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902B1 -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902B1
KR100319902B1 KR1019990015404A KR19990015404A KR100319902B1 KR 100319902 B1 KR100319902 B1 KR 100319902B1 KR 1019990015404 A KR1019990015404 A KR 1019990015404A KR 19990015404 A KR19990015404 A KR 19990015404A KR 100319902 B1 KR100319902 B1 KR 100319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steel sheet
motor
roller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7519A (ko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이한세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세,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한세
Priority to KR1019990015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902B1/ko
Publication of KR2000006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판 제조공정의 완전자동화를 실현하는 한편, 강판에 완전한 곡률을 성형함으로써 파형강관의 내하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평평한 강판(100)을 이송시키는 평강판 이송장치(200); 평강판 이송장치(200)에 연결 설치되어 강판(100)에 균일한 파형 및 볼트 체결용 홀을 성형하는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에 연결 설치되어 강판(100)의 이송방향을 절환하는 횡방향 이송장치(400); 횡방향 이송장치(400)에 연결 설치되어 강판(100)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600); 및 횡방향 이송장치(400)에 배출장치(600)와 병행 설치되어 강판(100) 전체에 단일한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장치(700);로 이루어진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으로서, 파형 및 홀을 성형하는 작업이 하나의 공정에서 이루어지므로 공정수가 줄게 되고, 강판(100)을 횡방향으로 이송시켜 벤딩장치(700)로 직접 이송할 수 있으므로 각 공정을 컨베이어로 연결하여 파형강판 제조공정을 완전자동화할 수 있으며, 롤러로 강판을 벤딩하므로 완전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A MANUFACTURING DEVICE FOR CORRUGATED STEEL STRUCTURAL PLAT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형이 성형된 강판을 횡방향으로 연속이송시켜 벤딩시킴으로써 파형강판 제조공정의 완전자동화를 실현하는 한편, 벤딩작업에 있어서 롤러를 사용하여 완전한 곡률을 성형함으로써 파형강관의 내하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판은 강판에 파형을 성형한 것으로서, 파형에 의해 하중 및 반력이 강판전체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내하력이 큰 특징이 있다. 이러한 파형강판을 여러겹으로 겹치거나 볼팅등의 방법으로 서로 잇대어 판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파형강판에 곡률을 주고 서로 연결하여 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파형강판으로 제조한 구조물은 다른 강성 암거보다 경제적이므로, 고속도로나 철도를 횡단하는 지하통로나 용/배수로 암거 등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파형강관으로 제조한 구조물은 암거로의 용도 이외에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하므로, 수로, 토류벽, 공재 사이로, 수조, 호안용 셀, 집수용 말뚝, 공항 신설시의 고성토(30m 이상)에서의 가배수, 건축용 지붕, 콘베이어용 커버, 그 외 간이 구조물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파형강판을 제조하는 종래의 제조방법을 도 1의 블럭도를 참조하여 소개한다.
이 방법은, 평평한 강판을 이송시키는 평강판 이송공정(P1); 이송된 강판에 파형을 성형하는 파형성형공정(P2); 파형이 성형된 강판에 볼트 체결용 홀을 천공하는 홀성형공정(P3); 파형 및 홀이 성형된 강판에 일정한 곡률을 주는 벤딩공정(P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파형강판 제조방법을 블록도로서 도시하는 것은, 종래에는 각공정에서 독립된 장치로서 해당작업을 수행하고, 다음의 창치로 이동함에 있어서 자동화되지 아니하였으므로 각 공정간의 이동을 수동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이다.
여기서 파형성형공정(P2)은, 1 또는 2피치의 파형이 성형된 금형을 가압장치에 횡방향으로 상하에 구비하고, 이 금형의 사이에 강판을 삽입시킨 다음 가압장치로 상측의 금형을 압착하여 강판에 파형을 1 또는 2피치씩 성형한다. 그 다음 강판을 종방향으로 1 또는 2피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전진시킨 다음, 계속하여 금형으로 강판에 파형을 1 또는 2피치씩 성형한다. 따라서 이 파형성형공정(P2)에서 하나의 강판에 종방향으로 수십개의 파형이 성형된다.
그 다음, 홀성형공정(P3)에서는 파형이 형성된 강판끼리 볼트 체결로 서로 잇기 위하여 강판의 가장자리에 볼트 체결용 홀을 성형하는데, 이 홀성형공정(P3)에서는 펀치를 이용하여 강판의 골이나 산에 각각 다수의 홀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파형 및 홀이 성형된 강판은 여러개의 강판의 각 홀을 볼트로 체결하여 구조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한다. 따라서 단순한 강판구조물을 제조할 경우에는 홀성형공정(P3)에서 모든 공정을 종료한다.
한편, 파형이 형성된 강판을 이용하여 관을 제조할 때에는 강판에 곡률을 주어 서로 연결할 경우 관의 형태가 되게 한다.
따라서 벤딩공정(P4)에서는 파형이 성형된 금형을 벤딩장치의 상하에 고정하고, 이 금형의 사이에 강판의 측면이 금형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만큼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하고, 이렇게 돌출된 부분을 호이스트로 당김으로써 1피치의 절곡부를 형성한다. 이어서 강판을 금형의 외측으로 또 1피치를 빼낸 후 다시 호이스트로 파형강판을 당김으로써 또 1피치의 절곡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파형이 형성된 강판의 전체가 곡률을 갖도록 하여 제관용 파형강판으로 제조한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파형강판 제조공정을 볼 때, 모든 공정이 하나의 라인으로 연속하여 작업할 수 없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것은 금형으로 파형을 성형한 강판은 그 파형이 강판의 진행방향과 직교하기 때문에 반드시 파형강판을 횡방향으로 금형에 삽입하고 호이스트로 당겨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형강판을 파형을 성형한 라인으로부터 90°로 턴시킨 후 강판을 금형을 고정한 벤딩장치에 삽입시키거나, 벤딩장치를 강판에 파형을 성형한 라인의 측방향에 위치시키고 강판을 횡방향으로 이송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파형강판 제조방법에서는 파형 및 홀이 성형된 강판을 벤딩공정(P4)으로 이송함에는 반드시 별도의 이송수단을 거쳐야 하였으므로, 전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형강판 제조방법에서는, 파형이 형성된 강판을 벤딩함에 있어 강판을 벤딩장치에 고정한 금형의 사이에 고정하고 호이스트로 강판을 당겨 절곡하기 때문에, 소정피치의 평면을 연속적으로 절곡하여 전체적으로 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부분적으로는 완전한 곡률을 갖지 못한다. 특히 강판의 양단에는 곡률을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강판으로 강관을 제조할 경우 완전한 원형을 갖지 못하게 되므로, 완전한 곡률을 갖는 강관에 비해 내하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형이 성형된 강판을 횡방향으로 연속이송시켜 벤딩시킴으로써 파형강판 제조공정의 완전자동화를 실현하는 한편, 벤딩작업에 있어서 롤러를 사용하여 완전한 곡률을 성형함으로써 파형강관의 내하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파형강판 제조방법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평강판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 1이송대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스토퍼실린더 및 피치조정기어의 확대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가압장치의 정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가압장치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한 제 2이송대의 측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한 이송롤러의 승강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한 제 3이송대의 측면도.
도 11은 도 2에 도시한 배출장치의 측면도.
도 12는 도 2에 도시한 캐리어의 이송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도 2에 도시한 피딩봉의 이송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도 2에 도시한 벤딩장치의 측단면도.
도 15는 도 2에 도시한 벤딩장치의 정단면도.
도 16은 도 2에 도시한 호이스트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 사용방법의 플로우챠트.
도 18는 도 17의 평강판 이송공정의 단계별 플로우챠트.
도 19는 도 17의 파형 및 홀성형공정의 단계별 플로우챠트.
도 20은 도 17의 횡방향 이송공정의 단계별 플로우챠트.
도 21은 도 17의 선택공정의 단계별 플로우챠트.
도 22는 도 17의 배출공정의 단계별 플로우챠트.
