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414B1 - 바코드판독방법 - Google Patents

바코드판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414B1
KR100319414B1 KR1019970069901A KR19970069901A KR100319414B1 KR 100319414 B1 KR100319414 B1 KR 100319414B1 KR 1019970069901 A KR1019970069901 A KR 1019970069901A KR 19970069901 A KR19970069901 A KR 19970069901A KR 100319414 B1 KR100319414 B1 KR 100319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data
demodulated
sum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175A (ko
Inventor
모토히코 이토
신이치 사토
미츠오 와타나베
히로아키 가와이
이사오 이와구치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7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51Circuits for pulse shaping, amplifying, eliminating noise signals, checking the function of the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554Moving beam scanning
    • G06K7/10564Light sources
    • G06K7/10574Multipl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6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 G06K7/1486Setting the threshold-width for bar codes to be decod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법은 광(L2)으로 바코드(7)를 주사하여 수득되는 바-코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코드(7)를 판독한다. 그러한 방법은 a) 바-코드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와, b) 상기 바-코드 앞에 위치한 선행부 및 뒤에 위치한 후속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미리 정해진 수의 바-데이터에 대하여 바-데이터 폭의 합을 수득하는 단계와, c) 다른 합을 수득하기 위해 상기 단계 a) 및 b)를 1회 반복하는 단계와, d) 상기 합과 상기 다른 합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방법은 상기 비교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바-코드 데이터를 유효 데이터로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코드 판독 방법{METHOD OF READING BAR CODE}
본 발명은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과 바코드 판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저 광을 사용하는 파지용(hand-held) 바코드 판독기에 설치되는 바코드 판독 장치와 바코드 판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레이저식 바코드 판독기가 유통 산업에서 POS(point of sales) 시스템에서와 같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그러한 판독기는 비접촉 방식으로 바코드를 판독하는 동안 계산대에 통상적으로 고정된다. 제품 종류의 증가는 그러한 바코드 판독기의 사용 형태의 다양화를 요구한다. 계산대에서 다양한 제품에 대처하기 위해 고정형 바코드 판독기로 사용되는 계산대상의 고정된 위치에서 분리될 수 있는 파지용 바코드 판독기의 개발에 많은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바코드 메뉴(bar-code menu)를 판독하기 위해 파지용 바코드 판독기가 사용된다.
바코드 메뉴는 바코드 라벨(label)이 일부 형태의 제품에 부착될 수 없을 때 유용하다. 라벨이 없는 제품이 처리될 필요가 있을 때, 바코드 판독기는 라벨이 없는 제품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별도의 바코드 메뉴상의 바코드를 판독하는 데 사용된다. 바코드 메뉴 판독용 바코드 판독기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짧은 (센서) 판독가능 범위를 갖는 접촉 스캐너형 바코드 판독기 및 펜형 바코드 판독기를 포함한다. 짧은 판독가능 범위로 인해, 이들 형태의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해 바코드와 접촉할 필요가 있다.
반면에, 레이저식 바코드 판독기는 긴 (센서) 판독 가능 범위에 특징이 있다. 긴 판독가능 범위는 계산대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레이저식 바코드 판독기가 판독기의 주사창에 바코드 라벨을 갖는 제품이 표시될 때 바코드를 판독하게 한다. 이들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가 주사창으로부터 어떤 범위 내에 있는 한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바코드 라벨을 갖는 제품을 바코드 판독기에 표시할 때, 조작자는 제품의 위치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할 필요는 없다. 이러한 형태의 바코드 판독기는 짧은 시간 간격중에 다수의 바코드를 판독하는데 적합하다.
최근에 개발된 기술은 계산대에 일반적으로 장착될 뿐만 아니라, 필요할 때에는 파지용 조작 판닥기로 사용될 수 있는 레이저식 바코드 판독기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들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 라벨을 갖는 제품이 처리될 때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해 계산대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라벨이 없는 제품에 대하여 별도의 바코드 메뉴를 판독할 필요가 있을 때나, 주사창 위로 손으로 옮길 수 없는 무거운 제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할 필요가 있을 때,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 메뉴 또는 무거운 제품상의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해 계산대로부터 분리된다.
레이저 기반의 파지용 바코드 판독기는 고정적으로 장착된 레이저식 바코드 판독기와 같은 긴 판독가능 범위를 갖는다. 개별적인 바코드 메뉴를 판독할 필요가 있을 때, 대부분은 바코드 메뉴에 기록된 다수의 바코드 중 몇 개의 바코드만을 판독하게 된다. 목적하는 바코드가 다른 바코드들 사이에 기입되어 있기 때문에, 긴 판독가능 범위를 갖는 바코드 판독기의 사용은 목적하는 바코드와 함께 다른 불필요한 바코드를 판독하는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자가 목적하는 바코드에 더 가깝게 바코드 판독기를 가져가는 시간 동안, 레이저 주사광은 바코드 판독기의 주사창으로부터 계속 방출되어 무관한 바코드까지 주사한다.
약간의 레이저 기반의 파지용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 판독기가 손에 쥐어져서 사용될 때는 센서 판독가능 범위를 짧게 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소한다. 짧아진 판독가능 범위때문에, 바코드 판독기는 목적하는 바코드 이외의 불필요한 바코드를 추출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구조가 사용될 때에는 긴 판독가능 범위의 장점이 충분히 활용될 수 없다. 바코드 판독기는 무거운 제품의 경우에서와 같이 바코드 메뉴를 판독하는 것 이외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바코드를 어느 정도의 거리에서도 판독이 가능하도록 긴 판독 가능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요구는 바코드 판독기가 손으로 픽업할 때 짧은 판독 가능 범위로 제한되는 경우 충족될 수 없다.
또한, 짧아진 판독 가능 범위로서도, 바코드 판독기는 판독기가 주사창으로부터 레이저 주사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바코드를 픽업할 수 있다. 특히, 바코드 판독기가 부주의하게 조작될 때, 무관한 바코드를 판독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긴 판독 가능 범위를 유지하면서, 손에 들고 사용할 때 신뢰할 수 있게 바코드를 판독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긴 판독 가능 범위를 유지하면서 손에 쥐고 사용할 때에도 바코드의 신뢰할 수 있는 판독을 수행하는 바코드 판독 장치 및 바코드 판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기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b는 바코드 판독기에 사용되는 광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2는 이하의 실시예의 핵심부를 형성하는 절차에 관한 플로우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4는 도 12의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도 13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6은 도 12의 방법과 도 14의 방법의 결합인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8은 도 17의 실시예의 변형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19는 도 17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23은 도 22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코드 판독기
2 : 레이저 다이오드
3 : 다각형 미러
5 : 주사창
7 : 바코드
9 : 증폭기
10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으로 바코드를 주사하여 반사된 광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수득되는 바코드 데이터에 기초한 바코드 판독 방법은 a) 복조된 바코드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와, b) 상기 바코드의 선행부 및 후속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미리 정해진 수의 데이터에 대하여 펄스 폭의 합을 구하는 단계와, c) 다른 합을 수득하기 위해 a) 및 b) 단계를 1회 반복하는 단계와, d) 상기 b) 단계에서의 합과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다른 합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방법은 상기 비교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할 때 상기 복조된 바코드 데이터를 유효 데이터로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펄스는 판독기 내부의 클럭 발생기에 의해 공급되는 것으로서, 고정된 폭을 가지며 바의 폭을 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즉, 어떤 바-데이터가 검출되고, 바-데이터의 시작과 끝의 사이에 존재하는 펄스의 수를 계수하면, 바-데이터의 폭을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르면, 바코드 데이터 바로 앞에 선행하는 부분 및/또는 바코드 데이터 바로 뒤에 후속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미리 정해진 수의 데이터가 검출되고, 이들 데이터에 대한 펄스 폭의 합이 산출된다. 이들 펄스는 바코드 주변의 여백부(margin portions), 인쇄된 패턴, 문자(character), 음영(shadow) 등에 대한 것이다. 바코드 판독기가 바코드에 대하여 이동 중인 경우, 바코드 데이터 주변의 데이터에 대한 펄스 폭의 합은 반복되는 데이터의 검출 및 복조에 따라 변화할 것이다. 따라서, 첫 번째 구한 합과 두 번째 구한 합의 비교는 바코드 판독기가 바코드에 대하여 이동 중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상태에 따르면, 펄스 폭의 합보다는 펄스의 수가 바코드 판독기가 바코드에 대하여 이동을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전술한 방법은 제1 패턴의 주사빔(scan beam)과 제2 패턴의 주사빔을 방출하는 주사 유닛과,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해 제1 모드에서 제1 패턴을 사용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패턴을 사용하는 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 상태에 따르면, 제1 패턴은 복수의 주사빔으로 구성되고, 제2 패턴은 단 하나의 주사빔을 포함한다. 즉, 제1 패턴은 바코드 판독기가 계산대에 장착될 때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제2 패턴은 바코드 판독기가 바코드 메뉴 등을 판독하기 위해 손으로 픽업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추가의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를 볼 때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코드 판독기(1)는 레이저 주사에 의해 바코드를 조광하고, 바코드를 식별하기 위해 바코드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레이저식 바코드 판독기(laser-based bar-code reader)이다. 바코드 라벨을 갖는 제품이 처리될 때, 제품은 바코드 판독기가 바코드를 식별하게 하도록 주사창에 근접하게 위치되기만 하면 되며, 이에 따라 바코드 판독기가 계산대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고정적으로장착될 수 있다. 주사창에 근접하게 제공될 수 없는 제품의 바코드 또는 별도의 바코드 메뉴가 판독될 필요가 있는 경우, 바코드 판독기는 계산대 등으로부터 분리되어, 바코드 메뉴 또는 제품의 바코드가 손에 들고 이용되는 방식으로 바코드 판독기를 사용하여 판독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기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측면도이다. 도 2c는 배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바코드 판독기(1)는 헤드부(1a)와 그립부(1b)을 포함한다. 그립부(1b)는 고정된 위치에서 바코드 판독기(1)를 사용할 때 홀더 등에 장착될 수 있다.
