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296B1 - 망동기장치의클럭분배부에서운용자요구에의한기준클럭및마스터클럭변경방법 - Google Patents

망동기장치의클럭분배부에서운용자요구에의한기준클럭및마스터클럭변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296B1
KR100326296B1 KR1019970053774A KR19970053774A KR100326296B1 KR 100326296 B1 KR100326296 B1 KR 100326296B1 KR 1019970053774 A KR1019970053774 A KR 1019970053774A KR 19970053774 A KR19970053774 A KR 19970053774A KR 100326296 B1 KR100326296 B1 KR 10032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distribution unit
changed
divider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679A (ko
Inventor
김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70053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29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중화되어 있는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 중 하나의 클럭분배부를 운용자가 지정하여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기준클럭분배부)에서 클럭발생부로 기준신호를 공급하게 하고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마스터클럭분배부)에서 교환기의 광링크부로 시스템클럭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가 기준클럭분배부인지 또는 마스터클럭분배부인지를 판별하여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가 기준클럭분배부이면 운용자가 요구하는 기준클럭분배부를 변경시켜 클럭발생부로 기준신호를 공급하고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가 마스터클럭분배부이면 운용자가 요구하는 마스터클럭분배부를 변경시켜 교환기의 광링크부로 시스템클럭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에서 기준클럭 및 마스터클럭 변경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기의 망동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에서 운용자요구에 의해 기준클럭 및 마스터클럭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종래의 망동기 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교환국으로부터 전송된 복수개의 동기용 기준클럭을 수신하는 디지털 중계선 인터페이스부(1)와; 상기 디지털 중계선 인터페이스부(1)에서 수신한 복수개의 망동기용 기준클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해주고, 망동기 제어 프로세서(3)의 제어에 따라 그 망동기용 기준클럭을 절체하는 외부클럭 수신부(2)와; 상기 외부클럭 수신부(2)에서 수신한 복수개의 망동기용 기준클럭의 상태를 감시하며 망동기용 기준클럭의 절체를 제어하는 망동기 제어 프로세서(3)와; 상기 외부클럭 수신부(2)에서 선택되어 출력되는 망동기용 기준클럭으로 시스템에서 필요로하는 시스템 기준클럭을 생성하는 클럭발생부(4)와; 상기 클럭발생부(4)에서 생성된 기준클럭을 시스템에서 필요로하는 클럭으로 분배해주는 클럭분배부(5)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망동기 장치는, 클럭발생부(4)는 삼중화되어 있으나 클럭분배부(5)가 이중화되어 있기 때문에, 액티브(active)인 클럭분배부(5)에서 위상차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클럭으로 구성된 기준 신호를 삼중화되어 있는 클럭발생부(4)로 공급하도록 하고, 액티브인 클럭분배부(5)에서 교환기로 시스템의 사용에 필요한 마스터클럭인 시스템클럭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동기용 기준클럭이 교환국에서 전송되면, 디지털 중계선 인터페이스부(1)가 수신하여 복수개의 망동기용 기준클럭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해준다. 그러면 외부클럭 수신부(2)가 망동기용 기준클럭을 절체하고, 이렇게 절체된 망동기용 기준클럭을 이용하여 클럭발생부(4)는 시스템 기준클럭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생성된 기준클럭은 클럭분배부(5)에 의해 시스템에서 필요로하는 클럭으로 분배되어 교환기의광링크부로 전송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액티브인 클럭분배부의 기능이 비정상적일 경우에는 보드를 탈장시켜 스탠드바이(standby)인 클럭분배부를 액티브가 되게 함으로써 클럭분배부의 오류를 해결하였는데, 운용자가 시스템이 정상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드를 탈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가동중인 상태에서는 오류해결을 위한 조치가 취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교환기의 망동기 장치에서 클럭발생부의 기능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삼중화되어 있는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 중 하나의 클럭분배부를 운용자가 지정하여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기준클럭분배부)에서 클럭발생부로 기준신호를 공급하게 하고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마스터클럭분배부)에서 교환기의 광링크부로 시스템클럭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에서 운용자요구에 의한 기준클럭 및 마스터클럭 변경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가 기준클럭분배부인지 또는 마스터클럭분배부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가 기준클럭분배부이면 운용자가 요구하는 기준클럭분배부를 변경시켜 클럭발생부로 기준신호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가 마스터클럭분배부이면 운용자가 요구하는 마스터클럭분배부를 변경시켜 교환기의 광링크부로 시스템클럭을 공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교환기 망동기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교환기 망동기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럭분배부에서 운용자 요구에 의한 기준클럭의 변경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럭분배부에서 운용자 요구에 의한 마스터클럭의 변경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지털 중계선 인터페이스부 20: 망동기 제어 프로세서
