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405B1 - 대형정화조 - Google Patents

대형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405B1
KR100329405B1 KR1019940029832A KR19940029832A KR100329405B1 KR 100329405 B1 KR100329405 B1 KR 100329405B1 KR 1019940029832 A KR1019940029832 A KR 1019940029832A KR 19940029832 A KR19940029832 A KR 19940029832A KR 100329405 B1 KR100329405 B1 KR 10032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ortion
septic tank
rib
lower cylinder
upp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003A (ko
Inventor
야마다다께요시
요시다히데쓰구
헨미가쓰이찌
이노꾸찌노리오
Original Assignee
데이진 메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509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70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62891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18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656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4458B2/ja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메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메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1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405B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구성] 상통부 및 하통부로 구성되든가 혹은 상통부, 하통부 및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밴드의 중간통부로 구성되는 대형 정화조로서, 이 대형 정화조는, (1)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올레핀의 가교중합체 성형품이며, (2)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종방향으로 각형 요철리브를 가지며, 또 (3) 각각의 요철리브는 특정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효과]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는, 반응 사출형성에 의해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경량이고,충격에 강하며, 내부 및 외부의 압력에 강하고, 그리고 재활용이 가능한 것 등의 뛰어난 이점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대형 정화조
본 발명은 경량이면서 충격에 대해서 강하고, 또 내구성에 뛰어난 대형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섬유강화의 필요도 없으며, 재활용이 가능하며, 또한 폐기소각처분시 유해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무공해인, 일체성형된 대형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화조의 대부분은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을 사용하여 성형되어 있다. 특히 유리섬유로 강화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어 있다.
이 유리섬유로 강화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이용하여 정화조를 성형하는 경우, 유리를 포함한 대량의 분진이 발생하고, 작업환경이 열악해 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FRP 를 사용한 정화조는 중량도 크고, 또 운반시 떨어뜨린 경우나 시공시 잔돌에 부딪칠 경우, 그 충격에 의해서 용이하게 금이 간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FRP 의 성형품은, 유리섬유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폐기시에 파쇄, 분쇄가 곤란하며, 또 소각하여도 유리섬유가 대량으로 남아 그 처리에 품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종래의 FPR 을 사용한 정화조가 갖고 있는 여러 문제를 해결한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제조과정에 있어서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그리고 반응 사출성형법에 의해 비교적 간단히 성형할 수 있는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경량이면서 충격에 대해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또한 설치후에 내부 및 외부의 압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정화조를 제공하는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한 수지성형품의 재활용 사용이 가능하며, 또 폐기처리가 용이한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 정화조 특히 합병 정화조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화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연구를 한 결과, 메타세시스(metathesis) 중합 촉매계(복분해 촉매제) 를 이용하여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을 금형내에서 중합 및 가교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가교중합체를 이용하고, 특정의 요철형상의 리브를 형성시킴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며 경량화가 가능하며 충격에 대해서 강하고, 내구성 및 내압성을 갖고, 재활용 가능한 대형 정화조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통부 및 하통부로 구성되든가 혹은 상통부, 하통부 및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밴드의 중간통부로 구성되는 대형 정화조로서, 이 대형 정화조는, (1)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촉매성분을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A(용액 A) 와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활성화제성분을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B(용액 B) 를 혼합하고, 그 원료 혼합액을 금형내로 주입하고 그 금형내에서 중합 및 가교반응을 시킴으로써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이며, (2)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종방향으로 각형 요철리브를 갖고, 그요철리브는 정화조의 횡방향의 폭의 길이에 대해서 평균하여 1 m 당 1.5 ∼ 5개 갖고,(3) 각각의 요철리브는, 하기 형상특성( i )∼(iv)
[단 t 는 요철리브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의 성형품의 평균두께를 나타내고, H는 성형품 표면으로부터의 볼록부의 높이를 나타내며, W 는 요철부의 폭을 나타내고, R 및 R' 는 각각 요철부의 굴곡부의 반경을 나타내며, t, H, W, R 및 R' 의 단위는 밀리(mm) 로 나타낸다.]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통용량이 2㎥ 이상 바람직하게는 3 ∼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3 ∼ 12㎥ 의 대형의 정화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화조를 구성하는 가교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서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시클로알켄기를 분자중에 1∼2 개 함유하는 것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노르보르넨 골격을 분자중에 적어도 하나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디시클로펜타디엔, 트리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펜타디엔 - 메틸시클로펜타디엔 공 2량체, 5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노르보르넨, 노르보르나디엔, 5 -시클로헥세닐노르보르넨, 1,4,5,8 - 디메타노 - 1,4,4a,5,6,7,8,8a - 옥타히드로나프탈렌, 1,4, - 메타노 - 1,4,4a,5,6,7,8,8a -옥타히드로 나프탈렌, 6 - 에틸리덴 - 1,4 5.8 - 디메타노 - 1,4,4a,5,6,7,8,8a - 옥타히드로 나프탈렌, 6 - 에틸리덴 - 1,4,5,8 - 디메타노 - 1,4,4a,5,6,7,8,8a - 헵타히드로 나프탈렌, 1,4,5,8 - 디메타노 - 1,4,4a,5,6,7,8,8a - 헥사히드로 나프탈렌, 에틸렌비스(5-노르보르넨)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시클로펜타디엔 또는 그들을 5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 함유하는 혼합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필요에 따라서, 산소, 질소등의 이종원소를 함유하는 극성기를 갖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을 공중합 모노머로서 이용할수 있다. 이와 같은 공중합 모노머도, 노르보르넨 구조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극성기로서는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시아노기, N -치환 이미드기, 할로겐기 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중합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5 -메톡시카르보닐노르보르넨, 5- (2 - 에틸헥실옥시) 카르보닐 - 5 - 메틸노르보르넨, 5 - 페닐옥시메틸노르보르넨, 5 -시아노노르보르넨, 6 -시아노 - 1,4,5.8 -디메타노 - 1,4,4a,5,6,7,8,8a - 옥타히드로나프탈렌, N - 부틸나덱산 이미드, 5 - 크롤노르보르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노머액 A(용액A) 중에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접촉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촉매성분으로서는, 텅스텐, 레늄, 탄탈, 몰리브덴 등의 금속의 할라이드 등의 염류가 이용되지만, 특히 텅스텐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텅스텐 화합물로서는, 텅스텐 헥사할라이드, 텅스텐 옥시할라이드 등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텅스텐 헥사클로라이드, 텅스텐 옥시클로라이드 등이 바람직하다. 또, 유기 암모늄 텅스텐산염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텅스텐 화합물은, 직접 모노머에 첨가하면, 바로 양이온성중합을 개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텅스텐 화합물은 불활성용매,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클로로벤젠 등에 미리 현탁하고, 소량의 알콜계 화합물 및/또는 페놀계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가용화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중합을 예방하기 위해서 텅스텐 화합물 1 몰에 대해서, 약 1∼5 몰의 루이스 염기 또는 킬레이트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첨가제로서는 아세틸아세톤, 아세토아세트산 알킬에스테르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벤조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극성 모노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술과 같이, 그것이 루이스염기인 경우이며, 상기와 같이 화합물을 특별히 첨가하지 않더라도 그 작용을 갖고 있는 경우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촉매성분을 포함하는 모노머액 A(용액 A) 는, 실질상 충분한 안전성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모노머액 B(용액 B)중에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활성화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활성화제 성분은, 주기율표 제 I ∼III 족의 금속의 알킬화물을 중심으로 하는 유기금속 화합물, 특히 테트라알킬 주석, 알킬알루미늄화합물, 알킬알루미늄할라이드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염화 디에틸알루미늄, 디염화 에틸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디옥틸알킬알루미늄아이오다이드, 테트라부틸 주석 등을 들 수 있는 이들 활성화제 성분으로서의 유기금속 화합물을 모노머로 용해함으로써, 모노머액 B(용액 B) 가 형성된다.
