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599B1 -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599B1
KR100322599B1 KR1019980057696A KR19980057696A KR100322599B1 KR 100322599 B1 KR100322599 B1 KR 100322599B1 KR 1019980057696 A KR1019980057696 A KR 1019980057696A KR 19980057696 A KR19980057696 A KR 19980057696A KR 100322599 B1 KR100322599 B1 KR 10032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ording medium
optical recording
optical
beam spl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1732A (ko
Inventor
서해정
정종삼
안영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599B1/ko
Priority to JP36566699A priority patent/JP3553841B2/ja
Priority to US09/471,411 priority patent/US6538975B1/en
Priority to EP99310550A priority patent/EP1014351A3/en
Priority to CN99122978A priority patent/CN1115678C/zh
Publication of KR2000004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59Single pris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5Separate or integrated refractive elements, e.g. wave pl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98Means for shaping the cross-section of the beam, e.g. into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5Reproducing

Abstract

광기록매체의 주트랙에 기록된 정보 재생시 인접트랙과의 간섭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광픽업장치는 주트랙과 인접트랙에 시간차없이 광스폿이 맺히도록 함과 아울러, 주트랙에 맺히는 광스폿의 편광성분과 인접트랙에 맺히는 광스폿의 편광성분이 서로 다르도록 하여 서로 다른 광수광부를 통해 주광과 보조광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분리 수광되어 광전변환된 신호에 소정 연산상수를 승산하고 차동증폭함으로써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트랙에 광스폿이 시간차없이 맺히도록 하기 위하여 차폐판을 포함한 빔정형수단, 투과형/반사형 위상차프리즘을 채용한다.

Description

광픽업장치
본 발명은 광기록매체에 정보의 기록/재생을 수행하는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 트랙에 대한 정보 재생시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의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기록매체의 기록용량을 늘이기 위한 방안으로, 보다 파장이 짧은 광원과, 개구수가 상대적으로 큰 대물렌즈를 채용한 광픽업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광기록매체가 컴팩트 디스크에서 디지털 비데오 디스크로 발전하면서, 광픽업장치는 780㎚ 파장의 적외선 광원과 개구수 0.45를 갖는 대물렌즈를 구비한 것에서, 대략 650㎚ 파장의 광원과, 개구수 0.6을 갖는 대물렌즈를 채용한 것으로 그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광픽업장치를 바꿈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트랙피치를 갖는 광기록매체를 채용할 수 있음으로 기록용량을 늘일 수 있다.
한편, 인접한 트랙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되는 트랙피치를 좁히는 경우, 인접하는 트랙 사이의 신호 간섭에 의한 재생신호 열화(劣化)가 심해질 우려가 있다. 여기서, 인접트랙 사이의 신호 간섭에 의한 재생신호 열화 정도는 크로스토크로 정의되며, 광기록매체에 따라 허용값이 설정된다. 예컨대, DVD-ROM의 경우 -30dB 이하의 값을 갖도록 요구하고 있다.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종래의 일 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과, 이 광원(11)에서 조사된 광을 0차회절광과 ±1차회절광으로 회절 투과시키는 그레이팅(13)과,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빔스프리터(15)와, 광기록매체(10)에 광스폿이 맺히도록 입사광을 집속하는 대물렌즈(16)와, 광기록매체(10)에서 반사되고 빔스프리터(15)를 경유한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19)와, 빔스프리터(15)와 광검출기(19) 사이에 배치된 수광렌즈(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레이팅(13)에서 회절된 0차회절광과, ±1차회절광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기록매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동시에 세 개의 광스폿(S1, S2, S3)을 형성한다. 즉, 0차회절광은 정보신호를 재생하는 주트랙(T1)에 광스폿(S1)을 형성하고, ±1차회절광 각각은 이 주트랙(T1)에 인접한 제1 및 제2인접트랙(T2)(T3)에 각각 광스폿(S2, S3)이 맺힌다. 참고로, 상기 0차회절광, ±1차회절광은 해당 트랙에만 정확히 광스폿이 맺히는 것이 아니라, 협(狹) 트랙에 의해 인접한 트랙들에 일부분이 맺히게 된다.
여기서, 광기록매체에 맺힌 광스폿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차를 가진다. 즉, 제1인접트랙(T2)에 맺힌 광스폿(S2)은 주트랙(T1)에 맺힌 광스폿(S1)에 비하여 앞서고, 제3인접트랙(T3)에 맺히는 광스폿(S3)은 지연된다.
상기한 주트랙(T1)과 인접트랙(T2, T3) 각각에 맺힌 광스폿(S1, S2, S3)은 대물렌즈(16), 빔스프리터(15) 및 수광렌즈(17)를 경유하여 광검출기(19)에 맺힌다. 상기 광검출기(1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기록매체(10)에서 반사된 0차회절광과, ±1차회절광 각각을 수광하여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는 제1 내지 제3수광부(A, B, C)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검출하고자 하는 정보신호는 상기 주트랙(T1)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수광부(B)에 수광된 신호이다. 한편, 제2수광부(B)에 0차회절광에 의한 광스폿(S1)의 일부분이 제1 및 제2인접트랙(T2, T3)에 맺힌 후, 상기 제1수광부(A)에 혼입된 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2 및 제3수광부(B, C)에 맺힌 신호로부터 검출하게 된다.
즉, 상기 주트랙에 대한 정보신호(RF신호;Radio Frequency 신호)는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인접트랙(T2, T3)에서 검출된 신호와의 연산을 통해 검출된다.
