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229A -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229A
KR20020055229A KR1020000084640A KR20000084640A KR20020055229A KR 20020055229 A KR20020055229 A KR 20020055229A KR 1020000084640 A KR1020000084640 A KR 1020000084640A KR 20000084640 A KR20000084640 A KR 20000084640A KR 20020055229 A KR20020055229 A KR 20020055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tate
signal
standby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4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5229A/ko
Publication of KR2002005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2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8Access multiplexer, e.g. DSLAM
    • H04L12/2879Access multiplexer, e.g. DSLA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type on the uplink side, i.e. towards the service provider network
    • H04L12/2883ATM DSL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69Operational details of access network equipments
    • H04L12/2878Access multiplexer, e.g. DSLAM
    • H04L12/2879Access multiplexer, e.g. DSLA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type on the uplink side, i.e. towards the service provider network
    • H04L12/2885Arrangements interfacing with opt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시스템에서의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더욱 상세하게는 STM-1 인터페이스를 가진 망 접속 장치의 보드 이중화 및 선로 이중화를 구현해 줌으로써 망 접속 보드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망 접속 보드의 오류 발생시 서비스의 중단없이 보드의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이중화로 인한 시스템 운용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액티브/스탠드바이 망 접속 보드를 독립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전송 용량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 두 보드 모두를 액티브로 지원토록 해주어 시스템 운용상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준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NETWORK CONNECTION BOARD DUAL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시스템내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TM-1(Synchronous Transfer Mode Level 1)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가진 망 접속 장치의 보드 이중화 및 선로 이중화를 구현해 줌으로써 망 접속 보드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본 발명은 이중화를 지원하지 않는 망 정속 장치와 연결하여 시스템의 보드 이중화를 구성할 수 있으며, NAS(Network Administartion System) 장치 및 망 접속 장치(SMOT-4, SMOT-16) 등의 인터페이스 보드와의 이중화 구성이 가능하고, 이러한 장비의 이중화 회로에 적용될 수 있다.
최근 공급되는 광 전송 장치는 STM-1 프레임의 자동절체 신호 및 유지보수 신호 전송을 위한 K1(절체계의 제어어), K2(다중 섹션 상태의 전송) 필드의 정보를 통하여 1:1 비복귀성 단방향 또는 양방향 절체가 이루어 진다. 그러나, STM-1 프레임의 K1, K2 필드를 제어할 수 없을 경우, 이중화 방안은 운용자가 직접 보드를 수동으로 교체하거나 포트를 수동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종래 망 접속 보드 이중화 방법으로는 핫 스탠드바이(Hot Standby)가 아닌 콜드 스타트(Cold Start), 웜 스타트(Warm Start)의 절체가 이루어짐으로써, 이중화 구현 및 보드 운용상의 비효율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운용자가 직접 보드를 수동으로 교체할 경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망 접속 보드의 오류 발생시 서비스의 중단없이 보드의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해주기 위한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다른 목적으로는 액티브/스탠드바이 망 접속 보드를 독립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전송 용량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 두 보드 모두를 액티브로 지원토록 해주기 위한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는, 광 스플리터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ATM 셀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한편, ATM 셀을 수신받으면 이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광 스플리터로 전송하는 제 1 광 전송 보드;
자신의 상태를 파악한 후 그 상태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광 전송보드와의 ATM 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다가, 절체 상황이 발생하면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는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
상기 광 스플리터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ATM 셀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제 2 광 전송 보드;
자신의 상태를 파악한 후 그 상태 신호를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로 전송함과 동시에 스탠드바이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됨에 따라 그에 상응한 상태 신호를 수신받으면 액티브 상태로 절체되어 상기 제 2 광 전송보드와의 ATM 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 및
운용자 터미널로부터 이중화 강제 절체 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액티브/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로 각각 전송하여 강제 이중화시키는 제어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망 접속 보드 이중화 방법중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전환되는 방법은,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내 제 1 EPLD가 자신이 속한 보드의 상태를 점검한 후 그에 상응한 탈/실장 상태신호,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 정상/이상 상태신호,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를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 및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 EPLD가 자신의 속한 보드의 탈/실장 상태,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 정상/이상 상태, 및 독립/이중화 상태중 어느 한 개에서 절체 상태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 12 단계에서 절체 상태가 발생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절체 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제 1 EPLD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됨과 동시에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 및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의 값을 스탠드바이 상태로 변경시킨 후, 제 1 전원 제어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스탠드바이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 1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망 접속 보드 이중화 방법중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가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는 방법은,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내 제 2 EPLD가 자신이 속한 보드의 상태를 점검한 후 그에 상응한 탈/실장 상태신호,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 정상/이상 상태신호,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를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 및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2 EPLD가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로부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의 탈/실장 상태신호,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 정상/이상 상태신호,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를 수신받는 제 22 단계;
