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743B1 - 콘크리트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743B1
KR100318743B1 KR1019990000403A KR19990000403A KR100318743B1 KR 100318743 B1 KR100318743 B1 KR 100318743B1 KR 1019990000403 A KR1019990000403 A KR 1019990000403A KR 19990000403 A KR19990000403 A KR 19990000403A KR 100318743 B1 KR100318743 B1 KR 100318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ipe
blocking
blocking member
flow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737A (ko
Inventor
염은경
Original Assignee
고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세현 filed Critical 고세현
Publication of KR1999003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743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원하는 높이까지 공급한 후에 이를 타설하는 고층 건물의 건설 현장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후 배관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하므로써 건설 폐기물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콘크리트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차단장치는,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콘크리트 입구부와 콘크리트 출구부에 구비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 플랜지부와; 상기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개방 및 차단하도록 슬라이드 작동되는 차단 부재와; 상기 차단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차단 부재 구동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후 배관에 남게 되는 콘크리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되므로, 건설 폐기물이 감소되며 콘크리트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차단장치{APPARATUS FOR INTERCEPTING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원하는 높이까지 공급한 후에 이를 타설하는 고층 건물의 건설 현장에 있어서, 콘크리트 타설 후 배관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하므로써 건설 폐기물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콘크리트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텔, 아파트 등의 건물을 건설하는 건설 현장에서 건설하고자 하는 건물이 9층 이하인 경우에는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 차량으로부터 펌프카의 호퍼에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펌프카에 구비된 부움(boom)을 통해 콘크리트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건설하고자 하는 건물이 9층 이상인 경우에는 부움의 길이 등의 제한 요인으로 인해 펌프카를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호퍼(110)와, 호퍼(110)내의 콘크리트를 압송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펌프를 구비하는 포터블 장비(100)을 이용해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바, 이 때에는 소정 길이(약 3m)의 배관(200)을 포터블 장비(100)의 호퍼(110)로부터 원하는 높이까지 연결 클립으로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필요한 높이까지 공급하므로써 타설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타설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배관(200)에 잔류하는 콘크리트를 제거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구덩이를 파고, 이 구덩이의 상측 부분에서 배관의 연결을 해제하여 건물 벽에 설치된 배관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구덩이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덩이로 유입된 콘크리트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고체 상태로 굳게 되며, 콘크리트가 굳은 상태가 되면 이후 실시할 조경 공사 등을 위해 굳어 있는 콘크리트를 파낸 후 이를 건설 폐기물 매립지로 운반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후 배관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건설 폐기물로 매립하여야 하였는바, 건물 층수가 높을수록 폐기 처분하는 콘크리트의 양이 증가되어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극히 바람직스럽지 못하였으며, 배관내의 콘크리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구덩이를 파는 작업과 구덩이에 묻혀 있는 고체 상태의 콘크리트를 다시 파내는 작업 등이 실시되어야 하므로 불필요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구덩이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를 다시 파내는 작업은 콘크리트가 굳어있는 상태이므로 매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배관에 잔류하는 콘크리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하므로써 건설 폐기물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콘크리트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콘크리트 차단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고층 건물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3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2의 차단장치에 적용된 커버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차단장치에 적용된 커버 및 설치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차단장치에 적용된 설치 부재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콘크리트 유동 통로
20 : 베이스 프레임 30,30' : 배관 플랜지
