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494B1 - 클러치터치포인트결정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터치포인트결정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494B1
KR100329494B1 KR1019940023984A KR19940023984A KR100329494B1 KR 100329494 B1 KR100329494 B1 KR 100329494B1 KR 1019940023984 A KR1019940023984 A KR 1019940023984A KR 19940023984 A KR19940023984 A KR 19940023984A KR 100329494 B1 KR100329494 B1 KR 100329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signal
touch point
speed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196A (ko
Inventor
치아-치앙리우
제임스멜빈슬리커
Original Assignee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5000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9Improvement of gear change, e.g. by synchronisation or smoothing gear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6Control of fluid pressure, e.g. using an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60W2510/0652Speed change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15Input shaft speed, e.g. turb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 B60W2710/065Idle cond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43Clutch type
    • F16D2500/1045Frictio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1Application
    • F16D2500/1107Vehicles
    • F16D2500/1112Heavy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2Signal inputs from the actuator
    • F16D2500/3024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2Signal inputs from the actuator
    • F16D2500/3026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2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from the output shaft
    • F16D2500/30426Speed of the out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8Signal inputs from the transmission
    • F16D2500/3081Signal inputs from the transmission from the input shaft
    • F16D2500/30816Speed of the in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45Calibration or recalibration of the clutch touch-point
    • F16D2500/50251During operation
    • F16D2500/50254Brake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02Actuator parameters
    • F16D2500/7041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22Clutch parameters
    • F16D2500/70424Outputting a clutch engaged-disengaged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9Brake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6Strategy of control
    • F16D2500/70668Signal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42/00Calibrating
    • F16H2342/04Calibrating engagement of friction elements
    • F16H2342/042Point of eng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클러치의 터치 포인트의 자동결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이 공회전 하는 동안 변속기가 중립에 있고, 관성 브레이크가 가해진 상태에서 터치 포인트를 결정한다.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는 클러치를 맞물려 측정된 변속기 입력속도가 공회전 속도의 40%∼60% 사이에서 기준속도 신호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를 브레이킹 토오크와 맞추는 작은 토오크로 제공한다. 변속기 입력속도가 4%와 같은 기준속도 신호의 소정의 량 범위내에 있을 때, 본 발명은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에 해당하는 클러치 터치 포인트를 결정한다.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는 자동 클러치 제어에 이용되는 기준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클러치 위치신호 또는 클러치 입력신호일 수 있다. 측정된 클러치 맞물림 신호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는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클러치 맞물림 신호가 될 수 있다. 터치 포인트는 작은 토오크의 클러치 맞물림 정도와 클러치 터치 포인트 오프셋 사이의 차로 설정된다. 결정은 입력 및 기준속도에 의한 제어에 따라 클러치가 완전 맞물려 있고 점차 해제되는 상태로부터 시작된다. 이전의 터치 포인트가 알려져 있을 때, 클러치는 초기에 공지된 터치 포인트 바로 위에 위치했다가 점차 해제된다.

Description

클러치 터치 포인트 결정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제07/815,501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본 발명은 자동 클러치 제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동 클러치 제어장치의 초기 토오크 변속에 따라 클러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 동력전달계통의 제어, 특히 대형트럭의 동력전달계통의 제어 자동화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승객용 자동차 및 경트럭에 있어서 자동변속기의 이용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과 같은 일반적인 자동변속기는 엔진축과 구동바퀴 사이의 최종 구동비를 선택하는 유체 토오크 컨버터 및 유압작동기어를 이용한다. 이 기어선택은 엔진속도, 차량속도 등을 토대로 한다. 이러한 자동변속기는 엔진에서 구동축 까지 동력에 대한 변속기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한편 수동변속기의 작동에 비해 연료 효율과 동력의 감소가 심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압자동변속기는 차량작동의 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대형 모우터 트럭에 널리 이용되지 못한다.
유압 자동변속기를 이용할 때 효율성 감소의 이유중 하나는 유체 토오크 컨버터에서의 감소이다. 일반적인 유체 토오크 컨버터는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그에 따라 모든 모우드에서 토오크와 동력이 감소한다. 어떤 엔진 속도 이상으로 변속기의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록업 토오크 컨버티가 선행기술에 제공되어 있다. 이 기술은 연동될 때 토오크 전달 효율을 적절히 제공하지만 저속에서는 효율적으로 이득을 얻지 못한다.
자동작동 마찰클러치의 대체에 의해 유압 토오크 컨버터에서 윈래부터 있는 비효율성을 제거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대체는 유압 토오크 컨버터를 이용할 때 나타나지 않았던 또 다른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용되는 마찰클러치는 초기 클러치 맞물림전에 이동이 상당히 크다. 초기 클러치 맞물림에 이러한 점을 터치 포인트(touch point)라고 한다. 터치 포인트전에는 클러치 맞물림을 위해 클러치를 통해 전혀 토오크가 전달되지 않는다. 클러치 제어장치는 제어 알고리즘에 터치 포인트를 제로위치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된 토오크 전달이 터치 포인트 전에는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클러치 제어장치는 클러치 맞물림을 제어할 때 클러치를 터치 포인트까지 급속히 전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클러치 터치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해 신뢰성이 있으면서 자동화된 방식을 포함하는 마찰클러치의 자동클러치 작동을 제공하면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클러치 작동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클러치에 대한 터치 포인트를 자동 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 마찰클러치, 중립위치를 갖는 다단속도 변속기, 이 다단속도 변속기의 출력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관성이 부여된 견인바퀴 및 자동클러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되어 이용된다.
