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208B1 -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208B1
KR100322208B1 KR1019990022017A KR19990022017A KR100322208B1 KR 100322208 B1 KR100322208 B1 KR 100322208B1 KR 1019990022017 A KR1019990022017 A KR 1019990022017A KR 19990022017 A KR19990022017 A KR 19990022017A KR 100322208 B1 KR100322208 B1 KR 10032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cholesterol
cosmetic composition
skin
polymer resin
stabi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281A (ko
Inventor
표형배
이천일
정현관
박철홍
Original Assignee
임병철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철, 한불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병철
Priority to KR1019990022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208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0Disintegr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한 상태로 함유하는 피부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고분자 수지에 흡착함으로 안정화시켜 피부노화 등을 개선하기 위한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기존에 화장품에 적용에 있어서 안전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었으며 제품의 활성도 오래 지속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와 같은 특정한 목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7-DEHYDROCHOLESTEROL-CONTAINED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한 상태로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고분자 수지에 흡착시켜 안정화시켜 피부노화 등을 개선하기 위한 피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피부노화에 관하여서는 아직까지 여러 이론이 제시되고 있으나 그 중 피부의 노화에 가장 과학적으로 접근된 이론은 산화에 의한 피부노화 이론이다. 사람의 피부는 각질층을 포함하는 표피와 진피, 그리고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각질층은 표피의 기저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의 분화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죽은 세포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인체를 외부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피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진피층은 탄력섬유로 알려진 콜라겐과 엘라스틴으로 구성되어 있어 피부의 탄력을 주어 피부가 처지지 않도록 지켜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항산화이론은 이와 같은 탄력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외부의 자외선 등의 인자들에 의해 생성된 프리라디칼에 의해 손상받게 되고 이에 따라 피부의 탄력이 감소되어 주름이 생성된다는 이론이다. 지금까지는 이와 같은 피부의 노화, 특히 주름을 방지하기 위해 레티놀과 같은 물질이나 식물추출물 등을 사용해 왔었다. 그러나 이 물질들은 그 효과가 낮거나 피부자극, 발적, 염증을 유발시켜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심각한 단점을 갖고 있다.
한편, 선행특허문헌(공개98-028477)에 의하면 콜레칼시페롤을 직접 피부화장품에 사용한 예가 제시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프리라디칼의 생성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에 대해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에 의해 콜레칼시페롤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자외선이 피부에 손상을 주는 것에 대한 대처 등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기존의 피부노화 물질들이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의 합성등에 대한 부분만을 강조하여 피부의 자극이나 손상 등의 문제점을 드러낸 것에 착안하여 피부에 있어서 안전하며 특히 피부주름의 주 원인으로 작용한 자외선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물질을 밝혀내고자 오랜 기간에 걸쳐 꾸준히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지금까지 인식되어오던 바와는 달리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이러한 목적에 부합되어 자외선 방어효과, 피부주름개선효과, 피부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자외선에 의해 프레비타민 D3, 타기스테롤로 전화되며 프레비타민 D3에서 피토스테롤이나 루미스테롤, 이소피로칼시페롤로 전이되는 불안전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피부에서는 프레비타민 D3에서 비타민D3로 전이되기 때문에 다른 문제를 유발하지 않지만 피부 이외의 장소에서 보관할 때에는 프레비타민 D3가 피토칼시페롤이나 루미스테롤, 이소피로칼시페롤로 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상태로 안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프레비타민 D3에서 피로칼시페롤이나 루미스테롤, 이소피로칼시페롤로 전이되면 다시 되돌아오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피로칼시페롤이나 루미스테롤, 이소피로칼시페롤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란 토마스 등은 (미국특허 5342833) 콜레칼시페롤 유도체를 사용하여 피부질환과 건선 치료에 사용한 예를 보이고 있으며 마키노 유지는 (미국특허 5747478) 산화마그네슘과 소듐시트레이트를 사용하여 활성화된 콜레칼시페롤을 안정화시킨 예를 보이고 있다.
또한 콜레칼시페롤이 용해되어 있는 것보다 고체상태에서 안정한 점을 이용하여 안정성이 개선된 활성형 콜레칼시페롤류 고형제재 (국내특허 92-700036) 특허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의 특허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에 대한 것은 없고 콜레스테롤의 안정화에 대한 연구와 콜레칼시페롤 유도체에 대한 연구만이 있었다.
