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224B1 -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224B1
KR100321224B1 KR1019980028002A KR19980028002A KR100321224B1 KR 100321224 B1 KR100321224 B1 KR 100321224B1 KR 1019980028002 A KR1019980028002 A KR 1019980028002A KR 19980028002 A KR19980028002 A KR 19980028002A KR 100321224 B1 KR100321224 B1 KR 100321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late
pair
conveyor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191A (ko
Inventor
시게마사 다키노
신이치 하야시다
Original Assignee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후쿠나가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2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08Mechanical features of drives, e.g. gears,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구성이 높고, 또한, 버퍼로부터의 인쇄판의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는, 도입 컨베이어(5)에 의해 본체프레임(4) 내로 반입한 인쇄판(S)을 상승프레임으로 들어올리고, 받아넘김유니트(13)로 받아넘긴다. 상기 받아넘김유니트는, 중간위치로부터 좌우양쪽에 각각 약 90도의 범위로 수직축선 주위로 선회함과 동시에, 선회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진퇴이동하는 개폐자유로운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인쇄판 받음아암은 승강프레임으로부터 인쇄판의 절곡부 양끝단을 유지하여, 2개의 인쇄판 재치대(23, 24)의 어느 하나에 재치한다. 이들 인쇄판 재치대에 재치된 인쇄판은, 각각의 위쪽을 오버헤드 컨베이어(2, 3)에 받아들인다.

Description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
본 발명은 제판기(製版機)로부터 반출된 인쇄판을 천장을 주행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로 받아넘기기 위한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신문 등의 인쇄에 이용되는 인쇄판은, 제판기로부터 반출된 후, 수평 컨베이어로부터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를 통해 오버헤드 컨베이어로 옮겨싣게되고, 상기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의해서 윤전기의 설치장소까지 반송되고 있다.
여기서, 인쇄판은 전체가 직사각형 형상을 한 두께 0.3mm 정도의 알루미늄제의 얇은 판자이고, 윤전기의 드럼에 장착하기 위한 절곡부가 짧은 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곡부를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자유로운 그립퍼로 단단히 쥐어 수직으로 세운상태로 반송된다.
이러한 종래의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판을 매달아 반송하는 2개의 오버헤드 컨베이어(Al, A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수평 컨베이어(A3)상을 가로방향자세로 반송되어온 인쇄판(S)은, 선회장치(A4)에 의해서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90도 방향이 바뀌어지고,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A5)의 도입 컨베이어(A6)에 세로방향으로 받아넘기게 된다.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A5)내에는, 전후방향으로 각각 쌍으로 된 무한궤도 체인(A7,A8)이 각각의 오버헤드 컨베이어(Al, A2)에 대응하여 좌우대칭으로 2세트 설치되어 있다.
각 세트의 무한궤도 체인(A7, A8)에는, 전후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의 인쇄판(S)의 절곡부를 걸어 두는 후크(K)가 간격을 두고 여러곳에 설치되고, 도입 컨베이어(A6)상에 보내진 인쇄판(S)을 좌우 어느 한 세트의 전후 한 쌍의 무한궤도 체인(A6)이 위쪽으로 들어운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무한궤도 체인(A7, A8)의 어떤 세트에 인쇄판(S)이 받아넘겨지는지에 대해서는, 선회장치(A4)로 인쇄판(S)을 90도 선회했을 때에, 그 절곡부가 좌우 어떤 방향을 향하는 가에 따른다.
인쇄판(S)을 들어올린 전후에 쌍의 무한궤도 체인(A7, A8)의 어느 하나의 세트가, 대응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쪽으로 뻗어나온 루프형상궤도를 하강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쌍의 무한궤도 체인의 주행경로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하게 되고, 인쇄판(S)의 절곡부 양끝단으로부터 후크(K)가 이탈되어, 상기 인쇄판(S)은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인쇄판 재치대(A9, Al0)의 어느 하나의 위로 내려간다.
그 후, 인쇄판 재치대상에 옮겨 실어진 인쇄판(S)은, 상기 인쇄판 재치대의 위를 통과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있는 그립퍼에 절곡부가 단단히 유지되어 다음공정으로 반송된다.
