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400B1 - 도자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400B1
KR100320400B1 KR1019990023357A KR19990023357A KR100320400B1 KR 100320400 B1 KR100320400 B1 KR 100320400B1 KR 1019990023357 A KR1019990023357 A KR 1019990023357A KR 19990023357 A KR19990023357 A KR 19990023357A KR 100320400 B1 KR100320400 B1 KR 100320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heat treatment
primary
manufacturing
porcel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176A (ko
Inventor
김외준
Original Assignee
김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외준 filed Critical 김외준
Priority to KR1019990023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400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3Coating with a layer; Stuffing, laminating, binding, or compressing of original meat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발명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은 유약의 특성을 이용하지 않고 성형 과정에서 도자기 표면이 자연적으로 갈라진 모양으로 제조함으로써 인위적인 자연미를 향상하고, 나아가 도자기를 운반할 때에 손바닥에서 도자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목적으로, 고령토에 점포, 황토, 및 사토 중에 하나 이상을 섞은 반죽물을 완제품보다 작은 크기로 성형하는 1차성형단계, 상기 1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1차성형물의 표면을 선택하여 열로 가열하는 표면열처리단계, 상기 표면열처리단계에서 나오는 표면열처리성형물을 완제품과 동일한 크기로 성형하는 2차성형단계, 상기 2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2차성형물을 공지된 온도로 초벌구이 및 재벌구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상기 표면열처리단계의 전후에 표면에 색상과 모양을 부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자기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TTERY}
본 발명은 도자기의 표면에 자연적인 모양을 형성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자기의 성형 작업을 이중으로 함으로써 도자기 표면에 수작업으로 자연적인 갈라진 모양을 형성하여 도자기의 자연미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의 제작방법은 고령토, 점토, 사토 및 황토를 섞어서 반죽한 뒤, 이 반죽물을 수작업 또는 형틀을 이용하여 성형하고, 이 성형물을 700℃ ∼ 800℃의 온도로 초벌구이하며, 초벌구이를 실시한 성형물을 유약으로 유약 처리한 후에 다시 1200℃ ∼ 1300℃의 온도로 재벌구이를 실시하여 완성된 도자기를 제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약은 규석, 장석, 석회석, 바륨, 아연, 티타늄을 소정량의 물에 투입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수작업으로 초벌구이한 성형물을 담그거나 기계적으로 성형물에 분사하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도자기를 만들 때, 초벌 및 재벌시 가마온도는 최대한 빠른 시간에 적정온도로 상승시킨 다음, 최대한 빠른 시간에 온도를 낮추는 과정이 요구되는 것이다.
도자기의 표면에 결정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1989년 특허공고 제3926호 '도자기류의 결정문양 창출, 확장 방법'이 공지된 바 있으며, 그 요지는 여러 재료가 복합된 유약을 도자기류의 표면에 도포한 다음, 1250 - 1320℃까지 가열하여 냉각한 다음 다시 상기 온도 보다 100 - 300℃ 낮은 온도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를 2 - 10시간 유지시켜 결정문양을 창출, 확장시키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1989년 특허공고 제1543호는 '도자기류의 결정문양 창출 및 확장을 위한 결정문양 생성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장석 30-40중랑%, 규석 10-20중량%, 산화아연 20-30중량%, 고령토 5-10중량%, 탄산바륨 5-10중량%, 탄산칼륨 5-10중량% 및 공지의 착색원료 0.5-3중량%로 구성된 결정문양 생성유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유약의 특성만을 이용하여 도자기 표면을 생성하기 때문에 도자기의 다양한 표면을 형성하지 못하고 항상 매끄러운 도자기만 