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499B1 - 형광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형광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499B1
KR100334499B1 KR1019980052156A KR19980052156A KR100334499B1 KR 100334499 B1 KR100334499 B1 KR 100334499B1 KR 1019980052156 A KR1019980052156 A KR 1019980052156A KR 19980052156 A KR19980052156 A KR 19980052156A KR 100334499 B1 KR100334499 B1 KR 10033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producing
intermetallic compound
oxide
rare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676A (ko
Inventor
다츠오 야마우라
시게오 이토
히토시 도키
모르드코비치 우라디미르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아츠시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사키 다다시
가부시키가이샤 고쿠사이 기반자이료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아츠시,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사키 다다시, 가부시키가이샤 고쿠사이 기반자이료 겐큐쇼 filed Critical 니시무로 아츠시
Publication of KR1999006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 C09K11/7767Chalcoge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83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one of which being europ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4Methods for preparing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32Methods for preparing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by oxidation or hydrolysis of elements or compounds in the liquid or solid state or in non-aqueous solution, e.g. sol-gel process
    • C01B13/322Methods for preparing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by oxidation or hydrolysis of elements or compounds in the liquid or solid state or in non-aqueous solution, e.g. sol-gel process of elements or compounds in the solid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00Compounds of copper
    • C01G3/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01Chalogen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과제) 희토류 원소로 활성화된 산화물의 나노결정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이 부 생성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형광체를 제조한다.
(해결수단) 금속간 화합물 합금 Y0.96Eu0.04Ni5을 1.5MPa의 수소분위기에서 온도를 25℃에서 150℃ 까지 주기적으로 올리고 내린다. Y0.96Eu0.04Ni5⇔ Y0.96Eu0.04Ni5H6200회 반복하면 평균입경은 2㎛이 된다. 또한 400℃에서 반복을 행하고, 시료입자를 ㎚ 사이즈로 한다. Y0.96Eu0.04Ni5H6→ (Y0.96Eu0.04) H2+ 5Ni + 2H2↑ 공기중 250℃에서 산화하고, 산화물/금속 나노 복합물을 얻는다. 2(Y0.96Eu0.04)H2+ 10Ni + 2.5O2→ (Y0.96Eu0.04)2O3+ 10Ni + 2H2O ↑ 이 형광체의 표면은 부생성물에 오염되지 않았고, 높은 발광효율로 적색으로 발광한다.

