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687B1 -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687B1
KR100317687B1 KR1019990004844A KR19990004844A KR100317687B1 KR 100317687 B1 KR100317687 B1 KR 100317687B1 KR 1019990004844 A KR1019990004844 A KR 1019990004844A KR 19990004844 A KR19990004844 A KR 19990004844A KR 100317687 B1 KR100317687 B1 KR 100317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electron gun
punching
content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423A (ko
Inventor
유끼노리오
기따요시히사
Original Assignee
사카모토 타카시
닛코킨조쿠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카모토 타카시, 닛코킨조쿠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카모토 타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7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합금은 중량 % 로, 30 내지 55 % 의 Ni, 0.05 내지 2.00 % 의 Mn, 0.001 내지 0.050 % 의 S 로 이루어지고, 나머지가 Fe 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은 실질적으로 용해, 주조, 열간 가공, 냉간 압연 및 어닐링으로 이루어진다. 성분 A 의 함량이 [%A] 로 정의될 경우 Fe-Ni 합금은 0.0005 ≤[%Mn][%S] ≤0.0100 을 만족한다. 열간 가공은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온도 T 에서 수행된다.

Description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제조 방법 {PROCESS FOR PRODUCING Fe-Ni ALLOYS USED FOR ELECTRON GUN PARTS}
본 발명은, 전자총 부품용 전극과 같은 전자총 부품용 재료로서 적합하면서도 펀칭 특성이 향상된 Fe-Ni 합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쉐도우 마스크형 칼라 수상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원색을 생성시키는 형광막 (2) 을 갖는 후면 상에 패널 (1) 을 코팅한다. 전자빔 (3) 을 방출하는 전자총 (4) 을 넥 (neck) 에 하우징한다. 주사시, 전자빔 (3) 을 편향 요크 (5) 로 편향시킨다. 참조 번호 6 은 쉐도우 마스크를 지시하고, 참조 번호 7 은 자기 시일드 (magnetic shield) 를 지시한다.
도 2a 및 도 2b 는 각각 전자총 (4) 에 설치되는 펀칭된 부품의 일례로서의 전극 (10) 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전극 (10) 은, 전자총의 음극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를 가속하도록 작용한다. 전극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발색용 빔을 각각 통과시킬 수 있도록, 코이닝 (coining) 및 펀칭에 의해 제조된 작은 홀 (10a, 10b 및 10c) 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수상관 등에서 이용하기 위한 전자총 부품은, 코이닝을 하거나 또는 하지 않고, 두께가 약 0.05 내지 0.5 ㎜ 인 한 장의 비자성 스테인리스강을 블랭킹 및 프레스 펀칭 (이하, 단순히 펀칭이라 함) 시켜, 완성한다. 최근, 전자총 (4) 내에 설치된 음극 근처에 위치된 전극 (10) 의 경우, 비자성보다도 저 열팽창 특성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최근, 컴퓨터 디스플레이 등 을 위한 고정밀화, 고기능화 수상관의 출현에 따라, 전극의 열팽창으로 인한 미세한 치수 변화가 패널 (1) (도 1 참조) 상의 화질 (색 순도) 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저 열팽창 특성을 가진 Fe-Ni 합금, 특히 Fe-42% Ni 합금 (42 합금) 을 전극 재료로 이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42 합금은 버 (burr) 형성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42 합금의 전극 블랭크를 각각의 작은 홀 (10a, 10b 및 10c) 의 형태로 펀칭할 경우, 펀치가 슬러그 (slug) 를 블랭크로부터 하방으로 밀어 절단시키는 홀의 에지 (10e) 상에, 버 (B) 가 형성된다 (도 2 참조). 펀칭에 의해 발생한 버는 전자빔의 제어에 악영향을 미치며, 때때로 전자총에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상관의 더욱 고정밀화하는 경향으로 인해, 전자총 부품으로부터 버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건이 더욱 더 엄격해지고 있다.
지금까지,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제 6-184703 호, 제 6-122945 호, 제 7-3400 호 및 제 7-34199 호에는, Fe-Ni 합금의 펀칭 특성의 향상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제안들 중, 일본 특개평 제 6-184703 호에서는, S 함량을 0.002 내지 0.05 % 의 범위로 규정하고, 합금 스톡 (stock) 의 입계를 따라서 또는 결정립내에 S 또는 S 화합물을 분산시킨다. 그러나, 규정된 비율로 쾌삭성 원소 (free-cutting element) 인, S 의 단순한 첨가는 최근의 펀칭 작업에서 매우 정확한 정밀도로 버를 제어하는데 적절하다고 생각할 수 없다.
