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100B1 - 보강사가들어있는호스와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강사가들어있는호스와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100B1
KR100320100B1 KR1019930027110A KR930027110A KR100320100B1 KR 100320100 B1 KR100320100 B1 KR 100320100B1 KR 1019930027110 A KR1019930027110 A KR 1019930027110A KR 930027110 A KR930027110 A KR 930027110A KR 100320100 B1 KR100320100 B1 KR 100320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wire
coated conductive
wall
pitch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851A (ko
Inventor
가나오시로오
Original Assignee
가나오시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오시로오 filed Critical 가나오시로오
Publication of KR940016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F16L11/127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electrically condu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08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reinforcements embedded in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16L11/118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having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electrically condu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관축방향을 따라 배설되는 보강사가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긴 피복리이드 선의 핏치간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구석구석까지 틈이 없는 상태로 밀어넣어지도록 해서 가요관으로서의 굴곡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국부적으로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소정의 핏치로 나선코일 형상으로 돌려감긴 여러가닥의 피복도전선의 외주면상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띄우고 관축방향으로 배설된 다수의 보강사의 외측에 형성된 외벽(4)이 피복도전선의 1핏치분마다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긴 여러가닥의 합성수지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호스와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피복도전선의 1핏치 남짓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여러가닥의 합성수지대재를 피복도전선의 1핏치분 마다에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고 각각의 측연부분 끼리를 겹치고 합쳐서 접착하여 관의 외벽(4)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보강사가 들어있는 호스와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통상 전기 청소기용의 호스로서 널리 사용되는 가요성 호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합성수지제 관벽의 내면측 또는 관벽내에 전기 도통용의 피복 도전선이 나선형상으로 감겨서 유지되고 관벽의 내외층 사이에 관축방향을 따라 다수의 보강사가 들어있는 가요성 호스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도통용의 피복도전선을 관벽내에 배설유지시켜, 그 외주면에 관축방향을 따라 보강사를 구비한 합성수지제의 가요성호스, 특히 클리너호스는 예를들면 본 출원인의 선출원 일본 실개평3-72856호 공보에서 볼 수 있다.
이 호스는 별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합성수지제대상재 (合成樹脂製帶狀材)(1a,1b)에 의하여 2층 형상으로 형성된 내벽(1)내에 보강선으로서 2개의 경질선재(3, 3')가 2중 핏치 형상의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겨져서 묻혀있고, 이들 양 경질선재(3),(3')의 각각의 외주면상에 2개의 도선(2a),(2a')을 단면형상이 안경형이 되도록 중간부(2b)에서 접속하면서 일체로 피복된 2개의 피복도전선(2),(2')이 2중 핏치 형상으로 나선형상으로 돌려 감기고, 그 외주면상에 제7도 및 제8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관축방항을 따라서 다수의 보강사(6)가 배설되며, 그 외측에 상기 경질선재(3),(3')의 2중 핏치 폭과 거의 같은 폭의 합성수지제대재(4')가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기고, 이 대재 (4')의 측면 가장자리가 한쪽의 피복도전선(2')의 외주면상에서 포개어 접착되면서 일체로 융착되고 상기 내벽(1)과도 융착되어서 외벽(4)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 외벽(4)을 형성하고 있는 합성수지대재(4')는 상기와 같이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긴 2개의 피복도전선(2),(2')의 2개의 핏치간을 동시에 감싸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호스는 호스의 제조시에 관축방향으로 배설된 다수의보강사(6) 위에 외벽(4)이 되는 합성수지대재(4')가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기고, 이 대재의 감는 압력에 의하여 또는 이 대재를 외주방향에서 압착롤러 등으로 압착함에 따라 보강사(6)를 피복도전선(2),(2')의 핏치간에 형성된 오목부(5)에 따르도록 하여 2개의 오목부(5)에 동시에 밀어붙여 외벽(4)과 내벽(1) 사이에 끼워 넣도록 한 것인데 이와 같이 하여 2개의 오목부(5)에 밀어붙여지는 각 보강사(6)는 좌우의 오목부 사이에서 잡아당기는 현상이 생겨서 오목부간의 구석에까지 가압하는 것이 곤란하여 보강사(6)가 떠오르거나 또는 좌우의 오목부 사이에서 가라앉는 량이 불균등하게 되어 부분적인 떠오름 현상이 생기기 쉽고, 그 때문에 호스의 사용중에 구부리거나 잡아당기는 작용에 의하여 외층의 국부적인 균열현상을 발생하기도 하고 내외층간에 박리현상이 생기는 원인이 되어 가요성 호스로서의 내구성에 지장을 가져오는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관축방향을 따라서 배설되는 보강사가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긴 피복도전선의 핏치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구석에까지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외벽을 따라 가압되도록 하여 호스의 반복된 굴곡작용이나 잡아당기는 작용에 의하여도 외벽에 국부적인 균열이 생기거나 내외층간에 박리현상을 발생시킴이 없이 내구성이 뛰어나고 가요성도 뛰어난 호스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스의 구성은 실시예 설명에 있어서 사용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관벽을 형성하는 내벽(2)과 소정의 펀치로 나선 코일 형상으로 돌려감은 여러 가닥의 피복도전선(1)과 이들의 외주면상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관축방향으로 배설된 다수의 보강사(3)와 이 보강사(3)의 외측에 형성된 외벽(4)을 가지고 또 피복도전선(1)의 존재부분이 외주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나선의 요철형상으로 되어 있는 호스로서 상기 외벽(4)이 피복도전선(1)의 1핏치분 마다에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긴 여러 가닥의 합성수지대재(4')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한 것이다.
