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854B1 -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854B1
KR100335854B1 KR1020000033813A KR20000033813A KR100335854B1 KR 100335854 B1 KR100335854 B1 KR 100335854B1 KR 1020000033813 A KR1020000033813 A KR 1020000033813A KR 20000033813 A KR20000033813 A KR 20000033813A KR 100335854 B1 KR100335854 B1 KR 100335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information
barcode information
ticket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1930A (ko
Inventor
박환기
Original Assignee
박환기
주식회사파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환기, 주식회사파멕스 filed Critical 박환기
Priority to KR1020000033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854B1/ko
Publication of KR2002000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8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16Handling flexible sheets, e.g. chequ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외버스 승차권, 공원 입장권, 놀이시설 이용권, 기타 목적으로 바코드가 인쇄되어 발행이나 발매된 표를 사용하여 출입구를 통과하기 전에 표에 인쇄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하여 출입구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표 인식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출입통제용 게이트와 바코드인식장치를 조합하여 표를 가지고 들어가고자 하는 곳의 입구에 설치되며, 표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가능여부를 주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아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하여 표를 되돌려주거나 회수통으로 방향을 유도하도록 하는 한편, 이송수단의 상하측에 바코드인식수단이 설치되고 이송수단은 표의 양 가장자리를 잡고 이송하도록 이루어져 투입되는 표의 윗면 또는 아랫면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 정보를 모두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발명임.

Description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Ticket Checker Using Automatic Feeding System}
본 발명은 시외버스 승차권, 공원 입장권, 놀이시설 이용권, 기타 발행이나 발매된 표를 사용하여 출입구를 통과하기 전에 표에 인쇄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하여 출입구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표 인식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티켓에 인쇄된 바코드의 정보를 자동으로 읽고 사용가능여부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표를 검증하는 장치와 그 검증정보에 의하여 문의 열림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외버스 승차권, 공원 입장권, 놀이시설 이용권 등과 같이 특정 구역에의 출입허여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에는 발행일자, 발행장소, 일련번호, 표의 구분, 요금, 표 이름 등과 같은 정보를 기록하게 되며, 이러한 정보의 기록매체로는 마그네틱테이프, 바코드, 반도체메모리 등이 있다.
현재 지하철의 출입문은 표의 마그네틱테이프 즉 자기띠에 기록되어있는 자기정보를 읽어서 정상적인 표로 확인될 경우 문이 열려지고, 비정상적인 표로 확인될 경우 문이 열려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표가 투입되면 표를 인식장치에 자동으로 통과시켜 표의 정보를 독출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표의 정보를 읽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인화도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중에서 바코드로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바코드리더는 사람이 바코드 스캐너를 손에 들고 표를 인식하게 하거나, 고정되어 있는 바코드 스캐너에 표를 밀착시켜 인식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그 출입통제를 사람이 하여오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바코드가 인쇄된 부분을 인식장치에 정확하게 접근시키지 못하여 인식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며 인식장치를 주로 사람이 다루어야 함에 따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표에 인쇄되는 바코드 정보를 기구적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읽고 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이중표의 유무를 검증하여 표의 위조를 방지하고, 특정한 목적의 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외형도,
도 2는 발명의 작용설명을 위한 개략적 내부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셔트와 솔레노이드의 체결상태도,
도 3b는 티켓회수시의 솔레노이드와 셔트의 작동상태도,
도 3c는 티켓불출시의 솔레노이드와 셔트의 불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 이송용 벨트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코드인식장치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 검색장치 본체, 2 -- 표 투입구,
3 -- 표 투입감지센서, 4 -- 표 순간멈춤감지센서,
5a,5b -- 바코드 인식기, 6 -- 표 출구확인센서,
7 -- 표 회수확인센서, 8 -- 표 출구,
9 -- 표 방향유도기, 9a -- 셔트,
9b -- 솔레노이드, 10 -- 표 이송모터,
11 -- 회수통 유도통로, 12 -- 표 이송벨트,
13 -- 표 이송 누름 베어링, 14 -- 표시부,
15 -- 주제어반, 16 -- 벨트 풀리,
17a,17b -- 바코드정보 반사거울, 18 -- 회수통.