본 발명은 변속기가 중립으로 되어 있고, 관성 브레이크가 가해진 상태에서, 엔진이 공회전 하는 동안 터치 포인트를 결정한다. 관성 브레이크는 변속기 입력축을 느리게 하여 상단변속하는 동안 속도를 맞추는데 이용된다. 관성 브레이크의 브레이킹 토오크는 엔진의 공회전 토오크의 약 5%이다.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는 클러치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측정된 변속기 입력속도가 공회전 속도 보다 작은 기준속도 신호와 맞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속도 신호는 공회전 속도의 40% 와 60% 사이이다.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는 계단 함수입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과된 기준속도 신호로부터 여과되어 측정된 변속기 입력속도를 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에러속도는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이것은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를 브레이킹 토오크와 맞추는 작은 토오크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변속기 입력속도가 소정량의 기준속도 신호 내에 있는 때를 검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의 량은 기준속도 신호의 4%이다. 이 상태를 검출할 때, 본 발명은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에 해당하는 클러치 터치 포인트를 결정한다.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는 자동클러치 제어에 이용되는 기존의 센서에 의해 발생한 클러치 위치신호 또는 클러치 입력 신호이다. 만일, 측정된 클러치 맞물림이 유효하지 않으면 클러치 맞물림에 대한 이러한 정도는 클러치 맞물림 정도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클러치 맞물림 신호가 될 수도 있다. 클러치 맞물림 정도에 해당하는 신호는 저역 여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포인트는 작은 토오크의 클러치 맞물림 정도와 클러치 터치 포인트 오프셋 사이의 차이로 설정된다. 이 클러치 터치 포인트 오프셋은 브레이크를 극복하기 위한 작은 토오크의 크기와 제로 아닌 토오크를 제공하는 크기 사이의 클러치 맞물림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해 신호를 변경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작동클러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모우터 차량의 동력전달계통에 대한 개략도이다. 모우터 차량은 동력원으로 엔진(10)을 구비하고 있다.본 발명이 가장 이용하기 좋은 형태의 대형트럭인 경우, 엔진(10)은 디젤 내연기관일 수 있다. 발로 작동하는 패달인 드로틀(11)은, 드로틀 필터(12)를 경유하여 엔진(10)의 작동을 제어한다. 드로틀 필터(12)는 드로틀(11)을 통해 스탭 드로틀 증가를 수신할 때 완만하게 상승되는 드로틀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엔진(10)으로 공급되는 드로틀 신호를 여과시킨다. 엔진(10)은 엔진축(15)에 토오크를 발생시킨다. 엔진속도 센서(13)는 엔진 축(15)의 회전속도를 검출한다. 엔진속도 센서에 의한 회전속도의 실제 장소는 엔진 플라이휠일 수 있다. 엔진속도 센서(13)는, 이빨회전이 자기센서(magnetic sensor)에 의해 검출되는 다중 이빨바퀴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클러치(20)는 고정판(21)과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가동판(23)을 포함한다. 고정판(21)은 엔진 플라이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마찰클러치(20)는 엔진축(15)으로부터 고정판(21)과 가동판(23) 사이의 맞물림 정도에 해당하는 변속기 입력축(25)에 토오크를 연결시킨다. 제1도가 한쌍의 고정판과 가동판만을 도시했을지라도, 클러치(20)는 여러 쌍의 판을 포함 할 수 있다.
토오크와 클러치 위치함수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클러치 토오크/위치 곡선(80)은 초기 터치 포인트(81)전의 맞물림 범위에 대해서 초기에는 제로이다. 클러치 토오크는 클러치 맞물림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한다. 제2도의 예에서 클러치 토오크는 처음에 천천히 증가하다가 점(82)에서 완전히 맞물릴 때 최대 클러치 토오크에 도달할 때까지 급속히 증가한다. 일반적인 클러치 설계는 완전 맞물릴 때의 최대 엔진 토오크의 약 1.5 배로 최대 클러치 토오크가 될 것을 요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클러치(20)는 미끄러짐 없이 엔진(10)에 의해 발생한 최대 토오크를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클러치 액츄에이터(27)는 가동판에 연결되어 분리된 때로부터 부분 맞물림을 통해 완전히 맞물릴 때까지 클러치(20)를 제어한다. 클러치 액츄에이터(37)는 전기, 유압 및 가압 액츄에이터일 수도 있고, 위치 또는 압력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클러치 액츄에이터(27)는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로부터 나오는 클러치 맞물림 신호에 따라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치 액츄에이터(27)는 폐쇄루우프 제어장치이다. 클러치 액츄에이터(27)는 클러치 맞물림을 제어하여 클러치 위치센서(29)로부터 측정된 클러치 위치로 하여금 클러치 맞물림 신호를 따르게 한다. 터치 포인트의 결정은 클러치 위치센서(29)로부터 측정된 클러치 위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액츄에이터(27)는 원하는 클러치 압력에 상응하는 클러치 작동신호에 의해 측정된 클러치 압력 피드백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변속기 입력속도 센서(31)는 변속기(30)에 대한 입력인, 변속기 입력축(25)의 회전속도를 감지한다. 변속기(30)는,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의 제어하에서 선택 가능한 구동비를 구동축(35)에 제공한다. 구동축(35)은 차동기어(40)에 연결되어 있다. 변속기 출력속도 센서(37)는 구동축(35)의 회전속도를 감지한다. 변속기 입력속도 센서(31)와 변속기 출력속도 센서(37)는 엔진속도 센서(35)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우터 차량이 대형트럭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차동기어(40)는 각각의 바퀴(51∼54)에 연결된 4개의 액슬축(41∼44)을 구동시킨다.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는 드로틀(11), 엔진속도 센서(13), 변속기 입력속도 센서(31) 및 변속기 출력속도 센서(37)로부터 나오는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는 변속기(30)를 제어하는 기어선택신호와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에 연결된 클러치 맞물림/분리신호를 발생시킨다.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는 드로틀 설정, 즉 엔진속도, 변속기의 입력속도 및 변속기의 출력속도에 상응하는, 변속기(30)에 의해 제공된 최종 변속 기어비를 변경시킨다.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는 마찰클러치(20)가 맞물렸느냐 분리되었느냐에 따라 작동 제어장치(60)를 클러치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맞물림 및 분리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는 기어신호를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로 전달한다. 이 기어 신호에 의해 선택된 기어에 상응하는 세트의 계수를 불러낼 수 있다.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는 상단변속하는 동안 관성 브레이크(29)를 잠시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변속기 입력축(25)의 회전속도를 느리게하여 더 높은 변속기어를 맞물리기 전에 구동축(35)의 속도와 맞춘다. 본 발명의 터치 포인트 결정은 위에서 설명한 방식대로 관성 브레이크(29)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는 본 발명의 일부도 아니기 때문에 더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는 맞물림 신호를 클러치 액츄에이터로 제공하여 가동판(23)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는 제2도에 클러치 토오크/위치곡선(80)에 따라 클러치(20)에 의해 전달된 토오크의 량을 제어한다.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는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의 제어하에서 작동한다.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는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로부터 나오는 맞물림 신호를 수신할 때 분리된 때로부터 부분 맞물림 또는 완전 맞물림시까지 가동판(23)의 이동을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클러치 맞물림 신호가 원하는 클러치 위치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클러치 액츄에이터(27)는 가동판(23)을 제어하는 클러치 위치센서(29)로부터 이러한 원하는 위치까지 측정된 클러치 위치를 이용하는 폐쇄루우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맞물림 신호는 폐쇄루우프 제어를 바람직한 압력으로 제공하는 클러치 액츄에이터(27)에 의해 원하는 클러치 압력을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차량에 따라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개방루우프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클러치 액츄에이터(27)에 대한 세부 설명은 본 발명에 중요하지 않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는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로부터 나오는 분리신호를 수신할 때 클러치(20)의 완만한 분리를 위해 소정의 개방루우프 클러치 분리신호를 발생시킨다. 클러치(20)에 대한 소정의 개방루우프 분리의 경우, 반대의 진동 응답은 전혀 예상되지 않는다.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의 제어기능은 터치 포인트(81)와 완전 맞물림 사이에 있는 클러치 위치에서만 필요하다. 터치 포인트(81)에 상응하는 것보다 작은 클러치 맞물림은, 클러치(20)가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토오크 전달 가능성이 없다. 본 발명은, 터치 포인트(81)에 해당하는 클러치 위치의 검출방법이다.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로부터 나오는 맞물림 신호를 수신할 때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는 클러치(20)를 터치 포인트(81)에 해당하는 점까지 급속히 전진시킨다. 이것에 의해 터치 포인트(81)에서 클러치 맞물림에 대한 제로가 설정된다. 이후, 클러치 맞물림은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의 제어함수에 의해 제어된다.
