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033B1 -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033B1
KR100333033B1 KR1020000019257A KR20000019257A KR100333033B1 KR 100333033 B1 KR100333033 B1 KR 100333033B1 KR 1020000019257 A KR1020000019257 A KR 1020000019257A KR 20000019257 A KR20000019257 A KR 20000019257A KR 100333033 B1 KR100333033 B1 KR 100333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locking mechanism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839A (ko
Inventor
김옥수
Original Assignee
이동훈
주식회사 대기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주식회사 대기시트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102000001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03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를 갖춘 2인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체결용 브라켓(430a)과 연결파이프(430)를 매개로 한 쌍의 제2플레이트(414,424)가 직접 체결되고, 쿠션시트 프레임(110)의 사이드 프레임(111)에 제1플레이트(411)가 체결되며, 쿠션시트 프레임(110)의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연결파이프(430)의 개구단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고, 한 쌍의 제2플레이트(414,424)에 서로 상응하게 배치된 제3플레이트(418,428)에는 백시트 프레임(210)의 체결부(220,230)가 각각 체결되는 특징적인 구조를 갖추어서, 백시트의 회전각도조절기능과 접는 기능은 충분히 유지되면서, 부품수가 크게 절감되고, 쿠션시트에 인접한 백시트들 사이의 틈새가 최대한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시트{SEAT}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를 갖춘 2인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백시트의 회전각도조절기능과 접는 기능은 충분히 유지되면서, 부품수가 크게 절감되고, 쿠션시트에 인접한 백시트들 사이의 틈새가 최대한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2인용 시트는, 일체형성되어 착좌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쿠션시트(100)와, 리클라이너(400 ; 도 2참조)를 매개로 쿠션시트(100)의 뒤쪽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착좌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백시트(200,200') 및, 백시트(200,2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좌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300,30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백시트(200,200')는 각각 리클라이너(400)를 매개로 쿠션시트(1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착좌자의 편이에 따라서 백시트(200,2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 쿠션시트(100)쪽으로, 즉 앞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종래 기술에 따른 리클라이너(400)는 도 2에도시된 바와 같다.
도 2에 의하면 종래 리클라이너(400)는, 쿠션시트(100)의 사이드 프레임(111)과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보울트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한 쌍의 제1플레이트(411,421)가 각각 설치되고, 힌지축을 이루는 연결파이프(430)의 양쪽 선단이 이들 한 쌍의 제1플레이트(411,421)의 안쪽면에 각각 고정된다. 제1플레이트(411,421)에는 한 쌍의 제2플레이트(414,424)가 연결파이프(430)를 중심으로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한 쌍의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422)가 제1플레이트(411,421)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422)에 의해 제2플레이트(414,424)의 회동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전각도조절레버(413)가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된 제1플레이트(411)에 연결파이프(43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된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의 동작이 회전각도조절레버(413)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며,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된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22)와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된 회전각도조절레버(413)에 케이블(441)의 양쪽 선단이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422)가 회전각도조절레버(413)에 의해 서로 상응하게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힌지축(431,432)을 매개로 제2플레이트(414,424)에 한 쌍의 제3플레이트(418,428)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플레이트(418,428)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한 쌍의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425)가 제2플레이트(414,424)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된 제2플레이트(414)에 접힘동작조절레버(416)가 힌지축(431)을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접힘동작조절레버(416)에 의해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된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며, 케이블(442)의 양쪽 선단이 한 쌍의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425)에 각각 연결되어 이들 한 쌍의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425)가 접힘동작조절레버(416)에 의해 서로 상응하게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417)의 양쪽 선단이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된 접힘동작조절레버(416)와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에 각각 고정되어 접힘동작조절레버(416)와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5)가 스프링(417)에 의해 서로 탄발적으로 연동되며, 제3플레이트(418,428)에는 보울트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백시트 프레임(210)의 체결부(220,230)가 고정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11a,121a,411a,421a,220a,230a는 체결홈을 나타낸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백시트(200 ; 200')의 회전각도조절작업을 설명한다.
