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158B1 - 케이블고정구를유지하는단일금속셸을갖춘케이블커넥터를갖는투-피스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고정구를유지하는단일금속셸을갖춘케이블커넥터를갖는투-피스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158B1
KR100320158B1 KR1019980011125A KR19980011125A KR100320158B1 KR 100320158 B1 KR100320158 B1 KR 100320158B1 KR 1019980011125 A KR1019980011125 A KR 1019980011125A KR 19980011125 A KR19980011125 A KR 19980011125A KR 100320158 B1 KR100320158 B1 KR 100320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insulator
connector
flat cable
metal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901A (ko
Inventor
도시오 마쓰모토
노브카즈 가토
Original Assignee
카나이 히사오 ; 나가토시 다쯔미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나이 히사오 ; 나가토시 다쯔미,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나이 히사오 ; 나가토시 다쯔미
Publication of KR1998008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랫 케이블(7)을 투-피스 전기 커넥터(1)의 케이블 커넥터 부재(3)에 고정시키는 것은 슬라이더(10)를 플랫 케이블(7)의 일단부와 함께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시키므로써 수행된다. 금속 셸(13)은 그안의 슬라이더(10)를 고정식으로 지지하고 전자차폐를 제공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20)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넥터 하우징(20)을 위한 슬라이더(10)의 삽입 및 제거는 커넥터 하우징(20)에서 금속 셸(13)의 미끄럼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구를 유지하는 단일 금속셸을 갖춘 케이블 커넥터를 갖는 투-피스 전기 커넥터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을 연결 객체에 연결시키기 위한 투-피스 전기 커넥터, 특히 전자 차폐용 금속 셸을 갖는 투-피스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유형의 투-피스 전기 커넥터는 예를들어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된다. 이러한 투-피스 전기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연결객체에 장착된 결합 커넥터 부재와 플랫 케이블에 장착된 케이블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블 커넥터 부재는 플랫 케이블과 인쇄회로기판간에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 커넥터 부재와 결합된다.
플랫 케이블로서, 가요성 플랫 케이블(FFC), 가요성 인쇄회로(FPC)등이 알려져 있다. 플랫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 컨덕터가 내장된 두 개의 적층을 갖는 막 또는 절연체 시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접지 패턴은 일반적으로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전자기 간섭을 억압하기 위해 전자차폐로서 절연체막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표면에 코팅된다.
본 발명에 대한 공동 발명자중의 한 명은 다른 공동 발명자와 함께 상기 투-피스 커넥터를 발명하였으며 나중에 본 발명의 우선일(1997년 3월 31일) 이후인 1997년 9월 5일에 일본국 공개공보 JP-A-9 232039호로 공개되고 공동양수인(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브시끼가이샤(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의 이름으로 1996년 2월 21일 일본국에 특허출원(출원번호 제 33975/96)하였다.
종래 일본국 특허출원에서 제안된 투-피스 전기 커넥터(종래의 커넥터라고 함)는 노이즈로부터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해 그것의 외부표면에 장착된 금속 셸을 갖는다. 종래 커넥터의 케이블 커넥터 부재에는 플랫 케이블과 케이블 커넥터 부재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플랫 케이블의 단부를 케이블 커넥터부재에 끼워 맞추도록 케이블 고정부가 구비된다. 케이블 고정부는 케이블 커넥터 부재의 커넥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케이블 고정부가 제 1 위치 또는 개방위치에 위치될 때, 플랫 케이블의 일 단부는 케이블 커넥터 부재에 느슨하게 삽입 가능하다. 케이블 고정구가 제 2 위치 또는 끼워맞춤위치에 위치될 때, 플랫 케이블의 일 단부는 플랫 케이블이 케이블 커넥터 부재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케이블 고정부에 의하여 케이블 커넥터 부재의 접촉단자부상에 가압된다. 케이블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면을 커버링하는 금속셸과 케이블 고정구를 커버링하는 또다른 금속셸을 갖는다.
종래 커넥터에서, 상이한 금속셸의 투 피스가 케이블 커넥터 부재에 필요하고 또다른 상이한 금속셸이 결합 커넥터에 필요하다. 따라서, 3개의 상이한 형태의 금속셸이 구비되어 두 개의 상이한 커넥터 부재에 조합되어져야 한다. 이것은 고비용, 복잡한 조합동작 및 부품에 대한 관리 및 양질의 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더욱이, 종래 커넥터에서, 케이블 고정부는 커넥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이 커넥터는 케이블 고정부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장착공간이 증가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종래 커넥터를 포함하여 전기부품의 고밀도 배열을 곤란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커넥터 부재에 케이블 고정부가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전자차페의 열화 없이 별개의 단일 금속셀을 갖는 결합 커넥터 부재와 상기 케이블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는 투-피스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본 발명의 투-피스 전기 커넥터는 조합 및 부품에 대한 관리 및 양질의 제어가 용이하고, 구성이 간편하며 비용면에서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커넥터 장착을 위한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투-피스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결합된 상태에 있는 종래 커넥터의 단면도.
