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997B1 - 주름 흡수용 비드가 형성된 휠 하우스 - Google Patents

주름 흡수용 비드가 형성된 휠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997B1
KR100328997B1 KR1019990056863A KR19990056863A KR100328997B1 KR 100328997 B1 KR100328997 B1 KR 100328997B1 KR 1019990056863 A KR1019990056863 A KR 1019990056863A KR 19990056863 A KR19990056863 A KR 19990056863A KR 100328997 B1 KR100328997 B1 KR 10032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ouse
bead
depression
boundary
wrin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5617A (ko
Inventor
박용남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997B1/ko
Publication of KR20010055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휠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휠 하우스를 제작하는 프레스 가공시에, 휠 하우스 본체와 쇽업쇼바와 현가 스프링의 안내를 유도하는 함몰부 사이의 경계부에 발생되었던 주름을 제거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크랙 발생을 제거하여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휠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휠 하우스는, 휠 하우스 본체와 쇽업쇼바 및 현가 스프링이 장착을 안내하는 함몰부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주름 방지를 위한 비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름 흡수용 비드가 형성된 휠 하우스{Wheel house having a bead for absorbing wrink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휠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 하우스의 제작시 쇽업쇼버 및 스프링을 수용하는 삽입부와 휠 하우스 본체 사이의 경계부에 발생되는 주름을 제거하여 휠 하우스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름 흡수용 비드가 형성된 된 휠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휠 하우스는 차축에 연결된 현가 장치를 수용하여, 차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쇽업쇼바와 현가 스프링이 결합되어 차체의 내부 구조물 중 일부를 이루도록 되어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
자동차의 현가 장치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며, 자동차가 주행시 차축과 도로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특히 승용차에 있어서 승차감을 좌우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현가 장치에는 쇽업쇼바와 현가 스프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휠 하우스는 현가 장치에 작용하는 힘, 예를들면 자동차 자체의 중량 및 노면에서 받는 충격에 의한 상하 방향의 힘과, 바퀴에서 발생되는 구동력 그리고 제동력 및 자동차가 곡선길을 주행할 때 발생되는 원심력 등과 같은 수평 방향의 힘에 견딜 수 있는 강한 구조가 요구된다.
일반적인 휠 하우스의 제작은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로 1 차 가공한 후 판금 가공으로 2 차로 마무리 하여 제작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프레스 가공 후의 휠 하우스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로 가공 된 휠 하우스(10)는 전체적으로는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휠 하우스 본체(11)와, 휠 하우스 본체(11)의 중단부에는 쇽업쇼바(미도시) 및 현가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함몰된 형상인 함몰부(2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휠 하우스 본체(11)과 함몰부(20)의 사이에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경계부(12)로 이루어져 있다. 프레스 작업시 경계부(12)에는 휠 하우스 본체(11)의 형상 깊이 차에 의해 소재가 한 부분으로 몰리는 것에 의한 주름(13)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프레스 가공에 의한 휠 하우스(10)에 있어서, 휠 하우스 본체(11)와 함몰부(20)의 사이의 경계부(12)에서는 형상의 차이에 의한 주름(13)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외관 이미지도 저하 되었으며, 주름(13)을 따라 크랙(crack)이 발생될 수도 있어 강도 측면에서도 적절한 강도를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휠 하우스 제작을 위한 프레스 가공시 경계부의 주름 발생을 제거하여 외관 이미지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크랙 발생을 제거하여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휠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프레스 가공 후의 휠 하우스의 부분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휠 하우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휠 하우스 11, 110: 휠 하우스 본체
20, 120: 함몰부 13: 주름
12, 130: 경계부 131: 비드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스 가공시에 휠 하우스 본체와 함몰부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발생되었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경계부를 따라 주름 흡수를 위한 비드가 형성된 휠 하우스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휠 하우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휠 하우스는 한겹의 판넬로 이루어져 있고, 휠 하우스 금형을 제작한 후,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로 1차로 가공한 후 최종적으로 판금 가공으로 2차로 마무리 한 후 제품으로 이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휠 하우스(10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하우스(100)는 만곡되어서 외관을 이루는 휠 하우스 본체(110)로 구성되어 있으며, 휠 하우스 본체의 중간에는 쇽업 쇼버(미도시) 및 현가 스프링(미도시) 등이 장착될 수 있도록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된 함몰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함몰부(120)와 휠 하우스 본체(110) 사이의 경계부(130)에는 비드(131)가 경계부를 따라 형성된다.이러한 비드(131)는 프레스에 의한 휠 하우스의 1차 가공시 휠 하우스와 일체로 형성된다. 비드(131)의 형상은 경계부(130)의 형성시 소재가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휠 하우스의 설계시 다양한 실험 등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이와 같은, 비드(131)에 의해 프레스 가공시 경계부의 소재가 고르게 분배됨으로써 경계부(130)에는 주름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몇 가지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휠 하우스(100)에서는, 경계부에 형성된 비드에 의해 프레스 가공시 경계부에서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관 이미지도 향상되었고, 또한 경계부가 매끈하게 제작 될 수 있으므로 크랙 발생의 우려가 적어 강도 측면에서도 우수한 주름 흡수용 비드가 삽입된 휠 하우스를 제공한다.

