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454B1 -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및 그 보드 - Google Patents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및 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454B1
KR100476454B1 KR10-2003-0002211A KR20030002211A KR100476454B1 KR 100476454 B1 KR100476454 B1 KR 100476454B1 KR 20030002211 A KR20030002211 A KR 20030002211A KR 100476454 B1 KR100476454 B1 KR 100476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signal
operation mode
slo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5344A (ko
Inventor
최병구
김선기
한순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4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5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슬롯을 구비하는 셀프 구조의 시스템의 이중화 보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보드가 실장되는 슬롯이 고정됨으로써, 시스템 구성 설계가 제한되고, 슬롯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그 슬롯에 실장되는 보드가 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슬롯 자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보드가 실장되는 슬롯을 고정하지 않음으로써, 어느 슬롯이나 보드의 이중화를 지원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실장되는 보드의 동작 모드에 따라 시스템 구성 설계에 유연성을 제공하고, 슬롯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그 문제 극복의 용이하게 하여 시스템의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및 그 보드{system for shelf structure able redundancy and board therefor}
본 발명은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및 그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멀티 슬롯(multiple slot)을 가지는 셀프(shelf) 구조의 시스템에서, 그 기능이 중요한 보드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라도 서비스의 중단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및 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슬롯이란, 시스템을 동작하기 위한 보드나 성능을 추가하기 위한 보드를 실장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셀프 구조란, 임의의 시스템에 여러 개의 슬롯이 구비되어 그 슬롯에 보드가 실장되는 구조를 말한다.
보드의 이중화는, 시스템 동작에 중요한 보드를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보드나, 또는 액티브(Active)/스탠바이(stand-by) 보드로 이중(Duplicate)화하여 구비하는 것으로, 액티브로 동작하는 마스터 보드에서 오류(Fault)가 발생되면, 대기 상태에 있던 슬레이브 보드로 그 기능을 절체되도록 하여, 시스템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류가 발생한 보드를 교체하는 동안 시스템이 올바르게 작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시스템의 중단을 제거하여 가용성을 높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이중화가 구현되어 있는 예를 들면, 전원부와, 팸 모듈과, 중앙 처리 장치와, 스위칭 모듈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보드의 이중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보드를 마스터 보드와 슬레이브 보드로 설정을 수행하고, 각 보드간에 신호 교환과 공유 신호간의 일치성을 위한 신호선와 프로토콜(protocol)이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보드의 이중화를 위한 마스터 보드/슬레이브 보드의 설정과 신호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마스터 보드와 슬레이브 보드를 고정하고, 백플레인을 통해서 신호선을 연결하거나, 보드가 실장되는 슬롯의 아이디(Identification)를 부여하여 그 아이디를 통하여 각 보드의 프로세서가 상호 아이디 비교를 수행하여 설정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20)은 복수 개의 슬롯(2)과, 그 슬롯에 실장되는 보드(1)와, 슬롯 후면에 장착되는 백플레인(backplane)(3)이 있다.
슬롯(2)은 시스템의 기능을 추가하거나 그 기능을 하는 보드를 실장하는 기능을 한다.
보드(1)는 슬롯에 실장되는 것으로, 제조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부여받은 기능을 수행하여, 시스템을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실장되는 보드(1) 중 시스템에 중요한 기능을 부여받은 보드(1)는 이중화하여, 보드(1)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라도 시스템의 동작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백플레인(3)은 슬롯의 후면에 장착되어 이중화된 보드(1)를 지원하는 기능, 즉 이중화된 보드(1)간의 신호선을 교차 연결을 수행한다.
도 2는 종래의 보드의 이중화를 지원하기 위한 백플레인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백플레인(3)은 보드(1)의 이중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각 보드(1)간의 신호선의 교차 연결을 수행한다.
즉, 백플레인(3)은 보드(1)의 이중화를 위하여 각 보드(1)가 실장되는 슬롯(2)간의 신호선을 고정하여 교차 연결하였다.