도 23은 도 17의 벤딩공정의 단계별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강판 200: 평강판 이송장치
210: 제 1이송레일 220: 제 1이송체
222: 제 1구동유니트 224: 제 1이송모터
230: 제 1승강모터 232: 제 1절환유니트
234: 제 1승강프레임 236: 진공흡착판
238: 진공흡입장치 300: 파형 및 홀성형장치
310: 제 1이송대 312: 자유롤러
314: 제 1피딩유니트 316: 제 1피딩모터
318: 측면가이드 320: 브래킷
322: 스토퍼실린더 324: 팁
326: 피치조정기어 328: 치형
330: 가압장치 332: 고정프레임
334: 유동프레임 336: 가압실린더
338: 금형 339: 관통공
340: 펀칭실린더 342: 펀치
350: 가이드롤러 360: 제 2이송대
362: 제 2피딩유니트 364: 제 2피딩모터
370: 제 1리미트 스위치 400: 횡방향 이송장치
410: 제 1지지프레임 412: 제 2승강모터
414: 제 2절환유니트 416: 제 2승강프레임
420: 이송롤러 422: 제 2이송모터
430: 제 3이송대 432: 제 3피딩유니트
434: 제 3피딩모터 440: 스타트 스위치
442: 센싱바 510: 제 2리미트 스위치
600: 배출장치 610: 제 3지지프레임
612: 안내레일 620: 제 2구동유니트
622: 이송프레임 630: 제 3승강모터
632: 제 3절환유니트 634: 제 3승강프레임
640: 마그네틱 유니트 642: 쇠사슬
650: 제 2이송레일 652: 스토퍼브래킷
660: 캐리어 662: 바퀴
664: 체결구 670: 제 3이송모터
672: 구동풀리 674: 피동풀리
676: 풀링체인 700: 벤딩장치
710: 제 2지지프레임 712: 제 4피딩모터
714: 제 3절환유니트 716: 피딩봉
718: 회동판 720: 저면프레임
722: 측면프레임 730: 제 1롤러모터
732: 제 1파형롤러 740: 제 2파형롤러
742: 제 1승강실린더 744: 제 2롤러모터
750: 제 3파형롤러 752: 제 2승갈실린더
754: 제 3롤러모터 760: 제 4파형롤러
762: 제 3승강실린더 764: 제 4롤러모터
770: 포스트 772: 회동암
774: 호이스트 780: 적재대
790: 벽 792: 서포터
P100: 준비공정 P200: 평강판 이송공정
P300: 파형 및 홀성형공정 P400: 횡방향 이송공정
P500: 선택공정 P600: 배출공정
P700: 벤딩공정 S201: 제 1그립단계
S202: 제 1리프팅단계 S203: 제 1이송단계
S204: 제 1안착단계 S205: 이송체 복귀단계
S301: 제 1피딩단계 S302: 파형성형단계
S303: 홀성형단계 S304: 제 2이송단계
S401: 제 1이송감지단계 S402: 롤러상승단계
S403: 횡방향이송단계 S404: 제 2이송감지단계
S405: 제 3이송단계 S406: 롤러하강단계
S501: 제 3이송감지단계 S502: 판단단계
S503: 연속이송단계 S504: 정지단계
S601: 제 2그립단계 S602: 제 2리프팅단계
S603: 제 4이송단계 S604: 제 2안착단계
S605: 이송프레임 복귀단계 S606: 제 5이송단계
S607: 캐리어 복귀단계 S701: 제 2피딩단계
S702: 곡률조정단계 S703: 벤딩단계
S704: 적재단계 S705: 피딩봉복귀단계
S706: 롤러복귀단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평한 강판을 이송시키는 평강판 이송장치; 상기 평강판 이송장치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강판에 균일한 파형 및 볼트 체결용 홀을 성형하는 파형 및 홀성형장치; 상기 파형 및 홀성형장치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을 절환하는 횡방향 이송장치; 상기 횡방향 이송장치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강판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 및 상기 횡방향 이송장치에 상기 배출장치와 병행 설치되어 상기 강판 전체에 단일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장치;로 이루어진 파형강판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파형강판 제조장치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장치에 입력하는 준비공정; 평평한 강판을 공급 및 이송시키는 평강판 이송공정; 상기 강판에 파형 및 볼트 체결용 홀을 성형하는 파형 및 홀성형공정;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을 절환하는 횡방향 이송공정; 상기 강판의 벤딩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공정; 상기 강판을 벤딩시키지 않을 경우 배출장치를 통하여 상기 강판을 배출시키는 배출공정; 및 상기 선택공정에서 상기 강판을 벤딩시킬 경우 벤딩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강판 전체에 단일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공정;으로 이루어진 파형강판 제조장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나타난 본 실시예의 파형강판 제조장치는, 평평한 강판(100)을 이송시키는 평강판 이송장치(200); 평강판 이송장치(200)에 연결 설치되어 강판(100)에 균일한 파형 및 볼트 체결용 홀을 성형하는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에 연결 설치되어 강판(100)의 이송방향을 절환하는 횡방향 이송장치(400); 횡방향 이송장치(400)에 연결 설치되어 강판(100)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600); 및 횡방향 이송장치(400)에 상기 배출장치(600)와 병행 설치되어 강판(100)전체에 단일한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장치(7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평강판 이송장치(200)의 측면 개략도를 도 3에 도시한다.
이러한 평강판 이송장치(200)는, 바닥에 설치되는 제 1이송레일(210); 제 1이송레일(210)을 따라 구르는 제 1구동유니트(222)를 통해 직선이동되는 제 1이송체(220); 제 1이송체(220)에 설치되어 제 1구동유니트(222)를 회전시키는 제 1이송모터(224); 제 1이송체(220)에 설치되는 제 1승강모터(230); 제 1이송체(220)에 설치되어 제 1승강모터(230)의 회전력을 상하 이동력으로 절환하는 제 1절환유니트(232); 제 1절환유니트(232) 설치되는 제 1승강프레임(234); 제 1승강프레임(234)에 설치되어 강판(100)을 흡착하는 다수의 진공흡착판(236); 및 제 1이송체(220)에 설치되어 진공흡착판(236)에 진공흡입력을 전달하는 진공흡입장치(23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진공흡착판(236)은 강판(100)의 크기와 무게를 고려하여 적정수를 선택하여 설치하며 그 수는 10개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한다.
그리고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의 제 1이송대(310)의 측면 개략도를 도 4에 도시하고, 스토퍼실린더(322) 및 피치조정기어(326)의 확대도를 도 5에 도시한다. 그리고 가압장치(330)의 정단면과 측단면 개략도를 도 6과 도 7에 각각 도시하고, 제 2이송대(360)의 측단면 개략도를 도 8에 도시한다.
상기의 도면에 예시된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는, 평강판 이송장치(200)의 제 1이송레일(210)에 연결 설치되고 상면에 다수의 자유롤러(312)를 갖는 제 1이송대(310); 제 1이송대(310)에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강판(100)의 저면에 접촉하는 제 1피딩유니트(314); 제 1이송대(310)에 설치되어 제 1피딩유니트(314)를 일정 거리씩 이동시키는 제 1피딩모터(316); 파형이 형성된 상하 한 쌍의 금형(338); 금형(338)에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펀치(342); 제 1피딩유니트(314)의 일단에 설치되어 한 쌍의 금형(338)을 파형이 대향되게 상하에 고정하여 하나의 금형(338)을 상하 이동시키고 펀치(342)를 고정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압장치(330); 제 1이송대(310)와 대향되는 방향에서 가압장치(330)에 연결 설치되는 제 2이송대(360); 제 2이송대(360)에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강판(100)의 저면에 접촉하는 제 2피딩유니트(362); 및 제 2이송대(360)에 설치되어 제 2피딩유니트(362)를 이동시키는 제 2피딩모터(364);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편강판 이송장치(200)의 제 1이송레일(210)을 제 1이송대(310)로 연결 설치함으로써, 제 1이송체(220)가 제 1이송대(310)의 상부로 이송되어강판(100)을 제 1이송대(31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1피딩유니트(314)를 일정피치씩 이송시키기 위하여, 제 1이송대(310)에 제 1피딩모터(316)에 연동되어 제 1피딩유니트(314)를 구동시키는 피치조정기어(326)를 설치하고, 제 1이송대(310)에 팁(324)이 피치조정기어(326)의 치형(328)을 제동하는 스토퍼실린더(322)를 설치한다.
이러한 제 1피딩유니트(314)와 제 2피딩유니트(362)는 체인이나 벨트 등으로 된 컨베이어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 1이송대(310)에는 강판(1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에서 중심을 향하여 이송되는 측면가이드(318)를 설치하고, 강판(100)의 후단을 가압하여 가압장치(330)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제 1피딩유니트(314)에는 강판(10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접촉하는 브래킷(320)을 고정한다.
한편 가압장치(330)는, 바닥에 고정되어 한쌍의 금형(338)중 하나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332)과, 고정프레임(332)에 설치되어 상하로 신축하는 가압실린더(336)와, 가압실린더(336)에 고정되어 상기 금형(338)의 상측에 나머지 금형(338)을 고정하는 유동프레임(334) 및 유동프레임(334)에 설치되어 펀치(342)를 고정하는 펀칭실린더(3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펀치(342)는 강판(100)의 파형에서 산과 골에 해당하는 부분의 양단에 강판(100)끼리 서로 잇기 위한 나사체결용 홀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하의 금형(338)에서 산과 골에 해당되는 부분에 미리 관통공(339)을 천공하고, 이 관통공(339)을 따라 펀치(342)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금형(338)에는강판(100)에 성형하고자 하는 모든 위치의 홀에 해당되는 부분에 모두 관통공(339)을 형성하고, 펀치(342)는 필요한 부분 및 수를 선택하여 펀칭실린더(340)에 고정한다.