Description

형광체의 제조방법{PHOSPH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희토류 원소로 활성화된 초미립자 산화물 결정 형광체의 제조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희토류 원소로 활성화된 산화물의 초미립자 결정(nanocrystal, 이하 나노결정이라 함)으로 이루어지는 형광체의 제조방법이, 미국특허 563725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나노결정 산화물은 졸-겔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 졸-겔법과 유사한 방법은 Y-Eu n-부톡사이드 [Y-Eu(O n-Bu)X]의 부탄올(C4H9OH)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행해진다.
이트륨과 활성화 원소(activator element)인 Eu의 부톡사이드용액(n-butoxide solution)은 다음과 같이 준비한다.
Y n-부톡사이드의 합성은 금속 Na과 iso-프로판올의 반응으로 Na iso-프로폭사이드를 만들고, YCl3을 가하여 Y iso-프로폭사이드를 얻는다.
YCl3+ 3NaO i-Pr → Y(O i-Pr)3+ 3NaCl
이 용액에 n-부탄올을 가하여 iso-프로필기를 n-부틸기로 치환하고 공비 증류하여 Y n-부톡사이드를 얻는다.
Y(O i-Pr)3+ n-BuOH → Y(O n-Bu)3+ i-PrOH
Eu 등의 활성재의 n-부톡사이드의 합성은 Y 부톡사이드와 같이하여 행한다.
합성된 Y와 활성재 Eu의 각 n-부톡사이드를 117℃에서 혼합하면 이트륨과 활성화 원소(activator element)인 Eu의 부톡사이드 용액(n-butoxide solution)이 얻어진다.
희토류원소로 활성화된 산화물의 나노결정(nanocrystal)으로 이루어지는 형광체의 종래의 합성방법에 대하여 이상과 같이하여 얻은 Y-Eu n-butoxide [Y-Eu(O n-Bu)X]의 부탄올(C4H9OH) 용액을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Y-Eu n-부톡사이드/부탄올 용액에 아세트산을 가하여 다음과 같이 아세트산화한다.
Y-Eu(O n-Bu)X+ CH3COOH → Y-Eu(O-COCH3)X+ n-BuOH
이 반응은 혼합하여 0.5∼1.0시간방치함으로써 Y-Eu 아세트산염과 n-부탄올이 생성한다. pH는 ∼8.0에서 알칼리성이지만 아세트산의 첨가에 의해 pH가 내려 ∼5.0이 된다.
이 용액에 물을 가하여 가수분해에 의해 Y-Eu의 수산화물을 형성한다.
Y-Eu(O-COCH3)X+ n-BuOH + H2O → Y-Eu(OH)3+ OH
이 Y-Eu의 수산화물이 함유된 용액에 NaOH 수용액을 85℃에서 가하고, pH =13.5로 하면 Eu 활성의 산화 이트륨의 나노결정이 침전한다(Y2O3: Eu).
침전한 나노결정입자는 물과 아세톤으로 씻고, 유기 부생성물을 제거한다. 입자는 건조후 묽은 NaOH로 씻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희토류 원소로 활성화된 산화물의 나노결정 형광체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여러 용제를 사용한 반응 프로세스를 거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얻은 형광체의 입자표면이 유기 부생성물에 의해 오염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형광체의 입자표면에서 오염물질이 발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형광체의 발광이 억제되는 현상(비발광완화)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설사 이 부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성을 행하여도 미세한 형광체 입자 사이에 가열된 부생성물이 들어가 버리기 때문에 완전한 제거는 행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희토류 원소로 활성화된 산화물의 나노결정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이 부생성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형광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형광체의 제조방법은 활성원소를 도입한 금속간 화합물 합금을 이용하여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간 화합물 합금에 대하여 수소가스 중에서 수소화와 탈수소의 조작을 반복하여 부여하고, 다음에 이것을 산화함으로써 활성원소를 함유하는 나노 결정 금속산화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형광체의 제조방법은 청구항 1 기재의 형광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간 화합물이 희토류 금속과 천이금속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형광체의 제조방법은 청구항 1 기재의 형광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활성원소가 희토류 금속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형광체의 제조방법은 청구항 1 기재의 형광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소화와 탈수소의 상기 조작의 반복이 적어도 200회 이상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형광체는 청구항 1 기재의 형광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고, 활성원소를 함유하는 금속간 화합물의 나노결정 금속산화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종래의 제조방법에서는 각종 용제를 사용한 반응프로세스를 거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얻은 형광체의 입자표면이 유기 부생성물에 의해 오염되어 버려, 이에 따라 비발광 완화가 일어나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표면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용제프로세스를 채용하였다.
우선, LaNi5, YCu5등, 많은 금속간 화합물(lntermetallic Compounds)은 온화한 온도와 압력에서 수소를 흡착(수소화물 생성)하고, 또 수소를 탈리(수소화물 분해)한다. 수소화와 수소탈리의 반복으로 금속간 화합물은 서브 ㎛ 사이즈의 메쉬나 휘스커(whisker) 구조로 변한다. 200℃ 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소로 처리하면 금속간 화합물의 수소화 분해가 일어나고, LaH2와 같은 수소화물형성 금속의 수소화물과, Ni와 같은 수소화하지 않는 금속으로 불균일화된다.
이같은 지견을 기초로 예의 연구를 진행시킨 결과, 수소화하기 전의 금속간화합물에 활성재 원자를 도입하고, 이에 대하여 수소화와 수소탈리를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산화하여 금속산화물의 가루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형광체에 비하여 발광효율이 개선된 발광성 무기산화물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표면이 청정한 물질이 얻어진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희토류 원소와 천이원소를 베이스로하여 Eu나 Pr이나 Ce와 같은 활성원소를 적당량 함유하는 금속간 화합물에 대하여 수소가스 분위기에 있어서 수소화와 탈수소화의 조작을 반복한다. 다음에, 산소분위기에 있어서 산화함으로써 발광성의 혼합 산화물 가루가 얻어진다.
(실시예)
(1) 제1실시예
금속간 화합물 합금 Y0.96Eu0.04Ni5을 1.5 MPa의 수소분위기에서 온도를 25℃에서 150℃ 까지 주기적으로 올리고 내린다. 반응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Y0.96Eu0.04Ni5⇔ Y0.96Eu0.04Ni5H6
이 반응을 반복하면 입경이 작아진다. 200회 반복하면 평균입경은 2㎛가 된다. 시료입자의 내부를 ㎚ 사이즈의 초미립자로 이루어진 2개의 상(즉 (Y0.96Eu0.04)H2와 Ni)으로 나누기 위하여 400℃에서 반복 행한다.
Y0.96Eu0.04Ni5H6→ (Y0.96Eu0.04)H2+ 5Ni + 2H2
최종단계로서 공기중 250℃에서 산화하여 수소화물/금속 나노 복합물을 산화물/금속 나노 복합물로 한다.
2(Y0.96Eu0.04)H2+ 10Ni + 2.5O2→ (Y0.96Eu0.04)2O3+ 10Ni + 2H2O ↑
이 형광체 표면은 부생성물에 오염되지 않았고, 높은 발광효율로 적색으로 발광한다.
(2) 제2실시예
금속간 화합물 합금 La0.95Ce0.05Cu5을 0.2MPa의 수소분위기에서 온도를 25℃에서 100℃ 까지 주기적으로 올리고 내린다. 반응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La0.95Ce0.05Cu5⇔ La0.95Ce0.05Cu5H6
1000회 반복하면 평균입경은 1㎛가 된다. 최종 단계로서 합금을 공기중 400℃에서 산화하여 산화물/산화물 나노 복합물로 한다. 그것은 시료입자를 입자 내부가 ㎚ 사이즈의 덩어리로 이루어지는 2개의 상(즉 (La0.95Ce0.05)2O3와 CuO)으로 나누기 위해서다.
2La0.95Ce0.05Cu5+ 6.50O2→ (La0.95Ce0.05)2O3+ 10CuO
이 형광체의 표면은 부생성물에 오염되지 않았고, 높은 발광효율로 청색 또는 청녹색으로 발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희토류 원소로 활성화된 산화물의 나노 결정으로 이루어지는 형광체에 있어서, 표면이 청정하고 높은 발광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4)