Claims (1)

  1. 자동차 바퀴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차제 내부에 연결되어 바퀴를 감싸며, 쇽업쇼바와 현가 스프링이 장착되어서 노면의 충격을 견디는 휠 하우스에 있어서,
    휠 하우스 본체와 쇽업쇼바 및 현가 스프링이 장착을 안내하는 함몰부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주름 방지를 위한 비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휠 하우스.
KR1019990056863A 1999-12-11 1999-12-11 주름 흡수용 비드가 형성된 휠 하우스 KR100328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63A KR100328997B1 (ko) 1999-12-11 1999-12-11 주름 흡수용 비드가 형성된 휠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863A KR100328997B1 (ko) 1999-12-11 1999-12-11 주름 흡수용 비드가 형성된 휠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617A KR20010055617A (ko) 2001-07-04
KR100328997B1 true KR100328997B1 (ko) 2002-03-20

Family

ID=1962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863A KR100328997B1 (ko) 1999-12-11 1999-12-11 주름 흡수용 비드가 형성된 휠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9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975U (ko) * 1984-10-12 1986-05-12
JPH02129970U (ko) * 1989-03-31 1990-10-26
KR19980039573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자동차의 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975U (ko) * 1984-10-12 1986-05-12
JPH02129970U (ko) * 1989-03-31 1990-10-26
KR19980039573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자동차의 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617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87366A (zh) 用于车辆的减震器外壳支撑装置
US20110042914A1 (en) Upper Support Apparatus For a Vehicle Suspension
KR100328997B1 (ko) 주름 흡수용 비드가 형성된 휠 하우스
JPS5943324B2 (ja) 自動車用懸架装置におけるコイルばね支持構造
JPH09221067A (ja) 車両のカウル構造
JPH10100629A (ja) バンプストッパシート構造
CN214492491U (zh) 后背门的限位组件以及车辆
CN215043209U (zh) 一种车辆后备箱的缓冲结构
CN209972429U (zh) 轿车abs防抱死制动系统用减震橡胶密封圈
KR100275153B1 (ko) 차량의 범퍼 스테이 구조
JP4089528B2 (ja) 車両用車輪
KR100391418B1 (ko)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448792B1 (ko) 자동차용 리어현가장치의 캐리어어셈블리
JPS5844009Y2 (ja) 4リンク式懸架装置
KR0114752Y1 (ko) 자동차용 공기입 타이어
JP3881086B2 (ja) 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100291264B1 (ko) 고무휠을 이용한 공기입타이어
JPS6332787Y2 (ko)
JPS62283074A (ja) 自動車のホイ−ルア−チまわりの車体構造
KR200294385Y1 (ko) 스트러트의 스프링 시트 프랜지 구조
JPH10100609A (ja) パンクレスチューブ
KR19980052965U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Shock Absorber)의 피스톤(Piston) 지지구조
KR19980054349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어셈블리구조
KR19980083085A (ko) 차량의 현가장치 차체 고정 어셈블리
KR20060102209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트럿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