헤드부(1a)는 레이저 방출부, 다각형 미러(polygon mirror), 주사빔을 분할하는 미러 및 광 검출기를 포함한다. 레이저 주사광은 헤드부(1a)로부터 주사창(1c)을 통해 방출된다.
고정 위치 조작시에, 바코드 라벨을 갖는 제품이 주사창(1c)상을 지나게 되어 바코드 라벨이 주사창(1c)에 보여지게 된다.
수동 조작시에, 바코드 판독기(1)는 시트(sheet) 또는 라벨에 인쇄된 목적하는 바코드에 근접하게 되어 주사창(1c)이 목적하는 바코드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주사창(1d)과 이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빔이 파지용 조작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바코드 판독기(1)는 레이저 광(L1)을 방출하는데 레이저 다이오드(2)를 사용한다. 레이저 광(L1)은 다각형 미러(3)로 향한다.
다각형 미러(3)는 모터(4)에 의해 회전되고, 복수의 반사면을 갖는다. 레이저 다이오드(2)로부터의 레이저 광(L1)은 다각형 미러(3)에 의해 반사 및 주사되어 미러(M)로 향한다. 상기 미러(M)는 복수 개의 미러를 포함한다. 미러(M)로부터 반사되는 레이저 광(L2)은 바코드 판독기(1)로부터 주사창(5)을 통해 방출된다.
도 3a 및 도 3b는 바코드 판독기(1)에 사용되는 광학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이저 광(L1)은 다각형 미러(3)에 의해 주사되어 레이저 광(L2)으로서 미러(M)를 향한다. 미러(M)는 미러(M1, M2, M3)을 포함한다. 다각형 미러(3)에 의해 주사되는 레이저 광(L2)은 미러(M1, M2, M3)에 의해 반사되어 3개의 상이한 방향의 3개의 빔(B1, B2, B3)으로 된다.
다각형 미러(3)를 회전시키는 모터(4)가 다각형 미러(3)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센서(23)에 함께 배치된다. 회전 센서(23)는 모터(4) 또는 다각형 미러(3)가 일회전할 때 소정 수의 펄스를 발생시킨다.
레이저 광(L2)의 주사 위치는 회전 센서(23)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상기 빔(B1, B2, B3) 중의 어떤 것이 주어진 주사 시간 동안 사용되는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바코드 판독기(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광(L2)[빔 (B1, B2, B3)]은 상품(6)에 부착된 바코드(7)상에 조광된다. 바코드(7)는 UPC(국제 상품 코드; Universal Product Code), EAN(유럽 상품 코드; Europe Article Code),또는 JAN(일본 상품 번호; Japan Article Number) 코드에 따르는 광을 반사하는 바 및 광을 흡수하는 바(낮은 반사율을 가짐)의 배열을 갖는다.
레이저 광(L2)은 바코드(7)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광(L3)은 주사창(5)을 통과한 후, 광 다이오드(8)를 조광한다. 광 다이오드(8)는 반사광(L3)에 응답하여 전류를 발생시킨다.
광 다이오드(8)에 의해 발생된 전류는 증폭기(9)로 공급된다. 증폭기(9)는 반사광(L3)의 강도를 반영하는 전류를 증폭시킨다.
증폭기(9)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A/D 변환기(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로 공급된다. A/D 변환기(10)는 증폭기(9)로부터 공급된 신호 레벨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공급된 신호 레벨이 기준 레벨을 초과할 때 HIGH로 되고 공급된 신호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작을 때 LOW로 되는 펄스 신호를 출력시킨다. 상기 펄스 신호는 바-폭(bar-width) 카운터(11)에 제공된다. 바-폭 카운터(11)는 A/D 변환기(10)로부터의 반사광(L3)에서 수득되는 디지탈 펄스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클록 발생기(12)로부터 클록 신호를 수신한다.
바-폭 카운터(11)는 클록 발생기(12)로부터 제공되는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펄스 신호의 HIGH 레벨과 LOW 레벨의 각각에 대하여 펄스 폭을 계수한다. 상기 HIGH 레벨과 LOW 레벨에 대한 계수는 직접 메모리 액세스 제어기(13)를 통해 RAM(14)으로 공급된다.
RAM(14)은 버스(15)를 통해 CPU(16)에 접속된다. 바코드(7)의 패턴을 반영하는 계수는 RAM(14)으로부터 CPU(16)로 공급된다. CPU(16)는 검출된 바코드를 식별하는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데, 이 인식 처리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CPU(16)에 의해 식별된 바코드는 인터페이스 회로(17)와 인터페이스 케이블(18)을 통해 POS 시스템(19)에 공급된다.
RAM(14), CPU(16) 및 인터페이스 회로(17) 이외에도, 타이머(20), 비휘발성 메모리(21) 및 입/출력 포트(22)를 포함하는 다른 소자가 버스(15)에 접속된다.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CPU(16)는 타이머(20), 비휘발성 메모리(21) 및 입/출력 포트(22)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인식 공정을 실행한다.
입/출력 포트(22)는 다각형 미러(3)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23), 고정 위치 동작 및 파지용 동작을 전환하는 스위치(24), 인식 공정의 상태를 표시하는 광방출 다이오드(25) 및 바코드 인식의 성공/실패를 나타내는 부저(buzzer)(26)에 접속된다. 이들 소자는 CPU(16)의 인식 처리에 의해 제어된다.
CPU(16)는 2개의 상이한 판독 동작 모드, 즉 통상 판독 모드(conventional-read mode) 및 정지 검출 모드(stationary-detection mode)를 갖는다.
통상 판독 모드는 인식 처리를 위해 RAM(14)에 기억된 복조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인식 결과는 인터페이스 회로(17)와 인터페이스 케이블(18)을 통해 POS 시스템(19)으로 전송된다.
정지 검출 모드는 바코드 판독기(1)와 바코드(7) 사이의 상대 이동이 정지될 때만 인식 처리를 위해 RAM(14)에 기억된 복조 데이터를 사용한다. 즉, 상대 이동이 존재할 때 검출된 데이터는 이 정지 검출 모드에서는 무효 데이터로 간주된다.
비휘발성 메모리(21)는 정지 검출 모드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그데이터는 CPU(16)를 상기 장치의 스위치를 온 시키기 전에 데이터 기록 동작 모드(data-write-operation mode)로 설정하거나 통상 판독 모드 중에 정지 검출 모드를 나타내는 특별한 바코드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비휘발성 메모리(21)에 기억된다. 상기 CPU(16)의 데이터 기록 동작 모드로의 세팅은 바코드 판독기(1)에 제공되는 딥(dip) 스위치(DS)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모드-시프트 바코드(mode-shift bar code)가 데이터 기록 동작 모드로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드 시프트 바코드는 모드 변화를 CPU(16)에 알리기 위해 바코드 판독기(1)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어서 정지 검출 모드를 나타내는 특정 바코드가 바코드 판독기(1)로 공급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특별한 바코드는 POS 시스템(19)로부터 인터페이스 케이블(18) 및 인터페이스 회로(17)를 통해 바코드 판독기(1)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특별한 바코드의 데이터는 비휘발성 메모리(21)에 기억되기 때문에, 그 데이터는 정전 등의 경우에도 손실되지 않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바코드 판독기(1)에는 딥 스위치(DS)가 제공된다. 딥 스위치(DS)는 비휘발성 메모리(21)내에 특별한 바코드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해 CPU(16)를 데이터 기록 동작 모드로 세팅하는데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판독 조작의 개시 직후의 단계 S1에서, 검출된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의 검사가 이루어진다. 복조되었다면, 그 과정은 단계 S2로 진행한다. 복조되지않았다면, 단계 S1이 반복된다.
단계 S2에서, J0개의 데이터의 합(A0)이 산출되는데, 여기에서 J0개의 데이터는 복조된 바코드의 직전에 제공된 것이다. 도 4의 예에서, J0은 4이고, A0은 4개의 데이터에 대한 전술한 계수(count number)의 합이다.
이하에서, 바코드 바로 앞에 위치한 상기 식별된 데이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바코드는 블랭크(blank)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다. 첫째, 관련 표준에 따르는 여백부가 바코드의 인접 영역에 배치된다. 이들 여백부는 일반적으로 백색(즉, 높은 반사율을 갖는 색상)으로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관련 표준에 의해 정의된 폭을 갖는다. 둘째, 바코드가 제품의 포장 등에 인쇄되어 있는 경우, 여백부 바깥의 주변 영역은 다수의 인쇄된 패턴 및 문자를 가질 수 있다.
바코드 바로 앞에 위치한 상기 식별된 데이터는 이들 여백부, 패턴, 문자, 음영 등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로부터 반사된 광의 세기와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서 바코드의 흑색 바 및 백색 바를 식별한다. 이 비교는 바코드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바코드 주위의 주변 패턴에 대해서도 이루어진다. 단계 S2에서의 공정은 이들 주변 패턴의 처리와 관련된다.
블랭크 영역만이 어떠한 인쇄 패턴 없이 바코드 둘레에 배치된 때조차도, 일부 패턴이 바코드 데이터의 앞 및/또는 뒤에 위치한 선행부 및/또는 후속부에서 검출된다. 이것은 음영, 레이저 빔의 간섭 특성(coherent characteristics) 등으로 인한 것이다.
