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689B1 - 세탁기의급수선택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급수선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689B1
KR100319689B1 KR1019980019570A KR19980019570A KR100319689B1 KR 100319689 B1 KR100319689 B1 KR 100319689B1 KR 1019980019570 A KR1019980019570 A KR 1019980019570A KR 19980019570 A KR19980019570 A KR 19980019570A KR 100319689 B1 KR100319689 B1 KR 100319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hot water
sett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6551A (ko
Inventor
원종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9689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689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급수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탁행정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세탁급수설정부와 헹굼행정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를 설정할 수 있는 헹굼급수설정부를 구비하여 세탁을 할 때 세탁행정에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의 설정과 헹굼행정에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의 설정을 개별로 할 수 있는 세탁기의 급수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선택장치에 의하여, 세탁행정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세탁급수설정부와 헹굼행정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를 설정할 수 있는 헹굼급수설정부를 구비하여 세탁을 할 때 세탁행정에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의 설정과 헹굼행정에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의 설정을 개별로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급수조건을 설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세탁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함을 준다.

Description

세탁기의 급수선택장치
본 발명은 세탁기의 급수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탁행정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세탁급수설정부와 헹굼행정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를 설정할 수 있는 헹굼급수설정부를 구비하여 세탁을 할 때 세탁행정에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의 설정과 헹굼행정에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의 설정을 개별로 할 수 있는 세탁기의 급수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모터를 동력으로 하여 회전날개(펄셰이터라고도 함)를 구동하여 수류를 형성, 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을 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세탁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기의 기능을 설정입력할 수 있는 기능설정부(1)와, 기능설정부(1)의 입력에 따라서 세탁기가 동작할 때 냉수 혹은 온수 급수를 설정하는 급수설정부(2)와, 기능설정부(1)와 급수설정부(2)로터의 입력에 따라서 세탁기를 제어하는 제어부(3)와, 제어부(3)의 제어에 따라서 세탁기를 동작시키는 세탁기구동부(4)와, 급수시 제어부(3)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되는 급수밸브구동부(5)와, 급수밸브구동부(5)의 구동에 따라서 개폐되는 급수밸브(6)와, 배수시 제어부(3)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되는 배수밸브구동부(7)와, 배수밸브구동부(7)의 구동에 따라서 개폐되는 배수밸브(8)와, 세탁기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9)를 구비한다.
먼저 사용자가 기능설정부(1)를 통하여 입력을 하여 세탁기 수조의 수위와 세탁시간, 탈수시간등을 설정한다(S1). 급수설정부(2)를 이용하여 냉, 온수를 선택한다(S2).
세탁기의 설정이 끝나면 제어부(3)는 급수밸브구동부(5)를 구동시켜 급수밸브(6)를 열고 세탁기의 수조에 급수를 한다(S3). 이때 제어부(3)는 설정시에 설정되어 있는 급수상태를 판단하여 급수를 하는데, 냉수로 설정되어 있으면 냉수를 급수하도록 제어하고 온수로 설정되어 있으면 온수를 급수하도록 제어한다.
급수가 시작되어 수조에 물이 차기 시작하면 제어부(3)는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다. 제어부(3)는 수위센서(9)를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한다.
제어부(3)는 현재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 다음 수조의 감지수위값과 설정된 설정수위값을 비교 판단하여 급수완료를 판단한다(S4).
판단(S4)에서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는 급수를 종료하고(S5) 세탁기구동부(4)를 구동시켜 세탁기를 동작시키고 세탁행정을 실시한다(S6).
설정(S1)에 따른 세탁시간이 종료하면 제어부(3)는 배수밸브구동부(7)를 구동시켜 배수밸브(8)를 열어서 배수를 한다(S7). 배수가 시작되면 제어부(3)는 급수시와 마찬가지로 수위센서(9)를 통하여 수위를 센싱한다.
제어부(3)는 수위센서(9)를 통하여 배수되는 수위를 센싱하여 배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배수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제어부(3)는 배수밸브구동부(7)를 계속 구동시켜 배수밸브(8)를 계속적으로 열어둔다.
만약 배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는 배수밸브구동부(7)를 오프시켜 배수밸브(8)를 잠근다.