우선,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425)가 잠겨진 상태에서 착좌자가 수작업으로 회전각도조절레버(413)를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회전각도조절레버(413)에 맞물린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가 회전되어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한 제2플레이트(414)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회전각도조절레버(413)에 연결된 케이블(441)에 의해서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한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22)가 상기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에 상응하게 회전되어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한 제2플레이트(424)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2플레이트(414,424)가 스프링(도시안됨)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착좌자가 허리를 굽히게 되면 제2플레이트(414,424)를 포함한 백시트(200) 전체가 A(연결파이프(430)의 중심)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3상에서)으로 회전되고, 착좌자가 허리를 뒤로 젖히게 되면 제2플레이트(414,424)를 포함한 백시트(200) 전체가 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도 3상에서)으로 회전된다.
이후, 적절한 위치까지 백시트(20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착좌자가 수작업으로 회전각도조절레버(413)를 하방향으로 밀어부치게 되면, 회전각도조절레버(413)에 맞물린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겨져서,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한 제2플레이트(414)가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각도조절레버(413)에 연결된 케이블(441)에 의해서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한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22)가 상기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에 상응하게 회전되어 잠겨져서,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한 제2플레이트(424)가 고정된다.
이하 도 4을 참고하여 상기 백시트(200 ; 200')의 점힘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422)가 잠김겨진 상태에서, 이용자가 수작업으로 접힙동작조절레버(416)를 하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순간적으로 스프링(417)이 신장되는데, 이후 스프링(417)이 복원되면서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가 회전되어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한 제3플레이트(418)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케이블(442)에 의해서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한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25)가 상기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에 상응하게 회전되어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한 제3플레이트(428)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3플레이트(418,428)와 이에 고정된 백시트 프레임(210)이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이용자가 백시트(200 ; 200')를 잡고 전방으로 밀어부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플레이트(418,428)를 포함한 백시트(200) 전체가 B(동일선상에 배치된 힌지축(431,432)의 중심)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4상에서)으로 회전되어, 쿠션시트(100)에 백시트(200)가 맞대어져 얹혀진 상태로 접히게 된다. 이때, 백시트(200)는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이용자가 백시트(200 ; 200')를 잡고 후방으로 젖히면, 설정 위치(초기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백시트(200)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B를 중심으로 시계방향(도 4상에서)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425)는 제3플레이트(418,428)에 상응하게 회전되므로, 백시트(200)를 설정 위치에 도달시키면 스프링(417)의 복원력에 의해서 접힘동작조절레버(416)가 초기 위치로 당겨지게 되어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425)가 자동적으로 잠겨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분할형 리클라이너(400)는 케이블(441,442)을 동력전달수단으로 이용하는 좌우 분할형으로 되어 있어서,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고, 또한 조립작업시 많은 부품들을 다루어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양쪽 백시트(200,200')의 제1플레이트(411)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시트(100)와, 이에 맞대어진 양쪽 백시트(200,200')의 경계부(X)에 불필요한 공간이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경계부(X)에 비교적 큰 공간이 형성되면, 이를 통해서 먼지나 오물 등의 이물질이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된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22)로 침투되어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22)의 동작이 간섭되므로, 제2플레이트(424)의 회동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게 되며, 또한 시트를 청소하기도 상당히 어렵게 되어 불결한 환경이 조성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백시트의 회전각도조절기능과 접는 기능은 충분히 유지되면서, 부품수가 크게 절감되고, 쿠션시트에 인접한 백시트들 사이의 틈새가 최대한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리클라이너에 의한 백시트의 회전각도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리클라이너에 의한 백시트의 접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이다.