또, 선회장치(A4)와 도입 컨베이어(A6) 사이의 아래쪽으로는,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A5)로부터 어느 하나의 오버헤드 컨베이어(Al, A2)로 인쇄판(S)을 받아넘김하는 도중에 어떠한 반송상의 트러블이 있는 경우나, 별도보관판의 생산이 있는 경우에, 수평 컨베이어(A3)로부터 보내져 오는 후속의 인쇄판(S)을 일시적으로 세워서 가로방향으로 저장하는 버퍼(A11)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별도보관판이란, 제작한 인쇄판을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옮겨 싣지 않고서, 미리 저장하여 두는 것으로, 예를 들면 2,3일 후의 광고용의 인쇄판 등은 별도보관판으로서 취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는, 수평 컨베이어와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와의 사이에서 인쇄판의 방향을 90도 바꾸기 위해서 선회장치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면의 설치공간 대부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에서는, 도입 컨베이어상에서 무한궤도 체인의 후크로 절곡부를 양쪽에서 걸어 위쪽으로 들어올린 인쇄판을 인쇄판 재치대로 받아넘길 때에, 인쇄판의 절곡부 양쪽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후크를 양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이탈시키기 위해서, 무한궤도 체인의 순환경로를 3차원으로 만곡시킬 필요가 있고, 무한궤도 체인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의 가공이 곤란함과 동시에, 무한궤도 체인을 단지 수직면내로 순환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3차원으로 만곡한 순환경로를 안내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레일 등의 마모가 커져,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버퍼는, 인쇄판을 컨베이어의 반출끝단으로부터 가로방향 수평자세로 받아 들여 세워서 가로방향으로 저장하는 구조이며, 도입 컨베이어에 반입된 인쇄판은, 그 반송방향에 대하여 인쇄판이 세로방향 자세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입 컨베이어보다 상류쪽에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종래의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에서는, 버퍼는 선회장치와 도입 컨베이어의 사이의 아래쪽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판을 위쪽으로부터 회수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버퍼 전체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 후, 인쇄판을 위쪽으로 회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버퍼의 지지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여,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적게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높고, 또한, 버퍼로부터의 인쇄판의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위치에 있어서의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4는 리프터의 측면도.
도 5는 리프터의 정면도.
도 6은 받아넘김유니트의 측면도.
도 7은 받아넘김유니트의 정면도.
도 8은 받아넘김유니트의 평면도.
도 9는 인쇄판 재치대의 측면도.
도 10은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있는 그립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종래의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 2,3 : 오버헤드 컨베이어
3A : 가이드레일 3B : 체인
3C : 부착축 3D : 지지부재
3E : 힌지핀 3F : 파지레버
3G : 돌출부재 3H : 받음부재
3I : 개방로울러 4 : 본체프레임
5 : 도입 컨베이어 6 : 벨트 컨베이어유니트
7 :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 7A,7B : 반송로울러
8 : 리프터 9 : 승강프레임
9A : 위치결정판 l0 : 버퍼
11 : 가이드지주 12 : 모터
13 : 받아넘김유니트 14 : 에어실린더
14A : 신축로드 15 : 선회지지축
16 : 선회프레임 17, 18 : 축핀
19 : 로드레스 실린더 20 : 인쇄판받음프레임
21 : 인쇄판 받음아암 21A : 돌출부
22 : 로터리액츄에이터 23, 24 : 인쇄판 재치대
23A : 지지면 23B : 스토퍼
23C : 에어실린더 23D : 요동지지축
23E : 가동가이드 G :그립퍼
M : 그립퍼해방기구 P : 그립퍼개방캠
