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396B1 - 압력센서부착식압출핀 - Google Patents

압력센서부착식압출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396B1
KR100321396B1 KR1019980037416A KR19980037416A KR100321396B1 KR 100321396 B1 KR100321396 B1 KR 100321396B1 KR 1019980037416 A KR1019980037416 A KR 1019980037416A KR 19980037416 A KR19980037416 A KR 19980037416A KR 100321396 B1 KR100321396 B1 KR 100321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ressure
tip
extrusion pin
shap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700A (ko
Inventor
히로아키 가와사키
유타카 히로시마
지사토 아키나리
야스오 이시와타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아츠시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8418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37525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아츠시,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무로 아츠시
Publication of KR1999002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396B1/ko

Links

Abstract

(과제) 압력 센서 부착식 압출핀에 있어서, 직경이 변하여도 센서의 출력을 보정하지 않고서 그대로 이용될 수 있어, 하중에 따른 설계가 필요 없게 되도록 한다.
(해결수단) 압출핀(24)은 성형품을 돌출시키는 봉 형상부(25)와, 봉 형상부 (25)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슬리브부(26)를 가지고 있다. 봉 형상부 (25)의 선단은 안내부(27)의 선단의 개구(28)로부터 공동(空洞)내로 향한다. 슬리브부(26)의 후단의 계단부(29)내에는 수납실(30)이 있다. 수납실(30)의 내부에는 봉 형상부(25)의 기단에 고정된 단면이 대략

Description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
본 발명은 성형용 금형의 공동내에 충전된 수지의 압력을 검지할 수 있는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사출성형기의 한 예에서의 금형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금형에는 직접 공동(110)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로드셀(111)과, 성형 종료후에 성형품을 공동(110)내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는 압출핀(112)의 기부(基部)에 맞닿게 한 로드셀(113)이 압출핀(112)과는 별개의 몸체로 설치되어 있다. 어느 로드셀 (111, 113)도 금형에 특별한 구멍가공 및 홈 가공을 실시하여 부착해 있다.
도 6에 도시된 사출성형기에 의하면, 로드셀(111, 113)이 크므로 금형을 가공하지 않으면 부착할 수 없다. 금형에 따라서는 가공될 수 없는 것도 있으므로, 그 경우에는 부착이 불가능하게 된다 금형을 가공하는 공임, 품, 로드셀 자체의 원가가 높으므로 본 구조는 채용하기 어렵고, 보급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압출핀과 로드셀에 의해 공동내의 압력을 검지하는 대신, 압출핀과 압력센서가 일체로 된 신규의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을 제안하였다. 이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핀(200)의 기단부에 단면이자 형상의 기립변형부(201)를 고정하고, 이 기립변형부(201)의 하면에 도시하지 않은 압력센서를 부착한 것이다. 기립변형부(201)는 케이싱(202)에 수납되어 있다.
금형의 공동내의 압력이 압출핀(200)의 선단에 가해지면, 그 선단의 수압 면적에 맞는 하중이 압출핀(200)에 발생한다. 이 하중에 의해 기립변형부(201)가 변형하며, 그 변형을 센서가 검지한다, 센서로 부터의 출력과 공동내의 압력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미리 준비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센서로 부터의 출력에 의해 공동내의 압력이 검지된다.
이 상기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에 의하면, 압력센서를 압출핀의 후단에 일체로 설치하였으므로, 압력센서를 설치하기 위해 금형을 가공하는 필요성이 없게 되는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그런데, 압출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형의 구조, 성형품에 밀어 대는 위치, 성형품의 형상, 크기등의 조건에 따라, 사용하는 압출핀의 개수나 굵기를 적당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비교적 많은 개수를 설치할 경우에는 비교적 가늘은 것으로 되며, 설치되는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비교적 굵은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 성형품에 밀어 대는 위치 등의 차이에 따라 금형으로부터 이격시키는데 큰 힘이 필요한 경우에는 굵은 것이 필요하며, 비교적 작은 힘으로 될 경우에는 가늘은 것으로 좋다.
