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309B1 -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스키드 보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스키드 보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309B1
KR100328309B1 KR1019990068067A KR19990068067A KR100328309B1 KR 100328309 B1 KR100328309 B1 KR 100328309B1 KR 1019990068067 A KR1019990068067 A KR 1019990068067A KR 19990068067 A KR19990068067 A KR 19990068067A KR 100328309 B1 KR100328309 B1 KR 100328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d
block
dock
bogie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6358A (ko
Inventor
차민수
Original Assignee
송영수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351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2830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수,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filed Critical 송영수
Priority to KR101999006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309B1/ko
Publication of KR2001006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 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스키드 보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체생산 공정에서 제작된 블럭을 드라이 도크로 운반하는 단계; 드라이 도크에 스키드 보기를 설치하는 단계; 운반된 블럭을 해상 크레인과 같은 외부의 대형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상기 스키드 보기에 놓는 단계; 블럭이 놓인 상기 스키드 보기를 이동수단으로 끌어 도크 안의 탑재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블럭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 건조공법을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용량의 도크 크레인이 설비되어 있는 조선소에서도 대형 블럭으로 블럭 탑재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 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스키드 보기 시스템{A Shipbuilding Method in a Drydock Using a Skid Mounting Method and a Skid Bogie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 건조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 건조용 도크에 대형 크레인이 없어도 대형 블럭을 탑재할 수 있어 짧은 기간안에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선박 건조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라이 도크(dry dock)에서 선박을 건조하는 방법은 조선소의 선체생산 공정에서 철판을 절단하여 블럭 단위로 조립된 각각의 블럭을 제작한 후 도크로 이동시키고, 도크 근처에 위치한 크레인으로 블럭을 들어 올려 도크 안의 정위치에 탑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각각 선체의 일부를 구성하는 조립블럭을 별도로 제작하고 드라이 도크에서 용접으로 결합시켜 최종적으로 선체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때 드라이 도크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의 최대인양 용량에 따라 블럭의최대 크기가 결정된다. 즉, 도크 크레인의 용량이 크면 선체생산 공정에서 조립블럭도 크게 만들 수 있어서 선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크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인의 용량은 바로 탑재할 수 있는 블럭의 최대 중량을 결정하게 되어 도크 크레인의 용량은 바로 조선소의 생산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도크 크레인의 용량이 1000톤인 조선소에서 중량 5000톤의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중량 1000톤짜리 5개의 블럭을 탑재하면 도크에서의 선박의 건조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그런데, 도크 크레인의 용량이 300톤인 조선소에서는, 중량 300톤짜리 블럭 17개를 만들어야 한다. 이렇게 많은 블럭을 도크에서 탑재하는 것은 선박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처럼 크레인의 용량이 크다는 것은 조선소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지만 크레인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무거운 블럭과 자체의 거대한 하중을 견딜 정도로 지반의 강도가 보장되어야 하고 시설비도 엄청나게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비교적 작은 용량의 도크 크레인이 설비되어 있는 조선소에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도크에서 대형 블럭을 탑재할 수 있는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 건조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작은 용량의 도크 크레인이 설비되어 있는 조선소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한 공법에 적용하기 위한 스키드 보기(skid bogie)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 건조공법은 선체생산 공정에서 제작된 블럭을 드라이 도크로 운반하는 단계; 드라이 도크에 스키드 보기를 설치하는 단계; 운반된 블럭을 해상 크레인과 같은 대형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상기 스키드 보기에 놓는 단계; 블럭이 놓인 상기 스키드 보기를 이동수단으로 끌어 도크 안의 탑재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블럭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의 이동수단은 윈치나 푸시풀 그리퍼 잭(push pull gripper jack) 등이 될 수 있으며 푸시풀 그리퍼 잭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의 스키드 보기 시스템은 복수개의 휠 위에 보기 프레임(bogie frame)이 설치되어 있고, 보기 프레임 위에 블럭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한 유압 잭(hydraulic jack)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유압 잭 위에 잭 소켓(jack socket)이 설치되어 있고, 잭 소켓 위에 받침대 (trestle)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스키드 보기와 스키드 보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레일과 레일에 장착되어 스키드 보기를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는 푸시풀 그리퍼 잭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공법의 개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크 안에서 스키드 보기 위에 놓인 블럭을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여 윈치로 끄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크 안에서 위에 놓인 블럭을 이송하기 위한 스키드 보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도크 안에서 블럭을 이송하기 위한 스키드 보기를 푸시풀 그리퍼 잭을 이용해 이동시키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선체 블럭 12 : 해상 크레인
13 : 도크 14 : 스키드 보기
15 : 윈치 16 : 받침블럭
17 : 와이어 로프 21 : 휠
22 : 보기 프레임 23 : 유압잭
24 : 받침대 25 : 조정 플레이트
26 : 받침판 27 : 고무판
51 : 레일 52 : 푸시풀 그리퍼 잭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공법의 개념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선체생산 공정에서 조립된 블럭(11)을 도크 근처까지 운반해 와서 대용량의 해상크레인(12)으로 상기 블럭(11)을 들어 도크(13) 안에 설치된 스키드 보기(14) 위에 내려 놓는다. 그 다음 윈치(15)로 스키드 보기(14)를 끌어 도크(13) 안의 정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렇게 스키드 보기(14)에 실려 도크(13) 안의 정위치에 옮겨진 블럭(11)은 미세하게 위치조정이 된 후 받침블럭(16)으로 지지되고 스키드 보기(14)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크에 탑재된 블럭은 서로 용접으로 결합되어 선박의 건조작업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바라본 사시도로서, 도크(13) 안의 스키드 보기(14) 위에 놓인 블럭(11)을 나타낸다. 블럭(11)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해 4개 내지 6개의 스키드 보기(14)가 사용된다.