제조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어느 기술에서도 도자기의 표면에 자연적으로 갈라짐을 창출하지 못하여 표면이 갈라진 자연미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약의 특성을 이용하지 않고 성형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갈라지는 모양을 도자기 표면층에 제조함으로써, 인위적인 자연미를 향상하고, 나아가 도자기를 운반할 때에 손바닥에서 도자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자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령토, 점토, 사토 및 황토를 섞은 반죽물을 성형하여 2차례 굽기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령토에 점포, 황토, 및 사토 중에 하나 이상을 섞은 반죽물을 완제품보다 작은 크기로 성형하는 1차성형단계, 상기 1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1차성형물의 표면을 선택하여 열로 가열하는 표면열처리단계, 상기 표면열처리단계에서 나오는 표면열처리성형물을 완제품과 동일한 크기로 성형하는 2차성형단계, 상기 2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2차성형물을 공지된 온도로 초벌구이하는 초벌구이단계, 상기 초벌구이단계에서 나오는 성형물을 유약 처리하는 유약처리단계, 그리고 유약처리단계에서 나오는 성형물을 재벌구이하여 도자기를 완성하는 재벌구이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령토, 점토, 사토 및 황토를 섞어서 반죽한 반죽물을 두차례 성형하여 두차례 굽기과정을 거쳐서 도자기를 만들게 되는 것으로서, 도자기 반죽물의 모든 재료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고령토에 점포, 황토, 및 사토 중에 하나 이상을 섞은 반죽물을 1차성형단계, 표면열처리단계, 2차성형단계를 실시한 후, 유약처리단계 및 초벌, 재벌구이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고령토 30 ~ 50중량%, 점토 20 ~ 40중량%, 사토 20 ~ 40중량% 및 황토 5 ~ 15중량%를 반죽한 반죽물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1차성형단계는 완제품보다 작은 크기로 성형하게 되며, 이는 2차성형단계로 완제품을 만들기 위한 것이고, 2차성형시에 표면에 수작업으로 자연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표면열처리단계는 상기 1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1차성형물의 표면을 선택하여 열로 가하게 되는 것으로서, 1차성형물의 표면이 살짝 열처리될 정도의 단시간 동안 가스불을 분사하는 토치를 사용하여 표면 열처리하게 되며, 표면이 완전히 굳게 되는 것이 아니라 반죽물 상호간의 점성이 제거될 정도로 처리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표면열처리단계에서 외부 중앙 둘레면 전체에 갈라진 모양을 형성하기 위해서 중앙 둘레면 전체면에 표면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작업자가 표면 열처리단계에서 토치로 표면에 글씨나 그림 모양으로 표면 열처리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표면열처리단계에서 나오는 표면열처리성형물을 완제품과 동일한 크기 즉 미리 만들어 놓은 형틀이나 작업자의 손을 1차성형물의 내부공간에 넣고 1차성형물의 내부직경을 크게 하여 만들고져 하는 크기로 다시 성형하는 2차성형단계에서, 열처리하지 않은 부분 즉 외부 표면의 열처리하지 않은 부분과 내부면 등은 반죽물의 점성 등에 의하여 갈라지지 않지만, 열처리한 부분은 반죽물 상호간의 점성 등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열처리한 위치 또는 부분이 자연스럽게 갈라지게 된다.
즉 사용자가 표면 중앙 둘레면 전체에 표면 열처리한 경우에는 중앙 둘레면 전체에 갈라진 모양이 형성되어 갈라진 모양을 보유한 도자기를 굽을 수 있고, 사용자가 글씨나 모양으로 표면 열처리한 경우에는 갈라진 모양에 의하여 글씨나 모양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2차성형단계를 완료한 성형물은 공지된 온도로 초벌구이하게 되고, 상기 초벌구이단계에서 나오는 성형물을 유약 처리하게 되며, 유약처리단계에서 나오는 성형물을 공지의 온도로 재벌구이하는 재벌구이단계에서 도자기로 완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도자기는 표면에 인위적으로 자연스럽게 표면에 갈라진 모양이 발생되어 일반인에게 자연미를 제공하고, 일반인이 도자기를 잡고 운반할 경우에 갈라진 부분에 의하여 손바닥과의 미끄럼이 제거되어 용이하게 들고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예로써 상기 1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1차성형물을 표면열처리할 위치에 수작업으로 모양을 조각하거나 갈라지는 위치에 인위적으로 틈을 형성하는 수작업처리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모양을 조각한 1차성형물이 표면열처리 및 2차성형단계를 마친 후에는 조각한 모양과 갈라진 모양이 어울려 더욱 아름다운 자연미를 갖추게 된다.