도 2는 케이블 커넥터 부재를 결합 커넥터 부재에 결합시키기 이전과 케이블 커넥터 부재를 플랫 케이블에 결합시키기 이전 상태에 있는 도 1의 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케이블 커넥터 부재가 플랫 케이블에 연결된 후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가 결합 커넥터에 연결되기 이전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커넥터의 단면도.
도 4는 분리된 두 셸을 갖는 도 1-3의 케이블 커넥터 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도 1-4의 케이블 커넥터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케이블 커넥터 부재에 연결된 플랫 케이블의 일 단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피스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8은 케이블 커넥터 부재가 결합 커넥터 부재에 결합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하는 도 7의 커넥터의 단면도.
도 9는 케이블 커넥터 부재가 플랫 케이블에 연결되기 이전의 상태에 있는 도 7 및 도 8의 케이블 커넥터 부재의 단면도.
도 10은 케이블 커넥터 부재가 플랫 케이블에 연결된 상태에 있는 도 7-9의케이블 커넥터 부재의 단면도.
도 11A는 도 7-10의 케이블 커넥터 부재의 정면도.
도 11B는 케이블 커넥터 부재의 평면도.
도 11C는 케이블 커넥터 부재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투-피스 전기 커넥터 3 : 케이블측 커넥터
5 : 보드측 커넥터 10 : 슬라이더
13 : 케이블측 셸 13a : 상부 플레이트
13b : 하부 플레이트 13c : 내부 플랜지
20,30 : 케이블측 절연체 20a,21a : 홀
20b,30a : 개구 21b,31a,33c,34b,51a : 접촉부
31 :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 31b,51b : 단자부
31c : 피벗부 32 : 케이블 고정구(fixture)
33,34 : 케이블측 금속셸 50 : 보드측 절연체
52,53 : 보드측 금속셸 70 : 신호 컨덕터
72 : 접지패턴
본 발명에 따라, 플랫 케이블과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플랫 케이블의 일 단부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블 커넥터 부재와, 플랫 케이블과 연결 객체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커넥터 부재와 결합되고 연결 객체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결합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은 전기 절연체 막에 매립되고 절연체 막의 일표면에서 플랫 케이블의 일부분에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다수의 신호 컨덕터를 포함하는 투-피스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케이블 커넥터 부재는 플랫 케이블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후방개구를 갖는 제 1 절연체; 제 1 절연체에 끼워맞춤되며, 각각 후방개구에 배치된 제 1 단자부와 제 1 접촉부를 가지는 복수개의 제 1 콘택트 엘리먼트; 제 1 단자부가 신호 컨덕터와 가압접촉되도록 플랫 케이블의 일 단부와 함께 후방개구에 삽입될 때 플랫 케이블의 일 단부를 제 1 단자부에 가압하도록 후방개구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절연체 슬라이더; 및 내부의 절연체 슬라이더를 고정식으로 지지하며 전방 개방단을 갖는 박스형태이며, 절연체 슬라이더를 후방개구에 삽입시 제 1 절연체상에서 미끄럼가능하고 제 1 절연체에 끼워 맞춰지는 제 1 금속 셸을 포함한다. 결합 커네터 부재는 제 2 절연체; 제 2 절연체에서 고정식으로 지지되며, 제 2 절연체로부터 노출되고 결합 커넥터가 케이블 콘택트 부재와 결합될 때 제 1 접촉부와 접촉하게 된 제 2 접촉부를 개별적으로 가지며, 개별적으로 연결 객체에 연결되는 제 2 단자부를 가지는 다수의 제 2콘택트 엘리먼트; 및 제 2 절연체의 외부 표면에 장착되어 이 표면을 커버링하며, 결합 커넥터 부재가 케이블 커넥터 부재와 결합될 때 제 1 금속 셀과 접촉하도록 케이블 커넥터 부재에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제 2 금속 셀을 포함한다.