배수가 완료되고 나면 제어부(3)는 헹굼을 하기 위하여 헴굼급수를 하게 되는데, 급수밸브구동부(5)를 구동시켜 급수밸브(6)를 열어서 설정(S2)에서 설정된 냉수 혹은 온수를 급수한다(S8). 이때 역시 마찬가지로 제어부(3)는 수조의 수위를 판단한다(S9). 그리고 수조의 수위를 판단하여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3)는 급수밸브구동부(5)의 구동을 중지시켜 급수밸브(6)를 잠그고 급수를 종료한다(S10).
급수가 완료되고 나면 제어부(3)는 헹굼행정을 실시한다(S11).
헹굼행정이 종료를 하면 제어부(3)는 배수밸브구동부(7)를 구동시켜 배수밸브(8)를 열어서 배수를 실시한다(S12). 이때 제어부(3)는 수위센서(9)를 통하여 수조의 수위를 감지한다.
제어부(3)는 수위센서(9)를 통하여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조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탈수행정을 실시한다(S13). 탈수행정이 실시되면 제어부(3)는 설정(S1)에서 설정된 탈수시간이 종료했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3)는 탈수시간이 종료했다고 판단되면 종료를 하고 배수밸브구동부(7)의 구동을 중지시켜 배수밸브(8)를 잠그고 종료를 한다.
그런데 헹굼행정시에 급수되는 물은 초기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수온의 물이 급수된다. 예를 들어서 초기에 냉수로 설정되어 있다면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시에 냉수가 급수되고, 초기에 온수가 설정되어 있다면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시에 온수가 급수된다.
만약 사용자가 세탁행정은 온수로 하고 헹굼행정은 냉수로 하고 싶을 경우, 사용자는 급수상태를 초기에 온수를 설정하고 세탁행정이 종료하면 사용자가 직접온수를 냉수로 절환 설정해야 한다. 그래서 급수변경을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각 행정마다 기다렸다가 직접 급수선택변경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세탁행정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세탁급수설정부와 헹굼행정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를 설정할 수 있는 헹굼급수설정부를 구비하여 세탁을 할 때 세탁행정에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의 설정과 헹굼행정에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의 설정을 개별로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급수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세탁기의 급수선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의 블럭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세탁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기능설정부 12:세탁급수설정부
13:헹굼급수설정부 20:수위센서
30:타이머 40:제어부
50:세탁기구동부 61:온수밸브구동부
62:온수밸브 71:냉수밸브구동부
72:냉수밸브 81:배수밸브구동부
82:배수밸브 90:탈수구동부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선택장치는,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밸브와, 냉수를 급수하는 냉수밸브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행정시의 급수를 설정하는 세탁급수설정부, 헹굼행정시의 급수를 설정하는 헹굼급수설정부, 세탁기의 세탁행정시에는 세탁급수설정부의 설정에 의하여 급수를 행하고 헹굼행정시에는 헹굼급수설정부의 설정에 의하여 급수를 행하도록 온수밸브 혹은 냉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의 기능을 설정입력할 수 있는 기능설정부(11)와, 기능설정부(11)의 입력에 따라서 세탁기가 세탁행정동작을 할 때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 급수를 설정하는 세탁급수설정부(12)와, 기능설정부(11)의 입력에 따라서 세탁기가 헹굼행정동작을 할 때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 급수를 설정하는 헹굼급수설정부(12)와, 세탁기의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20)를 구비한다.
그리고 기능설정부(11)와 세탁급수설정부(12) 그리고 헹굼급수설정부(13)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세탁기를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서 세탁기를 동작시키는 세탁기구동부(50)와, 세탁기 행정동작시 동작시간을 적산하는 타이머(30)와, 온수급수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되는 온수밸브구동부(61)와, 온수밸브구동부(61)의 구동에 따라서 개폐되는 온수밸브(62)와, 냉수급수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되는 냉수밸브구동부(71)와, 냉수밸브구동부(71)의 구동에 따라서 개폐되는 냉수밸브(72)를 구비한다.
또한 배수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되는 배수밸브구동부(81)와, 배수밸브구동부(81)의 구동에 따라서 개폐되는 배수밸브(82)와, 탈수행정시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되는 탈수구동부(90)를 구비한다.
