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187B1 -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 - Google Patents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187B1
KR100327187B1 KR1019990025708A KR19990025708A KR100327187B1 KR 100327187 B1 KR100327187 B1 KR 100327187B1 KR 1019990025708 A KR1019990025708 A KR 1019990025708A KR 19990025708 A KR19990025708 A KR 19990025708A KR 100327187 B1 KR100327187 B1 KR 10032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veyor
sand
girder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4939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이만재
주식회사 삼한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재, 주식회사 삼한강 filed Critical 이만재
Priority to KR101999002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1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Abstract

본 발명은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취된 모래가 주입되는 호퍼(112)를 장착하고 이 호퍼(112)의 출구로부터 어느 한쪽방향으로 컨베어(144)를 형성하고 이 컨베어(114)를 지지하는 저어더(116)를 한쪽방향으로 연장하여 이루어진 인풋컨베어부(110)와; 상기 인풋컨베어부(110)의 저어더(116)와 힌지(H1)로 연결되어 제1턴테이블(180)과 함께 장착하는 회전지지대 (166)를 형성하고 이 회전지지대(166)의 아랫쪽에서 바지로 이루어진 이동수단 (200)과의 사이에 직립지지대(164)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160)의 회전지지대 (166)와 동일한 회전축으로 일직되게 제2턴테이블(182)을 장착하고 그 위에 받침대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지지부(160); 그리고 상기 지지부(160)의 받침대로부터 힌지축으로 장착하여 모래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저어더(146)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 (160)의 회전지지대(166)의 직립된 부위에서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이 저어더(146)를 따라 컨베어(144)를 형성하되 모래가 투입되는 부분에 호퍼(142)를 장착하고 투하되는 부분에 슈트(148)를 장착하는 아웃풋컨베어부(140)로 구성되어, 채취모래를 이송하는 방향에대한 제한을 없애고 또 자체의관리를 용이하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A conveyor of loading the ship wiht a sand for export}
본 발명은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상이나 강위에서 모래채취선으로부터 이송선 또는 대형트럭으로 직접이송하도록 하여 모래이송에 대한 한계를 없앰으로써 그 사용범위를 확장시키는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자재로 쓰이는 모래는 귀중한 자원으로 육지의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것을 채취하거나, 하천의 바닥 또는 산지에서 채취하기도하고, 바다의 바닥에서 채취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러한 모래는 채취장소에서 근거리에 있는 다른 장소로 옮겨질때에 컨베어 등의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어지고 또 먼 거리에 있는 다른 장소로 옮길 필요가있을 때에 상기한 이송장치로부터 육지에서는 트럭, 해상에서는 이송선 등의 운송수단에 의해 먼 거리로 옮겨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전자와 같이 채취모래를 근거리의 다른 장소로 옮길 때에 사용되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종래에는 채취선이 정박하여 있는 동안 에 모래저장고에 저장된 모래를 일단 육지로 하역이 이루어진다. 