30: 클럭 발생부 40: 클럭 분배부
50: 교환기 광링크부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에서 운용자요구에 의한 기준클럭 및 마스터클럭 변경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교환기 망동기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교환국으로부터 전송된 복수개의 동기용 기준클럭을 수신하는 디지털 중계선 인터페이스부(10)와; 클럭발생부(30) 및 클럭분배부(40)와 TD-버스를 통해 통신하며, 상기 복수개의 망동기용 기준클럭의 상태를 감시하고, 망동기용 기준클럭의 절체를 제어하는 망동기 제어 프로세서(20)와; 상기 망동기 제어 프로세서(20)의 제어에 따라 망동기용 기준클럭으로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시스템 기준클럭을 생성하는 클럭발생부(30)와; 상기 망동기 제어 프로세서(20)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동기용 기준클럭으로부터 만든 기준신호를 상기 클럭발생부(30)로 공급하고, 상기 클럭발생부(30)에서 생성된 시스템 기준클럭을 교환기의 광링크부(50)로 분주해주는 클럭분배부(40)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에서 운용자요구에 의한 기준클럭 및 마스터클럭 변경방법은,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가 기준클럭분배부인지 또는 마스터클럭분배부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가 기준클럭분배부이면 운용자가 요구하는 기준클럭분배부를 변경시켜 클럭발생부(30)로 기준신호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가 마스터클럭분배부이면 운용자가 요구하는 마스터클럭분배부를 변경시켜 교환기의 광링크부(50)로 시스템클럭을 공급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가 기준클럭분배부일 경우 기준클럭의 변경방법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의 기준클럭분배부가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한 후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나거나 이상이 있으면 수행 불가능한 원인을 운영자 터미널에 출력하는 단계와(ST1)(ST2)(ST4); 상기 클럭분배부(40)의 변경시키고자 하는 기준클럭분배부와 현재의 기준클럭분배부가 동일한 지 확인한 후 동일하면 이미 변경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T3)(ST4)와; 상기 변경시키고자 하는 기준클럭분배부와 현재의 기준클럭분배부가 동일하지 않으면 모든 클럭분배부(40)의 기준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을 임의의 한 클럭분배부(40)가 기준클럭분배부가 될 수 있도록 변경시켜 초기화하는 단계(ST5)와; 상기 초기화가 완료되면(ST5) 변경시키고자 하는 기준클럭분배부를 제외한 나머지 클럭분배부(40)의 기준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이 비활성화되도록 변경시키는 단계(ST6)와; 상기 기준클럭분배부의 변경이 완료되면 정상적으로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출력하는 단계(ST7)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에서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가 마스터클럭분배부일 경우 마스터클럭의 변경방법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의 마스터클럭분배부가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한 후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4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나거나 이상이 있으면수행불가능한 원인을 운영자 터미널에 출력하는 단계(ST11)(ST12)(ST14)와; 상기 클럭분배부(40)의 변경시키고자 하는 마스터클럭분배부와 현재의 마스터클럭분배부가 동일한 지 확인한 후 동일하면 이미 변경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T13)(ST14)와; 상기 변경시키고자 하는 마스터클럭분배부와 현재의 마스터클럭분배부가 동일하지 않으면 모든 클럭분배부(40)의 마스터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을 임의의 한 클럭분배부(40)가 마스터클럭분배부가 될 수 있도록 변경시켜 초기화하는 단계(ST15)와; 상기 초기화가 완료되면 변경시키고자 하는 마스터클럭분배부를 제외한 나머지 클럭분배부(40)의 마스터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이 비활성화되도록 변경시키는 단계(ST16)와; 상기 마스터클럭분배부의 변경이 완료되면 정상적으로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출력하는 단계(ST17) 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에서 운용자요구에 의한 기준클럭 및 마스터클럭 변경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망동기 제어 프로세서(20)는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가 기준클럭분배부인지 또는 마스터클럭분배부인지를 판별한다.