상기 제 2 EPLD가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로부터 수신받은 각종 상태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의 스탠드바이 절체 상황을 판단하는 제 23 단계; 및
상기 제 23 단계에서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2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면, 상기 제 2 EPLD가 액티브 상태로 절체됨과 동시에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 및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의 값을 액티브 상태로 변경시킨 후, 제 2 전원 제어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 2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에서 액티브/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간의 이중화를 위한 신호 접속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에서 제 1 전원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에서 제 2 전원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에서 제 1, 2 EPLD내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따른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에서 제 1, 2 EPLD내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 접속 보드 이중화 방법중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 접속 보드 이중화 방법중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가 액티브 상태로 절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광 전송 보드 200 :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
210 : 제 1 UNI부 220 : 제 1 UPC부
230 :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 240 : 제 1 CPU
250 : 제 1 EPLD 260 : 제 1 전원 제어부
261 : 제 1 인버터 262 : 제 1 FET
263 : 제 2 인버터 264 : 제 2 FET
300 : 제 2 광 전송 보드 400 :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
410 : 제 2 UNI부 420 : 제 2 UPC부
430 :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 440 : 제 2 CPU
450 : 제 2 EPLD 460 : 제 2 전원 제어부
461 : 제 3 인버터 462 : 제 3 FET
463 : 제 4 인버터 464 : 제 4 FET
500 : 제어보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는 제 1 광 전송 보드(100), 액티브(Active)측 망 접속 보드(200), 제 2 광 전송 보드(300), 스탠드바이(Standby)측 망 접속 보드(400), 및 제어보드(5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100)는 송/수신측 광 모듈로 구현되며, 광 스플리터(Splitter)(1)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이라 칭함.) 셀(Cell)로 변환시켜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로부터 ATM 셀을 수신받으면 이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광 스플리터(1)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는 자신의 상태를 파악한 후 그 상태 신호를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 및 제어보드(5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액티브 동작인 상기 제 1 광 전송보드와의 ATM 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다가, 절체 상황이 발생하면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어 대기하는 역할을 하며, 제 1 UNI(User Network Interface; 이하 "UNI"라 칭함.)부(210), 제 1 UPC(Usage Parameter Control; 이하 "UPC"라 칭함.)부(220), 제 1 셀 버스인터페이스부(230), 제 1 CPU(Central Process Unit; 이하 "CPU"라 칭함.)(240), 제 1 EPLD(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 이하 "EPLD"라 칭함.)(250), 및 제 1 전원 제어부(26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내에 장착된 상기 제 1 UNI부(210)는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100)와의 ATM 셀 송/수신동작을 수행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면 ATM 셀 수신동작만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내에 장착된 제 1 UPC부(220)는 ATM 셀의 트래픽에 따른 셀 처리 동작을 수행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면 대기 상태로 천이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내에 장착된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230)는 상기 제 1 UPC부(220) 및 셀 버스 사이에서 ATM 셀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면 대기 상태로 천이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내에 장착된 제 1 CPU(240)는 상기 제 1 UNI부(210), 제 1 UPC부(220), 및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230)의 각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내에 장착된 제 1 EPLD(250)는 자신이 속한 보드의 상태를 점검한 후 이에 상응한 탈/실장 상태신호(RMV),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A/S), 정상/이상 상태신호(FAIL),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IR)를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 및 제어보드(500)로 전송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에 이상이 발생함에 따라 절체 상황이 발생하면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됨과 동시에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 및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의 값을 변경시킨 후, 스탠드바이 상태에 적합한 송/수신 전원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전원 제어부(26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술한 제 1 EPLD(250)내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비트[0...8]로 이루어지며, 이는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이중화/독립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0],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가 액티브 상태인지 아니면 스탠드바이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비트[1], 상기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230)의 