[표 1]
RF신호 = RF신호(제1수광부) - K×[RF신호(제2수광부) + RF신호(제3수광부)]
여기서, K는 RF신호의 시간축 흔들림이 최소가 되도록 정해지는 상수 즉, 인접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가 최소가 되도록 정해지는 상수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광픽업장치는 제2 및 제3수광부(B, C) 각각에서 검출된 신호는 제1수광부(A)에서 검출된 신호보다 시간적으로 빠르거나 지연된다. 즉, 제1수광부(A)에 영향을 미치는 제1 및 제2인접트랙(T2, T3)의 신호는 주트랙(T1)에 맺힌 광스폿(S1)보다 빠르거나 지연된 지점에서 검출된 신호로, 주트랙(T1)에 맺힌 광스폿(S1)을 통해 검출된 정보신호와 시간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신호의 실시간 연산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트랙(T1)과, 제1 및 제2인접트랙(T2, T3)에 맺히는 광스폿(S1, S2', S3') 사이의 시간지연이 없도록 배치한 경우는 광검출기(19)에 맺히는 광스폿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광부(A)에 모든 광스폿이 맺히므로, 주트랙(S1)에 대한 정보신호의 분리가 불가능하다.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정보 재생시 인접 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가 일본국 특허 공개평 6-150363호(공개일 1994년 5월 31일)에 개시된 바 있다.
이 개시된 광픽업장치는 주트랙에 맺히는 광스폿과, 인접트랙에 맺히는 광스폿 사이에 위상차를 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2광원(21)(22), 편광빔스프리터(24), 빔스프리터(25), 제2광원(22)과 편광빔스프리터(24) 사이에 배치된 위상판(23), 대물렌즈(26), 편광홀로그램소자(27) 및, 제1 및 제2광원(21)(22)에서 조사되고 광기록매체(20)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광원(21)은 직선편광의 코히런트(coherent) 광을 조사한다. 이 조사된 광은 편광빔스프리터(24) 및 빔스프리터(25)를 경유하여 광기록매체(20) 쪽으로 진행경로가 변환되며 대물렌즈(26)에 의해 집속되어 광기록매체(20)의 주트랙에 맺힌다. 상기 제2광원(22)은 상기 제1광원(21)과 직교하는 편광면을 갖는 직선편광의 코히런트 광을 조사한다. 상기 위상판(23)은 상기 제2광원(22)에서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며, 이 투과된 광이 광축에 수직한 면 내에서 광 중심의 적어도 양측에 피크값을 가지는 광강도분포를 갖도록 서로 d 만큼 두께차를 가지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여기서. 제1광원(21)에서 조사된 광은 주(主)광으로 이용되고, 제2광원(22)에서 조사된 광은 부(副)광으로 이용된다. 상기 편광빔스프리터(24)는 제1광원(21)에서 조사된 광은 투과시키고, 제2광원(22)에서 조사된 광은 반사시켜 광기록매체(20)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상기 편광홀로그램소자(27)는 상기 빔스프리터(25)와 광검출기(28) 사이의 광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기록매체(20)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주광과 부광을 분리하여 투과시킨다. 상기 광검출기(28)는 상기 편광홀로그램소자(27)에서 분리되어 입사된 주광과 부광의 광강도를 따로 검출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치는 주트랙을 읽은 광신호의 편광성분과, 인접트랙을 읽은 신호의 편광성분이 180도 위상차를 가지므로, 주트랙과 인접트랙에 대해 시간지연없이도 상기 편광홀로그램소자(27)를 통해 정보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광픽업장치는 상기한 위상판(23)을 이용하여 구분되는 두 광스폿 사이의 거리가 0.6㎛로 일정하게 정해진다. 이에 따라, 트랙피치가 대략 0.3㎛를 가지는 광기록매체의 크로스토크는 감소시킬 수 있으나, 트랙피치가 0.3㎛보다 작거나, 큰 경우에는 광스폿 사이의 거리가 가변적이 아니므로 인접트랙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신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 스폿은 주트랙에 집광되고, 다른 스폿은 주트랙에 맺힌 광스폿에 대한 시간차없이 타원형으로 제1 및 제2인접트랙에 걸치도록 집광됨과 아울러, 정보 재생시 주트랙과 제1 및 제2인접트랙의 신호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제1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협 트랙피치를 갖는 광기록매체에서 주트랙을 읽은 주광을 수광한 신호에서 인접트랙을 읽은 부광의 수광신호를 연산하여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킴으로써 그 특성이 향상된 정보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를 제공하는데 제2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광픽업장치에 의해 광기록매체에 형성된 광스폿 형상을 보인 광기록매체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광검출기에 맺힌 광스폿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4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에 의해 광기록매체에 형성된 광스폿 형상을 보인 광기록매체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경우 광검출기에 맺힌 광스폿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종래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8은 도 7에 따른 광픽업장치에 의해 광기록매체에 형성된 광스폿 형상을 보인 광기록매체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7의 빔정형수단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판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10은 도 7의 빔정형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린드리컬렌즈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연산부를 보인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에서 연산상수(K) 값에 따른 크로스토크변화량을 보인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에서 트랙피치 0.368㎛, 피트길이 0.25㎛, 차폐판의 트랙방향 개구수 0.3 인 경우, 연산상수에 따른 지터분포를 보인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15는 도 14의 투과형 위상차프리즘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17a 및 도 17b 각각은 도 14 및 도 16에 개시된 투과형 위상차프리즘 및 반사형 위상차프리즘의 위상차크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90...광기록매체 31,91...광원 33...제1광로변환수단
34,94...제1편광빔스프리터 35...반사프리즘 36...빔스프리터
37,83,95...대물렌즈 38,96...제2편광빔스프리터
40...빔정형수단 41...차폐판 43...실린드리컬렌즈
45,98,99...광검출기 50,88,110...연산부 51,53...전류-전압변환기
53, 54...등화기 55...승산기 56...차동증폭기
60...제1광모듈 70...제2광모듈 81...편광빔스프리터