나머지 일본 특개평 제 6-122945 호, 제 7-3400 호 및 제 7-34199 호에서는, 합금에 경도 증가와 적절한 정도의 취화를 부여하기 위해서 Ti, Nb, V, Ta, W 및/또는 Zr 등과 같은 강도 향상 원소를 합금에 첨가하여 버를 억제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들은, 경도 증가와 동시에, 펀칭 금형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부수적인 금형의 수명 단축이 없이, 펀칭 특성을 향상시킨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 은 쉐도우 마스크형 수상관의 단면도.
도 2a 는 본 발명에 따른 펀칭된 부품의 일례로서 전자총용 전극의 사시도 및 도 2b 는 도 2a 의 선 A-A' 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 은 농도곱 [%Mn][%S] 과 열간 가공 가열 온도의 적정 범위를 나타낸 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널
2 : 형광막
3 : 전자빔
4 : 전자총
5 : 편향 요크
6 : 쉐도우 마스크
7 : 자기 시일드
10 : 전극
10a, 10b, 10c : 작은 홀
10e : 홀의 에지
B : 버
본 발명자들은 펀칭 특성에 미치는 개재물의 영향 및 개재물의 분포에 대한 공정 조건의 영향을 철저하게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Mn 과 S 의 함량을 특정 범위로 한정하고, Mn 과 S 의 함량에 의존하는 적합한 온도에서 열간 가공하여,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펀칭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였다.
특히, 재료내에 석출된 적당량의 MnS 는 펀칭 작업시에 균열의 발생과 전파를 촉진시킴으로써 펀칭 특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펀칭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순한 S 함량의 제한으로는 MnS 의 양과 분포를 제어하기에 불충분하며, 펀칭 특성이 열간 가공시의 가열 온도에 의해 더 많이 영향받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열간 가공시의 적절한 가열 온도 범위가 Mn 과 S 의 함량에 따라 변화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초로, 가열 온도 및 Mn 과 S 의 함량을 적절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전자총 부품 상에 형성되는 버에 대한 엄격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합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펀칭 특성을 향상시키는 MnS 가 합금의 경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금형 수명을 길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인식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중량 % 로, 30 내지 55 % 의 Ni, 0.05 내지 2.00 % 의 Mn, 0.001 내지 0.050 % 의 S 로 이루어지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주로 용해, 주조, 열간 가공, 냉간 압연 및 어닐링으로 이루어진다. Fe-Ni 합금은 0.0005 ≤[%Mn][%S] ≤0.0100 을 만족하며, 여기서 원소 A 의 함량은 [%A] 로 정의한다. 열간 가공은 하기 식에 의해 정의되는 온도 T 에서 행한다.
이하, 상기 수치 한정의 이유를, 본 발명의 작용과 함께,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 는 '중량 %' 를 의미한다.
(Ni) : Ni 는 Fe-Ni 합금의 열팽창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원소이다. 이 함량이 30 % 미만이 되거나 55 % 를 초과하게 되면, 너무 높은 열팽창 계수로 인해, 합금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Ni 함량은 30 내지 55 % 의 범위내로 제한된다.
(Mn) : Mn 은 S 과 함께 MnS 를 형성하며, MnS 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펀칭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 함량이 0.05 % 미만이 되면, 충분한 펀칭 특성을 얻을 수 없다. 한편, Mn 함량이 2.00 % 를 초과하게 되면, 합금의 경도를 증가시켜 금형의 마모를 촉진시킨다. 따라서, Mn 함량은 0.05 내지 2.00 % 의 범위내로 제한된다. 더욱 바람직한 Mn 함량의 범위는 0.05 내지 0.80 % 이다.
(S) : S 는 Mn 과 함께 MnS 를 형성하며, MnS 는 펀칭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 함량이 0.001 % 미만이 되면, 충분한 펀칭 특성을 얻을 수 없다. 한편, S 함량이 0.050 % 를 초과하게 되면, 열간 가공 특성 및 내식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S 함량은 0.001 내지 0.050 % 의 범위내로 제한된다. 더욱 바람직한 S 함량의 범위는 0.003 내지 0.020 % 이다.
상기 성분 이외에, 합금에 함유되는 추가 성분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 있다. 불가피한 불순물은 통상의 불순물, 즉 C, Si, Al, P 및 Cr 일 수도 있다. 이러한 불순물들은 열팽창 특성에 유해하다. 따라서, 불순물의 총량은 0.001 내지 0.5 % 의 범위내이어야 한다.
(Mn 과 S 의 농도곱 [%Mn][%S]) : 농도곱 [%Mn][%S] 은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펀칭 특성의 향상에 대한,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발견된 패러미터 (parameter) 이다. 농도곱 [%Mn][%S] 의 범위를 규정함으로써, Mn 과 S 의 함량을 개별적으로 규정하는 경우에 비해, MnS 의 양을 더욱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농도곱 [%Mn][%S] 이 0.0005 미만이 되면, 펀칭 특성의 향상에 효과적인 MnS 가 충분하게 석출되지 않는다. 한편, 농도곱 [%Mn][%S] 이 0.0100 을 초과하게 되면, MnS 의 양이 너무 많아져서, 내식성을 열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농도곱 [%Mn][%S] 은 하기 식을 만족시키는 범위내로 규정된다.
