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159B1 -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159B1
KR100334159B1 KR1020000028965A KR20000028965A KR100334159B1 KR 100334159 B1 KR100334159 B1 KR 100334159B1 KR 1020000028965 A KR1020000028965 A KR 1020000028965A KR 20000028965 A KR20000028965 A KR 20000028965A KR 100334159 B1 KR100334159 B1 KR 100334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ether
flame retardant
poly
phen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429A (ko
Inventor
정인식
홍종수
허만생
정원범
Original Assignee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식
Priority to KR1020000028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159B1/ko
Priority to EP01934604A priority patent/EP1297066B1/en
Priority to PCT/KR2001/000898 priority patent/WO2001092410A1/en
Priority to US10/296,636 priority patent/US6822026B2/en
Priority to JP2002500611A priority patent/JP2003535180A/ja
Priority to DE60107249T priority patent/DE60107249T2/de
Priority to CNB018103448A priority patent/CN1168774C/zh
Priority to AU2001260765A priority patent/AU2001260765A1/en
Publication of KR2001010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 C08L71/123Polyphenylene oxide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21Phosphates
    • C08K2003/322Ammonium phosphate
    • C08K2003/323Ammonium polyphosph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L71/10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from phenols
    • C08L71/12Polyphenylene ox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및 높은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특정 비율의 인계난연제와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및 난연조제를 분산시켜 이루어진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하여 UL94 V-0의 난연성을 발휘하며, 성형시키거나 연소시킬 경우 어떤 부식 기체 또는 유독 기체도 발생되지 않고, 또한 충격강도, 내열변형성 등의 기계적 물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여 이러한 성능이 요구되는 전기용품 및 자동차부품, 건축자재, 내부장식재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FRAME-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OTION}
본 발명은 난연성 및 높은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특정 비율의 인계난연제와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및 난연조제를 분산시켜 이루어진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우수한 가공특성, 내약품성, 내후성, 기계적 강도로 인해 가정용 전기제품, 건축자재, 내부장식재, 자동차 부품 등의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본래 인화성 물질이지만 난연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각종 유기계 또는 무기계 난연제가 첨가된다.
이러한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로서는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와 같은 함수 무기화합물을 폴리프로필렌수지에 가함으로써 수득한 조성물(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53-92855호, 제 54-29350호, 제 54-77658호, 제 56-26954호, 제 57-87462호 및 제 60-110738호), 용융지수가 0.01~2.0인 폴리에틸렌, 할로겐 화합물(예;데카브로모디페닐 에테르 또는 도데카클로로-도데카하이드로메타노디벤조사이클로옥텐) 및 분말 활석, 고령토, 천청석, 실리카 및 규조암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충전재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가함으로써 수득한 조성물(일본 특허공보 제 55-30739호) 및 암모늄 포스페이트(또는 아민포스페이트), 환구조에 =C=O(또는 =C=S 또는 =NH)가 삽입된 질소 화합물과 알데하이드와의 반응 생성물 또는 1,3,5-트리아진 유도체의 올리고머(또는 중합체)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가함으로써 수득한 조성물(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52-146452호 및 제 59-147050호) 등이 있다.