그러나 상술한 본 출원인의 제안이 되는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에 있어서는 압출핀의 선단면이 즉 수압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금형의 공동내의 압력이 동일하더라도, 압출핀의 직경이 상이하면, 수압면적이 상이하며, 따라서 압출핀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이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조건에 따라서 압출핀의 굵기를 변경하면 공동내의 압력이 동일하다 하더라도 압력센서와 출력이 변화되고 만다. 따라서 센서로 부터의 출력은 공동내의 압력과 센서 출력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기준으로 되는 데이터와 조건이 동일하게 되도록, 보정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음에 표시하는 표 1은 압출핀의 편지를(직경)과, 금형내 압력(공동내의 수지압력)과, 압출핀에 가해지는 하중과의 대응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예를들면 상기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금형내 압력이 500kgf/㎠의 경우, 압출핀에 가해지는 하중은 핀지름이 1mm에서는 3.93kgf이나 핀지름이 6mm에서는 141.30kgf로 된다. 이와 같이 금형내 압력이 동일해도 핀지름이 변하면 센서의 출력이 변화하므로 센서의 출력을 보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안한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은 상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기는 하나, 센서의 출력을 핀지름에 따른 계수로 연산처리할 필요가 있다는 번잡함이 있었다. 핀지름의 상이(수압면적의 상이)에 따른 하중의 차이를 고려하여 기립변형부를 핀지름 마다 설계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나, 원가가 높아지며, 또 핀지름이 굵게 되어 하중이 크게되면 기립변형부가 대형화하고 설계 가능한 스페이스를 넘어서 실용으로 되지 않는다.
성형품에 응력을 가하지 않고 여러 가지 이형(離型) 저항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굵은 지름의 압출핀은 불가결하지만, 본 출원인이 제안한 상기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으로는 굵은 지름으로 하는 것이 곤란함으로 압출핀이 불필요한 다른 위치에 압력센서의 용도만의 핀 폐기적인 배치로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을 배치하고, 압력센서로서의 기능만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 제안의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에 있어서, 또한 압출핀의 직경이 변하여도 수압 면적이 일정함으로 센서의 출력을 보정하지 않고 그대로이용할 수 있고, 수압면적(하중)에 따른 설계가 불필요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의 실예에 관한 성형용 금형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의 실예에 관한 압출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의 실예에 관한 압출핀의 기단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의 실예에 관한 압출핀의 기단부의 덮개 몸체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의 실예에 있어서의 슬리브부의 외경이 상이한 압출핀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성형용 금형의 단면도,
도 7은 본원의 출원인이 이전에 제안한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제1형판으로서의 고정측 형판 12a: 공동
13: 제2형판으로서의 가동측 형판 13a: 코어
24, 40: 압출핀 25: 봉 형상부
26, 46: 슬리브부 27: 안내부
30: 수납실 32: 압력검지수단
33: 기립변형부 34: 센서로서의 변형센서
35: 지지부 36: 빔부
B: 성형용 금형