85...투과형 위상차프리즘 100...반사형 위상차프리즘
상기한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며,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제1광로변환수단과; 상기 제1광로변환수단과 상기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며, 입사광을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으로 분기시키는 제1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제2편광성분의 광의 진행경로 상에 배치되어, 빔의 형상을 정형하는 빔정형수단과; 상기 제1편광분리기와 광기록매체 사이의 광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편광분리기에서 분기된 상기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이 동일 광로로 진행하도록 하는 제2광로변환수단과; 상기 제2광로변환수단과 상기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을 상기 광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대물렌즈, 제2광로변환수단, 제1편광빔스프리터 및 제1광로변환수단을 경유하여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이 서로 다른 경로로 향하도록 분리하는 제2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제2편광빔스프리터에서 분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 각각을 수광하는 제1 및 제2수광부를 구비한 광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수광부 각각에서 수광된 신호를 연산하여 검출된 정보신호에 포함된 크로스토크를 제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 이 제1광원에서 조사되고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기를 구비한 제1광모듈과;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과, 이 제2광원에서 조사되고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제2광검출기를 구비한 제2광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광모듈과 상기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광 중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반사시켜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분기하는 편광빔스프리터와; 광기록매체의 주트랙 및 인접트랙에 광스폿이 맺히도록 입사광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제2광원과 상기 편광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광모듈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광기록매체의 주트랙에 인접한 인접트랙에 광기록매체의 접선방향으로 맺히도록 입사광의 형상을 정형하는 투과형 위상차프리즘과;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기 각각에서 수광된 신호를 연산하여 검출된 정보신호에 포함된 크로스토크를 제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며,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빔스프리터와; 상기 빔스프리터와 상기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며, 입사광을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으로 분기시키는 제1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제2편광성분의 광을 반사시키며, 이 반사된 광이 상기 광기록매체의 주트랙 및/또는 이 주트랙에 인접한 인접트랙에 광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맺히도록 입사광의 형상을 정형하는 반사형 위상차프리즘과; 상기 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을 상기 광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을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시키는 제2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제2편광빔스프리터에서 분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 각각을 수광하는 제1 및 제2광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기 각각에서 수광된 신호를 연산하여 검출된 정보신호에 포함된 크로스토크를 제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31)과,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제1광로변환수단(33)과, 입사광을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으로 분기시키는 제1편광빔스프리터(34)와, 제2편광성분의 광의 형상을 정형하는 빔정형수단(40)과, 제1편광성분의 광과 상기 빔정형수단(40)을 경유한 제2편광성분의 광이 동일 광로 진행하도록 하는 제2광로변환수단과, 대물렌즈(37)와, 상기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광을 그 편광성분에 따라 제1편광성분의 광과 제2편광성분의 광으로 분리하는 제2편광빔스프리터(38)와, 상기 제2편광빔스프리터(38)에서 분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 각각을 수광하는 제1 및 제2수광부(A)(B)를 구비한 광검출기(45) 및, 상기 제1 및 제2수광부(A)(B) 각각에서 수광된 신호를 연산하여 검출된 정보신호에 포함된 크로스토크를 제거하는 연산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광로변환수단(33)은 상기 광원(31), 제1편광빔스프리터(34) 및 제2편광빔스프리터(38) 사이의 광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31)쪽에서 입사된 광은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34)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34) 쪽에서 입사된 광은 상기 광검출기(45) 쪽으로 향하도록 분기시킨다. 이 제1광로변환수단(33)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광을 소정 광량비로 분할하여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빔스프리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입사광을 입사방향에 따라 직진투과 또는 회절투과시킴에 의해 경로를 변환하는 홀로그램소자(미도시)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34)는 입사광을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킴으로써 제1편광성분의 광과 제2편광성분의 광으로 분기시킨다. 이는 분기된 두 편광성분의 광이 상기 광기록매체(30)의 주트랙(T1) 및 인접트랙(T2, T3)에 걸쳐 시간차없이 복수의 광스폿(S11, S13)을 광기록매체(30)의 반경방향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한 제1편광성분의 광은 상기 대물렌즈(37)를 경유하여, 정보신호를 검출하는 주트랙(T1)에 맺힌다. 그리고, 제2편광성분의 광은 상기 빔정형수단(40)을 경유하여 주트랙(T1) 및 이 주트랙(T1)에 인접한 인접트랙(T2, T3)에 맺힌다.