또 이와같은 구조의 호스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관을 형성하는 성형체 위에서 여러 가닥의 피복도전선(1)을 소정의 핏치로 간격을 두고 나선코일형상으로 돌려 감는 A 공정과, 이 피복도전선(1)의 여러 가닥 핏치에 상당하는 폭을 갖는 합성수지띠재(2')를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고 그 측면 가장자리를 포개어 접착함으로써 관의 내벽(2)을 형성하는 B 공정을 선택적으로 전후로 행하며, 이때 A 공정을 먼저 행하는 경우에는 B 공정의 합성수지띠재(2')와 피복도전선(1)을 접착시키고, 그 후에 이들 양자의 외주면상에 다수의 보강사(3)를 관둘레 방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관축방향으로 배설하는 공정과, 그후 이 보강사(3)의 외주면상에서 상기 피복도전선(1)의 1핏치 남짓에 상당하는 폭을 가진 여러 가닥의 합성수지대재(4')를 피복전도선의 1핏치분 마다에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고 각각의 측면가장자리를 포개어 접착하고, 관의 외벽(4)을 형성하는 공정에 의하여 각 피복도전선(1)의 존재부분이 외주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 관벽의 외주면이 나선요철형상의 호스를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스는 피복도전선(1)이 내벽(2)의 내주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하여 실시하여도 좋고 내벽의 외주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또 피복도전선(1)이 내벽(2)의 내주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하는 경우에는 호스의 상기 내벽(2)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띠재(2')의 횡단면형상을 피복도전선(1)에 의하여 형성되는 둘 또는 셋의 핏치 사이를 덮는 둘 또는 셋의 평탄부(2a)와 피복전도선(1)이 끼워지는 하나 또는 둘의 요함부(2b)를 가지며, 상기 평탄부(2a)의 두께가 요함부(2b)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것으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피복도전선(1)은 단일의 도선을 피복한 것, 2개의 도선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시켜서 일체적으로 피복한 것, 강선이나 경질 합성수지선 등의 보강선과 평행하게 배치시켜서 일체적으로 피복한 것 등이 이용되어 단선의 동선, 가느다란 여러 개의 동선의 묶음선, 연선 또는 넷트 모양으로 짠 편물선, 강선을 축으로 하여 그 주위를 감은 동선, 강선에 동과 같은 전도성이 좋은 금속을 코오팅한 선(CP 선)등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또 호스의 보강을 위하여 피복도전선(1)과는 별도로 강선이나 경질합성수지선 등의 보강선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스에 있어서는 외벽(4)이 피복도전선(1)의 1핏치분의 폭을 가지는 합성수지대재(4')에 의하여 1핏치마다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사(3)가 관벽의 오목부(5)의 각이 진 구석에까지 확실하게 들어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호스의 사용시에 있어서 보강사(3)의 직선화 작용에 의하여 외벽(4)에 균열이 생기거나 외벽(4)이 떠올라서 내벽(2)과 박리 되는 현상의 생기게 하는 일이 없다. 또 그 제조시에 있어서 외벽(4)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대재(4')를 피복도전선(1)의 1핏치분 마다에 피복도전선(1)에 따라서 나선형상으로 돌려감아 형성하는 것이어서이 합성수지대재(4')를 나선형상으로 돌려감을때에 동시에 보강사(3)를 순차로 피 복도전선(7)의 핏치간에 형성되는 오목부 사이의 형상에 따라서 확실하게 눌러 넣을 수 있어 보강사의 떠오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내벽(2)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띠재(2')는 피복도전선(1)의 핏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편평한 평탄부(2a)로 하여 이 평탄부(2a)의 두께를 돌출홈(2b)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해 둠으로 피복도전선(1)의 핏치 사이를 덮는 관벽부분을 줄어들기 어렵게 하고, 이로 인하여 호스의 내면을 항상 평탄한 상태로 유지시켜 공기의 흡입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3도에 도시한 각 구성소재부터 설명한다.