40,40' : 게이트 41,41' : 나사봉
42,42' : 표시봉 51,51' : 워엄 기어
52,52' : 워엄 53 : 핸들
60 : 커버 63 : 운반 손잡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차단장치는,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콘크리트 입구부와 콘크리트 출구부에 구비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 플랜지부와; 상기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개방 및 차단하도록 슬라이드 작동되는 차단 부재와; 상기 차단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차단 부재 구동부;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사각형상의 내주면을 구비하는 본체(10)의 하측에는 본체(10)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20)이 구비되어 있고, 본체(10)의 양단부인 콘크리트 입구부와 콘크리트 출구부에는 배관이 연결되는 원형 단면의 배관 플랜지(30,30')가 각각 볼트 결합되어있으며, 본체(10)의 양측부에는 콘크리트 유동 통로(11)를 개방/차단하기 위한 두 개의 게이트(40,40')가 게이트 박스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40,4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호간에 소정치만큼 중첩이 가능하도록 게이트(40 또는 40')의 두께만큼 서로 이격 설치되어 있는바, 이와 같이 게이트(40,40')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면 게이트(40,40')를 양쪽에서 동시에 이송할 수 있으므로 빠른 시간내에 게이트(40,40')의 이송을 완료할 수 있음과 아울러, 게이트(40,40')의 선단부와 콘크리트 유동 통로(11) 사이에 자갈 등이 끼여서 상기 통로가 불확실하게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각각의 게이트(40,40')에는 워엄 기어(51,51')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있는 나사봉(41,41')의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나사봉(41,41')의 다른 단부에는 게이트(40,40')의 이송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봉(42,42')이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워엄 기어(51,51')에 치합되는 워엄(52,52')의 단부에는 핸들(53)이 결합되는 사각 단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워엄(52,52')과 워엄 기어(51,51')에 두줄 나사를 형성하여 감속비를 2:1로 하면 게이트(40,40')의 이송을 빠른 시간내에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게이트(40,40')의 선단부는 콘크리트가 게이트(40,40')와 본체(10)의 내면 사이에서 굳어져 게이트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게이트가 최대로 후퇴된 경우에 콘크리트 유동 통로(11)의 내면과 일치하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43,43'는 표시봉과 워엄의 결합 정도를 제한하도록 표시봉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이고, 도면부호 54는 게이트의 후퇴 범위를 제한하도록 게이트 박스내에 구비되는 스토퍼부이며, 도면부호 55는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통과하는 콘크리트가 기어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씨일 부재이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워엄 및 워엄 기어는 베어링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고, 게이트가 설치되는 게이트 박스에는 필요시에 윤활유를 보충할 수 있도록 윤활유 주입공을 형성하여도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적용된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커버(60)는 본체(10)의 하측에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20)에 볼트 결합되는바, 커버(60)에는 표시봉(42,42')이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평홈(61)과, 커버(60)를 본체(10)의 상측으로부터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워엄(52,52') 및 본체(10)의 일부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수직홈(62)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60)의 양 측면에는 운반 손잡이(6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단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도 4 및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콘크리트 차단장치를 평평한 지면에 안착시킨 다음, 차단장치의 일측 배관 플랜지(30 또는 30')에는 건물 벽을 따라 소정 높이까지 설치된 배관(200)을 연결 클립으로 연결하고, 반대측 배관 플랜지(30' 또는 30)에는 포터블 장비(100)의 호퍼(110)에 연결되는 배관을 연결 클립으로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53)을 조작하여 각각의 게이트(40,40')를 최대로 후퇴시킨 후 포터블 장비(100)의 도시하지 않은 펌프를 작동시켜 레미콘 차량의 드럼으로부터 호퍼(110)로 이송된 콘크리트를 원하는 높이까지 압송시키므로써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완료되면, 핸들(53)을 조작하여 각각의 게이트(40,40')를 최대로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콘크리트 유동 통로(11)는 상호간에 소정치만큼 중첩된 게이트(40,40')에 의해 차단되므로, 건물 벽에 설치된 배관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가 역류되는 것이 일시적으로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포터블 장비(100)의 호퍼(110)측에 인접한 배관 플랜지에 연결되어 있는 배관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 배관 플랜지에 자바라 또는 배관을 연결하여 이의 단부를 레미콘 차량의 드럼에 연결한 후, 배관(200)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레미콘 차량의 드럼으로 역류되도록 게이트(40,40')를 후퇴시켜 콘크리트 유동 통로(11)를 개방한다.
그리고, 연결이 해제된 포터블 장비(100)의 호퍼(110)측 배관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는 포터블 장치(100)의 펌프를 이용하여 레미콘 차량의 드럼에 압송한다.