아비터(ARBITER)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2], 슬롯(Slot) ID(Identification Codes)를 나타내는 비트[3], 상기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230)의 ID를 나타내는 비트[4], 광 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5],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6], 및 상기 제 1 UNI부(2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0]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상태가 이중화 모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0]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상태가 독립 모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1]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상태가 액티브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1]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상태가 스탠드바이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2]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230)의 아비터 상태가 인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2]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230)의 아비터 상태가 디스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3]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슬롯 ID가 #19를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3]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슬롯 ID가 #18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4]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230)의 ID가 #3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4]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230)의 ID가 #2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5]의 상태가 "1"이면 광 신호의 상태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5]의 상태가 "0"이면 광 신호의 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6]의 상태가 "1"이면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가 인에이블(Enable)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6]의 상태가 "0"이면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가 디스에이블(Disable)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7]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제 1 UNI부(2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인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7]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제 1 UNI부(2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디스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제 1 EPLD(250)내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비트[0...8]로 이루어지며, 이는 예비 비트인 비트[0, 1, 2], 상기 제 1 UNI부(2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3], 소프트웨어 강제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5:4],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6], 및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독립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내 비트[3]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제 1 UNI부(2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가 인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3]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제 1 UNI부(2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가 디스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내 비트[5:4]의 상태가 "10"이면 스탠드바이에서 액티브 상태로 강제 절체됨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5:4]의 상태가 "01"이면 액티브에서 스탠드바이 상태로 강제 절체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내 비트[6]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가 인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6]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가 디스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내 비트[7]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독립모드 상태가 인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7]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독립모드 상태가 디스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내에 장착된 제 1 전원 제어부(260)는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100)의 송/수신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다가 상기 제 1 EPLD(250)로부터 스탠드바이 상태의 송/수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의 수신측으로만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버터(Inverter)(261), 제 1 FET(Field Effect Transistor)(262), 제 2 인버터(263), 및 제 2 FET(26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전원 제어부(260)내에 장착된 제 1 인버터(261)는 상기 제 1 EPLD(250)로부터 하이(High) 또는 로우(Low)인 송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인버팅시켜 상기 제 1 FET(262)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전원 제어부(260)내에 장착된 제 1 FET(262)는 상기 제 1 인버터(261)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송신 전원이 제 1 광 전송 보드(100)의 송신측으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한편, 상기 제 1 인버터(261)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송신 전원을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100)의 송신측으로 인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전원 제어부(260)내에 장착된 제 2 인버터(263)는 상기 제 1 EPLD(250)로부터 하이 또는 로우인 송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인버팅시켜 상기 제 2 FET(264)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전원 제어부(260)내에 장착된 제 2 FET(264)는 상기 제 2 인버터(263)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수신 전원이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100)의 수신측으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한편, 상기 제 2 인버터(263)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수신 전원을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100)의 수신측으로 인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300)는 상기 광 스플리터(1)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ATM 