그러나 난연성이 높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수산화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화합물을 가함으로써 제조된 조성물은 성형성이 저하되고, 데카브로모 페닐계 화합물을 폴리프로필렌에 가함으로써 수득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성형성은 그리 나쁘지 않으며 조성물의 난연성은 높지만 이차 가공 또는 연소시에 유독 기체가 생성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 52-146452호 및 제 59-147050호에 기술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조성물의 이차 가공성은 거의 저하되지 않으며 부식기체 및 유독 기체도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조성물은 UL 서브젝트(Subject) 94(언더라이트스 래보러토리스 인코포레이션(Underwrites Laboratories Incorporation))의 “기계부품용 플라스틱 물질에 대한 연소성 시험”중 수직 연소시험을 기준으로 한 시험(이후, "UL94 수직연소시험"으로서 약칭된다) 결과 1/16인치(inch)두께에서 V-0의 난연성을 수득할 수는 있지만, 상기 조성물은 내열변형성과 충격강도가 열세하여 이러한 기계적 물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한편,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는 우수한 난연성, 내열성, 치수안정성, 비흡수성 및 전기특성이 우수한 고성능 플라스틱으로서 알려져 있는데,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이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를 혼합하여 서로의 단점을 보충하고, 장점을 보강하여 성형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예측되고, 이용 분야가 넓은 우수한 수지재료가 기대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폴리올레핀/폴리페닐렌 에테르계 폴리머 얼로이(alloy)에 관한 수많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3994856호 명세서에서는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폴리스틸렌계 수첨 블록 공중합체와 블렌드 한 것에 의한 내충격성, 내용제성의 개량에 관해 기재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 4145377호 명세서에서는 폴리페닐렌 에테르 또는 폴리페닐렌 에테르 및 스틸렌계 수지를 폴리올레핀/수첨블록 공중합체= 20~80중량부/80~20 중량부로 된 예비혼합물 및 수첨 블록 공중합체와 블렌드 한 것에 의한 내충격성, 내용성의 개량에 관해 기재되어 있고, 또한 미국특허 제4166055호 명세서 및 미국특허 제4239673호 명세서에서는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수첨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과 블렌드 한 것에 의해 내충격성을 개량한 것이 기재되어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4383082호 명세서 및 유럽 공개특허 제115712호 명세서에는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폴리올레핀 및 수첨 블록공중합체와 블렌드하여 내충격성을 개량한 예가 있다. 또 일본 특허공개 소63-11305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소63-225642호 공보, 미국 특허 제4863997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평 3-7251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4-18374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5-320471호 공보에는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로 된 수지조성물의 개질을 위해 특정한 수첨 블록공중합체를 배합한, 내약품성,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 7-53859호 공보에는 폴리올레핀계수지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의 블렌드물에 할로겐 함유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안티몬 화합물을 더 가한 난연성 수지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로 얻어지는 폴리머 얼로이 조성물은 대체로 내열성, 기계적 강도, 가공성에 관하여 폴리올레핀 수지와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각각의 특징을 활용하여 개량된 수지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폴리머 얼로이 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하지 않아 다량의 난연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를 현저하게 손상시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11-140245호에 따르면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와 수첨 공중합체에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화합물을 적용하고 1,3,5-트리아진(Triazine)계의 질소화합물을 부가하여 열가소성 난연수지를 제조하였으나 실제로 본 발명자들이 평가해본 결과 UL94 V-0의 난연성 발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열도가 급격히 저하하여 실용 내열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난연성 수지조성물이 갖는 결점을 해결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 페놀구조의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힌더드 페놀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와 축합인산염으로서 폴리인산암모늄이 특정비율로 함유되고, 또한 난연조제로서 펜타에리스리톨이 함유된 난연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A) 주성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20∼69중량%, (B)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1∼50중량%, (C)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한 수첨 블록공중합체 0.1∼15중량%, (D) 페놀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난연제 1∼20중량%, (E) 폴리인산암모늄 난연제 1∼20중량%, (F) 펜타에리스리톨계 난연조제 0.1∼13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중합단위를 50중량% 이상 함유한 프로필렌 올레핀 블록공중합체 및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A)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및 1-데센 등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올레핀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하나 이상 또는 상기 