이 제3도에 있어서 부호 1은 소정의 핏치로 나선 코일형상으로 돌려감는 피복도전선으로 도선(1a)의 둘레에 합성수지피막(1b)에 의하여 각각 피복된 2개의 피복도전선(1)을 평행으로 나란히 세우고 그 인접하는 측면부분을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융착결합시키며, 그 하면을 평탄하게 형성하고 있는 부호 2'는 나선형으로 돌려감긴 피복도전선(1)의 외주에 나선형상으로 돌려감아 내벽(2)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띠재이다. 이 합성수지 띠재(2')는 2개 1조로 한 피복도전선(1)의 대략 그 핏치분에 상당하는 가로폭을 가지며 피복도전선(1)의 2개의 핏치 사이에 상당하는 가로폭을 가지며 피복도전선(1)의 2개의 핏치 사이를 덮는 평탄부(2a)와 피복도전선(1)을 감싸는 하나의 돌출홈(2b)을 가지며, 평탄부(2a)의 두께가 돌출홈(2b)을 형성하는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부호 3은 관벽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사로서 상기 합성수지띠재(2')에 의하여 형성된 내벽(2)의 외주면에,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관의 둘레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관축방향을 따라서 배설된다. 부호 4'는 이 보강사(3)의 외측에서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고 외벽(4)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대재이다. 이 합성수지대재(4')는 상기 피복도전선(1)의 거의 1핏치분의 횡폭을 가지고, 전체가 얇게 형성되어 있어 통상은 평대형상으로 형성하지만 도면에서는 중앙부분에 피복도전선(1) 사이의 오목부분을 묻는 평편부(4a)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도시한 이들의 각 소재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의 내벽(2)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띠재(2')는 연질의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로 형성되어 그 전체 폭이 겹친 값을 제하고 약 20mm, 평탄부(2a)의 두께가 약 0.6-0.7mm 돌출홈(2b)의 두께가 약 0.3-0.4mm이다. 또 피복도전선(1)은 동세선의 도선(1a)을 상기 합성수지띠재(2')와 같은 폴리염화비닐수지의 경질재에 의하여 합성수지피막(1b)을 한 것으로 그 횡폭이 2.Omm, 보강사(3)는 나일론연사, 외벽(4)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대재(4')는 연질염화비닐수지로 그 전폭이 겹친 값을 제외하고 약 10mm, 그 두께는 약 0.2-0.3mm이다.
또한 이와 같은 각 소재를 이용하여 호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주로 제3도를 기초로 설명하면 관을 형성하는 원통형 성형체(도면 외)의 측방에 배치한 합성수지압출기(도면 외)에서 4개의 피복도전선(1)을 동시에 밀어내어 각각 2개씩을 합쳐서 2조의 피복도전선(1)으로 하고, 이들을 약 10mm의 핏치 간격으로 띄우고 성형체 상에서 나선방향으로 2중 핏치 형상으로 돌려감고 이와 같이 성형체의 측방에 배치한 합성수지 압출기에서 이 피복도전선(1)의 2조의 핏치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상기의 단면형상을 한 합성수지띠재(2')를 밀어내어 이것을 나선형상으로 돌려감은 피복도전선(1) 위에서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고 평탄부(2a)를 피복도전선 (1)의 핏치 사이에 중앙의 돌출홈(2b)을 1조의 피복도전선(1)을 덮도록 하여 그 측면 가장자리부분(2c)끼리 다른 1조의 피복도전선(1)을 덮도록 하여 그 상부에서 포개어 서로 융착함으로서 관의 내벽(2)을 형성한다. 이때 합성수지띠재(2')와 피복도전선(1)과도 서로 융착시킨다.