청구항 1에 기재된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은 공동을 가진 제1 형판과, 코어를 가지며 상기 제1형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제2 형판을 조합하며, 상기 공동과 상기 코어 사이에 수지를 충전하여 성형품을 성형하는 성형용 금형에 적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형판이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때에 상기 성형품을선단에서 눌러서 상기 형판에서 돌출하는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에 있어서, 상기공동내의 압력이 선단에 가해지는 봉 형상부와, 상기 봉 형상부의 기단에 고정되어 상기 봉 형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수단과, 상기 봉 형상부와 상기 압력 검지수단을 수납하는 슬리브부를 가지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은 청구항 1 기재의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지수단이, 상기 봉 형상부의 기단에 고정되어 상기 봉 형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기립변형부와, 상기 기립변형부에서 발생하는 변형을 검지하는 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은 청구항 2 기재의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가, 상기 봉 형상부를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봉 형상부의 선단이 상기 공동내로 향하는 개구를 선단에 구비한 안내부와, 상기 기립변형부를 수납하는 수납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은 청구항 3 기재의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에 있어서, 상기 봉 형상부의 선단과, 상기 슬리브부의 안내부의 선단이, 실질적으로 동일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1의 실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성형용 금형(B)의 단면도이다. 이 성형용 금형(B)은 성형기의 고정측 홀더에 부착되는 고정측 부착판(10)과, 성형기의 가동측 홀더에 부착되는 가동측 부착판(11)을 가지고 있다. 상기 고정측 부착판(10)에는 자형(雌型)인 공동(12a)을 가진 고정측 형판(1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가동측 부착판(11)에는 웅형(雄型)으로 되는 코어(13a)를 갖는 가동측 형판(13)이, 받이판(14)과 스페이서 블록(15)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성형용 금형(B)은 고정측 형판(12)과 가동측 형판(13) 사이에서 분할 가능하다. 성형기의 홀더의 이동에 맞추어, 가동측 형판(13)은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고정측 형판(12)에 대하여 이동하고, 이에 의하여 고정측 형판(12)과 가동측 형판(13)의 개폐가 행해진다. 고정측 형판(12)에는 가이드 부시(19)가 설치되며, 가동측 형판(13)에는 가이드 포스트(18)가 설치되고, 가이드 포스트(18)는 가이드 부시(19)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고정측 형판(12)과 가동측 형판 (13)의 개폐는 이 가이드 부시(19)와 가이드 포스트(18)에 의해 안내됨으로, 고정측 형판(12)과 가동측 형판(13)이 폐쇄되었을 때 공동(12a)과 코어(13a)는 정확한 위치에서 조합된다.
상기 고정측 부착판(10)에는 성형기의 실린더의 노즐로부터 성형용 금형(B) 내로 용융한 수지를 주입할 때의 경로로 되는 스프루(sprue)(16)와 성형용 금형(B)을 성형기의 실린더의 노즐에 부착할 때의 위치결정 수단으로 되는 로케이트 링 (17)이 부착되어 있다.
가동측 부착판(11) 측에는 압출판(21)이 설치되어 있다. 압출판(21)에는 성형용 금형(B)이 개방시에 상기 코어(13a)로부터 돌출하여 성형품을 금형 밖으로 돌출시키는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24)(이하 압출핀이라함)이 설치되어 있다. 또 압출판(21)에는 성형용 금형(B)이 폐쇄시에 압출판(21)을 소정의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압출핀(24)을 당겨서 들어가게 하기 위한 복귀핀(22)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출핀(24)은 선단부에서 성형품을 돌출시키는 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부(25)와 봉 형상부(25)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슬리브부(26)를 가지고 있다. 