그룹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둘 이상의 혼합물과 폴리프로필렌과의 결정성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흐름지수가 0.3∼100g/10분(230℃, 2.16kg), 바람직하기는 0.5∼40g/10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가 0.3g/10분 미만인 경우 사출성형시 성형체 표면에 플로우마크가 발생하고, 외관상의 결점을 가지게 되며, 10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 성형제품의 내충격성이 급격히 낮아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입체규칙성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없고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라면,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어떤 폴리프로필렌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13C-NMR(핵자기 공명 스펙트럼)로 측정한 아이소탁틱 펜타드 분율이 0.80~0.99, 바람직하게는 0.85~0.99, 특히 바람직하게는 0.90~0.99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A)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배합량은 20∼69중량%이고, 바람직한 것은 25∼63중량%이다. 이 배합량이 20중량% 미만이면 얻어지는 수지조성물의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성형가공성, 내용제성이 뒤떨어지고, 또 69중량%를 초과한 경우는 성형가공성, 내용제성은 양호하지만, 내열성이 뒤떨어져서, 내열성 재료로서 이용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B)성분의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이하, PPE로 약술함)는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내열성 및 난연성을 부여하는 필수적인 성분이고, 힌더드 페놀을 단량체로 적용한 것으로서,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에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페닐-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와의 공중합체, 및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페닐렌 에테르의 중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수지조성물의 열안정성이나 작업성을 고려하여 25℃의 클로로포름 용매에서 측정된 고유점도가 0.2∼0.8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페닐렌 에테르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이상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B)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의 배합량은 1∼50중량%, 바람직한 것은 5∼45중량%이다. 이러한 배합량이 50중량%를 초과한 경우, 얻어지는 수지조성물의 내열성은 극도로 우수하지만, 성형가공성, 내용제성이 뒤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1중량% 미만으로는 성형가공성, 내용제성은 우수하지만 난연성 및 내충격성이 열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C)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한 수첨블록공중합체(이하, "수첨 블록공중합체"라고 약술한다)는, (A)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B)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를 용융 혼합한 때에 (B)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를 (A)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중에 매우 적합하게 분산시키는 능력을 갖는 수첨 블록 공중합체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1개의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한 중합체 블록 A와 공역디엔 화합물의 비닐 결합량이 45% 이상인 적어도 1개의 공역디엔 화합물을 주체로 한 블록 B로 된 수첨 블록공중합체로서 A-B-A-B-A의 구조를 갖는 수첨 블록 공중합체이다.
이 블록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비닐 방향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스틸렌, 알파메틸 스틸렌, 비닐톨루엔, P-tert-부틸 스틸렌, 디페닐 에틸렌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고, 그 중에서 스틸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첨블록공중합체는 시판되는 상업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Tuftec H1052(상품명, 아사히 케미컬(Asahi chemical)사) 등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C)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한 수첨블록공중합체의 수지배합량은 0.1∼15중량%, 바람직하게는 2∼10중량%이다. 이러한 배합량이 15중량%를 초과한 경우, 얻어지는 수지조성물의 내열성이 열세한 단점이 있으며, 0.1중량% 미만으로는 폴리페닐렌 에테르를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에 적합하게 분산시킬 수가 없어 내충격성이 열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D) 페놀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는 트리페닐포스페이트와 힌더드 페놀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로서 트리(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트리(2,6-디터셔리 부틸페닐)포스페이트 등이 있다. 상기의 인산에스테르가 단일 또는 혼합적용될 수 있으나 구조내의 분자량이 1500 이상인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은 난연성 부여 효과가 적기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기로는 융점이 80℃ 이상인 인산에스테르를 적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E) 폴리인산암모늄은 고온 또는 불길과의 접촉 등에 의해 분해시점에 비인화성 가스(수증기, 이산화탄소, 질소등)와 탄소질 잔사만 생기고, 부식성 가스, 할로겐가스나 유독성 가스의 발생을 대부분 수반하지 않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데 시판되고 있는 그 자체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Budit3076(부덴하임(Budenheim)사제), 상품명 SUMISAFE P(스미토모화학사제), 상품명 엑솔리트422(훽스트사제) 등이 사용가능하다. 