또한 고정프레임(332)에는 한 쌍의 금형(338)의 사이를 통과한 강판(100)의 상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롤러(350)가 구비되고, 제 2이송대(360)의 최선단에는 강판(100)에 접촉하여 강판(100)의 이송완료를 감지하는 제 1리미트 스위치(370)가 설치된다.
한편, 횡방향 이송장치(400)의 측면 개략도를 도 9와 도10에 각각 도시한다.
이 횡방향 이송장치(400)는,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의 제 2이송대(360)에 연결 설치되는 제 1지지프레임(410); 제 1지지프레임(410)에 설치되는 제 2승강모터(412); 제 2승강모터(412)의 회전력을 상하 이송력으로 절환하는 제 2절환유니트(414); 제 2절환유니트(414)에 연결되는 제 2승강프레임(416); 강판(100)의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 2승강프레임(416)에 설치되는 이송롤러(420); 제 2승강프레임(416)에 설치되어 이송롤러(420)를 회전시키는 제 2이송모터(422); 이송롤러(420)에 연결 설치되는 제 3이송대(430); 제 3이송대(430)에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강판(100)의 저면에 접촉하는 제 3피딩유니트(432); 및 제 3이송대(430)에 설치되어 제 3피딩유니트(432)를 이동시키는 제 3피딩모터(43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1지지프레임(410)과, 제 2승강모터(412), 제 2절환유니트(414), 제 2승강프레임(416), 이송롤러(420), 제 2이송모터(422)는 제 2이송대(360)에 겹치게 설치되고, 이송롤러(420)는 하강해 있을 때에는 제 2피딩유니트(362)보다 낮은 위치가 되며, 상승해 있을 때에는 제 2피딩유니트(362)보다 높은 위치가 된다.
그리고 강판(100)이 제 3이송대(430)로 이송될 때에만 제 3피딩유니트(432)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제 3이송대(430)에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센싱바(442)를 갖는 스타트 스위치(440)를 설치한다.
한편, 강판(100)이 적정 위치로 이송되었을 때 제 3피딩유니트(432)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제 3이송대(430)에는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다수의 제 2리미트 스위치(510)를 강판(100)의 진행방향으로 따라 설치한다. 제 2리미트 스위치(510)의 수는 4개로 함이 적당하다.
그리고 제 3피딩유니트(432)는 체인이나 벨트 등으로 된 컨베이어로 구성한다.
다음은 배출장치(600)의 측면 개략도를 도 11에 도시한다.
이 배출장치(600)는, 횡방향 이송장치(400)의 제 3이송대(430)에 연결 설치되고, 상면에 안내레일(612)을 갖는 제 3지지프레임(610); 안내레일(612)을 따라 이동하는 제 2구동유니트(620); 제 2구동유니트(620)에 설치되는 이송프레임(622); 이송프레임(622)에 설치되는 제 3승강모터(630); 이송프레임(622)에 설치되어 제 3승강모터(630)의 회전력을 상하 이송력으로 절환하는 제 3절환유니트(632); 제 3절환유니트(632)에 연결 설치되는 제 3승강프레임(634); 및 제 3승강프레임(634)에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유니트(64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마그네틱 유니트(640)를 제 3승강프레임(634)에 쇠사슬(642) 등으로매달고, 마그네틱 유니트(640)의 저면에 강판(100)의 파형에 일치하는 파형을 형성함으로써, 마그네틱 유니트(640)로 강판(100)을 접착할 때 마그네틱 유니트(640)의 저면에 형성한 파형이 강판(100)의 파형에 일치되게 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강판(100)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용이한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를 도 12에 도시한다.
이 장치는 제 2지지프레임(710)의 하방에서 안내레일(612)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이송레일(650)과, 제 2이송레일(650)을 따라 구르는 바퀴(662) 및 한쌍의 체결구(664)를 갖는 캐리어(660)와, 제 2이송레일(650)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캐리어(660)의 선단이 접촉되는 스토퍼브래킷(654)과, 제 2이송레일(65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풀리(672) 및 피동풀리(674)와, 한쌍의 체결구(664)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고 구동풀리(672) 및 피동풀리(674)에서 각각 반전되는 풀링체인(676) 및 제 2이송레일(650)에 타단에 설치되어 구동풀리(672)를 회전시키는 제 3이송모터(670)로 이루어진다.
한편, 벤딩장치(700)의 피딩봉(716)의 설치상태를 도 13에 도시하고, 벤딩장치(700)의 측면도와 정면도를 도 14와 도 15에 각각 도시한다.
이러한 벤딩장치(700)는, 횡방향 이송장치(400)의 제 3이송대(430)에 연결 설치되는 제 2지지프레임(710); 제 2지지프레임(710) 상에 설치되는 제 4피딩모터(712); 제 4피딩모터(712)의 회전력을 수평 이송력으로 절환하는 제 3절환유니트(714); 제 3절환유니트(714)에 의해 수평 이송되는 피딩봉(716); 제 2지지프레임(710)에 연결 설치되는 저면프레임(720); 저면프레임(720)의 양측에 직립 설치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722); 양측 측면프레임(7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강판(100)에 형성한 파형에 일치하는 파형이 형성된 제 1파형롤러(732); 일측 측면프레임(722)에 설치되어 제 1파형롤러(732)를 회전시키는 제 1롤러모터(730); 제 1파형롤러(732)의 하방에서 양측 측면프레임(722)에 설치되는 각각 한 쌍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 각각 한 쌍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강판(100)에 형성한 파형에 일치하는 파형이 각각 형성된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 및 각 일측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에 설치되어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 2롤러모터(744), 제 3롤러모터(754), 제 4롤러모터(76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피딩봉(716)에는 강판(100)의 진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그 역방향으로 고정되는 회동판(718)이 강판(100)의 이송 높이에 설치된다.
또한 곡률이 성형된 강판(100)을 배출시키는 호이스트(774)의 설치상태를 도 16에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지지프레임(710)과 대향되는 방향의 저면프레임(720)에 인접한 장소에 포스트(770)를 직립되게 설치하고, 이 포스트(770)에 회동암(772)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이 회동암(772)에 호이스트(774)를 설치한다.
이 포스트(770)는 벽(790)에 서포터(792)로서 지지하여 강판(100)의 하중을받을 때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함께, 제 2지지프레임(710)과 대향되는 방향의 저면프레임(720)에 인접한 장소에 강판(100)의 곡률에 일치되는 곡률이 상면에 형성된 적재대(780)를 설치한다.
이상의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각 장치는 제어장치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게 된다. 또한 각 장치에는 별도의 제어기를 구비하여 수동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파형강판 제조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17은 파형강판 제조장치 사용방법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한다.
이 사용방법은,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장치에 입력하는 준비공정(P100); 평평한 강판(100)을 공급 및 이송시키는 평강판 이송공정(P200); 강판(100)에 파형 및 볼트 체결용 홀을 성형하는 파형 및 홀성형공정(P300); 강판(100)의 이송방향을 절환하는 횡방향 이송공정(P400); 강판(100)의 벤딩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공정(P500); 강판(100)을 벤딩시키지 않을 경우 배출장치(600)를 통하여 강판(100)을 배출시키는 배출공정(P600); 및 선택공정(P500)에서 강판(100)을 벤딩시킬 경우 벤딩장치(700)를 작동시켜 강판(100) 전체에 단일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공정(P70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평강판 이송공정(P200)의 각 단계를 도 18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다.
이 평강판 이송공정(P200)은, 제 1승강모터(230)를 회전시켜 제 1절환유니트(232)를 통하여 제 1승강프레임(234)을 하강시키고 진공흡입장치(238)를 작동시켜 진공흡착판(236)으로 강판(100)을 흡착하는 제 1그립단계(S201)와, 제 1승강모터(230)를 역회전시켜 제 1절환유니트(232)를 통하여 제 1승강프레임(234)을 상승시키는 제 1리프팅단계(S202)와, 제 1이송모터(224)를 회전시켜 제 1이송체(220)를 제 1이송레일(210)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 1이송단계(S203)와, 진공흡입장치(238)의 흡입력을 감소시켜 강판(100)을 제 1이송대(310)에 안착시키는 제 1안착단계(S204) 및 제 1이송모터(224)를 역회전시켜 제 1이송체(220)를 최초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체 복귀단계(S20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파형 및 홀성형공정(P300)의 각 단계를 도 19에 도시한다.