그래서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가 기준클럭분배부이면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의 기준클럭분배부가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한 후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ST1). 그래서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40)가 기준범위를 벗어나거나 이상이 있으면 수행 불가능한 원인을 운영자 터미널에 출력한다(ST2)(ST4). 그리고 클럭분배부(40)의 변경시키고자하는 기준클럭분배부와 현재의 기준클럭분배부가 동일한 지 확인한 후 동일하면 이미 변경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종료한다(ST3)(ST4). 그리고 변경시키고자 하는 기준클럭분배부와 현재의 기준클럭분배부가 동일하지 않으면 3개의 클럭분배부(40)의 기준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을 임의의 한 클럭분배부(40)가 기준클럭분배부가 될 수 있도록 '1'(하이)에서 '0'(로우)으로 변경시켜 초기화한다(ST5). 이에 따라 초기화가 완료되면(ST5), 변경시키고자 하는 기준클럭분배부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클럭분배부(40)의 기준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이 비활성화되도록 '0'(로우)에서 '1'(하이)로 변경시킨다(ST6). 이처럼 기준클럭분배부의 변경이 완료되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출력한다.(ST7).
이에 따라 망동기 제어 프로세서(20)는 클럭분배부(40)를 제어하여 클럭발생부(30)로 기준신호를 공급하게 한다.
한편,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가 마스터클럭분배부이면 변경시키고자 하는 클럭분배부(40)의 마스터클럭분배부가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한 후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ST11). 그래서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40)가 기준범위를 벗어나거나 이상이 있으면 수행 불가능한 원인을 운영자 터미널에 출력한다(ST12)(ST14). 그리고 클럭분배부(40)의 변경시키고자 하는 마스터클럭분배부와 현재의 마스터클럭분배부가 동일한 지 확인한 후 동일하면 이미 변경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종료한다(ST13)(ST14). 그리고 변경시키고자 하는 마스터클럭분배부와 현재의 마스터클럭분배부가 동일하지 않으면 3개의 클럭분배부(40)의 마스터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을 임의의 한 클럭분배부(40)가 마스터클럭분배부가 될 수 있도록 '1'(하이)에서 '0'(로우)으로 변경시켜 초기화한다(ST15). 이에 따라 초기화가 완료되면(ST15), 변경시키고자 하는 마스터클럭분배부를 제외한 나머지 2개의 클럭분배부(40)의 마스터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이 비활성화되도록 '0'(로우)에서 '1'(하이)로 변경시킨다(ST16). 이처럼 마스터클럭분배부의 변경이 완료되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출력한다(ST17).
이에 따라 망동기 제어 프로세서(20)는 클럭분배부(40)를 제어하여 교환기의 광링크부(50)로 시스템클럭을 공급하게 한다.
이처럼 교환기 시스템의 클럭이 불안정하거나 비정상 상태로 판단될 때 클럭발생부(40)로 기준신호(위상차 비교 기준클럭)를 공급하는 기준클럭분배부와 시스템 클럭을 공급하는 마스터클럭분배부를 운용자가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에서 운용자요구에 의한 기준클럭 및 마스터클럭 변경방법은 삼중화되어 있는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 중 하나의 클럭분배부를 운용자가 지정하여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기준클럭분배부)에서 클럭발생부로 기준신호를 공급하게 하고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분배부(마스터클럭분배부)에서 교환기의 광링크부로 시스템클럭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삼중화되어 있으며, 기준클럭 분배부와 마스터클럭 분배부를 포함하는 클럭 분배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교환기내 망동기 장치의 기준클럭 변경 방법에 있어서,
    변경하고자 하는 클럭 분배부가 기준클럭 분배부인지 또는 마스터클럭 분배부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기준클럭 분배부일 경우,
    상기 변경하고자 하는 클럭 분배부의 기준클럭 분배부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또는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 분배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그 확인 결과 기준클럭 분배부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거나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 분배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운용자 터미널에 출력해주는 단계와;
    상기 기준클럭 분배부가 기준 범위 내에 존재하고,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 분배부가 정상적일 경우 변경하고자하는 기준클럭 분배부와 현재의 기준 클럭 분배부가 동일한지 확인하여, 동일한 경우 이미 변경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변경하고자 하는 기준클럭 분배부와 현재의 기준클럭 분배부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모든 클럭 분배부의 기준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을 임의의한 클럭분배부가 기준클럭분배부가 될 수 있도록 변경시켜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가 완료되면 변경하고자 하는 기준클럭 분배부를 제외한 나머지 클럭분배부의 기준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후 운용자가 요구한 기준클럭 변경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운용자 터미널로 출력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에서 기준 클럭 변경방법.