바코드는 사용되는 표준에 따르는 특수한 배열을 갖기 때문에 바코드와 주변 패턴 사이의 구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3에서,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복조되었다면, 과정이 단계 S4로 진행한다. 복조되지 않았다면, 과정은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4에서, 단계 S1에서 복조된 바코드 및 단계 S3에서 복조된 바코드가 동일한 주사빔에 의해 수득된 것인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코드 판독기(1)는 상이한 방향으로 복수의 빔을 방출한다. 이 장치에서, 빔(B1)과 같은, 빔들 중의 하나가 바코드 메뉴 등을 판독하는 데 사용되는 빔으로 미리 할당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각형 미러(3)에 제공되는 회전 센서(23)는 상기 빔 중 어떤 빔이 바코드 판독기(1)로부터 현재 송출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 S4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동일 주사빔"은 예컨대, 도 3의 예에서 빔 B1을 의미한다. 즉, 단계 S4는 단계 S1에서 복조된 바코드 및 단계 S3에서 복조된 바코드가 동일 빔 B1에 의해 수득된 것인 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상기 복조된 바코드들이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된 경우, 과정은 단계 S5로 진행한다. 상기 복조된 바코드들이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된 것이 아닌 경우, 과정은 단계 S3으로 복귀한다.
단계 S5에서, 단계 S1에서 수득된 복조된 데이터 및 단계 S3에서 수득된 복조된 데이터가 동일한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기 복조된 데이터들이동일하지 않은 경우, 2개의 복조된 데이터가 2개의 상이한 바코드의 복조 결과로서 수득되는 것이라는 것이 확인된다. 이것은 바코드 판독기(1)와 바코드(7)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과정은 단계 S9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복조된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과정은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 단계 S3의 바코드의 바로 앞에 있는 J1개의 데이터의 합(A1)이 산출된다. 이 예에서, J1은 단계 S2에서와 같이 4이고, A1은 4개의 데이터에 대한 계수의 합이다.
단계 S7에서, A0 및 A1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수학식 1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0.9~A1 ~= ~A0~ <= ~1.1~A1
수학식 1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바코드가 성공적으로 판독되었다는 것이 확인된다. 수학식 1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과정은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8에서, 바코드가 단계 S3에서 복조되지 않았다고 결정될 때, 바코드 라벨(특히 단계 S1의 바코드)이 바코드 판독기(1)의 센서 판독 가능 범위를 벗어나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이 검사는, 예컨대 주사로부터 수득된 데이터 패턴이 바코드의 특징을 나타내는 지를 조사함으로써 행해진다.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바코드 라벨은 바코드와 유사한 패턴이 수득되는 한판독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 경우에, 과정은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상기 바코드 라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과정은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9에서, 지금까지 수득된 모든 바코드 데이터가 소거되고, 후속 판독 동작이 개시된다. 이 단계 S9는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고, 상기 바코드 판독기(1)가 이미 제1 바코드 상을 통과했다고 결정되는 경우 실행된다.
반면에, 단계 S7에서 이루어진 결정은 상기 4개의 데이터에 대한 계수의 합이 상기 2개의 복조된 바코드 사이에서 동일한 지의 여부에 기초한다. 상기 바코드 판독기(1)가 상대 이동 중인 경우, 상기 4개의 선행하는 데이터의 합은 상기 2개의 복조된 바코드가 상이함을 나타낼 것이다. 반면에,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는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은 것이다.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은 데이터 판독 공정에 포함되는 가능성 있는 에러를 고려하여 ±10%의 허용 오차 범위를 포함한다. 대안으로서, 허용 오차 범위를 갖지 않는 임의의 조건이 수학식 2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A0 = A1
역으로, 상기 허용오차 범위는 더 큰 오차를 견디기 위해 더욱 확대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를 판독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판독 동작의 개시 직후의 단계 S1에서, 검출된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단계 S2에서, k는 0으로 세트된다. 단계 S3에서, J0개(예컨대, 4개)의 데이터의 합(Ak)이 산출되고, 여기에서 J0개의 데이터는 상기 복조된 바코드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 산출은 도 4의 산출과 동일하다.
단계 S4에서,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다면, 과정은 단계 S5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단계 S1에서 복조된 바코드와 단계 S4에서 복조된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기 2개의 바코드가 상이한 주사로 수득되는 경우, 과정은 단계 S4로 복귀한다.
상기 2개의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는 경우, 과정은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상기 단계 S1에서 수득된 복조 데이터와 단계 S4에서 수득된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기 2개의 복조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12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과정은 단계 S7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단계 S4의 바코드의 직전의 J1(예컨대, 4)개의 데이터의 합(Ak+1)이 산출된다. 단계 S8에서, Ak와 Ak+1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수학식 3의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에 대해 검사된다.
0.9~Ak+1 ~= ~Ak~ <= ~1.1~Ak+1
상기 수학식 3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중인 것으로 확인되고, 과정은 단계 S12로 진행한다. 수학식 3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과정은 단계 S9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k는 k+1로 세트된다. 단계 S10에서, k가 5와 같은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k가 5보다 크다면, 이것은 단계 S4 내지 S8이 5회 반복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상기 판독 동작은 성공적인 것으로 확인된다.
k가 단계 S10에서 5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상기 과정은 단계 S4로 복귀한다.
도 4에 도시된 앞선 실시예에서, 상기 판독 동작은 바코드에 선행하는 데이터수들의 합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할 때 성공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도 5의 실시예에서, 판독 동작은 상기 합이 5번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할 때만 성공으로 간주된다. 즉, 더 엄격한 조건이 도 5의 경우에 부과된다. 환언하면, 도 5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보다 더 높은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8에서 상기 수학식 3의 조건에 사용되는 Ak는 선행되어 수득되는 A0 내지 Ak-1중 어느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일련의 검사에 대해 동일한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고려가 당연히 제공되어야 한다. 이 목적으로, 상기 수학식 3의 조건에서 Ak의 대체는 일련의 검사에 대해 동일하게 되어야 한다. 이것은 단계 8에서 일련의 검사에 대하여 상이한 값을 사용하는 것은 에러의 전파를 야기할 수 있고, 그것이 판독 동작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의 방법은 도 4의 방법의 변형이다. 도 4에서는 복조 데이터의 직전의 얼마간의 데이터에 대해 계수의 합이 수득된다. 반면에, 도 6에서는 복조 데이터의 직후의 얼마간의 데이터에 대해 계수의 합이 수득된다.
단계 S1에서 판독 동작의 개시 직후에, 검출된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검출된 바코드가 복조되었다면, 과정은 단계 S2로 진행한다. 검출된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았다면, 단계 S1이 반복된다.
단계 S2에서, L0개의 데이터의 합(B0)이 산출되고, 여기에서 L0개의 데이터는 상기 복조된 바코드의 직후에 제공된다. 도 6의 예에서, L0은 4이고, B0은 4개의 데이터에 대한 계수의 합이다.
단계 S3에서,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다면, 과정은 단계 S4로 진행한다.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았다면, 과정은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4에서, 단계 S1에서 복조된 바코드와 단계 S3에서 복조된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해 검사된다. 상기 2개의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었다면, 과정은 단계 S5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3으로 복귀한다.
단계 S5에서, 단계 S1에서 수득된 복조 데이터와 단계 S3에서 수득된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지의 여부에 대해 검사된다. 상기 2개의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2개의 복조 데이터는 2개의 상이한 바코드를 복조한 결과로서 수득된것으로 확인된다. 이 경우에, 과정은 단계 S9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과정은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에서, 단계 S3의 바코드의 바로 뒤에 위치한 L1개의 데이터의 합(B1)이 산출된다. 이 예에서, L1은 단계 S2에서와 같이 4이고, B1은 4개의 상기 데이터에 대한 계수의 합이다.
단계 S7에서, B0 및 B1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수학식 4의 조건이 충족되는 지에 대해 검사된다.
0.9~B1 ~= ~B0~ <= ~1.1~B1
이 수학식 4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는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판독된 것으로 확인된다. 상기 수학식 1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과정은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8에서 바코드가 단계 S3에서 복조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될 때, 바코드 라벨이 바코드 판독기(1)의 센서 판독 가능 범위를 벗어나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이 검사는, 예컨대 주사로부터 수득된 데이터 패턴이 바코드의 특징이 나타내는 지의 여부를 조사함으로써 행해진다.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은 경우에도, 바코드 라벨은 바코드와 유사한 패턴이 수득되는 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 경우에, 과정은 단계 S3으로 복귀한다. 바코드 라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 과정은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9에서, 지금까지 수득된 모든 바코드 데이터가 소거되고, 다음 판독 동작이 개시된다. 이 단계 S9는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중이고, 바코드 판독기(1)가 이미 제1 바코드를 통과하였다는 결정이 이루어질 때 실행된다.
상기 수학식 4의 조건은 데이터 판독 공정에 포함되는 가능한 에러를 고려하여 ±10%의 허용 오차 범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허용 오차 범위를 갖지 않는 것으로 임의의 조건이 아래 수학식 5로서 제공될 수 있다.
B0 = B1
역으로, 상기 허용오차 범위는 더 큰 오차를 허용하기 위해 더욱 확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의 방법은 도 5의 방법의 변형이다. 도 5에서, 계수의 합은 복조된 데이터의 직전의 얼마간의 데이터에 대하여 수득된다. 반면에, 도 7에서 계수의 합은 복조된 데이터의 직후의 얼마간의 데이터에 대하여 수득된다.
판독 동작의 개시 직후의 단계 S1에서, 검출된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단계 S2에서, k는 0으로 세트된다. 단계 S3에서, L0(예컨대, 4)개의 데이터의 합(Bk)이 산출되는데, 여기에서 L0개의 데이터는 상기 복조된 바코드의 직후에 위치한다.
단계 S4에서,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다면, 과정은 단계 S5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단계 S1에서 복조된 바코드와 단계 S4에서 복조된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된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기 2개의 바코드가 상이한 주사에 의해 수득되었다면, 과정은 다시 단계 S4로 복귀한다.
