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043B1 - 살진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살진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043B1
KR100316043B1 KR1019950704059A KR19950704059A KR100316043B1 KR 100316043 B1 KR100316043 B1 KR 100316043B1 KR 1019950704059 A KR1019950704059 A KR 1019950704059A KR 19950704059 A KR19950704059 A KR 19950704059A KR 100316043 B1 KR100316043 B1 KR 100316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zol
methyl
active ingredient
fluorophenyl
chloro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인홀트 자우르
만프레트 함펠
클라우스 쉘베르거
에베르하르트 암메르만
기젤라 로렌쯔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01N37/5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the nitrogen atom being doubly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메틸 α-메톡시미노-2-[(2-메틸페녹시)-메틸]-페닐아세테이트
, 및
(b) 4-(2-메틸-3[4-tert-부틸페닐)-프로필)-2,6-디메틸모르폴린(펜프로피모르프)
또는 활성 성분 트리데모르프 또는 활성 성분 펜프로피딘, 및
(c) 활성 성분 프로클로라즈 또는 다른 아졸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살진균제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균류를 박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진균제 조성물
본 발명은 상승적 살진균 작용을 갖는 살진균제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진균류를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살진균제로서 메틸 α-메톡시미노-2-[(2-메틸페녹시)-메틸]-페닐아세테이트
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EP 253 213). 살진균제로서 활성 성분 4-(2-메틸-3-[4-tert-부틸페닐)-프로필)-2,6-디메틸모르폴린
또는 활성 성분 트리데모르프 또는 활성 성분 펜프로피딘 또는 이들의 염을 사용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DE 26 56 747).
살진균제로서 N-프로필-N-[(2,4,6-트리클로로페녹시)에틸]이미다졸-1-카복사미드
를 사용하는 것 또한 공지되어 있다(EP 72 156).
나아가, 살진균 작용을 가지고 있는 수많은 아졸 활성 성분들이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식
의 (Z)-(1,2,4-트리아졸-1-일메틸)-2-(4-플루오로페닐)-3-(2-클로로페닐)-옥시란, 1-부틸-1-(2,4-디클로로페닐)-2-(1,2,4-트리아졸-1-일)-에탄올 (일반명 헥사코나졸), 1-[(2-클로로페닐)메틸]-1-(1,1-디메틸)-2-(1,2,4-트리아졸-1-일)-에탄올, 1-(4-플루오로페닐)-1-(2-플루오로페닐)-2-(1,2,4-트리아졸-1-일)-에탄올 (일반명 플루트리아폴), (RS)-4-(4-클로로페닐)-2-페닐-2-(1H-1,2,4-트리아졸-1-일 메틸)-부티로니트릴, 1-[(2 RS, 4 RS; 2 RS, 4 SR)-4-브로모-2-(2,4-디클로로페닐)-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1H-1,2,4-트리아졸, 3-(2,4-디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퀴나졸린-4(3H)-온, (RS)-2,2-디메틸-3-(2-클로로벤질)-4-(1H-1,2,4-트리아졸-1-일)-부탄-3-올, 비테르타놀,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시프로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에타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플루실라졸, 테부코나졸, 이마잘릴, 펜코나졸, 테트라코나졸 또는 이러한 아졸 활성 성분의 염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a) 메틸 α-메톡시미노-2-[(2-메틸페녹시)-메틸]-페닐아세테이트
, 및
(b) 4-(2-메틸-3-[4-tert-부틸페닐)-프로필)-2,6-디메틸모르폴린(펜프로피모르프)
또는 활성 성분 트리데모르프 또는 활성 성분 펜프로피딘, 및
(c) N-프로필-N-[(2,4,6-트리클로로페녹시)에틸]이미다졸-1-카복사미드
(Z)-2-(1,2,4-트리아졸-1-일메틸)-2-(4-플루오로페닐)-3-(2-클로로페닐)-옥시란
,