플랫 케이블이 절연체 막의 대향면에 형성된 접지 패턴을 갖는 경우에, 제 1 금속셸에는 플랫 케이블의 접지패턴과 맞물림하는 맞물림부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체 슬라이더는 후방개구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제 1 금속셸에 의해 고정식으로 지지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삽입부로부터 지지부까지 연속하는 편평면을 가지며, 제 1 금속셸은 맞물림부가 안쪽으로 그리고 절연체 슬라이더의 편평현상에서 연장되도록 내부 플랜지부를 가지며, 또한 제 1금속셀은 절연체 슬라이더가 플랫 케이블과 함께 후방개구에 삽입될 때, 내부 플랜지부와 맞물리는 접지패턴으로 플랫 케이블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내부 플랜지부에 인접한 후방개구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 이전에,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제로서 제기된 JP-A-9 232039호에 개시된 종래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 커넥터(1)는 케이블 커넥터부재(3) 및 결합 커넥터부재(5)를 포함한다. 케이블 커넥터부재(3)는 플랫 케이블(7)에 연결되고 결합 커넥터부재(5)는 일반적으로 회로보드상에 표면-장착 된다. 그러므로, 케이블 커넥터부재 및 결합 커넥터부재는 이후부터 각각 "케이블측 커넥터" 및 "보드측 커넥터"라고 한다.
케이블측 커넥터(3)는 케이블측 절연체(30), 복수개의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31), 케이블 고정구(32) 및 두 개의 케이블측 금속셸(33 및 34)을 포함한다.
케이블측 절연체(30)는 자신의 후방단부에서 개구(30a)를 갖는다. 후방 개구(30a)를 통해, 플랫 케이블(7)의 일단부는 케이블측 절연체(30)에 삽입된다.
복수개의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31)는 케이블측 절연체(30)에 고정되고 이들은 서로 병렬로 배열된다.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31)의 각각은 소켓형 접촉부(31a), 단자부(31b) 및 피벗부(31c)를 포함한다.
접촉부(31a)는 케이블측 절연체(30)에 형성된 전방 공간에 배치되고 이후에 설명되는 보드측 커넥터(5)의 대응하는 보드측 콘택트 엘리먼트(51)중의 하나와 접촉하게 된다. 단자부(31b)는 후방개구(30a)로부터 연속하는 후방공간에 배치되고 플랫 케이블(7)의 일 단부에서 노출된 대응하는 신호 컨덕터(70)중의 하나와 접촉하게 된다. 피벗부(31c)는 케이블 고정구가 피벗부(31c)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케이블 고정구(32)를 피벗식으로 지지한다.
케이블 고정구(32)는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후방단부에 오목부(32a)가 형성된다. 오목부(32a)는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31)의 피벗부(31c)와 맞물림한다. 이들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구(32)는 피벗부(31c)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회전이동으로, 케이블 고정구(32)는 케이블측 절연체(30)의 후방개구(30a)의 상부를 개방 및 폐쇄시킨다.
케이블 고정구(3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위치에 위치될 때, 플랫 케이블(7)의 일 단부는 후방개구(30a)를 통해 후방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그후,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구(32)가 후방개구(30a)의 상부를 폐쇄시킬 때, 케이블 고정구(32)는 케이블측 접촉부(31)의 단자부(31b)에 대해 플랫 케이블(7)의 일 단부를 가압한다. 따라서, 신호 컨덕터(70)(도 6)는 단자부(31b)와 가압접촉된다.
케이블 고정구(32)는 그것의 양측에서 돌출부(32c)와 함께 형셩된다. 케이블 고정구(32)가 개구(30a)의 상부를 폐쇄시킬 때, 돌출부(32c)는 플랫 케이블(7)의 일 단부의 양측에 형성된 노치(71)(도 6)에 끼워맞춰진다. 이 상태에서, 플랫 케이블(7)이 당겨지는 경우에도, 케이블 고정구(32)는 플랫 케이블(7)이 케이블측 절연체(30)로부터 당겨질 수 없도록 개방되지 않는다.
노치(71) 대신에, 플랫 케이블(7)은 그안에 돌출부(32c)를 수용하기 위해 홀과 함께 형성된다.
금속셸(33)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이고 케이블측 절연체(30)를 커버링한다. 금속셸(33)은 케이블측 절연체(30)와 맞물림하는 양측벽에 맞물림부(33a)와 함께 형성된다. 더욱이, 금속셸(33)의 양측부는 다른 금속셸(34)과의 맞물림을 위해 접촉부(33b)를 갖는다.