상기 2개의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된 것이라면, 과정은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단계 S4의 바코드의 바로 뒤에 위치한 L1(예컨대, 4)개의 데이터의 합(Bk+1)이 산출된다. 단계 S8에서, Bk와 Bk+1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아래 수학식 6의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0.9~Bk+1 ~= ~Bk~ <= ~1.1~Bk+1
상기 수학식 6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바코드 판독기(1)는 바코드(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중인 것으로 확인되고, 과정은 단계 S12로 진행한다. 상기 수학식 6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과정은 단계 S9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k는 k+1로 세트된다. 단계 S10에서, k가 5와 같은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k=5인 경우, 이것은 단계 S4 내지 S8이 5회 반복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판독 동작이 성공적인 것으로 확인된다.
k가 단계 S10에서 5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다시 단계 S4로 복귀한다.
단계 S8에서 상기 수학식 6의 조건에 사용되는 Bk는 이미 수득된 B0 내지Bk-1중 어느 하나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일련의 검사에 걸쳐 동일 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학식 6에서 Bk에 대한 대체값은 일련의 검사에 걸쳐 동일하여야 된다. 이것은 단계 S8에서 일련의 검사에 걸친 상이한 값의 사용은 에러의 전파를 야기할 수 있고, 그것이 판독 동작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도 6의 실시예의 조합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이 실시예에서, 데이터 길이의 합이 바코드의 전후에 제공되는 각 데이터에 대하여 수득된다. 각 데이터 세트의 합에 기초하여, 바코드 판독기가 바코드에 대하여 상대 이동 중인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지며, 그것에 의해 데이터 판독 동작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판독 동작의 개시 직후의 단계 S1에서, 검출된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검출된 바코드가 복조되었다면, 과정은 단계 S2로 진행한다. 상기 검출된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았다면, 단계 S1이 반복된다.
단계 S2에서, 계수의 합(A0)은 J1(예컨대, 4)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산출되고, 그것은 복조된 바코드의 직전에 제공된다. 단계 S3에서, 계수의 합(B0)은 L0(예컨대, 4)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산출되고, 그것은 상기 복조된 바코드의 직후에 제공된다.
단계 S4에서,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11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바코드라벨이 주사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바코드 라벨이 주사 범위를 벗어난 경우,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대해 상대 이동 중인 것이 확인된다. 이 경우에, 과정은 단계 S12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지금까지 수득된 모든 데이터는 소거되고, 후속 판독 동작이 개시된다.
단계 S4에서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다면, 과정은 단계 S5로 진행하고, 단계 S1에서 복조된 바코드와 단계 S4에서 복조된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기 2개의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된 경우, 과정은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4로 복귀한다.
단계 S6에서, 단계 S1에서 수득된 복조 데이터와 단계 S4에서 수득된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기 2개의 복조 데이터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2개의 복조 데이터가 2개의 상이한 바코드의 복조 결과로서 수득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 경우에, 과정은 단계 S12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과정은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 단계 S4의 바코드의 바로 앞에 위치한 J0(예컨대, 4)개의 데이터의 합(A1)이 산출된다. 단계 S8에서, 단계 S4의 바코드의 바로 뒤에 위치한 L1(예컨대, 4)개의 데이터의 합(B1)이 산출된다.
단계 S9에서, A0과 A1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아래 수학식 7의 조건이 충족되는 지가 검사된다.
0.9~A1~ = ~A0~ <=~ 1.1~A1
이 수학식 7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과정은 단계 S12로 진행한다. 상기 수학식 7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과정은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에서, B0과 B1 사이의 관계를 상술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아래 수학식 8의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0.9~B1~ = ~B0~ <=~ 1.1~B1
이 수학식 8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과정은 단계 S12로 진행한다. 상기 수학식 8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이것은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대하여 여전히 정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판독 동작의 성공적인 완료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8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코드의 전후에 제공되는 2개의 데이터의 계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지고, 바코드 판독기가 바코드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을 하였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이중의 검사가 행해진다. 이로 인해, 이 실시예에서 수득된 바코드 데이터는 높은 신뢰도를 갖는다.
도 8에서, 단계 S7 내지 단계 S10이 실행되는 순서는 변화할 수 있다. 예를들어, 단계 S9는 단계 S7의 직후 및 단계 S8의 직전에 실행될 수 있다. 이 배열은 단계 S8이 단계 S9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스킵되게 한다. 이와 같이 취해짐으로써, 전체 과정의 순서는 각 단계에 대해 변형을 요구하지 않고 변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의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되는 실시예와 도 7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조합이다.
판독 동작의 개시 직후의 단계 S1에서, 검출된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단계 S2에서, k는 0으로 세트된다. 단계 S3에서, 계수의 합(Ak)이 J1(예컨대, 4)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산출되고, 이것은 상기 복조된 바코드의 직전에 제공된다. 단계 S3에서, 계수의 합(Bk)은 L0(예컨대, 4)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산출되고, 이것은 상기 복조된 바코드의 직후에 제공된다.
단계 S5에서,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14로 진행하고, 바코드 라벨이 주사 범위를 벗어나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바코드 라벨이 주사 범위를 벗어나 있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5로 복귀한다. 바코드 라벨이 주사 범위를 벗어나 있는 경우,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대하여 상대 이동 중이라는 것이 확인된다. 이 경우에, 과정은 단계 S15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지금까지 수득된 모든 데이터가 소거되며 다음 판독 동작이 개시된다.
단계 S5에서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다면, 과정은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단계 S1에서 복조된 바코드와 단계 S5에서 복조된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기 2개의 복조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된 경우, 과정은 단계 S7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복조 바코드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다시 단계 S5로 복귀한다.
단계 S7에서, 단계 S1에서 수득된 복조 데이터와 단계 S5에서 수득된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기 2개의 복조 바코드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바코드 판독기(1)와 바코드(7)가 상대 이동 중이라는 가정 하에, 과정은 단계 S15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과정은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8에서, 계수의 합(Ak+1)이 단계 S5의 바코드의 바로 앞에 위치한 J0(예컨대, 4)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산출된다. 단계 S9에서, 계수의 합(Bk+1)이 단계 S5의 바코드의 바로 뒤에 위치한 L1(예컨대, 4)개의 데이터에 대하여 산출된다.
단계 S10에서, Ak와 Ak+1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아래 수학식 9의 조건이 충족되는 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0.9~Ak+1~ = ~Ak~ <=~ 1.1~Ak+1
이 수학식 9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과정은 단계 S15로 진행한다. 수학식 9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과정은 단계 S11로 진행한다.
단계 S11에서, Bk와 Bk+1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미리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아래 수학식 10의 조건이 충족되는 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0.9~Bk+1~ = ~Bk~ <=~ 1.1~Bk+1
이 수학식 10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과정은 단계 S15로 진행한다. 상기 수학식 10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과정은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서, k는 1씩 증가된다. 단계 S13에서, k가 5와 같은 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k=5인 경우, 즉, 계수에 대한 검사가 5회 행해진 경우, 이것은 바코드 판독기(1)와 바코드(7)가 상대 이동 중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고, 이것은 판독 동작의 성공적인 완료를 나타낸다. k가 5보다 작은 경우, 과정은 단계 S5로 되돌아가서 후속 단계를 반복한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의 실시예에서, 데이터들의 합은 각각 단계 S5의 복조된 바코드의 전후에 위치하는 데이터 세트에 대해 단계 S8 및 S9에서 산출된다.
판독 동작을 위해 필요한 처리 시간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능한 많은 단계를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단계 S8 내지 S11은 도 9의 실시예와 상이한 순서로 제공된다.
도 10에서, 단계 S8은 단계 S7에서 이전 데이터와 동일한 복조 데이터가 수득된 후에 실행된다. 단계 S8에서, 계수의 합(Bk+1)은 바코드의 바로 뒤에 위치한 4개의 데이터에 대해 수득된다. 단계 S9에서, k가 0인 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k가 0인 경우, 이것은 검사가 상기 바코드의 전후에 위치한 데이터들의 합에 대하여 행하여지지 않았음을 의미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검사는 단계 S1의 복조 데이터와 단계 S5의 복조 데이터 사이에서 이들 합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상기 과정은 단계 S10 및 S11을 뛰어넘어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서, 상기 제1 복조 데이터에 대해 수득된 합(Bk)과 제2 복조 데이터에 대해 수득된 합(Bk+1)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즉, 상기 제2 복조 데이터의 바로 앞에 위치한 데이터들의 합(A1)이 이 경우에 산출되지 않는다.
k가 0이 아닌 경우, 이것은 검사가 바코드의 직후의 데이터들의 합이 제1 복조 데이터와 제2 복조 데이터 사이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검사 결과로 적어도 한 번 행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상기 과정은 단계 S10으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계수의 합은 바코드의 바로 앞에 위치한 4개의 데이터에 대해 수득된다. 이어서, 단계 S11에서, 상기 제1 복조 데이터용으로 수득된 합과 상기 제2 복조 데이터용으로 수득된 합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에서, 제2 바코드의 바로 앞에 위치한 데이터들에 대한 데이터 처리와 제2 바코드의 바로 뒤에 위치한 데이터들에 대한 데이터 처리는 서로 바뀌어진다. 다른 단계는 도 10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이하의 실시예의 핵심부를 이루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1에서,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단계 S2에서, 상기 바코드의 바로 앞에 위치한 바(bar) 및 스페이스(space)의 수 U가 미리 정해진 주사 범위내에서 계수된다. 여기에서, 바는 바코드의 흑색 줄(stripe)에 관한 것이고, 스페이스는 바코드의 백색 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미리 정해진 주사 범위는 단계 S1에서 복조된 바코드를 주사하는데 사용되는 주사빔의 주사 범위이다.