제3도는 클러치(20)의 터치 포인트의 결정을 도시한다. 이 과정은 클러치 자동 제어장치(60)에 대한 서브셋트의 제어함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포인트의 결정은 변속기를 중립상태에 두는 것과 관성 브레이크(29)를 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클러치(20)는, 변속기 입력속도가 소정의 엔진 공회전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엔진(10)이 공회전하는 동안 점차 맞물린다. 제2도의 점(83)에 해당하는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는 토오크를 클러치(20)를 통해 전달하여 관성 브레이크(29)에 대한 약간의 브레이킹 토오크를 극복한다. 고정된 작은 오프셋(85)이 클러치 맞물림 정도로부터 빼져서 터치 포인트(81)를 결정한다.
터치 포인트 결정과정은 적절히 초기상태를 설정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 초기상태에는 공회전하는 엔진(10), 중립상태에 있는 변속기(30), 맞물려 있는 브레이크(29)가 포함된다. 관성 브레이크(29)는 상단변속하는 동안 변속기 입력축(25)의 회전속도를 구동축(35)의 입력속도와 맞추는 역할을 한다. 변속도중 클러치(20)가 분리되기 때문에, 필요한 브레이킹량은 매우 작다. 관성 브레이크(29)는 공회전 엔진 토오크의 약 5% 정도의 브레이킹 토오크만을 발생시킬 것을 요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속도 발생기(61)는 기준 속도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기준속도 신호는 엔진 공회전 속도의 약 40%∼60%에 해당해야 한다. 터치 포인트 결정이 엔진(10)이 공회전하는 동안 클러치 미끄러짐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준속도 신호는 엔진 공회전 보다 작아야 한다. 기준속도 신호는사전여과장치(62)를 통해 여과된다. 사전여과장치(62)가 제공되어 계단함수 기준속도 신호를 제어과정에 가해지지 못하게 한다.
에러속도 신호는 대수 합산기(63)에서 형성된다. 에러속도 신호는, 사전여과장치(62)에 의해 여과된 속도기준신호 - 여과된 입력속도 신호 사이의 차이이다. 변속기 입력속도 센서(31)는, 변속기 입력축(25)의 회전속도에 해당하는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를 발생시킨다. 리이드(lead) 보상기(64)는 상기 차이가 형성되기 전에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를 여과시킨다.
에러속도 신호는, 클러치 맞물림 신호를 발생하여 클러치 액츄에이터(27)에 가하는 클러치 조절기(65)를 구동시킨다. 이것은 변속기의 변속을 따르는 클러치(20)의 맞물림 동안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의 작동과 유사하다. 클러치 액츄에이터(27)는 클러치(20)를 클러치 작동신호에 상응하는 정도로 맞물린다.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는 변속기 입력축(25)에 연결된 토오크의 양 및 그에 따라 측정된 변속기 입력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이것은 피드백 시스템을 형성한다. 엔진 공회전 속도 보다 낮은 기준속도 신호를 선택하면 속도에러신호가 제로로 구동될 때 클러치(20)가 확실하게 미끄러지게 된다. 관성 브레이크(29)의 브레이킹 토오크를 극복하는데 필요한 토오크량은 너무 적어 엔진(10)을 실속(失速) 시키지 못한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논리유닛(68)은 클러치 터치포인트를 결정한다. 결정논리유닛(68)은 저역필터(66)를 경유하여 여과되어 측정된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결정논리유닛(68)은 저역필터(67)를 경유하여 여과된 클러치 위치센서(29)로부터 측정된 클러치 위치신호를 수신한다. 마지막으로 결정논리유닛(68)은 기준속도 발생기(61)로부터 나오는 기준속도 신호를 수신한다. 결정논리 유닛(68)은 여과된 입력속도 신호를 기준속도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기를 결정한다. 정상상태는 여과된 입력속도 신호가 기준속도 신호의 4%와 같은 소정의 량 범위 내에 있는 시기를 규정한다. 이 상태에 도달할 때, 결정논리 유닛(68)은 여과되어 측정된 클러치 위치신호로서 점(83)을 결정한다.
제2대수 합산기(69)는 터치 포인트(81)의 클러치 위치를 결정한다. 클러치 터치 포인트 오프셋 발생기(70)는 제2도에 도시된 거리(85)에 해당하는 클러치 터치 포인트 오프셋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량은 특정 차량에 따라 다르고, 클러치 토오크/위치곡선(80) 및 관성 브레이크(29)의 브레이크 토오크에 따라 좌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 터치 포인트 오프셋 신호는 클러치(20) 전체 이동거리의 6.8% 이다. 제2대수 합산기(69)는, 결정논리유닛(68)으로부터 여과되어 측정된 클러치 위치 - 클러치 터치 포인트 오프셋 신호 사이의 차이에 해당하는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형성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클러치맞물림 정도에 대한 측정이 전혀 유효하지 않을 때 이용될 수 있다. 제3도에 도시된 저역필터(67)와 유사한 저역필터(71)가 클러치 조절기(65)로부터 나오는 클러치 맞물림 신호를 여과시킨다. 이 신호가 유효하기 때문에, 그리고 클러치 액츄에이터(27)가 이 신호에 해당하는 클러치 맞물림을 제공하기 때문에, 클러치맞물림에 대한 측정으로 이용될 수 있다. 결정논리유닛(68)은 여과된 입력속도 신호가 기준속도 신호의 4% 내에 있는 시기를 결정한다. 이 상태에 도달할 때, 결정논리유닛(68)은 여과된 클러치 맞물림 신호로 점(83)을 결정한다. 제4도의 실시예에 대한 기타 부분은 제3도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한다.