이 파형 및 홀성형공정(P300)은, 제 1피딩모터(316)를 회전시켜 피치조정기어(326)를 회전시키고, 스토퍼실린더(322)를 작동시켜 피치조정기어(326)를 일정 간격으로 제동하여, 제 1피딩유니트(314)를 1피치씩 구동시켜 강판(100)을 1피치씩 이송시키는 제 1피딩단계(S301)와, 가압장치(330)의 가압실린더(336)를 작동시켜 유동프레임(334)을 승강시킴으로써 금형(338)으로 강판(100)에 파형을 성형하는 파형성형단계(S302)와, 가압실린더(336)를 작동시켜 금형(338)을 승강시킴과 동시에 펀칭실린더(340)를 작동시켜 펀치(342)로 강판(100)에 홀을 성형하는 홀성형단계(S303) 및 제 2피딩모터(364)를 회전시켜 제 2피딩유니트(362)를 통하여 강판(100)을 제 2이송대(360)상에서 이송시키는 제 2이송단계(S30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횡방향 이송공정(P400)의 각 단계를 도 20에 도시한다.
이 횡방향 이송공정(P400)은, 제 2이송대(360)에 설치된 제 1리미트 스위치(370)를 통하여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제 1이송감지단계(S401)와, 제2승강모터(412)를 회전시켜 제 2절환유니트(414)를 통하여 제 2승강프레임(416)을 상승시킴으로써 이송롤러(420)를 상승시키는 롤러상승단계(S402)와, 제 2이송모터(422)를 회전시켜 이송롤러(420)를 회전시킴으로써 강판(100)을 제 3이송대(430)로 이송시키는 횡방향이송단계(S403)와, 강판(100)이 센싱바(442)에 접촉함에 따라 스타트 스위치(440)에서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제 2이송감지단계(S404)와, 제 3피딩모터(434)를 회전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통하여 강판(100)을 상기 제 3이송대(430)상에서 이송시키는 제 3이송단계(S405) 및 제 2승강모터(412)를 역회전시켜 제 2절환유니트(414)를 통하여 제 2승강프레임(416)을 하강시킴으로써 이송롤러(420)를 하강시키는 롤러하강단계(S40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택공정(P500)의 각 단계를 도 21에 도시한다.
이 선택공정(P500)은, 제 2리미트 스위치(510)에 의해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제 3이송감지단계(S501)와, 제어장치에 입력된 내용에 따라 강판(100)의 벤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502)와, 판단단계(S502)에서 판단한 결과 벤딩이 필요하면 제 3피딩모터(434)를 계속 회전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연속 이송시키는 연속이송단계(S503) 및 판단단계(S502)에서 판단한 결과 벤딩이 필요하지 않으면 제 3피딩모터(434)를 정지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50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출공정(P600)의 각 단계를 도 22에 도시한다.
이 배출공정(P600)은, 제 3승강모터(630)를 회전시켜 제 3절환유니트(632)를통하여 제 3승강프레임(634)을 하강시키고 마그네틱 유니트(640)를 작동시켜 강판(100)을 자력으로 접착하는 제 2그립단계(S601)와, 제 3승강모터(630)를 역회전시켜 제 3절환유니트(632)를 통하여 제 3승강프레임(634)을 상승시키는 제 2리프팅단계(S602)와, 제 2구동유니트(620)를 작동시켜 이송프레임(622)을 제 3지지프레임(610)의 안내레일(612)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 4이송단계(S603)와, 마그네틱 유니트(640)의 자력을 감소시켜 강판(100)을 캐리어(660)에 안착시키는 제 2안착단계(S604)와, 제 2구동유니트(620)를 작동시켜 이송프레임(622)을 복귀시키는 이송프레임 복귀단계(S605)와, 제 3이송모터(670)를 회전시켜 구동풀리(672)를 통해 풀링체인(676)을 회전시킴으로써 강판(100)이 안착된 캐리어(660)를 제 2이송레일(650)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 5이송단계(S606) 및 제 3이송모터(670)를 역회전시켜 구동풀리(672)를 통해 풀링체인(676)을 회전시킴으로써 캐리어(660)를 제 2이송레일(650)을 따라 최초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캐리어 복귀단계(S60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벤딩공정(P700)의 각 단계를 도 23에 도시한다.
이 벤딩공정(P700)은, 제 4피딩모터(712)를 회전시켜 제 3절환유니트(714)를 통하여 피딩봉(716)을 이송시킴으로써 강판(100)을 제 1파형롤러(732)의 하방으로 공급하는 제 2피딩단계(S701)와, 각각 한 쌍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를 작동시켜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적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곡률조정단계(S702)와, 제 1롤러모터(730), 제 2롤러모터(744), 제 3롤러모터(754), 제 4롤러모터(764)를 작동시켜 제 1파형롤러(732),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회전시켜 강판(100)에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단계(S703)와, 호이스트(774)를 상기 강판(100)에 연결하고 회동암(772)을 회동시켜 강판(100)을 적재대(780)에 적재하는 적재단계(S704)와, 제 4피딩모터(712)를 역회전시켜 제 3절환유니트(714)를 통하여 피딩봉(716)을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피딩봉 복귀단계(S705) 및 각각 한 쌍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를 작동시켜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하강시키는 롤러복귀단계(S706)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각 공정은 하나의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게 함으로써, 전 공정은 자동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의 작용을 그 사용방법의 공정에 따라 설명한다.
각 공정의 각 단계에 대한 참고도면은 각 단계에 사용되는 각 장치의 구성설명에서 예시된 도면을 참조한다.
먼저,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장치에 입력하는 준비공정(P100)을 설명한다.
이 공정에서는 제어장치에 각 장치의 동작을 입력하며, 특히 강판(100)에 파형 및 홀을 성형한 후, 벤딩여부를 입력한다.
즉, 강판(100)을 벤딩할 경우는 벤딩장치(700)을 작동시키고 배출장치(600)을 정지시키며, 강판(100)을 벤딩하지 않을 경우는 벤딩장치(700)을 정지시키고 배출장치(600)을 작동시킨다.
그 다음, 평강판 이송장치(200)를 작동시켜 평평한 강판(100)을 이송시키는 평강판 이송공정(P200)을 설명한다.
최초 제 1승강모터(230)를 회전시켜 제 1절환유니트(232)를 통하여 제 1승강프레임(234)을 하강시키고, 진공흡입장치(238)를 작동시켜 진공흡착판(236)으로 강판(100)을 흡착하는 제 1그립단계(S201)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1승강모터(230)를 회전시키면 제 1승강모터(230)의 회전력이 제 1절환유니트(232)를 통하여 수직방향 이송력으로 절환되어 제 1승강프레임(234)을 하강시킴에 따라 제 1승강프레임(234)에 설치된 각각의 진공흡착판(236)이 강판(100)에 첩촉되며, 진공흡입장치(238)의 진공흡입력이 진공흡착판(236)에 전달되어 진공흡착판(236)이 강판(100)을 흡착한다.
이어서 제 1승강모터(230)를 역회전시켜 제 1절환유니트(232)를 통하여 제 1승강프레임(234)을 상승시키는 제 1리프팅단계(S202)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1승강모터(230)가 역회전하여 그 회전력이 제 1절환유니트(232)를 통하여 수직 이송력을 절환되어 제 1승강프레임(234)을 상승시키고, 제 1승강프레임(234)이 상승함에 따라 이에 고정되어 강판(100)을 흡착한 진공흡착판(236)이 강판(10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승강프레임(234)의 상승이 완료되면, 제 1이송모터(224)를 회전시켜 제 1이송체(220)를 제 1이송레일(210)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 1이송단계(S203)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1이송모터(224)는 제 1구동유니트(222)를 회전시켜 제 1이송체(220)를 제 1이송레일(210)을 따라 이송시킴으로써, 진공흡착판(236)에 고정된 강판(100)이 제 1이송대(310)의 상측에 위치되게 한다.
이와 같이 제 1이송체(220)의 이송이 완료되면, 진공흡입장치(238)의 흡입력을 감소시켜 강판(100)을 제 1이송대(310)에 안착시키는 제 1안착단계(S204)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진공흡입장치(238)의 진공흡입력을 감소시키면 진공흡착판(236)이 강판(100)을 놓게 되고, 이 강판(100)은 제 1이송대(310)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강판(100)이 제 1이송대(310)에 안착되면, 제 1이송모터(224)를 역회전시켜 제 1이송체(220)를 최초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체 복귀단계(S205)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1이송모터(224)가 역회전하여 제 1구동유니트(222)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제 1이송체(220)가 제 1이송레일(210)을 따라 최초의 위치로 이동하여 다시 강판(100)을 그립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평강판 이송공정(P200)은 각 단계가 반복됨으로써 연속작업이 이루어진다.
다음은,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를 작동시켜 강판(100)에 파형 및 볼트 체결용 홀을 성형하는 파형 및 홀성형공정(P300)을 설명한다.