기본적으로는 상기 용액(A) 및 용액(B) 을 혼합하고, 금형내에 주입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가교중합체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지만(일본 특허공고 91-28451호 공보 참조), 상기 조성의 그 자체로서는, 중합반응이 매우 빠르게 개시됨으로써, 성형금형에 충분히 흘러들어가 있지 않은 사이에 경화가 일어나는 일도 있으며, 때때로 문제로 되는 일이 많다. 따라서, 활성 조절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절제로서는, 루이스염기류 또는 치환아세틸렌류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특히,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니트릴류 등이 이용된다. 구체적 예로서는 벤조산 에틸, 부틸에테르, 디글라임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제는 일반적으로, 유기 금속화합물의 활성화제의 성분의 용액 B 측에 첨가하여 이용된다. 전술과 동일하게 루이스염기를 갖는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것을 조절제의 역할을 겸하게 할 수 있다.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사용량은, 예를 들면 촉매성분으로서 텅스텐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 원료 모노머에 대한 텅스텐 화합물의 화합율은, 몰 기준으로 약 1,000 대 1 ∼ 15,000 대 1, 바람직하게는 2,000 대 1 의 부근이며, 또, 활성화성분은 알킬알루미늄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료 모노머에 대한 알루미늄 화합물 비율은, 몰 기준으로 약 100 대 1 ∼ 10,000 대 1, 바람직하게는 200 대 1 ∼ 500 대 1 의 부근이 이용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제나 조절제에 대해서는, 실험에 의해서 상기 촉매계의 사용량에 따라서, 적당히, 조절하여 이용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진 가교중합체의 성형품에는, 실용에 있어서 그 특성을 개량 또는 유지하기 위해서 더욱 그 목적에 따른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로서는, 충전제, 안료, 산화방지제, 장안정제, 난연제, 고분자개량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첨가제는, 본 발명의 가교중합체가 성형되고 나면 첨가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미리 전술한 원료용액에 첨가해 둘 필요가 있다.
그것의 가장 용이한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용액 A 및 용액 B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양방에 미리 첨가하여 두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그 경우, 그 액중의 반응성이 강한 촉매성분, 활성화제 성분과 실용상 지장있는 정도로는 반응하지 않고, 또, 중합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도저히, 그 반응을 피할 수 없는 것이 공존하여도, 중합이 실질적으로 저해되지 않는 경우는, 모노머와 혼합하여, 제 3 액을 조제하고, 중합직전에 혼합사용할 수도 있다. 또, 중합 촉매 또는 활성화제를 제 3 액으로 하며, 이를 포함하지 않는 용액 A 또는 용액 B 에 상기 첨가물을 첨가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고체의 충전제의 경우로서, 양성분이 혼합되어서, 중합반응을 개시하기 직전 또는 중합하면서, 그 공극을 충분히 메울 수 있는 형상의 것에 대해서는, 성형형내에, 미리 충전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첨가제로서의 보강재 또는 충전재는, 휨 모듈러스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서는, 유리섬유, 운모, 카본블랙, 월러스트나이트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을, 소위 실란커플링제 등에 의해서 표면처리한 것을 가장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성형물은, 산화방지제를 첨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때문에, 페놀계 또는 아민계의 산화 방지제를 미리 용액중에 첨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산화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2,6 -디 - t - 부틸 - p - 크레졸, N,N'- 디페닐 - p - 페닐렌디아민, 테트라키스[메틸렌(3,5 - 디 - t -부틸 - 4 -히드록시신나메이트)] 메탄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성형물은, 다른 중합체를 성형시에 모노머 용액상태일때에 첨가하여 두어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합체 첨가제로서는 엘라스토머의 첨가가, 성형물의 내충격성을 높이는 것 및 용액의 점도를 조절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이용되는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틸렌 - 부타디엔 - 스틸렌트리블럭고무, 스틸렌 - 이소프렌 - 스틸렌트리블럭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부틸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터폴리머, 니트릴고무 등 광범위한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조를 성형하기 위한금형의 재질로서는, 스틸, 주조 혹은 주조의 알루미늄, 아연합금 등의 주조나 용사(溶射), 니켈이나 구리 등의 전주(電鑄) 및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형의 구조는 성형시에 형내에 발생하는 압력이 수 kg/㎠ 로서 다른 성형방법에 비하여 매우 낮기 때문에 간단한 것으로 충분하며, 따라서 다른 성형방법의 형에 비하여 싼값으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환상 올레핀 가교중합체 성형품의 특장의 하나는 내충격성이 뛰어난 것 이며 낙하시키거나 또는 잔돌 등의 고형물이 충돌하여도 용이하게 부숴지는 일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품은 기본적으로는 유리섬유 등의 보강재를 특별히 이용할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휨 탄성율은 이들의 보강재를 이용한 것과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낮아진다. 이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특정구조의 요철형상의 리브를 갖는 형상을 갖고 있다.
정화조는 일단 설치하면 10∼20 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되는 것이고, 또 그 내부에 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내부의 수압이 걸리고, 또한 지하에 매몰한 경우, 토사나 지하수에 의해서 외측으로부터도 압력이 항상 걸리는 등, 내구성 및 내열성도 상당히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특성에 대해서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는 특정의 요철의 리브의 형상을 일정수 가지게 함으로써, 단기적으로도 또한 장기적으로도 내압성 및 내구성에 문제가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의 구조에 대해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는, 기본적으로는 2 개 또는 3 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즉, 상통부 및 하통부의 2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든가, 혹은 상통부, 하통부 및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밴드의 중간부의 3 개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도에는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의 일예가 나타나 있으며 A 는 그 정면도이며, B는 그 측면도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부호 1 은 상통부이며 부호 4 는 하통부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상통부(1) 와 하통부(4) 는 플랜지(3, 3')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 상통부(1) 와 하통부(4) 는,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밴드의 중간통을 끼고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 중간통부는, 제 1 도에는 나타나있지 않다. 중간통부는, 상통부와 하통부를 통상 플랜지를 통하여 그 양자의 사이에 강하게 고정된다. 이 중간통부를 형성함으로써, 내용적이 증대된 정화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는,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전술한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의 가교중합체의 성형품이며, 바람직하게는 상통부, 하통부 및 중간통부의 전부가 이 가교중합체의 성형품이다. 이들 상통부, 하통부 및 중간통부의 각각은, 일체성형품인 점에도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유리섬유 등의 보강재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소재 자체는 강성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그 요철의 리브의 형상에 의거하여 구조체로서 강성을 향상시킨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내압 및 외압에 견디는 구조로서 요철리브는 정화조의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에 형성되는 요철리브의 형상은 하기( i )∼(iv)를 만족하는 것이다.
[단 t 는 요철리브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방향 단면의 성형품의 평균두께를 나타내고, H는 성형품 표면으로부터의 볼록부의 높이를 나타내며, W 는 요철부의 폭을 나타내고, R 및 R' 는, 각각 요철부의 굴곡부의 반경을 나타내며, t, H, W, R 및 R' 의 단위는 밀리(mm) 로 나타낸다.]
이들 H, W, R, R' 및 t 를 제 2 도에 의거하여 기본적으로 설명한다. 제 2 도는 요철리브의 일예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2 도에 있어서 요철리브의 볼록부(혹은 오목부) 의 높이는 H 로 나타낸다. 이 높이는 10 ∼ 50 mm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5 ∼ 40 mm의 범위이다. 높이 H가 10 mm보다작은 경우, 구조체의 강성의 향상은 적어지고, 한편 50 mm를 넘으면 요철리브의 깊이가 너무깊어, 운반이나 시공시의 취급이 불편해지고, 또한 정화조 내부의 구조가 복수로 된다. 요철 리브의 폭 W 는 30 ∼ 200 mm 의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50 ∼ 180 mm 의 범위이다. 30 mm 보다 좁거나 또 200 mm 보다 넓으면 구조체의 강한 강성을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다.