또한 이것은 멜라민을 부가 및/또는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시판되고 있는 그 자체로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Teraju C-60(치소(Chisso)사제) 등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 난연제로 적용되는 페놀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화합물/폴리인산암모늄의 중량비가 0.20∼5.0으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3∼3.0의 범위가 좋다. 이 조성비보다 작거나, 커도 충분한 난연 상승효과를 얻을 수 없고, 다량의 난연제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인산에스테르 화합물과 폴리인산암모늄의 합계량은 15∼30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합계량이 18∼25중량%가 적용된다. 합계량이 15중량% 미만인 경우 난연기능을 발휘할 수가 없으며,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극히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난연조제로서 사용되는 (F) 펜타에리스리톨은 다가알콜기를 가진 화합물로서 하기의 구조식 (I)을 가진다. 하기의 구조식 (I)인 펜타에리스리톨계 화합물은 연소시에 차르(Char)발생을 돕는 차르 프로모터(Char Promoter)로 작용하며, 이러한 역할을 부여하기 위해서 디펜타에리스리톨 또는 트리펜타에리스리톨이 사용될 수 있다. 펜타에리스리톨은 0.1∼13중량%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3∼12중량%가 사용된다. 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난연조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곤란하며, 1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극히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구조식 (I)
(여기서 R은 CH2OH이며, n은 1 내지 5의 정수)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가소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유기 또는 무기안료 및 염료, 탈크, 실리카, 유리섬유와 같은 무기 충진제와 난연보조제로서 멜라민 또는 1,3,5-트리아진계의 함질소 화합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성물에 의해 완성된 본 발명의 특징은 기존의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였을 때의 문제점인 유독 가스의 발생이 전혀 없으며, UL94 V-0의 난연성을 보이며, 내충격강도 및 내열변형온도등 기계적 강도 및 가공성 등에서 더욱 양호한 결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지정된 양의 (A) 폴리프로필렌 수지, (B)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C)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한 수첨 블록공중합체, (D) 페놀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E) 폴리인산암모늄, (F) 일반식 (I)로 표시된 화학 구조를 갖는 펜타에리스리톨 및 상기한 여러 가지 첨가제를 교반·혼합장치 [예:헨셀(Hensel)혼합기(상표명), 슈퍼 혼합기 또는 텀블러 혼합기]에 충전시키고, 상기 화합물을 1∼10분동안 교반·혼합시키고, 200~290℃의 온도에서 압연기 또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및 혼련시켜 펠렛을 수득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자세하게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정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측정방법
1)아이조드(Izod) 충격강도
사출성형된 성형품의 두께는 3.2mm이며 ASTM의 D256 시험규격을 수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2)열변형온도
길이가 127.0mm이고 폭이 12.7mm이고 두께가 6.4mm인 시험시편을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시키고, ASTM의 D648 시험규격중 18.5kgf의 고하중 방법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3)난연성
UL 서브젝트 94(언더라이트스 래보러토리스 인코포레이션)의 “기계부품용 플라스틱 물질의 연소성 시험”중 수직연소시험을 수직상(V-0)에서 수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사용된 시험편의 두께는 1/12인치이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 용융지수(2.16kg의 하중하 230℃에서 10분 동안의 용융수지의 용융 유동량)가 0.5g/10분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4.0kg,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상품명:P-401, 일본 아사히 카세이사] 3kg, 비닐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한 수첨블록공중합체[상품명:Tuftec H1052, 일본 아사히 카세이사] 500g, 트리페닐포스페이트[상품명:TPP, 일본 다이하치(Daihachi)사] 1kg, 폴리인산암모늄[상품명:Budit3076, 스웨덴 부덴하임(Budenheim)사] 1kg, 펜타에리스리톨[상품명:PER, 유진화학] 500g 및 첨가제로서 스테아르산 칼슘 10g을 헨셀(Hensel)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3분동안 교반·혼합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구경이 30mm인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260℃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1∼4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페닐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및 폴리인산암모늄을 표 1에 나타낸 함량비율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성분들을 헨셀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서 수득한 펠렛들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실린더의 최대온도가 230℃로 고정된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시켜,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을 시험하기 위한 일정 시험편을 제조한 후, 난연성,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3의 경우, 내열도가 80℃ 이상의 물성을 보이며 난연성도 각각 V-0의 양호한 난연물성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비교예 1∼4의 경우는 내열도 측면에서는 우수하나, 난연성에서 V-0의 난연도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4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 용융지수(2.16kg의 하중하 230℃에서 10분 동안의 용융수지의 용융 유동량)가 0.5g/10분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3.7kg,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상품명:P-401, 