시스템(20)은 일례를 들어 전송 장비가 해당 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보드가 실장되어 동작하는 시스템(20)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보드(1)가 실장되는 슬롯(2)이 고정됨으로, 그 시스템(20)의 슬롯(2)이 가용성이 축소되고, 슬롯(2)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그 슬롯(2)에 실장되는 보드(1)가 타 슬롯(2)에 실장될수 없으므로, 백플레인(3) 자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례를 들면, 보드 #1(1)과 보드 #2(1)가 이중화되어 시스템(20)이 동작하던 중, 보드 #1(1)이 실장되어 있는 슬롯 #1(2)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보드 #1(1)을 타 슬롯(2)에 실장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서, 백플레인(3)이 보드 #1(1)과 보드 #2(1)간 신호선 교차 연결을 고정적으로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슬롯 #1(2)에 실장되는 보드 #1(1)을 타 슬롯(2)에 실장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셀프 구조를 가진 시스템의 슬롯을 고정하지 않고, 어느 슬롯에나 보드의 이중화를 지원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및 그 보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은, 임의의 시스템에 보드가 실장되는 경우, 보드의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확인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모드에 따라 보드의 신호선 배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스위칭하고,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자신의 기능을 타 보드로 절체하는 보드와, 슬롯의 후면에 장착되고, 슬롯에 실장되는 보드의 이중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보드의 신호선을 병렬로 연결하는 백플레인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의 보드는, 자신이 속한 보드가 시스템의 슬롯에 실장되는 순서와, 기 실장된 보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자가 순위 설정부와, 보드의 상태를 관리하면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오류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타 보드로 전송하고, 타 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오류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 모드 변경을 요청하는 오류 검출/신호 발생부와, 오류 검출/신호 발생부로부터 동작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되면, 보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보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부와, 설정되는 동작 모드와, 보드의 송/수신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신호선 배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셀프 구조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은, 임의의 슬롯에 보드가 실장되는 경우, 보드가 슬롯에 실장되는 순서와, 기 실장된 보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보드의 동작 모드를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되는 동작 모드와 보드의 송/수신 신호에 따라, 상기 보드의 신호선을 배열하는 단계와, 보드의 상태를 관리하면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오류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타 보드로 전송하고, 타 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오류 발생 신호를 수신되면, 보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어 신호가 생성되면, 보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 변경된 동작 모드와, 송/수신 신호에 따라 상기 보드의 신호선 배열을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에에 따른 셀프 구조를 가진 시스템의 이중화 보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드(10)는 자가 순위 설정부(11)와, 동작 모드 설정부(12)와, 오류 검출/신호 발생부(13)와, 스위치부(14)와, 프로세서(15)를 구비하고 있다.
자가 순위 설정부(11)는 전원이 인가되거나 보드(10)가 새로이 실장되면, 자신이 속한 보드(10)의 실장 순위와 기존 보드의 유무를 확인하여, 자신이 속한 보드(10)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할지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자가 순위 설정부(11)의 입력 신호는 'RESET#' 신호와 타 보드(10')의 자가 순위 설정부(11')의 'flag' 신호가 된다.
동작 모드 설정부(12)는 자신이 속한 보드(10)의 동작 모드 변경, 즉 마스터 모드에서 슬레이브 모드로의 모드 설정 변경하거나 슬레이브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의 모드 설정 변경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오류 검출/신호 발생부(13)는 타 보드(10')의 오류 발생을 감시하여, 프로세서(15)로 동작 모드 변경을 요청하고, 자신이 속한 보드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오류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타 보드(1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스위치부(14)는 자신이 속한 보드(10)의 신호선과 타 보드(10')의 신호선을 스위칭하여 교차 연결, 즉 자신이 속한 보드(10)의 전송 신호선과 타 보드(10')의 수신 신호선과 교차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를 지원하는 백플레인의 구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플레인(4)의 각 신호선을 병렬로 연결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백플레인(3)에서 교차 연결을 수행하여 슬롯(2)에 실장되는 보드(1)가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슬롯(2)간의 신호선 연결을 병렬로 하여 어느 슬롯(2)에서나 보드(1)의 이중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스위치부(14)가 보드간의 신호선을 연결하는 것은, 종래에는 백플레인(3)에서 수행한 교차 연결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프로세서(15)는 자신이 속한 보드(10)의 상태를 관리하고, 타 보드(10')로부터 수신되는 오류 신호를 수신하여,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순위 설정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 소자(11a)와, 인버터(11b)(inverter)와 NAND 게이트(11c)와, OR 게이트(11d)와, RS 플립플롭(11e)을 구비하고 있다.