S: 인쇄판 F : 절곡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는, 각각 독립하여 인쇄판을 세워서 반송하는 2개의 평행한 오버헤드 컨베이어 사이에 탑형상의 본체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각각의 아래쪽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프레임 상부 양쪽위치에, 아래쪽을 향하여 본체프레임 중심측으로 경사진 인쇄판의 지지면을 가진 한 쌍의 인쇄판 재치대가 설치되고, 각각의 인쇄판 재치대로부터 대응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로 인쇄판을 받아넘기도록 한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로서, 본체프레임 하부에 설치되고, 인쇄판을 한 쌍의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반송방향에 긴 변을 평행하게 하여 상기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부터 본체프레임내에 수평자세로 보내주는 도입 컨베이어와, 상기 본체프레임내를 상기 도입 컨베이어의 반송면보다 아래쪽의 하강위치와 본체프레임 정상부 근방의 상승위치와의 사이에서 도입 컨베이어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여 승강하고, 도입 컨베이어상의 인쇄판을 상기 상승위치까지 수평으로 들어 올리는 승강프레임을 가지는 리프터와, 상기 본체프레임 정상부에서 중립위치로부터 좌우양측에 각각 약 90도의 범위로 수직축선 주위로 선회함과 동시에, 선회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진퇴이동하는 개폐자유로운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을 가지는 받아넘김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받아넘김유니트는,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이 중립위치에서 전진위치로 있을 경우에 상승위치로 이동한 승강프레임에 실려 있는 인쇄판을 상기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 사이에 두고 상기 인쇄판의 절곡부 양끝단에 각각의 인쇄판 받음아암 앞끝단을 걸어 넣은 후, 승강프레임의 하강에 의해서 상기 인쇄판을 세운자세로 매달아서 유지하며, 이어서 한 쌍의 받음아암을 후퇴시켜 좌우 어느 한 쪽의 선택한 방향으로 약 90도 선회하여 어느 한 쪽의 인쇄판 재치대의 지지면에 인쇄판을 대향시키고,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을 전진시킨 위치로 개방하여 상기 인쇄판 재치대의 지지면상에 인쇄판을 재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버헤드 컨베이어로 옮겨싣기 위한 인쇄판이 본체프레임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도입 컨베이어상에 반입되면, 상기 도입 컨베이어는 하강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승강프레임의 바로위 위치까지 상기 인쇄판을 반송한다.
이어서, 리프터의 승강프레임이 도입 컨베이어를 통과하여 상승하고, 상기 인쇄판을 도입 컨베이어의 반송면으로부터 떠올라 본체프레임 정상부 근방의 상승위치까지 들어 올린다.
이 때, 받아넘김유니트의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은 열린 상태로 중립위치에서 전진하여 대기하고 있고, 승강프레임에 의해서 수평으로 들어 올려진 인쇄판의 절곡부는, 상기 상승위치에서 한 쌍의 받음아암의 사이에 놓인다.
이어서, 양쪽의 인쇄판 받음아암이 닫히고 각각의 앞끝단이 인쇄판의 절곡부 양끝단에 걸려 들어간 후, 승강프레임이 하강하고, 인쇄판은 양쪽의 받음아암 앞끝단을 축으로 하여 자중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인쇄판을 매달아 내리고 있는 상기 한 쌍의 받음아암을 후퇴시키고 나서, 수직축선 주위에 중립위치로부터 약 90도 좌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선회시켜, 어느 한쪽의 인쇄판 재치대의 지지면에 상기 인쇄판을 대향시킨다.
다음에, 이들 받음아암을 전진시켜서 인쇄판을 상기 지지면에 접근시키고, 여기에서 이들 인쇄판 받음아암을 양 바깥쪽으로 열면, 상기 인쇄판은 인쇄판 재치대의 지지면상에 낙하하여 재치된다.
인쇄판 재치대상에 재치된 인쇄판은, 위쪽으로 이동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받아들여지고 원하는 장소로 반송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평면도로서,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1)는, 건물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평행한 오버헤드 컨베이어(2,3)의 아래쪽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고, 탑형상의 본체프레임(4)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4) 하부에는, 인쇄판(S)을 상기 한 쌍의 오버헤드 컨베이어(2,3)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긴 변을 평행하게 하여 상기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체프레임(4)내로 보내주는 도입 컨베이어(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입 컨베이어(5)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판기로 제판된 인쇄판(S)이 수평 컨베이어(B)를 통해 수평자세로 공급된다.