또한 조각칼등을 이용하여 수잡업으로 미리 틈을 형성함으로써 이 틈이 용이하게 갈라져 도자기의 갈라지는 모양을 인위적으로 조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또다른 예로서 1차성형단계 또는 2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성형물의 표면에 흰색 화장토를 칠하는 화장토도포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흰색이 갈라지는 모양을 표면에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1차성형물의 표면에 화장토를 칠한 뒤, 표면의 소정 위치에 표면열처리하고, 2차성형을 실시하여 화장토가 1차성형물의 표면과 함께 갈라지게 되는 것으로서, 자연스럽게 흰색 화장토가 갈라지는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2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2차성형물의 표면에 수작업으로 흰색 화장토를 칠하는 화장토도포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흰색에 의하여 갈라진 모양이 형성된 부위에 내부의 반죽물 색상과 대비하여 더욱 아름다운 자연미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또다른 한편 본 발명은 또다른 예로서 상기 초벌구이단계에서 나오는 성형물을 소금물로 적시고 유약 처리하여 두차례의 구이단계에서 소금이 녹아 도자기의 표면에 특수한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자기를 제조할 경우, 1차성형과 2차성형 사이에 표면 열처리를 실시하여 2차성형시에 열처리한 표면만 자연스럽게 갈라지게 만드는 것으로서, 표면 열처리 전후에 흰색 화장토를 칠함으로써 표면의 아름다움을 한층 증대하게 되며, 또한 표면 열처리를 다양하게 구사하여 갈라지는 표면 모양이 더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갈라지는 모양을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방법은 항아리 등의 형상의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나. 접시등의 형상이 도자기를 제조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또다른 예인 평면 형상의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써, 1차성형단계에서 두꺼운 평판으로 성형하고, 상기 1차성형물의 내면에 흰색 화장토를 도포하고, 화장토를 도포한 1차성형물의 내면에 표면열처리를 한 뒤, 롤러를 이용하여 2차 성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2차성형단계에서 표면이 1차성형물의 표면적보다 넓어지게 되므로 표면 열처리한 내면에 갈라진 모양이 형성되어진다.
물론 상기와 같이 2차성형단계에서 롤러를 사용하게 되면 표면이 갈라지면서도 표면이 평평하게 유지하게 되며, 갈라지는 형상이 상기 흰색 화장토에 의하여 표면에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흰색 화장토를 도포하는 것을 외면에 실시하고, 그 외면에 표면열처리를 한 뒤에 2차성형단계에서 외면에 갈라진 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 내면과 외면 전부에 표면열처리를 실시하여 접시 등의 도자기가 전반적으로 평평하면서도 갈라진 모양을 자연스럽게 창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두 차례로 성형하되 성형단계 사이에서 표면열처리를 실시하여 최종 성형시에 갈라진 모양을 보유한 표면을 용이하게 만들수 있다.
한층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두 개의 실시예를 주합하여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는 바, 평판모양으로 1차성형한 1차성형물과 항아리모양으로 1차성형한 1차성형물에서 , 평판모양의 1차성형물의 일측 표면에 표면 열처리를 실시하고, 표면열처리한 평판모양의 1차성형물을 항아리모양의 1차성형물에 표면에 접합한 뒤, 접합한 1차성형물을 2차성형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표면 모양을 보유한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 유사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완성품보다 작은 크기로 1차성형을 하고 표면 열처리후, 2차성형으로 완제품을 만듦으로써, 성형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갈라진 모양을 수작업으로 제조하여 자연미를 보유한 도자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완성된 도자기를 운반할 때, 표면에 갈라진 모양으로 인하여 손바닥에서 도자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고령토, 점토, 사토 및 황토를 섞은 반죽물을 성형하여 두차례 굽기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령토에 점포, 황토, 및 사토 중에 하나 이상을 섞은 반죽물을 완제품보다 작은 크기로 성형하는 1차성형단계,
    상기 1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1차성형물의 표면을 선택하여 열로 가열하는표면열처리단계,
    상기 표면열처리단계에서 나오는 표면열처리성형물의 내부직경을 크게 하여 완제품과 동일한 크기로 성형하는 2차성형단계,
    상기 2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2차성형물을 공지된 온도로 초벌구이하는 초벌구이단계,
    상기 초벌구이단계에서 나오는 성형물을 유약 처리하는 유약처리단계,