본 발명은 투입구로 투입된 표를 이송시키면서 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독출하여 출입여부를 제어하고 검증된 표를 회수하여 보관하는 보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표 검색장치에 있어서, 투입구에 설치되어 표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표투입감지수단, 모터와 벨트로 이루어져 투입된 표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바코드정보를 독출하기 위해 표를 순간적으로 멈추고 이를 감지하는 순간멈춤감지수단, 표의 바코드정보를 바코드인식부로 반사할 수 있도록 이송벨트의 상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반사수단, 표에 인쇄되어있는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인식수단, 바코드정보 인식결과 표의 허용여부에 따라 표를 반환하기 위한 출구측과 수용하기 위한 회수통으로 표의 투출방향을 유도하는 방향유도수단, 표가 출구측으로 이송됨을 감지하는 표출구확인수단, 표가 회수통으로 이송됨을 감지하는 표회수확인수단, 회수된 표가 저장되는 회수표 보관수단이 구비되어, 그 인식된 정보가 정당한 것인가를 판정하는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방법은 표의 투입을 감지하면 모터로 벨트를 구동하여 바코드인식위치까지 이송하는 이송단계, 바코드정보 인식위치에서 표를 순간정지시킨후 반사거울을 통해 바코드정보를 바코드인식수단으로 반사하여 표의 인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바코드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일정 횟수동안 표를 전진 및 후진시켜 바코드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바코드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된 표의 정보에 대해 사전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목적에 맞는 정상적인 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단계에서 정상적인 표로 확인된 경우 셔트와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표를 회수통으로 이송하여 회수함과 더불어 출입문 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한편 비정상적인 표로 확인된 경우 솔레노이드를 통해 셔트를 작동시켜 셔트가 표를 출구측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하여 불출함과 더불어 출입문 폐쇄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외형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b는 회수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외형도를 도시한 것이다.
표 검색장치의 본체(1)에는 수평방향의 슬롯이 형성되어 바코드정보가 기록된 표를 투입하도록 된 표 투입구(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표투입구(2)의 내측 인접된 곳에는 표 투입을 감지하는 표투입감지센서(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투입구(2)의 내측에 연하여 투입된 표를 이송시키는 벨트(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12)는 상기 표투입감지센서(3)의 감지신호에 따라 후술되는 제어부(15)의 제어신호에 의거 표를 바코드인식수단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모터(10)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상기 표투입감지센서(3)를 통과한 적정 위치에는 표의 정보를 읽기 위해 표의 이송을 순간적으로 멈추기 위한 표순간멈춤감지센서(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표순간멈춤감지센서(4)에 의거 표가 감지되면 표의 이송을 순간적으로 정지시키고 표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정보를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바코드정보를 인식하는 수단은 이송중인 표가 순간적으로 멈춰지는 위치에 반사거울(17a)(17b)이 설치되어 표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정보를 바코드 인식수단으로 반사하여 입력시킴에 따라 바코드인식기(5a)(5b)가 바코드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바코드인식기(5a)(5b)는 벨트를 타고 이송되어진 표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를 읽고 그 정보를 주제어부(15)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바코드인식기(5a)(5b)의 후단에는 표의 방향을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셔트(9a)와 솔레노이드(9b)가 설치되어 있는 바, 셔트(9a)와 솔레노이드(9b)는 도 3b와 도 3c에 의거 후술되는 바와 같이 표의 인식상태에 따라 이송되어온 표를 표의 방향유도수단 후단에 설치되는 표출구(8) 혹은 회수통(18)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향유도수단과 회수통(18) 사이에는 하향 경사진 슬라이드 형태의 회수통 유도통로(11)가 설치되어 있고, 유도통로(11)의 일측에는 표가 회수통 유도통로(11)를 통과함을 감지하여 통과신호를 출력하는 표회수확인센서(7)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방향유도수단과 표출구(8) 사이에는 표가 표출구(8)로 불출됨을 감지하여 통과신호를 출력하는 표불출확인센서(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벨트(12)의 진행방향에는 표의 이송을 원활히 하기 위해 다수의 베어링(13)이 설치되어 있고, 표의 인식결과를 한글로 표시해 주는 표시부(14)가 설치되어 있으며, 표의 투입감지로부터 불출 또는 회수에 이르기까지의 전반적인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5)가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투입구(2)에는 시외버스 승차권, 공원 입장권, 놀이시설 이용권, 기타 목적으로 발행이나 발매된 표가 투입되게 되고, 표출구(8)는 투입된 표를 인식하여 사용 할 수 없는 표를 되돌려주게 되며 표시부(14)는 인식내역을 표시하는 한편 이상 경고음을 울려준다. 예컨대, 투입구(2)로 투입된 표가 정상적인 표로 인식되었을 때 회수통 유도통로(11)로 표를 이송해 주며, 표시부(14)에는 통행을 허가하는 내용이 표시되는 한편, 비 정상적인 표로 인식되었을 때 표출구(8)로 표를 불출해 주며 표시부(14)에는 통행을 불허하는 내용이 표시됨과 아울러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게 된다.