이 작업은 대형 크래인을 사용하거나 굴삭기를 사용하였으며, 상기에서 다른 장소로 옮길 때에 역시 대형 크래인이나 굴삭기를 이용하여 대형트럭이나 이송선에 모래를 옮겨야 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첫째로 대형 크래인이나 굴삭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점 즉 일정한 작업상의 회전반경이 필요하고 운전자의 숙련이 또한 필요하며, 둘째로 일단 육지로 모래를 하역하여야 하므로 그 이송작업에 대한 시간이 오래 걸리고 현저히 나쁜 작업효율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이나 강위에서 모래채취선으로부터 이송선 또는 대형트럭으로 직접 이송하도록 하여 모래이송에 대한 한계를 없앰으로써 그 사용범위를 확장시키는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래채취선으로부터 이송선을 향하여 길게 저어더를 형성하고 이 저어더를 따라서 롤러를 형성하고 이 롤러의 위쪽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벨트를 설치하며 상기 모래채취선을 바라보며 호퍼를 장착하고 상기 이송선을 향하여 슈트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컨베어부와; 이 컨베어부의 저어더중에 중간부분의 하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두 개의 힌지점으로 지지체에 연결되며 특히 후단의 힌지점은 직립방향으로 실린더의 피스톤에 연결되고 이 실린더와 일체된 지지체는 턴테이블을 사이에 두고 지지대에의해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지지대를 장착하여 해상에서 무게의 균형을 유지하며 지지하고 상기 지지대로부터 전후좌우로 균형있는 크기로 부력을 가지며 형성되는 바지부로 이루어진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채취된 모래가 주입되는 호퍼를 장착하고 이 호퍼의 출구로부터 어느 한쪽방향으로 컨베어를 형성하고 이 컨베어를 지지하는 저어더를 한쪽방향으로 연장하여 이루어진 인풋컨베어부와; 상기 인풋컨베어부의 저어더와 힌지로 연결되며 어느 한쪽은 직립시켜 상기 인풋컨베어부의 저어더와 로프로 연결하고 다른 쪽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회전지지대를 회전축을 가지고 턴테이블과 함께 장착하고 이 회전지지대의 아랫쪽에 바지(barge) 등의 이동수단사이에 직립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의 회전지지대와 동일한 회전축으로 일직되게 턴테이블을 장착하고 그 위에 받침대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지지부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받침대로부터 힌지축으로 장착하여 모래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저어더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의 회전지지대의 직립된 부위에 로프로 상기 저어더와 연결하고, 이 저어더를 따라 컨베어를 형성하되 모래가 투입되는 부분에 호퍼를 장착하고 투하되는 부분에 슈트를 장착하는 아웃풋컨베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채취선으로부터 포크래인 등으로 모래를 컨베어부의 호퍼에 투입시키면 컨베어밸트의 작동으로 이송되어 슈트의 가이드로 이송선에 정확히 투하되어 적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모래가 인풋컨베어부의 호퍼로 투입되어 이송되면 아웃풋컨베어부의 호퍼로 투하되고 다시 이 모래는 이송되어 아웃풋컨베어의 슈트의 가이드를 받아 이송선 등에 투하된다.
이때에 인풋컨베어부의 위치각도와 아웃풋컨베어부의 사행각도는 상기 지지부의 회전지지대와 연결된 로프를 조절하여 제어되어지고, 인풋컨베어부의 호퍼위치는 회전지지대를 회전시켜 조정되며 아웃풋컨베어부의 슈트위치는 받침대를 회전시켜 조절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인풋컨베어부와 아웃풋컨베어부의 형성각도와 사행각도를 변경하여 모래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또 필요시에 인풋컨베어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채취모래의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채취모래의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2a는 측면도이고, 도2b는 평면도이며, 도2c는 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3은 도2에 도시된 채취모래의 이송장치에서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3a는 무한궤도식을 이용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3b는 궤도식을 이용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도2에 도시된 채취모래의 이송장치가 작동상태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도4a는 인풋컨베어부의 사행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4b는 아웃풋컨베어부의 사행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5는 도2에 도시된 채취모래의 이송장치에서 각 컨베어부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컨베어부 22 : 높이조절실린더
110 : 인풋컨베어부 112,142 : 호퍼
114,144 : 컨베어 116,146 : 저어더
140 : 아웃풋컨베어부 160 : 지지부
162 : 회전지지대 164 : 직립지지대
180 : 제1턴테이블(a first turn-table)
182 : 제2턴테이블(a second turn-table)
183 : 받침대 200 : 이동수단
300 : 실린더
