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127B1 -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127B1
KR100333127B1 KR1019980024886A KR19980024886A KR100333127B1 KR 100333127 B1 KR100333127 B1 KR 100333127B1 KR 1019980024886 A KR1019980024886 A KR 1019980024886A KR 19980024886 A KR19980024886 A KR 19980024886A KR 100333127 B1 KR100333127 B1 KR 10033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pacitor
semiconductor device
forming
polysilic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626A (ko
Inventor
신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8002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1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0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05Etching inorganic layers
    • H01L21/31111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16Etching in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01L21/32136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55Capacitors with a dielectric comprising a perovskite structur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Ta2O5를 유전막으로 사용하고 다결정실리콘/WN(W2N) 이중구조를 갖는 접지전극의 식각공정에 있어서,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 플라즈마 소오스를 사용하여 인-시튜(in-situ)방법으로 상기 다결정실리콘층/WN(W2N)막과 유전막을 동시에 식각함으로써 공정의 단순화 및 안정화를 가능하게 하여 반도체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유전율의 특성을 갖는 Ta2O5막을 유전체막으로 사용하는 반도체소자에서 다결정실리콘/WN/Ta2O5막의 적층구조를 갖는 접지전극 식각공정에 있어서 인시튜방법으로 동시에 식각함으로써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접지전극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켜 반도체소자의 특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유전 특성의 Ta2O5막을 유전체막으로 이용하여 캐패시터를 제조하는 경우 누설전류 등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고 후속 공정의 고온 열처리 공정에서 열화되어 유전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결정실리콘막/TiN/Ta2O5의 이중전극 구조의 전하저장전극을 사용하고 있으나, 600℃ 이상의 고온공정에서 상기 TiN막과 Ta2O5막 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산화된 TiON을 형성한다. 또한, Ta2O5막의 Ta가 TiN막중으로 확산되고, 상기 TiN막의 Ti가 Ta2O5막 내로 확산되어 상기 Ta2O5막의 막질이 열화됨으로써 누설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TiN막 대신 WN 또는 W2N막을 사용하게 되었으나 다결정실리콘막, WN막 및 Ta2O5막은 각각 Cl2가스, SF6가스 및 Cl2가스를 사용하여 식각해야 되지만 상기 SF6가스는 플라즈마 점화(ignition)와 유지(sustain)이 어려운 가스로 SF6가스에 대해 플라즈마 매칭(maching)이 잘 되는 전용장비의 사용이 필요하며, 한 챔버내에서 안정된 공정을 진행하기에는 플라즈마 안정화에 많은 무리가 있어 실제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Ta2O5을 유전체막으로 사용하는 반도체소자에서 다결정실리콘막/WN(또는 W2N)의 이중전극 구조를 갖는 전하접지전극 식각공정에 있어서 인-시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다결정실리콘막/WN의 이중전극 및 Ta2O5막을 동시에 식각함으로써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캐패시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층간절연막 20 : 하부전극
30 : Ta2O5막 40 : WN막
50 : 다결정실리콘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은,
소정의 하부구조물이 형성된 반도체기판 상부에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이 구비되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전극 상부에 유전막으로 Ta2O5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유전막 상부에 상부전극용 박막으로 WN막/다결정실리콘층 적층구조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다결정실리콘층 상부에 상부전극으로 예정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다결정실리콘층/WN막 및 Ta2O5막을 인시튜방법으로 플라즈마식각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제1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은,
소정의 하부구조물이 형성된 반도체기판 상부에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이 구비되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전극 상부에 유전막으로 Ta2O5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유전막 상부에 상부전극용 박막으로 W2N막/다결정실리콘층 적층구조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다결정실리콘층 상부에 상부전극으로 예정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다결정실리콘층/W2N막 및 Ta2O5막을 인시튜방법으로 플라즈마식각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제2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전하저장전극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반도체기판에 소자분리 절연막,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 및 소오스/드레인영역을 구비하는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한 다음, 비트라인 등의 하부구조물을 형성한 다음, 층간절연막(10)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영역에서 저장전극 콘택으로 예정되는 부분과 접속되는 하부전극(20)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전극(20)은 다결정실리콘층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구조 상부에 Ta2O5막(30)을 이용하여 유전막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Ta2O5막(30) 상부에 WN(40) 및 다결정실리콘층(50)의 적층구조의 상부전극용 박막을 형성한다. 상기 WN막(40)은 W2N막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200∼500Å 두께로 형성한다.
다음, 상기 다결정실리콘층(50) 상부에 상부전극으로 예정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감광막 패턴(도시안됨)을 형성하고,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다결정실리콘층/WN막(50, 40) 및 Ta2O5막(30)을 식각한다.