이와 같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것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자외선 방어효과와 피부개선효과 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자외선과 온도에 의해 쉽게 다른 물질로 전이되기 때문이며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다른 물질로 쉽게 전이될 수 있는 구조적인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한 상태로 피부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다년간 연구하였으며 그 성과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한 상태로 함유할 수 있는 화장료의 제조를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피부노화를 억제할 목적으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사용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여 안정화 시킴으로 완성하게 된다. 이 때 발생하는 여러 가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여러 방면에서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에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화 시키는 방법을 시도하였으며 특정한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에서만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안정화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곧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자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여 보호하는 방법을 선택하게 되었다. 이것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화장품에 사용되는 정제수 속에 녹아있는 용존산소와의 접촉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것이며 자외선에 의해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다른 물질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알코올에 용해시킨 후 용해된상태에서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수지를 사용하여 흡착시키고 알코올을 증발시킴으로 고분자 수지 세공에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고착시켰다. 이로써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외부의 공기와 차단된 상태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의 세공에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자외선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었다.
또한 이 상태에서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를 유상성분에 분산시켜 외부의 수상과의 접촉을 최소화 시켰고 이로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다른 물질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인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0.00001내지 10%(W/V)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01 내지 1%(W/V)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01%미만으로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경우에는 소기의 효과를 달성할 수 없으며 10%이상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염증이나 발적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외부의 수상으로부터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는 0.01% 에서 30%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1%내지 15%(W/V)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의 예로는,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알리메타크릴 코폴리머,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분자량은 1000 - 1,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항산화제로 사용한 히포타우린은 0.01내지 10%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1내지 5%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유화방법으로는 유상/수상 형태의 유액이 적당하며 제조를 위해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0.5내지 10%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조성물의 제형으로서 바람직한 것으로는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엣센스, 및 팩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한 화장료는 하기 실험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온도,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안정화시키지 않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과 비교함으로 피부노화 완화를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의 배합은 표 1과 같다. (가)상의 알코올과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혼합 용해시킨다. 용해가 완전히 되면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여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흡착시키고 알코올을 50℃정도에서 완전히 휘발시키고 다공성이면서 다공성인 친유성인 폴리머에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고착시킨다.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에 고착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유상에 혼합하고 수상에 투입하여 킨다.
표1.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한 화장료의 배합성분비
배합성분 실시예 1함량 실시예 2함량 비교예 1함량 비교에 2함량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아크릴릭/아크릴코폴리머알코올레티놀 0.102.0020.000.00 0.102.0020.000.00 0.100.000.000.00 0.000.000.000.10
부틸렌글리콜세탄올옥틸도데칸올글리세롤스테아레이트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카르복시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정제수히포타우린 7.001.007.000.700.500.300.30적량적량적량잔량0.10 7.001.007.000.700.500.300.30적량적량적량잔량0.00 7.001.007.000.700.500.300.30적량적량적량잔량0.10 7.001.007.000.700.500.300.30적량적량적량잔량0.00
100.00 100.00 100.00 100.00
표 1.의 성분비를 갖는 화장료를 제조하여 상온 25℃와 45℃에서 4주동안 보관하였으며 자외선 조건에서도 2주 4주간 보관하여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표 2와 같다.
경시변화를 측정한 결과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로 흡착시켜 고정시킨 실시예에서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외부의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었기 때문에 그렇지 않는 비교예 1과 안정성에 커다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표 2.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한 화장료의 경시변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함유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제조직후 99 100 99
2주후 25℃ 99 99 72
2주후 45℃ 96 97 43
4주후 45℃ 93 97 21
자외선 25℃ 95 98 32
자외선 45℃ 91 96 17
실시예2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자외선에 대한 각질형성세포 방어효과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각질형성세포를 적정세포농도로 96웰프레이트에 분주하고 최적 배양조건에서 24시간동안 안정화시켰다. 24시간 후 최적 농도의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과 비교물질 인 레티놀을 투여하고 4시간동안 안정화시켜 원료가 충분히 분산되게 하였다. 원료를 충분히 분산시킨 후 무균실험실에서 40W 더블램프로 8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24시간 후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고 8분 동안 조사한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구하여 원료에 대한 자외선 방어기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아래 표 3.와 같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투여한 세포군은 63%, 레티놀을 투여한 세포군은 55%, 그리고 음성대조군은 56%로 나타났다. 이것은 레티놀은 자외선에 대한 방어효과가 전혀 없는 것에 반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은 자외선 방어효과가 더 높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표 4. 노화완화 효과 측정결과