요철리브의 굴곡부의 반경 R 및 R' 는 각각 독립하여 2 mm ∼ H mm 의 범위이다. 굴곡반경이 2 mm 이하인 때는 요철리브가 거의 직각으로 굴곡해 있게 되고, 그 굴곡부가 꺽일 가능성이 커진다. 한편 그 값이 높이 H mm 보다 커지게 되면 너무 완만해지고, 강성상승의 효율이 작아지게 된다. R 및 R' 는 각각 달라도 좋지만 일반적으로는 같은값으로 이용된다. 또 제 2 도에 있어서 요철형상은 제 1 도의 리브의 경우 외부로부터 보아서 골(내부로부터는 산) 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반대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정화조의 두께(t) 는 강도상 3 mm 이상 바람직하게는 4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mm 이상이다. 한편 두꺼워지면 두꺼워질수록 구조체로서의 강도 및 강성은 커지게 되지만 중량이 무거워지고, 또 가격도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화조(요철리브) 의 두께(t) 로서는 1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정화조에 있어서, 이 요철러브의 형상은 하나의 정화조중에서 전부 동일하여도 무방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상기 형상 및 사이즈의 범위내에서 달라져 있어도 무방하다. 그 요철리브는 정화조의 횡방향의 길이에 대해서, 평균하여1 m 당 1.5 ∼ 5개, 바람직하게는 2 ∼ 4개 형성한다. 1 m당 1.5개 이하에서는, 구조체로서의 강성향상에 미치지 못하고, 또 5 개 이상에서는 정화조의 중량이 증대되어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 요철리브의 위치는 정화조에 있어서 거의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균등한 거리를 두고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정화조 내부의 칸막이 판의 위치나 내부부재의 설치장소 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상기 요철리브 이외에도 통상의 봉형상리브나 판형상리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정화조로서의 기능상 정화조 내부에는 내부를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 판이 필요하지만, 이칸막이 판은 정화조 구조체로서, 내압, 외압에 대한 변형방지에는 중요하며, 이 칸막이 판에 강성이 높은 재료 혹은 구조로 함으로써, 정화조 전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요철리브는 정화조의 종방향으로 설치하지만, 정화조를 지하매몰하는 경우, 정화조 저부에서 지하수로부터의 압력도 일반적으로 크다. 그래서 종방향으로 형성한 요철리브의 일부를 그대로 정화조 내부까지 연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저부의 강성상승을 도모할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정화조는, 일반적으로는 상통부와 하통부의 2 개로 나누어서 필요에 의해 중간통부가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포함하여 각각 별개로 성형한다. 그 성형방법은 이미 공지의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고 평3-28451 호 공보에 의해 개시된 방법으로 성형된다. 상통부 및 하통부의 개구부에는 맞춤눈금이 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로 맞춤으로써 상통부와 하통부가 합체하여 정화조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통부와 하통부의 플랜지의 사이에, 상하 플랜지를 갖는 벨트형의 중간 통부를 통하여 끼워넣음으로써 정화조의 높이와 용적을 늘릴 수도 있다. 이 플랜지는, 정화조를구조체로서 본 경우, 횡방향으로 형성한 리브구조로 되고, 그 두께도 중요하다. 플랜지 전체의 두께는 정화조의 평균 두께의 1.5 ∼ 5 배의 두께가 가장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1) 상기 가교중합체 성형품에 의해,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가 형성되고, (2)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종방향으로 각형 요철리브를 가지며, 그 요철리브는 정화조의 횡방향의 폭의 길이에 대해서 평균하여 1 m당 1.5 ∼ 5개의 가지며, 또, (3) 각각의 요철리브는 상기 특성 ( i )∼(iv) 를 만족하는 상기 대형 정화조이고, 또한 (4) 상통부 및 하통부, 혹은 상통부,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5) 각각의 통부의 내측에 보강용의 봉형상리브를 형성하고, 그 리브를 통하여 칸막이 판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정화조는, 가교중합체의 사용량을 많게 하여 성형품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보다 한층 더 내외압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는 것을 알아 내었다.
이와 같이, 정화통 내부에서 혐기조(嫌氣槽), 호기조(好氣槽), 소독조 등 각 기능별로 구획을 나누고 있는 칸막이 판과 봉형상리즈를 강하게 고정하면 충분한 강성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칸막이 판과 봉형상리브의 고정은 볼트와 너트, 접착제 혹은 양자를 병용하여 행한다. 또 칸막이 판의 소재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료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금속이나 FRP 수지가 바람직하다. 칸막이 판을 본 발명의 가교중합체로 만든 경우에는 금속 등으로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도에는,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의 내부에 형성한 보강용의 봉형상 리브(10)의 단면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봉형상리브는, 예를 들면 제 1 도의 부호 5 및 5' 의 위치에 각 통부의 내측에 일체성형으로 부착되어 있다. 제 4 도에 칸막이 판(6) 과의 고정방법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 봉형상리브(10) 를 이용하여, 혐기조, 호기조, 소독조 등을 구분하는 FRP 제 칸막이 판(6) 과 정화조의 각 통부를 볼트, 너트 및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또한 칸막이 판은 정화조의 내부면에 그것을 끼워넣는 골 또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고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모양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1) 상기 가교중합체 성형품에 의해,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가 형성되고, (2)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종방향으로 각형 요철리브를 가지며, 그 요철리브는 정화조의 횡방향의 폭의 길이에 대해서 평균하여 1 m당 1.5 ∼ 5개의 가지며, 또, (3) 각각의 요철리브는 상기 특성 (i)∼(iv) 를 만족하는 상기 대형 정화조로서, 또한 (4) 상통부 및 하통부, 혹은 상통부,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5) 각각의 통부의 내측에 보강용의 봉형상리브를 형성하고, 그 리브를 통하여 칸막이 판이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6)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 부분에 있어서,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고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정화조는, 부품을 효율 좋고 확실하게 접속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또 장기간 사용하여도 접합부로부터의 누설액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내외의 압력에 한층 더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실용상 뛰어난 대형 정화조인 것을 알아 내었다.
상기(6)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부분에 있어서,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고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정화조의 플랜지 부분에 있어서의 접합상태를 제 5 도 및 제 6 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5 도에는, 플랜지(3,3') 를 통하여 2 개의 통부를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7) 를 사용하여 고정화한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5도에 있어서는, 체결구로서 볼트(8) 및 너트(9)가 사용되고 있다.
또 제 6도에는, 플랜지(3, 3') 를 통하여 2개의 통부를 체결구, 폴리우레탄계 접착제(7) 및 패킹재(11) 를 사용하여 고정화한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6 도에 있어서는, 체결구로서 볼트(8) 및 너트 (9) 가 사용되고, 패킹재(11) 로서 고무패킹재가 사용되어 있다. 패킹재는 제 6 도의 위치라도 무방하며 또는 볼트와 너트의 위치 보다 내측이라도 무방하다.
정화조는 일단 설치하면 10 ∼ 20 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되는 것이며, 또 그 내부에 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내부에 수압이 걸리고, 또한 지하에 매몰한 경우, 토사나 지하수에 의해서 외측으로부터도 압력이 항상 걸리는 등, 내구성 및 내열성도 상당히 요구된다.
이와 같은 엄한 요구특성에 대해서, 이하 설명하는 상통부와 하통부 혹은 상통부, 하통부 및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밸트의 중간통부의 접합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고정하는 방법을 예의연구 하였다.
