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973B1 - 반도체 웨이퍼용 특성 평가회로 및 그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웨이퍼용 특성 평가회로 및 그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973B1
KR100331973B1 KR1020000028308A KR20000028308A KR100331973B1 KR 100331973 B1 KR100331973 B1 KR 100331973B1 KR 1020000028308 A KR1020000028308 A KR 1020000028308A KR 20000028308 A KR20000028308 A KR 20000028308A KR 100331973 B1 KR100331973 B1 KR 100331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istic evaluation
dummy
evaluation circuit
mos transistor
semiconductor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742A (ko
Inventor
야마가미미노루
Original Assignee
니시가키 코지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가키 코지, 닛뽄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가키 코지
Publication of KR2001002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4Circuits for electrically characterising or monitoring manufacturing processes, e. g. whole test die, wafers filled with test structures, on-board-devices incorporated on each die, process control monitors or pad structures thereof, devices in scribe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성평가회로 및 상기 특성평가회로의 평가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반도체 웨이퍼내에 넣어진 특성평가회로에 있어서, 더미 소자(301, 302, 303)는 적어도 두개의 패드(P1 내지 P7)에 접속되어 있고, 공핍형(depletion type) MOS 트랜지스터(501, 502, 503)는 상기 패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퓨즈(F8, F9, F10)는 상기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고, 게이트 전압 제어 패드(P8, P9, P10)는 상기 퓨즈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웨이퍼용 특성 평가회로 및 그 평가방법{CHARACTERISTICS EVALUATION CIRCUIT FOR SEMICONDUCTOR WAFER AND ITS EVALUATION METHOD}
본 발명은 반도체 웨이퍼내에 넣어진 특성평가회로 및 그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의 제조공정에서, 반도체 칩의 특성은 각각의 칩에서 측정된다. 예컨대, MOS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 특성, 도전층의 저항특성 및 도전층의 커패시턴스 특성 등이 측정된어 제조공정을 체크한다.
전술한 반도체 칩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특성평가회로가 반도체 칩, 반도체 칩 사이의 스크라이브(scribe) 영역 또는 반도체 칩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특성평가영역 내에 넣어진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특성평가회로는 적어도 두개의 패드와 결합된 더미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은 이후에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특성평가회로의 특성이 측정된 후, 특성평가회로는 필요없게 된다. 만일 상기와 같은 특성평가회로와 결합된 반도체 칩 또는 반도체 웨이퍼가 장착된다면, 어떠한 제조자라 할지라도 상기 특성평가회로의 패드상에 프로브(probe)를 배치함으로서 반도체 칩의 측성을 분석할 수 있다.
특성평가회로를 없애거나 불능으로 만들기 위해, 제1의 접근방식에서는 퓨즈가 더미 소자의 패드에 접속된다. 특성평가회로의 특성이 측정된 후, 휴즈는 레이저 트리밍공정 등에 의해 용융된다. 상기는 또한 이후에 기술될 것이다.
전술한 제1의 접근방식에서, 퓨즈에 의한 저항의 존재에 기인하여 더미 소자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제2의 접근방식은 레이저 또는 기계적인 응력을 가하여 더미소자를 직접 파괴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방법 또한 이후에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2의 접근방식에 있어서, 더미소자에는 크기가 다른 다양한 종류가 있으므로, 더미 소자를 효과적으로 파괴하는 것은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들어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파괴되거나 불능으로 될 수 있는 반도체 웨이퍼에 대한 특성평가회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 웨이퍼에 대한 특성평가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웨이퍼내에 넣어진 특성평가회로에서, 더미소자는 적어도 두개의 패드에 접속되어 있고,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는 상기 패드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퓨즈는 상기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게이트 전압제어패드가 상기 퓨즈에 접속된다.