주제어부(15)는 표가 투입구(2)를 통과하여 표 투입 감지센서(3)로부터 표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표 이송용 모터(10)를 구동시켜 벨트(12)가 표를 순간멈춤 신호를 출력하는 표 순간멈춤 감지센서(4)까지 표를 이송하게 하고, 이때 바코드인식장치(5a)(5b)가 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모터(10)를 순간적으로 제어하며, 인식된 바코드 정보를 검증하여 그 결과를 표시부(14)에 표시하여주는 역할과 셔트(9a)와 솔레노이드(9b)를 구동하여 표의 진행방향을 표출구(8) 혹은 회수통(18)으로 구분하여 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는, 바코드정보가 인쇄되어 있는 표가 자동이송장치의 투입구(2)로 투입되면 바코드정보 반사거울(17a 또는 17b)을 통하여 표의 바코드정보가 바코드인식기(5a 또는 5b)로 반사되고 바코드인식기(5a 또는 5b)는 표의 발행일자, 발행장소, 일련번호, 표의 구분, 요금, 표 이름 등의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주제어부(15)로 출력한다. 주제어부(15)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식된 정보를 분석하여 표가 목적에 맞는 표일 경우 표의 방향을 유도하는 셔트(9a)와 솔레노이드(9b)를 열어 표를 회수통 유도통로(11)로 보냄과 동시에 문을 열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하며, 목적에 맞지 않는 표일 경우 표 출구(8)로 표를 불출하여 표가 되돌려 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경보음(도시되지 않음)을 발생하고 또한 문이 열리지 않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표를 이송하는 과정에 있어, 어떠한 경우든 표는 표출구(8)에 있는 불출확인센서(6)를 벗어나거나, 표 회수통 통과 확인센서(7)를 통과하지 못하면 표 투입구(2)를 통과하여 표 투입 감지센서(3)에 표가 감지되더라도 표 이송모터(10)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는 차례를 기다리는 다음 사람이 표를 투입하여 오동작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발명에 따른 셔트와 솔레노이드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3a는 셔트와 솔레노이드의 체결도면이고, 도 3b는 회수동작모우드인 경우 셔트와 솔레노이드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3c는 불출동작시의 셔트와 솔레노이드의 작동상태도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셔트(9a)와 솔레노이드(9b)는 바코드인식기(5a)(5b)가 인식한 정보를 주제어부(15)의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가 분석하여 표가 진행될 방향신호를 솔레노이드(9b)로 보내주면 솔레노이드(9b)는 그 신호에 따라 전기적 작동으로 셔트(9a)를 도 3b와 같이 정상표일 경우 회수통 유도통로(11)로 이송할 수 있도록 표의 진행방향을 결정하여 주고, 목적에 맞지 않는 표 일 경우 셔트(9a)를 도 3c와 같이 표 출구(8)로 표가 불출될 수 있도록 표의 진행방향을 결정하여 준다.