다른 금속셸(34)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이고 끼워맞춰져서 케이블 고정구(32)를 커버링한다. 그러므로, 다른 금속셸(33)은 "고정 셸"이라고 한다. 고정 셸(34)은 금속셸(33)의 접촉부(33b)와의 맞물림을 위해 접촉부(33a)와 함께 그것의양쪽에서 형성된다. 케이블 고정구(32)가 폐쇄위치에 위치될 때, 고정 셸(34)의 접촉부(33a)는 금속셸(33)의 접촉부(33b)와 접촉하게 된다. 더욱이, 고정 셸(34)의 최하부면은 노출된 신호 컨덕터(70)에 대향하여 그것의 측부에 형성된 플랫 케이블(7)의 접지패턴(도 6)과 맞물림한다.
케이블측 커넥터(3)의 조립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31)는 케이블측 절연체(30)에 가압되어 끼워 맞춰진다. 그후, 케이블 고정구(32)가 고정구 셸(34)로 커버링된다. 그후, 케이블 고정구(32)의 오목부(32a)는 오목부(32a)가 케이블 고정구(32)의 하부 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31)의 피벗부(31c)에 끼워맞춤된다. 그후, 케이블측 절연체(30)는 끼워맞춰져서 금속셸(33)과 함께 커버링된다. 그후, 플랫 케이블(7)의 일 단부는 후방개구(30a)를 통해 케이블측 절연체(30)의 후방공간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케이블 고정구(32)를 플랫 케이블(7)을 향해 회전시키는 동안, 케이블 고정구(32)의 돌출부(32c)가 플랫 케이블(7)의 노치(71)에 끼워 맞춰진다. 결과적으로, 케이블 고정구(32)에 의해, 플랫 케이블(7)의 일 단부에 노출된 신호 컨덕터(70)는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31)의 단자부(31b)에 가압되고, 고정 셸(34)은 플랫 케이블(7)의 접지패턴(72)에 가압된다.
이제 보드측 커넥터(5)가 설명된다. 보드측 커넥터(5)는 보드측 절연체(50), 복수개의 보드측 콘택트 엘리먼트(51) 및 "보드측 셸"이라고 하는 금속셸(52)을 포함한다. 보드측 커넥터(5)는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상에 장착된다.
보드측 절연체(50)는 본질적으로 정방형으로 된 파이프라인 형태이다. 케이블측 커넥터(3)의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31)로의 연결을 위해, 보드측 콘택트 엘리먼트(51)는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31)와 대응하기 위해 보드측 절연체(50)에 고정식으로 유지되고 서로가 나란하게 배열된다. 보드측 콘택트 엘리먼트(51)의 각각은 핀형상 접촉부(51a) 및 단자부(51b)를 포함한다. 접촉부(51a)는 보드측 커넥터(5)가 케이블드측 커넥터(3)와 결합될 때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31)의 접촉부(31a)와 접촉된다. 단자부(51b)는 보드측 커넥터(5)가 인쇄회로기판에 표면-장착될 때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컨덕터중의 하나와 대응하기 위해 납땜된다.
보드측 셸(52)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을 가지며 끼워 맞춰져서 보드측 절연체(50)를 커버링한다. 보드측 셸(52)은 보드측 절연체(50)로부터 돌출된 접촉부(51a)를 둘러싸기 위해 보드측 절연체(50)로부터 뻗는 확장부를 갖는다. 보드측 셸(52)의 확장부에서, 케이블측 커넥터(3)의 전방단부는 케이블측 커넥터(3)와 보드측 커넥터(5)를 결합하기 위해 끼워 맞춰지고, 보드측 셸(52)은 금속셸(33)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측 커넥터(3)와 보드측 커넥터(5)가 서로 결합될 때, 금속셸(33,34 및 52)은 전자차폐 효과가 달성되도록 접지 된다.
투-피스 전기 커넥터(1)에서, 금속셸(33)은 케이블측 절연체(30)의 최하부와 후방단부를 커버링하지만 케이블측 절연체(30)의 최상부를 커버링하지 않는다. 반면에, 보드측 셸(52)은 케이블측 커넥터(3)와 보드측 커넥터(5)가 서로 결합될 때 케이블측 절연체(30)의 상부면을 커버링하기 위해 뻗는 상부면을 가진다. 보드측 셸(52)은 자신의 상부 및 하부면의 일 단부에서 접촉부(52b 및 52c)와 함께 형성된다. 반면에, 금속셸(33)은 케이블측 커넥터(3)와 보드측 커넥터(5)가 서로 결합될때 보드측 셸(52)의 접촉부(52c)와 맞물림하기 위해 자신의 최하부에서 접촉부(33c)와 함께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고정셸(34)은 케이블측 커넥터(3)와 보드측 커넥터(5)가 서로 결합될 때 보드측 셸(52)의 접촉부(52c)와 맞물림하기 위해 접촉부(34b)와 함께 형성된다. 더욱이, 고정셸(34)은 자신의 양측부에서 금속셸(33)과 접촉하게 된다.