먼저 제 1이송대(310)에 안착된 강판(100)의 측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가이드(318)를 사용하여 강판(100)을 양측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피딩모터(316)를 회전시켜 제 1피딩유니트(314)를 통하여 강판(100)을 1피치씩 이송시키는 제 1피딩단계(S301)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1피딩모터(316)가 구동하여 피치조정기어(326)를 회전시키고, 스토퍼실린더(322)를 작동시켜 팁(324)으로 피치조정기어(326)의 치형(328)을 제동함으로써, 제 1피딩유니트(314)를 1피치씩 구동시킴에 따라 강판(100)을 1피치씩 가압장치(330)로 이송시킨다. 이때 제 1피딩유니트(314)에는 브래킷(32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강판(100)의 후단을 밀어 강판(100)이 양호하게 이송된다.
이와 동시에 가압장치(330)의 가압실린더(336)를 작동시켜 유동프레임(334)을 승강시킴으로써 금형(338)으로 강판(100)에 파형을 성형하는 파형성형단계(S302)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가압실린더(336)를 작동시켜 유동프레임(334)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유동프레임(334)에 고정된 금형(338)이 강판(100)을 눌러 1피치의 파형을 성형하고, 유동프레임(334)을 다시 상승시킨다.
이어서 가압실린더(336)를 재작동시켜 금형(338)을 승강시킴과 동시에 펀칭실린더(340)를 작동시켜 펀치(342)로 강판(100)에 홀을 성형하는 홀성형단계(S303)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가압실린더(336)가 작동하여 유동프레임(334)을 다시 가압하여 강판(100)에 형성된 파형을 좀더 완전하게 형성한 후, 펀칭실린더(340)를 작동시켜 펀치(342)를 금형(338)으로 통과시켜 강판(100)에 홀을 천공한다. 이어서 가압실린더(336) 및 펀칭실린더(340)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강판(100)에 파형 및 홀이 형성되면, 제 2피딩모터(364)를 회전시켜 제 2피딩유니트(362)를 통하여 강판(100)을 제 2이송대(360)상에서 이송시키는 제 2이송단계(S304)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2피딩모터(364)가 회전하여 제 2피딩유니트(362)를 이동시킴으로써 파형 및 홀이 성형된 강판(100)을 제 2이송대(360)상에서 이송시키고, 고정프레임(332)에 설치된 가이드롤러(350)는 한 쌍의 금형(338)의 사이를 통과한 강판(100)의 상측방향 유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파형 및 홀성형공정(P300)은 각 단계가 반복됨으로써 연속작업이 이루어진다.
다음은, 횡방향 이송장치(400)를 작동시켜 강판(100)을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횡방향 이송공정(P400)을 설명한다.
상기의 제 2이송단계(S304)에 이어서 제 2이송대(360)에 설치된 제 1리미트 스위치(370)를 통하여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제 1이송감지단계(S401)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2이송대(360)의 최선단에 설치된 제 1리미트 스위치(370)에 제 2피딩유니트(362)에 의해 이송된 강판(100)이 접촉함에 따라 제 1리미트 스위치(370)가 강판(100)의 이송완료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강판(100)의 이송완료가 감지되면, 제 2승강모터(412)를 회전시켜 제 2절환유니트(414)를 통하여 제 2승강프레임(416)을 상승시킴으로써 이송롤러(420)를 상승시키는 롤러상승단계(S402)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2승강모터(412)를 회전시키면 제 2승강모터(412)의 회전력이 제 2절환유니트(414)를 통하여 수직방향 이송력으로 절환되어 제 2승강프레임(416)을 상승시킴에 따라, 제 2승강프레임(416)에 설치된 이송롤러(420)가 상승하여 강판(100)을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제 2이송모터(422)를 회전시켜 이송롤러(420)를 회전시킴으로써 강판(100)을 제 3이송대(430)로 이송시키는 횡방향이송단계(S403)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2이송모터(422)가 회전하여 이송롤러(420)를 회전시킴으로써, 강판(100)이 제 2이송대(360)에서 진행하던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제 3이송대(430)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강판(100)이 제 3이송대(430)으로 이송되면, 강판(100)이 센싱바(442)에 접촉함에 따라 스타트 스위치(440)에서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제 2이송감지단계(S404)가 진행된다.
이어서 제 3피딩모터(434)를 회전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통하여 강판(100)을 제 3이송대(430)상에서 이송시키는 제 3이송단계(S405)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스타트 스위치(440)의 신호에 의해 제어장치에서 제 3피딩모터(434)를 회전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 3피딩유니트(432)가 이송롤러(420)로부터 이동되어 제 3이송대(430)에 안착된 강판(100)을 이송시킨다.
그리고 제 2승강모터(412)를 역회전시켜 제 2절환유니트(414)를 통하여 제 2승강프레임(416)을 하강시킴으로써 이송롤러(420)를 하강시키는롤러하강단계(S406)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2승강모터(412)를 역회전시키면 제 2승강모터(412)의 회전력이 제 2절환유니트(414)를 통하여 수직방향 이송력으로 절환되어 제 2승강프레임(416)을 하강시킴에 따라, 제 2승강프레임(416)에 설치된 이송롤러(420)가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횡방향 이송공정(P400)은 각 단계가 반복됨으로써 연속작업이 이루어진다.
다음은, 강판(100)의 벤딩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공정(P500)을 설명한다.
상기의 제 3이송단계(S405)에 이어서 제 2리미트 스위치(510)에 의해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제 3이송감지단계(S501)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3피딩유니트(432)에 의해 제 3이송대(430)상에서 이송되는 강판(100)이 제 2리미트 스위치(510)에 접촉함에 따라 강판(100)의 이송이 감지된다.
이어서 제어장치에 입력된 내용에 따라 강판(100)의 벤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502)가 진행된다.
이러한 판단단계(S502)에서 판단한 결과 벤딩이 필요하면, 제 3피딩모터(434)를 계속 회전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연속 이송시키는 연속이송단계(S503)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2리미트 스위치(510)에 의해 강판(100)의 이송이 감지되더라도 제 3피딩유니트(432)가 정지되지 않으므로, 강판(100)은 제 3피딩유니트(432)를 통하여 제 1파형롤러(732)의 하방으로 이송되며, 피딩봉(716)의 회동판(718)을 밀고 전진한다. 이때 회동판(718)은 전방으로 회동되므로 강판(100)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강판(100)이 피딩봉(716)을 지나게 되어 회동판(718)은 강판(100)의 후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판단단계(S502)에서 판단한 결과 벤딩이 필요하지 않으면, 제 3피딩모터(434)를 정지시켜 상기 제 3피딩유니트(432)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504)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미리 입력된 강판(100)의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일 때에는 첫 번째 제 2리미트 스위치(510)의 신호에 의해 제어장치에서 제 3피딩모터(434)를 정지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정지시키고, 강판(100)의 크기가 조금 더 큰 것일 때에는 두 번째 제 2리미트 스위치(510)의 신호에 의해 제어장치에서 제 3피딩모터(434)를 정지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미리 입력된 강판(100)의 크기가 상기의 경우보다 조금 더 큰 것일 때에는 세 번째 제 2리미트 스위치(510)의 신호에 의해 제어장치에서 제 3피딩모터(434)를 정지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정지시키고, 강판(100)의 크기가 가장 큰 것일 때에는 네 번째 제 2리미트 스위치(510)의 신호에 의해 제어장치에서 제 3피딩모터(434)를 정지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강판(100)의 크기에 따라 정지위치를 달리하는 것은, 마그네틱 유니트(640)를 강판(100)의 정확한 무게중심에 위치시켜 강판(100)의 그립시 강판(10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선택공정(P500)의 각 단계는 각 강판(100)의 이송시마다 이루어진다.
다음은, 강판(100)을 벤딩시키지 않을 경우, 배출장치(600)를 통하여 강판(100)을 배출시키는 배출공정(P600)을 설명한다.
상기의 정지단계(S504)에서 스타트 스위치(440)에 의해 강판(100)이 정지되면, 제 3승강모터(630)를 회전시켜 제 3절환유니트(632)를 통하여 제 3승강프레임(634)을 하강시키고, 마그네틱 유니트(640)를 작동시켜 강판(100)을 자력으로 접착하는 제 2그립단계(S601)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2승강모터(412)가 회전하여 그 회전력이 제 3절환유니트(632)를 통하여 수직 이송력으로 절환되어 제 3승강프레임(634)을 하강시키고, 마그네틱 유니트(640)가 작동하여 자력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제 3승강프레임(634)이 하강하여 마그네틱 유니트(640)가 강판(100)에 접촉하면, 마그네틱 유니트(640)의 자력에 의해 강판(100)이 접착된다. 이때 마그네틱 유니트(640)에 형성된 파형이 강판(100)의 파형에 일치하여 강판(100)이 양호하게 접착된다.