플랜지의 고정 방법에 관해서 가장 보통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체결구로서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정화조의 경우, 땅속에 매설한 후,내부의 오수가 플랜지의 사이를 통해서 땅속으로 새어나가 오염의 원인이 되어 불완전 했었다. 또, 리벳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작업이 간단해져 공정단축은 할 수 있는 것이지만, 오염문제가 발생하면 동시에 강도적으로도 불충분하며, 혹심한 사용조건에는 도저히 견딜 수 가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고정방법과 접착제 혹은 접착제와 실(seal)재의 병용에 대해서 더욱 검토하였다. 한편 현재, 시판되고 있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 가교중합체 성형품은, 차량, 기계, 전기기구, 놀이기구 등의 외장부품으르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부품은 이 중합체 성형품에 넣어지는 인서트 부재를 사용하든지 혹는 중합체 성헝품에 구멍을 뚫어서 이에 볼트를 통과시키는 등의 수단으로 기기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접착제에 의한 고정방법은 일반적으로는 채용되고 있지 않으며, 이 중합체 성형품의 고정화에 적절한 접착제는 상세하게 연구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상이다.
우선, 상기 중합체 성형품의 결합에 대해서 충분한 접착강도를 갖는 접착제의 검토를 추진하였다. 플라스틱에 대한 대표적인 접착제로서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수지계 접착제, 아크릴수지계 접착제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등을 들수 있다. 이 들의 접착제에 대해서, 상기 중합체 성형품의 평판형상 표준 성형품을 사용하여 접착성을 검토한 결과, 폴리우레탄계와 에폭시수지계의 접착제가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는 것을 알았다. 이 2 종류의 접착제를 상기 중합체 성형품 으로 구성된 대형 정화조의 상통부와 하통부의 플랜지부에 도포하고, 볼트와 너트로 양통을 고정하고 경화반응이 충분히 완료된 후, 강도시험에 제공하였다. 상기중합체 성형품의 정화조는, JIS 규격의 테스트에 충분히 합격하지만, 이 용도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이 딱딱하고 약하며, 즉 강성이 높아 변형되기 어려운 재료인 것에 반하여, 내충격성이 뛰어나고 견고하지만 다소 부드러운 재료이기 때문에, 변형이 커진다. 이 때문에, 이 중합체 성형품의 테스트중의 변형에 따를 수 없는 딱딱한 접착제는 깨어져 버리는 것이 확실해 졌다. 즉, 이 중합체 성형품의 정화조에 가장 적합하면서 혹심한 사용조건에 견딜 수 있는 접착제는, 충분한 접착력을 갖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변형에 따를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고, 이 요구를 만족하는 것은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인 것을 알아내었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서는, 통상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의 구성요소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지방족계 이소시아네이트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계 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메탁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사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3, 3'- 톨릴렌 - 4, 4'-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조(crude) MDI, 폴리메릭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다이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4 -페닐이소시아네이트) 티오포스페이트, TDI 3량체, 메탁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프로판 - 1 - 메틸 - 2 - 이소시아노 - 4 - 카바메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3, 3'- 디메톡시 - 4, 4' - 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에테르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저분자량 볼리올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1, 4 -부탄디올, 1, 6 -헥산디올,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서, 폴리카프로락톤, 디올과 2 염기산으로부터의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의 성분이 기본원료로 되고, 접착제의 타입에 의해, 촉매, 안정제, 안료, 충전제, 점착부여제 등이 사용된다. 이들의 주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는 사용상태로부터 2 개의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포트라이프의 제한으로부터 사용상 주의가 필요하지만, 경화시간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용도에는 1 액형에 비교하여 2 액형의 쪽이 사용하기 쉽다. 즉, 2 액형으로서는, 예를들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합성고무 폴리올 등과의 조합, NCO 기 말단의 프레폴리머와 폴리올 등의 조합,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 OH 기 말단의 열가소성 폴리머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 1 액형으로서는, 예를들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물, NCO 기 말단의 프레폴리머와 물 등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는 원래 유연성을 갖고 있는 것이지만, 이 중합체 성형품의 정화조의 변형에 따를 수 있는 유연성에 대해서는 인장파단신장율(引張破斷伸度)로 규정할수 있는 것이 명확해 졌다. 즉, 인장파단 신장율은 40 % 이상을 갖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면, 상기 중합체 성형품의 정화조에 대해서 충분한 성능을 갖지만, 누수 등의 방지를 보다 한층 더 충분히하기 위해서, 플랜지 접합부에 합성고무의 패킹재을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1) 상기 가교중합체 성형품에 의해,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가 형성되고, (2)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종방향으로 각형 요철리브를 가지며, 그 요철리브는 정화조의 횡방향의 폭의 길이에 대해서 평균하여 1 m당 1.5 ∼ 5개의 가지며, 또, (3) 각각의 요철리브는 상기 특성 (i)∼(iv) 를 만족하는 상기 대형 정화조이고, 또한 (4) 상통부 및 하통부, 혹은 상통부,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5) 각각의 통부의 내측에 보강의 봉형상리브를 형성하고, 그 리브를 통하여 칸막이 판이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6)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 부분에 있어서,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고 조립되며, 그리고 (7) 각각의 플랜지부에 있어서, 그 접합면과 반대측의 면에 격자형상 리브를 갖는 구조의 정화조는, 각 통부를 연결하는 플랜지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합부로부터의 액체 누설이 더욱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을 알아 내었다.
즉, 상기 대형 정화조는, 그성형품중에 유리섬유 등의 보강재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소재 자체는 강성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플랜지부의 접착면과는 반대의 면에 격자형상의 리브를 부여하여 강성을 향상시킨 것이며, 내압 및 외압에 의한 액체누설에 견딜 수 있는 구조물로 되어 있다.
상기 대형 정화조의 플랜지부에 있어서, 그 접합면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격자형상 리브는 하기 특성 (i)∼(iv)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h 는 격자형상 리브의 리브 높이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Y 는 평균 리브두께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d 는 격자형상 리브 내의 한 조의 리브간격 거리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d' 는 다른 한 조의 리브 간격거리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며, r 및 r' 는 각각 격자형상을 구성하는 교차 리브의 각도를 나타낸다. 단 (r=r') 는 180 °이다.]
상기 격자형상 리브에 대해서, 제 7 도 및 제 8 도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7 도의 C 에는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접합면과 반대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격자형상 리브의 횡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제 7도의 C에 있어서, 부호 3 은 플랜지부분 이며, 부호 12 는 플랜지부분에 있어서의 접합면을 나타낸다. 그 접합면(12) 의 반대측의 면에는 격자형상 리브 (13,13') 가 형성되어 있다. 격자형상 리브(13, 13') 의 높이는 h 이며, 격자형상 리브의 폭은 Y 로 나타내고 있다.
제 7도의 C 에 있어서, 격자형상 리브의 높이 h는, 바람직하게는 2∼15 mm의범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12 mm의 범위이다. 높이 h가 2 mm보다 작은 경우, 구조체의 강성의 향상이 적어지게 되며, 한편, 15 mm 를 넘으면 격자리브 깊이가 너무 깊어서, 성형시 취급하기가 어려워진다. 격자형상의 리브는 각각의 리브 높이가 같을 필요성은 없다. 리브폭 Y는, 바람직하게는 2.5∼5 mm의 범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4 mm의 범위이다. 폭 Y 는, 2.5 보다 작은 경우, 소재가 갖는 장기 물성 특성상 바람직하지 않으며, 5 mm 보다두꺼운 경우에는, 경량화에 기여하지 못하게 된다.
제 7 도의 D 는, 플랜지부분의 접합면 반대측의 면에 존재하는 2 조의 사이에 접하는 격자형상 리브(13, 13') 가 교차하는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격자형상 리브의 반복간격 d(사이에 접하여 평행하는 2 개의 격자형상 리브의 중심선의 거리) 는 10∼150 mm, 다른 한편의 간격 d' 는 10∼1000 mm 의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각각 10∼100 mm, 10∼100 mm 의 범위이다. 반복 간격은 10 mm보다 작으면, 성형시의 취급이 어려워질 뿐만아니라, 유리가 없는 구조체의 특징인 경량성을 잃는다. 간격이 너무길면 강성의 향상이 좋지 못하다. 간격 d 를 가지는 리브군의 리브방향은 플랜지의 길이방향(정화조 본체부) 에 평행 내지는 정화조 본체부와 30 ° 이하의 각도에서 교차하는 범위내가 바람직하다. 플랜지의 강성에는 리브방향이 정화조 본체부와 평행에 가까울수록,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일예를 제 8도(플랜지 평면도의 부분확대) 에 나타낸다. 격자형상 리브의 교차하는 각도 r 및 r'는 20~160 °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30∼150 °이다. 각도가 20 °보다도 작을 경우, 혹은 160 °보다 클 경우에는, 1조의 교차가 반드시 극단적으로 예각으로되고, 성형상 취급이 어려워 진다. 모든 교차각도가 같은 값일 필요는 없으며 성형시의 액흐름에 따라서 바꾸어도 무방하다.