일본 아사히 카세이사] 3kg, 비닐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한 수첨블록공중합체[상품명:Tuftec H1052, 일본 아사히 카세이사] 500g, 트리페닐포스페이트[상품명:TPP, 일본 다이하치사] 500g, 폴리인산암모늄[상품명:Budit3076, 스웨덴 부덴하임사] 1kg, 펜타에리스리톨[상품명:PER, 유진화학] 1.3kg 및 첨가제로서 스테아르산 칼슘 10g을 헨셀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3분동안 교반·혼합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구경이 30mm인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260℃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6 및 비교예 5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펜타에리스리톨의 배합비율을 표 1에 나타낸 함량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성분들을 헨셀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6 및 비교예 5에서 수득한 펠렛들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실린더의 최대온도가 230℃로 고정된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시켜,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을 시험하기 위한 일정 시험편을 제조한 후, 난연성,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4∼6의 경우, 펜타에리스리톨이 일정량 배합될시 내열도가 80℃ 이상의 물성을 보이며 난연성도 각각 V-0의 양호한 난연물성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비교예 5의 경우는 내열도 측면에서는 우수하나 난연성에서 V-0의 난연도를 달성하지 못하여 펜타에리스리톨이 난연조제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 용융지수(2.16kg의 하중하 230℃에서 10분 동안의 용융수지의 용융 유동량)가 0.5g/10분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4.0kg,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상품명:P-401, 일본 아사히 카세이사] 3kg, 비닐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한 수첨블록공중합체[상품명:Tuftec H1052, 일본 아사히 카세이사] 500g, 트리페닐포스페이트[상품명:TPP, 일본 다이하치사] 1kg, 멜라민 피복 폴리인산암모늄[상품명:Teraju C-60, 치소사] 1kg, 펜타에리스리톨[상품명:PER, 유진화학] 500g 및 첨가제로서 스테아르산 칼슘 10g을 헨셀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3분동안 교반·혼합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구경이 30mm인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260℃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9 및 비교예 6∼8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 및 페닐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의 종류 및 폴리인산암모늄의 종류를 표 1에 나타낸 것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성분들을 헨셀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9 및 비교예 6∼8에서 수득한 펠렛들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실린더의 최대온도가 230℃로 고정된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시켜,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을 시험하기 위한 일정 시험편을 제조한 후, 난연성,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7∼9의 경우, 인산에스테르는 페놀구조 또는 힌더드 페놀구조가 배합될시 모두 내열도가 80℃ 이상의 물성을 보이며 난연성도 각각 V-0의 양호한 난연물성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비교예 6∼8의 경우는 난연제로서 페놀구조의 인산에스테르 및 폴리인산암모늄이 배합되더라도 난연조제인 펜타에리스리톨이 배합되지 않을 경우 V-0수준의 난연성을 획득하기 어려우며, 또한 난연조제로서 함질소화합물을 배합하더라도 난연성에서 V-0의 난연도를 확보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10
폴리프로필렌수지로서 용융지수(2.16kg의 하중하 230℃에서 10분 동안의 용융수지의 용융 유동량)가 0.5g/10분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2.0kg,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상품명:P-401, 일본 아사히 카세이사] 5.0kg, 비닐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한 수첨블록공중합체[상품명:Tuftec H1052, 일본 아사히 카세이사] 500g, 트리페닐포스페이트[상품명:TPP, 일본 다이하치사] 1kg, 폴리인산암모늄[상품명:Budit3076, 스웨덴 Budenheim사] 1kg, 펜타에리스리톨[상품명:PER, 유진화학] 500g 및 첨가제로서 스테아르산 칼슘 10g을 Hensel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3분동안 교반·혼합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구경이 30mm인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260℃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및 비교예 9∼10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낸 것으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에서와 동일한 성분들을 Hensel 혼합기(상표명)에 충전시키고, 교반·혼합시킨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용융·압출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11 및 비교예 9∼10에서 수득한 펠렛들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실린더의 최대온도가 230℃로 고정된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시켜,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을 시험하기 위한 일정 시험편을 제조한 후, 난연성,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0∼11의
경우,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가 일정량 배합된 조성물에서는 내열도 및 내충격성, 그리고 V-0급의 난연도를 확보할 수 있으나,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가 50중량% 이상으로 배합될시는 압출부하 및 사출부하가 과다하여 성형가공성이 열세하며, 배합되지 않을시는 난연도가 열세하여 V-0급 난연도를 확보하지 못하였다.