이하,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채취모래의 이송장치(이하, ‘이송장치’라 함)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 이송장치(10)는, 채취선(12)으로부터 이송선(14)으로 모래를 옮길 때에 컨베어부(15)를 사용하는 데, 이 컨베어부(15)는 지지부(16)에 의해 지지되고, 이 지지부(16)는 바지(barge)부(20)에 의해 해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컨베어부(15)는 모래채취선(12)으로부터 이송선(14)을 향하여 저어더(girder,15a)가 형성되고 이 저어더(15a)의 전후 각각에 롤러(미부호)를 장착하고 이 중간에 아이들롤러(미부호)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 롤러 및 아이들롤러를 따라 밸트(15b)가 장착되는 데, 이 벨트(15b)에서 모래채취선(12)이 바라보는 부분에 호퍼(hopper,18)가 장착되며, 그 반대편 즉 이송선(14)을 향하는 부분에 슈트(chute,19)가 턴테이블(19a)을 사이에 두고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어부(15)는 저어더(15a)의 중간부분에 상기 지지부(16)에 의해 지지되는 바, 이 지지부(16)는 상기 저어더(15a)를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힌지점(H1,H2)을 가지고 지지체(21)에 연결시키고, 특히 후방의 힌지점(H2)은 이 지지체(21)로부터 직립 되게 높이조절실린더(22)가 연결되어 장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실린더(22)가 작동하여 피스톤이 팽창하면 상기 컨베어부(15)는 힌지점(H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호퍼(18) 또는 슈트(19)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지지체(21)는 턴테이블(25)을 사이에 두고 지지대(26)에 의해 지지되는 데, 이 지지대(26)는 상기 턴테이블(25)의 중심으로부터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바지부(20)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이 바지부(20)는 상기 지지대(26)로부터 전후좌우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있고 일정한 부력을 형성하고 있는 바, 수상 등에서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10)를 균형있게 지지하면서 다른 장소로 운행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송장치(10)는, 채취모래를 채취선에서 직접 이송선이나 트럭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컨베어부(16)가 단일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한쪽방향에서 다른쪽 방향으로 채취모래를 투기하는 데에는 어떠한 각(angle)의 변형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컨베어부를 인풋(input)과 아웃풋(output)으로 나누어 각각 좌우로의 회전운동과 위아래로의 사행운동을 자유롭게 하여 채취모래의 이송방향에 관한 제한을 없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채취모래의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2a는 측면도이고, 도2b는 평면도이며, 도2c는 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채취모래의 이송장치(100)는 도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래채취선(101)과 이송선(102)사이에 위치하는 데, 채취된 모래를 근거리로 이송하는 컨베어(conveyor)를, 모래가 투입되는 방향으로부터 인풋컨베어(input-conveyor)부(110)와 모래를 투하하는 방향으로 아웃풋컨베어(output-conveyor)부(140)로 분할하고, 상기 지지부(160)로 하여금 상기한 인풋컨베어부(110)와 아웃풋컨베어부(140)를 지지토록 한다.
상기 인풋컨베어부(110)는, 채취된 모래가 주입되는 호퍼(112)를 장착하고 이 호퍼(112)의 출구로부터 어느 한쪽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롤러(r1,r2…)에 벨트(미부호)를 연결하여 컨베어(114)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컨베어(114)의 형성방향을 따라 저어더(116)가 형성되어 있는 데, 이 저어더(116)는 상기 컨베어(114)의 밸트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호퍼(112)가 장착된 부위의 반대편 끝단은 상기 지지부(16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풋컨베어부(110)로부터 투하된 채취모래를 목적지로 이송시키는 아웃풋컨베어부(140)는 채취모래가 투하되는 부위에 호퍼(142)를 장착하고, 이 호퍼(142)의 아래쪽에 이송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롤러(r′1 ,r′2 …)를 따라 부호를 부여하지 않은 벨트를 장착하여 컨베어(144)를 형성한다.
이 아웃풋컨베어부(140)의 컨베어(144)는 인풋컨베어부(110)의 컨베어(114)와 마찬가지로 저어더(146)에 의해 지지되는 데, 이 저어더(146)는 상기 호퍼(142)가 장착되는 방향에서 상기 지지부(160)와 연결되고, 그 반대편 끝쪽의 아랫면에 턴테이블(147)을 매개로 하여 슈트(148)를 장착하며 컨베어(144)의 끝부분에 가이드(149)를 장착한다.