슬리브부(26)는 외경이 대개 동일하나, 그 내경은 상반부와 하반부가 상이하다. 슬리브부(26)의 상반부는 봉 형상부의 안내부(27)이다. 안내부(27)는 내경이 봉형상부(25)의 외경에 거의 일치하며, 봉 형상부(25)를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봉 형상부(25)의 선단은 안내부(27)의 선단의 개구(28)로부터 공동(12a)내로 향하고 있다. 봉 형상부(25)의 선단과 안내부(27)의 선단은 실질적으로 동일면을 구성하고 있다. 슬리브부(26)의 하반부는 내경이 봉 형상부(25)의 외경 보다도 크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부(26)의 후단부에는 계단부 (29)가 설치되어 있다. 계단부(29)의 내부는 수납실(30)이다. 수납실(30)의 내경은 슬리브부(26)의 하반부의 내경 보다도 크다. 수납실(30)은 하면이 개구되고 있는데, 원형의 덮개 몸체(31)로 폐쇄되어 있다. 이 수납실(30)의 내부에는 봉 형상부 (25)의 기단에 고정된 압력검지수단(32)이 수납되어 있다. 압력검지수단(32)은 봉 형상부(25)의 선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지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예의 압력 검지수단(32)은 봉 형상부(25)의 기단에 고정된 기립변형부(33)와, 기립변형부(33)에 설치된 압력센서로서의 변형센서(34)를 가지고 있다. 기립변형부(33)는 한쌍의 지지부(35, 35)와 한쌍의 지지부(35, 35)를 연결하는 빔부(36)를 가진 단면이자 형상의 부품이다. 기립변형부(33)는 덮개 몸체(31)의 내면과 수납실(30)의 측 주위면에 접하고 있으며, 빔부(36)의 상면으로 부터는 떨어져 있다. 봉 형상부(25)의 기단은 빔부(36)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 기립변형부(33)의 빔부(36)는 봉 형상부(25)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아서 탄성적으로 변형하며, 지지부(35, 35)는 이 하중을 지지한다. 이 때문에 기립변형부(33)는 필요한 안전율이 예상되는 강도의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센서(34)는 기립변형부(33)의 빔부 (36)의 하면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이 변형센서(34)는 기립변형부(33)의 빔부(36)의 탄성적인 변형을 검지하는 센서이며, 예컨대 저항선의 탄성적인 변형에 의해 저항 값이 변화하고, 이것을 전압의 변화로서 출력하는 저항선 변형 게이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는 하지 않으나, 변형센서(34)로 부터의 도선은 계단부(29) 또는 덮개 몸체(31)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금형의 외부에는 도시 생략한 신호 처리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신호처리수단은, 변형센서(34)로 부터의 출력과 공동내의 압력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변형센서 (34)로 부터의 신호는 신호처리수단에 입력되어 신호처리수단은 공동내의 압력을 출력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의 각부의 치수의 한 실예를 표시한다. 봉 형상부(25)의 외경은 1.5mm 내지 2mm 또는 필요에 따라 그 이상으로 한다. 기립변형부(33)의세로 치수는 3mm 내지 4mm로 한다. 슬리브부(26)의 안내부(27)의 외경은 4mm 내지 20mm, 계단부(29)의 외경은 7mm 이상이며 거의 안내부(27)의 외경의 1.5배 정도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지를 성형용 금형(B)에 사출하는 공정에 있어서, 공동(12a)내에 용융된 수지가 사출되면, 압출핀(24)의 선단에 수지의 압력이 가해진다. 본예의 압출핀(24)에 있어서는 압출핀(24)의 선단의 면적중, 봉 형상부(25)의 선단의 면적 만이 압력 검지에 관한 수압면적이다. 즉, 슬리브부(26)의 선단의 환형상의 면은 압력의 검지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봉 형상부(25)의 선단에 수지의 압력이 가해지고, 봉 형상부(25)에 하향 하중이 가해지면, 봉 형상부 (25)는 기립변형부(33)의 빔부(36)를 하향으로 누른다. 지지부(35, 35)에 지지된 빔부(36)의 상면 거의 중앙부에 하중이 가해지면, 빔부(36)는 휘며, 변형센서(34)가 그 변형량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한다. 변형센서(34)의 출력은 신호처리수단에 입력되어 휨 모멘트의 계산식에 의해 하중이 구해져서 공동내의 압력이 산출되어 출력된다.