더미소자의 특성을 평가하는 경우에, 적절한 전압이 게이트 전압제어패드에 인가되어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를 오프(off)로 한다. 그 후, 프로브(probe)가 상기 패드상에 배치되어 더미소자의 특성을 측정한다. 최종적으로, 퓨즈가 절단된다.
주목할 것은 퓨즈가 절단되는 경우에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플로팅(floating) 상태에 있다는 점이다. 상기 상태에서, 패드는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매우 슬림하다. 따라서, 단지 소량의 전하가 플로팅 상태의 게이트에 주입되므로, 공핍형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은 0(그라운드)에 유지되어,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는 항상 온의 상태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를 도시하는 레이아웃 다이어그램.
도 2의 A, B 및 C는 도 1의 특성평가영역의 위치를 도시하는 레이아웃 다이어그램.
도 3의 A, B 및 C는 도 2의 A, B 및 C의 특성평가에 사용되는 특성평가회로의 회로 다이어그램.
도 4의 A, B 및 C는 도 2의 A, B 및 C의 특성평가영역에서 사용되는 특성평가회로의 다른 회로 다이어그램.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특성평가회로의 제1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다이어그램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특성평가회로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다이어그램이고, 도 5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특성평가회로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다이어그램.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기술하기 이전에,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반도체 특성평가회로가 도 1, 2A, 2B, 2C, 3A, 3B, 3C, 4A, 4B 및 4C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를 도시하는 레이아웃 다이어그램으로서, 반도체 칩(101)이 로우(row) 및 컬럼(column)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 칩(101)은 각각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것이다. 반도체 웨이퍼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즉, 바도체 칩(101)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특성평가회로는 도 2의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반도체 웨이퍼내에 넣어져 있다.
도 2의 A에 있어서, 반도체 특성평가회로에 대한 하나의 특성평가영역(102)은 각각의 반도체 칩(101)내에 제공되어 있다.
도 2의 B에 있어서, 특성평가회로에 대한 다수의 특성평가영역(103)은 반도체 칩(101) 사이의 스크라이브(scribe)영역(104)에 제공되어 있다.
도 2의 C에 있어서, 몇몇의 반도체 칩(101)은 특성평가회로에 대한 특성평가영역(103)으로 대체된다. 상기의 경우에, 각각의 특성평가영역(105)은 반도체 칩(101)과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주목할 것은 특성평가영역(105)은 테스트 소자군(TEG : test elementary group)이라고 불리운다.
도 2의 A, B 및 C의 특성평가영역(102, 103 및 105)에 사용되는 특성평가회로는 도 3의 A, B 및 C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3의 A에서,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는 패드(P1)에 접속된 소스와, 패드(P2)에 접속된 드레인 및 패드(P3)에 접속된 게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는 프로브(도시되지 않음)를 패드(P1, P2 및 P3)상에 배치함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도 3의 B에서, 더미 레지스터(302)는 패드(P4)에 접속된 터미널 및 패드(P5)에 접속된 터미널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레지스터(302)의 특성은 프로브(도시되지 않음)를 패드(P4 및 P5)상에 배치함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도 3의 C에서, 더미 커패시터(303)는 패드(P6)에 접속된 터미널 및 패드(P7)에 접속된 터미널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레지스터(303)의 특성은 프로브(도시되지 않음)를 패드(P6 및 P7)상에 놓음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도 3의 A, B,및 C의 특성평가회로의 특성이 측정된 후, 특성평가회로는 불필요하게 된다. 만일 상기와 같은 특성평가회로와 결합된 반도체 칩(101)이 장착되면, 어떠한 제조자라 할지라도 특성평가영역(102, 103 및 105)의 패드상에 프로브를 배치함으로서 반도체 칩(101)의 특성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특성평가회로는 장착되기 이전에 파괴되어야 한다.
특성평가회로가 도2의 A의 특성평가영역에 제공되는 경우, 특성평가회로를 파괴하거나 불능으로 만들기가 용이하지 않다.