상기 인풋컨베어부(110)와 아웃풋컨베어부(140)는 각각 지지부(160)에 연결된다고 하였는 바, 이 지지부(160)는 이를 위하여 회전지지대(162)와 직립지지대(164)를 가지고 있고 또 별도로 이동수단(200)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지지대(162)는 회전중심축을 이루며 수평형상으로 형성된 수평부재(166)와 이 수평부재(166)로부터 한쪽방향의 외곽에 직립형상으로 형성된 직립부재(168)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직립부재(168)는 어느 정도 직립되다가 회전중심축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을 하는 데, 그 중간에 인풋컨베어부(110)의 저어더(116)와 힌지축(H1)으로 연결되고, 그 끝단에서 인풋컨베어부(110)와 아웃풋컨베어부(140)를 향하여 각각 액츄에이터(170,170')를 각각 장착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70,170')는 상기 인풋컨베어부(110)와 아웃풋컨베어부(140)를 사행방향으로 운동시키는 것으로, 도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컨베어부(110,140)의 폭방향으로 벌어진 형상으로 장착되며 인풋컨베어부(110)의 호퍼(112)방향과 아웃풋컨베어부(140)의 슈트(148)방향에 각각 로프(172,172')로 연결되며, 이 로프(172,172')는 중간에 바아(174,174')에 의해 지지되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또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다.
상기 직립부재(168)에 비하여 상기 수평부재(166)는 단순한 형상을 하고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으며 아래쪽은 제1턴테이블(180)을 사이에 두고 직립지지대(164)에 의해 지지되므로, 회전지지대(168)전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평부재(166)의 위쪽은 제2턴테이블(182)을 동축으로 장착하고, 이를 매개로 상기 아웃풋컨베어부(140)를 힌지축(H2)으로 연결하는 받침대(183)를 장착하고 있어, 아웃풋컨베어부(14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직립지지대(164)는 상기 수평부재(166)의 아래쪽에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면적을 크게 하여 벌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은 이동수단(200)에 의해 떠받쳐져 있다.
이 이동수단(200)은 바다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바지(barge)를 이용하고 있으나, 육지에서는 무한궤도식이나 궤도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3에서 설명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K1과 K2는 액츄에이터(170,170')을 구동하는 유압모터를 칭한다.
한편, 도2c는 도1 및 도2a에 도시된 슈트(148,19)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슈트(148,19)와 저어더(146,15a)가 실린더(300)에 의해 연결되는 데, 상기 슈트(148,19)는 저어더(146,15a)와 힌지점(S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실린더(300)도 상기 저어더(146,15a)와 슈트(148,19)에 부호를 부여하지 않았지만 각각 힌지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실린더(300)의 피스톤이 팽창 또는 수축하면 이에 따라 상기 슈트(148,19) 또한 힌지점(S1)을 중심으로 움직여 모래의 투하 위치를 정하게 된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채취모래의 이송장치에서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3a는 무한궤도식을 이용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3b는 궤도식을 이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3a는 상기 지지부(160)의 직립지지대(164)에 연결된 이동수단(200)을 무한궤도식으로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체인(172)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바퀴(174,174')를 각각 형성시키고 이 바퀴(174,174')사이에 아이들바퀴(176a,176b…)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바퀴(174,174')는 상기 체인(170)내에서 구동하여 체인(172)을 돌려주어 주행하게 된다.
도3b는 상기 이동수단(200)을 궤도식으로 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 또한 공지된 것이므로 간단히 살펴보면, 어떤 정해진 경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레일(177)위에 바퀴(179,179')를 올려놓으며, 이 바퀴(179,179')는 정해진 궤도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채취모래의 이송장치가 작동상태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도4a는 인풋컨베어부의 사행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4b는 아웃풋컨베어부의 사행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a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풋컨베어부(110)를 사행시키기 위해서는 유압모터(K1)를 작동하여 액츄에이터(170)로 하여금 로프(172)를 당기게 하면 컨베어(114)를 떠받고 있는 저어더(116)는 힌지(H1)를 중심으로 들어올려져 접히게 된다.