이어서 이들 양자 외주면상에 다수의 보강사(3)를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둘레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관축방향으로 배설한다. 그후 이 보강사(3)의 외주면상에 상기와 같은 성형체의 측방에 배치한 1대 또는 2개의 압출기에서 피복도전선(1)의 핏치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2가닥의 상기 합성수지대재(4')를 각각 밀어내어 이들을 피복도전선 1핏치분 마다에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고 순차로 보강사(3)를 피복도전(1)의 핏치 사이에 눌러놓도록 하고 각각의 대재측면부분(4c)끼리를 피복도전선(1)의 외주상에서 포개어 서로 융착하는 동시에 상기 내벽(2)과도 융착접착하여 관의 외벽(4)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피복도전선(1)의 존재부분이 약 10mm 간격으로 외주방향으로 돌출하고 관벽의 외주면이 나선요철 형상으로 되어있고 관벽의 내주면이 거의 직선 통모양으로 되며, 관벽의 내외벽(2),(4) 사이에 보강사가 끼어 묻혀 있는 나선호스를 제조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호스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관벽을 형성하는 내벽(2)과 약 10mm의 소정의 핏치간격으로 2중 핏치 형상의 나선코일형상으로 돌려감긴 2조의 피복도전선(1)과 이들의 외주면상에서 둘레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관축방향으로 배설된 다수의 보강사(3)와 이 보강사(3)의 외측에 형성된 외벽(4)를 가지며 상기 피복도전선(1)의 존재부분이 외주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 관벽의 외주면이 나선요철 형상으로 되어있는 호스로서 다시 외벽(4)이 2조의 피복도전선(1)의 1핏치분마다에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긴 2가닥의 합성수지대재(4')에 의하여 형성되어 피복도전선(1)의 각각의 핏치 사이에 두께, 즉 오목부 (5)의 관벽의 두께가 피복도전선(1)을 덮는 부분의 관벽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나선호스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호스에 있어서는 피복도전선(1)이 2중 핏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벽(4)의 형성하는 합성수지대재(4')가 피복도전선(1)의 1핏치부분의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사(3)의 외측에서 합성수지대재(4')를 나선형상으로 돌려감을때에 보강사(3)를 순차로 피복도전선(1)의 핏치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5)에 확실히 밀어넣을 수 있고, 그 때문에 보강사(3)의 떠오름을 미연에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의 호스에 있어서는 내벽(2)의 형성하는 합성수지띠재(2')를 평탄부(2a)의 두께가 돌출홈(2b)의 두께보다도 두꺼운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피복도전선(1)의 핏치 사이를 덮는 평탄부(2a)가 줄어들기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하여 호스의 내면이 항상 원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항상 공기의 흡인 저항을 작게 하여 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의 피복도전선(1)은 압출기의 하나의 오리피스에서 일체적으로밀어내는 것이 아니고 개별의 독립된 오리피스에서 따로따로 밀어내어 이것을 밀어낸 직후에 평행으로 나란히 세우고 서로 접촉시켜서 그 인접하는 측면 부분끼리를 용이하게 분리될 정도로 접착결합되어 있으므로 내부의 도선(1a)의 결선조작에 있어서는 도구를 사용함이 없이 약간의 잡아당기는 분리력으로 용이하게 개개의 피복도전선(1)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피복도전선(1)은 예를 들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피복도전선 (1)을 좌우로 나란히 세우고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중앙부에 분리선(1c)을 형성하고 한 부분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이 제4도에 도시한 도선(1a)은 1개의 동선을 수지피복한 것이다. 이것들과 같이 2개의 피복도전선(1)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의 것으로 하여 두면 호스의 성형시에 있어서 나선형상으로 돌려감을 때 개개로 분리하는 일이 없으므로 돌려감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내외벽(2),(4)의 사이에 피복도전선(1)을 감싸 넣은 구조를 한 호스와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조방법부터 설명하면 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성형체(도면 외)의 위에 피복도전선(1)의 2조의 핏치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진 평대형상의 합성수지띠재(2')를 압축기에서 밀어내어 이것을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고, 그 측면가장자리부분(2c)을 포개어 서로 융착함으로써 관의 내벽(2)을 형성한다. 그 외주면상에 2개 1조를 한 2조의 피복도전선(1)을 약 10mm의 핏치간격을 두고 나선방향으로 2중 핏치 형상으로 돌려감는다. 이때, 먼저 돌려감은 합성수지띠재(2') 즉, 내벽(2)과 서로 접착시켜도 좋고 접착시키지 않아도 좋다.