제 8도는, 대형 정화조를 조립한 경우, 그 상부(혹은 하부)로부터 본 플랜지 부분(접합면과 반대측의 면) 에 존재하는 격자형상 리브의 부분확대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 8 도는 플랜지 단부(15) 의 길이방향에 거의 평행하여 격자형상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예이다. 부호 16 은 볼트구멍이다. 그리고, 제 8 도에 있어서의 격자형상 리브는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격자형상 리브의 교차부분은 #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면상형으로 해석되어야 할것이다.
본 발명의 정화조 내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의 정화조 내부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며, 혐기조, 호기조, 소독조 등의 각 기능별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 구획은 배수를 효율 좋게 정화하기 위한 각종 부재를 충전하고, 또 유수로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는 분뇨처리만의 단독조로서도, 혹은 분뇨와 가정배수의 양방을 정화처리하는 합병 정화조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견에 의거하여 하기 태양 I ∼ 태양 IV의 대형 정화조가 또한 제공된다. 각 태양에 있어서 각각에 나타낸 조건 및 요건은 상기한 설명과 거의 동일하다.
태양 - I ;
상통부 및 하통부로 구성되든가 혹은 상통부, 하통부 및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벨트의 중간통부에 의해 구성되는 대형 정화조로서, 이 대형 정화조는, (1)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촉매성분을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A(용액 A)와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활성화제 성분을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B(용액 B) 를 혼합하고, 그 원료 혼합액을 금형내로 주입하고 그 금형내에 있어서 중합 및 가교반응을 시킴으로써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으로써, (2) 상통부 및 하통부, 혹은 상통부,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3) 각각의 통부의 내측에 보강용의 봉형상리브를 형성하고, 그 리브를 통하여 칸막이 판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태양 - II ;
상통부 및 하통부로 구성되든가 혹은 상통부, 하통부 및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벨트의 중간통부에 의해 구성되는 대형 정화조로서, 이 대형 정화조는, (1)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촉매성분을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A(용액 A)와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활성화제 성분을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B(용액 B) 를 혼합하고, 그 원료 혼합액을 금형내로 주입하고 그 금형내에서 중합 및 가교반응을 시킴으로써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으로써, (2) 상통부 및 하통부, 혹은 상통부,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3)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부분에 있어서,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여 조립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상기 태양 - II에 있어서,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부분에 있어서 패킹재를 통하여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여 조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접착제가 1 액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혹은 2 액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태양 - III ;
상통부 및 하통부로 구성되든가 혹은 상통부, 하통부 및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벨트의 중간통부에 의해 구성되는 대형 정화조로서, 이 대형 정화조는, (1)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촉매성분을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A(용액 A)와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활성화제 성분을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B(용액 B) 를 혼합하고, 그 원료 혼합액을 금형내로 주입하고 그 금형내에서 중합 및 가교반응을 시킴으로써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으로써, (2) 상통부 및 하통부, 혹은 상통부,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3)각각의 플랜지부에 있어서, 그 접합면과 반대측의 면에 격자형상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상기 태양 - III 에 있어서 격자형상 리브에서는 하기 형상 특성 (i)∼(iv)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h 는 격자형상 리브의 리브 높이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Y 는 평균 리브두께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d 는 격자형상 리브 내의 1 조의 리브간격 거리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d' 는 다른 한 조의 리브 간격거리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며, r 는 격자형상을 구성하는 교차 리브의 각도를 나타낸다.]
태양 - IV;
상통부, 하통부 및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벨트의 중간통부에 의해 구성되는 대형 정화조로서, 이 대형 정화조는, (1) 각 통부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촉매성분을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A(용액 A) 와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활성화제 성분을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B(용액 B) 를 혼합하고, 그 원료 혼합액을 금형내로 주입하고 그 금형내에서 중합 및 가교 반응을 시킴으로써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으로써, 그리고 (2) 이 중간통부는 대칭형상을 갖는 2 개의 판형상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상기 태양- IV에 있어서, 상통부, 2개의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태양- IV 는, 상기한 구조의 중간통부를 형성함으로써, 하기에 설명하는 여러가지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통상 내용적이 다른 정화조를 만들 때에는, 상통부 및 하통부의 크기와 형상을 각각 바꾼 것을 성형하고, 이를 조합하여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에 대응하는 금형을 별개로 만들지 않으면 않되고, 그 형상이 클 수도 있으며 금형 투자에 요하는 자금은 막대하였다. 태양 - IV의 중간통부는, 상통부와 하통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플랜지로 양자를 고정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서, 같은 크기의 상통부 및 하통부의 성형품을 사용하여도 내용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보다 대형으로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금형투자를 하는 낭비를 막을수 있다. 그리고, 중간통부는 대칭형상을 갖는 판형상 성형품이며, 2 개를 조합하여서 벨트형으로서 사용하여 상통부와 하통부를 플랜지에 의해서 고정한다.
보다 큰 내용적이 필요한 경우에는, 중간통부의 몇개를 연속하여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중간통부용의 금형은, 판형상 성형 품 1 개용의 것으로 충분하며, 따라서 금형 투자액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대형 정화조의 조제에는 매우 유리하다. 이렇게하여 태양 - IV 의 대형 정화조는, 상통부용, 하통부용 및 중간통부용의 3개 타입의 금형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각각의 용량의 것을 성형할 수 있다.
다음에 태양 - IV 의 대형 정화조의 구조에 대해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대형 정화조는, 기본적으로는 4 개의 부재로 구성된다. 즉, 상통부, 하통부 및 그들을 연결하는 2 개의 중간통부의 4 개로 구성된다.
제 9 도에는 태양 - IV 의 대형 정화조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어 A 는 그 정면도이며, B 는 그 측면도이다. 제 9도에 있어서 부호 1 은 상통부이고 부호 4 는 하통부이며, 부호 17 은 중간통부이다. 제 9 도에 있어서 상통부(1) 와 중간통부 (17) 는 플랜지(3, 3") 에 의해서, 또 중간통부(17)와 하통부(4) 는 플랜지(3', 3"') 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 중간통부를 형성함으로써, 동형상의 상통부와 하통부를 사용하여도, 내부용적이 증대한 정화조로 할 수 있다.
태양 - IV 의 대형 정화조의 상통부,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상술한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의 가교중합체의 성형품이며, 각각은 일체성형품이다.
이 성형품은, 유리섬유 등의 보강재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소재자체는 강성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상통부와 하통부는 그 요철의 리브(2) 의 형상에 의거하여 구조전체로서 강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 중간통부는 통상의 봉형상리브(18) 에 의해서 보강되고, 2 개의 중간통부는 플랜지(19,19') 에 의해서 서로 고정된다.
제 10도에는, 2개의 중간통부를 배치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2개의 중간통부는 플랜지(19, 19') 를 통하여 구멍(20) 을 통과시킨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고정된다. 봉형상리브(18) 는 제 9 도의 부호 18 에 상당하며 보강용인 것 이다. 상통부에 대해서, 제 9 도의 플랜지(3" )에 상당하는 플랜지(3") 에 의해 구멍(20) 을 통과시킨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동일하게 하통부에 대해서는, 제 9 도의 플랜지(3'") 에 상당하는 플랜지(3"') 를 통하여 구멍을 통과시킨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고정된다.