클러치 터치 포인트의 결정을 포함하는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회로를 통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진속도, 변속기 입력속도, 드로틀 설정 및 클러치 위치에 해당하는 입력이 디지털형이어야 한다. 이 입력신호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작동비와 일치하는 비율로 추출되고, 원하는 제어를 하기에 충분히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했듯이, 엔진속도, 변속기 입력속도 및 변속기 출력속도가 이빨회전이 자기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다중 이빨바퀴를 경유해 검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센서에 의해 검출된 일련의 펄스가 소정의 기간 동안 계수된다. 각각의 계수는 측정속도에 정비례한다. 적당한 제어를 위해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의 표시는 차량이 뒤로 이동할 경우 부(-)가 되어야 한다. 구동축(35)의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향감지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드로틀 설정과 클러치 위치는 전위차계(potentiometer)와 같은 아날로그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아날로그식 신호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의해 이용하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의해 디지털화 된다.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듯이, 별도의 차에 대한 방정식에 의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처리를 수행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제어처리는 별도의 하드웨어가 아니라 된 발명을 이용한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프로그램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충분한 수용능력과 적절히 프로그램된 경우, 상기와 동일한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본 발명의 클러치 포인트 결정을 포함하는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60)와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33)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텔(Intel)80C196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충분한 계산능력을 갖는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제3도 및 제4도의 소자는 마이크로 콘트롤러 및 별도의 차에 대한 방정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도의 차에 대한 방정식의 수치값은 프로세서 샘플링비에 대한 함수이다. 아래에 주어진 특별한 값은 100KHz 의 샘플링 비를 근거로 한다. 비교적 낮은 샘플링비는 실행타당성이 있고, 동일한 필터응답을 성취하기 위해 상이한 계수값을 필요로 한다. 샘플링비의 계수에 대한 조절은 선행기술 범위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전여과장치(62)의 i 번째 값은
Pi= 0.98 Pi-1+ 0.02 Sref(1) 이다.
여기서, Pi-1은 사전여과장치 출력의 직전값이고, Sref는 입력기준 속도 신호이고, 리이드 보상기(64)의 i 번재 SCompi
SCompi= 0.63265 SCOMPi-1+ 2.6327 SIni- 2.2653 SIni-1(2)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SCompi-1은 비교기 출력의 선행값이고, SIni은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의 현재값이다. SIni-1은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의 다음 선행값이다. 클러치 조절기(65)에의해 발생한 클러치 맞물림 신호(CEngi)의 i 번째 값은
CEngi= CEngi-1+ SErri- 0.98 SErri-1(3) 이다.
여기서, CEngi-1은 클러치 맞물림 신호의 직전값이고, SErri는 속도에러신호의 현재값, SErri-1은 속도에러신호의 직전값이다. 저역필터(66)로부터 여과된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SFili)의 i 번째 값은
SFili= 1.7667 SFili-1- 0.7866 SFili-2+ 0.02 SIni(4) 이다.
여기서, SFili-1은 여과된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의 직전값이다. 그리고, SFili-2은 여과된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의 직전값 앞의 값이다. 마지막으로, 여과되어 측정된 클러치 위치신호(CFili)의 i 번째 값은
CFili= 0.98 CFili-1+ 0.02 CPosi(5)에 의해 주어진다.
여기서, CFili-1은 여과되어 측정된 클러치 위치신호의 직전값이다.
이 기술은 터치 포인트를 유리하게 결정하게 한다. 이 기술은, 공지된 작은 토오크를 전달하는 클러치 맞물림의 측정을 토대로 한다. 변속기가 중립위치에 있기 때문에, 변속기 입력축(25)에 가해진 다른 토오크는 없으며, 다른 방해되는 힘도 없다. 공지된 작은 토오크를 전달하는 클러치 맞물림을 측정함으로써, 토오크 포인트는 초기 토오크 전달점을 찾는 것보다 더 신뢰성있게 추정될 수 있다. 피드백 시스템은 이 작은 값을 전달하는 맞물림의 정도에 신뢰성 있게 도달하는 것을보증한다. 이것은 초기 토오크 전달점에서는 그처럼 쉽게 될 수는 없다. 또한, 관성 브레이크와 클러치 맞물림 센서는 기본 시스템내에 통상 이미 제공되어 있으므로, 부가적인 하드웨어를 요하지는 않는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 장치의 작동은 변속기가 중립이고 엔진이 공회전 상태이고 관성 브레이크가 가해지며 클러치가 해제 또는 완전 분리상태에 있는 초기상태에서 시작된다. 다음, 제5도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듯이, 클러치가 터치 포인트(TP)를 통과할 때까지 맞물림 위치쪽으로 점차 가해지거나 이동하여 측정된 입력속도는 기준속도에 도달한다. 이 경우에, 클러치의 이동은 입력속도와 기준값의 차이에 의해 구동되며, 입력속도는 초기에 제로로 되므로 기준값 보다 휠씬 작다.
동일 시스템의 또 다른 작동은, 변속기의 초기상태가 중립이고 엔진이 공회전 상태이고 관성 브레이크가 가해지는 한편 클러치가 가해지거나 완전히 맞물린 위치에서 시작된다. 다음, 제6도에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듯이, 곡선(A)에서 완전히 맞물린(FE)위치에서 시작한 클러치는 관성 브레이크의 영항하에서 클러치가 미끄러지기 시작할 수 있는 터치 포인트 이상의 점(83)(제2도에 명기)에 도달할 때까지 점차 해제되거나 분리되고, 측정된 입력속도는 기준속도에 도달한다. 앞에서의 경우와 같이 클러치의 이동은 입력속도와 기준값 사이의 차이에 의해 구동되지만, 입력속도는 초기에 엔진속도여서 기준값 보다 크다. 이 다른 접근방식에 의해 제어가 더 잘된다. 토오크가 작은 관성 브레이크는, 클러치가 해제됨에 따라 점차 속도에 영향을 주어 속도 감속비가 느려지므로 맞물림 클러치의 높은 토오크 수용능력에의해 관성 브레이크가 신속히 극복되는 클리치 맞물림 방법과 반대로 쉽게 제어될 수 있다.