이어서 제 3승강모터(630)를 역회전시켜 제 3절환유니트(632)를 통하여 제 3승강프레임(634)을 상승시키는 제 2리프팅단계(S602)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2승강모터(412)가 역회전하여 그 회전력이 제 3절환유니트(632)를 통하여 수직 이송력으로 절환되어 제 3승강프레임(634)을 승강시키고, 제 3승강프레임(634)에 고정된 마그네틱 유니트(640)에 자력으로 접착된 강판(100)이 들어 올려진다.
이와 같이 제 3승강프레임(634)의 상승이 완료되면, 제 2구동유니트(620)를 작동시켜 이송프레임(622)을 제 3지지프레임(610)의 안내레일(612)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 4이송단계(S603)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2구동유니트(620)가 작동하여 안내레일(61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 제 2구동유니트(620)에 지지된 이송프레임(622) 및 이에 설치된 제 3승강프레임(634)과 마그네틱 유니트(640), 그리고 강판(100)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이송프레임(622)의 이송이 완료되면, 마그네틱 유니트(640)의 자력을 감소시켜 강판(100)을 캐리어(660)에 안착시키는 제 2안착단계(S604)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마그네틱 유니트(640)의 자력발생을 감소시키면 강판(100)이 자체의 하중에 의해 마그네틱 유니트(640)로부터 이탈하여 캐리어(660)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강판(100)이 캐리어(660)에 안착되면, 제 2구동유니트(620)를 작동시켜 상기 이송프레임(622)을 복귀시키는 이송프레임 복귀단계(S605)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2구동유니트(620)가 작동하여 안내레일(61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 제 2구동유니트(620)에 지지된 이송프레임(622) 및 이에 설치된 제 3승강프레임(634)과 마그네틱 유니트(640)가 최초의 위치로 이동하여 다시 강판(100)을 접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제 3이송모터(670)를 회전시켜 구동풀리(672)를 통해 풀링체인(676)을 회전시킴으로써 강판(100)이 안착된 캐리어(660)를 제 2이송레일(650)을 따라이송시키는 제 5이송단계(S606)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강판(100)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진행되며, 제 3이송모터(670)가 구동풀리(672)를 회전시킴에 따라 풀링체인(676)이 피동풀리(674)에서 반전되며 캐리어(660)를 제 2이송레일(650)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캐리어(660)가 제 2이송레일(650)의 끝으로 이송되면 캐리어(660)의 선단이 스토퍼브래킷(652)에 접촉하여 정지된다.
그리고 캐리어(660)에서 강판(100)을 이탈시키면, 제 3이송모터(670)를 역회전시켜 구동풀리(672)를 통해 풀링체인(674)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캐리어(660)를 제 2이송레일(650)을 따라 최초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캐리어 복귀단계(S607)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3이송모터(670)가 구동풀리(672)를 역회전시킴에 따라 풀링체인(676)이 피동풀리(674)에서 반전되며 캐리어(660)를 제 2이송레일(650)을 따라 최초의 위치로 이동시켜 새로운 강판(100)을 안착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배출공정(P600)은 각 단계가 반복됨으로써 연속작업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강판(100)을 벤딩시킬 경우, 벤딩장치(700)를 작동시켜 강판(100)에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공정(P700)을 설명한다.
이 공정은 상기의 연속이송단계(S503)에서 강판(100)이 피딩봉(716)을 밀고 지나가 회동판(718)이 강판(100)의 후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진행된다.
먼저, 제 4피딩모터(712)를 회전시켜 제 3절환유니트(714)를 통하여 피딩봉(716)을 이송시킴으로써, 강판(100)을 제 1파형롤러(732)의 하방으로 공급하는 제 2피딩단계(S701)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4피딩모터(712)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제 3절환유니트(714)를 통하여 수평 이송력으로 절환되어 피딩봉(716)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고, 피딩봉(716)의 전단에 설치된 회동판(718)이 강판(100)의 후단을 밀어 강판(100)을 제 1파형롤러(732)의 하방으로 밀게 된다.
이와 같이 강판(100)이 공급되면, 각각 한 쌍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를 작동시켜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적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곡률조정단계(S702)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의 확장폭에 따라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와 제 1파형롤러(732)와의 간격이 결정되므로, 강판(100)을 벤딩하고자 하는 곡률에 따라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를 적정하게 확장시켜 제 1파형롤러(732)와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가 형성하는 곡률을 조정한다.
이어서 제 1롤러모터(730), 제 2롤러모터(744), 제 3롤러모터(754), 제 4롤러모터(764)를 작동시켜 제 1파형롤러(732),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회전시켜 강판(100)에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단계(S703)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1롤러모터(730), 제 2롤러모터(744), 제 3롤러모터(754), 제 4롤러모터(764)가 일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파형롤러(732),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가 일정하게 회전하고, 제 1파형롤러(732)와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의 사이로 피딩봉(716)에 의해 공급되는 강판(100)은 전진하며 벤딩된다.
이와 같이 강판(100)의 전진에 의해 곡률이 성형되지만, 이 곡률은 완전하지 못하여 다시 변형될 염려가 있으므로, 제 1롤러모터(730), 제 2롤러모터(744), 제 3롤러모터(754), 제 4롤러모터(76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1파형롤러(732),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강판(100)을 반대방향으로 후진시킨다.
이어서 다시 한번 상기 순서에 따라 강판(100)을 벤딩함으로써 강판(100)에 완전한 곡률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강판(100)에 곡률이 성형되면, 호이스트(774)를 강판(100)에 연결하고, 회동암(772)을 회동시켜 강판(100)을 적재대(780)에 적재하는 적재단계(S704)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호이스트(774)는 설치된 회동암(772)은 포스트(77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호이스트(774)에 강판(100)을 매달은 상태에서 회동암(772)을 회동시키면 강판(100)이 회동암(772)을 따라 벤딩장치(700)로부터 이탈되어 적재대(780)에 안착된다. 이러한 적재대(780)의 상면에는 강판(100)의 곡률에 일치하는 곡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판(100)이 양호하게 안착된다.
이와 같이 강판(100)의 적재가 완료되면, 제 4피딩모터(712)를 역회전시켜제 3절환유니트(714)를 통하여 피딩봉(716)을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피딩봉 복귀단계(S705)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4피딩모터(712)가 역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제 3절환유니트(714)를 통하여 수평 이송력으로 절환되어 피딩봉(716)을 수평의 역방향으로 이송시킴에 따라, 피딩봉(716)은 최초의 위치로 이동하여 또다른 강판(100)을 이송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각각 한 쌍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를 작동시켜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하강시키는 롤러복귀단계(S706)가 진행된다.