중간통부는 제 9 도와 제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대칭형상이며, 1 개의 금형으로 찍은 같은 형상을 한 2 개의 성형품을 조합하여 중간통부로서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금형투자가 싸져 유리하다. 또 상통부와 하통부를 직접 고정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중간통부를 사용하면 플랜지의 수가 1 개 늘어나게 되고, 대형 정화조 전체의 강성을 향상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에 있어서, 상통부,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플랜지를 통하여 서로 접합되지만, 그 접합수단은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체결구로서 볼트 및 너트 또는 리벳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들의 체결구만으로 각 통부를 접합한 경우, 흙속에 매설 후, 내부의 오수가 플랜지의 사이를 통하여 흙속으로 새어나오며, 오염의 원인이 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또, 강도적으로도 불충분하며 흑심한 사용조건에 견딜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각통부를 플랜지에서 접합한 경우, 볼트와 너트 혹은 리벳과 같은 체결구로 고정함과 동시에, 플랜지 사이를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면, 각 통부가 굳고 강하게 접착되고 혹심한 사용조건에 충분히 견디며, 또 오수의 새어나옴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 태양-IV 의 대형 정화조에 있어서 각 통부의 접합에 폴리우레탄계 접합제를 사용하면, 상기 중합체 성형품의 정화조예 대해서 충분한 성능을 갖지만, 누수 등의 방지를 더 한층 충분히 하기 위해, 플랜지 접합부에 합성고무의 패킹재를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화조 내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通常) 의 정화조 내부와 같으며, 혐기조, 호기조, 소독조 등 각 재능별로 구획되어 있고, 각 구획은 배수를 효율좋게 정화하기 위한 각종 부재를 충전하고, 또 유수로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정화조는 분뇨처리만의 소위 단독조로서도, 혹은 분뇨와 가정배수의 양방을 정화처리하는 합병(合倂) 정화조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정화조는 대형화 특히 내용적이 2㎥ 이상인 것에 적합하며, 금후 환경대책의 면에서 수요가 큰 합병 정화조의 용도에 특히 가장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형)
제 1 도에 나타내는 제품형상을 형성한 알루미늄 금형을 사용하였다.
이 실시예 1 에서 만든 정화조의 치수는 다음과 같다.
요철형상의 리브는 모두 제 2 도에 있어서 하기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것이다.
(i) H=30mm
(ii) W=160 mm
(iii) R=25 mm R'=25 mm
(iv) t=4.3 mm
(모노머 액)
(용액 A 의 조제)
6 염화 텡스텐 20 중량부를 질소기류중의 상태하에서 건조 톨루엔 7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어서 노닐페놀 2 중량부 및 톨루엔 16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용액을 첨가하여 0.5 M 의 텅스텐 함유 촉매용액을 조제하여, 이 용액에 대해서 질소 가스를 하룻밤 퍼지(purge) 하여, 6 염화 텅스텐과 노닐페놀과의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염화수소가스를 제거하고, 더욱이 이와 같은 용액 10 용량부에 대해서, 1 용량부의 아세틸아센트를 더하여 중합용 촉매로 한다.
이어서, 정제 디시클로펜타디엔(순도99.7중량%, 이하 같음) 95중량부, 정제 에틸리덴노르보르넨(순도 99.5%, 이하 같음) 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에 대해서, 에틸렌 함유 70 몰%의 에틸렌 - 프로필렌 - 에틸리덴노르보르넨 중합고무 3 중량부, 산화 안정제로서 에타녹스 702 2 중량부를 더한 용액에 상기 중합용 촉매총액을 텅스텐 함량이 0.01몰/리터로 되도록 더하여 촉매성분을 함유하는 모노머액A(용액A) 을 조제했다.
(용액 B 의 조제)
트리옥틸 알루미늄 85, 디옥틸알루미늄아이오다이드 15, 디그램 100 의 몰 비율로 혼합조제한 중합용활성화제 혼합용액을 정제 디시클로펜타디엔 95 중량부,정제 에틸리덴노르보르넨 5 중량부, 에틸렌 함유 70 몰 %의 에틸렌 - 프로필렌 - 에틸리덴노르보르넨 중합고무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에 알루미늄 함량이 0.03 몰/리터로 되는 비율로 혼합하고, 활성화제 성분을 함유하는 모노머액 B(용액 B) 를 조제했다. 용액 B의 점도는 30℃ 에서 300 cps 였다.
(성형)
성형용 알루미늄 금형을 캐버티형 90 ℃, 코어형 60℃ 로 가열하여 금형을 닫은 후, 이 안으로 RIM 성형기를 이용하여 믹싱헤드중에서 등량의 용액 A 와 용액 B 를 충돌혼합하여 주입하였다. 액주입충전후 2 분에서 금형을 열고 3.5분 후에 가교중합체 성형품을 꺼내었다.
(정화조로서의 평가)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의 상하통을 플랜지부를 통하여 볼트와 접착제로 고정하여 평가용 제품으로 했다. 그리고, 이 제품은 미리 FRP 제 칸막이 판 3 매를 이용하여 같은 볼트 및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제품은 JIS A 4101 에 의거하여 강성시험, 내구시험을 모두 만족하였다.
실시예 2
(1) 금형
제 1 도에 나타내는 제품형상을 형성한 알루미늄 금형을 사용하였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화조의 치수는 다음과 같았다.
F=2260mm G=950mm H=800mm J=1140mm
제 3 도에 상기 알루미늄 금형에 새겨 넣은 봉형상리브의 단면도를 나타내지만, 실시예 2 에 있어서의 봉형상리브의 치수는 다음과 같았다.
M=10mm K=4.5mm L=40mm
(모노머 액)
용액 A 및 용액 B는 모두 실시예 1 과 같은 조성의 것을 사용하였다.
[성형]
성형용 알루미늄 금형을 캐버티형 90 ℃, 코어형 60℃ 로 가열하여 금형을 닫은 후, 이 안으로 RIM 성형기를 이용하여 믹싱헤드중에서 등량의 용액 A 와 용액 B 를 충돌혼합하여 주입했다. 액주입충전 후 2 분에서 금형을 열고 3.5 분 후에 가교중합체 성형품을 꺼내었다.
[정화조로서의 평가]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의 하통의 내측의 봉형상리브를 이용하고, FRP 제 칸막이 판 3 매를 볼트, 너트 및 접착제로 고정했다. 그리고 가교 중합체 성형품의 상통을 덮고, 플랜지를 통하여 볼트, 너트 및 접착제로 상하통을 고정하고 평가용 제품으로 하였다. 이 제품은 JIS A 4101 에 의거하여 강성시험, 내구시험을 모두 만족하였다.
실시예 3
(1) 금형
제 1 도에 나타내는 제품형상을 형성한 알루미늄 금형을 사용하였다.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화조의 치수는 다음과 같았다.
F=2260mm G=950mm H=800mm J=1140mm
3, 3' 은, 두께 6mm 이고, 폭 65 mm 인 플랜지를 나타낸다.
또, 볼트구멍은 평균하여 150mm 간격에서 플랜지에 뚫려있다.
(모노머 액)
용액 A 및 용액 B는, 모두 실시예 1 과 같은 조정의 것을 사용하였다.
(3) 성형(테스트 피스)
두께 3 mm 의 성형품이 얻어진 성형용 스틸금형을 캐버티형 90 ℃, 코어형 60℃ 로 가열하여 금형을 닫은 후, 이 안으로 RIM 성형기를 이용하여 믹싱헤드중에서 등량의 용액 A 와 응액 B 를 충돌혼합하여 주입하였다. 액 주입충전후 1.5 분에서 금형을 열고 3 분 후에 가교중합체 성형품을 꺼내었다.
(4) 테스트 피스로서의 접착제의 평가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을 폭 25 mm 의 단책상(短冊狀) 으로 절단하고, 테스트 피스를 얻었다. 이 테스트 피스의 캐버티 금형측에 상당하는 면의 한쪽 끝으로부터 25 mm 의 길이까지 하기의 2 액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2매 테스트 피스의 접착제 도포면끼리를 맞춰붙여, 충분히 접착제를 경화시킨 후, 인장속도 5mm/분에서 인장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인장전단강도는 78kg/㎠ 이었다.