장치를 약간 변경함으로써, 제6도의 곡선(B)에 의해 도시되어 있듯이, 신속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개선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터치 포인트의 종래의 기술에 응용할 수 있어서 클러치는 완전 맞물림 위치에서 점차 클러치를 해제하기 시작하는 터치 포인트 부근의 초기점(IP)까지 이동할 수 있다. 선행기술의 터치 포인트가 공지되었을지라도, 장치가 노후화 및 손상으로 인해 변하거나 온도변화로 인해 터치 포인트가 변경되기 때문에 현재 터치 포인트값에만 의존하는 것은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터치 포인트는 차량 동력이 증가할 때 마다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도의 장치는, 이전의 터치 포인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이전의 터치포인트를 토대로 클러치를 초기점(IP)까지 이동시키는 초기 제어장치를 포함함으로써, 개량되었다.
제7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개량된 장치는 터치 포인트 메모리 회로(90)와 초기화 회로(92)를 추가했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3도의 장치와 같다. 터치 포인트 메모리(90)는 합산기(69)의 출력에 연결된 입력을 지니고, 가동평균값을 결정하기 위해 가장 최근의 미리 결정된 터치 포인트 또는 심지어 최근의 여러 터치 포인트를 저장한다. 메모리는 시스템 마이크로 콘트롤러 메모리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화 회로(92)는 터치 포인트 메모리(90)와 클러치 조절기에 연결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공지된 터치 포인트를 토대로 한 초기 클러치 위치(IP)를 산출한다. 클러치의 추가 해제 이동이 터치 포인트를 찾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또한,현재 터치 포인트 이상일 것을 보증하기 위해 초기 클러치 위치(IP)는 충분히 이전의 터치 포인프 이상으로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초기 클러치 위치는 이전의 터치 포인트 + 고정된 증분이다. 클러치를 초기 클러치 위치(IP)로 밀치기 위해 초기화 회로(92)에서 클러치 조절기(65)로 신호가 보내진다. 다음, 측정된 입력속도와 기준속도 사이의 차이를 토대로 한, 앞서 설명한 클러치 제어는 점(83) 또는 점(83) 약간 아래까지 점차 이동한다. 클러치 터치 포인트 오프셋은 실제적인 터치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해 제3도의 장치에 응용될 수 있지만 오프셋의 값은 비교적 더 작다.
따라서, 제6도 및 제7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기술은 제3도 및 제4도 장치의 장점을 지녀서 장치에서 부가적인 기계 소자없이 터치 포인트를 제공하며, 마이크로 콘트롤러 프로그래밍에 의해 주로 수행된다. 또한, 이 기술은 클러치 포인트를 더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 갑작스럽게 가속하거나 감속하지 않고 클러치를 제어가능한 상태로 전진시킨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동력전달 계통의 개략도.
제2도는 클러치 맞물림과 클러치 토오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클러치 터치 포인트 결정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
제4도는 클러치 터치 포인트 결정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5도는 제3도의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그래프.
제7도는 클러치 터치 포인트 결정에 대한 제3실시예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12 : 드로틀 필터
27 : 클러치 액츄에이터 33 :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60 : 클러치 작동 제어장치 61 : 속도 기준발생기
62 : 전치필터 65 : 클러치 조절기
66, 67, 71 : 저역필터 68 : 결정논리
70 : 클러치 터치 포인트

Claims (26)

  1. 소정의 공회전 속도를 지닌 동력원과, 이 동력원으로부터 클러치 출력축에 토오크를 제어할 수 있게 전달하는 마찰클러치와, 클러치 출력축에 연결된 입력축을 지니며 중립위치를 포함하는 다단속도 변속기와, 이 다단속도 변속기의 출력축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부하 견인바퀴와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를 제어하는 자동 클러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터치 포인트 결정기는;
    동력원의 공회전 속도의 소정의 값에 해당하는 기준속도 신호를 발생 시키는 기준속도 발생기와;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의 회전속도에 상응하는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변속기 입력속도 센서와;
    소정의 브레이킹 토오크를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에 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관성 브레이크와;
    마찰클러치에 연결되어 클러치 맞물림 신호에 따라 분리에서부터 완전 맞물림까지 마찰클러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클러치 액츄에이터와;
    상기 기준속도 발생기, 상기 변속기 입력속도 센서, 상기 관성 브레이크, 상기 클러치 액츄에이터 및 상기 클러치 맞물림 센서에 연결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동력원이 공회전하고, 다단속도 변속기가 중립에 있을 때 터치 포인트를 결정하는 동안 상기 관성 브레이크를 맞물리는 관성 브레이크 맞물림기와;
    상기 기준속도 발생기와 상기 제1변속기 입력속도 센서에 연결되어 (1)상기 기준속도 신호와(2) 상기 변속기 입력신호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제1대수 합산기와;
    상기 제1대수 합산기에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 맞물림 신호를 상기 클러치 액츄에이터로 공급하여 마찰클러치를 상기 대수합 신호를 최소화하는 정도까지 작동시키는 보상기와;
    상기 기준속도 발생기, 상기 변속기 입력속도 센서 및 상기 클러치 맞물림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관성 브레이크가 맞물려 다단속도 변속기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 상기 변속기 입력속도가 상기 기준속도 신호의 소정의 량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클러치 맞물림에 대한 측정값과 균등한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설정하기 위한 결정논리유닛을 구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에 연결되어 이 마찰클러치의 맞물림 정도에 해당하는 측정된 클러치 맞물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러치 맞물림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결정논리유닛은 상기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가 상기 기준속도 신호의 소정의 범위에 있을 때 상기 측정된 클러치 맞물림 신호에 해당하는 상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설정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맞물림 센서는 측정된 클러치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러치 위치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클러치 액츄에이터는 상기 클러치 맞물림 신호에 의해 표시된 원하는 클러치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보상기는 클러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클러치 맞물림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결정논리유닛은 클러치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맞물림 센서는 클러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러치 압력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보상기는 클러치 압력을 나타내는 상기 클러치 맞물림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결정논리 유닛은 클러치 압력을 나타내는 상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클러치 맞물림 센서에 연결되어 있고, 여과되어 측정된 클러치 맞물림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러치 맞물림 신호 여과장치와;
    상기 변속기 입력속도가 상기 기준속도 신호의 소정의 량 범위내에 있을 때, 상기 여과되어 측정된 클러치 맞물림 신호와 같은 상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설정하는 결정논리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결정논리유닛은 상기 변속기 입력속도가 상기 기준속도 신호의 상기 소정의 량 범위내에 있을 때 상기 클러치 맞물림 신호와 같은 상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설정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기준속도 발생기에 연결되어 여과된 기준속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전여과장치;
    상기 변속기 입력속도 센서에 연결되어 여과된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이드 보상 여과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대수 합산기가 (1)상기 여과된 기준속도 신호와 (2)상기 여과된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상기 제1대수합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터치 포인트 오프셋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포인트 오프셋 발생기와;
    상기 결정논리유닛과 상기 터치 포인트 오프셋 발생기에 연결되어 (1) 상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와 (2)상기 터치 포인트 오프셋 신호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보정된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형성하는 제2대수 합산기를 포함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속도 발생기는 상기 공회전 속도의 40% ∼ 60% 범위내의 상기 기준속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에서 상기 결정논리유닛은 상기 변속기 입력속도 신호가 상기 기준속도 신호의 2% 내일 때, 클러치 맞물림에 대한 측정값과 균등한 상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설정하는 장치.