먼저 사용자가 기능설정부(11)를 통하여 입력을 하여 세탁기 수조의 수위와 세탁시간, 탈수시간등을 설정한다(S110).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세탁급수설정부(12)를 이용하여 세탁행정시 급수될 냉수, 온수 또는 냉온수를 설정한다(S120). 그리고 헹굼급수설정부(13)를 이용하여헹굼행정시에 급수될 냉수, 온수 또는 냉온수를 설정한다(S130).
세탁기의 설정이 끝나면 제어부(40)는 세탁급수설정부(12)를 통하여 설정되어 있는 냉수, 온수 혹은 냉온수를 급수한다(S140). 이때 사용자가 세탁급수설정부(12)를 통하여 온수를 설정하였다면 제어부(40)는 온수밸브구동부(61)를 구동시킨다. 온수밸브구동부(61)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서 온수밸브(62)를 개방시켜 급수를 시작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세탁급수설정부(12)를 통하여 냉수를 설정하였다면 제어부(40)는 냉수밸브구동부(71)를 구동시킨다. 냉수밸브구동부(71)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서 냉수밸브(72)를 개방시켜 급수를 시작한다. 하지만 냉온수일 경우에는 제어부(40)는 온수밸브구동부(61)와 냉수밸브구동부(71)를 구동시켜 온수밸브(62)와 냉수밸브(72)를 개방시켜 급수를 한다.
급수가 시작되면 제어부(40)는 수위센서(20)를 통하여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제어부(40)는 현재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 다음 수조의 감지수위값과 설정된 설정(S110)에서 설정된 수위값을 비교 판단하여 급수완료를 판단한다(S150).
판단(S150)에서 수위센서(20)를 통하여 감지된 수위값이 설정(S110)에서 설정된 수위값에 이르렀다고 판단되면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제어부(40)는 현재 동작하고 있는 급수밸브(온수밸브(62) 혹은 냉수밸브(72))의 구동을 정지시켜 수조에 대한 물의 공급을 차단시킨다(S160). 급수가 완료되어 수조에 물이 차게되면 제어부(40)는 세탁기구동부(50)를 구동시켜 세탁행정을 실시한다(S170).
그런데 판단(S150)에서 수위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감지수위값이 설정(S110)에서 설정된 수위값에 이르지 못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급수되는 물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현재 동작하고 있는 급수밸브(온수밸브(61) 혹은 냉수밸브(72))를 계속 열어서 계속적으로 급수를 한다(S140).
세탁기구동부(50)가 구동되어 세탁행정이 실시되면 제어부(40)는 타이머(30)를 통하여 세탁행정이 실시되는 시간을 점검하고 설정(S110)에서 설정된 세탁행정시간이 종료를 하면 세탁기구동부(50)의 구동을 중지시켜 세탁행정을 종료한다.
세탁행정이 종료하면 제어부(40)는 배수밸브구동부(81)를 구동시켜 배수밸브(82)를 열어서 수조의 물을 배수시킨다(S180).
제어부(40)는 배수가 되는 동안 수위센서(20)를 통하여 배수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배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헹굼급수설정부(13)를 통하여 설정되어 있는 냉수, 온수 또는 냉온수를 급수한다(S190). 설정(S130)에서 헹굼급수설정부(13)를 통하여 냉수가 설정되어 있다면 제어부(40)는 냉수밸브구동부(71)를 구동시켜 냉수밸브(72)를 개방시켜 수조에 냉수를 급수한다.
그러나 설정(S130)에서 헹굼급수설정부(13)를 통하여 온수가 설정되어 있다면 온수밸브구동부(61)를 구동시켜 온수밸브(62)를 개방시켜 수조에 온수를 급수한다.
하지만 냉온수일 경우에는 제어부(40)는 온수밸브구동부(61)와 냉수밸브구동부(71)를 구동시켜 온수밸브(62)와 냉수밸브(72)를 개방시켜 급수를 한다.
설정(S130)에 의하여 설정된 내용에 따라서 온수 혹은 냉수밸브가 구동되면세탁기의 수조에 급수가 시작된다. 급수가 시작되어 수조에 물이 차기 시작하면 제어부(40)는 수위센서(20)를 이용하여 수위를 감지한다.
제어부(40)는 현재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 다음 수조의 감지수위값과 설정된 설정(S110)에서 설정된 수위값을 비교 판단하여 급수완료를 판단한다(S200).