여기서는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가 하강하여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제 1파형롤러(732)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새로운 강판(100)을 그 사이로 삽입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평한 강판(100)을 이송시키는 평강판 이송장치(200); 평강판 이송장치(200)에 연결 설치되어 강판(100)에균일한 파형 및 볼트 체결용 홀을 성형하는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에 연결 설치되어 강판(100)의 이송방향을 절환하는 횡방향 이송장치(400); 횡방향 이송장치(400)에 연결 설치되어 강판(100)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600); 및 횡방향 이송장치(400)에 배출장치(600)와 병행 설치되어 강판(100) 전체에 단일한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장치(700);로 이루어진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파형 및 홀을 성형하는 작업이 하나의 공정에서 이루어지므로 공정수가 줄게 되고, 강판(100)을 횡방향으로 이송시켜 벤딩장치(700)로 직접 이송할 수 있으므로 각 공정을 컨베이어로 연결하여 파형강판 제조공정을 완전자동화할 수 있고, 파형롤러로 강판(100)을 벤딩하므로 완전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평평한 강판(100)을 이송시키는 평강판 이송장치(200);
    상기 평강판 이송장치(20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강판(100)에 균일한 파형 및 볼트 체결용 홀을 성형하는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
    상기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강판(100)의 이송방향을 절환하는 횡방향 이송장치(400);
    상기 횡방향 이송장치(40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강판(100)을 배출시키는 배출장치(600); 및
    상기 횡방향 이송장치(400)에 상기 배출장치(600)와 병행 설치되어 상기 강판(100) 전체에 단일한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장치(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강판 이송장치(200)는,
    바닥에 설치되는 제 1이송레일(210);
    상기 제 1이송레일(210)을 따라 구르는 제 1구동유니트(222)를 통해 직선이동되는 제 1이송체(220);
    상기 제 1이송체(22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구동유니트(222)를 회전시키는 제 1이송모터(224);
    상기 제 1이송체(220)에 설치되는 제 1승강모터(230);
    상기 제 1이송체(22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승강모터(230)의 회전력을 상하 이동력으로 절환하는 제 1절환유니트(232);
    상기 제 1절환유니트(232) 설치되는 제 1승강프레임(234);
    상기 제 1승강프레임(234)에 설치되어 상기 강판(100)을 흡착하는 다수의 진공흡착판(236); 및
    상기 제 1이송체(220)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흡착판(236)에 진공흡입력을 전달하는 진공흡입장치(2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는,
    상기 평강판 이송장치(200)에 연결 설치되고, 상면에 다수의 자유롤러(312)를 갖는 제 1이송대(310);
    상기 제 1이송대(310)에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강판(100)의 저면에 접촉하는 제 1피딩유니트(314);
    상기 제 1이송대(31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피딩유니트(314)를 일정 거리씩 이동시키는 제 1피딩모터(316);
    파형이 형성된 상하 한 쌍의 금형(338);
    상기 금형(338)에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펀치(342);
    상기 제 1피딩유니트(314)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금형(338)을 상기 파형이 대향되게 상하에 고정하여 하나의 금형(338)을 상하 이동시키고, 상기 펀치(342)를 고정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압장치(330);
    상기 제 1이송대(310)와 대향되는 방향에서 상기 가압장치(330)에 연결 설치되는 제 2이송대(360);
    상기 제 2이송대(360)에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강판(100)의 저면에 접촉하는 제 2피딩유니트(362); 및
    상기 제 2이송대(360)에 설치되어 상기 제 2피딩유니트(362)를 이동시키는 제 2피딩모터(3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는,
    상기 제 1이송대(31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피딩모터(316)에 연동되어 상기 제 1피딩유니트(314)를 구동시키는 피치조정기어(326);
    상기 제 1이송대(310)에 설치되고, 팁(324)이 상기 피치조정기어(326)의 치형(328)을 제동하는 스토퍼실린더(32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제 1이송대(310)는, 양측에서 중심을 향하여 이송되는 측면가이드(318)가 설치되고;
    상기 제 1피딩유니트(314)는, 상기 강판(10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접촉하는 브래킷(320)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330)는,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금형(338)중 하나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332);
    상기 고정프레임(332)에 설치되어 상하로 신축하는 가압실린더(336);
    상기 가압실린더(336)에 고정되어 상기 금형(338)의 상측에 나머지 금형(338)을 고정하는 유동프레임(334); 및
    상기 유동프레임(334)에 설치되어 상기 펀치(342)를 고정하는 펀칭실린더(3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32)은,
    상기 한 쌍의 금형(338)의 사이를 통과한 상기 강판(100)의 상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롤러(3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는,
    상기 제 2이송대(360)에 설치되어 상기 강판(100)에 접촉되는 제 1리미트 스위치(3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장치(400)는,
    상기 파형 및 홀성형장치(300)에 연결 설치되는 제 1지지프레임(410);
    상기 제 1지지프레임(410)에 설치되는 제 2승강모터(412);
    상기 제 2승강모터(412)의 회전력을 상하 이송력으로 절환하는 제 2절환유니트(414);
    상기 제 2절환유니트(414)에 연결되는 제 2승강프레임(416);
    상기 강판(100)의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2승강프레임(416)에 설치되는 이송롤러(420);
    상기 제 2승강프레임(416)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420)를 회전시키는 제 2이송모터(422);
    상기 이송롤러(420)에 연결 설치되는 제 3이송대(430);
    상기 제 3이송대(430)에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강판(100)의 저면에 접촉하는 제 3피딩유니트(432); 및
    상기 제 3이송대(430)에 설치되어 상기 제 3피딩유니트(432)를 이동시키는 제 3피딩모터(4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장치(400)는,
    상기 제 3이송대(430)에 설치되어 상기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센싱바(442)를 갖는 스타트 스위치(4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장치(400)에는,
    상기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다수의 제 2리미트 스위치(5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600)는,
    상기 횡방향 이송장치(400)에 연결 설치되고, 상면에 안내레일(612)을 갖는 제 3지지프레임(610);
    상기 안내레일(612)을 따라 이동하는 제 2구동유니트(620);
    상기 제 2구동유니트(620)에 설치되는 이송프레임(622);
    상기 이송프레임(622)에 설치되는 제 3승강모터(630);
    상기 이송프레임(622)에 설치되어 상기 제 3승강모터(630)의 회전력을 상하 이송력으로 절환하는 제 3절환유니트(632);
    상기 제 3절환유니트(632)에 연결 설치되는 제 3승강프레임(634); 및
    상기 제 3승강프레임(634)에 설치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유니트(6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600)는,
    상기 제 2지지프레임(710)의 하방에서 상기 안내레일(612)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이송레일(650);
    상기 제 2이송레일(650)을 따라 구르는 바퀴(662) 및 한쌍의 체결구(664)를 갖는 캐리어(660);
    상기 제 2이송레일(650)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캐리어(660)의 선단이 접촉되는 스토퍼브래킷(654);
    상기 제 2이송레일(65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풀리(672) 및 피동풀리(674);
    상기 한쌍의 체결구(664)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고, 상기 구동풀리(672) 및 피동풀리(674)에서 각각 반전되는 풀링체인(676); 및
    상기 제 2이송레일(650)에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672)를 회전시키는 제 3이송모터(67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장치(700)는,
    상기 횡방향 이송장치(400)에 연결 설치되는 제 2지지프레임(710);
    상기 제 2지지프레임(710) 상에 설치되는 제 4피딩모터(712);
    상기 제 4피딩모터(712)의 회전력을 수평이송력으로 절환하는 제 3절환유니트(714);
    상기 제 3절환유니트(714)에 의해 수평 이송되는 피딩봉(716);
    상기 제 2지지프레임(710)에 연결 설치되는 저면프레임(720);
    상기 저면프레임(720)의 양측에 직립 설치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722);
    상기 양측 측면프레임(7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강판(100)에 형성한 상기 파형에 일치하는 파형이 형성된 제 1파형롤러(732);
    상기 일측 측면프레임(722)에 설치되어 상기 제 1파형롤러(732)를 회전시키는 제 1롤러모터(730);
    상기 제 1파형롤러(732)의 하방에서 상기 양측 측면프레임(722)에 설치되는각각 한 쌍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
    상기 각각 한 쌍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강판(100)에 형성한 상기 파형에 일치하는 파형이 각각 형성된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 및
    상기 각 일측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에 설치되어 상기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 2롤러모터(744), 제 3롤러모터(754), 제 4롤러모터(7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봉(716)은,
    상기 강판(100)의 진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고 그 역방향으로 고정되는 회동판(718)이 상기 강판(100)의 이송 높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장치(700)는,
    상기 제 2지지프레임(710)과 대향되는 방향의 상기 저면프레임(720)에 인접한 장소에 직립 설치되는 포스트(770);
    상기 포스트(77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암(772); 및
    상기 회동암(772)에 설치되는 호이스트(77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장치(700)는,
    상기 제 2지지프레임(710)과 대향되는 방향의 상기 저면프레임(720)에 인접한 장소에 설치되고, 상기 강판(100)의 곡률에 일치되는 곡률이 상면에 형성된 적재대(78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18.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장치에 입력하는 준비공정(P100);
    평평한 강판(100)을 공급 및 이송시키는 평강판 이송공정(P200);
    상기 강판(100)에 파형 및 볼트 체결용 홀을 성형하는 파형 및 홀성형공정(P300);
    상기 강판(100)의 이송방향을 절환하는 횡방향 이송공정(P400);