표 1 (단위: 100g)
(주)
성분(A):폴리프로필렌 수지[BB110P(상품명):삼성종합화학(주) 제조]
성분(B):힌더드 페놀구조의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상품명:P-401, 일본 아사히 카세이사의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성분(C):비닐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한 수첨블록공중합체
[상품명:Tuftec H1052, 일본 아사히 카세이사]
성분(D)-1:페놀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상품명:TPP, 일본 다이하치사의
트리페닐포스페이트]
성분(D)-2: 힌더드 페놀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상품명:PX-200, 일본 다이하치
사의 트리(2,6-디메틸페닐)포스페이트]
성분(E)-1:폴리인산암모늄[상품명:Budit3076, 스웨덴 부덴하임사]
성분(E)-2: 멜라민 피복 폴리인산암모늄[상품명:Teraju C-60, 일본 치소사]
성분(F):펜타에리스리톨[상품명:PER, 유진화학]
성분(G)-1:함질소 화합물[상품명:멜라민, 삼성정밀화학사]
성분(G)-2:함질소 화합물, 멜라민시아누레이트[상품명;MC610, 일본 니산 케미컬사]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난연성이 우수하여 UL94 V-0의 난연성을 발휘하며, 성형시키거나 연소시킬 경우 어떤 부식 기체 또는 유독 기체도 발생되지 않고, 또한 충격강도, 내열변형성 등의 기계적 물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여 이러한 성능이 요구되는 전기용품 및 자동차부품, 건축자재, 내부장식재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6)

  1. (A) 폴리프로필렌 수지 20∼69중량%, (B)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1∼50중량%, (C)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주체로 한 수첨 블록공중합체 0.1∼15중량%, (D)페놀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난연제 1∼20중량%, (E) 폴리인산암모늄 난연제 1∼20중량%, (F) 펜타에리스리톨계 난연조제 0.1∼13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및 1-데센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올레핀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용융흐름지수는 0.3∼10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수지는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에틸-1,4-페닐렌)에테르, 폴리(2-메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에틸-6-프로필-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페닐-1,4-페닐렌)에테르,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와의 공중합체, 및 폴리(2,6-디에틸-1,4-페닐렌)에테르와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페놀구조의 방향족 인산에스테르/폴리인산암모늄의 중량비가 0.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펜타에리스리톨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구조식 (I)
    (여기서 R은 CH2OH이며, n은 1 내지 5의 정수)
KR1020000028965A 2000-05-29 2000-05-29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33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65A KR100334159B1 (ko) 2000-05-29 2000-05-29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EP01934604A EP1297066B1 (en) 2000-05-29 2001-05-29 Flame-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PCT/KR2001/000898 WO2001092410A1 (en) 2000-05-29 2001-05-29 Flame-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US10/296,636 US6822026B2 (en) 2000-05-29 2001-05-29 Flame-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JP2002500611A JP2003535180A (ja) 2000-05-29 2001-05-29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DE60107249T DE60107249T2 (de) 2000-05-29 2001-05-29 Flammgeschützte polypropylenharzzusammensetzung
CNB018103448A CN1168774C (zh) 2000-05-29 2001-05-29 阻燃性聚丙烯树脂组合物
AU2001260765A AU2001260765A1 (en) 2000-05-29 2001-05-29 Flame-retardant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65A KR100334159B1 (ko) 2000-05-29 2000-05-29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429A KR20010107429A (ko) 2001-12-07
KR100334159B1 true KR100334159B1 (ko) 2002-04-25

Family

ID=1967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965A KR100334159B1 (ko) 2000-05-29 2000-05-29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22026B2 (ko)
EP (1) EP1297066B1 (ko)
JP (1) JP2003535180A (ko)
KR (1) KR100334159B1 (ko)
CN (1) CN1168774C (ko)
AU (1) AU2001260765A1 (ko)
DE (1) DE60107249T2 (ko)
WO (1) WO20010924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986B1 (ko) 2012-04-27 2013-07-02 박용필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2025B2 (en) * 2002-11-27 2004-11-23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s
US7439284B2 (en) * 2004-03-31 2008-10-2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ethod of making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s
CN1321149C (zh) * 2004-12-09 2007-06-13 中山大学 抗折阻燃导热绝缘塑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7332677B2 (en) 2004-12-17 2008-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conductor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multiconductor cable assemblies
US7776441B2 (en) 2004-12-17 2010-08-17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exible poly(arylene ether) composition and articles thereof
