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574B1 -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574B1
KR100329574B1 KR1020000015864A KR20000015864A KR100329574B1 KR 100329574 B1 KR100329574 B1 KR 100329574B1 KR 1020000015864 A KR1020000015864 A KR 1020000015864A KR 20000015864 A KR20000015864 A KR 20000015864A KR 100329574 B1 KR100329574 B1 KR 100329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de
light emitting
flat panel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3347A (ko
Inventor
조성현
이경수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2000001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574B1/ko
Publication of KR2001009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기판상에 패턴화되어 화상을 구현시 발광에 기여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전극과, 발광에는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으며 상기 기판의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과 외부 회로부의 기판 단자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패드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having non-luminecent region with small area}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발광영역을 줄이기 위하여 구조가 개선된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는 크게 발광형과 수광형으로 분류한다. 발광형으로는 평판 음극선관(flat cathode ray tub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자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t display,이하 EL소자), 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이 있다. 수광형으로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가 있다.
도 1은 이러한 평판표시장치중에서 유기EL소자(1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유기EL소자(10)는 기판(11)이 마련되고, 상기 기판(11) 상에는 투명한 도전막, 예컨대 ITO막으로 패턴화된 양극(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12) 상에는 정공(正孔) 수송층(13)이 형성되고, 상기 정공 수송층(13) 상에는 발광층(14)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층(14) 상에는 전자수송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 수송층(15)의 윗면에는 상기 양극(1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패턴의 음극(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유기EL소자(10)의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선택된 양극(12)과 음극(16) 사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상기 양극(12)에서는 정공, 음극(16)에서는 전자가 각각 상기 정공 수송층(13)과 전자 수송층(15) 속에 주입된다. 이들이 상기 발광층(14) 속에서 재결합하여 유도방출된 여기자(exiton)을 생성하고, 발생한 여기자가 유도방출된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되돌아갈 때 상기 발광층(14)의 형광성 분자의 발광을 수반하고, 이로부터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기EL소자(10)를 제조공정시 상기 패턴화된 전극들(12)(16)은 소자(10)의 구동을 위하여 발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회로부와 연결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이러한 기판(11) 상에 전극(12)이 회로부에 연결되기 위한 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11) 상에는 스트립 형태의 패턴을 가지는 전극(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11)의 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부와 연결되는 패드 전극(21)이 상기 전극(12)과 상응한 개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12)과 패드 전극(21)은 배선(22)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호 통전된다.
상기 전극(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전극(16,도1참조)간에 전압이 인가되어 그 사이에 별도로 마련된 발광 수단이 발광하게 되어 화상을 구현하게 되고,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패드 전극(21)를 통하여 발광되는 부위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판(11)에는 그 단부에 발광되는 영역인 A 이외에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패드 전극(21)을 인출하기 위한 비발광 영역인 B를 확보하게 된다. 이렇게 발광에 기여하지 않은 영역이 기판(11) 상에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소자(10,도1참조)의 제작 및 디자인에 제한요소로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소자(10)의 여유도 확보측면에서 비발광 영역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기판상에 비발광 영역을 최소화시켜 평판표시장치의 여유도를 최대로 확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EL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기판상에 전극과 단자의 연결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EL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기판상에 전극과 단자의 연결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기판상에 전극과 단자의 연결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30...유기EL소자 11,31...기판
12,32...양극 13...정공 수송층
14...발광층 15...전자 수송층
16,36...음극 21,41,51...패드 전극
22,52...배선 31a...굴곡부
33a...적색 발광층 33b...녹색 발광층
33c...청색 발광층 42...이방성 접착제
43...회로부 44...기판 단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른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는,
기판상에 패턴화되어 화상 구현시 발광에 기여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전극; 및
직접적으로 발광에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상기 기판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극과, 외부 회로부의 기판 단자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패드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은 발광영역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기판 윗면 가장자리까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전극은 상기 윗면 가장자리로부터 꺾여지는 측벽에 상기 전극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이 형성되는 윗면으로부터 측벽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비발광영역을 가지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전극은 기판의 윗면의 가장자리까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전극은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상기 굴곡부로부터 측벽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평판표시장치중 유기EL소자(3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유기EL소자(30)는 대면적, 대표시용량을 가진 풀칼라(full color)를 구현하기 위하여 적,녹,청색의 유기EL발광층을 포함한다.