셀로 변환시켜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로 전송하다가,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가 액티브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로부터 ATM 셀을 수신받으면 이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광 스플리터(1)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는 자신의 상태를 파악한 후 그 상태 신호를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 및 상기 제어보드(500)로 전송함과 동시에 스탠드바이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됨에 따라 그에 상응한 상태 신호를 수신받으면 액티브 상태로 절체되어 상기 제 2 광 전송보드(300)와의 ATM 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제 2 UNI부(410), 제 2 UPC부(420),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430), 제 2 CPU(440), 제 2 EPLD(450), 및 제 2 전원 제어부(46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내에 장착된 제 2 UNI부(410)는 스탠드바이 상태로 동작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액티브로 절체되면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300)와의 ATM 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내에 장착된 제 2 UPC부(420)는 스탠드바이 상태로 동작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액티브로 절체되면 ATM 셀의 트래픽에 따른 셀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내에 장착된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430)는 스탠드바이 상태로 동작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액티브로 절체되면 상기 제 2 UPC(420)부 및 셀 버스 사이에서 ATM 셀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내에 장착된 제 2 CPU(440)는 상기 제 2 UNI(410), 제 2 UPC(420), 및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430)의 각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내에 장착된 제 2 EPLD(450)는 자신이 속한 보드의 상태를 점검한 후 이에 상응한 탈/실장 상태신호(RMV),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A/S), 정상/이상 상태신호(FAIL),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IR)를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 및 제어보드(500)로 전송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에 이상이 발생함에 따라 절체 상황이 발생하면 액티브 상태로 절체됨과 동시에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 및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의 값을 변경시킨 후, 액티브 상태에 적합한 송/수신 전원 제어신호를 상기 제 2 전원 제어부(46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술한 제 2 EPLD(450)내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비트[0...8]로 이루어지며, 이는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이중화/독립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0],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200)가 액티브 상태인지 아니면 스탠드바이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비트[1], 상기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430)의 아비터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2], 슬롯 ID를 나타내는 비트[3], 상기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430)의 ID를 나타내는 비트[4], 광 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5],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6], 및 상기 제 2 UNI부(4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0]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상태가 이중화 모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0]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상태가 독립 모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1]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상태가 액티브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1]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상태가 스탠드바이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2]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430)의 아비터 상태가 인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2]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430)의 아비터 상태가 디스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3]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슬롯 ID가 #19를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3]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슬롯 ID가 #18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4]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430)의 ID가 #3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4]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430)의 ID가 #2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5]의 상태가 "1"이면 광 신호의 상태가 정상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5]의 상태가 "0"이면 광 신호의 상태가 비정상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6]의 상태가 "1"이면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가 인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6]의 상태가 "0"이면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가 디스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내 비트[7]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제 2 UNI부(4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인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7]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제 2 UNI부(4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디스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제 2 EPLD(450)내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비트[0...8]로 이루어지며, 이는 예비 비트인 비트[0, 1, 2], 상기 제 2 UNI부(4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3], 소프트웨어 강제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5:4],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6], 및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독립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내 비트[3]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제 2 UNI부(4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가 인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3]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제 