과의 사이에 제 3챔버(112)를 형성하는 스페이스판(32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조정장치(330)는 제 2다이아프램(337)의 상부로 제 4스프링(331)과 함께 설치되어 스페이스판(326)을 개폐하는 제 3포핏(332)과 제 2다이아프램(337)하부에 제 3챔버(112) 압력을 수용하는 유로(324)를 통해 수용한 압력의 힘과, 상기 제 4스프링(331)의 상단에 위치되어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 3플런저(333)의 힘이 대향되어 항상 평형을 이루는 압력을 유지한다.
상기 제 3솔레노이드(334)에는 상기 제 3플런저(333)를 일정 위치범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3솔레노이드(334) 상하에 설정 스프링(335)을 설치하고, 상기 제 3포핏(332)의 변위에 비해 플런저의 변위가 적은 상기 설정 스프링(335)의 상부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 3솔레노이드(334)의 상부로 수동조절부(336)를 설치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116)는 상기 하우징(100)의 입구(102)측에 설치된 필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가스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입구(102)를 통해 유입되어 필터(116)로 불순물이 여과된 상태로 있다가 전자밸브(200)의 제 1솔레노이드(212)에 전원을 인가하면, 제 1플런저(210), 제 1축봉(208)과 함께 제 1포핏(206)은 하강하여 제 1밸브시트(202)를 개방하고, 이때 제 1포핏(206)은 그 하부의 제 1스프링(204)을 압축된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앞서와 같이 필터(116)를 통과한 가스는 제 1챔버(108)로 공급되고, 그 공급된 가스는 인접 형성된 유통로(106)를 따라 제 2챔버(110)로 공급된다.(도 4)
이어, 비례밸브(300)의 제 1작동부재(310)에 전원을 인가하면, 그 제 1작동부재(310)의 제 1솔레노이드(212)에 의한 자장의 힘은 제 2플런저(315)를 하부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플런저(315)와 연결된 제 2축봉(313)이 하강하여 그 선단의 보조포핏(311)은 플러그(322)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앞서 제 2챔버(110)에 채워진 가스는 유로(324)를 따라 제 4챔버(114)로 공급되어 가스압이 상승되게 한다. 이때, 제 2축봉(313)의 외주면에 끼워진 제 2스프링(312)은 압축된 상태로 된다.(도 5)
이와 같이, 제 4챔버(114)내의 가스압이 높아지면, 그 가스압은 제 1다이아프램(325)은 물론 제 3포핏(332)에 가해져 바깥 방향으로 각각 밀어주는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 제 4챔버(114)내에서 상승된 가스압은 제 1다이아프램(325)을 하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한편, 제 3포핏(332)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 의해 제 4챔버(114)내의 가스압을 정상치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도 6)
이 과정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 1다이아프램(325)이 가스압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이에 연결된 제 3축봉(323)과 함께 제 2포핏(321)이 하부 방향으로 움직여 제 2밸브시트(316)를 개방하게 된다. 그러면 제 2챔버(110)내의 가스는 제 2밸브시트(316)를 통과하여 제 3챔버(112)내로 이동된 후 출구(1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 4챔버(114)내의 가스 압력의 높을 경우에는 그 상승된 압력만큼 제 3축봉(323)의 스트로크(Stroke)가 커져 제 2포핏(321)에 의한 제 2밸브시트(316)의 개방 정도가 커지기 때문에 제 3챔버(112)를 통해 출구(104)로 배출되는 가스량이 많아지는 반면, 제 4챔버(114)내의 가스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제3축봉(323)의 스트로크가 작아져 제 2포핏(321)에 의한 제 2밸브시트(316)의 개방 정도가 적어지기 때문에 제 3챔버(112)를 통해 출구(104)로 배출되는 가스량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제 4챔버(114)내의 가스 압력은 일부의 가스를 출구(104)로 배출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하게 되는바, 그 가스는 스페이스판(326)의 중앙 지점에서 제 3포핏(332)과 함께 제 2다이아프램(337)을 밀면서 상부로 통과된 후, 스페이스판(326)의 상부 일측으로 관통된 구멍(도시안됨)을 통과하여 출구(104)로 배출된다. 제 3챔버(112)내의 압력을 정상치로 유지한다.(도 7a, 도 7b)