0.0005 ≤[%Mn][%S] ≤0.0100
(열간 가공시의 가열 온도) : 열간 가공시의 가열 온도가 너무 낮게 되면, MnS 가 너무 작아져서 펀칭 특성을 향상시키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열간 가공시의 가열 온도는 1050 ℃ 이상이어야 한다. 열간 가공시의 가열 온도가 너무 높으면, 펀칭 특성의 향상에 효과적인 MnS 가 Mn 과 S 로 해리되고, 매트릭스 (matrix) 내에서 해리된 Mn 과 S (고용체) 는 더 이상 효과가 없게 된다.
따라서, Mn 과 S 의 함량에 따라서 변화되는 적정 범위에서, 열간 가공 가열 온도를 제어하여야 한다. 이의 임계 온도는 [%Mn][%S] 에 의존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상술한 [%Mn][%S] 와 가열 온도 T(℃) 의 적정 범위를, 도 3 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열간 가공' 은 분괴 압연, 열간 단조 또는 열간 압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화학 조성을 갖는, 용제 (溶製) 된 Fe-Ni 합금 잉곳 또는 연속 주조 슬라브를 상기 가열 온도에서 열간 가공한다. 그 열간 가공된 재료를 반복적으로 냉간 압연 및 어닐링을 행하여, 소정 두께를 가진 냉간 압연된 시이트를 얻는다. 그 후, 마무리를 위해 그 시이트를 최종 어닐링하여, 두께가 약 0.05 내지 0.5 ㎜ 인 펀칭용 재료를 얻는다.
이하, 하기 본 발명예와 비교예의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Fe-42 중량 % Ni 를 주성분으로 함유한 6 종류의 Fe-Ni 합금을 유도형 진공 용해에 의해 용제시켜, 300 ㎏ 의 잉곳으로 주조하였다. 합금의 원료는 전해 Fe, 전해 Ni, 전해 Mn 의 군으로부터 적당히 선택하였다. 그 원료에, 황화철 (Fe-S) 을 혼합하여 S 함량을 조정하였다. 그 합금의 화학 조성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각 잉곳으로부터 40 ㎜ 두께의 시이트를 절단한 후, 표 1 에 나타낸 각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처리하였으며, 4 ㎜ 두께의 플레이트로 열간 압연하였다. 플레이트를 어닐링시켜 산 세정한 후, 1.5 ㎜ 두께의 플레이트로 냉간 압연하였다. 그 후, 그 플레이트를 어닐링시켜, 0.5 ㎜ 두께의 시이트로 냉간 압연하였으며, 진공 중에서 750 ℃ 에서 1 시간 동안 최종 어닐링을 행하여, 시편을 얻었다.
각 시편에 대한 펀칭 시험 이전에, 코이닝을 행하여, 시편의 두께를 0.28 ㎜ 로 감소시켰다. 그 후, 각 시편에, 직경이 0.4 ㎜ 인 10 개의 홀을 펀칭하였다. 펀칭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파단면의 두께 대 전체 두께의 비율로 정의되는 파단면의 두께 비율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 1 에 나타낸 파단면의 두께 비율은 10 개 홀의 두께 비율의 평균값이다. 표 1 에서, 예중에서 열간 압연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시편을 '본 발명예' 라 지칭한다. 상기 예를 제외한, 열간 압연 온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있지 않은 시편을 '비교예' 라 지칭한다. 도 3 에는, 합금 번호 6 을 제외한, 상기 예들의 농도곱 [%Mn][%S] (가로축) 과 열간 압연 가열 온도 (세로축) 가 도시되어 있다. '파단면의 두께 비율 (%)' 은 (파단면의 두께/시이트의 두께) ×100 으로 정의하며, 시이트의 두께는 전단면과 파단면의 합이다. 본 발명자들의 펀칭 특성 연구에 따르면, 파단면의 두께 비율이 증가할수록 버의 높이가 감소됨이 이미 알려져 있다. 상기 예들의 펀칭 조건에서는, 파단면의 두께 비율이 30 % 이상일 경우에 펀칭 특성이 우수하게 된다.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든 예에서, 파단면의 두께 비율이 30 % 를 초과하고 있으며, 이는 펀칭 특성이 비교예에 비해 우수함을 의미한다. 합금 번호 6 의 S 함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므로, 합금 번호 6 은 열간 압연시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합금 번호 6 의 펀칭 특성은 평가할 수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 3 은 도 3 의 플롯 (plot) 에 근거하며, 이는 펀칭 특성이 우수한 본 발명예와 그러한 이점이 없는 비교예를 명확하게 구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펀칭 특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 합금은 전자총 부품에 대하여 치명적인 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고화질에 대한 최근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중량 % 로, 30 내지 55 % 의 Ni, 0.05 내지 2.00 % 의 Mn, 0.001 내지 0.050 % 의 S 로 이루어지고, 나머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기본적으로 용해, 주조, 열간 가공, 냉간 압연 및 어닐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Fe-Ni 합금은, 원소 A 의 함량을 [%A] 로 정의하는 경우, 0.0005≤[%Mn][%S]≤0.0100 을 만족하며, 상기 열간 가공은 하기 식
    에 의하여 정의되는 온도 T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n 함량은 0.05 내지 0.8 중량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S 함량은 0.003 내지 0.020 중량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제조 방법.