바코드 판독기에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모터 센서는 바코드 판독기에 의해 방출된 주사빔에 의해 주사되는 범위에 대해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 개의의 주사빔이 하나씩 방출될 때, 상기 주사빔 중 어떤 것이 주사되는 지와 상기 방출된 주사빔에 의해 주사되는 범위에 대해 표시된다. 환언하면, 주사빔이 미리 정해진 주사 범위를 주사중인 지의 여부에 대해 검사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단계 S2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주사 범위를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S3에서, 단계 S2에서 수득된 수 U가 미리 정해진 수 C(도 12의 예에서는 C=3) 이하인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기 수 U가 상기 미리 정해진 수 C보다 큰 경우, 상기 과정은 설명된 단계를 반복하도록 단계 S1로 복귀한다.
상기 수 U가 C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판독 동작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간주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코드 주변에 블랭크 영역만 존재할 때 음영, 레이저 빔의 간섭 특성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바코드 데이터 주변의 바 및 스페이스가 검출된다. 약간의 제어된 환경 하에서는, 임의의 주변 인쇄 패턴이 없음에도불구하고 검출된 바 및 스페이스의 수가 이를 초과하지 않는 어떤 한도를 두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한도를 이용하여 바코드 및 바코드 판독기가 상대 이동 중인 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수행한다. 또한, 미리 정해진 수의 바 및 스페이스가 더욱 결정을 쉽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바코드의 좌측 및 우측에 인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에서, 도 12의 과정이 통합된다.
도 13의 단계 S1 내지 S3은 도 12의 단계와 동일하다.
단계 S4에서 I는 1로 세트된다.
단계 S5에서,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12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바코드 라벨이 센서 판독 가능 범위를 벗어나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이 바코드 라벨의 바코드가 단계 S1에서 복조된 바코드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단계 S12에서 상기 바코드 라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과정은 단계 S5로 복귀한다. 이 경우는 변조 처리 과정(modulation process)에 포함되는 에러와 같은 어떤 이유로 인하여 두 번째로 상기 바코드를 변조하려는 시도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단계 S1에서 복조된 바코드가 상기 센서 판독 가능 범위 내에 있다는 표시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바코드 판독기(1)와 바코드(7)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단계 12에서 상기 바코드 라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명되면, 바코드 판독기(1)는 바코드(7)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중인 것으로 확인되고, 과정은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 지금까지 수득된 모든 데이터는 소거되고, 과정은 후속 판독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단계 S1로 진행한다.
단계 S5가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과정은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단계 S1 및 S5에서 복조된 바코드가 동일 주사(예컨대, 동일 영역을 주사하는 동일 주사빔에 의해 주사된 것)에 의해 수득된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 검사된다. 이것은 상기 판독 동작에서 바코드 메뉴를 판독하는데 특정 빔을 사용이 사용되는 것이 요구될 때의 적절한 검사 항목이다. 상기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바코드 메뉴를 판독하는 데 요구되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계 S5로 복귀한다.
단계 S6이 상기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과정은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 단계 S1의 복조 데이터가 단계 S5의 복조 데이터와 동일한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이 검사는 2개의 데이터 세트 사이의 간단한 비교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상기 2개의 데이터 세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이것은 단계 S1에서 복조된 바코드와 단계 S5에서 복조된 바코드가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과정은 상기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상대적으로 이동 중인 것으로 확신되기 때문에,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데이터 세트가 동일한 경우, 과정은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8에서, 상기 바코드의 바로 앞에 위치한 바 및 스페이스의 수 U가 미리 정해진 주사 범위 내에서 수득된다. 이 단계는 단계 S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정을 실행한다.
단계 S9에서, 단계 S8에서 수득된 수 U가 미리 정해진 수 D(예컨대, 3)와 유사 또는 동일한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비교가 행해진다. 상기 수 U가 수 D를 초과하는 경우, 과정은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상기 수 U가 수 D보다 크지 않은 경우, I는 단계 S10에서 1씩 증가된다. 단계 S11에서, I가 4와 같은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I=4인 경우, 이것은 상기 복조 데이터가 상기 수 U가 각각의 경우에 3보다 크지 않은 채, 4회 수득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바코드 판독기(1)는 바코드(7)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중이 아님을 나타내고, 판독 동작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확인된다. 반면에, I가 4가 아닌 경우, 이것은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중이 아님을 판정할만큼 충분히 데이터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과정은 단계 S5에 후속하는 단계를 반복하도록 단계 S5로 복귀한다.
도 14는 도 12의 실시예의 변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의 방법은 이하에서 기술하는 점에서만 도 12의 방법과 상이하다. 즉, 도 12의 방법은 바코드의 바로 앞에 위치한 바 및 스페이스의 수 U를 수득하는 반면에, 도 14의 방법은 바코드의 바로 뒤에 위치한 바 및 스페이스의 수를 수득한다. 도 14의 방법에서, 상기 수득된 수는 미리 정해진 수 E(예컨대, 3)와 비교된다.
도 15는 도 13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5의 방법은 이하에서 기술하는 점에서만 도 13의 방법과 상이하다. 즉, 도 13의 방법은 바코드의 바로 앞에 위치한 바 및 스페이스의 수 U를 수득하는 반면에, 도 15의 방법은 바코드의 바로 뒤에 바 및 스페이스의 수를 수득한다. 도 15의 방법에서, 상기 수득된 수는 미리 정해진 수 F(예컨대, 3)와 비교된다.
도 16은 도 12의 방법과 도 14의 방법의 조합인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2 또는 도 14의 방법에서, 바 및 스페이스의 수는 바코드의 어느 한 쪽, 즉 바코드의 앞쪽 또는 바코드 뒤쪽에 대해서만 고려된다. 그러나,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한 방향으로만 제한되지 않고, 양방향 이동을 나타낸다. 상기 바코드의 한쪽면상의 바 및 스페이스의 수의 사용은 상대 이동을 판정할 목적에는 충분하지 않다.
도 16의 방법은 이 문제를 극복한다. 도 16에서, 바와 스페이스의 수는 바코드의 양쪽 모두에 대해 수득된다. 상기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 사이의 상대 이동이 적어도 한쪽에서의 바 및 스페이스의 수의 약간의 증가를 야기할 것이라는 가정이 적절하다면, 도 16의 방법이 상대 이동에 대한 적절한 검사를 제공할 것이다. 반면에, 도 12 또는 도 14의 방법에서는 바 및 스페이스의 수의 변화는 이 변화가 모니터되지 않는 쪽에서 발생하는 경우 간과될 수 있다.
도 16에서, 단계 S1은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를 행하고, 이어서, 단계 S2는 미리 정해진 주사 범위내에서 상기 복조된 바코드의 직전에 위치한 바 및 스페이스의 수 U를 산출한다. 단계 S3에서, 상기 수 U는 미리 정해진 수 C(예컨대, 3)와 비교된다. 상기 수 U가 수 C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해 요구된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고, 과정은 단계 S1로 복귀한다.
상기 수 U가 수 C보다 크지 않은 경우, 단계 S4는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서 바코드의 직후에 위치한 바 및 스페이스의 수 U를 산출한다. 단계 S5에서, 상기 수 U를 미리 정해진 수 E(예컨대, 3)과 비교하여 어떤 수가 큰지를 결정한다.
상기 수 U가 수 E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판독 동작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확인된다. 상기 수 U가 E보다 큰 경우,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고, 과정은 전술한 단계를 반복하도록 단계 S1로 복귀한다.
단계 S2 내지 S5는 다른 순서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라.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의 실시예는 도 16의 방법을 포함한다.
판독 동작의 개시후에, 단계 S1은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를 행한다. 단계 S2는 미리 정해진 주사 범위 내에서 상기 복조된 바코드의 직전의 바 및 스페이스의 수 U를 수득한다. 단계 S3에서, 상기 수 U를 미리 정해진 수 D(예컨대, 3)와 비교하여 어떤 수가 더 큰 지를 결정한다.
상기 수 U가 수 D를 초과하는 경우, 과정은 다시 단계 S1로 복귀한다. 상기 수 U가 수 D보다 크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4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바코드의 직후의 바 및 스페이스의 수 U는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수득된다. 단계 S5에서, 상기 수 U는 상기 수중 하나가 나머지보다 큰 지를 결정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수 F(예컨대, 3)와 비교된다.
상기 수 U가 F보다 큰 경우, 과정은 단계 S1로 복귀한다. 상기 수 U가 수 F보다 크지 않은 경우, I는 단계 S6에서 1로 세트된다.
단계 S7에서,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 즉 단계 S1의 것과 다른 바코드가 수득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12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바코드 라벨이 센서 판독 가능 범위를 벗어났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단계 S12에서 바코드 라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과정은 단계 S7로 다시 복귀한다.
단계 S12에서 바코드 라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된 경우,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중인 것으로 확인되고, 과정은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 지금까지 수득된 모든 데이터가 소거되고, 과정은 후속 판독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단계 S1로 진행한다.
단계 S7이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과정은 단계 S8로 진행하고, 단계 S1 및 S7에서 복조된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상기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7로 다시 복귀한다.
단계 S8이 상기 바코드가 동일 주사빔에 의해 수득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과정은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9에서, 단계 S1의 복조 데이터가 단계 S7의 복조 데이터와 동일한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2개의 데이터 세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과정은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상기 2개의 데이터 세트가 동일한 경우, 과정은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에서, 단계 S7의 바코드의 직전의 바 및 스페이스의 수 U는 미리 정해진 주사 범위 내에서 수득된다.