상기 식각공정은 인시튜방법으로 상기 다결정실리콘층/WN(50, 40) 및 Ta2O5막(30)을 Cl2분위기가스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이때, 상기 다결정실리콘층(50)과 Ta2O5막(30)은 상기 Cl2분위기 가스와의 화학반응에 의해 식각되고, 상기 WN막(40)은 상기 Cl2분위기 가스를 사용한 물리적 스퍼터링(physical sputtering)에 의해 식각된다. 그리고, 상기 다결정실리콘층(50)과 Ta2O5막(30)은 마이크로파 파워(microwave power)가 850∼1600W, 압력이 2∼7mTorr 이고, Cl2분위기 가스의 플로우율이 40∼80sccm이며 RF 바이어스 파워는 30∼50W인 조건에서 식각한다. 또한, 상기 WN막(40)은 이온 에너지를 적절히 확보하기 위하여 30∼50W범위의 RF 바이어스 파워에서 식각하고, 식각 생성물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1∼5mTorr의 압력의 조건에서 식각한다.
그 후,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한다. (도 1, 도 2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은, Ta2O5를 유전막으로 사용하고 다결정실리콘/WN(W2N) 이중구조를 갖는 접지전극의 식각공정에 있어서, Cl2분위기 가스를 사용한 인-시튜방법으로 상기 다결정실리콘/WN(W2N)막과 유전막을 동시에 식각함으로써 공정의 단순화 및 안정화를 가능하게 하여 반도체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소정의 하부구조물이 형성된 반도체기판 상부에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이 구비되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전극 상부에 유전막으로 Ta2O5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유전막 상부에 상부전극용 박막으로 WN막/다결정실리콘층 적층구조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다결정실리콘층 상부에 상부전극으로 예정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다결정실리콘층/WN막 및 Ta2O5막을 인시튜방법으로 플라즈마식각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실리콘층/WN막 및 Ta2O5막은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 플라즈마 장비를 사용하여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실리콘층과 Ta2O5막은 Cl2분위기가스와의 화학적인 반응으로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식각공정의 조건은 마이크로파 파워가 850∼1600W, 압력이 2∼7mTorr 이고, Cl2분위기 가스의 플로우율이 40∼80sccm이며 RF 바이어스 파워는 30∼50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WN막은 상기 Cl2분위기 가스를 이용한 스퍼터링방법으로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WN막의 식각공정은 30∼50W 범위의 RF 바이어스 파워와 1∼5mTorr의 압력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7. 소정의 하부구조물이 형성된 반도체기판 상부에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이 구비되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전극 상부에 유전막으로 Ta2O5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유전막 상부에 상부전극용 박막으로 W2N막/다결정실리콘층 적층구조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다결정실리콘층 상부에 상부전극으로 예정되는 부분을 보호하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다결정실리콘층/W2N막 및 Ta2O5막을 인시튜방법으로 플라즈마식각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 패턴을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19980024886A 1998-06-29 1998-06-29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제조방법 KR100333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886A KR100333127B1 (ko) 1998-06-29 1998-06-29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886A KR100333127B1 (ko) 1998-06-29 1998-06-29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626A KR20000003626A (ko) 2000-01-15
KR100333127B1 true KR100333127B1 (ko) 2002-09-05

Family

ID=1954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886A KR100333127B1 (ko) 1998-06-29 1998-06-29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1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06B1 (ko) * 2002-03-09 2004-1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막 식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및 캐패시터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22A (ja) * 1994-06-27 1996-01-19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13364A (ja) * 1995-02-03 1996-08-20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22A (ja) * 1994-06-27 1996-01-19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13364A (ja) * 1995-02-03 1996-08-20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506B1 (ko) * 2002-03-09 2004-1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막 식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및 캐패시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626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2132A (en) Formation of sidewall oxide layers by reactive oxygen ion etching to define submicron features
US5948701A (en) Self-aligned contact (SAC) etching using polymer-building chemistry
US7528042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dual gate oxide layer
US6716766B2 (en) Process variation resistant self aligned contact etch
US6530380B1 (en) Method for selective oxide etching in pre-metal deposition
US6686292B1 (en) Plasma etch method for forming uniform linewidth residue free patterned composite silicon containing dielectric layer/silicon stack layer
KR20010063852A (ko) 반도체소자의 자기정렬적인 콘택 형성방법
US6468904B1 (en) RPO process for selective CoSix formation
US665319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nitrification
US6686237B1 (en) High precision integrated circuit capacitors
KR100333127B1 (ko)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제조방법
US20020072156A1 (en) Method of forming gate electrode in semiconductor devices
US20040171261A1 (en) Method of etching a silicon nitrid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KR100564424B1 (ko) 반도체장치의 게이트절연막 형성방법
KR100520140B1 (ko) 반도체소자의캐패시터제조방법
KR100283482B1 (ko) 트랜치 캐패시터의 플레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100431818B1 (ko) 반도체소자의 자기정렬적인 콘택 형성방법
KR100324016B1 (ko) 반도체소자의전하저장전극형성방법
KR100447109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스토리지노드 전극용 콘택 식각방법
US2007016121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sfet on semiconductor device
JPH08316313A (ja) コンタクトホールの形成方法
KR10064902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2001093858A (ja) 半導体素子のコンタクト形成方法
KR2006000212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28245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