US7741564B2 (en) 2004-12-17 2010-06-22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Electrical wire and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wire
US7220917B2 (en) 2004-12-17 2007-05-22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al wire and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wire
US7217885B2 (en) 2004-12-17 2007-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Covering for conductors
JP5363339B2 (ja) * 2006-12-21 2013-12-11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充填されたtpo組成物、それを作成する方法、およびそれから調製された物品
US9264717B2 (en) * 2011-10-31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with advanced decoded picture buffer (DPB) management in video coding
JP5801250B2 (ja) * 2012-05-10 2015-10-2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US20150337204A1 (en) * 2012-12-17 2015-11-26 Adeka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and flame-retardant synthetic resin composition
EP3327086A4 (en) 2015-07-22 2018-08-0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N107663332A (zh) * 2016-07-28 2018-02-06 Sabic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阻燃剂丙烯组合物
JP6860997B2 (ja) * 2016-08-29 2021-04-21 旭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
WO2020064752A1 (en) * 2018-09-25 2020-04-0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Glass fiber filled flame retardant propylene composition
WO2022232451A1 (en) * 2021-04-30 2022-11-03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Manufacturing of high-performance intumescent flame-retardant 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2750A1 (de) * 1984-09-06 1986-03-06 Basf Ag, 6700 Ludwigshafen Halogenfreie, selbstverloeschende thermoplastische formmasse
JP3185193B2 (ja) 1991-04-05 2001-07-09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樹脂組成物
JPH0753859A (ja) 1993-08-10 1995-02-28 Mitsubishi Chem Corp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961089B2 (ja) 1997-11-17 2007-08-1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986B1 (ko) 2012-04-27 2013-07-02 박용필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07249D1 (de) 2004-12-23
EP1297066A1 (en) 2003-04-02
WO2001092410A1 (en) 2001-12-06
EP1297066A4 (en) 2004-03-31
DE60107249T2 (de) 2005-04-14
JP2003535180A (ja) 2003-11-25
CN1432045A (zh) 2003-07-23
US20040014850A1 (en) 2004-01-22
US6822026B2 (en) 2004-11-23
KR20010107429A (ko) 2001-12-07
EP1297066B1 (en) 2004-11-17
CN1168774C (zh) 2004-09-29
AU2001260765A1 (en) 2001-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159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2003514941A (ja) 難燃化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0362660B1 (en) Improved 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s which are highly resistant to delamination
US4442251A (en) Impact resistant 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s
CA2021100A1 (en) Polyphenylene eth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flow
US6838503B2 (en) Flame-retardant composition and article
EP1404757B1 (en) Flame-retardant composition and article
KR100796730B1 (ko) 내 블루밍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20000934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399833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278986B1 (ko)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100375662B1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808721B1 (ko) 난연성 및 열가소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657774B2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0842161B1 (ko) 흐름성과 무광 특성이 우수한 고충격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1103514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N110540703A (zh) 可激光标识的高效阻燃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30000462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02977B1 (ko) 광택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50068620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7216145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1147980A (ja) 難燃性の樹脂組成物
KR20020048670A (ko) 난연성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AU2002354757A1 (en) Flame-retardant composition and article
JPH0812831A (ja) 難燃性樹脂ハウジング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