이에 따라, 일부 잔류 콘크리트(예를 들면, 지면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배관내의 잔류 콘크리트 등)를 제외한 모든 잔류 콘크리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차단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차단장치를 지면에 설치하는 대신에 건물의 소정 높이에 설치하므로써 배관내의 잔류 콘크리트를 완벽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사각형상의 내주면을 구비하는 본체(10a)의 양단부인 콘크리트 입구부와 콘크리트 출구부에는 배관이 연결되는 원형 단면의 배관 플랜지(30a,30'a)가 각각 볼트 결합되어 있으며, 본체(10a)의 양측부에는 상호간에 소정치만큼 중첩되어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개방/차단하는 두 개의 게이트 및 게이트를 슬라이드 작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핸들이 조립되는 워엄, 워엄이 치합되는 워엄 기어, 워엄 기어에 관통 설치되는 나사봉(41a,41'a) 및 이들 부재가 설치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사봉(41a,41'a)의 다른 단부에는 게이트의 이송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봉(42a,42'a)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워엄 및 표시봉(42a,42'a)은 배관 플랜지(30a,30'a)가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본체(10a)를 세운 상태에서 지면과 수평한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차단장치에 적용된 커버 및 설치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커버(60a)는 본체(10a) 좌우측의 게이트 구동부를 각각 보호할 수 있도록 두 개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60a)에는 표시봉(42a,42'a)이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평홈(61a)과, 워엄의 단부가 끼워지는 수직홈(62a)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60a)의 양 측면에는 운반 손잡이(63a)가 설치되어 있으며, 커버(60a)의 상면에는 설치 부재(70a)가 연결되는 연결 고리(64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 고리를 커버에 설치하는 대신에 게이트 박스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차단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상기 설치 부재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바닥면에 걸려지는 후크부(71'a)와, 나사부(71'a)를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제1 설치봉(71a)과, 커버(60a)의 연결 고리(64a)에 걸려지는 후크부(72'a)와, 제1 설치봉(71a)의 나사부(71'a)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되는 나사부(72'a)를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제2 설치봉(72a)과, 제1 및 제2 설치봉(71a,72a)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설치봉의 나사부(71'a,72'a)에 결합되는 연결봉(73a)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차단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다.
차단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의 건물 층수, 예를 들어 3층의 바닥면에 브래킷을 설치하여 이 브래킷에는 제1 설치봉(71a)의 후크부(71'a)를 걸어서 고정하며, 제1 설치봉(71a)에 연결된 제2 설치봉(72a)의 후크부(72'a)에는 본체(10a)에 결합된 커버(60a)의 연결 고리(64a)를 걸어 콘크리트 차단장치를 설치한다.
이후, 연결봉(73a)을 어느 일측으로 회전시켜 차단장치의 설치 높이를 조절한 후, 차단장치의 양측 배관 플랜지(30a,30'a)에 배관을 연결하고, 하측의 배관을 포터블 장비(100)의 호퍼(110)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53a)을 조작하여 각각의 게이트를 최대로 후퇴시킨 후 포터블 장비(100)의 도시하지 않은 펌프를 작동시켜 레미콘 차량의 드럼으로부터 호퍼(110)로 이송된 콘크리트를 원하는 높이까지 압송시키므로써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실시한다.
이후,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완료되면, 핸들(53a)을 조작하여 각각의 게이트를 최대로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본체(10a)의 콘크리트 유동 통로는 상호간에 소정치만큼 중첩된 게이트에 의해 차단되므로, 건물 벽에 설치된 배관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가 역류되는 것이 일시적으로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하측의 배관 플랜지(30'a)에 연결된 배관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 배관 플랜지에 자바라 또는 배관을 연결하여 이의 단부를 레미콘 차량의 드럼에 연결한 후, 배관(200)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레미콘 차량의 드럼으로 역류되도록 게이트를 후퇴시켜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개방한다.
그리고, 연결이 해제된 포터블 장비(100)의 호퍼(110)측 배관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는 포터블 장치(100)의 펌프를 이용하여 레미콘 차량의 드럼에 압송한다.