종래 커넥터는 전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이제, 도 7 내지 11C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피스 전기 커넥터(1)는 케이블 커넥터 부재로서 케이블측 커넥터(3)와 결합 커넥터 부재로서 보드측 커넥터(5)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측 커넥터(3)는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케이블측 절연체(20), 복수개의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21)와, 케이블 고정구로서 슬라이더(10)를 갖는다.
케이블측 절연체(2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측 절연체(20)는 자신의 전방 단부에서 복수개의 콘택트 수용 홀(20a)과 후방 단부에서 후방개구(20b)를 포함한다. 콘택트 수용 홀(20a)은 나중에 설명되는 보드측 콘택트(51)의 복수개의 접촉부(51a)를 수용한다. 후방개구(20b)는 나중에 설명되는 플랫 케이블(7)의 단부를 수용한다.
케이블측 셸(13)은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케이블측 절연체(20)의 후방 개구면과 원주면을 커버링하기 위해 전방 개구단부와 함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즉, 케이블측 셸(13)은 케이블측 셸의 전방 개구 박스형상의 후방개구 벽또는 최하부 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뻗는 상부 플레이트(13a)와, 후방개구 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뻗는 하부 플레이트(13b)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3a)는 전기적으로 변형가능한 단부(13d)와 함께 형성된다. 케이블측 셸(13)은 후방 상부단부의 구멍(13e) 및 구멍(13e)에 인접한 후방단부 벽으로부터 전방 및 내향으로 뻗는 내부 플랜지(13c)와 함께 형성된다. 실제적으로, 내부 플랜지(13c)는 구멍(13e)을 동시에 형성하기 위해 단부벽과 상부 플레이트(13a)의 커팅 및 만곡에 의해 형성된다. 내부 플랜지(13c)는 일반적으로 상부 플레이트(13a) 및 하부 플레이트(13b)에 나란하지만 이들 보다는 짧다. 구멍(13e)은 플랫 케이블(7)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결합을 위해 케이블측 커넥터(3)에 삽입된다.
케이블측 셸(13)은 서로가 미끄럼 접촉하는 케이블측 절연체(20)의 외부 원주면과 케이블측 셸(13)의 내면사이에서 안내 기능에 의해 제 1 위치(도 10 참조)와 제 2 위치(도 9 참조)사이에 케이블측 절연체(20)의 원주면상에서 후방 및 전방으로 미끄럼가능하고 케이블측 절연체(20)에 끼워맞춰진다. 케이블측 셸(13)은 제 1 위치에서 케이블측 절연체(20)의 원주면의 대부분을 커버링한다.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21)의 각각은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21)의 각각은 전방 단부에서 소켓형 접촉부(21a), 플랫 케이블(7)과의 접촉을 위한 케이블 접촉부(21b) 또는 단자부와 후방단부에서 슬라이더 맞물림부(21c)를 갖는다. 케이블 접촉부(21b)와 슬라이더 맞물림부(21c)는 그들 사이에 있는 갭과 함께 서로 대면한다. 복수개의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21)는 케이블측 절연체(20)에서 서로 나란하게 소정 피치로 배열된다.접촉부(21a)는 콘택트 수용 홀(20a)에 배치된다. 케이블 접촉부(21b)와 슬라이더 맞물림부(21c)는 케이블측 절연체(20)의 후방단부에 배치된다.
슬라이더(1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더(10)의 전방단부는 삽입부로서 케이블측 절연체(20)의 후방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더(10)의 후방 두께부는 케이블측 셸(13)의 하부 플레이트(13b)와 내부 플랜지(13c) 사이에 고정되고 이렇게 하여 케이블측 셸(13)에 의해 지지부로서 지지된다. 상세히는, 슬라이더(10)는 전방단부로부터 후방 두께부로 연속하는 편평면을 갖는다. 셸(20)의 내부 플랜지(20c)는 편평면에서 뻗는다.
슬라이더(10)는 케이블측 셸(13)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케이블측 절연체(20)상에서 미끄러질 때 일체로서 케이블측 셸(13)과 함께 움직인다. 도 9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상태로의 전이에서, 슬라이더(10)의 전방단부는 케이블측 절연체(20)의 후방개구(20b)에서 케이블 접촉부(21b)와 슬라이더 맞물림부(21c)사이에 삽입된다.