  11. 소정의 공회전 속도를 지닌 동력원과, 이 동력원으로부터 클러치 출력축에 토오크를 제어할 수 있게 전달하는 마찰클러치와, 클러치 출력축에 연결된 입력축을 지니며, 중립위치를 포함하는 다단속도 변속기와, 다단속도 변속기의 출력축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관성이 부여된 견인바퀴와,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를 제어하는 자동 클러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마찰클러치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방법은 공회전 속도로 동력원을 작동하는 단계와;
    다단속도 변속기에서 중립위치를 선택하는 단계와;
    소정의 브레이킹 토오크를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에 가하는 단계와;
    공회전 속도보다 작은 기준속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에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속도 신호와 감지된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의 감지된 회전속도 사이의 속도차이를 형성하는 단계와;
    마찰클러치를, 상기 속도차이를 최소화하는 정도로 작동시키게 하는 단계와;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의 감지된 회전속도가 기준속도 신호의 소정의 량 범위내에 있는 경우,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에 해당하는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기준속도 신호를 여과하는 단계와;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의 감지된 회전속도를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속도차이를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여과된 기준속도 신호와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에 대해 여과되어 감지된 회전속도 사이의 차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클러치 맞물림의 정도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에 대해 감지된 회전속도가 기준속도 신호의 소정의 량 범위내에 있을 때 감지된 클러치 맞물림의 정도와 균등한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클러치 맞물림의 정도를 감지하는 상기 단계는 마찰클러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감지된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의 회전속도는 기준속도 신호의 소정의 량 범위내에 있을 때 측정된 클러치 위치와 균등한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를 감지하는 상기 단계는 마찰클러치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의 감지된 회전속도가 기준속도 신호의 소정의 량 범위내에 있을 때 측정된 클러치 압력과 균등한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차이를 최소화하는 정도로 마찰클러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속도차이에 해당하는 클러치 맞물림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클러치 맞물림 신호에 해당하는 크기로 마찰클러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마찰클러치의 축력축의 감지된 회전속도가 기준속도 신호의 소정의 량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클러치 맞물림 신호와 균등한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감지된 클러치 맞물림 정도를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의 감지된 회전속도가 기준속도 신호의 소정의 량 범위내에 있을 때, 여과되어 감지된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와 균등한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는 상기 소정의 토오크를 전달할 때의 클러치맞물림과 마찰클러치가 제로 토오크 보다 큰 클러치 맞물림의 차에 해당하는 터치 포인트 오프셋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1)상기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와, (2)터치 포인트 오프셋 신호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보정된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속도 신호는 공회전 속도 40% ∼ 60% 의 범위 내인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마찰클러치의 출력축의 감지된 회전속도가 기준속도 신호의 4% 내인 경우 클러치의 맞물림 정도에 해당하는 클러치 터치 포인트 신호를 결정하는 방법.
  21. 제11항에 있어서, 클러치가 초기에 분리되어 있을 경우 마찰클러치를 작동하는 단계는 상기 속도차이를 최소화하는 정도로 마찰클러치를 맞물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11항에 있어서, 클러치가 초기에 맞물린 경우에 마찰클러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속도차이를 최소화하는 정도로 마찰클러치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1항에 있어서, 클러치가 초기에 맞물려 있는 경우, 이전의 작동으로부터 터치 포인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터치 포인트 바로 위의 점까지 작동에 의해 클러치를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속도차이를 최소화하는 정도로 마찰클러치를 분리함으로써 작동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가 초기에 분리되어 있고;
    보상기는 마찰클러치를 맞물려서 상기 제1대수합 신호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클러치 액츄에이터에 대한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가 초기에 맞물리고;
    보상기는 마찰클러치를 분리시켜 상기 제1산술합 신호를 최소화하기 위해 클러치 액츄에이터에 대한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가 초기 맞물림에 있고 제어장치는 전의 터치 포인트 값을 저장하는 수단과;
    클러치를 전의 터치 포인트 보다 큰 맞물림 정도로 부분적으로 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한 초기화 수단을 포함하고;
    보상기는 상기 클러치 액츄에이터에 공급하기 위한 클러치 맞물림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1대수합 신호를 최소화하는 정도로 초기화 수단에 의해 설정된 맞물림의 정도로부터 마찰클러치를 더 분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KR1019940023984A 1993-09-23 1994-09-23 클러치터치포인트결정방법및장치 KR100329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126,107 US5337868A (en) 1992-01-02 1993-09-23 Touch point identification for automatic clutch controller
US126.107 1993-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196A KR950008196A (ko) 1995-04-17
KR100329494B1 true KR100329494B1 (ko) 2002-11-13

Family

ID=2242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984A KR100329494B1 (ko) 1993-09-23 1994-09-23 클러치터치포인트결정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337868A (ko)
EP (1) EP0645277B1 (ko)
JP (1) JP3569874B2 (ko)
KR (1) KR100329494B1 (ko)
AT (1) ATE160974T1 (ko)
CA (1) CA2132655C (ko)
CZ (1) CZ290074B6 (ko)
DE (1) DE69407243T2 (ko)
ES (1) ES2111254T3 (ko)
RU (1) RU2199448C2 (ko)
ZA (1) ZA94745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641B1 (ko) 2016-07-25 2018-05-2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클러치 터치포인트 탐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3274A (en) * 1993-07-19 1995-02-28 Eaton Corporation Touch point identification algorithm for automatic clutch controller
US5439428A (en) * 1994-02-22 1995-08-08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obust automatic clutch control with pid regulation
GB2291199A (en) * 1994-07-09 1996-01-17 Rolls Royce Plc Steady state sensor
DE4434111A1 (de) * 1994-09-23 1996-03-28 Kongsberg Automotive Technolog Steuerung für eine automatisch betätigte Kupplung
JP3237419B2 (ja) * 1994-10-21 2001-1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クラッチ制御装置
GB9421350D0 (en) * 1994-10-24 1994-12-07 Eaton Corp Automated clutch control and calibration
DE19540921A1 (de) * 1995-11-03 1997-05-07 Bosch Gmbh Robert System zur Steuerung einer Servokupplung