각 소자들의 기능을 잠시 살펴보면, 지연 소자(11a)는 신호의 전송 시간을 지연하는 것이고, 인버터(11b) 소자는 입력 신호의 반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고, OR 게이트(11d)는 두 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만 'high'이면, 'high'를 출력하는 것이고, NAND 게이트(11c)는 두 개의 입력 신호 중 어느 하나만 'low'이면, 'low'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때 지연 소자(11a)를 사용하는 것은, 리셋 신호와 지연 리셋 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RS 플립플롭(11e)은 수신되는 신호를 임시 저장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그 기능을 표로 살펴보면,
set 입력 신호 reset 입력 신호 Q 출력 신호 출력 신호
0 0 부정
0 1 0 1
1 0 1 0
1 1 불능
표 1과 같이 'set' 입력이 'low'이면서, 'reset' 입력이 'high' 인 경우, '' 출력이 'high'가 되고, 'reset' 입력이 'low'이면서, 'set' 입력이 'high' 인 경우, 'Q' 출력이 'high'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가 순위 설정부(11)에서 자신이 속한 보드(10)의 마스터/슬레이브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잠시 살펴보자.
먼저, RS 플립플롭(11e)의 'set' 입력 신호는 'RESET#' 신호와 'FLAG' 신호를 NAND 게이트(11c)의 두 입력으로 한 그 출력 신호가 되고, 'reset' 입력 신호는 'RESET#' 신호와 'flag' 신호를 OR 게이트(11d)의 두 입력으로 한 그 출력 신호가 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순위 설정부의 각 소자의 출력 신호를 설명하는 타이밍도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는, 'RESET#' 신호가 'low'에서 'high'로 전이되면, 지연 소자(11a)가 신호 지연하는 일정 시간 동안 'Flag' 신호선의 신호가 'high'가 된다.
그러므로, RS 플립플롭(11e)의 'set' 입력 신호는 NAND 게이트(11c)의 출력 신호인 'high'가 되고, 'reset' 입력 신호는 NOR 게이트(11d)의 출력 신호인 'low'가 된다.
그리고, 'set' 입력 신호를 'high'로 하고, 'reset'입력 신호를 'low'로 한, RS 플립플롭(11e)의 출력은 'low'가 되어 마스터 보드로 설정된다.
또한,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는, 'RESET#' 신호가 'low'에서 'high'로 전이되면, 일정 시간 동안 'flag' 신호가 'high'에서 'low'가 된다.
그러므로, RS 플립플롭(11e)의 'set' 입력 신호는 NAND 게이트(11c)의 출력 신호인 'low'가 되고, 'reset' 입력 신호는 NOR 게이트(11d)의 출력 신호인 'high'가 된다.
그리고, 'set' 입력 신호를 'low'로 하고, 'reset'입력 신호를 'high'로 한, RS 플립플롭(11e)의 출력은 'high'가 되어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자가 순위 설정부는 일례로 논리 소자로 구현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구현하여도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설정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모드 설정부(12)는 복수 개의 D 플립플롭(12a, 12b)과, OR 게이트(12c)와, AND 게이트(12d)로 이루어진다.
D 플립플롭(12a, 12b)은 입력되는 신호 정보를 임시 저장하고, 그 입력이 'high' 이면, 'high'를 출력하는 것이다.
도 7과 같이 이루어지는 동작 모드 설정부(12)는 자가 순위 설정부(11)에서 생성된 동작 모드 설정 신호인 'Priority' 신호와 프로세서(15)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이 속한 보드(1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기능을 한다.
즉,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보드(10')에서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보드(10)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거나 관리자로부터 동작 모드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동작 모드를 슬레이브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변경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스위치부(14)를 제어하여 타 보드(10')의 신호선과 자신이 속한 보드(10)의 신호선을 교차 연결되도록 한다.
이하 동작 모드 설정부(12)가 자신이 속한 보드(1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잠시 살펴보자.
일례를 들어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보드가 마스터 보드로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타 경우도 이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초기 설정은 자가 순위 설정부(11)로부터 수신되는 'Priority' 신호인 'high' 신호에 따라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하고, 마스터 보드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서(15)가 이를 감지하여 'Priority_Mask_Register'에 'high' 신호를 인가하여, 동작 모드를 초기화한다.
다시 말해서, D 플립플롭(12a)에 리셋 신호를 인가하여 임시 저장되어 있는 동작 모드 정보를 삭제하여, 동작 모드를 초기화한다.
그리고, 'OP_MODE_Register'를 'low' 신호를 인가하여, 보드(10')의 동작 모드를 마스터 모드로 설정한다.
즉, D 플립플롭(12b)을 'low'로 셋팅하여, 보드(10')의 동작 모드를 마스터 모드로 설정한다.