2 UNI부(410)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가 디스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내 비트[5:4]의 상태가 "10"이면 스탠드바이에서 액티브 상태로 강제 절체됨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5:4]의상태가 "01"이면 액티브에서 스탠드바이 상태로 강제 절체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내 비트[6]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가 인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6]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가 디스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내 비트[7]의 상태가 "1"이면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독립모드 상태가 인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인데 반해 비트[7]의 상태가 "0"이면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의 독립모드 상태가 디스에이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전원 제어부(460)는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300)의 수신측만으로 전원을 공급하다가 상기 제 2 EPLD(450)로부터 액티브 상태의 송/수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300)의 송/수신측으로 모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인버터(461), 제 3 FET(462), 제 4 인버터(463), 및 제 4 FET(46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전원 제어부(460)내에 장착된 제 3 인버터(461)는 상기 제 2 EPLD(450)로부터 하이 또는 로우인 송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인버팅시켜 상기 제 3 FET(462)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전원 제어부(460)내에 장착된 제 3 FET(462)는 상기 제 3 인버터(461)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송신 전원이 제 2 광 전송 보드(300)의 송신측으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한편, 상기 제 3 인버터(461)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송신 전원을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300)의 송신측으로 인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2 전원 제어부(460)내에 장착된 제 4 인버터(463)는 상기 제 2 EPLD(450)로부터 하이 또는 로우인 송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인버팅시켜 상기 제 4 FET(464)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전원 제어부(460)내에 장착된 제 4 FET(464)는 상기 제 4 인버터(463)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수신 전원이 제 2 광 전송 보드(300)의 수신측으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한편, 상기 제 4 인버터(463)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수신 전원을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300)의 수신측으로 인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어보드(500)는 운용자 터미널(2)로부터 이중화 강제 절체 신호, 즉 독립 모드 강제 절체신호, 액티브/스탠드바이 강제 절체신호 등을 입력받으면 이를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 및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로 각각 전송하여 상기 액티브/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의 상태를 강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망 접속 보드 이중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 접속 보드 이중화 방법중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는 과정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로,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내 제 1 EPLD(250)는 자신이 속한 보드의 상태를 점검한 후 그에 상응한 탈/실장 상태신호(RMV),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A/S), 정상/이상 상태신호(FAIL),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IR)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 및 제어보드(400)로 전송한다(S11). 여기서, 상기 제 1 EPLD(250)가 점검하는 상태가 곧 절체 조건이 되며, 그 절체 조건으로는 CPU 장애, 광신호의 오류, 보드 리셋 및 탈장, 소프트웨어 강제 절체 등이다. 이 때, 상기 제 1 EPLD(250)는 광신호의 오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UNI부(210)를 통해 수신받게 되는데, 상기 제 1 UNI부(210)는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100)로부터 수신받은 광신호의 AIS(Alarm Indication Signal), LOS(Loss Of Signal), LOP(Loss Of Pointer), LOF(Loss Of Frame), LCD(Loss of Cell Delineation) 오류를 체크(Check)한 후 그 결과값을 상기 제 1 EPLD(250)로 전송한다. 또한, 상술한 독립 모드 및 소프트웨어 강제 절체는 운용자의 명령어에 의한 절체로써, 상기 제어보드(500)로부터 수신받게 된다.
그런후, 상기 제 1 EPLD(250)는 자신의 속한 보드의 탈/실장 상태(RMV),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A/S), 정상/이상 상태(FAIL), 및 독립/이중화 상태(IR)중 어느 한 개에서 절체 상태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
이 때, 상기 제 12 단계(S12)에서 절체 상태가 발생하지 않으면(NO) 상기 제 1 EPLD(250)는 다시 상기 제 11 단계(S11)로 진행하는 한편, 절체 상태가발생하면(YES),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됨과 동시에 내부에 존재하는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 및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의 값을 스탠드바이 상태로 변경시킨 후, 상기 제 1 전원 제어부(260)의 전원 공급 상태를 스탠드바이 상태로 전환시킨다(S13). 그러면, 상기 제 1 전원 제어부(260)는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100)의 송신측 광모듈로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한편, 수신측 광모듈로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 1 EPLD(250)는 상기 제 1 UNI부(210) 및 제 1 UPC부(220)간 유토피아 인터페이스의 셀 유효신호를 제어하여 수신되는 ATM 셀을 폐기처리한다.
한편,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 접속 보드 이중화 방법중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가 액티브 상태로 절체되는 과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400)내 제 2 EPLD(450)는 자신이 속한 보드의 상태를 점검한 후 그에 상응한 탈/실장 상태신호(RMV),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A/S), 정상/이상 상태신호(FAIL),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IR)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 및 제어보드(500)로 전송한다(S21). 여기서, 상기 제 2 EPLD(450)가 점검하는 상태는 CPU 장애, 광신호의 오류, 보드 리셋 및 탈장, 소프트웨어 강제 절체 등이다. 이 때, 상기 제 2 EPLD(450)는 광신호의 오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UNI부(410)를 통해 수신받게 되는데, 상기 제 2 UNI부(410)는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300)로부터 수신받은 광신호의 AIS, LOS, LOP, LOF, LCD 오류를 체크한 후 그 결과값을 상기 제 2EPLD(450)로 전송한다. 또한, 상술한 독립 모드 및 소프트웨어 강제 절체는 운용자의 명령어에 의한 절체로써, 상기 제어보드(500)로부터 수신받게 된다.