1-부틸-1-(2,4-디클로로페닐)-2-(1,2,4-트리아졸-1-일)-에탄올(일반명 헥사코나졸), 1-[(2-클로로페닐)메틸]-1-(1,1-디메틸)-2-(1,2,4-트리아졸-l-일)-에탄올, 1-(4-플루오로페닐)-1-(2-플루오로페닐)-2-(1,2,4-트리아졸-1-일)-에탄올(일반명 플루트리아폴), (RS)-4-(4-클로로페닐)-2-페닐-2-(1H-1,2,4-트리아졸-1-일메틸)-부티로니트릴, 1-[(2 RS, 4 RS; 2 RS, 4 SR)-4-브로모-2-(2,4-디클로로페닐)-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lH-1,2,4-트리아졸, 3-(2,4-디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퀴나졸린-4(3H)-온, (RS)-2,2-디메틸-3-(2-클로로벤질)-4-(1H-1,2,4-트리아졸-1-일)-부탄-3-올, 비테르타놀,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시프로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에타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플루실라졸, 테부코나졸, 이마잘릴, 펜코나졸, 테트라코나졸 또는 이러한 아졸 활성 성분의 염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아졸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상승적 살진균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화합물 a), b) 및 c)의 중량비는 상승적 살진균 작용을 나타낼 수 있도록 선택되는데, 예를 들면, a):b):c)가 10 내지 1 : 10 내지 1 : 10 내지 1, 예를 들면 5 내지 1 : 5 내지 1 : 5 내지 1, 특히 3 내지 1 : 3 내지 1 : 3 내지 1, 및 바람직하기로는 2 내지 1 : 2 내지 1 : 2 내지 1이다. a):b):c)의 비는 예를 들면 10:1:1 내지 1:10:1 내지 1:1:10 일 수 있다. 조성물이 상승 작용을 갖는다는 것은 a) + b) + c)의 조성물의 살진균 작용이 a)의 살진균 작용, b)의 살진균 작용 및 c)의 살진균 작용의 합보다 더 크다는 사실로부터 확실하다.
-C=N 이중 결합에 의해 성분 a)는 두가지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E) 이성질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화합물 a)의 순수한 이성질체, 특히(E)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조성물과 이러한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성분 펜프로피모르프는 두 가지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모르폴린 고리), 시스 이성질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화합물 펜프로피모르프의 순수한 이성질체, 특히 시스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조성물과 이러한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주로 (E) 이성질체로서의 성분 a)와 동시에 주로 시스 이성질체로서의 성분b)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활성 성분 펜프로피모르프 b)는 또한 그의 염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성물들도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염들은 불화수소산, 염산, 브롬화수소산 및 요오드산과 같은 할로겐화 수소산, 또는 황산, 인산, 질산, 또는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콘산,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옥살산, 포름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살리실산, p-아미노살리실산 또는 1,2-나프탈렌디술폰산과 같은 유기산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실제적으로는, 순수한 활성 성분 a), b) 및 c)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들에 살충제, 살비제, 살선충제, 제초제, 다른 살진균제, 성장 조절제 및(또는) 비료와 같은 추가의 활성 성분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진균 조성물은 예를 들면 직접 분사할 수 있는 용액, 분말, 현탁액(고비율의 수성, 유성 또는 기타의 현탁액 포함), 분산액, 에멀젼, 오일 분산액, 페이스트, 분제(dusts), 산파제(broadcasting agents), 또는 과립의 형태로 분사(spraying), 분무(atomizing), 분진화(dusting), 산파(broadcasting), 워터링(watering)에 의해 시용할 수 있다. 시용의 형태는 약제가 사용되는 목적에 전적으로 의존하나, 본 발명의 활성 성분의 분포가 가능한한 미세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정상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식물들에 분사 또는 분진화하거나 식물의 종자들을 처리한다.