아울러 동작 모드를 변경하면서, 스위치부(14)에 인가하는 신호를 변경한다.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면서, 스위치부(14)에 'high' 신호를 인가하여 스위치부(14)를 동작하도록 하다가, 마스터 모드로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스위치부(14)에 'low' 신호를 인가하여 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즉,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면, 'Priority' 신호인 'high' 신호와 'Priority_Mask_Register'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high' 신호를 OR 게이트(12c)의 두 입력으로 한 그 출력과, 'OP_MODE_Register'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high' 신호를 두 입력으로 한 AND 게이트의 출력인 'high' 신호를 스위치부(14)에 인가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Priority_Mask_Register'를 리셋하면, 그 출력 신호가 'low' 신호가 됨으로, OR 게이트(12c)의 출력인 'low' 신호와, 'Priority_Mask_Register'에 인가되는 'low' 신호를 두 입력 신호로 한 AND 게이트의 출력인 'low' 신호를 스위치부(14)에 인가하여 동작을 멈추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보드(10')의 스위치부(14')는 각 신호선의 교차 연결을 수행하고,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는 보드(10)의 스위치부(14)는 교차 연결을 수행하지 않게함으로써, 각 신호선의 교차 연결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동작 모드 설정부는 일례로 논리 소자로 구현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구현하여도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스위치부(14)는 동작 모드 설정부(12)는 'OP_MODE_Register' 신호와 'Priority' 신호를 AND 게이트(12d)의 두 입력으로 한 그 출력에 의해서 동작하며, 마스터 모드인 경우, 그 결과가 'low'가 되어 동작하지 않고, 슬레이브 모드인 경우, 그 결과가 'high'가 되어 각 신호선을 교차 연결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마스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보드(10)의 스위치부(14)는 동작 모드 설정부(12)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low' 신호이므로 동작을 하지 않고, 슬레이브로 동작하고 있는 보드(10')의 스위치부(14')는 동작 모드 설정부(12')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가 'high' 신호이므로 각 신호선의 교차 연결을 수행한다.
이하 셀프 구조를 가진 시스템의 슬롯에 이중화된 보드가 실장되어 모드가 설정되어 동작하는 흐름을 잠시 살펴보자.
셀프 구조를 가진 시스템의 슬롯에 이중화된 보드가 실장되면, 각 보드의 자가 순위 설정부(11, 11')는 자신이 속한 보드(10, 1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각 보드의 자가 순위 설정부(11, 11')에서 자신이 속한 보드(10, 10')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더라도, 필요 혹은 관리자의 임의로 그 동작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실장된 임의의 보드(10)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오류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타 보드(10')로 전송한다.
일례를 들어, 마스터 모드로 동작 모드가 설정된 보드(10)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마스터 보드(10)의 오류 검출/신호 발생부(13)는 발생한 오류를 감지하여 프로세서(15)에 이를 알리고, 오류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타 보드(10'), 즉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보드(10')로 전송한다.
슬레이브 보드(10')의 스위치부(14')는 마스터 보드로 동작하고 있는 보드(10)로부터 오류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보드(10')의 오류 검출/신호 발생부(13')로 전송한다.
오류 검출/신호 발생부(13')는 타 보드(10)의 상태를 감시하는 중 오류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5')에 타 보드(10)에 오류가 발생했음을 알린다.
프로세서(15')는 오류 검출/신호 발생부(13')로부터 오류 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동작 모드 설정 변경을 위해 동작 모드 설정부(12')의 제어 신호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Priority_Mask_Register'를 'high'로 세팅하여, 기존의 설정된 'Priority' 신호를 제거하고, 'OP_MODE_Register'를 'low'로 세팅한다.