이때, 제 3포핏(332)은 스페이스판(326)의 구멍을 막고 있던 상태에서 열리는 정도는 압력조정장치(330)에 의해 수행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제 2다이아프램(337)에 부착된 제 3포핏(332)은 제 3플런저(333) 및 제 4스프링(331)에 의해 스페이스판(326)을 폐쇄 상태로 있게 하고, 그 폐쇄되는 힘은 제 3솔레노이드(334)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여 제 3플런저(333)가 제 4스프링(331)을 누르는 힘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4스프링(331)의 탄성력이 크게 되면, 그 만큼 제 4챔버(114)내의 가스 압력이 높아야 제 3포핏(332)을 밀어 스페이스판(326)을 개방할 수 있는 반면, 제 4스프링(331)의 탄성력이 작으면, 그만큼 제 4챔버(114)내의 가스 압력이 낮은 상태로도 제 3포핏(332)을 밀어 스페이스판(326)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앞서, 제 3플런저(333)는 제 3솔레노이드(334)의 내부에 설치된 설정 스프링(335)의 탄성력에 의해 미리 세팅된다. 다시말해, 제 3솔레노이드(334)의 상부에 설치된 수동조절부(336)를 회전시켜 설정 스프링(335)의 탄성력을 강하게 혹은 약하게 조절하여 제 3플런저(333)의 스트로크 범위를 한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에 따르면,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의 하우징 내에는 제 1다이아프램, 제 2다이아프램과 함께 제 2챔버, 제 3챔버 및 제 4챔버를 연이어 형성하여 하우징 내의 유로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한다. 또한 비례밸브의 제 3축봉에는 보조포핏으로 개폐되도록 오리피스를 관통하여 가스 압력에 따라 제 2포핏이 자동 개폐되게 하면서 압력조정장치의 제 4스프링과 설정스프링에 의해 가스의 배출량을 정확히 조절함에 따라 보다 정확한 비례제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가스의 입구(102), 제 1챔버(108), 유통로(106), 제 2챔버(110), 제 3챔버(112), 제 4챔버(114) 및 출구(104)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입구(102)와 제 1챔버(108) 사이에 위치되는 제 1밸브시트(202)와, 상기 제 1밸브시트(202)의 아래에 위치되어 제 1스프링(204)의 힘으로 폐쇄 작동되는 제 1포핏(206)과, 상기 제 1포핏(206)에 제 1축봉(208)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밸브시트(202)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 1포핏(206)을 하방향 작동시키는 제 1플런저(210)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상기 제 1플런저(210)를 직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 1챔버(108)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1솔레노이드(212)로 이루어진 전자밸브(200); 및
    상기 제 2챔버(110)가 위치된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챔버(108)와 상기 유통로(106)를 따라 상기 제 2챔버(110)로 이동되어 온 가스를 상기 제 4챔버(114)로 공급하는 제 1작동부재(310)와, 상기 제 3챔버(112)가 위치된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제 4챔버(114) 내의 가스압에 따라 가스가 제 3챔버(112)로 통과되어 상기 출구(104)로 배출되는 제 2작동부재(320) 및 상기 제 2작동부재(320) 상부의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상기 제 4챔버(114)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제 4챔버(114) 내의 압력이 조절되는 압력조정장치(330)로 이루어진 비례밸브(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작동부재(310)는
    상기 제 2챔버(110) 내로 선단의 보조포핏(311)이 제 2스프링(312)과 함께 돌출되는 제 2축봉(313)에 의해 제 4챔버(114)에 연결되는 제어 유로를 개폐하는 2차안전장치;
    상기 제 2축봉(313)의 하단에 연결되어 제 2솔레노이드(314)의 전원 인가에 따라 수직 작동되는 제 2플런저(3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작동부재(320)는
    제 2밸브시트(316)에 접촉 개폐되며, 내부 중앙에는 제 3축봉(323)이 끼워지는 제 2포핏(321);
    상기 제 3축봉(323)과 접속되어 보조포핏(311)에 의해 개폐되도록 내부로 플러그(322)가 끼워져 있는 제 3축봉(323)과,