2 액형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의 조성
폴리올 성분의 주성분은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이며, 이소시아네이트성분의 주성분은 글루드 MDI(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인 접착제
(5) 성형 (정화조)
(1) 에서 설명한 성형용 알루미늄 금형을 캐버티형 90 ℃, 코어형 60℃ 로 가열하여 금형을 닫은 후, 이 안으로 RIM 성형기를 이용하여 믹싱헤드중에서 등량의 용액 A 와 용액 B 를 충돌혼합하여 주입하였다. 액주입충전 후 2 분에서 금형을 열고 3.5 분 후에 가교중합체 성형품을 꺼내었다. 이와 같이하여 제 1 도에 나타낸 형상의 상통부 및 하통부와 성형품의 개수를 작성하였다.
(6) 정화조로서의 접착제의 평가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의 상통부와 하통부를 플랜지부를 통하여 볼트 및 너트와 에폭시수지계 접착제 또는 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여 평가용 제품으로 했다. 그리고, 이 제품은 미리 FRP제 칸막이 판 3매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볼트, 너트 및 2 종류의 접착제의 어느 것인 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제품을 사용하고 JIS A 4101 에 의거하여 강성시험, 내압시험에 대한 접착제의 강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1 로 나타냈다.
볼트 너트 대신에 리벳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 -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제의 적성을 평가한 결과를 실시예 3 - 3 으로서 표 2 에 나타냈다.
표 1
표 1 에 나타낸 실시예 3 - 1 및 3 -2 의 접착제는 하기의 것을 사용하였다.실시예 3 - 1 : 주로 에틸렌글리콜과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말단을 주로 TDI(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와 반응을 시킨고, 양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 실시예 3 - 2 : 폴리올 성분의 주성분은,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이며,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주성분은 글루드 MDI(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인 접착제.
표 2
실시예 4
[금형]
제 1 도에 나타내는 제품형상을 형성한 알루미늄 금형을 사용하였다. 이 실시예 4로 만든 정화조의 치수는 다음과 같았다.
F=2326mm G=950mm H=800mm J=1140mm
제 7 도에 나타내는 제품형상을 접합면과 반대측면에 형성한 플랜지를 사용하였다.
(i) h=10mm
(ii) Y=4 mm
(iii) d=15 mm, d'=15 mm
(iv) r=45 °(135 °)
[모노머 액]
용액 A 및 용액 B 는, 모두 실시예 1 과 같은 조성의 것을 사용하였다.
[성형]
성형용 알루미늄 금형을 캐버티형 90 ℃, 코어형 60℃ 로 가열하여 금형을 닫은 후, 이 안으로 RIM 성형기를 이용하여 믹싱헤드중에서 등량의 용액 A 와 용액 B 를 충돌혼합하여 주입했다. 액주입충전 후 2 분에서 금형을 열고 3.5 분 후에 가교중합체 성형품을 꺼내었다.
[정화조로서의 평가]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의 상하통을 플랜지부를 통하여 볼트와 접착제로 고정하여 평가용 제품으로 했다. 그리고, 이 제품은 미리 FRP 제 칸막이 판 3 매를 이용하여 같은 볼트 및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제품은 JIS A 4101 에 의거하여 강성시험, 내구시험을 모두 만족하였다.
실시예 5
(1) 금형
제 9도에 나타내는 제품형상을 형성한 알루미늄 금형을 사용하였다.
이 실시예 5 에 있어서의 정화조의 치수는 다음과 같다.
F=2260mm G=950mm H=800mm J=1140mm
N=200mm
3, 3',3" 및 3"' 는 두께가 6 mm 이고, 폭 65 mm 의 플랜지를 나타낸다.
또, 상하통의 볼트구멍은 평균하여 150 mm 간격으로 플랜지에 뚫려있다.
또, 상하대칭형상을 갖는 2 개의 중간통부를 결합하는 볼트구멍은 50 mm 간격으로 3 개의 플랜지에 뚫려있다.
(2) 모노머 액
용액 A 및 용액 B는, 모두 실시예 1 과 같은 조성의 것을 사용하였다.
(성형)
성형용 알루미늄 금형을 캐버티형 90 ℃, 코어형 60℃ 로 가열하여 금형을 닫은 후, 이 안으로 RIM 성형기를 이용하여 믹싱헤드중에서 등량의 용액 A 와 용액 B 를 충돌혼합하여 주입했다. 액주입충전후 2 분에서 금형을 열고 3.5 분 후에 가교중합체 성형품을 꺼내었다.
(정화조로서의 평가)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의 상하통과 중간통을 플랜지부를 통하여 볼트와 접착제로 고정하여 평가용 제품으로 했다. 그리고, 이 제품은 미리 FRP 제 칸막이 판 3 매를 이용하여 같은 볼트 및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이 제품은 JIS A 4101 에 의거하여 강성시험, 내구시험을 모두 만족하였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형 정화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에 있어서의 요철 리브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예 있어서의 내측에 일체성형하는 봉형상 리브의 단면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4도는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예 있어서의 봉형상 리브와 칸막이 판의 고정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5 도는 플랜지를 통하여 2개의 통부를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한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 6도는 플랜지를 통하여 2개의 통부를 체결구,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및 밴드형 패킹재를 사용하여 고정화한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형 정화조의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접합면과 반대측에 형성된 격자형상 리브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C 는 횡단면도, D 는 2 조가 격접하는 격자형상 리브의 교차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 8 도는 본 발명의 대형 정화조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의 격자형상 리브가 존재하는 일부분의 확대도.
제 9도는 본 발명의 정화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에 있어서의 중간통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2개의 상하 대칭형상을 갖는 성형품을 조합하여 중간통부로서 사용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화조 상통부 2 : 요철리브
3, 3', 3" , 3'" : 플랜지 4 : 정화조 하통부
5, 5': 각 통부의 내측에 형성된 봉형상 리브의 위치
6 : 칸막이 판 7 : 접착제
8:볼트 9 : 너트
10 : 봉형상 리브 11 : 고무 패킹재
12 :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접합면 13, 13' : 격자형상 리브
14 : 정화조 본체부 15 : 플랜지 단부
16 : 볼트 구멍 17 : 중간통부
18 : 리브
19, 19' : 중간통부 결합용의 플랜지
20 :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용의 구멍

Claims (14)

  1. 상통부 및 하통부 또는, 상통부 및 하통부와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벨트의 중간통부로 구성되는 대형 정화조로서, 이 대형 정화조는, (1)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제의 촉매성분인 텅스텐, 레늄, 탄탈, 몰리브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화합물을 함유하고, 메타세시스 중합성 시클로 알켄기를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A(용액 A) 와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활성화제성분인 주기율표 I ∼III 족의 금속의 알킬화물을 중심으로 하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메타세시스 중합성 시클로 알켄기를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B(용액 B) 를 혼합하고, 그 원료 혼합액을 금형내로 주입하고 그 금형 내에서 중합 및 가교반응을 시킴으로써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이고, (2)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종방향으로 각형 요철리브를 갖고, 그 요철리브는 정화조의 횡방향의 폭의 길이에 대해서 평균하여 1 m 당 1.5 ∼ 5 개 가지며, 또 (3) 각각의 요철리브는, 하기의 형상특성( i )∼(iv)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단, t 는 요철리브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의 성형품의 평균두께를 나타내고, H 는 성형품 표면으로부터의 볼록부의 높이를 나타내며, W 는 요철부의 폭을 나타내고, R 및 R' 는 각각 요철부의 굴곡부의 반경을 나타내고, t, H, W, R 및 R' 의 단위는 밀리(mm) 로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4) 상통부 및 하통부 또는,상통부,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5) 각각의 통부의 내측에 보강용의 봉형상 리브를 형성하고, 그 리브를 통하여 칸막이 판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3. 제 1항에 있어서, 또한 (4) 상통부 및 하통부 또는, 상통부,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5) 각각의 통부의 내측에 보강용의 봉형상 리브를 형성하고, 그 리브를 통하여 칸막이 판이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6)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 부분에 있어서,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고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4. 제 3항에 있어서,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부분에 있어서 패킹재를 통하여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여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5.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4) 상통부 및 하통부 또는, 상통부,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5) 각각의 통부의 내측에 보강용의 봉형상 리브를 형성하고, 그 리브를 통하여 칸막이 판이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6)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 부분에 있어서,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여 조립되고, 그리고 (7) 각각의 플랜지부에 있어서, 그 접합면과 반대측의 면에 격자형상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이 격자형상 리브는 하기 특성 (i)∼(iv)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단, h 는 격자형상 리브의 높이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Y 는 평균 리브 두께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d 는 격자형상 리브 내의 한 조의 리브간격 거리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d' 는 다른 한 조의 리브 간격거리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며, r 은 각각 격자형상을 구성하는 교차 리브의 각도를 나타낸다.]
