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432B1 - 음성 사서함 서비스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사서함 서비스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432B1
KR100325432B1 KR1020000011053A KR20000011053A KR100325432B1 KR 100325432 B1 KR100325432 B1 KR 100325432B1 KR 1020000011053 A KR1020000011053 A KR 1020000011053A KR 20000011053 A KR20000011053 A KR 20000011053A KR 100325432 B1 KR100325432 B1 KR 10032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ms
line
group
subscriber line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000A (ko
Inventor
김용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1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5432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사서함 서비스(Voice Mail Service, VMS)에 가입하거나 해지하는 경우 요구되는 VMS 그룹 번호 할당/삭제를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MS 가입자 라인을 교환기에 물리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단선시키는 것만으로 음성 사서함의 그룹 번호 할당/삭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동작을 요약하면 교환기내의 VMS 라인 접속/해제 감지부에서 라인의 물리적 연결 상태의 변동을 감지하여 이를 교환기 주제어부에 알리며 주제어부는 VMS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제어(데이터 추가, 데이터 갱신, 데이터 삭제 등)하여 VMS 의 운용 자동화를 꾀한다.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VMS 라인의 물리적 연결/해제만으로도 VMS 그룹 코드가 자동 할당/삭제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VMS 을 좀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서비스 관련 제반 비용의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사서함 서비스의 운용 방법{Method for managing Voice Mail Service(VMS)}
본 발명은 음성 사서함 서비스(Voice Mail Service, VMS)에 가입하거나 해지하는 경우 요구되는 VMS 그룹 번호 할당/삭제를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MS 가입자 라인을 교환기에 물리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단선시키는 것만으로 음성 사서함의 그룹 번호 할당/삭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사서함 서비스 가입시에는 우선 서비스 제공자가 가입 희망자의 VMS 라인을 교환기에 연결시키고 난 후 상기 VMS 라인이 이용할 음성 사서함의 그룹 번호의 입력을 위한 제반 조치가 취해져야만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며 해지시에도 상기 VMS 라인을 단선시킨 후 또 다른 사후 조치를 거쳐야만 해지가 완료된다. 여기서 말하는 제반 조치란 데이터 베이스 갱신 작업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는 마치 컴퓨터를 이용시 새로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추가/삭제시에 추가/삭제를 위한 제반 처리 과정을 거친 뒤 정상 동작을 위해 컴퓨터를 재부팅해야 하는 과거의 컴퓨터 이용법과 유사한 개념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동적인 가입/해지 처리 방식은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번잡스러운 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음성 사서함 서비스 이용에 매우 불편한 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더욱이 컴퓨터 분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미 PnP(Plug and Play) 기능이 내장된 운영체제를 탑재한 컴퓨터가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 내부에 VMS 라인 접속/해제 감지부를 구비시켜 상기 라인을 교환기에 물리적으로 접속/단선하는 것만으로도 더 이상의 사후 처리 과정이 없이 음성 사서함의 그룹 번호 할당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컴퓨터상의 PnP 기능에 대응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적용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음성 사서함의 그룹 번호 자동 할당 방식은
VMS 가입자 라인을 교환기에/로부터 물리적으로 접속/해제시키는 단계;
상기 교환기내에 구비된 VMS 라인 접속/해제 감지부가 상기 가입자 라인의 연결 상태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교환기의 주제어부에 연결 상태 변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통보 받은 상기 주제어부가 상기 가입자 라인의 접속/해제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검사 결과 '접속'으로 판별되면(신규 접속으로 판별되면) VMS 그룹에 상기 가입자 라인의 VMS 라인 번호를 자동적으로 삽입시키며 '해제'로 판별되면 VMS 그룹에 등록되었던 상기 가입자 라인의 VMS 라인 번호를 자동적으로 삭제시키는 단계;
VMS 가입자가 VMS 이용시 상기 라인 번호가 삽입된 VMS 그룹의 코드 번호를 다이얼링하여 VMS 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성도이다.
음성 사서함 시스템(10)과 교환기(20)가 VMS 가입자 라인(3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교환기(20)내부에는 VMS 라인 접속/해제 감지부(21) 및 주제어부(22)가 구비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교환기내에 적용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VMS 그룹 데이터 베이스(100)는 여러개의 VMS 그룹(10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VMS 그룹(101)은 여러개의 VMS 라인 번호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각 가입자 전화번호에 하나의 VMS 라인 번호가 할당되며 각 VMS 그룹(101)에는 그룹 코드 번호가 할당된다. 본 도면에는 코드 번호 500 내지 504 를 가진 VMS 그룹(101)이 하나의 VMS 그룹 데이터 베이스(100)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룹 코드 번호 504 에 해당하는 VMS 그룹은 VMS 라인 번호 201 내지 300 으로 하나의 VMS 그룹(101)을 형성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VMS 가입자 라인을 교환기에 물리적으로 접속/해제시키는 단계(S10)는 VMS 신규 가입이 접수되거나 해지 접수시 서비스 제공자가 취하는 첫 번째 조치이다.
다음으로 상기 교환기내에 구비된 VMS 라인 접속/해제 감지부가 상기 가입자 라인의 연결 상태의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교환기의 주제어부에 연결 상태 변동 메시지를 통보하며(S20) 상기 메시지를 통보 받은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가입자 라인의 접속/해제를 판별한다(S30).
상기 판별 결과 '접속'으로 판별되면(신규 접속으로 판별되면) VMS 그룹에 상기 가입자 라인의 VMS 라인 번호를 자동적으로 삽입시키며(S30-1) '해제'로 판별되면 VMS 그룹에 등록되었던 상기 특정 라인의 전화번호를 자동적으로 삭제시킨다(S30-2).
VMS 가입자가 VMS 이용시 상기 라인 번호가 삽입된 VMS 그룹의 코드 번호를 다이얼링하여 VMS 를 이용하는 단계(S40)에서는 상기 가입자가 상기 VMS 그룹의 코드 번호를 다이얼링하면 VMS 을 호출할 수 있으며 그 이후에는 통상적인 VMS 를 이용할 수 있다.
요약하면 교환기내의 VMS 라인 접속/해제 감지부에서 라인의 물리적 연결 상태의 변동을 감지하여 이를 교환기 주제어부에 알리며 주제어부는 VMS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제어(데이터 추가, 데이터 갱신, 데이터 삭제 등)하여 VMS 의 운용 자동화를 꾀한다.
본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VMS 라인의 물리적 연결/해제만으로도 VMS 그룹 코드가 자동 할당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VMS 을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서비스 관련 제반 비용의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2)