도 3은, 도 1의 A-A선 위치에서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입 컨베이어(5)는, 상기 수평 컨베이어(B)에서 받아들인 인쇄판(S)을 본체프레임(4)내로 보내주는 4열의 반송벨트를 가지는 수평한 벨트 컨베이어유니트(6)와, 그 반송방향 하류쪽에 연이어 설치되어 본체프레임(4)내에 배치되어 있는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7)의 2개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7)는 또한, 반송방향 전후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긴 반송로울러(7A)와, 이들 반송로울러(7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4개의 짧은 반송로울러(7B)로 구성되고, 이들 반송로울러(7A,7B)는 벨트 컨베이어유니트(6)와 함께 구동되어 상기 벨트 컨베이어유니트(6)로부터 인쇄판(S)을 받아들이며, 후술하는 리프터(8)의 승강프레임(9)의 위쪽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7)의 반송방향 하류끝단에는, 버퍼(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버퍼(10)는 인쇄판(S)을 세워서 가로방향으로 복수매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1)로부터 오버헤드 컨베이어(2,3)로의 인쇄판의 옮겨 싣는 동작에 어떠한 장해가 발생할 경우나 별도보관판의 생산시에는, 수평 컨베이어(B)쪽에서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1)로 보내져 온 인쇄판(S)은 버퍼로 배출된다. 상기 버퍼(10)에 저장된 인쇄판(S)은 사람 손으로 위쪽으로 꺼내어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7)를 구성하고 있는 반송로울러(7A,7B) 사이는 서로 틈새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리프터(8)의 승강프레임(9)이 상기 틈새를 통과하여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리프터(8)의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승강프레임(9)은, 가이드지주(11)에 승강 자유롭게 안내지지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지주(11)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12)에 의하여 체인전동기구를 통해 승강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9) 표면에는, 인쇄판(S)의 전후좌우 양방향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결정판(9A)이 여러곳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9)은 상기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7)의 반송면보다 아래쪽의 하강위치와, 오버헤드 컨베이어(2,3)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프레임(4)의 정상부 근방의 상승위치와의 사이를 승강하고, 반송로울러(7A,7B) 상에 지지되어 있는 인쇄판(S)을 상기 상승위치까지 수평자세 그대로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4)의 정상부에는, 받아넘김유니트(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아넘김유니트(l3)는, 도 6 내지 도 8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에어실린더(14)에 의해서, 수직한 선회지지축(15) 주위에 중립위치의 좌우양쪽으로 90도 선회되는 선회프레임(16)을 가지고 있다.
상기 2개의 에어실린더(14)의 각 신축로드(14A)의 앞끝단은, 공통의 축핀(17)으로 선회프레임(16)쪽에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고, 또한, 각각의 에어실린더(14)의 기초끝단부는, 축핀(18)으로 본체프레임(4)쪽에 회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선회프레임(16)이 중립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이들 에어실린더(14)의 신축로드(14A)는 함께 수축하고 있다. 이 상태로 이들 에어실린더(14)의 한쪽의 신축로드(14A)를 신장시키면, 선회프레임(16)은, 선회지지축(15)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약 90도 선회되고, 또한, 다른쪽의 에어실린더(14)의 신축로드(14A)를 신장시키면 역방향으로 약 90도 선회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중립위치에서 양쪽으로 약 90도 범위로 선회프레임(16)을 선회시키기 위해서 에어실린더(14)를 2개 이용하고 있지만, 선회프레임(16)의 상기 선회동작은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에어실린더의 직선구동력을 랙크피니온기구로 회전구동력으로 바꾸어 행하거나, 혹은 모터로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선회프레임(16)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로드레스 실린더(19)에 의해서, 선회프레임(16)의 선회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하여 수평으로 진퇴구동되는 인쇄판 받음프레임(20)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인쇄판 받음프레임(20)의 양끝단에는, 앞끝단에 갈고리형상의 돌출부(21A)가 형성되어 있는 인쇄판 받음아암(21)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인쇄판 받음아암(21)은, 함께 구동되는 2개의 로터리액츄에이터(22)에 의해서 개폐동작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오버헤드 컨베이어(2,3) 각각의 아래쪽으로 대응하는 본체프레임(4) 상부 양쪽위치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본체프레임 중심쪽으로 경사진 지지면을 갖는 한 쌍의 인쇄판 재치대(23,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인쇄판 재치대(23,24)는,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의 인쇄판 재치대(23)의 구조만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판 재치대(23)는 인쇄판(S)이 지지되는 경사진 지지면(23A)를 갖고 있으며, 그 하부에는 인쇄판(S)의 아래쪽의 끝단면을 지지하는 스토퍼(23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면(23A)의 상부에는, 에어실린더(23C)에 의하여 도 9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후퇴위치와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적재위치 사이에서 요동지지축(23D) 주위로 요동하는 가동가이드(23E)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가동가이드(23E)가 후퇴위치에 있을 때는, 인쇄판 재치대(23)에 재치되어 있는 인쇄판(S)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부(F)는, 오버헤드 컨베이어(3)에 설치되어 있는 그립퍼(G)에 간섭하지 않도록, 그 이동경로로부터 본체프레임(4)쪽으로 후퇴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동가이드(23E)를 적재위치로 요동시키면, 인쇄판 재치대(23)에 지지되어 있는 인쇄판(S)의 절곡부(F)는, 상기 그립퍼(G)의 통과위치로 이동하고, 인쇄판(S)을 그립퍼(G)에 받아넘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그립퍼(G)는, 오버헤드 컨베이어(3)의 가이드레일(3A) 안쪽을 순환주행하는 체인(3B)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는 부착축(3C)의 하단에 고정된 지지부재(3D)와, 상기 지지부재(3D)에 힌지핀(3E)으로 개폐 자유롭게 연결된 파지레버(3F)를 가지며, 상기 파지레버(3F) 앞끝단에 설치된 돌출부재(3G)와 지지부재(3D)에 부착된 받음부재(3H)와의 사이에서 인쇄판(S)의 절곡부(F)를 단단히 쥐게 되어 있다.