그런후, 상기 제 2 EPLD(4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로부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탈/실장 상태신호(RMV),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A/S), 정상/이상 상태신호(FAIL),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IR)를 수신받는다(S22).
이어서, 상기 제 2 EPLD(450)는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로부터 수신받은 각종 상태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의 스탠드바이 절체 상황을 판단한다(S23). 여기서,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가 액티브로 동작하기 위한 조건은 보드가 실장된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며, CPU 및 광신호가 정상임과 동시에 이중화 모드로 동작할 때이다.
이 때, 상기 상기 제 23 단계(S23)에서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지 않으면(NO) 상기 제 2 EPLD(450)는 다시 상기 제 21 단계(S21)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200)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면(YES), 상기 제 2 EPLD(450)는 액티브 상태로 절체됨과 동시에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 및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의 값을 액티브 상태로 변경시킨 후, 상기 제 2 전원 제어부(460)의 전원 공급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시킨다(S24). 그러면, 상기 제 2 전원 제어부(460)는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300)의 송/수신측 광모듈로 전원을 모두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 2 EPLD(450)는 상기 제 2 UNI부(410) 및 제 2 UPC부(420)간 유토피아 인터페이스의 셀 유효신호를 제어하여수신되는 ATM 셀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망 접속 보드의 오류 발생시 서비스의 중단없이 보드의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이중화로 인한 시스템 운용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액티브/스탠드바이 망 접속 보드를 독립적으로 운용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전송 용량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 두 보드 모두를 액티브로 지원토록 해주어 시스템 운용상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준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광 스플리터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ATM 셀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한편, ATM 셀을 수신받으면 이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광 스플리터로 전송하는 제 1 광 전송 보드;
    자신의 상태를 파악한 후 그 상태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광 전송보드와의 ATM 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다가, 절체 상황이 발생하면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는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
    상기 광 스플리터로부터 광 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ATM 셀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제 2 광 전송 보드;
    자신의 상태를 파악한 후 그 상태 신호를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로 전송함과 동시에 스탠드바이 동작을 수행하다가,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됨에 따라 그에 상응한 상태 신호를 수신받으면 액티브 상태로 절체되어 상기 제 2 광 전송보드와의 ATM 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 및
    운용자 터미널로부터 이중화 강제 절체 신호를 수신받으면 이를 액티브/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로 각각 전송하여 강제 이중화시키는 제어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는,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와의 ATM 셀 송/수신동작을 수행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면 ATM 셀 수신동작만을 수행하는 제 1 UNI부;
    ATM 셀의 트래픽에 따른 셀 처리 동작을 수행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면 대기 상태로 천이되는 제 1 UPC부;
    상기 제 1 UPC부 및 셀 버스 사이에서 ATM 셀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면 대기 상태로 천이되는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 1 UNI, 제 1 UPC, 및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의 각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CPU;
    자신이 속한 보드의 상태를 점검한 후 이에 상응한 탈/실장 상태신호,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 정상/이상 상태신호,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를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 및 제어보드로 전송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에 이상이 발생함에 따라 절체 상황이 발생하면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됨과 동시에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 및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의 값을 변경시킨 후, 스탠드바이 상태에 적합한 송/수신 전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1 EPLD; 및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의 송/수신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다가 상기 제 1 EPLD로부터 스탠드바이 상태의 송/수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의 수신측으로만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EPLD내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는,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의 이중화/독립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0],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가 액티브 상태인지 아니면 스탠드바이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비트[1], 상기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의 아비터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2], 슬롯 ID를 나타내는 비트[3], 상기 제 1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의 ID를 나타내는 비트[4], 광 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5],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6], 및 상기 제 1 UNI부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EPLD내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는, 예비 비트인 비트[0, 1, 2], 상기 제 1 UNI부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3], 소프트웨어 강제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5:4],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6], 및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의 독립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 1 EPLD로부터 하이 또는 로우인 송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인버팅시켜 전송하는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송신 전원이 제 1 광 전송 보드의 송신측으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한편,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송신 전원을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의 송신측으로 인가시키는 제 1 FET;