단계 S11에서, 단계 S10에서 수득된 수 U가 미리 정해진 수 D(예컨대, 3) 이하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비교가 행해진다. 상기 수 U가 수 D를 초과하는 경우, 과정은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상기 수 U가 수 D보다 크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 단계 S7의 바코드의 직후의 바 및 스페이스의 수 U는 미리 정해진 주사 범위 내에서 수득된다. 단계 S15에서, 단계 S14에서 수득된 수 U가 미리 정해진 수 F(예컨대, 3)보다 큰 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비교가 행해진다.
상기 수 U가 수 F를 초과하는 경우, 과정은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상기 수 U가 수 F보다 크지 않은 경우, 과정은 단계 S16으로 진행하고, 여기에서, I는 1씩 증가된다. 단계 S17에서, I가 4와 같은 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행해진다.
I=4인 경우, 이것은 상기 복조 데이터가 상기 수 U가 상기 바코드의 양측면에 대하여 각각의 경우에 3보다 크지 않으면서 4회 수득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바코드 판독기(1)는 바코드(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음 나타내고, 판독 동작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이 확인된다. 반면에, I가 4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이것은 바코드 판독기(1)가 바코드(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음 판정할 만큼 충분한 데이터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과정은 단계 S7에 후속하는 단계들을 반복하기 위해 단계 S7로 다시 복귀한다.
이 방법으로, 복수의 데이터 검사가 도 17의 방법에 따라 수행되어, 바코드판독기와 바코드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관한 검사 결과가 도 14의 경우에서 보다 큰 신뢰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에서, 바코드가 첫번째 복조될 때는 바코드의 직전 및 직후의 바 및 스페이스의 수가 수득되지만, 바코드가 두 번째로 복조되어 수득될 때 및 그 이후에는 바코드의 뒤에 위치한 바 및 스페이스의 수만을 계수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도 19는 도 17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르는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고, 바코드가 두 번째로 복조되어 수득 될 때 및 그 이후에는 바코드 직전의 일부만이 계수되는 경우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판독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실시예는 2가지 유형의 비임 패턴 A와 B를 방출하는 바코드 판독기를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비임 패턴 A는 바코드 판독기를 고정 장착 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하고, 주사창으로부터 다중 방향으로 방출되는 복수의 주사빔을 갖는 패턴이다. 여기서, 다중 방향으로 방출되는 주사 패턴은 서로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임 패턴 B는 바코드 메뉴 등을 판독하는 데 적합한 패턴이고, 주사창으로부터 한 방향으로 방출되는 한 개의 주사선만을 갖거나 또는 그 주사선에 평행한 추가의 주사선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통상의 바코드 판독 동작시에 바코드 판독기는 비임 패턴 A를 방출한다.
단계 S1에서, 바코드 판독기를 동작시키면, 비임 패턴 A가 선택되어, 바코드 판독기의 주사창으로부터 상기 비임 패턴 A가 방출된다.
바코드 판독기에는 비임 패턴을 전환하기 위한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버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코드 판독기상의 편리한 위치에 설치되어, 바코드 판독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이 용이하다.
단계 S2에서는 버튼이 눌러졌는 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조작자는 바코드 메뉴상의 바코드를 판독하고자 할 때 이 버튼을 누른다.
버튼을 누르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7로 진행하여 바코드의 복조가 완료되었는 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바코드 복조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로 복귀되어 버튼 상태를 재차 감시한다. 또한, 바코드의 복조가 완료된 경우에는 단계 S8로 진행하여 복조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경우에, 바코드 판독기는 바코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정지하고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바코드 판독기의 이동과 관련하여 검사를 행하지 않는다.
단계 S2에서 버튼이 눌러지면 단계 S3에서는 비임 패턴 B가 선택되어, 주사창으로부터 한 방향으로만 주사선이 방출된다. 단계 S4에서는 바코드의 복조가 완료되었는 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바코드의 복조가 완료된 경우에는 단계 S9로 진행하여 복조된 데이터가 전송된다.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았거나 또는 단계 S9에서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는 단계 S5에서 버튼이 누름 해제되었는 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버튼이 누름 해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단계 S4로 복귀한다.
단계 S5에서 버튼의 누름이 해제된 경우, 단계S6에서는 1초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만일 1초가 경과된 경우에는 단계 S1로 복귀되어 비임패턴 A가 다시 선택된다. 1초의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단계 S6에서는 검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바코드 메뉴는 비임 패턴 B가 사용될 때 판독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문에 단계 S4에서의 바코드 복조 처리는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간의 상대적인 이동 관계를 검사한다. 바코드 판독기가 바코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바코드의 판독 동작이 계속되어 복조된 데이터를 다시 수득하게 된다. 한편, 단계 S4의 처리 중에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가 상대적으로 서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수득된 데이터는 소거된다. 바코드 판독기의 이동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복조 처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러한 검사를 위해서는 다른 관련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되는 방법의 유형에 대하여 어떠한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단계 S6의 직전에, 바코드 메뉴의 판독에 적합한 비임 패턴 B가 한 방향으로만 방출 및 주사된다. 비임 패턴이 버튼의 누름 해제 이후에 임의의 간격이 없이 즉시 비임 패턴 A로 전환되면, 비임 패턴 A에 의해 바코드 메뉴상의 바코드가 주사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비임 패턴 A가 다중 방향으로 복수개의 주사선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판독을 원하지 않는 바코드가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의해 픽업될 가능성이 있다.
이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는 비임 패턴의 전환 이전에 버튼의 누름 해제시 일정한 시간을 대기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문제를 방지하고 있다. 단계 S2에서의 복조 처리는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간의 상대적인 이동 관계와 무관하게 바코드를판독 및 복조한다. 바코드 판독기를 바코드 메뉴상을 통과시키는 동안에 비임 패턴이 전환되면, 부적절한 바코드가 검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미리 결정된 시간에 의해 비임 패턴의 전환을 지연시키는 것은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매우 유효할 수 있다.
단계 S6의 대기 기간중에 조작자는 이미 바코드 판독 동작을 종료하였는지를 검사한다. 이것을 고려하여, 비임 패턴의 전환을 위해 정해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은 바코드 판독 처리를 정지시킨다. 즉, 이 시간중에 바코드가 주사되더라도 그 판독된 데이터는 무효로 간주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조작자는 예상되지 않았던 바코드의 판독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판독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1에서 바코드 판독 동작이 개시되면, 계수 I는 0으로 설정한다. 이 계수 I는 바코드 판독 동작이 실행되는 횟수를 나타낸다.
단계 S2에서는 타이머의 동작이 개시된다. 이 타이머는 시간 간격 T1이 경과하면 오프된다. 단계 S3에서는 4개 이상의 복조된 데이터가 수득되었는 지와 상기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지를 판정한다. 이를 위해, 예컨대 도 17의 방법이 실행될 수도 있다.
서로 동일한 4개 이상의 복조 데이터가 수득된 경우에는 판독 동작이 성공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즉, 단계 S10에서 복조된 데이터가 전송된다. 만일, 서로 동일한 데이터의 수가 4개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S4에서 타이머가 시간 간격 T1이 타임 아웃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시간 간격 T1이 아직 경과되지 않았으면, 다시 단계 S3으로 복귀된다.
만일 단계 S4에서 시간 간격 T1이 이미 경과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5에서 서로 동일한 복조 데이터가 1개 이상(4개 이하)으로 수득할 수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시간 간격 T1 중에는 어떤 복조 데이터도 수득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 단계 S12에서는 제1 및 후속 바코드 판독 동작중에 서로 동일한 복조 데이터를 총 5개 이상 얻을 수 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즉, 적어도 5개 이상의 동일한 데이터를 얻는 경우), 판독 동작이 성공적이라고 판단되어, 단계 S13에서 복조 데이터가 전송된다.
만일 단계 S5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시간 간격 T1 중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복조 데이터를 수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는 단계 S5의 조건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보다 복조 데이터의 검출과 관련하여 보다 좋은 조건이 될 수 있다. 단계 S6에서는 최종 바코드 판독 동작 중에 얻어진 복조 데이터(즉, 최종 시간 간격 T1 중에 수득된 복조 데이터)가 그전의 바코드 판독 동작에서 수득된 것과 모두 동일한 것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단계 S1으로 복귀하여 처리 단계를 반복한다. 만일 얻어진 복조 데이터가 사전에 얻어진 복조 데이터와 동일한 경우에는 단계 S7에서 계수 I에 1을 가산한다.
단계 S8에서는 계수 I가 3에 도달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계수 I가 3에 도달된 경우에는 모든 판독 동작이 성공적이라고 판단되어, 단계 S12에서 복조된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서로 동일한 복조 데이터가 적어도 3회 연속해서 수득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동일한 바코드가 반복적으로 복조될 것이다. 이 경우, 전체 판독 동작은 각 루프(각 바코드 판독 동작) 중에 수득되는 복조 데이터의 수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이라고 판단된다.
만일 단계 S8에서 계수 I가 3 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S2로 복귀되어, 후속 단계를 반복한다.
도 21의 방법에 있어서, 얻어진 복조 데이터의 수에 따라서 판독 동작이 성공적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건은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의 변화는 판독 동작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단계 S5에서 규정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어진 시간 간격 T1 동안 복조 데이터를 수득할 수 없기 때문에 복조 데이터는 제한된 수준의 신뢰성만을 제공한다. 단계 S5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각 시간 간격 T1 동안 적어도 1개 이상의 복조 데이터를 수득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 복조 데이터는 동일한 바코드로부터 수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점을 고려하여, 전자의 경우와 후자의 경우, 판독 동작이 성공적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조건은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에 도시된 과정은 이들 각각의 2 가지 경우에 대처해서 발명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판독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바코드 판독 동작이 개시된 이후에 단계 S1에서는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바코드가 복조되었으면, 단계 S2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를 반복하기 위하여 복귀한다.