플랫 케이블(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상에서 신호 컨덕터(70)를 가지며 다른 면상에서 접지패턴(72)을 가진다. 접지패턴(72)은 플랫 케이블(7)의 전체 다른 표면을 커버링한다.
플랫 케이블(7)이 케이블측 커넥터(3)에 연결되기 전에, 케이블측 셸(13)과 슬라이더(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그후, 플랫 케이블(7)의 단부는 신호 컨덕터(70)가 상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케이블측 셸(13)의 구멍(13e)을 통해 케이블측 절연체(20)의 후방개구(20b)에서 슬라이더 맞물림부(21c)와 케이블 접촉부(21b)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슬라이더(10)와 케이블 접촉부(21b) 사이에 충분한 틈이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7)은 어떠한 저항 없이 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케이블측 셸(13)과 슬라이더(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측 셸(13)은 케이블측 절연체(20)의 원주면의 대부분을 커버링하며, 슬라이더(10)의 전방단부는 케이블측 절연체(20)의 개구(20b)에서 플랫 케이블(7)과 슬라이더 맞물림부(21c) 사이에 삽입된다. 슬라이더(10)는 플랫 케이블(7)을 상향으로 가압하므로, 플랫 케이블(7)의 신호 컨덕터(70)는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21)의 케이블 접촉부(21b)와 가압접촉된다. 반면에, 내부 플랜지(13c)는 플랫 케이블(7)의 접지패턴(72)과 맞물린다. 결과적으로, 플랫 케이블(7)의 신호 컨덕터(70)는 케이블측 접촉부(2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랫 케이블(7)의 접지패턴(72)은 내부 플랜지(13c)와 맞물리고 따라서 케이블측 셸(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측 커넥터(5)는 커넥터 하우징으로서 보드측 절연체(50), 복수개의 보드측 콘택트 엘리먼트(51) 및 보드측 셸(53)을 포함한다. 보드측 절연체(50)는 본질적으로 사각형 병렬파이프라인 형상이다. 보드측 커넥터(5)는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상에서 표면-장착된다.
케이블측 커넥터(3)의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21)로의 연결을 위해, 보드측 콘택트 엘리먼트(51)는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21)에 대응토록 서로가 병렬로 배열되고 보드측 절연체(50)에 고정식으로 장착된다. 보드측 콘택트 엘리먼트(51)의 각각은 핀 형상의 접촉부(51a)와 단자부(51b)를 갖는다.접촉부(51a)는 케이블측 콘택트 엘리먼트(21)중의 대응하는 하나의 접촉부(21a)와 접촉하게 된다. 단자부(51b)는 인쇄회로기판의 신호 컨덕터중의 대응하는 하나와 납땜된다.
보드측 셸(53)은 전기적으로 도전성이고 끼워 맞춰져서 보드측 절연체(50)에 고정된다. 보드측 셸(53)은 보드측 절연체(50)를 커버링하고 보드측 절연체(50)로부터 돌출하는 콘택트 엘리먼트(51)의 접촉부(51a)를 포위하도록 뻗는다.
케이블측 커넥터(3)가 보드측 커넥터(5)와 결합할 때, 케이블측 커넥터(3)의 전방단부는 보드측 셸(53)의 확장부로 삽입되고, 반면에 핀 형상 접촉부(51a)는 케이블측 절연체(20)의 전방개구(20a)에 삽입된다. 따라서, 보드측 셸(53)은 케이블측 셸(13)의 변형가능부(13d)와 접촉하게 된다. 반면에, 핀 형상 접촉부(51a)는 소켓형 접촉부(21a)와 접촉하게 된다. 케이블측 셸(13)과 보드측 셸(53)은 서로가 연결되고 플랫 케이블의 접지된 패턴(72)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소켓형상 및 핀 형상 콘택트 엘리먼트(21 및 51)를 위한 전자기 차폐 효과가 제공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케이블측 커넥터는 다수가 아닌 단일 셀을 가지며,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전자차폐를 갖는 투-피스 전기 커넥터는 소형 구조로 구현된다.
(2) 부품의 수가 감소하므로, 제조비용 및 조립단계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
(3) 케이블측 커넥터상에 조립된 금속셸 수단에 어떠한 접촉부도 없으므로 신뢰성있고 안전한 차폐가 보장된다.