    상기 제 1 EPLD로부터 하이 또는 로우인 송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인버팅시켜 전송하는 제 2 인버터; 및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수신 전원이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의 수신측으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한편,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수신 전원을 상기 제 1 광 전송 보드의 수신측으로 인가시키는 제 2 FE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는, 스탠드바이 상태로 동작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액티브로 절체되면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와의 ATM 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UNI부;
    스탠드바이 상태로 동작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액티브로 절체되면 ATM 셀의 트래픽에 따른 셀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UPC부;
    스탠드바이 상태로 동작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가 액티브로 절체되면 상기 제 2 UPC부 및 셀 버스 사이에서 ATM 셀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 2 UNI, 제 2 UPC, 및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의 각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CPU;
    자신이 속한 보드의 상태를 점검한 후 이에 상응한 탈/실장 상태신호,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 정상/이상 상태신호,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를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 및 제어보드로 전송하다가, 자신이 속한 보드에 이상이 발생함에 따라 절체 상황이 발생하면 액티브 상태로 절체됨과 동시에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 및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의 값을 변경시킨 후, 액티브 상태에 적합한 송/수신 전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 2 EPLD; 및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의 수신측만으로 전원을 공급하다가 상기 제 2 EPLD로부터 액티브 상태의 송/수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의 송/수신측으로 모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EPLD내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는,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의 이중화/독립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0],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가 액티브 상태인지 아니면 스탠드바이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비트[1], 상기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의 아비터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2], 슬롯 ID를 나타내는 비트[3], 상기 제 2 셀 버스 인터페이스부의 ID를 나타내는 비트[4], 광 신호의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5],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6], 및 상기 제 2 UNI부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EPLD내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는, 예비 비트인 비트[0, 1, 2], 상기 제 2 UNI부의 장애 신호에 대한 절체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3], 소프트웨어 강제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5:4], 하드웨어적인 절체에 대한 가능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6], 및 상기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의 독립모드 상태를 나타내는 비트[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 제어부는, 상기 제 2 EPLD로부터 하이 또는 로우인 송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인버팅시켜 전송하는 제 3 인버터;
    상기 제 3 인버터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송신 전원이 제 2 광 전송 보드의 송신측으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한편, 상기 제 3 인버터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송신 전원을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의 송신측으로 인가시키는 제 3 FET;
    상기 제 2 EPLD로부터 하이 또는 로우인 송신 전원 제어신호를 수신받은 후 인버팅시켜 전송하는 제 4 인버터; 및
    상기 제 4 인버터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수신 전원이 제 2 광 전송 보드의 수신측으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시키는 한편, 상기 제 4 인버터의 출력신호가 로우이면 수신 전원을 상기 제 2 광 전송 보드의 수신측으로 인가시키는 제 4 FE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10.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내 제 1 EPLD가 자신이 속한 보드의 상태를 점검한 후 그에 상응한 탈/실장 상태신호,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 정상/이상 상태신호,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를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 및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제 11 단계;
    상기 제 1 EPLD가 자신의 속한 보드의 탈/실장 상태,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 정상/이상 상태, 및 독립/이중화 상태중 어느 한 개에서 절체 상태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2 단계; 및
    상기 제 12 단계에서 절체 상태가 발생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1 단계로진행하는 한편, 절체 상태가 발생하면 상기 제 1 EPLD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됨과 동시에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 및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의 값을 스탠드바이 상태로 변경시킨 후, 제 1 전원 제어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스탠드바이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 1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방법.