    그리고 유약처리단계에서 나오는 성형물을 공지된 온도로 재벌구이하여 도자기를 완성하는 재벌구이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1차성형물을 상기표면열처리 단계 전에 표면 열처리할 위치에 수작업으로 모양의 조각작업과 틈의 형성작업 중의 하나 이상으로 처리하여 모양과 틈중의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수작업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자기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1차성형물의 표면에 흰색 화장토를 칠하는 화장토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자기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성형단계에서 나오는 2차성형물의 표면에 수작업으로 흰색 화장토를 칠하는 화장토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자기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구이단계에서 나오는 성형물을 소금물로 적시고 유약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1차성형단계에서 두꺼운 평판으로 성형하고, 상기 1차성형물의 내면과 외면중의 하나 이상에 흰색 화장토를 도포하고, 화장토를 도포한 1차성형물의 내면 또는 외면에 표면 열처리하며, 롤러를 이용하여 2차 성형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KR1019990023357A 1999-06-16 1999-06-16 도자기 제조방법 KR100320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357A KR100320400B1 (ko) 1999-06-16 1999-06-16 도자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357A KR100320400B1 (ko) 1999-06-16 1999-06-16 도자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176A KR20010003176A (ko) 2001-01-15
KR100320400B1 true KR100320400B1 (ko) 2002-01-12

Family

ID=1959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357A KR100320400B1 (ko) 1999-06-16 1999-06-16 도자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40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496B1 (ko) * 2008-05-15 2009-08-31 이은구 사토를 포함한 도자기소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청사기제작방법
KR100914497B1 (ko) * 2008-05-15 2009-08-31 이은구 다공질 도자기를 위한 소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완제작방법
KR101083757B1 (ko) 2009-04-02 2011-11-18 탁원대 철분이 함유된 사토 배합 분장토기법을 사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20190084281A (ko) 2016-12-26 2019-07-16 가부시키가이샤 사이게임스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261324B1 (ko) * 2020-03-26 2021-06-07 (주)거창유기 표면에 무늬가 형성된 유기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496B1 (ko) * 2008-05-15 2009-08-31 이은구 사토를 포함한 도자기소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청사기제작방법
KR100914497B1 (ko) * 2008-05-15 2009-08-31 이은구 다공질 도자기를 위한 소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완제작방법
KR101083757B1 (ko) 2009-04-02 2011-11-18 탁원대 철분이 함유된 사토 배합 분장토기법을 사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20190084281A (ko) 2016-12-26 2019-07-16 가부시키가이샤 사이게임스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261324B1 (ko) * 2020-03-26 2021-06-07 (주)거창유기 표면에 무늬가 형성된 유기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176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31824A (zh) 一种黑金花釉陶瓷的制作方法
KR100908305B1 (ko) 결정유 도자기 제조방법
KR100320400B1 (ko) 도자기 제조방법
KR20000036284A (ko)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N1051066C (zh) 釉面开片的陶瓷器皿及其制作方法
KR101692878B1 (ko) 흑자유 도자기 제조방법
KR20100138750A (ko)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CN104387091A (zh) 一种高档陶瓷釉下彩制造装饰方法
KR100512601B1 (ko) 도자기 표면에 물방울 형상을 형성시키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1295499B1 (ko) 도자기 제조방법
KR20020092500A (ko) 도자기의 입체무늬 형성용 입체부착부재의 조성물
KR102067209B1 (ko) 청자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11831A (ko) 도자기 표면에 돌기 무늬를 형성시키는 유약 및 그 유약을사용하여 제작된 도자기
KR20170101068A (ko)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도금 도자기 제조방법
JP2817332B2 (ja) 装飾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3757B1 (ko) 철분이 함유된 사토 배합 분장토기법을 사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CN108002701A (zh) 一种珍珠气泡釉陶瓷及其制备方法
JP3575377B2 (ja) 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51838A (ja) 人造星砂等の飾りをちりばめた陶磁器の製造方法
RU2717135C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эмалевого покрытия
JPH0532470A (ja) 色彩模様を有する施釉セラミツクス製品の製造方法
KR20060095152A (ko) 분청을 주재로 한 도예도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263683A (ja) ガラス肌模様陶磁器の製造方法
JP2020037504A (ja) 装飾品の製作方法、装飾品、及び組成物
CN113415992A (zh) 一种自发光釉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