즉, 상기 소자(30)는 투명한 유리로 된 기판(31)이 마련된다. 상기 기판(31) 상에는 스트립 형태로 된 투명한 도전막, 이를테면 ITO막으로 된 양극(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극(32) 상에는 칼라화의 구현을 위하여 패턴화된 적,녹,청색의 유기EL발광층(33a)(33b)(33c)이 미세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적,녹,청색의 유기EL발광층(33a)(33b)(33c)은 각각 적,녹,청색으로 발광이 가능하도록 전자 수송층과, 정공 수송층으로 된 이중층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적,녹,청색의 유기EL발광층(33a)(33b)(33c) 상에는 상기 양극(3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트립 형태의 음극(3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극(32)은 상기 기판(31)의 측벽을 따라 패드 전극(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극(32)과 패드 전극(41)이 연결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31) 상에는 스트립 형태로 된 전극(32)이 복수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기판(31)의 단부에는 윗면으로부터 그 측벽을 따라서 상기 전극(32)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패드 전극(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 전극(41) 상에는 이방성 도전성 접착제(42)가 상응하게 부착되고, 상기 접착제(42) 상에는 회로부(43)에 형성된 기판 단자(44)가 상기 패드 전극(41)과 각각 전기적으로 통전이 가능하다.
상기 전극(32)은 도 3에 언급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전극(36) 사이에 직류 전압이 인가되면 그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적,녹,청색의 유기EL발광층(33a)(33b)(33c)이 발광하게 되어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로부(43)는 기판 단자(44)를 통하여 상기 패드 전극(41)과 접속되고, 상기 패드 전극(41)은 발광 영역에 형성된 전극(3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발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31) 상에 발광되는 영역인 C 이외의 부분인 비발광 영역인 D, 즉, 회로부(43)의 기판 단자(44)와의 접속을 위하여 필요한 영역은 상기 기판(31)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판(31) 상의 전극(32)과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패드 전극(41)은 이방성 도전 접착제(42)에 의하여 상기 회로부(43)의 기판 단자(44)와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며, 발광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는 전극이다. 이 전극(41)이 소자(30)로부터 차지하는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31)의 측벽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극(41) 상에는 상기 접착제(42)를 접착하고, 상기 기판 단자(44)가 열압착하여 상호 대응되게 접합되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극(32)과 패드 전극(51)과의 연결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31) 상에는 발광에 참여하는 전극(32)이 소정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31)의 단부에는 그 측벽을 따라 패드 전극(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32)과 패드 전극(51)은 배선(52)에 의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기판(31)의 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꺽여지는 측벽 사이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굴곡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굴곡부(31a)는 소정의 각도로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52)이 이 굴곡부(31a)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발광 영역인 E에는 발광에 기여하는 전극(32)이 상기 기판(31)의 윗면 가장자리까지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발광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않고 외부 회로부의 기판 단자와 연결되는 패드 전극(51)이 형성되는 비발광 영역인 F는 상기 굴곡부(31a)로부터 측벽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비발광 영역은 기판(31)의 윗면상에 존재하지 않아 발광 면적을 최대화시킬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는 표시장치의 화상을 구현하도록 발광에 기여하는 영역이외의 비발광영역을 기판의 측벽에 형성시키거나, 기판의 단부에 소정의 곡률을 형성하고 이 부위로부터 비발광영역을 형성시키게 됨으로써, 기판의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판표시장치의 여유도를 최대로 확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기판상에 패턴화되어 화상 구현시 발광에 기여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전극; 및
    직접적으로 발광에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상기 기판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극과, 외부 회로부의 기판 단자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상기 전극과 연결되는 패드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발광영역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기판 윗면 가장자리까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전극은 상기 윗면 가장자리로부터 꺾여지는 측벽에 상기 전극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이 형성되는 윗면으로부터 측벽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비발광영역을 가지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기판의 윗면의 가장자리까지 형성되고, 상기 패드 전극은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상기 굴곡부로부터 측벽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KR1020000015864A 2000-03-28 2000-03-28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KR100329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864A KR100329574B1 (ko) 2000-03-28 2000-03-28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864A KR100329574B1 (ko) 2000-03-28 2000-03-28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347A KR20010093347A (ko) 2001-10-29
KR100329574B1 true KR100329574B1 (ko) 2002-03-23

Family

ID=1965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864A KR100329574B1 (ko) 2000-03-28 2000-03-28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5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347A (ko) 200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473B1 (ko) 전계발광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광원장치
US7612499B2 (en) Image display
TWI430697B (zh) An organic EL panel, a panel-bonding type light-emitting device, and an organic EL panel
JP2000100577A (ja) 光学的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541910B2 (en) Organic el display
US7453203B2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contact holes in a region where a power line overlaps an electrode
JP2014075547A (ja) 発光装置
WO2005036935A1 (en) Double-sid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KR20070065588A (ko) 유기 발광 소자
JP2003295785A (ja)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装置
KR100329574B1 (ko) 협소한 비발광영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KR20070055931A (ko)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2343560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電子機器
KR100570746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528911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JP2004200041A (ja) 有機el表示装置
KR100717327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73936B1 (ko)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
KR20030026424A (ko) 유기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0063112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H1174075A (ja) 有機el表示装置
KR100615225B1 (ko) 높은 광 효율 및 낮은 접촉저항을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JP2018081151A (ja) Cog型パネル及び有機elパネル
KR100625964B1 (ko)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78794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