상기 파지레버(3F)는, 상기 힌지핀(3E)에 부착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항상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상기 파지레버(3F)는, 회전자유로운 개방로울러(3I)를 갖고 있고, 도 9에 나타내는 인쇄판 재치대(23) 위쪽의 가이드레일(3A)에 부착되어 있는 그립퍼 개방기구(M)의 그립퍼개방캠(P) 하면에서 상기 개방로울러(3I)가 밀어내려지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판 재치대(23)에 재치된 인쇄판(S)의 절곡부(F)가 그립퍼(G)의 이동에 의해서 돌출부재(3G)와 받음부재(3H)와의 사이에 들어가면, 그 타이밍에 맞추어 상기 그립퍼개방캠(P)은 위쪽으로 이동하고, 파지레버(3F)가 상기 코일스프링의 가압력으로 닫히고 인쇄판 재치대(23)상의 인쇄판(S)이 오버헤드 컨베이어(3)로 짐을 싣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판기로부터 수평 컨베이어(B)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반송되어 온 인쇄판 (S)은 도입 컨베이어(5)로 방향을 바꾸지 않고 진입하며, 상기 도입 컨베이어(5)를 구성하고 있는 벨트 컨베이어유니트(6)로부터 본체프레임(4)내의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7)로 이동한다.
이 때, 리프터(8)의 승강프레임(9)은, 상기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7)의 반송면 아래쪽의 하강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인쇄판(S)이 승강프레임(9)의 바로위까지 반송되어 오면,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인쇄판(S)을 검지하고, 그 검지신호에 의해서 도입 컨베이어(5)는 정지한다.
이어서 승강프레임(9)이 도 3에 나타내는 반송로울러(7A,7B)의 틈새를 통과하여,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7)상의 인쇄판(S)을 들어올리고, 상승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때, 받아넘김유니트(13)는, 선회프레임(16)을 중립위치로 향하고, 인쇄판 받음프레임(20)을 전진시킨 위치에서,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21)을 양쪽으로 열어 대기하고 있다.
승강프레임(9)의 상승위치까지 들어올려진 인쇄판(S)의 절곡부(F)는, 도 6의 (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한 쌍의 받음아암(21)의 사이에 침입한다. 이어서, 양쪽의 받음아암(21)이 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전동작하여 닫히고, 각각의 앞끝단의 돌출부(21A)가 인쇄판의 절곡부(F) 양끝단에 걸린 후에 승강프레임(9)은 하강하고,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7) 아래쪽의 하강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렇게 하면, 승강프레임(9)에 지지되지 않게 된 인쇄판(S)은, 양측의 받음아암(21)의 돌출부(21A)를 축으로서 자중으로 회전동작하고, 도 6의 (나)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받음아암(21)에 절곡부(F)가 양측에서 지지되어 아래로 늘어뜨려지게 된다.
다음에, 인쇄판 받음프레임(20)을 후퇴시키고, 인쇄판(S)을 동 도면(다)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예컨대 인쇄판(S)을 한쪽의 오버헤드 컨베이어(3)에 옮겨 싣는 경우에는, 선회프레임(6)을 인쇄판 재치대(23)측에 약 90도 선회시켜, 상기 인쇄판(S)을 도 9에 나타내는 지지면(23A)에 대향시킨다.