단계 S2에서는 복조된 바코드를 형성하는 바와 스페이스의 폭의 합(Y0)이 구해진다. 여기서, 그 합(Y0)은 계수로서 표시된다.
단계 S3에서는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았다면, 단계 S8로 진행되어 바코드 라벨이 주사 범위 내에서 벗어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바코드 라벨이 주사 범위 내에서 벗어난 경우, 복조된 모든 데이터는 단계 S1로 복귀되기 전에 단계 S9에서 소거된다.
만일, 다른 바코드가 단계 S3에서 복조되었으면, 단계 S4에서는 단계 S3의 복조 데이터와 단계 S1의 복조 데이터가 동일 주사(동일한 주사선)에 의해 수득된 것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양쪽의 복조 데이터가 상이한 주사선으로 수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3으로 처리가 복귀된다.
단계 S4에서 양쪽의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주사선에 의해 수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S5에서는 단계 S1에서 수득된 복조 데이터와 단계 S3에서 수득된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것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동일한 복조 데이터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경우, 단계 S9로 처리가 진행된다. 2개의 복조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에는 단계 S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6에서는 바와 스페이스의 폭의 합(Y1)이 단계 S3에서 복조된 데이터와 관하여 얻어진다. 단계 S7에서는 Y0과 Y1 사이의 비교가 실행된다.
바코드 판독기에 의해 검출되는 바코드의 폭은 바코드 판독기와 검출된 바코드간의 거리에 의존한다. 즉, 그 거리가 보다 짧아지면, 바코드의 검출된 폭은 보다 넓어진다. 또한, 그 거리가 멀어지면, 바코드의 검출된 폭은 보다 짧아진다.
이 사실을 이용하면, 상이한 타이밍으로 수득되는 2개의 복조된 바코드 사이의 바코드 폭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검출될 수 있다. 즉, 상대적인 이동은 거리의 차에 기초해서 검출될 수 있다.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간의 거리와 관련하여 어떠한 변화도 존재하지 않으면, 수득되는 바코드의 폭도 실질적인 차이가 없을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는 이 점을 이용한 것이다.
단계 S7에서는, 0.9Y1≤Y0≤1.1Y1의 조건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가 상대적으로는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여, 판독 동작을 성공적이라고 간주된다. 만일 그 합(Y0)의 값이 상기한 조건 범위 내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바코드 판독기가 이동하여 바코드로부터의 거리가 증가 또는 축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합 Y0과 Y1의 상술한 조건에 대해서는 10% 씩의 오차를 갖고 있다. 선택적으로, 오차를 전혀 두지 않고서 Y0=Y1의 조건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바코드 판독기를 가진 조작자가 바코드 판독기를 완전히 정지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단계 S7에서는 어느 정도의 오차를 두는 것으로 판정된다. 오차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코드 메뉴로부터 바코드가 전혀 판독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단계 S7에서는 허용되는 오차 범위를 추가로 넓힐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수득된 데이터를 무효 데이터로 처리될 수 있는 범위 정도로 바코드 판독 데이터가 이동되어 있는 경우에도 판독 동작이 성공적으로 간주될 수 있다.
허용 오차 범위는 장치의 동작과 관련한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3은 도 22의 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바코드의 판독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2에서는 복조된 데이터의 타당성 결정이 단계 S1에서 수득된 바코드와 단계 S3에서 수득된 바코드와의 바코드 폭의 비교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반면에, 도 23의 실시예는 3개 이상의 바코드와 관련된 바코드 폭의 비교에 기초하여 타당성이 판정된다.
도 23의 단계 S1에서 판독 동작이 개시된 이후에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바코드가 복조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2로 처리가 진행된다. 만일 복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1로 복귀되어 다시 반복 처리된다.
단계 S2에서는 계수 I가 0으로 설정된다. 단계 S3에서 복조된 바코드를 형성하는 바와 스페이스의 폭의 합(Y0)을 구한다.
단계 S3의 처리 이후에 단계 S4에서는 다른 바코드가 복조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바코드가 복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11로 처리가 진행하여, 바코드 라벨이 주사 범위를 벗어나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바코드가 주사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재차 단계 S4로 복귀되어 처리가 진행된다.
만일, 바코드 라벨이 주사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바코드 판독기가 바코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판독 동작을 무효로 하기 위하여 그때까지 수득된 복조 데이터를 모두 소거하고, 단계 S1로 그 처리 과정을 복귀시킨다.
단계 S4에서 다른 바코드가 복조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5에서는 단계 S4의 복조된 데이터와 사전에 복조된 데이터(단계 S5가 처음 실행되었을 때는 단계 S1의 복조된 데이터)가 동일한 주사선에 의해 얻어진 것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상이한 주사선(즉, 상이한 방향의 주사선)에 의해 구해진 경우에는, 단계 S4에서 수득된 복조된 데이터를 폐기한 이후에 단계 S4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단계 S5가 2가지 경우의 복조된 데이터가 동일한 주사선에 의해 수득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6에서는 단계 S4에서 수득된 복조 데이터와 사전에 복조된 데이터가 동일한 데이터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동일한 주사선에 의해 얻어진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2개의 상이한 바코드가 복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경우, 단계 S12로 처리가 진행된다.
2개의 복조된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에는 단계 S7로 처리가 진행되어 단계 S4에서 복조된 데이터와 관련하여 바와 스페이스의 폭의 합(YI+1)이 얻어진다.
단계 S8에서는 이미 복조된 데이터의 합(YI)(예컨대, 단계 S3에서 수득된 합(Y0)과, 합(YI+1)의 관계가 비교된다. 상세하게는 0.9YI+1≤YI≤YI+1을 만족하는지의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는 10%의 오차 레벨을 허용한다.
단계 S8에서는 YI와 YI+1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가 상대적으로 서로 이동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일, YI와 YI+1과의 관계가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코드 판독기가 바코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고 단계 S12로 그 처리가 진행된다.
만일, YI와 YI+1과의 관계가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정된다. 이 경우에, 단계 S9에서는 계수 I에 1을 가산하고, 단계 S10에서는 계수 I가 5에 도달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만일, 계수 I가 5에 도달된 경우에는 단계 S4 내지 단계 S10까지의 공정이 연속해서 5회 반복된 것을 표시한다.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바코드가 5회 연속해서 복조된 경우에는 바코드 판독기와 바코드가 상대적으로 정지된 것으로 확인되고 판독 동작이 성공적으로 처리된다. 이 경우에, 동일한 폭을 갖는 5개의 바코드를 수득하게 된다. 도 22의 경우보다 더욱 많은 데이터가 수득되기 때문에 바코드 판독기의 이동 상태의 관련하여 더욱 신뢰성있는 판단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만일, 단계 S10에서 계수가 5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에는 재차 단계 S4와 그 이후의 단계의 처리를 반복하여 진행한다.
단계 S8의 판단에 이용하는 합(YI)은 Y0 내지 YI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즉, 그 합(YI)은, 복조 데이터가 단계 S4의 복조된 데이터보다 미리 얻어지는 것이라면 어떤 복조 데이터의 합도 가능하다. 또한, 그 동일한 합은 Y0 내지 YI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단계 S8에서 판단을 행하는데 반복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코드 판독기를 손에 들고 사용할 때에도, 판독 범위가 긴 상태에서도 판독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코드 판독기가 고정 장착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손에 쥐고 사용되는 것 모두가 가능하고 양 경우에 있어서 판독에 따르는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Claims (13)

  1. 바코드(7)를 광(L2)으로 주사함으로써 수득되는 바코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코드(7)를 판독하는 방법에 있어,
    a) 바코드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와;
    b) 상기 바코드 데이터의 앞에 위치한 선행부 및 뒤에 위치한 후속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미리 정해진 수의 바 데이터에 대해 바 데이터 폭의 합을 수득하는 단계와;
    c) 다른 합을 얻기 위해 상기 단계 a) 및 b)를 반복하는 단계와;
    d) 상기 합과 상기 다른 합을 비교하는 단계와;
    e) 상기 비교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킬 때, 상기 바코드 데이터를 유효 데이터로 수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과 상기 다른 합을 포함하는 복수의 합을 수득하기 위해 상기 단계 a) 및 b)를 1회 이상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합 중의 한 합과 상기 복수의 합 중 상기 한 합보다 미리 수득된 임의의 다른 한 합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는 횟수가 미리 정해진 수보다 클 때 상기 바코드 데이터를 유효 데이터로 수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수득된 상기 바코드 데이터가 상기 단계 c)에서 수득된 상기 바코드 데이터와 동일한 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 수득된 상기 바코드 데이터가 상기 단계 c)에서 수득된 상기 바코드 데이터와 동일할 때 상기 단계 d)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
  4. 바코드(7)를 광(L2)으로 주사함으로써 수득되는 바코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코드(7)를 판독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바코드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와;
    b) 상기 바코드 데이터의 앞에 위치한 선행부 및 뒤에 위치한 후속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바 데이터가 얼마나 많은 지에 대한 수를 수득하는 단계와;
    c) 상기 수가 미리 정해진 수보다 작을 때 상기 바코드 데이터를 유효 데이터로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
  5. 바코드(7)를 광(L2)으로 주사함으로써 수득되는 바코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코드(7)를 판독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바코드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와;
    b) 상기 바코드 데이터의 앞에 위치한 선행부 및 뒤에 위치한 후속부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바 데이터가 얼마나 많은 지에 대한 수를 수득하는 단계와;
    c) 다른 수를 얻기 위해 상기 단계 a) 및 b)를 반복하는 단계와;
    d) 상기 수와 상기 다른 수가 각각의 미리 정해진 수보다 작을 때, 상기 바코드 데이터를 유효 데이터로 수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
  6. 바코드(7)를 광(L2)으로 주사함으로써 수득되는 바코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코드(7)를 판독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동안 수득된 서로 동일한 바코드 데이터의 수가 얼마나 많은 지에 대한 수를 구하는 단계와;
    b) 상기 수가 미리 정해진 수와 적어도 동일한 크기일 때 상기 바코드 데이터를 유효 데이터로 수용하는 단계와;
    c) 상기 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수보다 작을 때 상기 수를 포함하는 수들을 얻기 위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과 등가인 각각의 상이한 시간 간격에 대하여 상기 단계 a)를 반복하는 단계와;
    d) 상기 수들과 상기 상이한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바코드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수들의 합이 미리 정해진 수를 초과할때, 상기 바코드 데이터를 유효 데이터로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각각의 수가 미리 정해진 수를 초과할 때, 상기 바코드 데이터를 유효 데이터로 수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판독 방법.