Claims (5)

  1. 플랫 케이블과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 단부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블 커넥터 부재; 및
    상기 플랫 케이블과 연결객체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커넥터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객체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결합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은 전기적 절연막에 매립되고 상기 전기적 절연막의 일 표면에서 상기 플랫 케이블의 일 단부에서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복수개의 신호 컨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 부재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개구를 갖는 제 1 절연체;
    상기 제 1 절연체에 고정되고, 상기 후방개구에 배치된 제 1 단자부 및 제 1 접촉부를 개별적으로 갖는 복수개의 제 1 콘택트 엘리먼트;
    상기 제 1 단자부가 상기 신호 컨덕터와 가압 접촉되도록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일 단부와 함께 상기 후방개구로 삽입될 때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일 단부를 상기 제 1 단자부에 가압하기 위해 상기 후방개구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절연체 슬라이더; 및
    전방 개구단부를 가지며 그 안에 상기 절연체 슬라이더를 고정식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 1 절연체에 끼워맞춰지며 상기 절연체 슬라이더가 상기 후방개구에 삽입시 상기 제 1 절연체상에서 미끄럼가능한 일반적으로 박스 형상의 제 1 금속셸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커넥터 부재는;
    제 2 절연체;
    상기 제 2 절연체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결합 커넥터 부재가 상기 케이블 커넥터 부재와 결합될 때 상기 제 1 접촉부와 접촉되는 제 2 절연부를 개별적으로 가지며, 상기 제 2 절연체에 고정식으로 지지되며, 상기 연결 객체에 연결되는 제 2 단자부를 개별적으로 가지는 복수개의 제 2 콘택트 엘리먼트; 및
    상기 제 2 절연체에 장착되어 그 외부면을 커버링하고, 상기 결합 커넥터 부재가 상기 케이블 커넥터 부재와 결합될 때 상기 제 1 금속 셸과 접촉되도록 상기 케이블 커넥터 부재에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제 2 금속 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피스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절연체 막의 대향면상에 형성된 접지패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금속셸에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접지패턴과 맞물림하는 맞물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피스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슬라이더는 상기 후방개구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 1 금속셸에 의해 고정식으로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 슬라이더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지지부로 연속하는 편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금속셀은 내부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절연체 슬라이더의 상기 편평면상에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내부 플랜지부내에서 내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절연체 슬라이더가 상기 플랫 케이블과 함께 상기 후방개구로 삽입될 때, 상기 내부 플랜지부와 상기 접지패턴이 맞물리도록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내부 플랜지부에 인접하는 후방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피스 전기 커넥터.
  4. 금속셸 수단과 케이블 고정수단을 갖춘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금속셸 수단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커버링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플랫 케이블의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개구를 가지며, 상기 일 단부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상기 케이블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개구에 고정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외부 셸을 갖춘 결합 커넥터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일 단부와 함께 상기 후방 개구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절연 슬라이더이고, 상기 금속셸 수단은 전방 개구 단부를 갖춘 박스 형상 금속셸 부재이고, 상기 금속셸 부재는 상기 절연체 슬라이더를 고정식으로 지지하며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일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개구를 가지며, 상기 금속셀 부재는 상기 절연체 슬라이더가 플랫 케이블과 함께 상기 후방개구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상에서 끼워맞춰지고 미끄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케이블은 외부면상에 형성된 접지된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절연체 슬라이더는 상기 후방 개구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금속셸 부재에 의해 고정식으로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 슬라이더는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지지부까지 연속하는 편평면을 가지며, 상기 금속셸 부재는 상기 절연체 슬라이더의 상기 편평면상에서 상기 후방 구멍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는 내부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 플랜지부는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일 단부가 상기 후방 개구에 수용될 때 상기 플랫 케이블의 상기 접지 패턴과 맞물림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KR1019980011125A 1997-03-31 1998-03-31 케이블고정구를유지하는단일금속셸을갖춘케이블커넥터를갖는투-피스전기커넥터 KR100320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81129 1997-03-31
JP08112997A JP3196018B2 (ja) 1997-03-31 1997-03-31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901A KR19980080901A (ko) 1998-11-25
KR100320158B1 true KR100320158B1 (ko) 2002-05-13

Family

ID=1373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125A KR100320158B1 (ko) 1997-03-31 1998-03-31 케이블고정구를유지하는단일금속셸을갖춘케이블커넥터를갖는투-피스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66000A (ko)
JP (1) JP3196018B2 (ko)
KR (1) KR100320158B1 (ko)
TW (1) TW3993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1393B2 (ja) * 1998-01-30 2003-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US6565389B1 (en) * 1999-11-12 2003-05-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of a thin type
TW424968U (en) * 1999-11-25 2001-03-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 connector
JP3505640B2 (ja) * 1999-11-25 2004-03-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な伝送線路一体型コネクタ