도 3은 도크(13) 안에서 스키드 보기 위에 놓인 블럭(11)을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여 윈치로 끄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통상 선체의 하부를 이루는 부분의 블럭이 큰 하중을 차지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공법으로 하중이 큰 블럭을 먼저 탑재하고, 비교적 작은 블럭은 용량이 작은 도크 크레인으로 탑재하면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도 4는 도크 안에서 위에 놓인 블럭(11)을 이송하기 위한 스키드 보기(14)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스키드 보기(14)는 하부에 이동을 용이하게하는 휠(21)이 배치되어 있고, 그 상부에 보기 프레임(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보기 프레임(22) 상부에 선체 블럭(11)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유압잭(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유압잭(23)의 상부에 선체 블럭(11)이 놓이는 받침대(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기 프레임(22)과 상기 유압잭(23)의 사이에는 선체 블럭(11)의 곡선에 따라 기울어짐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 플레이트(25)를 놓을 수 있으며, 상기 유압잭(23)과 상기 받침대(24)의 사이에도 높이를 보상할 수 있는 받침판(26)을 놓을 수 있다. 또 받침대(24)와 선체 블럭(11) 사이에는 충격을 완화하고 마찰은 증대시키기 위해 고무판(27)을 놓을 수도 있다.
한편 스키드 보기(14)를 이동시킬 때 휠(21)이 잘 구를 수 있도록 철판(28)을 까는 것도 좋다. 휠(21)의 구름마찰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철판(28) 아래 도크의 바닥에는 얇은 고무판(29)을 깔아 거친 표면을 완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하나의 스키드 보기(14)에 필요한 휠(21)의 수는 4개가 바람직한데 그 이상도 가능하다.
또 도크 바닥의 철판(28)에는 휠(21)의 탈선을 막고 정확하게 필요한 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휠 가이드(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키드 보기(14)를 블럭의 탑재에 사용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드라이 도크의 바닥에 스키드 보기(14)를 다수개 배치하고 그 위에 선체블럭을 해상 크레인과 같은 대용량 크레인으로 들어서 올려 놓고 윈치로 끌어 필요한 위치에 운반하게 되는 것이다.
선체 블럭을 탑재위치에 운반한 후에는 받침블럭을 도크 바닥에 배치하고 그 위에 블럭이 정확한 높이로 놓이도록 미세하게 위치조정을 하게 된다.
도 5는 도크 안에서 블럭을 이송하기 위한 스키드 보기를 푸시풀 그리퍼 잭을 이용해 이동시키는 개념도이다.
선체블럭(11)이 실린 스키드 보기(14)를 도크안에서 이동시키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크 바닥에 레일(51)이 설치되어 있고 레일에는 푸시풀 그리퍼 잭(52)에 설치되어 스키드 보기(14)를 레일(51)을 따라 조금씩 끌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푸시풀 그리퍼 잭(52)은 레일(51)을 꽉 물고서 스키드 보기를 끌어 이동시켰다가 레일을 풀고서 스스로를 앞쪽으로 밀어낸 다음 다시 레일을 꽉 물고서 스키드 보기를 끄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선체블럭을 이동시키게 된다.
즉 지렁이나 곤충 등이 전진하는 것처럼 푸시풀 그리퍼 잭이 스키드 보기를 레일을 따라 도크안의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보기와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 건조공법을 사용하면, 비교적 작은 용량의 도크 크레인이 설비되어 있는 조선소에서도 대형 블럭으로 블럭 탑재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이른바 골리앗 크레인과 같은 대형 도크 크레인이 구비되지 않은 소형조선소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 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스키드 보기 시스템을 활용하면, 해상 크레인과 같은 외부 대형 크레인의 도움을 받아 대형 블럭을 이송할 수 있어 생산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선체생산 공정에서 제작된 블럭을 드라이 도크로 운반하는 단계; 드라이 도크에 스키드 보기를 설치하는 단계; 운반된 블럭을 해상 크레인과 같은 외부의 대형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상기 스키드 보기에 놓는 단계; 블럭이 놓인 상기 스키드 보기를 이동수단으로 끌어 도크 안의 탑재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블럭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 건조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푸시풀 그리퍼 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 건조공법.