  1. 음성 사서함 서비스(Voice Mail Service, VMS) 가입자 전화번호에 하나씩 할당되는 VMS 라인 번호, 상기 VMS 라인 번호로 구성되며 그룹 코드 번호가 할당된 VMS 그룹, 상기 VMS 그룹으로 구성되는 VMS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 교환기가 VMS 가입자 라인을 매개로 음성 사서함 서비스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가입자 라인의 연결 상태 변동시에 상기 가입자 라인에 해당하는 VMS 라인 번호에 VMS 그룹 코드 번호를 자동적으로 할당/삭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라인을 상기 교환기에/로부터 물리적으로 접속/해제시키는 단계;
    상기 교환기가 상기 가입자 라인의 연결 상태 변동을 감지하여 교환기의 주제어부에 연결 상태 변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통보 받은 상기 주제어부가 상기 가입자 라인의 접속/해제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접속'으로 판별되면(신규 접속으로 판별되면) 상기 VMS 그룹에 상기 가입자 라인의 VMS 라인 번호를 자동적으로 삽입시키며 '해제'로 판별되면 상기 VMS 그룹에 등록되었던 상기 가입자 라인의 VMS 라인 번호를 자동적으로 삭제시키는 단계;
    VMS 가입자가 VMS 이용시 상기 라인 번호가 삽입된 VMS 그룹의 코드 번호를 다이얼링하여 VMS 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라인에 해당하는 VMS 라인 번호에 VMS 그룹 코드 번호를 자동적으로 할당/삭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가입자 라인의 연결 상태 변동을 감지하여 교환기의 주제어부에 연결 상태 변동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교환기내에 VMS 라인 접속/해제 감지부를 구비시켜 상기 가입자 라인의 연결 상태의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교환기의 주제어부에 연결 상태 변동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라인에 해당하는 VMS 라인 번호에 VMS 그룹 코드 번호를 자동적으로 할당/삭제하는 방법.
KR1020000011053A 2000-03-06 2000-03-06 음성 사서함 서비스의 운용 방법 KR10032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053A KR100325432B1 (ko) 2000-03-06 2000-03-06 음성 사서함 서비스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053A KR100325432B1 (ko) 2000-03-06 2000-03-06 음성 사서함 서비스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000A KR20010087000A (ko) 2001-09-15
KR100325432B1 true KR100325432B1 (ko) 2002-02-21

Family

ID=1965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053A KR100325432B1 (ko) 2000-03-06 2000-03-06 음성 사서함 서비스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54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000A (ko) 200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84207A (ja) ダイヤルされたサフィックスにもとずく電話呼の発呼者指示による宛先決定
US6813347B2 (en) Selective call waiting
KR19990072959A (ko) 통신시스템의스위치내에서의호출처리방법및장치
JP2001523423A (ja) 固定端末加入者および移動端末加入者を有する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
CN1151232A (zh) 通信网络中提供特种业务的系统
US6125108A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client identification
US62890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suspending or activating a call waiting service
KR100325432B1 (ko) 음성 사서함 서비스의 운용 방법
US72187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incoming calls through to subscribers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isco Preparing the Cisco CallManager and Octel Systems
JP3231716B2 (ja) 構内交換機におけるコールバックを識別した内線端末への接続・転送サービス方式
KR100430654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방법
KR100628028B1 (ko) 사설 교환 환경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에 따른 링백톤대체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34725B1 (ko) 사설 교환 환경에서 착신 단말의 상태에 따라 링백톤대체음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50667B1 (ko) 센트릭스 기능을 이용한 링픽업 방법
KR0184467B1 (ko) 키폰시스템에서 주/야간에 따른 오퍼레이터 호출방법
KR20040039569A (ko) 사설 교환기에서의 고유 전화번호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060018155A (ko) 웹 환경을 이용한 사설교환기의 서비스 기능 관리 시스템및 방법
JP2817666B2 (ja) 電子交換機における加入者データ制御方法
AU751585B2 (en) Method and device in telecommunications system
JP3064451B2 (ja) 電話システム
JP3444510B2 (ja) 電話通信システム
KR100449571B1 (ko) 전화 번호부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FI109387B (fi) Takaisinsoittotoiminnolla varustettu televerkon päätelaite ja menetelmä takaisinsoiton suorittamiseksi
JP2003250011A (ja) コンピュータ及び内線通話接続サービス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