상기 빔정형수단(40)은 상기 광기록매체(30)의 주트랙(T1) 및 인접트랙(T2, T3)에 걸쳐 광스폿(S3)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편광성분의 광을 정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빔정형수단(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광을 투과시키는 투과영역(41a)과, 이 투과영역(41a)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광기록매체(30)의 접선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입사광의 일부분을 차폐하는 차폐영역(41b)을 가지는 차폐판(41)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차폐판(41)을 경유하지 않은 광 대부분은 상기 광기록매체(30)의 주트랙(T1)에 집속되고, 상기 차폐판(41)을 경유한 제2편광성분의 광은 부분적으로 차폐되어 타원형상으로 정형되며 상기 주트랙(T1) 및 이 주트랙에 인접된 제1 및 제2인접트랙(T2, T3)에 걸쳐 광스폿(S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편광성분의 광에 의해 형성된 광스폿(S3)은 상기 제1편광성분의 광에 의해 형성된 광스폿(S1) 사이에 시간차가 나지 않도록 그 장축방향이 상기 광기록매체(30)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빔정형수단(40)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실린드리컬렌즈(43)를 채용할 수 있다. 이 실린드리컬렌즈(43)는 광기록매체(30)에 맺힌 제2편광성분의 광이 상기 광기록매체(30)의 반경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그 접선방향으로 단축을 가지는 타원형 스폿이 되도록 한다.
상기 제2광로변환수단은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34)에서 분기된 제1편광성분의 광과 상기 빔정형수단(40)을 경유한 제2편광성분의 광이 동일 광로로 진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광로변환수단은 반사프리즘(35)과, 빔스프리터(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사프리즘(35)은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34)에서 분기되어 입사된 제2편광성분 광을 두 번 반사시켜 입사광의 광축에 대해 출사광의 광축이 시프트된 채로 상기 입사광과는 반대방향으로 나란하게 진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반사프리즘(35)은 두 개의 반사미러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편광성분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빔스프리터(36)는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제2편광성분의 광과, 상기 반사프리즘을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반사시켜 동일 광로로 상기 광기록매체(30)로 향하도록 한다.
상기 제2편광빔스프리터(38)는 상기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광을 제1편광성분의 광과 제2편광성분의 광으로 다시 분리한다. 이 제2편광빔스프리터(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이 다른 지점 즉, 광검출기(45)의 제1 및 제2수광부(A)(B) 각각에 집속되도록 서로 다른 경로로 진행하도록 분기시킨다. 도 7에서는 투과형 편광빔스프리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반사시킴에 의해 분기할 수 있는 투과/반사형 편광빔스프리터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광검출기(45)의 제1 및 제2수광부(A)(B)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상기 광원(31)과 제1광로변환수단(33) 사이의 광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된 발산광을 집속하는 콜리메이팅렌즈(32)와, 상기 제2편광빔스프리터(33)와 상기 광검출기(45) 사이의 광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수속하는 수속렌즈(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50)는 상기 제1 및 제2수광부(A)(B) 각각에서 수광된 신호를 연산하여 주트랙으로부터 검출된 정보신호에 포함된 크로스토크를 제거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한 연산부(50)는 상기 제1 및 제2수광부(A)(B) 각각에서 광전변환되어 출력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전류-전압변환기(51)(52)와, 상기 제2전류-전압변환기(52)에서 변환된 전압값에 연산상수(K)를 승산하는 승산기(55)와, 상기 제1전류-전압변환기(51)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승산기(55)에서 출력된 신호를 차동증폭하여 크로스토크가 제거된 정보신호(RF신호)를 출력하는 차동증폭기(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산부(50)는 신호통과시 발생되는 주파수 특성 등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제1 및 제2등화기(53)(5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산상수(K)는 상기 차동증폭기(56)를 통해 검출되는 정보신호에 포함된 인접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 즉, 정보신호의 시간축 흔들림이 최소가 되도록 정해지는 상수이다. 즉, 상기 승산기(55)를 통해 승산되는 연산상수(K)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상수(K)와 크로스토크 사이의 관계로부터 소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는 크로스토크가 최소값 -60dB가 되는 경우 연산상수(K)가 0.3이 되므로 계산된 0.3을 승산기를 통해 승산함으로써, 인접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제거할 수 있다.
표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크로스토크 저감효과를 보이기 위하여, 상기 차폐판(도 9의 41)의 트랙방향 비율 D의 변환에 따른 크로스토크 및 지터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비율 D는 상기 차폐판(41)을 투과하는 광의 직경에 대한 상기 투과영역(41a)의 단경의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비율 D는 개구수 NA에도 영향을 미친다.