도 4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표 이송용 벨트조립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이송벨트(12) 위에 얹혀진 표의 바코드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정보 인식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표의 특징에 따라 전면 또는 배면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표의 양단이 벨트에 얹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바코드인식기(5a)(5b)는 표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바코드정보가 인쇄되어 있더라도 반사거울(17a) 또는 반사거울(17b)에 의하여 바코드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특히, 표의 사용용도와 특징에 따라 바코드가 표에서 종방향 인쇄, 횡방향 인쇄, 전면인쇄, 배면인쇄 등으로 변하더라도 이에 대처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된 구조로 되어있다.
도 5는 표의 인식에 대한 결과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표 투입구(2)를 통하여 표 투입구 감지센서(3)에 표가 감지되면 표 이송모터(10)가 작동하여 표를 순간 멈춤 감지센서(4)까지 이송시키며, 그러나 순간적으로 투입구 감지센서(3)에 감지되었다가 표가 투입구(2)에서 이탈하면 초기상태로 전환하여 표가 투입되기를 기다린다(ST1).
표 순간 멈춤 감지센서(4)에 표의 감지여부를 판단하여(ST2) 표가 감지되면 주제어부(15)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표 이송모터(10)를 정지시키고 바코드인식기(5a 또는 5b)가 바코드 정보를 읽는다(ST3). 그러나 표 순간 멈춤 감지센서(4)에 표가 일정시간동안 감지되지 않으면(ST6) 이송모터(10)는 동작을 멈추고 초기상태로 전환하여 표가 투입되기를 기다린다.
상기 바코드정보확인단계(ST3)에서 바코드정보가 읽혀지지 않으면 표를 다수회 전후진 시켜 바코드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하고 바코드 정보가 확인되면 이를 주제어부(15)로 보내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바코드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비교하여 정상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T4).
상기 정상표여부 확인단계에서 정상표로 확인되면 표 진행방향 신호를 솔레노이드(9b)로 보내주고 표를 이송하도록 표 이송모터(10)를 작동시킨후 회수통 통과 확인센서(7)에 의해 표의 회수가 감지되면(ST5) 표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한편, 정상표가 아닌 비정상표로 확인되면 표 반환신호를 솔레노이드(9b)로 보내주고 표출구(8)로 표를 이송하도록 표 이송모터(10)를 작동시키면서 반환되는 정보를 정보 표시부(14)에 표시하여주고 표를 이송한다.
상기 단계에서 정상표로 확인된 표는 회수통 유도통로(11)로 보내지며 회수통 통과확인센서(7)를 벗어나면 주제어부(15)는 표 이송모터(10)를 정지시키고 투입되는 표를 처리할 준비를 한다. 또한, 이송되어진 표가 비 정상표 일 경우 표는출구(8)로 보내지며 표 출구확인센서(6)에 표가 감지되면(ST7) 주제어부(15)는 표 이송모터(10)를 정지시키고 표가 빠져나가기를 기다리며 표가 빠져나갈 경우 다시 투입되는 표를 처리할 준비를 한다. 표 출구확인센서(6)에 표가 감지되지 않으면 표가 감지될 때까지 계속 동작하며, 표 출구확인센서(6)에 표가 계속 감지되면 표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동작을 멈추고 기다린다 (ST8).