또 도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웃풋컨베어부(140)를 사행시키려고 유압모터(K2)를 작동시키면, 액츄에이터(170')는 상기 유압모터(K2)로부터 전해지는 유압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로프(172')를 당겨 컨베어(144)를 지지하는 저어더(146)를 힌지축(H2)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으로 접는다.
도5는 도2에 도시된 채취모래의 이송장치에서 각 컨베어부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만약, 작업자가 모래를 ‘A’지점에서 ‘A'’지점으로 옮고자하면 인풋컨베어부(110)와 아웃풋컨베어부(140)를 회전시키지 않고 일직되게 하며, ‘B’지점에서‘B'’지점으로 모래를 옮기려면 인풋컨베어부(110)와 아웃풋컨베어부(140)를 모두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며, ‘C’지점에서 ‘C'’지점으로 모래를 옮기려면 인풋컨베어부(110)와 아웃풋컨베어부(1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그리고, ‘A’지점에 있는 모래를‘B'’지점으로 옮기고자하면 아웃풋컨베어부(1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B’지점에 있는 모래를 ‘A'’지점으로 이송시키려면 인풋컨베어부(1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며 그 외의 경우에도 충분히 적용된다.
상기에서 인풋컨베어부(110)는 제1턴테이블(180)을 매개로 지지부(160)의 회전지지대(162)가 회전할 때에 함께 회전하고, 아웃풋컨베어부(140)는 제2턴테이블(182)을 매개로 받침대(183)가 회전할 때에 함께 회전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취모래의 이송장치는, 채취선으로부터 이송선 또는 트럭으로 직접 채취모래를 이송시킬 수 있고, 또한 채취모래의 이송을 위한 컨베어부를 인풋컨베어와 아웃풋컨베어로 나누어 각자 좌우회전과 위아래의 사행을 자유롭게 하여 채취모래를 이송하는 방향에 따른 제한을 없애고 또 자체의 관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진정한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예 및 균등한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모래채취선(12)으로부터 이송선(14)을 향하여 길게 저어더(15a)를 형성하고 상기 저어더(15a)에는 이송 방향으로 벨트(15b)를 설치하며, 상기 모래채취선을 바라보며 호퍼(18)를 장착하고 상기 이송선(14)을 향하여 슈트(19)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컨베어부(15)와;
    이 컨베어부(15)의 저어더(15a)중에 중간부분의 하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지지체(2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21)는 턴테이블(25)을 사이에 두고 지지대(26)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16)와;
    상기 지지부(16)의 지지대(26) 하측에 연결되며, 해상에서 무게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지지하고 상기 지지대(26)로부터 전후좌우로 균형 있는 크기로 부력을 가지며 형성되는 바지부(20);
    로 이루어진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채취된 모래가 주입되는 호퍼(112)를 장착되고, 이 호퍼(112)의 출구로부터 어느 한쪽방향으로 컨베어(144)가 형성되며, 이 컨베어(114)를 지지하는 저어더(116)를 한쪽방향으로 연장하여 이루어진 인풋컨베어부(110)와;
    상기 인풋컨베어부(110)의 저어더(116)와 힌지(H1)로 연결되며, 어느 한쪽은 직립시켜 상기 인풋컨베어부의 저어더(116)와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쪽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회전지지대(166)를 회전축으로 제1턴테이블(180)과 함께 장착되며, 이 회전지지대(166)의 아래쪽에서 바지로 이루어진 이동수단(200)과의 사이에 직립지지대(16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60)의 회전지지대(166)와 동일한 회전축으로 일직되게 제2턴테이블(182)이 장착되며 그 위에 받침대가 설치된 지지부(160)와;
    상기 지지부(160)의 받침대로부터 힌지축으로 장착되어 모래의 이송방향으로 길게 저어더(146)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60)의 회전지지대(166)의 직립된 부위에서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이 저어더(146)를 따라 컨베어(144)를 형성하되 모래가 투입되는 부분에 호퍼(142)가 장착되고 투하되는 부분에 슈트(148)가 장착된 아웃풋컨베어부(1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148)는 저어더(146)와 힌지점(S1)으로 연결되고, 상기 저어더(146)와 사이에 실린더(300)를 각각 힌지점을 형성하며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200)은 상기 지지부(160)의 직립지지대(164)아래에 이동방향으로 체인(172)을 형성시키고, 이 체인(172)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바퀴(174,174')를 각각 형성시키고 이 바퀴(174,174')사이에 아이들바퀴(176a,176b…)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200)은 상기 지지부(160)의 직립지지대(164)아래에 이동방향으로 레일(177)을 설치하고, 이 레일(177)위에 바퀴(179,179')를 올려놓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