비율 D(NA) 0.8(0.24)A 1.0(0.3)A 0.8(0.24)B 1.8(0.3)B 1.2(0.36)B 1.4(0.42)B 1.6(0.48)B
크로스토크[dB],연산상수 K - 73 - 63 - 58,0.32 - 60,0.3 - 54,0.34 - 63,0.43 - 56,0.54
스폿크기[㎛] 1.23 1.00 1.219 1.0054 0.8631 0.7385 0.6851
지터,연산상수 K 6.9,0.37 6.9,0.31 8.77 8.55,0.2 8.98 8.77,0.35 -
여기서, 조건 A는 트랙피치가 0.4㎛이고 피트길이가 0.25㎛인 경우 차폐막의 트랙방향 비율(개구수)에 따른 크로스토크 및 지터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조건 B는 트랙피치가 0.368㎛이고 피트길이가 0.25㎛인 경우 차폐막의 트랙방향 비율(개구수)에 따른 크로스토크 및 지터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표 1을 살펴보면, 협 트랙피치 0.368㎛, 피트길이 0.25㎛의 경우, 개구수(NA)가 0.24에서 0.48까지 공차가 있어도 크로스토크는 -50dB정도이고, 지터가 9%이하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개구수가 0.3인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상수(K) 0.2에서 지터 8.6%를 얻음으로써, 인접트랙이 없는 일 트랙에 대한 시뮬레이션 값인 지터 8.2%와 비교하여 볼 때 거의 완벽하게 인접 트랙의 크로스토크 신호를 저감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주트랙과 인접트랙에 맺히는 광스폿이 광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됨으로 인접트랙 신호 사이의 재생신호에 시간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제1 및 제2광모듈(60)(70)과, 상기 제1 및 제2광모듈(60)(70)과 광기록매체(30)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광중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반사시켜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편광빔스프리터(81)와, 대물렌즈(83)와, 상기 제2광모듈(70)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광기록매체(30)의 주트랙에 인접한 인접트랙에 광기록매체(30)의 반경방향(R')으로 맺히도록 입사광의 형상을 정형하는 투과형 위상차프리즘(85)과, 상기 제1 및 제2광모듈(60)(70)을 통해 수광된 신호를 연산하여 검출된 정보신호에 포함된 크로스토크를 제거하는 연산부(8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광모듈(60)은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61)과, 이 제1광원(61)에서 조사되고 상기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기(69)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광모듈(60)은 상기 제1광원(61), 제1광검출기(69) 및 상기 편광빔스프리터(8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광이 상기 제1광검출기(69)로 향하도록 하는 제1빔스프리터(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빔스프리터(65) 대신 입사방향에 따라 직진투과 또는 회절투과시키는 홀로그램소자(미도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광모듈(60)은 상기 제1광원(61)과 상기 제1빔스프리터(6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광원(60)에서 조사된 발산광을 집속시키는 제1콜리메이팅렌즈(63)와, 상기 제1빔스프리터(65)와 상기 제1광검출기(69)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된 평행광을 수속하는 제1수속렌즈(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광모듈(70)은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71)과, 이 제2광원(71)에서 조사되고 상기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제2광검출기(79)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광모듈(70)은 상기 제2광원(71), 제2광검출기(79) 및 상기 편광빔스프리터(8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광이 상기 제2광검출기(79)로 향하도록 하는 제2빔스프리터(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광모듈(70)은 상기 제2광원(71)과 상기 제2빔스프리터(7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광원(71)에서 조사된 발산광을 집속시키는 제2콜리메이팅렌즈(73)와, 상기 제2빔스프리터(75)와 상기 제2광검출기(79)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된 평행광을 수속하는 제2수속렌즈(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과형 위상차프리즘(85)은 상기 제2광원(71)과 상기 편광빔스프리터(81)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며, 제2광원(71)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광기록매체(30)의 인접트랙에 그 반경방향으로 맺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투과형 위상차프리즘(85)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판(86)과, 상기 광기록매체(30)의 접선방향(T')과 나란하고 입사광의 광축(AXIS)과 만나는 선분(L)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외쪽에서 내쪽으로 테이퍼진 형상의 제1 및 제2프리즘(87a)(87b)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프리즘(87a)(87b)의 출사면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과형 위상차프리즘(85)에 입사된 광의 단면이 원형일 경우 되어, 그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광기록매체의 반경방향(R')으로 발산된 상태로 진행한다. 따라서, 시간지연없이 상기 광기록매체(30)의 인접트랙에 맺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프리즘(87a)(87b)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투과형 위상차프리즘(85)을 투과한 광이 상기 주트랙 및 인접트랙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편광빔스프리터(81)는 상기 제1광모듈(60)에서 조사된 광 중 일 편광성분의 광을 상기 광기록매체(30)쪽으로 입사시키며, 상기 제2광모듈(70)에서 조사된 광 중 다른 편광성분의 광을 상기 광기록매체(30)쪽으로 입사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빔스프리터(81)가 S편광 성분의 광은 투과시키고, P편광 성분의 광은 반사시키도록 된 경우는, 상기 제1광원(61)에서 조사된 광 중 S편광 성분의 광만이 상기 편광빔스프리터(81)를 투과하여 상기 대물렌즈(83)를 경유하여 광기록매체(30)에 맺힌다. 이후,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편광빔스프리터(81)를 투과하고, 상기 제1빔스프리터(65)에서 반사되어 제1광검출기(69)에 맺힌다. 한편, 상기 제2광원(71)에서 조사된 광은 P편광성분의 광이 상기 편광빔스프리터(81)에서 반사되어 상기 광기록매체(30)로 향하고, 광기록매체(30)에서 반사된 P편과 성분의 광은 상기 편광빔스프리터(81)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광검출기(79)에 맺힌다. 따라서, 상기 광기록매체(30)의 주트랙 및 인접트랙에 맺힌 광스폿을 편광성분에 따라 분기시켜 상기 제1광검출기(69)와 제2광검출기(79) 각각에 선택적으로 맺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88)는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기(69)(79) 각각에서 광전변환되어 출력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전류-전압변환기와, 상기 제2전류-전압변환기에서 변환된 전압값에 연산상수(K)를 승산하는 승산기 및, 상기 제1전류-전압변환기와 상기 승산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차동증폭하여 크로스토크가 감소된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차동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산부(88)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광원(91)과,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빔스프리터(93)와, 입사광을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제1편광빔스프리터(94)와, 반사형 위상차프리즘(100)과, 대물렌즈(95)와,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을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시키는 제2편광빔스프리터(96)와,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을 각각 수광하는 제1 및 제2광검출기(98)(99)와,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기(98)(99) 각각에서 수광된 신호를 연산하여 검출된 정보신호에 포함된 크로스토크를 제거하는 연산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빔스프리터(93)는 상기 광원(91)과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94)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한다. 즉, 입사광을 소정 광량비로 투과 및 반사시켜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광기록매체(90)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광기록매체(90)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제2편광빔스프리터(96)로 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빔스프리터(93) 대신하여 입사광의 입사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직진투과 또는 회절투과시키는 홀로그램소자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94)는 상기 빔스프리터(93)와 상기 반사형 위상차프리즘(100) 사이에 배치되며, 입사광을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으로 분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편광성분의 광은 반사되어 직접 상기 대물렌즈(95) 쪽으로 향하고, 상기 제2편광성분의 광은 투과되어 상기 반사형 위상차프리즘(100)을 경유하여 상기 대물렌즈(95)로 향한다.