    상기 제 3축봉(323)의 상단에 연결되어 가스 압력에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3챔버(112) 상부의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제 1다이아프램(325); 및
    상기 제 1다이아프램(325)의 상부로 위치하여 상기 제 1다이아프램(325)과의 사이에 제 3챔버(112)를 형성하는 스페이스판(326)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정장치(330)는
    제 2다이아프램(337)의 상부로 제 4스프링(331)과 함께 설치되어 스페이스판(326)을 개폐하는 제 3포핏(332)과 제 2다이아프램(337) 하부에 제 3챔버(112)의 압력을 수용하는 유로(336)를 통해 수용된 압력의 힘과;
    상기 제 4스프링(331)의 상단에 위치되어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 3플런저(333)의 힘이 대향되어 항상 평형을 유지하도록 압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솔레노이드(334)에는 상기 제 3플런저(333)를 일정 위치 범위에 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3솔레노이드(334) 상,하에 설정 스프링(335)을 설치하고, 제 3포핏(332)의 변위에 비해 제 3플런저(333)의 변위는 적은 상기 설정 스프링(335)의 상부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 3솔레노이드(334)의 상부로 수동조절부(33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KR1019990029691A 1999-07-22 1999-07-22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KR100335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691A KR100335855B1 (ko) 1999-07-22 1999-07-22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691A KR100335855B1 (ko) 1999-07-22 1999-07-22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671A KR20010010671A (ko) 2001-02-15
KR100335855B1 true KR100335855B1 (ko) 2002-05-08

Family

ID=1960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691A KR100335855B1 (ko) 1999-07-22 1999-07-22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133B1 (ko) * 2002-01-08 2004-07-21 동양매직 주식회사 압력조절식 비례제어가스밸브
KR102092596B1 (ko) * 2019-04-30 2020-03-24 (주)솔텍 소음 저감형 캐니스터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671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503A (en) Servo pressure regulator for a gas valve
US5435343A (en) Two stage natural/LP gas convertible pressure regulator valve with single servo controller
US5538026A (en) Pilot-operated proportional control valve
US20030192596A1 (en) Electrically operable valve assembly having an integral pressure regulator
JPH05203030A (ja) 圧力調整装置
JPS63163516A (ja) サーボ圧力調節器付きガス制御装置
US6244561B1 (en) Modulating expansion valve
US4606199A (en) Expansion valve
KR100335855B1 (ko)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JPH0473036B2 (ko)
US4254796A (en) Gas regulator valve with step opening characteristic
JP2004506126A (ja) 燃料噴射弁
US4880205A (en) Hung diaphragm solenoid valve
JP4282415B2 (ja) 圧力調整弁
US4217928A (en) Gas regulator valve with step opening characteristic
JP2002071048A (ja) 自動圧力調整弁
JPH0410403Y2 (ko)
JP2561306Y2 (ja) 定流量弁付圧力比例制御弁
JPH0740784Y2 (ja) 圧力制御用バルブ
KR20070021949A (ko) 밸브부 및 솔레노이드 밸브용 밸브부
JP4562075B2 (ja) 電気式膨張弁
KR100326977B1 (ko) 비례제어 가스밸브장치
EP0193108B1 (de) Pneumatische Intervallschaltvorrichtung
JP4081592B2 (ja) 定流量電磁弁
JPH0384285A (ja) 閉止機能付き流量調製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