이어서, 이들 피복도전선(1)과 내벽(2)의 외주면상에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보강사(3)를 관둘레 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관축방향으로 배설한다. 그후 보강사(3)의 외주면상에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대 또는 2대의 압출기에서 피복도전선(1)의 1핏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진 평대형상의 2가닥의 합성수지대재(4')를 각각 밀어내어 이들 합성수지대재(4')를 피복도전선의 1핏치분 마다에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고, 각각의 폭방향의 중앙부분에서 1조의 피복도전선(1)을 감싸넣도록 하여 동시에 보강사(3)를 피복도전선(1)의 핏치 사이에 눌러 넣도록 하고 각각의 대재측면부분(4c)을 도전선(1)의 핏치 사이에 포개어 서로를 융착하는 동시에 내벽(2)과도 융착접착하여 관의 외벽(4)을 형성한다. 이때 피 복도전선(1)과는 서로 접착시켜도 좋고 접착시키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실시예의 호스와 마찬가지로 각 피복도전선(1)의 존재부분이 약 10mm 간격으로 외주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 관벽의 외주면이 나선요철 형상으로 되고 관벽의 내주면이 거의 직선모양으로 되어 있어 관벽의 내외벽(2),(4)간에 보강사에 끼워져 묻혀 있는 나선호스를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복도전선(1)의 도선(1a)은 제6도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철선(1d)을 중심으로 하여 그 외주면에 동피막(1e)을 코팅 피복한 선(CP 선)을 사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선을 사용하면 경철선(1d)이 호스의 보강과 보형의 역할을 다하므로 강한 보형성을 필요로 하는 호스에 적합하다.
이상 본 발명에서 대표적으로 생각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들의 실시예 방법 및 구조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호스와 같이 피복도전선과는 따로 금속선을 병용하든지 보강사의 내면측에 내벽을 2층 형상의 것으로 하는 등 적절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에서 말하는 구성요건을 갖추고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효과를 가지는 범위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이미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호스의 제조방법은 여러가닥의 피복도전선을 가지는 호스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외벽을 형성하기 위한 합성수지대재를 피복도전선의 거의 1핏치분의 폭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보강사의 외측에서 이 대재를 나선형상으로 돌려감아 외벽을 형성함에 있어 피복도전선의 각 핏치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 사이마다 개개의 다수의 보강사를 순차적으로 확실하게 밀어넣을 수 있고 보강사의 떠오름이 없는 호스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현저한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호스는 이와같이 보강사가 피복도전선의 각각의 오목부에서 떠오름이 없는 상태로 확실하게 관벽의 오목부에 가라앉은 상태로 감싸여서 묻혀 있으므로 보강사가 잡아당겨져서 호스의 가요성을 방해함이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랜 세월에 걸쳐 반복해서 굴곡 사용에 의하여도 보강사의 긴장작용에 의하여 외벽이 국부적으로 균열이 생기는 현상이 없고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 호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결 측면도.
제2도는 동관벽 부분의 확대단면도.
제3도는 상기 호스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관벽부분의 단면도.
제4도는 피복도전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다른 실시예의 호스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관벽 부분의 단면도.
제6도는 도선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호스를 도시한 부분절결 측면도.