반면에, 특성평가회로가 도 2의 B 또는 C의 특성평가영역(103 또는 105)에제공되는 경우, 특성평가회로를 파괴하거나 블능으로 만들기는 용이하다. 그러나, 이 경우, 만일, 반도체 칩(101)을 분할하지 않고 웨이퍼가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자(OEM) 시스템 등을 통해 다른 반도체 제조장치에 장착된다면, 특성평가회로를 파괴하거나 불능으로 하는 것은 또한 용이하지 않다.
도 3의 A, B 및 C의 특성평가회로를 파괴하거나 불능으로 만들기 위해서, 제1의 접근방식은 도 4의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F1 내지 F7)가 패드(P1 내지 P7)에 각각 접속되는 방식이다. 도 4의 A, B 및 C의 특성평가회로의 특성이 측정된 이후에, 퓨즈(F1 내지 F7)는 레이저 트리밍 공정 등에 의해 용융된다.
그러나, 전술한 제1의 접근방법에 있어서, 퓨즈(F1 내지 F7)에 의한 저항의 존재에 기인하여 도 4의 A, B 및 C의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 더미 레지스터(302) 및 더미 커패시터(303)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퓨즈(F1 내지 F7)가 저항치가 낮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더라도, 퓨즈(F1 내지 F7)는 알루미늄이 비교적 슬림인 경우에는 아직까지 저항이 큰 상태에 있다. 만일, 알루미늄 배선폭이 넓어져 그 저항이 낮아진다면, 한번의 레이저 트리밍 공정에 의해 퓨즈(F1 내지 F7)을 용융시키는 것은 불가능해 져서 제조단가를 상승시킨다.
제2의 접근방식으로는 레이저 또는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도 3의 A, B 및 C의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 더미 레지스터(302) 및 더미 커패시터(303)를 직접 파괴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제2의 접근방식에서는 도 3의 A, B 및 C의 더미 MOS트랜지스터(301), 더미 레지스터(302) 및 더미 커패시터(303)는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도 3의 A, B 및 C의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 더미 레지스터(302) 및 더미 커패시터(303)를 효과적으로 파괴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또한 제조비용을 증가시킨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1)는 도 3의 A의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의 드레인과 게이트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더미 MOS 트랜지스터(501)의 게이트는 퓨즈(F8)를 경유하여 패드(P8)까지 접속되어 있다. 주목할 것은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1)는 P-채널형 또는 N-채널형 일 수 있다는 점이다.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의 특성이 측정되기 이전에, 적절한 전압이 패드(P8)상에 프로브(도시되지 않음)를 놓음으로서 인가되어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1)를 확실히 오프로 한다. 그 후,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의 특성이 패드(P1, P2 및 P3)상에 프로브를 배치함으로서 측정된다.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의 특성이 측정된 후, 퓨즈(F8)는 레이저 트리밍 공정 등으로 용융된다. 그 결과,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1)는 온 상태에 있게 되어, 패드(P2)는 패드(P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상태에서,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의 특성이 정확히 측정되는 것은 더이상 가능하지 않다.
도 5의 A에서, 퓨즈 및 패드와 결합된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는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 또는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의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2)는 도 3의 B의 더미 레지스터(302)의 터미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더미 MOS 트랜지스터(502)의 게이트는 퓨즈(F9)를 경유하여 패드(P9)까지 접속되어 있다. 주목할 것은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2)는 P-채널형 또는 N-채널형 일 수 있다는 점이다.
더미 레지스터(302)의 특성이 측정되기 이전에, 적절한 전압이 패드(P9)상에 프로브(도시되지 않음)를 배치함으로서 인가되어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2)를 확실히 오프로 한다. 그 후, 더미 레지스터(302)의 특성이 패드(P4 및 P5)상에 프로브를 배치함으로서 측정된다.