  1. 활성원소를 도입한 금속간 화합물 합금을 이용하여 형광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간 화합물 합금에 대하여 수소가스 중에서 수소화와 탈수소의 조작을 반복하여 부여하고, 다음에 이것을 산화함으로써 활성원소를 함유하는 나노 결정 금속산화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간 화합물은 희토류 금속과 천이금속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체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원소는 희토류 금속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체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화와 탈수소의 상기 조작의 반복은 적어도 200회 이상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체의 제조방법.
KR1019980052156A 1997-12-03 1998-12-01 형광체의제조방법 KR100334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3067A JPH11166179A (ja) 1997-12-03 1997-12-03 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97-333067 1997-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676A KR19990062676A (ko) 1999-07-26
KR100334499B1 true KR100334499B1 (ko) 2002-06-20

Family

ID=1826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156A KR100334499B1 (ko) 1997-12-03 1998-12-01 형광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166179A (ko)
KR (1) KR100334499B1 (ko)
FR (1) FR2771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0639B2 (ja) * 2006-03-27 2013-01-30 三菱化学株式会社 蛍光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発光装置
CN103254894A (zh) * 2005-04-01 2013-08-21 三菱化学株式会社 无机功能材料原料用合金粉末及荧光体
CN101171321B (zh) * 2005-04-01 2013-06-05 三菱化学株式会社 无机功能材料原料用合金粉末及荧光体
WO2007135975A1 (ja) 2006-05-19 2007-11-2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窒素含有合金、及びそれを使用した蛍光体の製造方法
JP2012207228A (ja) * 2012-07-09 2012-10-25 Mitsubishi Chemicals Corp 蛍光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22439A1 (en) * 1993-04-20 1994-11-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Quantum sized activator doped semiconductor particles
US5637258A (en) * 1996-03-18 1997-06-10 Nanocrystals Technology L.P. Method for producing rare earth activited metal oxide nanocryst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66179A (ja) 1999-06-22
KR19990062676A (ko) 1999-07-26
FR2771749A1 (fr) 1999-06-04
FR2771749B1 (fr) 200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886A (en) Microemulsion method for producing activated metal oxide nanocrystals
US5637258A (en) Method for producing rare earth activited metal oxide nanocrystals
KR100293330B1 (ko) 오르토규산 아연계 녹색 발광 형광체의 제조방법
Zhang et al. Photoluminescence and ZnO→ Eu3+ energy transfer in Eu3+-doped ZnO nanospheres
US20030111644A1 (en) Process for producing nanoscale yttrium aluminum garnet (YAG) fluorescent powders
KR100334500B1 (ko) 형광체의제조방법
JP4206100B2 (ja) イットリウム系蛍光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素子
JP2007238879A (ja) 蛍光体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34499B1 (ko) 형광체의제조방법
KR100309707B1 (ko) 융제가 도입된 분무열분해법에 의한 산화물 형광체의 제조방법
JP2002029742A (ja) 希土類金属酸化物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23656A (ja) 球形状蓄光材の製造方法および球形状蓄光材
KR100376276B1 (ko) 구상 녹색 형광체 분말의 제조방법
JP3877922B2 (ja) 希土類化合物の製造方法
JP4723150B2 (ja) 希土類ホウ酸塩の製造方法、及びそのホウ酸塩の発光体への応用
JP2004099383A (ja) 希土類酸化物蛍光体の製造法
KR20000018337A (ko) 녹색 발광 형광체의 제조방법
Thirumalai et al. Synthesis and chemical properties of Y2O2S: Eu3+ nanostructures using composite-hydroxide-mediated method
KR100351636B1 (ko) 구상의 갈륨산아연계 형광체의 제조방법
JP2008087977A (ja) 複合酸化物ナノ粒子の製造方法
KR100419863B1 (ko) 구상의 붕소산화물계 적색 형광체의 제조방법
JP2003027058A (ja) 希土類オキシ硫化物超微粒子の製造方法
CN113336262B (zh) 一种具有中空球状结构的氢氧化铟纳米材料的制备方法
KR20050064697A (ko) 고효율 광 촉매 복합 나노 분말과 그의 제조 방법
JP2001107038A (ja) 蛍光体粉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