  2. 삼중화되어 있으며, 기준클럭 분배부와 마스터클럭 분배부를 포함하는 클럭 분배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교환기내 망동기 장치의 마스터클럭 변경 방법에 있어서,
    변경하고자 하는 클럭 분배부가 기준클럭 분배부인지 또는 마스터클럭 분배부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기준클럭 분배부일 경우,
    상기 변경하고자 하는 클럭 분배부의 마스터클럭 분배부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또는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 분배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후, 그 확인 결과 마스터클럭 분배부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거나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 분배부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운용자 터미널에 출력해주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클럭 분배부가 기준 범위 내에 존재하고, 운용자가 요구하는 클럭 분배부가 정상적일 경우 변경하고자 하는 마스터클럭 분배부와 현재의 마스터클럭 분배부가 동일 한지 확인하여, 동일한 경우 이미 변경되어 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변경하고자 하는 마스터클럭 분배부와 현재의 마스터클럭 분배부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모든 클럭 분배부의 마스터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을 임의의 한 클럭분배부가 마스터클럭 배부가 될 수 있도록 변경시켜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가 완료되면 변경하고자 하는 마스터클럭 분배부를 제외한 나머지 클럭분배부의 마스터클럭출력 레지스터의 값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후 운용자가 요구한 마스터클럭 변경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운용자 터미널로 출력해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망동기 장치의 클럭분배부에서 마스터클럭 변경방법.
KR1019970053774A 1997-10-20 1997-10-20 망동기장치의클럭분배부에서운용자요구에의한기준클럭및마스터클럭변경방법 KR10032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774A KR100326296B1 (ko) 1997-10-20 1997-10-20 망동기장치의클럭분배부에서운용자요구에의한기준클럭및마스터클럭변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774A KR100326296B1 (ko) 1997-10-20 1997-10-20 망동기장치의클럭분배부에서운용자요구에의한기준클럭및마스터클럭변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679A KR19990032679A (ko) 1999-05-15
KR100326296B1 true KR100326296B1 (ko) 2002-08-17

Family

ID=3747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774A KR100326296B1 (ko) 1997-10-20 1997-10-20 망동기장치의클럭분배부에서운용자요구에의한기준클럭및마스터클럭변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806B1 (ko) * 2009-12-21 2013-08-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이더넷 물리층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클럭 운용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679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1976B2 (ja) 通信システムのバス型クロック供給方式
KR100326296B1 (ko) 망동기장치의클럭분배부에서운용자요구에의한기준클럭및마스터클럭변경방법
KR0175293B1 (ko) 교환스위치 및 스위칭 서비스 중단 최소화 방법
CN104065499A (zh) 主控板、主备系统、信息的备份方法及装置
CA2213588C (en) Remote accurate frequency generation using a numerically controlled oscillator
WO2000022763A1 (en) Node control unit of an access node in a synchronous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witchover of clock supply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2978623B2 (ja) 網同期システム
JPH01208047A (ja) クロック供給方式
KR100487561B1 (ko) 동기 전송 시스템에서 망동기 블록 이중화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100440572B1 (ko) 이중화된 스위치 보드 및 라인 접속 보드 사이의 클럭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KR0126856B1 (ko)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
CN112948180B (zh) 一种基于主控管理的板级热备方法
KR100372997B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의 클럭 절체 제어 장치 및 방법
JP2867865B2 (ja) 予備回線切替制御方式
JP2713004B2 (ja) クロック供給方式
KR20020055229A (ko)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KR0136521B1 (ko) 이중화 클럭선택장치
KR0155331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
JP2000106565A (ja) バス接続拡張方式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同期および無瞬断クロック切替方式
JPH0564274A (ja) 同期信号分配方式
KR19990056020A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망 동기 클럭 제어 방법
JPH0457536A (ja) クロック供給方式
JP3688754B2 (ja) 網同期クロックの切替方式
JP2000278261A (ja) Isdn接続装置
JPH0662481A (ja) ディジタル交換機の同期信号発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