상기 반사형 위상차프리즘(100)은 상기 광기록매체(90)의 접선방향(T)에 대응되는 방향(T')과 나란하고 입사광의 광축과 만나는 선분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외측에서 내측으로 테이퍼진 형상의 제1 및 제2프리즘(101)(102)과, 이 제1 및 제2프리즘(101)(10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103)를 포함한다. 이 반사형 위상차프리즘(100)을 이루는 상기 제1 및 제2프리즘(101)(102)의 경사도 즉, 위상차크기는 제2실시예의 투과형 위상차프리즘(도 15의 85)의 제1 및 제2프리즘(87a)(87b)의 위상차크기와 비교하여 볼 때, 그 1/2인 경우 동일한 광학적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반사형 위상차프리즘(100)을 경유한 제2편광성분의 광은 상기 광기록매체(90)의 주트랙에 인접한 인접트랙에 시간지연없이 맺힌다. 여기서,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94)는 상기 반사형 위상차프리즘(100)의 광 입출사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물렌즈(95)는 상기 편광빔스프리터(94)와 상기 광기록매체(90)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을 상기 광기록매체(90)에 집속시킨다. 상기 연산부(110)는 앞서 설명된 제2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 및 도면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상기 광원(91)과 빔스프리터(93) 사이의 광로 상에 입사되는 발산광을 집속하는 콜리메이팅렌즈(92)와, 상기 제2편광빔스프리터(96)와 제1광검출기(98) 및 제2광검출기(99)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입사광을 수속하는 제1 및 제2수속렌즈(97a)(9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상기한 투과형/반사형 위상차프리즘의 위상차크기(경사도) 설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a는 투과형 위상차프리즘(85)을 나타낸 것으로, 위상차크기 Δd 로 그 위상차 정도가 표현된다. 여기서, 위상차크기 Δd 는 입사광의 유효 직경에 대응되는 부분에서의 높이이다. 도 17b는 반사형 위상차프리즘(100)을 나타낸 것으로, 위상차크기는 Δd /2로 그 위상차 정도가 표현된다. 여기서, Δd 는 투과형 위상차프리즘의 위상차크기에 해당된다.
여기서, Δd 는 수학식 2를 만족한다.
특히, 광기록매체의 트랙피치가 0.40㎛, 0.37㎛일 때 위상차크기 Δd 각각은 0.8 λ /2, 1.2 λ /2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는 일 스폿은 주트랙에 집광되고, 다른 스폿은 주트랙에 맺힌 광스폿에 대한 시간차없이 인접트랙에 걸치도록 집광됨과 아울러, 편광특성에 의해 정보 재생시 주트랙과 인접트랙의 신호를 분리할 수 있어서, 시간차없는 인접트랙 신호에 대해 연산상수를 승산하여 주트랙에서 검출된 신호와 차동함으로써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트랙피치에 대해 광스폿의 비가 0.6 이하의 값으로 정해지는 광기록매체에 대한 정보 재생시 재생신호의 품질을 높이는데 매우 유용하다. 또한, 투과형/반사형 위상차프리즘을 채용하는 경우, 위상차프리즘의 위상차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가변적으로 트랙피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Claims (15)

  1.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며,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제1광로변환수단과;
    상기 제1광로변환수단과 상기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며, 입사광을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으로 분기시키는 제1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제2편광성분의 광의 진행경로 상에 배치되어, 빔의 형상을 정형하는 빔정형수단과;
    상기 제1편광분리기와 광기록매체 사이의 광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편광분리기에서 분기된 상기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이 동일 광로로 진행하도록 하는 제2광로변환수단과;
    상기 제2광로변환수단과 상기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을 상기 광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대물렌즈, 제2광로변환수단, 제1편광빔스프리터 및 제1광로변환수단을 경유하여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이 서로 다른 경로로 향하도록 분리하는 제2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제2편광빔스프리터에서 분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 각각을 수광하는 제1 및 제2수광부를 구비한 광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수광부 각각에서 수광된 신호를 연산하여 검출된 정보신호에 포함된 크로스토크를 제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정형수단으로, 입사광을 투과시키는 투과영역과, 이 투과영역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광기록매체의 접선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입사광의 일부분을 차폐하는 차폐영역을 가지는 차폐판을 포함하여,
    입사광 중 제1편광성분의 광이 광기록매체의 주트랙에 집속되고, 상기 제2편광성분의 광이 상기 주트랙 및 상기 주트랙에 인접한 인접트랙에 걸쳐 상기 광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집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정형수단으로,
    상기 광기록매체에 맺힌 제2편광성분의 광이 상기 광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장축을 가지며, 그 접선방향으로 단축을 가지는 타원형 스폿이 되도록 입사광의 형상을 정형하는 실린드리컬렌즈를 포함하여,
    입사광 중 제1편광성분의 광이 광기록매체의 주트랙에 집속되고, 상기 제2편광성분의 광이 상기 주트랙 및 상기 주트랙에 인접한 제1 및 제2인접트랙에 걸쳐 상기 광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집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로변환수단은,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되어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 중 일 편광성분의 광을 두 번 반사시켜 입사광의 광축에 대해 출사광의 광축이 시프트 된 채로 상기 입사광과는 반대방향으로 나란하게 진행하도록 하는 반사프리즘과;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다른 편광성분의 광과, 상기 반사프리즘을 경유하여 입사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반사시켜 동일 광로로 상기 광기록매체로 향하도록 하는 빔스프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및 제2수광부 각각에서 광전변환되어 출력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전류-전압변환기와;
    상기 제2전류-전압변환기에서 변환된 전압값에 연산상수(K)를 승산하는 승산기와;