이어서, 인쇄판 받음프레임(20)을 전진시켜, 인쇄판(S)을 상기 지지면(23A)에 접근시키고 나서 한 쌍의 받음아암(21)을 양 바깥쪽으로 열면, 상기 인쇄판(S)은 상기 인쇄판 재치대(23)의 지지면(23A) 상에 낙하하고, 그 아래쪽의 짧은 변은 스토퍼(23B)에 의해서 받쳐져 고정된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인쇄판(S)을 받아넘김유니트(13)로부터 인쇄판 재치대(23)로 옮길 때에, 인쇄판(S)의 지지면(23)측과 반대쪽 면에 노즐로부터 공기를 내뿜고, 그 압력에 의해 인쇄판(S)을 지지면(23A)쪽으로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인쇄판 재치대(23)상에 재치된 인쇄판(S)은, 오버헤드 컨베이어(3)의 상류쪽으로부터 이동하여 온 그립퍼(G)가 비어 있을 경우에는, 가동가이드(23E)를 가상선의 적재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인쇄판(S)의 절곡부(F)의 위치를 그립퍼(G)가 통과하여, 오버헤드 컨베이어(3)로 인쇄판(S)을 받아넘길 수 있다.
또한, 인쇄판 재치대(23)에 상류쪽에서 이동하여 온 오버헤드 컨베이어(3)의 그립퍼(G)가 다른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로부터 옮겨 실어진 인쇄판을 이미 유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가동가이드(23E)를 실선의 후퇴위치까지 후퇴시켜 둠으로써, 그립퍼(G)에 단단히 유지된 인쇄판은 인쇄판 재치대(23)상의 인쇄판(S)과 충돌하지 않고 인쇄판 재치대(23)의 바깥쪽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인쇄판 재치대(23)로 가까이 온 그립퍼(G)가 비어있는지 어떤지에 대해서는, 오버헤드 컨베이어(3)의 상류쪽에 설치되는 적재센서로 검지하고 있어, 그립퍼(G)가 비어 있는 것을 상기 적재센서가 검지했을 때 가동가이드(23E)를 적재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받아넘김유니트(13)는, 한 쌍의 받음아암(21)이 인쇄판(S)을 개방한 후, 인쇄판 받음프레임(20)을 전진시킨 그대로의 상태에서, 선회프레임(6)을 중립위치로 복귀시켜 다음에 옮겨 싣는 인쇄판에 준비하여 대기한다.
또한, 오버헤드 컨베이어(2)에 인쇄판(S)을 싣는 경우는, 받아넘김장치(13)의 선회프레임(16)을 상기의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약 90도 선회하여 인쇄판을 인쇄판 재치대(24)로 받아넘기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입 컨베이어(5)를 벨트 컨베이어 유니트(6)와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7)로 구성하고 있지만, 로울러 컨베이어유니트만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받아넘김유니트(13)의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21) 각각의 로터리액츄에이터(22)를 연결하여 개폐하도록 하고 있으나, 로터리액츄에이터(22) 대신에 실린더장치로 개폐동작을 하여도 되고, 또한, 이들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21)끼리를 링크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연속동작시켜, 하나의 구동원으로 개폐동작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에 의하면, 상승위치로 이동한 승강프레임으로부터 받아넘김유니트가 한 쌍의 받음아암으로 인쇄판을 받아들이고, 여기서 인쇄판의 방향을 바꾸어 2개의 인쇄판 재치대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바뀌어 실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인쇄판의 옮겨싣는 장치와 같이 도입 컨베이어의 상류쪽에 인쇄판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선회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설치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컨베이어로부터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의 도입 컨베이어로는, 인쇄판을 가로방향 자세로 반입할 수 있으므로, 인쇄판을 세워 가로방향으로 저장하는 버퍼를 도입 컨베이어의 끝단에 배치할 수가 있어, 버퍼로부터의 인쇄판의 회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입 컨베이어상의 인쇄판을 리프터의 승강프레임으로 들어 올린 후, 받아넘김유니트의 한 쌍의 받음아암으로 매달아 늘어뜨려서 인쇄판 재치대로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옮겨싣는 장치와 같이 3차원으로 만곡한 가이드레일을 순환주행하는 무한궤도 체인을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가이드레일 등이 조기에 마모할 우려도 없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각 독립하여 인쇄판을 아래로 늘어뜨려 반송하는 2개의 평행한 오버헤드 컨베이어 사이에 탑형상의 본체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각각의 아래쪽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프레임 상부 양쪽위치에, 아래쪽을 향하여 본체프레임 중심쪽으로 경사진 인쇄판의 지지면을 가진 한 쌍의 인쇄판 재치대가 설치되며, 각각의 인쇄판 재치대로부터 대응하는 오버헤드 콘베이어에 인쇄판을 받아넘기도록 한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에 있어서,