제8도는 종래의 호수 관벽 부분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피복도전선 2 : 내벽 2' : 합성수지띠재
2a : 평탄부 2b : 돌출홈 3 : 보강사
4 : 외벽 4' : 합성수지대재

Claims (4)

  1. 관벽을 형성하는 내벽(2)과, 소정의 피치로 나선코일 형상으로 돌려 감긴 여러 가닥의 피복도전선(1)과, 이들의 외주면상에서 둘레방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관축방향으로 배설된 다수의 보강사(3)와, 이 보강사(3)의 외측에 형성된 외벽(4)을 가지고, 또 상기 피복도전선(1)의 존재부분이 외주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 관벽의 외주면이 나선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는 보강사가 들어있는 호스에 있어서,
    상기 외벽(4)이 피복도전선(1)의 1핏치분마다에 나선형상으로 돌려 감긴 여러가닥의 합성수지대재(4')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사가 들어있는 호스.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피치로 나선코일 형상으로 돌려감긴 여러가닥의 피복도전선(1)과, 그 외주면에 이 피복도전선(1)의 여러가닥 핏치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합성수지띠재(2')가 나선형상으로 돌려 감기고, 또 피복도전선(1)과 접착되어 내면이 평탄한 면으로 외주면이 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내벽(2)과, 이 내벽 (2)의 외주면에서 관축방향을 따라서 관 둘레방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는 다수의 보강사(3)와 이 보강사(3)의 외측에서 상기 피복도전선(1)의 1핏치분의 폭을 가지는 여러가닥의 얇은 합성수지대재(4')가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겨져서 외주면이 나선요철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외벽(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사가 들어있는 호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의 내벽(2)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띠재(2')가 피복도전선(1)의 각각의 피치 사이를 덮는 평탄부(2a)와 피복도전선(1)을 덮는 돌출홈 (2b)을 가지고 평탄부(2a)의 두께가 도전선을 덮는 돌출홈(2b)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사가 들어있는 호스.
  4. 관의 성형체상에서 여러가닥의 피복도전선(1)을 소정의 핏치를 두고 나선코일 형상으로 돌려감는 A 공정과, 이 피복도전선(1)의 여러가닥 핏치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합성수지띠재(2')를 나선형상으로 돌려감고 그 측면 가장자리를 포개어 접착함으로써 관의 내벽(2)을 형성하는 B 공정중 선택적으로 전후로 행하며, A 공정을 먼저 행하는 경우에는 B 공정에서 합성수지띠재(2')와 피복도전선(1)을 접촉하여 그후 이 양자의 외주면상에서 다수의 보강사(3)를 관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관축방향으로 배설하는 공정과 그 후 이 보강사(3)의 외주면상에서 상기 피복도전선(1)의 1핏치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는 여러 가닥의 합성수지대재(4')를 피복도전선의 1핏치분마다에 나선형상으로 돌려감아 각각의 측면가장자리를 포개어 접착함으로써 관의 외벽(4)을 형성하는 공정에 의하여 각 피복도전선(1)의 존재부분이 외주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 관벽의 외주면이 나선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사가 들어있는 호스의 제조방법.
KR1019930027110A 1992-12-09 1993-12-09 보강사가들어있는호스와그제조방법 KR100320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352612A JP3120166B2 (ja) 1992-12-09 1992-12-09 補強糸入りホースとその製造方法
JP92-352612 1992-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851A KR940016851A (ko) 1994-07-25
KR100320100B1 true KR100320100B1 (ko) 2002-12-26

Family

ID=1842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110A KR100320100B1 (ko) 1992-12-09 1993-12-09 보강사가들어있는호스와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5601119A (ko)
JP (1) JP3120166B2 (ko)
KR (1) KR100320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166B2 (ja) * 1992-12-09 2000-12-25 金尾 茂樹 補強糸入りホースとその製造方法
JPH0919390A (ja) * 1995-07-06 1997-01-21 Toutaku Kogyo Kk クリーナーホース
JP2000337563A (ja) * 1999-05-28 2000-12-05 Tigers Polymer Corp 可撓性ホース
US6302152B1 (en) * 1999-11-18 2001-10-16 Brass-Craft Manufacturing Company Flexible connector with improved braided sheathing
KR20030007270A (ko) * 2002-11-12 2003-01-23 박일숙 진공청소기용 플렉시블 호스 및 그 제조방법
US20100139661A1 (en) * 2003-12-18 2010-06-10 Scott Technologies, Inc. Air breathing hose with integrated electrical wiring
JP4568508B2 (ja) * 2004-02-23 2010-10-27 カナフ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ホース
JP2006167457A (ja) * 2004-12-15 2006-06-29 Kim Bong Hee 真空掃除機用ホース
FR2911381B1 (fr) * 2007-01-11 2010-11-05 Axon Cable Sa Cable hybride
US9505164B2 (en) 2009-12-30 2016-11-29 Schauenburg Technology Se Tapered helically reinforced hose and its manufacture
DE102008022663B4 (de) 2008-05-07 2012-10-31 Schauenburg Hose Technology Gmbh Stretch-Schlauch
US7735523B2 (en) * 2008-10-14 2010-06-15 Flexible Technologies, Inc. Self-extending electrical hose
US9964238B2 (en) 2009-01-15 2018-05-08 Globalmed, Inc. Stretch hose and hose production method
ITMI20111211A1 (it) * 2011-06-30 2012-12-31 Merlett Tecnoplastic Struttura di tubo antistatico.