이와 같이 하면, 콘크리트 타설 작업 후 건물 벽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내에 잔류하는 콘크리트를 완벽하게 회수할 수 있고, 레미콘 차량으로 회수된 잔류 콘크리트는 모래와 자갈을 분리하는 공정을 거친 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게이트를 수동 작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모터 또는 실린더를 이용하여 게이트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고, 게이트 및 게이트 구동부를 한 개씩만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는 상기 게이트가 최대로 후퇴된 경우에 콘크리트 유동 통로의 내면과 일치하도록 하는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기만 하면 되므로, 게이트의 형상은 콘크리트 유동 통로의 형상에 따라 삼각형 및 팔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차단장치의 설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정신과 범주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차단장치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후 배관내에 남게 되는 콘크리트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되므로 건설 폐기물을 감소시키는 한편 콘크리트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를 폐기 처분하기 위해 구덩이를 파는 작업 및 구덩이에 묻혀 있는 굳은 콘크리트를 파내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불필요한 작업 시간을 없앨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콘크리트 입구부와 콘크리트 출구부에 구비되어 배관이 연결되는 배관 플랜지부와;
    상기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개방 및 차단하도록 슬라이드 작동되는 차단 부재와;
    상기 차단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차단 부재 구동부;
    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 구동부는 상기 본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워엄과, 상기 워엄에 치합되는 워엄 기어와, 상기 워엄 기어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전진 및 후진되는 나사봉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봉의 일단부에는 상기 차단 부재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의 최대 후퇴량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콘크리트 유동 통로를 통과하는 콘크리트가 상기 차단 부재 구동부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씨일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유동 통로가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나사봉이 최대로 후퇴한 경우에 상기 유동 통로의 내면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워엄의 일단부에는 상기 워엄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워엄과 워엄 기어의 감속비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의 다른 단부에는 상기 차단 부재의 이송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봉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봉에는 상기 표시봉과 상기 나사봉의 결합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너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를 바닥면에 안착시키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를 건물의 소정 높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부재는, 소정 높이의 층의 바닥면에 걸려지는 후크부와, 나사부를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제1 설치봉과; 상기 차단장치에 걸려지는 후크부와, 상기 제1 설치봉의 나사부의 진행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되는 나사부를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는 제2 설치봉과; 상기 제1 및 제2 설치봉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설치봉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 구동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운반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가 한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가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가 중첩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차단장치.
KR1019990000403A 1998-12-09 1999-01-11 콘크리트 차단장치 KR100318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019 1998-12-09
KR19980054019 1998-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737A KR19990037737A (ko) 1999-05-25
KR100318743B1 true KR100318743B1 (ko) 2001-12-28

Family

ID=5478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403A KR100318743B1 (ko) 1998-12-09 1999-01-11 콘크리트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7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5348B (zh) * 2019-01-10 2024-01-30 中交四航局江门航通船业有限公司 一种伸缩混凝土泵管集成
CN110440014A (zh) * 2019-08-08 2019-11-12 启东市鑫宇冶金设备有限公司 一种盲板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737A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644B1 (en) Pipe rehabilitation test mandrel
CA12093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buried pipe
CN104846810B (zh) 自循环后注浆钻孔灌注桩施工方法
CN110306449A (zh) 一种新箱涵与现有道路箱涵的连接方法
KR100318743B1 (ko) 콘크리트 차단장치
US5582477A (en) Finned container bases
CN208857972U (zh) 预埋件
DE202019001267U1 (de) Anschlussgehäusevorrichtung
JP2000096989A (ja) トンネルの2次覆工に於けるエアー抜き装置
JP3188150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ホッパー
CN105926635B (zh) 一种竖向方形预制构件施工设备、组合体和施工方法
EP3660991B1 (de) Anschlussgehäusevorrichtung
EP0902129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en Rohreinbau
JP2000028034A (ja) 高水圧の揚水管閉塞方法
DE10124069C1 (de) Grabenverbau für Rohr- und Medienleitungen
GB2167156A (en) Replacing buried pipe
CN104960459A (zh) 一种用于排水管网污泥处理的泥水分离机器人
JPH09209361A (ja) ピット構造物内での杭打ち方法
KR100399216B1 (ko)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KR20200011683A (ko) 맨홀 보수용 도로 컷팅장치
CN208415292U (zh) 针对充电桩的新型基础结构
AT391917B (de) Verfahren zur instandsetzung von strassenkanaelen
DE3237820A1 (de) Verfahren zur verlegung von rohren unter der erde
KR200306393Y1 (ko) 자원재생형 지중매설관
DE102004012719B3 (de) Tankstel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