  5. 삭제
  6. 삭제
KR1019990025708A 1999-06-30 1999-06-30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 KR100327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708A KR100327187B1 (ko) 1999-06-30 1999-06-30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708A KR100327187B1 (ko) 1999-06-30 1999-06-30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939A KR20010004939A (ko) 2001-01-15
KR100327187B1 true KR100327187B1 (ko) 2002-03-13

Family

ID=1959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708A KR100327187B1 (ko) 1999-06-30 1999-06-30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1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31B1 (ko) * 2009-01-28 2011-08-25 주식회사 천도 토사 하역용 컨베이어 바지선의 하역컨베이어 시스템
CN105711894A (zh) * 2016-04-25 2016-06-29 安丘博阳机械制造有限公司 船用包装输送机构及其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05B1 (ko) * 2008-10-13 2011-04-06 강윤식 이동식 분뇨 선별 배출장치
KR101316074B1 (ko) * 2011-07-19 2013-10-11 주식회사 원덕산업기계 회동 유닛이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131B1 (ko) * 2009-01-28 2011-08-25 주식회사 천도 토사 하역용 컨베이어 바지선의 하역컨베이어 시스템
CN105711894A (zh) * 2016-04-25 2016-06-29 安丘博阳机械制造有限公司 船用包装输送机构及其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939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2392A (en) Portable belt conveyor, particularly a plate belt conveyor for crushing plants
US4020953A (en) Apparatus for unloading particulate material, especially from ships
JPS62213856A (ja) 移動式破砕機プラント
US4571145A (en) Combination handling and conveying apparatus
SU1186082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ертика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CA1182845A (en) Installation for two or more step excavating in a discontinuous open cut operation
KR100327187B1 (ko) 골재 수출용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장치
KR20130121837A (ko) 회수기
RU23811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йдовой загрузки или разгрузки судов
US4379672A (en) Combination handling and conveying apparatus
TWI701204B (zh) 荷重搬運機械
KR101059131B1 (ko) 토사 하역용 컨베이어 바지선의 하역컨베이어 시스템
CN209492973U (zh) 一种移动式输送机
KR100583082B1 (ko) 골재 하역용 컨베이어장치
KR200427979Y1 (ko) 신축 가능한 컨베이어를 이용한 주행식 성토재운반장치
KR200350671Y1 (ko) 골재 하역용 컨베이어장치
JP4152042B2 (ja) 旋回・俯仰式コンベヤ装置
KR100509274B1 (ko) 골재의 해상선박 선적용 컨베어 장치
RU2768067C1 (ru) 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пилон для загруз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2348001B1 (ko) 주행형 pc 거더 운반용 대차
GB2052419A (en) Conveyor mounted on a boom on a wheeled vehicle
JP2548657B2 (ja) 船倉に積載された不定形貨物の荷卸装置
JPH08301429A (ja) 自走式コンベア
CN1005485B (zh) 堆取料机
JPH06239467A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