FR2742480B1 (fr) * 1995-12-15 1998-02-13 Renault Procede de commande de l'alimentation en carbura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US5630773A (en) * 1996-02-02 1997-05-20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lip mode control of automatic clutch
FR2751388B1 (fr) * 1996-07-19 1998-08-21 Renault Procede d'apprentissage du fonctionnement d'un embrayage mecanique
GB9617930D0 (en) 1996-08-28 1996-10-09 Eaton Corp Actuator system for vehicular automated clutches with electric motor actuator and pressurized override
DE19639289C1 (de) * 1996-09-25 1997-11-20 Daimler Benz Ag Automatisch gesteuerte Kupplung
FR2756228B1 (fr) * 1996-11-22 1998-12-24 Renault Procede d'apprentissage du point de debut de passage de couple d'un embrayage
GB9626527D0 (en) * 1996-12-20 1997-02-05 Ap Kongsberg Holdings Ltd Clutches
US6050379A (en) * 1998-07-10 2000-04-18 Chrysler Corporation Algorithm for electro-mechanical clutch actuator
US6022295A (en) * 1998-11-12 2000-02-08 Eaton Corporation Touch point identification for vehicle master clutch
US5980428A (en) * 1998-11-13 1999-11-09 Eaton Corporation Vehicle launch automated master clutch control
US6071211A (en) * 1998-11-18 2000-06-06 Eaton Corporation Idle drive torque control for automated vehicle master clutch
DE10012122A1 (de) 1999-03-15 2000-09-21 Luk Lamellen & Kupplungsbau Kupplungssteuersystem
DE10037544A1 (de) * 1999-08-31 2001-03-01 Luk Lamellen & Kupplungsbau Getriebe
DE19951527C1 (de) * 1999-10-26 2001-06-13 Siemens Ag Steuerung für eine automatisch betätigte Kupplung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utomatisch betätigten Kupplung
GB2361980A (en) 2000-05-05 2001-11-07 Eaton Corp Dry clutch control system using idle drive torque so as to provide vehicle crawl speed
WO2001088409A2 (de) * 2000-05-17 2001-11-2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Getriebe mit kuppl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upplung
JP4066616B2 (ja) * 2000-08-02 2008-03-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自動始動制御装置及び動力伝達状態検出装置
DE10038331A1 (de) * 2000-08-05 2002-02-14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m Erfassen des Betriebszustandes einer reibschlüssigen Kupplung
DE10060642C2 (de) 2000-12-06 2003-04-30 Siemens Ag Steuerug für eine automatisch betätigte Kupplung
DE10159267B4 (de) * 2000-12-14 2015-01-1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rfahren zur Lageregelung eines Kupplungsaktuators
DE10116544C1 (de) * 2001-04-03 2002-06-27 Siemens Ag Betätigungssystem für die Kupplung eines mit einem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 versehenen Kraftfahrzeugantriebs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s solchen Betätigungssystems
JP2005508779A (ja) * 2001-07-12 2005-04-07 ルーク ラメレン ウント クツプルングスバウ ベタイリグングス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車両の、従来とは異なるドライブトレイン内でクラッチの調整を適応させるための方法
DE10306934A1 (de) * 2003-02-19 2004-09-02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Anlegepunktbestimmung der Kupplung eines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s
FR2859258B1 (fr) * 2003-08-29 2006-02-24 Renault Sa Procede pour selectioner une loi de commande du systeme de pilotage d'un embrayage en determinant trois points de fonctionnement
US20050109141A1 (en) * 2003-11-25 2005-05-26 Devore James H. Automated mechanical transmission system
US7048106B2 (en) * 2004-03-26 2006-05-23 Cnh America Llc Power take-off control system and method
DE102005036477A1 (de) 2005-08-03 2007-02-15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und Steuerungseinrichtung zum Einstellen einer Drehzahl einer Welle eines Zahnräderwechselgetriebes
DE102006042356A1 (de) * 2006-09-08 2008-03-27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Detektierung des Anlegepunktes einer Kupplung, insbesondere einer nassen Anfahrkupplung
DE102007013495A1 (de) 2007-03-21 2008-09-25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tomatisierten Reibungskupplung eines Doppelkupplungsgetriebes
DE102007022792A1 (de) * 2007-05-11 2008-11-2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Kupplungsstellvorrichtung für ein manuelles Schaltgetriebe eines Fahrzeugs und entsprechendes Steuerungsverfahren
FR2918334B1 (fr) * 2007-07-06 2009-09-11 Renault Sas Procede de traitement de donnees dans un dispositif d'assistance aux manoeuvres en cote d'un vehicule automobile
DE102007038150B4 (de) * 2007-08-13 2010-04-29 Magna Powertrain Ag & Co Kg Steuerverfahren für Kupplungsanordnung
DE102007050301B4 (de) 2007-10-22 2021-10-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einer Fehlfunktion einer Kupplung
DE102008000341A1 (de) 2008-02-19 2009-08-20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Planeten-Automatgetriebes
JP5162767B2 (ja) * 2008-03-28 2013-03-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ッチ制御装置
US8738256B2 (en) * 2008-07-01 2014-05-27 Eaton Corporation Automatic calibration of the torque transfer touch point in an electrically actuated clutch in a hybrid vehicle
SE534255C2 (sv) * 2009-09-01 2011-06-21 Scania Cv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att utföra ett växlingssteg hos ett fordon
SE534245C2 (sv) * 2009-09-14 2011-06-14 Scania Cv Ab Metod och system för bestämning av kontaktpunkten för en koppling vid ett fordon
SE534111C2 (sv) * 2009-09-14 2011-05-03 Scania Cv Ab Metod och system för styrning av en koppling
DE102010039172B4 (de) * 2010-08-11 2023-12-07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s Anlegebetätigungsdruckwertes eines reibschlüssigen Schaltelements
KR101371461B1 (ko) * 2012-09-06 2014-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클러치의 토크전달 시작점 학습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E112012007067B4 (de) * 2012-10-31 2018-06-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ahrzeugfahrt-Steuerungsvorrichtung