    상기 제1전류-전압변환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승산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차동증폭하여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차동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제1광로변환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된 발산광을 집속하는 콜리메이팅렌즈와;
    상기 제2편광분리기와 상기 광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광을 수속하는 수속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7.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 이 제1광원에서 조사되고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제1광검출기를 구비한 제1광모듈과;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과, 이 제2광원에서 조사되고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제2광검출기를 구비한 제2광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광모듈과 상기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광 중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반사시켜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편광빔스프리터와;
    광기록매체의 주트랙 및 제1 및 제2인접트랙에 광스폿이 맺히도록 입사광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제2광원과 상기 편광빔스프리터 사이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광모듈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광기록매체의 주트랙에 인접한 인접트랙에 광기록매체의 반경방향으로 맺히도록 입사광의 형상을 정형하는 투과형 위상차프리즘과;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기 각각에서 수광된 신호를 연산하여 검출된 정보신호에 포함된 크로스토크를 제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형 위상차프리즘은,
    입사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판과;
    상기 광기록매체의 접선방향과 나란하고 입사광의 광축과 만나는 선분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외쪽에서 내쪽으로 테이퍼진 형상의 제1 및 제2프리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입사광이 유효직경에 대응되는 부분의 상기 제1 및 제2프리즘의 높이를 위상차크기 Δd 로 정의할 때, 위상차 크기 Δd 는 아래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수학식]
    , 0.5 < α < 1.5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기 각각에서 광전변환되어 출력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전류-전압변환기와;
    상기 제2전류-전압변환기에서 변환된 전압값에 연산상수(K)를 승산하는 승산기와;
    상기 제1전류-전압변환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승산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차동증폭하여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차동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1.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과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며, 입사광의 진행경로를 변환하는 빔스프리터와;
    상기 빔스프리터와 상기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며, 입사광을 편광성분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으로 분기시키는 제1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에서 분기된 제2편광성분의 광을 반사시키며, 이 반사된 광이 상기 광기록매체의 주트랙 및/또는 이 주트랙의 양측에 인접한 제1 및 제2인접트랙에 광기록매체의 접선방향으로 맺히도록 입사광의 형상을 정형하는 반사형 위상차프리즘과;
    상기 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광기록매체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을 상기 광기록매체에 집속시키는 대물렌즈와;
    상기 광기록매체에서 반사되고 상기 빔스프리터를 경유하여 입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을 서로 다른 경로로 분기시키는 제2편광빔스프리터와;
    상기 제2편광빔스프리터에서 분리된 제1 및 제2편광성분의 광 각각을 수광하는 제1 및 제2광검출기와;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기 각각에서 수광된 신호를 연산하여 검출된 정보신호에 포함된 크로스토크를 제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형 위상차프리즘은,
    상기 광기록매체의 접선방향과 나란하고 입사광의 광축과 만나는 선분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마련되며, 외쪽에서 내쪽으로 테이퍼진 형상의 제1 및 제2프리즘과; 이 제1 및 제2프리즘의 일측에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입사광이 유효직경에 대응되는 부분의 상기 제1 및 제2프리즘의 높이를 위상차크기 Δd /2로 정의할 때, Δd 는 아래의 수학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수학식]
    , 0.5 < α < 1.5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빔스프리터는,
    상기 제1 및 제2프리즘의 광 입출사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편광성분의 광이 투과하여 상기 반사형 위상차프리즘을 경유하여 상기 광기록매체로 향하고, 상기 제1편광성분의 광은 반사되어 상기 광기록매체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기 각각에서 광전변환되어 출력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전류-전압변환기와;
    상기 제2전류-전압변환기에서 변환된 전압값에 연산상수(K)를 승산하는 승산기와;
    상기 제1전류-전압변환기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승산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차동증폭하여 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차동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KR1019980057696A 1998-12-23 1998-12-23 광픽업장치 KR10032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696A KR100322599B1 (ko) 1998-12-23 1998-12-23 광픽업장치
JP36566699A JP3553841B2 (ja) 1998-12-23 1999-12-22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09/471,411 US6538975B1 (en) 1998-12-23 1999-12-23 Optical pickup
EP99310550A EP1014351A3 (en) 1998-12-23 1999-12-23 Optical pickup
CN99122978A CN1115678C (zh) 1998-12-23 1999-12-23 光拾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696A KR100322599B1 (ko) 1998-12-23 1998-12-23 광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732A KR20000041732A (ko) 2000-07-15