동작 모드 설정부(12')는 프로세서(15')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기존의 슬레이브 모드에서 마스터 모드로 동작 모드 설정을 변경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셀프 구조를 가진 시스템의 슬롯에 실장되는 보드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 구성을 설계하는데 발생하는 제약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롯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그 슬롯에 실장된 보드를 인접한 슬롯에 실장하여도 그 슬롯이 보드의 이중화를 지원할 수 있음으로써, 시스템의 가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보드의 이중화를 지원하기 위한 백플레인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에에 따른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에 실장되는 보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를 지원하는 백플레인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순위 설정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순위 설정부의 각 소자의 출력 신호를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 설정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슬롯 4 : 백플레인
10 : 마스터 보드 10' : 슬레이브 보드
11 : 자가 순위 설정부 12 : 동작 모드 설정부
13 : 오류 검출/신호 발생부 14 : 스위치부
15 : 프로세서 20 : 셀프 구조 시스템

Claims (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가지는 셀프 구조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슬롯에 보드가 실장되는 경우, 상기 보드의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확인하여,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보드의 신호선 배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스위칭하고,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자신의 기능을 타 보드로 절체하는 보드와,
    상기 슬롯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슬롯에 실장되는 보드의 이중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보드의 신호선을 병렬로 연결하는 백플레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2. 셀프 구조의 시스템에 실장되는 보드에 있어서,
    자신이 속한 보드가 시스템의 슬롯에 실장되는 순서와, 기 실장된 보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자가 순위 설정부와,
    상기 보드의 상태를 관리하면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오류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타 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타 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오류 발생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 모드 변경을 요청하는 오류 검출/신호 발생부와,
    상기 오류 검출/신호 발생부로부터 동작 모드 변경 요청을 수신되면, 상기 보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상기 보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부와,
    상기 설정되는 동작 모드와, 상기 보드의 송/수신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신호선 배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의 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와 상기 자가 순위 설정부에서 설정된 동작 모드를 기반으로 상기 보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면서, 상기 스위치부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의 보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자신이 속한 보드의 동작 모드가 마스터 모드인 경우, 상기 보드의 신호선의 교차 연결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보드가 슬레이브 모드인 경우, 상기 보드 신호선의 교차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의 보드.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과, 임의의 슬롯에 실장되어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보드를 구비하는 시스템의 보드 이중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슬롯에 보드가 실장되는 경우, 상기 보드가 슬롯에 실장되는 순서와, 기 실장된 보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보드의 동작 모드를 마스터 모드 또는 슬레이브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되는 동작 모드와 상기 보드의 송/수신 신호에 따라, 상기 보드의 신호선을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보드의 상태를 관리하면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오류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타 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타 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오류 발생 신호를 수신되면, 상기 보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보드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동작 모드와, 송/수신 신호에 따라 상기 보드의 신호선 배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셀프 구조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 설정은,
    상기 실장되는 보드의 자가 순위 설정부에 구비되는 지연 소자에 의해서 발생하는 신호 지연 시간동안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의 이중화 방법.
KR10-2003-0002211A 2003-01-13 2003-01-13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및 그 보드 KR100476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211A KR100476454B1 (ko) 2003-01-13 2003-01-13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및 그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211A KR100476454B1 (ko) 2003-01-13 2003-01-13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및 그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344A KR20040065344A (ko) 2004-07-22
KR100476454B1 true KR100476454B1 (ko) 2005-03-17

Family

ID=3735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211A KR100476454B1 (ko) 2003-01-13 2003-01-13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및 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4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5344A (ko)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599B1 (ko) 이중화된 스위치 보드의 이중화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01102177B (zh) 一种主备控制器倒换的实现方法及设备
EP2226700B1 (en) Clock supply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H11232237A (ja) クロスバースイッチ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およびクロスバースイッチ制御方法
US60029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dual modular redundancy
CN111585835A (zh) 一种带外管理系统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1628944B (zh) 交换机及交换机系统
US7627774B2 (en) Redundant manager modules to perform management tasks with respect to an interconnect structure and power supplies
CN110053650B (zh) 一种列车自动运行系统、列车自动运行系统架构及列车自动运行系统的模块管理方法
KR100476454B1 (ko) 이중화를 지원하는 셀프 구조 시스템 및 그 보드
KR100848316B1 (ko) Atca 시스템에서 ipmi 메시지를 이용한 보드의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6801973B2 (en) Hot swap circuit module
KR100895463B1 (ko) Atca 플랫폼에서의 이중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구현된 atca 시스템
KR100460115B1 (ko) 아이피씨 링크 이중화 제어 장치
KR100333484B1 (ko)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을 갖는 동시 쓰기 방식을 적용한결함 허용 제어 시스템
JP2010136038A (ja) 伝送装置及び冗長構成部の系切替え方法
KR0152229B1 (ko) 시스팀의 이중화를 위한 저가형 이중화 노드
KR100364780B1 (ko) 통신 시스템의 정상회로 선택 장치
US6550016B1 (en) Protection bus and method for a telecommunications device
CN111828361B (zh) 基于双回路的风扇调速方法及系统
KR19990028356U (ko) 통신 시스템의 회로 보드 이중화 장치
KR100324280B1 (ko) 교환 시스템에서 프로세서의 제어버스 이중화시 오동작 방지방법
KR100228306B1 (ko) 핫-스탠바이 이중화 장치 및 그의 구현 방법
KR19980022446A (ko) 고장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atm 스위치
KR100825458B1 (ko) 기지국 제어장치 망동기 보드 이중화를 위한 이중화 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