방어효과
실시예 2 63%
비교예 1 55%
음성대조군 56%
실시예 3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과 에멀젼에 투입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품을 실시예2와 비교예1제품을 45℃에서 4주간 보관한 이후에 노화완화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실험군 당 생후 15내지 20주령의 탈모쥐 30마리씩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탈모쥐의 등부위에 자외선 조사기(UV SIMULATOR)를 이용하여 2mJ/㎤의 조사량으로 조사하는 것을 주당 2회의 빈도로 4주간 실시함으로써 피부의 비정상적 과각화를 유발시켰다. 그 후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안정하게 함유된 실시예2의 화장료를 탈모쥐 등부위의 한쪽면에 1일 2회, 2주간 적량 도포해주는 반면, 다른 한쪽면에는 비교를 위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안정화되지 않는 화장료 비교예1를 적용하였다. 2주후에 노화완화 효과를 육안 관찰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노화완화 효과 측정결과
현저한 효과 완화효과 효과없음
실시예 2 22 8 0
비교예 1 3 9 18
인위적으로 노화가 유발된 탈모쥐에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화시킨 실시예2의 화장료를 적용한 경우에 30마리의 동물모두에서 비정상적인 피부 과각화의 완화효과가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화시키지 않은 화장료가 대부분의 경우 완화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사실을 비추어 볼 때 획기적인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30 ~ 4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주름 완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실험군당 20명을 선택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배합된 실시예 2의 화장료와 비교예 1의 화장료를 45℃에서 4주간 보관한 후에 실시예 2의 제품을 1일 2회 빈도로 4주간 여성의 오른쪽 눈 주위에 도포해 주었으며 다른 한 쪽 눈 주위에는 비교를 위해 비교예 1를 도포해 주었다. 4주후, 주름 완화효과를 육안관찰하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표 5. 주름완화 효과 측정결과
현저한 효과 완화효과 효과 없음
실시예 2 9 11 0
비교예 1 2 5 13
상기 표5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화시킨 화장료를 적용한 경우 20명 여성 모두가 최소한 약간의 완화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9명에 있어서는 현저한 완화효과를 나타내는 등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화시키지 않은 화장료에 비해 획기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안정화시킨 화장료가 안정화시키지 않고 배합한 화장료에 비해 그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기존에 화장품에 적용에 있어서 안전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었으며 제품의 활성도 오래 지속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와 같은 특정한 목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알콜에 용해시킨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에분자량 1000-1,000,000의 아크릴릭/아크릴 코폴리머로 구성된다공성의 친유성 고분자 수지를 첨가하여 상기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상기 고분자 수지에 흡착시킨 후, 상기 알콜을 휘발시키고 나서 고분자 수지 세공에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포함하고, 이 때,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0.0001 내지 10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다공성인 친유성 고분자를 0.01 내지 30중량%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그 제형이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엣센스 및 팩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3항에 있어서, 주름완화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3항에 있어서, 자외선 방어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화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90022017A 1999-06-14 1999-06-14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22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017A KR100322208B1 (ko) 1999-06-14 1999-06-14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017A KR100322208B1 (ko) 1999-06-14 1999-06-14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281A KR20010002281A (ko) 2001-01-15
KR100322208B1 true KR100322208B1 (ko) 2002-02-07

Family

ID=1959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017A KR100322208B1 (ko) 1999-06-14 1999-06-14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716B1 (ko) * 2002-03-27 2005-03-08 주식회사 참 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및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포접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의 안정화방법
KR101701382B1 (ko) 2014-01-29 2017-02-01 주식회사 휴메딕스 페길레이션된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유도체
KR101702076B1 (ko) * 2015-02-25 2017-02-02 주식회사 휴메딕스 지방산 컨쥬게이션된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 유도체
KR101975387B1 (ko) * 2017-02-14 2019-05-10 휴먼코스메틱 주식회사 프로비타민 d3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8667B1 (ko) 2018-06-18 2020-02-19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및 스테아린산이 히알루론산-세라마이드 엔피 복합체의 내상에 봉입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57749B1 (ko) * 2020-12-23 2023-07-21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피부 장벽 개선, 보습 및 혈중 비타민 d 수치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281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1544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атологических состояний кожи
JP2011516585A (ja) スキンケア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80078564A (ko) 피부 진정 및 보습 유지 효과가 우수한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220183951A1 (en) Skin treatment methods and compositions with retinoid and delivery systems thereof
JPH027287B2 (ko)
KR100322208B1 (ko)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3278B1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8409A (ko)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EP0949919A1 (en) A process for stabilizing levogyre ascorbic acid (laa) and stable laa compositions
CN113693966B (zh) 一种美白淡斑亮采霜及其制备方法
CN113730303A (zh) 一种以单一类型乳化剂制备多重乳液的方法以及晒后修复冰晶霜
KR100451387B1 (ko) 피부 탄력 증가와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원지, 길경,병풀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260622B (zh) 一种生肌敛口滋润保湿防裂膏及其制备方法
KR102097632B1 (ko) 화장료 조성물
CA1326997C (en) Composition for cosmetic or pharmaceutical use
KR100292143B1 (ko)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1917710B1 (ko) 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50435B1 (ko) 콜레칼시페롤을함유하는피부노화완화용화장료조성물
JPS63145211A (ja) ビタミン配合化粧料
WO2017188844A1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при комплексном лечении дерматозов
KR20160123070A (ko)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175767A (ja) 皮膚障害抑制剤、皮膚障害改善剤,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4010757A (ja) 抗酸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