KR101461648B1 (ko) * 2013-06-24 2014-11-20 주식회사 산청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
KR101443258B1 (ko) * 2013-06-24 2014-09-22 주식회사 산청 호흡보호용 공기공급장치의 제조방법
CA3033944C (en) 2017-01-30 2020-02-18 Globalmed, Inc. Heated respiratory hose assembly
CN113096860B (zh) * 2021-04-07 2023-07-18 金华春光橡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伸缩软管及其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7026A (en) * 1959-09-23 1962-07-31 Acme Hamilton Mfg Corp Flexible hose
DE2331643C3 (de) * 1972-06-24 1975-10-09 Mitsubishi Petrochemical Co., Ltd., Tokio Schlauch, insbesondere Wärmeschutzschlauch
JPS52137715A (en) * 1976-05-13 1977-11-17 Shirou Kanao Flexible hose * having hard resin reinforcing wire
US4186778A (en) * 1978-05-30 1980-02-05 Dayco Corporation Hose construction having integral fire extinguishan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304266A (en) * 1980-03-24 1981-12-08 Automation Industries, Inc. Smooth bore flexible hose
US4843713A (en) * 1986-07-25 1989-07-04 Shell Oil Company Apparatus for making helical flowline bundles
US4693324A (en) * 1986-08-01 1987-09-15 Automation Industries, Inc. Current-carrying flexible hose
DE3626886A1 (de) * 1986-08-08 1988-02-11 Xaver Lipp Trag- oder spannseil mit einer ummantelung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seiles
US4957792A (en) * 1987-11-09 1990-09-18 Toyo Tire & Rubber Co., Ltd. Self-molding hose and a continuous vulcanization method
JPH0372856A (ja) * 1989-08-14 1991-03-28 Suehiro Shokuhin Kogyo Kk マンナンゼリーを用いた食品加工方法
US5129428A (en) * 1989-09-11 1992-07-14 Dayco Products, Inc. Flexible hose constuction
JP3120163B2 (ja) * 1992-07-22 2000-12-25 金尾 茂樹 導電線内装クリーナーホース
JP3120166B2 (ja) * 1992-12-09 2000-12-25 金尾 茂樹 補強糸入りホースとその製造方法
JP3134094B2 (ja) * 1994-04-01 2001-02-13 金尾 茂樹 クリーナーホ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851A (ko) 1994-07-25
US5601119A (en) 1997-02-11
JP3120166B2 (ja) 2000-12-25
JPH06169868A (ja) 1994-06-21
US5819518A (en) 1998-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100B1 (ko) 보강사가들어있는호스와그제조방법
KR100521509B1 (ko) 클리너호스
KR100422212B1 (ko) 클리너호오스
US4490575A (en) Flexible hose with external sheathed electrical conductor
EP0255359B1 (en) A helically fabricated flexible hose
JP3120163B2 (ja) 導電線内装クリーナーホース
EP0062721B1 (en) Electrical current-carrying flexible hose
US20040026101A1 (en) Parallel two-core shielding wi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4224463A (en) Dual wire hose
US4157452A (en) Electric power cable with improved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910006743A (ko) 수중용 광섬유케이블 유니트
JPH0146754B2 (ko)
JP2020057589A (ja) 耐火電線
CN114400108A (zh) 线圈及导线
JP2004119682A (ja) モールド変圧器用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875460B2 (ja) 複合ケーブルおよび複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0120945A (ja) 軟質合成樹脂製ホース
JPH0621420Y2 (ja) クリーナーホース
CN216772837U (zh) 线圈及导线
EP0560920A1 (en) SHEATHED COAXIAL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WITH ASYMMETRIC PROFIL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H0648223Y2 (ja) クリーナーホース
JPS5826410A (ja) テ−プ電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78056A (ja) 金属補強線付き可撓性ホース
JP3026385U (ja) 多層絶縁チューブ
JP4022699B2 (ja) クリーナーホ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