성형 완료후 적당한 냉각시간이 경과하면, 금형이 개방되어 성형품이 제거된다. 이 때에는 압출핀(24)의 선단의 전체 면적이 성형품의 돌출에 관여한다. 즉, 거의 동일 평면을 구성하고 있는 봉 형상부(25)와 슬리브부(26)의 각 선단이 성형품에 접촉하고, 성형품에 필요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예의 압출핀(24)에 의하면, 슬리브부(26)내에 봉형상부(25)를 설치하며, 압력 검지수단(32)은 봉형상부(25)에 가해지는 하중만을 검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압출핀(24)의 가압력은 슬리브부(26)와 봉 형상부(25)의 선단면적의 합계로 결정되며, 압력의 검지는 일정한 굵기의 봉 형상부(25)에 의해 항상 일정한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외경만이 상이한 슬리브부(26)를 다수 종류 별도로 준비하고, 전체의 외경은 가지 각색이면서 봉 형상부(25)의 굵기 등의 내부구조가 일정한 압출핀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해 놓으면, 금형의 구조, 성형품에 부딪치게 하는 위치, 성형품의 형상·크기 등의 조건에 의해, 사용하는 압출핀의 굵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압출핀(40)은 도 2에 도시된 압출핀(24) 보다도 굵은 슬리브부(46)을 가지고 있다. 전체의 외경은 도 2의 압출핀(24) 보다도 크므로 보다 큰 돌출력이 얻어지지만, 봉 형상부(25)에 가해지는 하중은 공동내의 압력이 동일하면 도 2의 압출핀(24)과 동일하며, 얻어진 신호는 보정하지 않고 도 2의 압출핀(24)과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예에 의하면, 상이한 외경의 슬리브부를 선택함으로써 압출핀 전체의 외경이 변화해도, 수압면적은 일정하며, 이 때문에 센서의 출력을 보정하지 않고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 수압면적(하중)에 따라 압력 검지수단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도 없다.
또, 본예의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24)은, 압출핀(24)의 본체와 변형센서 (34)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금형에 특별한 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종래의 압출핀에 교체하여 설치하는 것만으로 측정점을 간단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금형내의 입력 사이클의 파형 패턴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센서로서 압전변환 소자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전변환소자는 반도체인 2층의 황화 모리브덴을 은의 상부전극 하부전극에 의해 끼우고, 전체를 포리이미드 등의 절연체에 의해 피복하며, 양 전극으로부터 각각 단자를 끌어낸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의 압력 검지수단은 하중을 받은 봉형상부(25)의 하단이, 수납실(30)내에 설치된 압전변환소자를 가압하여 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구조로 한다. 슬리브부(26)나 슬리브부(26)에 안내되는 봉 형상부(25)의 선단 부근의 구조는 상술한 실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은 공동내의 압력이 가해지는 봉 형상부와, 봉 형상부의 후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봉 형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수단과, 이들을 수납하는 슬리브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슬리브부의 외경을 변경함으로써 압출핀의 직경을 변경해도 수압 면적이 일정함으로, 센서의 출력을 보정하지 않고서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압면적(하중)에 따른 설계가 불필요하게 되며, 압출핀의 굵기의 종류를 증가시키기 위해 종래 필요하였던 공수가 크게 삭감된다.
(2) 압력센서를 설치하기 위하여 금형을 가공할 필요가 없게 되어 공임이 불필요하게 된다.
(3) 금형의 부품인 압출핀 자체가 압력센서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부착이 용이함과 동시에 부품 점수가 감소한다.
(4) 공동내의 압력을 검지함으로써, 적절한 성형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5) 검지한 공동내의 압력을 표시함으로써 압력파형선을 얻을 수 있으며, 이것을 분석함으로써 적당한 게이트 시일 시기를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압력 파형선을 보면서 성형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압출핀을 공동에 다수 배치함으로써 유동해석이 가능하게 된다.