KR1019990004844A 1998-03-16 1999-02-11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제조 방법 KR100317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84924A JPH11264021A (ja) 1998-03-16 1998-03-16 電子銃部品用Fe−Ni合金の製造方法
JP98-084924 1998-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423A KR19990077423A (ko) 1999-10-25
KR100317687B1 true KR100317687B1 (ko) 2001-12-22

Family

ID=1384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844A KR100317687B1 (ko) 1998-03-16 1999-02-11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31694B1 (ko)
JP (1) JPH11264021A (ko)
KR (1) KR100317687B1 (ko)
CN (1) CN1082562C (ko)
MY (1) MY124596A (ko)
TW (1) TW5248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78191A (zh) * 2022-09-21 2022-12-16 浙江前沿半导体材料有限公司 一种低膨胀合金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681A (ja) * 1992-06-11 1993-12-21 Hitachi Metals Ltd Fe−Ni系電子銃電極材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4703A (ja) * 1993-07-01 1994-07-05 Toshiba Corp 電子銃部品用Fe−Ni系合金
JP3222085B2 (ja) * 1997-03-24 2001-10-22 日鉱金属株式会社 電子銃部品用Fe−Ni合金並びに電子銃プレス打抜き加工部品
JP3566489B2 (ja) * 1997-03-27 2004-09-15 日鉱金属加工株式会社 電子銃部品用Fe−Ni合金並びに電子銃プレス打抜き加工部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681A (ja) * 1992-06-11 1993-12-21 Hitachi Metals Ltd Fe−Ni系電子銃電極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64021A (ja) 1999-09-28
TW524859B (en) 2003-03-21
US6231694B1 (en) 2001-05-15
CN1229146A (zh) 1999-09-22
KR19990077423A (ko) 1999-10-25
CN1082562C (zh) 2002-04-10
MY124596A (en) 200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14492A (ja) 焼鈍時の密着焼付防止性およびガス放散性に優れたFe−Ni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317687B1 (ko)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의 제조 방법
JP3426426B2 (ja) 電子銃部品用Fe−Ni合金並びに電子銃プレス打ち抜き部品
JPH06316736A (ja) 磁気特性および製造性に優れたNi−Fe系磁性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70003642B1 (ko) 합금판 및 그 제조방법
US6459195B1 (en) Fe-Cr-Ni alloy electron gun electroded and Fe-Cr-Ni alloy sheet for electron gun electrodes
KR100259763B1 (ko) 전자총 부품용 Fe-Ni 합금
KR100294970B1 (ko) 전자총부품용 Fe-Ni합금 및 전자총 프레스 펀칭가공 부품
JP2809665B2 (ja) エッチング性に優れるシャドウマスク材料
KR100595393B1 (ko) 내식성이 우수한 섀도우 마스크 소재용 Fe­Ni계 합금및 섀도우 마스크 재료
US6806635B1 (en) Fe-Ni-Cr- based alloy strip having improved press-formability and used for electrode of electron gun
KR100310187B1 (ko) 전자총 부품용 철-니켈 합금의 제조방법
KR100193289B1 (ko) 펀칭가공성이 양호한 fe-cr-ni 계 합금
KR100210570B1 (ko) 전자총부품용 Fe-Ni합금 및 전자총프레스펀칭가공부품
JP3224186B2 (ja) 打ち抜き性に優れた高強度低熱膨張性Fe−Ni系合金材料の製造方法
JPH11269616A (ja) 電子銃部品用Fe−Ni−Co合金及び電子銃プレス打抜き加工部品並びに電子銃電極
JPH09249943A (ja) プレス打ち抜き性の良好な電子銃部品用Fe−Ni系合金並びに加工部品
JPH09235656A (ja) 電子銃部品用Fe−Ni合金並びに電子銃プレス打ち抜き加工部品
JP2000273539A (ja) 電子銃部品用Fe−Ni−Co合金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