100 ; 쿠션시트, 110 ; 쿠션시트 프레임,
111 ; 사이드 프레임, 111a ; 체결홈,
121 ; 중간보강 프레임, 122 ; 지지브라켓,
123 ; 고정축, 124 ; 부쉬베어링,
200,200' ; 백시트, 210 ; 백시트 프레임,
220,230 ; 체결부, 220a,230a ; 체결홈,
300,300' ; 헤드레스트, 400 ; 리클라이너,
411 ; 제1플레이트, 411a ; 체결홈,
412 ;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 413 ; 회전각도조절레버,
414,424 ; 제2플레이트, 415 ;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
416 ; 접힘동작조절레버, 417 ; 스프링,
418,428 ; 제3플레이트, 418a,428a ; 체결홈,
430 ; 연결파이프, 430a ; 체결용 브라켓,
431,432,433 ; 힌지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체형성되어 착좌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쿠션시트과, 리클라이너를 매개로 쿠션시트의 뒤쪽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착좌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백시트 및, 백시트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좌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갖춘 2인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는, 쿠션시트의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와, 힌지축을 매개로 제1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플레이트, 제1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제2플레이트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 제1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전각도조절레버, 힌지축을 매개로 제2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플레이트, 제2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제3플레이트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 제2플레이트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접힘동작조절레버, 양쪽 선단이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와 접힘동작조절레버에 고정되어 이들을 상호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 한쪽 선단에 구비된 체결용 브라켓을 매개로 제2플레이트에 고정되어 힌지축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연결파이프, 제2플레이트에 상응하도록 연결파이프의 다른 한쪽 선단에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 및, 제3플레이트에 상응하도록 힌지축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힌지축을 매개로 제2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플레이트로 구성되고 ; 상기 쿠션시트의 중간보강 프레임에 고정축을 갖춘 지지브라켓이 설치되어 ; 상기 고정축에 연결파이프의 개구단이 끼워져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쿠션시트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에 제1플레이트가 체결되며, 상기 상응하게 배치된 제3플레이트에 백시트 프레임의 체결부가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인 바,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400)는, 쿠션시트 프레임(110)의 사이드 프레임(111)에 보울트 등의 체결부재(도시안됨)를 매개로 제1플레이트(411)가 설치되고, 제1플레이트(411)에 힌지축(433)을 매개로 제2플레이트(414)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플레이트(411)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가 제1플레이트(411)에 설치된다. 또한, 제1플레이트(411)에는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전각도조절레버(413)가 설치되며, 제2플레이트(414)에는 제3플레이트(418)가 힌지축(43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3플레이트(418)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가 제2플레이트(414)에 설치되고, 접힘동작조절레버(416)가 힌지축(431)을 중심으로 제2플레이트(4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의 동작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며, 스프링(417)의 양쪽 선단이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와 접힘동작조절레버(416)에 고정되어 이들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와 접힘동작조절레버(416)가 상호 탄력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체결용 브라켓(430a)을 매개로 연결파이프(430)의 한쪽 선단이 제2플레이트(414)의 안쪽면에 고정되고, 연결파이프(430)의 다른 한쪽 선단에는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된 제2플레이트(414)에 상응하는 제2플레이트(424)가 고정되며, 제2플레이트(424)의 상부에는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된 제3플레이트(418)에 상응하는 제3플레이트(428)가 힌지축(43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쿠션시트(100)의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고정축(123)을 갖춘 지지브라켓(122)이 설치되어, 고정축(123)에 연결파이프(430)의 개구단(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된 선단)이 끼워져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쿠션시트 프레임(110)의 사이드 프레임(111)에 제1플레이트(411)가 체결되며, 상기 상응하게 배치된 제3플레이트(418,428)에 백시트 프레임(210)의 체결부(220,230)가 각각 체결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힌지축(433)의 중심과, 이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연결파이프(430)의 중심은 동일선상에 위치(도 3 및 도 4상에서 A에 해당)되어야 하고, 또한 힌지축(431)의 중심과, 힌지축(432)의 중심도 동일선상에 위치(도 3 및 도 4상에서 B에 해당)되어야 한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시트의 회전각도조절작업을 설명한다.