(7) 압출핀 자체가 압력센서로서의 기능을 함으로, 성형중에 발생된 압출핀의 절손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8) 금형에 가공하지 않고 압력센서의 부착이 가능함으로 금형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9) 공동내의 압력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사출압력을 적당히 억제하여 금형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10) 공동의 각 위치에 압력센서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공동내에 수지가 충전된 것을 공동내의 압력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자형판과 웅형판으로 구성되는 사출용 성형용 금형의 상기 자형판과 웅형판 사이의 공동내에 수지를 주입하여 성형하고, 그 성형품을 상기 자형판과 웅형판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때에 선단에서 상기 성형품을 가압하여 상기 형판으로부터 압출하는 압출핀에 있어서, 이 압출핀은 주입되는 수지의 압력이 선단에 가해지는 봉 형상부와, 상기 봉 형상부의 기단에 고정되어 상기 봉 형상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수단과, 상기 봉 형상부와 상기 압력 검지수단을 수납하는 슬리브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검지수단은, 상기 봉 형상부의 기단에 고정되어 상기 봉 형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기립변형부와, 상기 기립변형부에서 발생하는 변형을 검지하는 센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는 상기 봉 형상부를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봉 형상부의 선단이 상기 공동내로 향하는 개구를 선단에 구비한 안내부와, 상기 기립변형부를 수납하는 수납실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봉 형상부의 선단과, 상기 슬리브부의 안내부의 선단이 실질적으로 동일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부착식 압출핀.
KR1019980037416A 1997-09-10 1998-09-10 압력센서부착식압출핀 KR100321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84186 1997-09-10
JP28418697A JP3937525B2 (ja) 1997-09-10 1997-09-10 圧力センサ付エジェクタピ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700A KR19990029700A (ko) 1999-04-26
KR100321396B1 true KR100321396B1 (ko) 2002-06-28

Family

ID=6589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416A KR100321396B1 (ko) 1997-09-10 1998-09-10 압력센서부착식압출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3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022A (ja) * 1990-05-29 1992-02-03 Sumitomo Heavy Ind Ltd 金型内圧測定装置
JPH0788616A (ja) * 1993-09-17 1995-04-04 Olympus Optical Co Ltd ダイカスト金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022A (ja) * 1990-05-29 1992-02-03 Sumitomo Heavy Ind Ltd 金型内圧測定装置
JPH0788616A (ja) * 1993-09-17 1995-04-04 Olympus Optical Co Ltd ダイカスト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700A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7525B2 (ja) 圧力センサ付エジェクタピン
KR100341358B1 (ko) 금형이상 검출장치
EP0714344B1 (en) Apparatus for sensing pressure in mold cavity during injection of molded parts
JPH0484446A (ja) 半導体樹脂封止用金型機構
KR100258304B1 (ko) 압력 센서 부착 이젝터핀
KR100321396B1 (ko) 압력센서부착식압출핀
US11041767B2 (en) Sensing device of pressure and temperature in mold
JP2001212853A (ja) エジェクタプレート移動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KR20020083933A (ko) 버튼 부착장치의 조정방법 및 조정지그
JP4788339B2 (ja) 鋳造装置及び方法、鋳造装置のキャビティ内の圧力測定装置及び方法
JP6184452B2 (ja) 圧力センサ付ピンおよび成形装置
US5639487A (en) Mold core-pin deflection transducer
JPH08244086A (ja) 圧力検出ピン
JP2005506223A (ja) 射出成形機の型締ユニット
CN220808256U (zh) 一种模具用机械式嵌件检测结构
JP2000102959A (ja) 成形型用材料流動センサ
KR200165886Y1 (ko) 반도체 패키지의 몰딩장치
US6935188B2 (en) Surface-mounted type clamping force strain meter associated with a locating seat
JPH10156837A (ja) 離型力測定方法および樹脂成形用金型
JPS6227376Y2 (ko)
CN209747561U (zh) 一种电池壳体的封口装置
JP6640969B1 (ja) 型内の圧力及び温度検出装置
CN210211127U (zh) 一种塑胶模多零件复杂埋入成型抽屉式互换滑块开模机构
KR0130862Y1 (ko) 사출금형의 가동코아 분리장치
JPH0711317U (ja) 射出成形機におけるインサート物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