KR101416375B1 (ko) * 2012-12-18 2014-07-08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클러치의 학습 주기 설정 방법 및 시스템
DE112014006208B4 (de) * 2014-01-20 2024-03-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Reibungskupplung
JP6578003B2 (ja) * 2014-11-19 2019-09-18 ジーケーエヌ オートモーティブ リミテッド クラッチの動作方法
EP3221609B1 (en) * 2014-11-19 2021-07-07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A method to control clutch force in a clutch pack
CN104879491B (zh) * 2015-04-28 2017-03-08 上海汽车变速器有限公司 同步器同步点辨识方法及系统
DE102015222007B4 (de) 2015-11-09 2020-07-09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lektrohydraulischen Getriebekupplung eines Kraftfahrzeugs, Steuervorrichtung für eine elektrohydraulische Getriebekupplung eines Kraftfahrzeugs sowie Kraftfahrzeug mit einer elektrohydraulischen Getriebekupplung
DE102017109403B4 (de) 2017-05-03 2023-06-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olutpositionsbestimmung eines sich um eine Drehachse drehenden Bauteiles eines Aktors, insbesondere eines Kupplungsaktors
RU196789U1 (ru) * 2019-08-23 2020-03-16 Леонид Александрович Румянцев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цеплением нормально разомкнутого типа
CN112432787B (zh) * 2019-08-26 2023-10-2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单向离合器有效性确定方法及装置
CN110595769B (zh) * 2019-09-20 2021-03-12 北华大学 一种联轴器可靠性试验系统
CN113696882B (zh) * 2021-09-30 2023-12-1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离合器滑摩点的位置的确定方法、装置及汽车
CN114151469B (zh) * 2021-12-01 2023-09-26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离合器半结合点位置自学习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7926A (en) * 1961-10-19 1967-01-10 Gen Motors Corp Vehicle propulsion and control system
US4081065A (en) * 1976-12-23 1978-03-28 Smyth Robert Ralston Controlled power clutch
US4457411A (en) * 1980-06-02 1984-07-03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Torque transmission device
US4576265A (en) * 1982-10-22 1986-03-18 Nissan Motor Co., Ltd. Control system for hydraulic automatic clutch
DE3404156A1 (de) * 1984-02-07 1985-08-1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inrichtung zur automatischen betaetigung einer kupplung von fahrzeugen waehrend des anfahrens
WO1985004225A1 (en) * 1984-03-16 1985-09-26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Automatic transmission for vehicles
US4646891A (en) * 1985-01-31 1987-03-03 Eaton Corporation Automatic clutch control
JPS61196831A (ja) * 1985-02-26 1986-09-01 Diesel Kiki Co Ltd 内燃機関車輛用自動発進制御装置
US4674609A (en) * 1985-06-03 1987-06-23 Borg-Warner Corporation Torsional vibration dampening system
DE3640139C2 (de) * 1985-11-25 1991-06-27 Honda Motor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kupplung in einem fluessigkeits-drehmomentwandler eines fahrzeuggetriebes
US4792902A (en) * 1985-12-12 1988-12-20 Ford Motor Company Engine ignition timing for a clutch engagement control system
US4766967A (en) * 1985-12-27 1988-08-30 Eaton Corporation Oscillation control system for electric motor drive
JPH0796377B2 (ja) * 1986-04-24 1995-10-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クラツチの制御装置
US4724939A (en) * 1986-07-17 1988-02-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losed loop clutch slip control system with turbine roughness control
JP2636283B2 (ja) * 1987-12-11 1997-07-3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US4993527A (en) * 1988-04-29 1991-02-19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determining and controlling the lock-up of a torque converter in an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US4899858A (en) * 1989-03-02 1990-02-13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updating of control parameter value indicative of master clutch point of incipient engagement
JP2646133B2 (ja) * 1989-04-12 1997-08-25 株式会社ゼクセル クラッチ制御用データの補正方法
FR2645805B1 (fr) * 1989-04-17 1995-07-13 Luk Lamellen & Kupplungsbau Procede de commande d'un embrayage a friction automatise agissant entre un moteur d'entrainement et une transmission, appareillage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et regulation associee d'un embrayage a friction
US5170868A (en) * 1990-10-31 1992-12-15 Suzuki Motor Corporation Automatic starting clutch control method
US5293316A (en) * 1991-10-07 1994-03-08 Eaton Corporation Closed loop launch and creep control for automatic clutch
CA2085517C (en) * 1992-01-02 1999-04-13 Chia-Hsiang Liu Touch point identification for automatic clutch controller
US5337874A (en) * 1993-03-19 1994-08-16 Eaton Corporation Method/system for determining clutch touch poi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641B1 (ko) 2016-07-25 2018-05-2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클러치 터치포인트 탐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196A (ko) 1995-04-17
RU2199448C2 (ru) 2003-02-27
ES2111254T3 (es) 1998-03-01
DE69407243T2 (de) 1998-07-09
DE69407243D1 (de) 1998-01-22
CZ232394A3 (en) 1995-04-12
CZ290074B6 (cs) 2002-05-15
CA2132655A1 (en) 1995-03-24
JPH07158667A (ja) 1995-06-20
CA2132655C (en) 1999-05-11
JP3569874B2 (ja) 2004-09-29
EP0645277B1 (en) 1997-12-10
ZA947458B (en) 1996-03-25
US5337868A (en) 1994-08-16
ATE160974T1 (de) 1997-12-15
EP0645277A1 (en) 1995-03-29
RU94034118A (ru) 199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494B1 (ko) 클러치터치포인트결정방법및장치
KR100214361B1 (ko) 자동클러치제어기의 터치포인트 결정장치 및 방법
KR100347552B1 (ko) 자동클러치의스로틀제어방법및장치
CA214306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bust automatic clutch control with pid regulation
KR100261005B1 (ko) 차량클러치 제어에 이용되는 엔진 제어방법
EP0601728B1 (en) Clutch mode control logic
KR100214360B1 (ko) 자동클러치용 폐쇄루우프 출발 및 크리프제어기
JP3398785B2 (ja) 車両用自動クラッチコントローラ
JPH03209028A (ja) 摩擦クラッチ制御方法、摩擦クラッチ制御装置およびクラッチの伝達トルクに対する調整方法
GB2328993A (en) Clutch control unit which controls clutch torque in dependence on engine tor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