우선,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425)가 잠겨진 상태에서 착좌자가 수작업으로 회전각도조절레버(413)를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회전각도조절레버(413)에 맞물린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가 회전되어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한 제2플레이트(414)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된 제2플레이트(414)와, 체결용 브라켓(430a)과 연결파이프(430)를 매개로 제2플레이트(414)에 직접 연결된,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된 제2플레이트(424)의 잠금이 해제된다.
앞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2플레이트(414,424)가 스프링(도시안됨)에 의해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착좌자가 허리를 굽히게 되면 제2플레이트(414,424)를 포함한 백시트(200) 전체가 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3상에서)으로 회전되고, 착좌자가 허리를 뒤로 젖히게 되면 제2플레이트(414,424)를 포함한 백시트(200) 전체가 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도 3상에서)으로 회전된다.
이후, 적절한 위치까지 백시트(20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착좌자가 수작업으로 회전각도조절레버(413)를 하방향으로 밀어부치게 되면, 회전각도조절레버(413)에 맞물린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잠겨져서,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한 제2플레이트(414)와, 체결용 브라켓(430a)과 연결파이프(430)를 매개로 제2플레이트(414)에 직접 연결된,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된 제2플레이트(424)가 고정된다.
이하 도 4을 참고하여 상기 백시트의 점힘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가 잠김겨진 상태에서, 이용자가 수작업으로 접힙동작조절레버(416)를 하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순간적으로 스프링(417)이 신장되는데, 이후 스프링(417)이 복원되면서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가 회전되어 사이드 프레임(111)에 위치한 제3플레이트(418)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3플레이트(418,428)와 이에 고정된 백시트 프레임(210)이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이용자가 백시트(200 ; 200')를 잡고 전방으로 밀어부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플레이트(418,428)를 포함한 백시트(200) 전체가 B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4상에서)으로 회전되어, 쿠션시트(100)에 백시트(200)가 맞대어져 얹혀진 상태로 접히게 된다. 이때, 백시트(200)는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이용자가 백시트(200 ; 200')를 잡고 후방으로 젖히면, 설정 위치(초기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백시트(200)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B를 중심으로 시계방향(도 4상에서)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는 제3플레이트(418)에 상응하게 회전되므로, 백시트(200)를 설정 위치에 도달시키면 스프링(417)의 복원력에 의해서 접힘동작조절레버(416)가 초기 위치로 당겨지게 되어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425)가 자동적으로 잠겨지게 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24는 고정축(123)에 끼워져 고정된 연결파이프(430)가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고정축(123)과 연결파이프(430) 사이에 끼워지는 부쉬베어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400)는 체결용 브라켓(430a)과 연결파이프(430)를 매개로 한 쌍의 제2플레이트(414)가 연동가능하게 직접 체결된 구조를 이루므로, 사이드 프레임(121)에 위치된 잠금기구들(412,415)에 상응하는 잠금기구(422,425 ; 도 2참조)을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위치된 제2·3플레이트(424,428)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고정축(123)을 갖춘 지지브라켓(122)이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설치되고, 이 고정축(123)에 연결파이프(430)의 개구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사이드 프레임(121)에 위치된 제1플레이트(411)에 상응하는 플레이트(421 ; 도 2참조)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쿠션시트(100)와, 이에 맞대어진 양쪽 백시트(200,200')의 경계부(X ; 도 1참조)가 틈새없이 매끄럽게 형성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용 브라켓과 연결파이프를 매개로 한 쌍의 제2플레이트가 직접 체결되고, 쿠션시트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에 제1플레이트가 체결되며, 쿠션시트 프레임의 중간보강 프레임에 연결파이프의 개구단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고, 한 쌍의 제2플레이트에 서로 상응하게 배치된 제3플레이트에는 백시트 프레임의 체결부가 각각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백시트의 회전각도조절기능과 접는 기능은 충분히 유지되면서, 리클라이너의 부품들이 크게절감된다. 