판단(S200)에서 수위센서(20)를 통하여 감지된 수위값이 설정(S110)에서 설정된 수위값에 이르렀다고 판단되면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제어부(40)는 현재 구동중인 급수밸브의 구동을 정지시켜 수조에 대한 물의 공급을 차단시킨다(S210).
급수가 완료되어 수조에 물이 차게되면 제어부(40)는 세탁기구동부(50)를 구동시켜 헹굼행정을 실시한다(S220).
그런데 판단(S200)에서 수위센서(20)를 통하여 감지된 감지수위값이 설정(S110)에서 설정된 수위값에 이르지 못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급수되는 물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현재 구동중인 급수밸브를 계속 열어서 계속적으로 급수를 한다(S190).
헹굼행정이 종료를 하면 제어부(40)는 배수밸브구동부(81)를 구동시켜 배수밸브(82)를 열어서 물을 배수시킨다(S230).
배수가 되고 나면 제어부(40)는 탈수행정을 실시(S240)하는데 이때 배수밸브는 계속 열려있는 상태이다. 제어부(40)는 탈수행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탈수구동부(6)를 구동시킨다.
탈수행정이 실시되면 제어부(40)는 타이머(30)를 통하여 설정(S1)에서 설정된 탈수시간이 종료했는지를 판단하여 탈수시간이 종료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는 탈수행정을 종료하며, 배수밸브구동부(81)의 구동을 중지시켜 배수밸브(82)를 닫고(S250) 세탁을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선택장치에 의하여, 세탁행정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를 설정할 수 있는 세탁급수설정부와 헹굼행정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를 설정할 수 있는 헹굼급수설정부를 구비하여 세탁을 할 때 세탁행정에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의 설정과 헹굼행정에서 급수될 냉수 혹은 온수 또는 냉온수의 설정을 개별로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급수조건을 설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세탁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함을 준다.

Claims (1)

  1.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밸브와, 냉수를 급수하는 냉수밸브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행정시 급수할 냉수/냉온수/온수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세탁급수설정부,
    헹굼행정시 급수할 냉수/냉온수/온수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헹굼급수설정부,
    상기 세탁기의 세탁행정시에는 상기 세탁급수설정부의 설정에 따라서 급수를 행하고 헹굼행정시에는 상기 헹굼행정설정부의 설정에 따라서 급수를 행하도록 상기 온수밸브 및 냉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급수선택장치.
KR1019980019570A 1998-05-28 1998-05-28 세탁기의급수선택장치 KR100319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570A KR100319689B1 (ko) 1998-05-28 1998-05-28 세탁기의급수선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570A KR100319689B1 (ko) 1998-05-28 1998-05-28 세탁기의급수선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551A KR19990086551A (ko) 1999-12-15
KR100319689B1 true KR100319689B1 (ko) 2002-03-20

Family

ID=6589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570A KR100319689B1 (ko) 1998-05-28 1998-05-28 세탁기의급수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96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551A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8471B2 (ja) 洗濯機の洗濯水定温制御方法
JPH0739672A (ja) 洗濯機
JP3664690B2 (ja) 煮る洗濯機の制御方法
JPH1015276A (ja) 二槽式洗濯機
KR100319689B1 (ko) 세탁기의급수선택장치
KR100319688B1 (ko) 세탁기의 급수 제어방법
KR100391107B1 (ko) 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방지방법
KR19990034395A (ko) 무게감지에 의한 자동세탁 방법
KR100366690B1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제어방법
JP2018079167A (ja) 全自動洗濯機
KR19980075007A (ko) 세탁기의 냉수 및 온수 제어 방법
KR100245430B1 (ko)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KR100274673B1 (ko) 세탁기의 헹굼 제어방법
KR20000009640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339521B1 (ko) 세탁기의 섬유유연제 자동투입장치 및 제어방법
JPH038236Y2 (ko)
KR0162398B1 (ko) 세탁기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970011959B1 (ko)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KR100929231B1 (ko) 수질감지형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JPH05300993A (ja) 洗濯機
JP3477443B2 (ja) 洗濯機
KR100229144B1 (ko) 세탁기의 급수헹굼 제어방법
JP3319280B2 (ja) 洗濯機
JPH0822354B2 (ja) 洗濯機
JPH04327888A (ja) 自動洗濯機の運転方法とそ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