  9. 바코드(7)를 검출함으로써 제1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데이터에 관한 구조적인 특징(structural feature)에서 제1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이한 제2 데이터를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데이터에 관한 구조적인 특징에서 제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가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사이의 관계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나타낼 때, 상기 바코드(7)의 판독을 유효로 수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7) 판독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7)가 검출 범위를 벗어났는 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바코드(7)가 상기 제1 데이터가 수득된 후에 상기 검출 범위를 벗어날 때, 상기 제1 데이터를 무효 데이터로서 거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7) 판독 방법.
  11. 제1 패턴의 주사빔과 제2 패턴의 주사빔을 방출하는 주사 유닛(scan unit)과;
    바코드(7)를 판독하기 위해 제1 모드에서 제1 패턴을 사용하고 제2 모드에서 제2 패턴을 사용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7) 판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은 복수의 유효 주사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은 하나의 유효 주사빔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7) 판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제2 패턴의 사용으로부터 상기 제1 패턴으로 사용으로의 전환을 위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가 조작될 때,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동안 바를 판독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7) 판독 장치.
KR1019970069901A 1997-01-31 1997-12-17 바코드판독방법 KR100319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19286 1997-01-31
JP09019286A JP3077616B2 (ja) 1997-01-31 1997-01-31 バーコード読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175A KR19980070175A (ko) 1998-10-26
KR100319414B1 true KR100319414B1 (ko) 2002-02-19

Family

ID=1199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901A KR100319414B1 (ko) 1997-01-31 1997-12-17 바코드판독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5) US6142377A (ko)
EP (2) EP0856808A3 (ko)
JP (1) JP3077616B2 (ko)
KR (1) KR100319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351B1 (en) * 1997-12-31 2002-05-28 Nc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scanner operation employing bar code and bar code fragment time and position of data collection
JP3514982B2 (ja) * 1998-09-28 2004-04-05 富士通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装置及びバーコード読取方法
US6164543A (en) * 1999-04-13 2000-12-26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deciphering bar codes
JP2000306036A (ja) * 1999-04-19 2000-11-02 Keyence Corp 光学読み取り装置、及び光学読み取り方法、並びに光学読み取りシステム
US7268924B2 (en) * 2001-01-22 2007-09-11 Hand Held Products, Inc. Optical reader having reduced parameter determination delay
US6942151B2 (en) * 2001-05-15 2005-09-13 Welch Allyn Data Collection, Inc. Optical reader having decoding and image capturing functionality
US7111787B2 (en) 2001-05-15 2006-09-26 Hand Held Products, Inc. Multimode image capturing and decoding optical reader
US6834807B2 (en) 2001-07-13 2004-12-28 Hand Held Products, Inc. Optical reader having a color imager
US6796503B1 (en) * 2003-12-04 2004-09-28 Nc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adjustment of bar code reader parameters
US7617983B1 (en) * 2004-12-23 2009-11-17 Nc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adjustment of scanner parameters
FI124035B (fi) * 2008-07-30 2014-02-14 Upc Konsultointi Oy Koodien keräys matkaviestinlaitteessa
US7866558B2 (en) * 2009-04-07 2011-01-11 Metrologic Instruments, Inc. Laser scanner
US8657200B2 (en) 2011-06-20 2014-02-25 Metrologic Instruments, Inc. Indicia reading terminal with color frame processing
JP6071666B2 (ja) * 2013-03-14 2017-02-01 アズビル株式会社 調節弁開度制御システム
JP6084488B2 (ja) * 2013-03-14 2017-02-22 アズビル株式会社 調節弁開度制御システム
CN105761486A (zh) * 2016-03-07 2016-07-13 江苏大学 一种基于智能手机和条形码来获取客流od调查交通量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7793A (en) * 1974-01-11 1975-06-03 Computer Identics Corp Interstitial contrasting coded mark label reading system
EP0333779A4 (en) * 1986-12-12 1990-02-06 Metrologic Instr Inc STRIP CODE READING DEVICE WITH DIGITAL CONVERTER AND FOLLOW-UP CONTROL UNIT.
US4871904A (en) * 1987-12-28 1989-10-03 Symbol Technologies, Inc. Multidirectional optical scanner
FR2631476B1 (fr) * 1988-05-10 1992-01-03 Bertin & Cie Procede et dispositif de lecture d'un code barres sur un support sensiblement immobile
US4855581A (en) * 1988-06-17 1989-08-08 Microscan Systems Incorporated Decoding of barcodes by preprocessing scan data
US5036183A (en) * 1988-08-25 1991-07-30 Alps Electric Co., Ltd. Code reading device
US5600119A (en) * 1988-10-21 1997-02-04 Symbol Technologies, Inc. Dual line laser scanning system and scanning method for reading multidimensional bar codes
JP2886545B2 (ja) * 1989-03-03 1999-04-26 富士通株式会社 マージン認識方法及びバーコード読取り装置
WO1990014638A1 (en) 1989-05-17 1990-11-29 Fujitsu Limited Rea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bar code
US5200599A (en) * 1989-06-16 1993-04-06 Symbol Technologies, Inc Symbol readers with changeable scan direction
JPH0464187A (ja) * 1990-07-02 1992-02-28 Sumitomo Electric Ind Ltd バーコード読取装置
US5340971A (en) * 1990-09-17 1994-08-23 Metrologic Instruments, Inc. Automatic bar code reading system having selectable long range and short range modes of operation
EP0502440B1 (en) * 1991-03-04 2003-12-10 Fujitsu Limited Bar-cod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CA2056272C (en) * 1991-06-14 2001-10-16 Patrick Salatto, Jr. Combined range laser scanner
US5278397A (en) * 1991-07-25 1994-01-11 Symbol Technologies, Inc. Multi-resolution bar code reader
JP3154809B2 (ja) * 1992-05-26 2001-04-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バーコードリーダ装置
US5272353A (en) * 1992-06-19 1993-12-21 Symbol Technologies, Inc. Retro-reflective scanner with return path free of collection optics
JP2740418B2 (ja) * 1992-07-14 1998-04-15 富士通株式会社 バーコード読取復調方法
US5329105A (en) * 1992-08-10 1994-07-12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width of elements of bar code symbols
US5343028A (en) * 1992-08-10 1994-08-30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decoding bar code symbols using two-dimensional digital pixel images
US5404003A (en) * 1993-02-01 1995-04-04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bar code symbols using byte-based searching
GB9325439D0 (en) * 1993-12-13 1994-02-16 Ncr Int Inc Barcode reading method and apparatus
US5600121A (en) * 1995-03-20 1997-02-04 Symbol Technologies, Inc. Optical reader with independent triggering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5744791A (en) * 1996-07-24 1998-04-28 Symbol Technologies, Inc. Solar energy-powered optical reader
NL9500597A (nl) * 1995-03-28 1996-11-01 Scantech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decoderen van barcodes.
US5777313A (en) * 1995-03-29 1998-07-07 Sanyo Electric Co., Ltd. Optical code reading apparatus
JPH0991368A (ja) * 1995-07-20 1997-04-04 Fujitsu Ltd 光学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7071A3 (en) 2007-07-11
US6145744A (en) 2000-11-14
EP1727071A2 (en) 2006-11-29
EP0856808A2 (en) 1998-08-05
US6032865A (en) 2000-03-07
JPH10222600A (ja) 1998-08-21
KR19980070175A (ko) 1998-10-26
JP3077616B2 (ja) 2000-08-14
US6619548B1 (en) 2003-09-16
US6142377A (en) 2000-11-07
US6189796B1 (en) 2001-02-20
EP0856808A3 (en) 2000-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414B1 (ko) 바코드판독방법
USRE37635E1 (en) System for enabling decoding of bar code and other symbols with a digital microcomputer connected via the input/output port thereof to the scanner
EP0390162B1 (en) An apparatus for reading a bar code
CN107092849B (zh) 用于使用多个数据源来读取光学标记的方法和设备
EP0323848B1 (en) Optical image reading device
US6321987B1 (en) Bar code reading apparatus for reading plural code systems
EP0492455B1 (en) An information reading device
US6247646B1 (en) Bar code reader, and bar code reading method
EP0896291B1 (en) Bar code reader
JP3514982B2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及びバーコード読取方法
EP0576220B1 (en) Bar-code reader device
US5326961A (en) Bar code reader with comparison of bar widths and signal transitions
US6488207B1 (en) Bar code reader, scaling device and scaling method
US58117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specular light to image low contrast symbols
US6283370B1 (en) Bar code reader, bar code read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000067833A (ko) 광학 판독기, 광학 판독 방법 및 광학 판독 시스템
US20020074404A1 (en) Portable bar code simulator device and method
JP3448404B2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及びバーコード読取方法
JP3560477B2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及びバーコード読取方法
US6478224B1 (en) Symbology-independent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otential bar code data
JP2953143B2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バーコード読取方法
Carvalho et al. Laser Scanner For Automatic Storage
JPH0765104A (ja) バーコードリーダ
JP2779898B2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S63266585A (ja) 読み取り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