더미 레지스터(302)의 특성이 측정된 후, 퓨즈(F9)는 레이저 트리밍 공정 등으로 용융된다. 그 결과,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2)는 온 상태에 있게 되어, 패드(P4)는 패드(P5)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상태에서, 더미 레지스터(302)의 특성이 정확히 측정되는 것은 더이상 가능해지지 않는다.
도 5의 C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3)는 도 3의 C의 더미 커패시터(303)의 터미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3)의 게이트는 퓨즈(F10)를 경유하여 패드(P10)까지 접속되어 있다. 주목할 것은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3)는 P-채널형 또는 N-채널형 일 수 있다는 점이다.
더미 커패시터(303)의 특성이 측정되기 이전에, 적절한 전압이 패드(P10)상에 프로브(도시되지 않음)를 배치함으로서 인가되어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3)를확실히 오프로 한다. 그 후, 더미 커패시터(303)의 특성이 패드(P6 및 P7)상에 프로브를 놓음으로서 측정된다.
더미 커패시터(303)의 특성이 측정된 후, 퓨즈(F10)는 레이저 트리밍 공정 등으로 용융된다. 그 결과,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3)는 온 상태에 있게 되어, 패드(P6)는 패드(P7)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상태에서, 더미 커패시터(303)의 특성이 정확히 측정되는 것이 더이상 가능하지 않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퓨즈(F8, F9 ,F10)는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1, 502, 503)의 게이트에 전류를 각각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퓨즈(F8, F9, F10)는 매우 슬림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퓨즈(F8, F9, F10)는 레이저 트리밍 공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용융될 수 있다. 또한 퓨즈(F8, F9, F10)는 알루미늄 이외의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더미 MOS 트랜지스터(301), 더미 레지스터(302) 및 더미 커패시터(303)이외의 다른 더미 소자가 특성평가회로에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 B 및 C의 특성평가회로는 도 2의 A, B 및 C의 특성평가영역의 어느 영역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웨이퍼내에 넣어진 특성평가회로는 용이하게 파괴될 수 있거나 불능으로 될 수 있다.

Claims (14)

  1. 반도체 웨이퍼내에 넣어진 특성평가회로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패드(P1 내지 P7)에 접속된 더미소자(301, 302, 303)와,
    상기 패드 사이에 접속된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1, 502, 503)와,
    사기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퓨즈(F8, F9, F10)와,
    상기 퓨즈에 접속된 게이트 전압 제어 패드(P8, P9, P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소자는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소자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소자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각각의 반도체 칩(101)내에 넣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스크라이브(scribe) 영역(103)내에 넣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반도체 칩과 동일한 크기인 특성평가영역(105)내에 넣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
  8. 적어도 2개의 패드(P1 내지 P7)에 접속된 더미소자(301, 302, 303)와, 상기 패드 사이에 접속된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501, 502, 503)와, 상기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퓨즈(F8, F9, F10)와, 상기 퓨즈에 접속된 게이트 전압 제어 패드(P8, P9, P10)를 포함하는 반도체 특성평가회로의 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핍형 MOS 트랜지스터를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하여 상기 게이트 전압 제어 패드에 적절한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와,
    프로브를 상기 패드상에 놓아서 상기 적절한 전압이 상기 게이트 전압 제어 패드에 인가된 후 상기 더미 소자의 특성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더미 소자가 측정된 후 상기 퓨즈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의 평가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소자는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의 평가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소자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의 평가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소자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의 평가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각각의 반도체 칩(101)내에 넣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의 평가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스크라이브 영역(103)내에 넣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특성평가회로의 평가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의 반도체 칩과 동일한 크기인 특성평가영역(105)내에 넣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성평가회로의 평가방법.