KR100322599B1 true KR100322599B1 (ko) 2002-03-08

Family

ID=1956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696A KR100322599B1 (ko) 1998-12-23 1998-12-23 광픽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38975B1 (ko)
EP (1) EP1014351A3 (ko)
JP (1) JP3553841B2 (ko)
KR (1) KR100322599B1 (ko)
CN (1) CN111567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4775A1 (de) * 2002-04-03 2003-10-16 Thomson Brandt Gmbh Vorrichtung zur Korrektur von Signalmodulationen
US20080049583A1 (en) * 2006-08-25 2008-02-28 Tatsuro Ide Optical pickup device
EP2141699A1 (en) * 2008-06-30 2010-01-06 Deutsche Thomson OHG Apparatus for reading fro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CN102144261A (zh) * 2008-10-24 2011-08-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学单元和使用该光学单元的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289B2 (ja) * 1975-11-20 1984-05-25 ソニー株式会社 ジヨウホウケンシユツソウチ
JPS52141608A (en) 1976-05-20 1977-11-26 Sony Corp Information detector
JPS6021403B2 (ja) 1979-10-18 1985-05-2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光学的記録装置における集光状態の監視装置
JPS60246A (ja) 1983-06-16 1985-01-05 Tokyo Air Curtain Kogyo Kk ブ−ス外対向形エア−カ−テン装置
JPS61250843A (ja) 1985-04-30 1986-11-07 Nec Home Electronics Ltd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S62114130A (ja) 1985-11-13 1987-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ヘツド
EP0346844B1 (en) * 1988-06-14 1995-09-20 Nec Corporation Optical head apparatus
JPH03157843A (ja) * 1989-11-16 1991-07-05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2858455B2 (ja) * 1990-11-27 1999-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的情報記録装置
JPH04281231A (ja) * 1990-11-30 1992-10-06 Toshiba Corp 光集束光学系
JP3046394B2 (ja) 1991-06-13 2000-05-29 株式会社東芝 光ヘッドおよび光情報記録装置
JP3002295B2 (ja) 1991-07-01 2000-01-24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
JP3266627B2 (ja) * 1991-10-11 2002-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再生装置
JPH0615303A (ja) 1991-10-29 1994-01-25 Nippon Steel Corp r平均値の優れた耐食性熱間圧延鋼板の製造方法
JPH05325251A (ja) 1992-05-27 1993-12-10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ヘッド
JP3238497B2 (ja) 1992-11-12 2001-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ピックアップヘッド装置
JP3395235B2 (ja) 1993-02-09 2003-04-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ディスク
JPH06295455A (ja) 1993-04-01 1994-10-21 Nippon Columbia Co Ltd 光ピックアップ
US5414541A (en) 1993-06-01 1995-05-09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Optical switch employing first and second ferroelectric cells with alignment layers having alignment directions offset by 45°
JP3115761B2 (ja) 1994-02-16 2000-12-1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ヘッド
JPH07234382A (ja) * 1994-02-24 1995-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超解像走査光学装置
JPH0822620A (ja) 1994-06-30 1996-01-23 Victor Co Of Japan Ltd 光記録媒体の再生方法及びその再生装置
KR100214046B1 (ko) * 1995-03-27 1999-08-0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초해상 광헤드장치
JPH0973650A (ja) 1995-09-01 1997-03-18 Pioneer Electron Corp 光学装置
JPH1027347A (ja) 1996-07-11 1998-01-27 Seiko Epson Corp 光信号再生方法、光学ヘッドおよび光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732A (ko) 2000-07-15
CN1263340A (zh) 2000-08-16
EP1014351A3 (en) 2001-01-31
US6538975B1 (en) 2003-03-25
EP1014351A2 (en) 2000-06-28
JP3553841B2 (ja) 2004-08-11
CN1115678C (zh) 2003-07-23
JP2000195089A (ja) 200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599B1 (ko) 광픽업장치
KR20010017196A (ko) 광픽업장치
KR100601599B1 (ko) 인접트랙에 의한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는 광픽업장치
KR980011162A (ko) 광자기 기록/재생 장치
KR100618991B1 (ko) 광픽업용 시크방향 검출신호 생성장치
JP2616453B2 (ja) 光ヘッド用フィルタ装置
US6646976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cross talk by adjacent tracks and a method therefor
JP2616722B2 (ja) 光ヘッド装置
KR100354749B1 (ko) 인접트랙에의한크로스토크를저감할수있는광픽업장치
KR100234333B1 (ko) 광픽업장치
KR100580549B1 (ko) 다층광디스크장치
KR100624851B1 (ko) 광 픽업장치
KR0144874B1 (ko) 광픽업장치
JP2862127B2 (ja) 光ヘッド装置
KR100556692B1 (ko) 광디스크재생장치
JP2693569B2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JP2695451B2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657250B1 (ko) 광픽업장치
JP2955392B2 (ja) 光学式再生装置
KR100640309B1 (ko) 광픽업 장치
KR200335121Y1 (ko) 웨이브 가이드형 광픽업 장치
JPH06119653A (ja) 光ヘッド装置
KR20010036812A (ko) 호환형 광픽업장치
KR20000043330A (ko) 부차광 수속이 가능한 일체형 광픽업장치
JPS63209029A (ja) 光ピツクアツ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