본 발명에 의하여 바코드를 인쇄하여 그 정보를 활용하는 시외버스 승차권, 공원 입장권, 놀이시설 이용권, 기타 발행이나 발매된 표를 사용하여 문을 통과하기 전에 표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의 정보를 자동으로 읽고 사전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내용을 조회한후 사용가능여부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표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표의 유무를 검증할 수 있고, 특정한 목적의 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투입구로 투입된 표를 이송시키면서 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하여 출입여부를 제어하고 검증된 표를 회수하여 보관하는 보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표 검색장치에 있어서, 투입구에 설치되어 표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표투입감지수단, 모터와 벨트로 이루어져 투입된 표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바코드정보를 독출하기 위해 표를 순간적으로 멈추고 이를 감지하는 순간멈춤감지수단, 표의 바코드정보를 바코드인식수단으로 반사할 수 있도록 이송벨트의 상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반사수단, 표에 인쇄되어있는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바코드인식수단, 바코드정보 인식결과 표의 허용여부에 따라 표를 반환하기 위한 출구측과 수용하기 위한 회수통으로 표의 투출방향을 유도하는 방향유도수단, 표가 출구측으로 이송됨을 감지하는 표출구확인수단, 표가 회수통으로 이송됨을 감지하는 표회수확인수단, 회수된 표가 저장되는 회수표 보관수단이 구비되어, 그 인식된 정보가 정당한 것인가를 판정하는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있도록 된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인식수단은 이송수단의 상측과 하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됨과 아울러 이송수단으로 사용되는 벨트는 2개의 벨트가 일정 간격을 두고 표의 양끝을 잡고 이송되도록 설치되어 2개의 벨트사이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위치되는 바코드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출방향유도수단은 바코드인식수단의 인식결과 표의 사용가능 또는 사용불가가 판정되면 표의 진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와 셔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
  4. 표의 투입을 감지하면 모터로 벨트를 구동하여 바코드인식위치까지 이송하는 이송단계, 바코드정보 인식위치에서 표를 순간정지시킨후 반사거울을 통해 바코드정보를 바코드인식수단으로 반사하여 표의 인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바코드정보가 인식되면 인식된 표의 정보에 대해 사전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목적에 맞는 정상적인 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단계에서 정상적인 표로 확인된 경우 셔트와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표를 회수통으로 이송하여 회수함과 더불어 출입문 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한편 비정상적인 표로 확인된 경우 솔레노이드를 통해 셔트를 작동시켜 셔트가 표를 출구측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하여 불출함과 더불어 출입문 폐쇄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바코드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일정 횟수동안 표를 전진 및 후진시켜 바코드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방법.
KR1020000033813A 2000-06-20 2000-06-20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 KR100335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813A KR100335854B1 (ko) 2000-06-20 2000-06-20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813A KR100335854B1 (ko) 2000-06-20 2000-06-20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930A KR20020001930A (ko) 2002-01-09
KR100335854B1 true KR100335854B1 (ko) 2002-05-08

Family

ID=1967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813A KR100335854B1 (ko) 2000-06-20 2000-06-20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8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373A (ko) * 2001-10-27 2001-12-13 이재철 바코드가 인쇄된 지로용지의 대량 접수장치
CN102240884A (zh) * 2010-05-13 2011-11-16 苏州国光机电工业有限公司 一种链板通孔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37B1 (ko) * 2007-08-23 2009-06-15 와이즈큐브 주식회사 탑승권 인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373A (ko) * 2001-10-27 2001-12-13 이재철 바코드가 인쇄된 지로용지의 대량 접수장치
CN102240884A (zh) * 2010-05-13 2011-11-16 苏州国光机电工业有限公司 一种链板通孔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930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3553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symbols printed on documents or the like
US4600828A (en) Automatic issuance of passbooks and the like
AU2003250726A1 (en) Return station for refundable or borrowed objects
KR100335854B1 (ko)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한 표 검색장치
JP6242961B2 (ja) 改札機
KR100954489B1 (ko) 티켓 회수 처리장치
KR200405940Y1 (ko) 자동 표 검색 및 분리 배출장치
JP6054172B2 (ja) 改札機および改札機の集札処理方法
JP6226401B2 (ja) 改札機
JP6226402B2 (ja) 改札機
JP6054171B2 (ja) 改札機
KR100767057B1 (ko) Ic 카드 인식이 가능한 카드 디스펜서
KR200189774Y1 (ko) 1회용 알에프카드 발매기의 알에프카드 투출장치
JP4727957B2 (ja) カード処理装置
JP2975809B2 (ja) 自動改札装置
JPH0773345A (ja) 券類処理装置
JPH07200887A (ja) 券類処理装置
JPH0773347A (ja) 券類処理装置
JP5226254B2 (ja) 景品読取装置
JPH10157904A (ja) 紙幣収納装置
JP2000207594A (ja) 自動改札機
JPH0773348A (ja) 券類処理装置
JPH0789619A (ja) 券類処理装置
JPH0793616A (ja) 券類処理装置
JP2002024875A (ja) リストバンド自動精算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