  3. 복수개의 휠 위에 보기 프레임(bogie frame)이 설치되어 있고, 보기 프레임 위에 블럭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한 유압 잭(hydraulic jack)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유압 잭 위에 잭 소켓(jack socket)이 설치되어 있고, 잭 소켓 위에 받침대 (trestle)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스키드 보기 및 스키드 보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레일과 레일에 장착되어 스키드 보기를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는 푸시풀 그리퍼 잭을 포함하는 스키드 보기 시스템.
KR1019990068067A 1999-12-31 1999-12-31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스키드 보기 시스템 KR100328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067A KR100328309B1 (ko) 1999-12-31 1999-12-31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스키드 보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067A KR100328309B1 (ko) 1999-12-31 1999-12-31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스키드 보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358A KR20010066358A (ko) 2001-07-11
KR100328309B1 true KR100328309B1 (ko) 2002-03-16

Family

ID=1963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067A KR100328309B1 (ko) 1999-12-31 1999-12-31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스키드 보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3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498B1 (ko) * 2002-05-07 2004-09-2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중량구조물 시공방법
KR100677776B1 (ko) 2005-10-18 2007-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개의 유압식 전동 장치를 이용한 초대형 블록 이동공법 및 그 장치
KR100718928B1 (ko) 2005-12-01 2007-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기가블록 공법
KR100893055B1 (ko) 2004-08-09 2009-04-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이동 및 선적용 스키드 슈
WO2010085016A1 (ko) * 2009-01-23 2010-07-29 Yoo Yung Hyun 고하중물 이동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하중물 이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961B1 (ko) * 2004-09-08 2007-03-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크레인과 트랜스포트를 이용한 선박건조공법
KR100623201B1 (ko) * 2004-12-13 2006-09-14 Stx조선주식회사 스키드 론칭시스템을 이용한 육상 선박 건조 및 진수방법
KR100750893B1 (ko) * 2005-11-14 2007-08-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WO2008054047A1 (en) * 2006-11-03 2008-05-08 Sungdong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Push-pull system for transporting load
KR100835493B1 (ko) * 2007-03-12 2008-06-04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3점지지 스키드를 이용한 선박건조공법
KR100933415B1 (ko) * 2007-06-28 2009-12-22 남강해운주식회사 트레셀과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강재 운반장치
KR100923405B1 (ko) * 2007-11-15 2009-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라이 도크의 lngc 화물창 공사용 총조립 시스템발판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KR101468758B1 (ko) * 2010-09-03 2014-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라이도크 내 탠덤블록 이동방법
CN107031801B (zh) * 2017-05-18 2019-12-03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平地造船下水方法
KR102576354B1 (ko) * 2018-09-21 2023-09-11 한화오션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운반선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498B1 (ko) * 2002-05-07 2004-09-2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중량구조물 시공방법
KR100893055B1 (ko) 2004-08-09 2009-04-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이동 및 선적용 스키드 슈
KR100677776B1 (ko) 2005-10-18 2007-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개의 유압식 전동 장치를 이용한 초대형 블록 이동공법 및 그 장치
KR100718928B1 (ko) 2005-12-01 2007-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기가블록 공법
WO2010085016A1 (ko) * 2009-01-23 2010-07-29 Yoo Yung Hyun 고하중물 이동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하중물 이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358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309B1 (ko) 스키드 탑재공법을 이용한 드라이 도크에서의 선박건조공법 및 이를 위한 스키드 보기 시스템
US3598440A (en) Rotatable container-hoisting apparatus
KR100623201B1 (ko) 스키드 론칭시스템을 이용한 육상 선박 건조 및 진수방법
CN102602712B (zh) 一种钢箱梁节段滚装装船的方法
EP0879785A2 (en) Container crane
US6213319B1 (en) Powered lifting apparatus using multiple booms
CN102985351A (zh) 举升框架设备
KR20070032444A (ko) 육상건조선박의 수평이송 진수방법
KR101820768B1 (ko) 레일 이동형 계단 운용 대차
CN112900404A (zh) 一种自升式平台系统和升压站组块滑移安装的方法
JP4508073B2 (ja) 重量物の搬送載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EP1673304B1 (en) A mobile crane
KR20160134729A (ko)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CN111847309B (zh) 集装箱起重机上大车行走机构的整体拆卸安装装置及方法
KR102021981B1 (ko) 분리형 대차를 갖는 선양장 구조물
KR20140136693A (ko) Fpb용 이동 지그 및 그 이동방법
EP0313695A1 (en) Crane vessel
CN217100422U (zh) 一种船舶下水用滑车的载荷检测装置
CN112173040A (zh) 一种客滚船的活动坡道进舱方法
JPH06305577A (ja) 舶用荷役ランプ装置
EP0551665A1 (en) Crane relocation and erection
CN112605627A (zh) 一种船舶一体化隔振抗冲装置进舱输送系统
JP2002003163A (ja) 片持ち搬送台車及びこれを用いたホース取替え方法
JP3013216B2 (ja) コンテナの水平荷役方式
CN214695517U (zh) 一种自升式平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