  7. 제 5 항에 있어서,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부분에 있어서 패킹재를 통하여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여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8. 상통부 및 하통부 또는, 상통부 및 하통부와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벨트의 중간통부로 구성되는 대형 정화조로서, 이 대형 정화조는, (1)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촉매성분인 텅스텐, 레늄, 탄탈, 몰리브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화합물을 함유하고, 메타세시스 중합성 시클로 알켄기를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A(용액 A) 와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제의 활성화제성분인 주기율표 I ∼III 족의 금속의 알킬화물을 중심으로 하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메타세시스 중합성 시클로 알켄기를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B(용액 B) 를 혼합하고, 그 원료 혼합액을 금형내로 주입하고 그 금형내에서 중합 및 가교반응을 시킴으로써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이고, (2) 상통부 및 하통부 또는, 상통부 및 하통부와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상 벨트의 중간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3) 각각의 통부의 내측에 보강용의 봉형상 리브를 형성하고, 그 리브를 통하여 칸막이 판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9. 상통부 및 하통부 또는, 상통부 및 하통부와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벨트의 중간통부로 구성되는 대형 정화조로서, 이 대형 정화조는, (1)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와 촉매성분인 텅스텐, 레늄, 탄탈, 몰리브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화합물을 함유하고, 메타세시스 중합성 시클로 알켄기를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A(용액 A) 와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활성화제성분인 주기율표 I ∼III 족의 금속의 알킬화물을 중심으로 하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메타세시스 중합성 시클로 알켄기를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B(용액 B) 를 혼합하고, 그 원료 혼합액을 금형내로 주입하고 그 금형내에서 중합 및 가교반응을 시킴으로써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이고, (2) 상통부 및 하통부 또는, 상통부 및 하통부와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상 밸트의 중간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3)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부분에 있어서,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여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부분에 있어서 패킹재를 통하여 체결구 및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화하여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11. 상통부 및 하통부 또는, 상통부 및 하통부와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벨트의중간통부로 구성되는 대형 정화조로서, 이 대형 정화조는, (1) 적어도 상통부 및 하통부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촉매성분인 텅스텐, 레늄, 탄탈, 몰리브덴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화합물을 함유하고, 메타세시스 중합성 시클로 알켄기를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A(용액 A) 와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활성화제성분인 주기율표 I ∼III 족의 금속의 알킬화물을 중심으로 하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메타세시스 중합성 시클로 알켄기를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B(용액 B) 를 혼합하고, 그 원료 혼합액을 금형내로 주입하고 그 금형내에 있어서 중합 및 가교반응을 시킴으로써 얻어진 가교중합체 성형품이고, (2) 상통부 및 하통부 또는, 상통부 및 하통부와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상 벨트의 중간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3) 각각의 통부는 플랜지부분에 있어서, 그 접합면과 반대측의 면에 격자형상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이 격자형상 리브는 하기 특성 (i)∼(iv) 를 만족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단, h 는 격자형상 리브의 리브 높이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Y 는 평균 리브두께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d 는 격자형상 리브 내의 한 조의 리브간격 거리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고, d' 는 다른 한 조의 리브 간격거리를 밀리 단위로 나타내며, r 는 격자형상을 구성하는 교차 리브의 각도를 나타낸다.]
  13. 상통부, 하통부 및 그들을 연결하는 판형 벨트의 중간통부에 의해 구성되는 대형 정화조로서, 이 대형 정화조는, (1) 각 통부는,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촉매성분인 텅스텐, 레늄, 탄탈, 몰리브덴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금속화합물을 함유하고, 메타세시스 중합성 시클로 알켄기를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A(용액 A) 와 메타세시스 중합 촉매계의 활성화제성분인 주기율표 I ∼III 족의 금속의 알킬화물을 중심으로 하는 유기금속 화합물을 함유하고, 메타세시스 중합성 시클로 알켄기를 함유하는 메타세시스 중합성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액 B(용액 B) 를 혼합하고, 그 원료 혼합액을 금형내로 주입하고 그 금형내에서 중합 및 가교반응을 시킴으로써 얻어진 가교중합체성형품이고, 그리고 (2) 이 중간통부는 대칭형상을 갖는 2 개의 판형상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정화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통부, 2개의 중간통부 및 하통부는 서로 접합하는 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접합하는 구조를 갖는 대형 정화조.
KR1019940029832A 1993-11-15 1994-11-14 대형정화조 KR100329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509793A JP3177078B2 (ja) 1993-11-15 1993-11-15 大型浄化槽
JP93-285097 1993-11-15
JP06289194A JP3271846B2 (ja) 1994-03-31 1994-03-31 大型浄化槽
JP94-062891 1994-03-31
JP94-126569 1994-06-08
JP12656994A JP3174458B2 (ja) 1994-06-08 1994-06-08 大型浄化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03A KR950014003A (ko) 1995-06-15
KR100329405B1 true KR100329405B1 (ko) 2002-10-11

Family

ID=6668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832A KR100329405B1 (ko) 1993-11-15 1994-11-14 대형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991B1 (ko) 2006-11-21 2008-01-22 (주) 하나환경 대형 반응사출성형 장치 및 정화조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991B1 (ko) 2006-11-21 2008-01-22 (주) 하나환경 대형 반응사출성형 장치 및 정화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003A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6922A (en) Polymeric casing for fluid machines and pumps
KR927003672A (ko) 굴곡탄성률이 큰 폴리우레탄 중합체 및 이 중합체를 사용하는 rim공정
KR100329405B1 (ko) 대형정화조
JP3271846B2 (ja) 大型浄化槽
JP3380644B2 (ja) 大型浄化槽
EP0328014B1 (en) Reaction injection molded article, machined product thereof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JPH07290484A (ja) 大型浄化槽
JP3177078B2 (ja) 大型浄化槽
JPH11169826A (ja) 生ごみ処理槽
JP3439862B2 (ja) 大型浄化槽
JPH09165438A (ja) 架橋重合体成形物の補修方法
JPH0796539A (ja) シール材
JP2000168887A (ja) 浄化槽および被接着部材の固定方法
JP3148793B2 (ja) 大型浄化槽
JPH0999442A (ja) 突起状補強部を有する樹脂製構造体
JP3174458B2 (ja) 大型浄化槽
JP4444489B2 (ja) 成形品の構造補強方法および構造補強成形品
JPH0967852A (ja) 大型浄化槽
Dominguez Amine-terminated polyether resins in RIM
JP3911152B2 (ja) 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rim製品の製造方法
JP3484464B2 (ja) 大型浄化槽
KR100645854B1 (ko) 반응성 중합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JP3241960B2 (ja) 大型浄化槽
JPH0999450A (ja) 樹脂製大型殻構造体
JPH09255080A (ja) 大型槽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