  11. 스탠드바이측 망 접속 보드내 제 2 EPLD가 자신이 속한 보드의 상태를 점검한 후 그에 상응한 탈/실장 상태신호,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 정상/이상 상태신호,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를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 및 제어보드로 전송하는 제 21 단계;
    상기 제 2 EPLD가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로부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의 탈/실장 상태신호, 액티브/스탠드바이 상태신호, 정상/이상 상태신호, 및 독립/이중화 상태신호를 수신받는 제 22 단계;
    상기 제 2 EPLD가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로부터 수신받은 각종 상태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의 스탠드바이 절체 상황을 판단하는 제 23 단계; 및
    상기 제 23 단계에서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2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액티브측 망 접속 보드가 스탠드바이 상태로 절체되면, 상기 제 2 EPLD가 액티브 상태로 절체됨과 동시에 이중화 상태 레지스터 및 이중화 명령 레지스터의 값을 액티브 상태로 변경시킨후, 제 2 전원 제어부의 전원 공급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 2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접속 보드 이중화 방법.
KR1020000084640A 2000-12-28 2000-12-28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552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640A KR20020055229A (ko) 2000-12-28 2000-12-28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640A KR20020055229A (ko) 2000-12-28 2000-12-28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229A true KR20020055229A (ko) 2002-07-08

Family

ID=2768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640A KR20020055229A (ko) 2000-12-28 2000-12-28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522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072A (ko) * 2002-01-25 2003-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tm 교환 시스템에서 이중 미디어 게이트웨이 장치 및제어 방법
KR100448711B1 (ko) * 2001-11-30 2004-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링크 집속장치 및 그를 구비한 동기디지털계층전송시스템
KR100577063B1 (ko) * 2004-02-19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국에서 에이에이엘2 사용자 트래픽이중화 장치 및 방법
KR100809195B1 (ko) * 2001-12-26 2008-03-03 엘지노텔 주식회사 자동 보호 절체 시스템에서의 보드 초기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711B1 (ko) * 2001-11-30 2004-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링크 집속장치 및 그를 구비한 동기디지털계층전송시스템
KR100809195B1 (ko) * 2001-12-26 2008-03-03 엘지노텔 주식회사 자동 보호 절체 시스템에서의 보드 초기화 방법
KR20030064072A (ko) * 2002-01-25 2003-07-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tm 교환 시스템에서 이중 미디어 게이트웨이 장치 및제어 방법
KR100577063B1 (ko) * 2004-02-19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국에서 에이에이엘2 사용자 트래픽이중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55229A (ko) 망 접속 보드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US6941486B1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the transmission safety and the defect tolerance in high-bit-rate data networks
JPH0918420A (ja) 光伝送路切替装置
KR20040020727A (ko) 통신처리 시스템의 이더넷 스위칭 보드의 이중화 장치
CN101621333B (zh) 一种通信系统中光链路冗余保护倒换的硬件架构
KR20010001368A (ko) 에이티엠 교환기 링크 보드의 이중화 구현 장치 및 방법
KR100464480B1 (ko) 광전송장비의 절체 서비스 장치
WO1995026084A1 (en) Protection scheme for sdh add/drop multiplexer
KR100342490B1 (ko) 통신시스템의 링크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100291033B1 (ko)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KR101006532B1 (ko) 이중 감시기능을 갖는 이중화 전원장치
KR200326001Y1 (ko) 전전자 교환기의 공간스위치의 이중화 장치
KR100275445B1 (ko) 신호중계 교환시스템에서의 통신경로 이중화 방법
KR10035945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버스 이중화 장치
KR20020063639A (ko)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100324280B1 (ko) 교환 시스템에서 프로세서의 제어버스 이중화시 오동작 방지방법
JP3152409B2 (ja) 回線切替方式
KR100464490B1 (ko) 이중화 장치의 탈/실장 관리장치
KR100246774B1 (ko) 변조기 이중화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59294A (ko)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스위칭 시스템
KR19990050421A (ko) 선로 이중화를 고려한 액세스통신시스템의 활성화 엔+1 중복 구조를 갖는 통신접속부의 구조 및 절체 제어 방법
KR0161743B1 (ko) 180 채널 다중화장치
KR10026007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망동기 리셋 방법
KR100353714B1 (ko) 알.티/큐.알.티 셀 데이터간 이중화 스위칭방법
JPS6148249A (ja) 回線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402

Effective date: 200501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100128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402

Effective date: 20050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