    인쇄판을 한 쌍의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반송방향으로 긴 변을 평행하게 하여 상기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에서 본체프레임내에 수평자세로 보내주는 도입 컨베이어와,
    상기 본체프레임내를 상기 도입 컨베이어의 반송면보다 아래쪽의 하강위치와 본체프레임 정상부 근방의 상승위치와의 사이에서 도입 컨베이어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여 승강하고, 도입 컨베이어상의 인쇄판을 상기 상승위치까지 수평으로 들어 올리는 승강프레임을 가지는 리프터와,
    상기 본체프레임 정상부에서 중립위치로부터 좌우양쪽에 각각 약 90도의 범위로 수직축선 주위를 선회함과 동시에, 선회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하여 수평으로 진퇴이동하는 개폐자유로운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을 가지는 받아넘김유니트를 구비하며,
    상기 받아넘김유니트는,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이 중립위치나 또 전진위치에 있을 때에 상승위치로 이동하는 승강프레임에 실려 있는 인쇄판을 상기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의 사이에 두고, 상기 인쇄판의 절곡부 양끝단에 각각의 인쇄판 받음아암 앞끝단을 걸어 넣은 후, 승강프레임의 하강에 의해 상기 인쇄판을 아래로 늘어뜨린 자세로 매달아서 유지하고, 이어서 한 쌍의 받음아암을 후퇴시켜 좌우 어느 하나로 선택한 방향으로 약 90도 선회하여 어느 한쪽의 인쇄판 재치대의 지지면에 인쇄판을 대향시키고, 그 위에 한 쌍의 인쇄판 받음아암을 전진시킨 위치로 개방하여 상기 인쇄판 재치대의 지지면상에 인쇄판을 재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
KR1019980028002A 1997-08-11 1998-07-11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 KR100321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16544 1997-08-11
JP9216544A JPH1158675A (ja) 1997-08-11 1997-08-11 刷版移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91A KR19990023191A (ko) 1999-03-25
KR100321224B1 true KR100321224B1 (ko) 2002-03-08

Family

ID=1669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002A KR100321224B1 (ko) 1997-08-11 1998-07-11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58675A (ko)
KR (1) KR1003212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91A (ko) 1999-03-25
JPH1158675A (ja) 199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4570A (ja) 平らな物品のスタックを把持及び搬送する装置
GB2103562A (en) Pallet loading apparatus
JPS59158739A (ja) 箱体供給装置
CN213678703U (zh) 翻面输送设备
KR100321224B1 (ko) 인쇄판 옮겨싣는 장치
JPH09328923A (ja) 自転車駐車装置
KR100594045B1 (ko) 이송 프레스의 작업물 반송 구동장치 및 방법
CN210236321U (zh) 一种多片状物件定时分批传递运输机
JP3167746B2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板材搬送位置決め装置
CN210117007U (zh) 收放板机
JP4515662B2 (ja) 給紙方法
JP3252528B2 (ja) 成形品積込方法およびその装置
RU22370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борки стопы плоских предметов, в частности печатных изделий
JP3044110B2 (ja) パレット移送装置
JPH0649540Y2 (ja) 物品の搬送装置
JPH0719790Y2 (ja) 刷版搬出装置
JP2525940Y2 (ja) 刷版載荷移送装置
JP3003652U (ja) コンテナ自動折畳み装置
JPH058258Y2 (ko)
JPH0350113Y2 (ko)
JP2571420Y2 (ja) 自動倉庫
JP3396252B2 (ja) 容器グリップヘッド交換装置
KR860000622B1 (ko) 팔레트(pallet) 하적(荷積)장치
JPH0379247B2 (ko)
JPH053348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