    상기 강판(100)의 벤딩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공정(P500);
    상기 강판(100)을 벤딩시키지 않을 경우 배출장치(600)를 통하여 상기 강판(100)을 배출시키는 배출공정(P600); 및
    상기 선택공정(P500)에서 상기 강판(100)을 벤딩시킬 경우 벤딩장치(700)를 작동시켜 상기 강판(100) 전체에 단일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공정(P7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사용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강판 이송공정(P200)은,
    제 1승강모터(230)를 회전시켜 제 1절환유니트(232)를 통하여 제 1승강프레임(234)을 하강시키고, 진공흡입장치(238)를 작동시켜 진공흡착판(236)으로 상기 강판(100)을 흡착하는 제 1그립단계(S201);
    상기 제 1승강모터(230)를 회전시켜 상기 제 1절환유니트(232)를 통하여 상기 제 1승강프레임(234)을 상승시키는 제 1리프팅단계(S202);
    제 1이송모터(224)를 회전시켜 제 1이송체(220)를 제 1이송레일(210)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 1이송단계(S203);
    상기 진공흡입장치(238)의 흡입력을 감소시켜 상기 강판(100)을 제 1이송대(310)에 안착시키는 제 1안착단계(S204); 및
    상기 제 1이송모터(224)를 역회전시켜 상기 제 1이송체(220)를 최초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체 복귀단계(S20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사용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및 홀성형공정(P300)은,
    제 1피딩모터(316)를 회전시켜 피치조정기어(326)를 회전시키고, 스토퍼실린더(322)를 작동시켜 상기 피치조정기어(326)를 일정 간격으로 제동하여, 제 1피딩유니트(314)를 1피치씩 구동시켜 상기 강판(100)을 1피치씩 이송시키는 제 1피딩단계(S301);
    가압장치(330)의 가압실린더(336)를 작동시켜 유동프레임(334)을 승강시킴으로써 금형(338)으로 상기 강판(100)에 파형을 성형하는 파형성형단계(S302);
    상기 가압실린더(336)를 작동시켜 상기 금형(338)을 승강시킴과 동시에 펀칭실린더(340)를 작동시켜 펀치(342)로 상기 강판(100)에 홀을 성형하는 홀성형단계(S303); 및
    제 2피딩모터(364)를 회전시켜 제 2피딩유니트(362)를 통하여 상기 강판(100)을 제 2이송대(360)상에서 이송시키는 제 2이송단계(S30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사용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송공정(P400)은,
    제 2이송대(360)에 설치된 제 1리미트 스위치(370)를 통하여 상기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제 1이송감지단계(S401);
    제 2승강모터(412)를 회전시켜 제 2절환유니트(414)를 통하여 제 2승강프레임(416)을 상승시킴으로써 이송롤러(420)를 상승시키는 롤러상승단계(S402);
    상기 제 2이송모터(422)를 회전시켜 상기 이송롤러(4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강판(100)을 제 3이송대(430)로 이송시키는 횡방향이송단계(S403);
    상기 강판(100)이 센싱바(442)에 접촉함에 따라 스타트 스위치(440)에서 상기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제 2이송감지단계(S404);
    제 3피딩모터(434)를 회전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통하여 상기 강판(100)을 상기 제 3이송대(430)상에서 이송시키는 제 3이송단계(S405); 및
    상기 제 2승강모터(412)를 역회전시켜 상기 제 2절환유니트(414)를 통하여 상기 제 2승강프레임(416)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이송롤러(420)를 하강시키는 롤러하강단계(S40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사용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공정(P500)은,
    제 2리미트 스위치(510)에 의해 상기 강판(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제 3이송감지단계(S501);
    상기 제어장치에 입력된 내용에 따라 상기 강판(100)의 벤딩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502);
    상기 판단단계(S502)에서 판단한 결과 벤딩이 필요하면 제 3피딩모터(434)를 계속 회전시켜 제 3피딩유니트(432)를 연속 이송시키는 연속이송단계(S503); 및
    상기 판단단계(S502)에서 판단한 결과 벤딩이 필요하지 않으면 상기 제 3피딩모터(434)를 정지시켜 상기 제 3피딩유니트(432)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50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사용방법.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정(P600)은,
    제 3승강모터(630)를 회전시켜 제 3절환유니트(632)를 통하여 제 3승강프레임(634)을 하강시키고, 마그네틱 유니트(640)를 작동시켜 상기 강판(100)을 자력으로 접착하는 제 2그립단계(S601);
    상기 제 3승강모터(630)를 역회전시켜 상기 제 3절환유니트(632)를 통하여 제 3승강프레임(634)을 상승시키는 제 2리프팅단계(S602);
    제 2구동유니트(620)를 작동시켜 이송프레임(622)을 제 3지지프레임(610)의안내레일(612)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 4이송단계(S603);
    상기 마그네틱 유니트(640)의 자력을 감소시켜 상기 강판(100)을 캐리어(660)에 안착시키는 제 2안착단계(S604);
    상기 제 2구동유니트(620)를 작동시켜 상기 이송프레임(622)을 복귀시키는 이송프레임 복귀단계(S605);
    제 3이송모터(670)를 회전시켜 구동풀리(672)를 통해 풀링체인(676)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강판(100)이 안착된 상기 캐리어(660)를 제 2이송레일(650)을 따라 이송시키는 제 5이송단계(S606); 및
    제 3이송모터(670)를 역회전시켜 구동풀리(672)를 통해 풀링체인(676)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캐리어(660)를 상기 제 2이송레일(650)을 따라 최초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캐리어 복귀단계(S60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사용방법.
  24.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공정(P700)은,
    제 4피딩모터(712)를 회전시켜 제 3절환유니트(714)를 통하여 피딩봉(716)을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강판(100)을 제 1파형롤러(732)의 하방으로 공급하는 제 2피딩단계(S701);
    각각 한 쌍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를 작동시켜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적정 높이로 상승시키는 곡률조정단계(S702);
    제 1롤러모터(730), 제 2롤러모터(744), 제 3롤러모터(754), 제 4롤러모터(764)를 작동시켜 상기 제 1파형롤러(732),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회전시켜 상기 강판(100)에 곡률을 성형하는 벤딩단계(S703);
    호이스트(774)를 상기 강판(100)에 연결하고, 회동암(772)을 회동시켜 상기 강판(100)을 적재대(780)에 적재하는 적재단계(S704);
    상기 제 4피딩모터(712)를 역회전시켜 상기 제 3절환유니트(714)를 통하여 상기 피딩봉(716)을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피딩봉 복귀단계(S705); 및
    상기 각각 한 쌍의 제 1승강실린더(742), 제 2승강실린더(752), 제 3승강실린더(762)를 작동시켜 제 2파형롤러(740), 제 3파형롤러(750), 제 4파형롤러(760)를 하강시키는 롤러복귀단계(S70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사용방법.
KR1019990015404A 1999-04-29 1999-04-29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100319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404A KR100319902B1 (ko) 1999-04-29 1999-04-29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404A KR100319902B1 (ko) 1999-04-29 1999-04-29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162A Division KR20000067800A (ko) 1999-11-08 1999-11-08 파형강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519A KR20000067519A (ko) 2000-11-25
KR100319902B1 true KR100319902B1 (ko) 2002-01-16

Family

ID=1958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404A KR100319902B1 (ko) 1999-04-29 1999-04-29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9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829B1 (ko) 2008-02-25 2010-03-29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1194391B1 (ko) 2010-05-12 2012-10-25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 및 이의 도장방법
KR101399606B1 (ko) * 2012-08-16 2014-05-27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파형강판 절곡장치
KR101400666B1 (ko) * 2012-08-16 2014-05-27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파형강판 제조장치
KR101702033B1 (ko) * 2016-04-12 2017-02-02 이성식 콘크리트 도관 구조적 보수ㆍ보강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벤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327B1 (ko) * 2002-09-24 2005-03-15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와이어패드 절곡장치
KR100909913B1 (ko) * 2007-09-11 2009-07-29 권태웅 히트파이프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829B1 (ko) 2008-02-25 2010-03-29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판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1194391B1 (ko) 2010-05-12 2012-10-25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 및 이의 도장방법
KR101399606B1 (ko) * 2012-08-16 2014-05-27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파형강판 절곡장치
KR101400666B1 (ko) * 2012-08-16 2014-05-27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파형강판 제조장치
KR101702033B1 (ko) * 2016-04-12 2017-02-02 이성식 콘크리트 도관 구조적 보수ㆍ보강공법 및 이에 이용되는 벤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519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3559585U (zh) 一种板材上料输送机构
KR100319902B1 (ko)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그 사용방법
CN111532795B (zh) 一种用于c型檩条的自动垛料机
CN206779975U (zh) 一种升降式对中夹紧装置
KR200178788Y1 (ko) 파형강판 제조장치
CN203581979U (zh) 一种自动供板机
CN112676841A (zh) 一种短料锯切钻孔一体机的自动钻孔装置
CN108750668A (zh) 一种电梯门板生产线上料输送装置
KR20000067800A (ko) 파형강판 제조장치
CN108328255B (zh) 一种发电机转子自动上料机构
CN107244541B (zh) 重力控制翻板机
CN212374374U (zh) 低位留孔码垛生产线
CN211588102U (zh) 一种便于固定的弯管机
CN207463902U (zh) 一种新型折弯机
CN106734332A (zh) 一种深型波纹管成套加工设备
CN212739845U (zh) 一种码垛机的旋转码垛装置
CN211279934U (zh) 一种绝缘件成型热压机的装料卸料机构
CN210767439U (zh) 一种免拆叠合楼板的自动化生产系统
CN211889557U (zh) 一种用于高铁钢筋焊网的横向四面肋钢筋布筋焊接装置
CN111392636A (zh) 一种用于砖机系统的上板机
KR100319903B1 (ko) 강판용 파형 및 홀성형장치 및 그 사용방법
CN212101008U (zh) 一种垛料机的夹持翻转机构
CN206543829U (zh) 移动装模平台
CN220519529U (zh) 一种在线留孔推砖装置
CN209758221U (zh) 热镀锌烘干平台架全自动放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