KR1020000028308A 1999-06-03 2000-05-25 반도체 웨이퍼용 특성 평가회로 및 그 평가방법 KR100331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567 1999-06-03
JP11156740A JP2000349130A (ja) 1999-06-03 1999-06-03 半導体集積回路基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特性チェック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742A KR20010029742A (ko) 2001-04-16
KR100331973B1 true KR100331973B1 (ko) 2002-04-10

Family

ID=1563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308A KR100331973B1 (ko) 1999-06-03 2000-05-25 반도체 웨이퍼용 특성 평가회로 및 그 평가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46820B1 (ko)
JP (1) JP2000349130A (ko)
KR (1) KR100331973B1 (ko)
TW (1) TW4513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530B1 (ko) * 2002-07-26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스트 소자 그룹이 구비된 반도체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3138A (ja) 2001-07-10 2003-01-24 Toshiba Corp メモリチ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cocデバイス、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US6998865B2 (en) * 2001-12-10 2006-0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test arrangement with reassignable probe pads
KR100466984B1 (ko) 2002-05-15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스트 소자 그룹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칩 및 그것의 테스트 방법
JP3931153B2 (ja) * 2003-04-24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DE10338030B3 (de) * 2003-08-19 2005-04-28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 Schaltung zum Testen von Schaltungskomponenten eines Halbleiterchips
JP4274576B2 (ja) 2007-01-12 2009-06-10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03178824A (zh) * 2013-03-18 2013-06-26 西安华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能够实现部分模块电源关断的集成电路及关断方法
EP4239675A1 (en) * 2022-03-02 2023-09-0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Semiconductor wafer with alignment mark indicating the wafer orient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id semiconductor waf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4687A (en) * 1989-10-16 1991-07-23 Vlsi Technology, Inc. Signature indicating circuit
JPH06295948A (ja) 1993-04-08 1994-10-21 Seiko Epson Corp 半導体素子特性評価方法及び半導体素子特性評価用回路
DE69633695T2 (de) * 1995-05-31 2005-04-28 STMicroelectronics, Inc., Carrollton Konfigurierbare Testkontakte zum Erleichtern der parallelen Prüfung von integrierten Schaltungen
US5898186A (en) * 1996-09-13 1999-04-27 Micron Technology, Inc. Reduced terminal testing system
KR100261223B1 (ko) * 1998-05-04 2000-07-01 윤종용 식별 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 기능 식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530B1 (ko) * 2002-07-26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스트 소자 그룹이 구비된 반도체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49130A (ja) 2000-12-15
TW451380B (en) 2001-08-21
US6346820B1 (en) 2002-02-12
KR20010029742A (ko)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984B1 (ko) 테스트 소자 그룹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칩 및 그것의 테스트 방법
US4970454A (en) Packaged semiconductor device with test circuits for determining fabrication parameters
US5869869A (en) Microelectronic device with thin film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tructure
US7825679B2 (en) Dielectric film and layer testing
US6822330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test element group circuit
US20090033354A1 (en) Multi-purpose poly edge test structure
KR100331973B1 (ko) 반도체 웨이퍼용 특성 평가회로 및 그 평가방법
KR100861665B1 (ko) 정전기 방전 회로들을 포함하는 집적 회로, 이를 위한 제조 방법, 및 다중-칩 모듈
US5663902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bling static current paths in fuse logic
US5978197A (en) Testing ESD protection schemes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JP6231279B2 (ja) 半導体装置
US7365555B2 (en) Semiconductor device, method for testing the same and IC card
JP7294036B2 (ja) 半導体試験装置、半導体装置の試験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864769A (ja) 集積回路
US7724011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power lines improved
US6211689B1 (en)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with transistor circuit for marking
US20230066905A1 (en) Test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7750658B2 (en) Integrated circuit and testing circuit therein for testing and failure analysis
KR100396344B1 (ko) 모니터용 저항 소자 및 저항 소자의 상대적 정밀도의 측정방법
KR100821834B1 (ko) 폴리 퓨즈를 구비한 테스트 패턴
KR016480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퓨즈소거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회로
US7583093B2 (en) Electrical test method of an integrated circuit
JP6785118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設計方法
KR100562304B1 (ko) 반도체칩의 테스트패턴
JP2978883B1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