US6165008A (en) * 1999-12-10 2000-12-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US6273758B1 (en) * 2000-05-19 2001-08-14 Molex Incorporated Wafer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shield
JP3405961B2 (ja) * 2000-05-24 2003-05-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タイプの中継用コネクタ
USD434386S (en) * 2000-06-06 2000-11-28 Hon Hai Pa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755680B2 (en) * 2001-01-19 2004-06-2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Fixture device for use in connection of flat wire member with terminal connector
CN100361352C (zh) * 2001-05-25 2008-01-09 松下电工株式会社 连接器
JP4297825B2 (ja) * 2003-11-04 2009-07-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コネクタ
US7137196B2 (en) * 2004-02-19 2006-11-21 Seagate Technology Llc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connection
JP4522144B2 (ja) * 2004-05-21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6066242A (ja) * 2004-08-27 2006-03-09 Tyco Electronics Amp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シールド部材
KR100486990B1 (ko) 2004-12-23 2005-05-0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무접지형 전기 커넥터
JP4391975B2 (ja) * 2005-09-08 2009-1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0711980B1 (ko) * 2005-09-22 2007-05-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전기 커넥터
JP2008016212A (ja) * 2006-07-03 2008-01-24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KR100871926B1 (ko) * 2007-01-19 2008-12-05 전상철 평면 케이블용 하우징 컨넥터
US7530839B1 (en) * 2008-04-15 2009-05-12 Jess-Link Product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837711B2 (ja) * 2008-09-02 2011-12-1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4558824B2 (ja) * 2008-09-19 2010-10-06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WO2010087473A1 (ja) * 2009-01-30 2010-08-05 株式会社フジクラ 中継コネクタ
JP5318613B2 (ja) * 2009-02-26 2013-10-1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12288B2 (ja) * 2009-10-27 2013-10-09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ス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4618745B1 (ja) * 2009-12-04 2011-01-26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EP2590272B1 (en) * 2011-11-03 2014-05-21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5973711B2 (ja) * 2011-11-25 2016-08-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808017B2 (en) 2013-01-04 2014-08-19 Anderson Power Product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arcing feature
CN104904073B (zh) * 2013-01-04 2018-05-29 安德森动力产品公司 具有抗电弧特性的电连接器
US9356404B2 (en) * 2013-09-25 2016-05-3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907207B2 (ja) * 2014-04-28 2016-04-2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23851B2 (ja) * 2018-12-28 2021-08-25 Smk株式会社 中継コネクタ
CN114665306B (zh) * 2022-03-25 2024-02-20 鹤山市得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电子设备
DE102022211466A1 (de) 2022-10-28 2024-05-0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bindungsanordnung, Batteriemodul mit einer solch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3156B2 (ja) * 1996-02-21 1999-06-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機構付き中継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99353B (en) 2000-07-21
KR19980080901A (ko) 1998-11-25
JP3196018B2 (ja) 2001-08-06
US6066000A (en) 2000-05-23
JPH10284201A (ja) 199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158B1 (ko) 케이블고정구를유지하는단일금속셸을갖춘케이블커넥터를갖는투-피스전기커넥터
KR100326492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US5738545A (en) Connection device which is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with simple structure
US5035649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s
US6676444B2 (en) Connector for a flat cable and method of assembling it
EP1672745B1 (en) Connector suitable for connection of a thin sheet member
US7261595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s and shield member used therefor
US6582252B1 (en) Termin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tight angle for shielded cable
US6926553B2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grounding means
EP1950847B1 (en) Connector
US7189090B2 (en) Coupler for flat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942498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external connector fixed at internal circuit board
US6902425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P2328240B1 (en) Connector device
US20130023154A1 (en)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hielded Connector
WO2006026036A1 (en) Flat circuit connector
US5882223A (en) Connector which is adapted to connect a flat connection object having a signal pattern and a shield pattern opposite to each other
US6162086A (en) Cable end connector having an inner shielding casing capable of securely retaining and grounding a cable therein
US2008003255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vers
CN102771014B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装体
JP3089464B2 (ja) シールド機構付きコネクタ
US6994591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JP3370280B2 (ja) 狭ピッチ多段ボード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シールドシェル接続金具
JP2001060469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2000215938A (ja) フラットケ―ブルの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