따라서, 조립작업이 편리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에 위치된 제1플레이트에 상응하는 플레이트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쿠션시트와, 이에 맞대어진 양쪽 백시트의 경계부(X)가 틈새없이 매끄럽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경계부(X) 틈새로의 이물질의 유입이 억제되어, 리클라이너 동작시 이물질에 의한 간섭이 억제되고, 시트 청소작업이 수월하게 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일체형성되어 착좌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쿠션시트(100)와, 리클라이너(400)를 매개로 쿠션시트(100)의 뒤쪽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착좌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한 쌍의 백시트(200,200') 및, 백시트(200,2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착좌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300,300')를 갖춘 2인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400)는, 쿠션시트(100)의 사이드 프레임(111)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411)와, 힌지축(433)을 매개로 제1플레이트(4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플레이트(414), 제1플레이트(411)에 설치되어 제2플레이트(411,424)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 제1플레이트(4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플레이트 잠금기구(412)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전각도조절레버(413), 힌지축(431)을 매개로 제2플레이트(41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플레이트(418), 제2플레이트(414)에 설치되어 제3플레이트(418)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 제2플레이트(414)에 힌지축(43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접힘동작조절레버(416), 양쪽 선단이 제3플레이트 잠금기구(415)와 접힘동작조절레버(416)에 고정되어 이들을 상호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417), 한쪽 선단에 구비된 체결용 브라켓(430a)을 매개로 제2플레이트(414)에 고정되어 힌지축(433)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연결파이프(430), 제2플레이트(414)에 상응하도록 연결파이프(430)의 다른 한쪽 선단에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424) 및, 제3플레이트(418)에 상응하도록 힌지축(431)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힌지축(432)을 매개로 제2플레이트(424)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플레이트(428)로 구성되고 ;
    상기 쿠션시트(100)의 중간보강 프레임(121)에 고정축(123)을 갖춘 지지브라켓(122)이 설치되어 ;
    상기 고정축(123)에 연결파이프(430)의 개구단이 끼워져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쿠션시트 프레임(110)의 사이드 프레임(111)에 제1플레이트(411)가 체결되며, 상기 상응하게 배치된 제3플레이트(418,428)에 백시트 프레임(210)의 체결부(220,230)가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리클라이너를 갖춘 시트.
KR1020000019257A 2000-04-12 2000-04-12 시트 KR100333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257A KR100333033B1 (ko) 2000-04-12 2000-04-12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257A KR100333033B1 (ko) 2000-04-12 2000-04-12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839A KR20010095839A (ko) 2001-11-07
KR100333033B1 true KR100333033B1 (ko) 2002-04-15

Family

ID=1966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257A KR100333033B1 (ko) 2000-04-12 2000-04-12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0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083A (ja) * 1997-12-26 1999-07-13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シート
JPH11278115A (ja) * 1998-03-30 1999-10-12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9083A (ja) * 1997-12-26 1999-07-13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シート
JPH11278115A (ja) * 1998-03-30 1999-10-12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839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2738A (en) Seat for baby carriage
AU679520B2 (en) Child seat apparatus
KR10083650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H0568731U (ja) シート装置
KR101162122B1 (ko) 차량용 회전시트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333033B1 (ko) 시트
KR10045739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JPH07315088A (ja) 車両用シート
JPH0811603A (ja) パワーコンフォートシート構造
KR200196785Y1 (ko) 차량의 시트설치구조
JP2009056268A (ja) 電動式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071839B2 (ja) シートバックの中折れ・リクライニング式自動車用シート
JP3767989B2 (ja) クロスシート
KR20200058683A (ko) 차량용 시트백 각도 조절 장치
JP2001224459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200421440Y1 (ko) 탄성적으로 회동하는 시트백을 가진 의자
JPH0350780Y2 (ko)
JPH06156124A (ja) 回転式車両用シート
JPH0732250Y2 (ja) シートリフター装置
JPH064755Y2 (ja) シート
JP3015861B2 (ja) シート前後チルト装置
KR100521873B1 (ko)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리클라이닝 개선 구조
JPH07195969A (ja) シートのリフター機構
JPH0352449Y2 (ko)
JP4185992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