공지의 방식으로 제제를 제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에멀젼화제 및 분산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용매 및(또는) 담체로 활성 성분을 희석시키는 방법이 있다; 물을 용매로 사용하면 보조 용매로서 다른 유기 용매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보조제로는 방향족 물질(예; 크실렌), 염화 방향족 물질(예; 클로로벤젠), 파라핀(예; 조 오일 분획(crude oil fractions)), 알콜(예; 메탄올, 부탄올), 케톤(예; 시클로헥사논), 아민(예; 에탄올아민, 디메틴포름아미드), 및 물과 같은 용매; 분쇄된 천연 미네랄(예; 카올린, 알루미나, 탈크 및 쵸크) 및 분쇄된 합성 미네랄(예; 고도로 분산된 실리카 및 실리케이트)과 같은 담체;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에멀젼화제(예; 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알콜 에테르, 알킬 술포네이트 및 아릴술포네이트)와 같은 에멀젼화제; 및 리그닌-술피트 폐액 및 메틸셀룰로오즈와 같은 분산제가 있다.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리그닌술폰산, 페놀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및 디부틸 나프탈렌 술폰산과 같은 방향족 술폰산 및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및 암모늄 염, 알킬 및 알킬아릴 술포네이트, 및 알킬, 라우릴 에테르 및 지방 알콜 술페이트, 및 황산염화된 헥사데칸올, 헵타 데칸올 및 옥타데칸올의 염, 지방 알콜 글리콜에테르의 염, 술폰화 나프탈렌 및 나프탈렌 유도체와 포름알데히드와의 축합 생성물, 나프탈렌 또는 나프탈렌술폰산과 페놀 및 포름알데히드와의 축합 생성물,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놀 에테르, 에톡시화 이소옥틸페놀, 에톡시화 옥틸페놀 및 에톡시화 노닐페놀,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트리부틸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알콜, 이소트리데실 알콜, 지방 알콜 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에톡시화 피마자유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에톡시화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알콜폴리글리콜 에테르 아세탈, 소르비톨 에스테르, 리그닌-술피트 폐액 및 메틸 셀룰로오즈가 있다.
분말, 분제 및 산파제는 활성 성분을 고형 담체와 혼합 또는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피복, 함침 또는 균질 과립들은 활성 성분을 고형 담체에 결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고형 담체의 예로는 광물토, 예를 들면 규산, 실리카 겔, 실리케이트, 탈크, 카올린, 애터펄거스 클레이(attapulgus clay), 석회암, 석회, 초오크, 볼(bole), 로우이스(loess), 클레이, 백운석, 규조토, 칼슘 술페이트, 마그네슘 술페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그라운드 플라스틱스, 비료,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및 우레아, 및 식물성 생성물, 예를 들면, 곡류, 바크밀, 우드밀, 및 견과밀, 셀룰로오즈 분말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광범위한 식물 병원성 진균, 특히 방선균류 및 담자균류로 이루어진 군의 진균류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들 중 일부는 침투 작용을 가지며 잎 및 토양 살진균제로 사용된다.
살진균 조성물은 다양한 작물이나 이들의 종자, 특히 밀, 호밀, 보리, 귀리, 쌀, 인디안 옥수수, 잔디, 목화, 콩, 커피, 사탕수수, 원예 및 포도재배에서의 열매와 관상식물, 및 오이, 강낭콩 및 호리병박과 같은 채소에서 각종 진균류를 억제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화합물들은 진균류 공격에 대해 보호되어야 할 종자, 식물, 자재 또는 토양을 살진균제로서 유효량의 활성 성분으로 처리함으로써 시용된다.
자재, 식물 또는 종자가 균류에 의해 감염되기 전 또는 후에 화합물들을 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의 식물병을 억제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곡류에서의에리시페 그라미나스 (Erysiphe graminis)
호리병박에서의에리시페 시코라세아룸 (Erysiphe cichoracearum)
스파에로데카 풀리기니아 (Sphaerotheca fuliginea)
사과에서의포도스파에라 루아코트리카 (Podosphaera leucotricha)
덩쿨식물에서의운사눌라 네카토 (Uncinula necator)
곡류에서의푸치니아종 (Puccinia species)
목화에서의리좇토나아 솔라니 (Rhizoctonia solani)
곡류 및 사탕수수에서의우스틸라고종 (Ustilago species)
사과에서의벤츄리아 이나에쿠알리스 (스캡) (Venturia inaequalis(scab))
곡류에서의헬민토스포리움종 (Helminthosporium species)
밀에서의셉토리아 노도룸 (Septoria nodorum)
곡류에서의린코스포리움 (Rhynchosporium)
딸기 및 포도에서의보트리티스 시네레아 (그레이 모울드) (Botrytis cinerea(gray mold)
땅콩에서의세르코스포라 아라키디콜라 (Cercospora arachidicola)
밀과 보리에서의슈도세르코스포렐라 헤르포트리코이데스 (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쌀에서의피리쿨라리아 오리재 (Pyricularia oryzae)
감자와 토마토에서의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Phytophthora infestans)
다양한 식물에서의푸사리움종 (Fusarium species)베르티실리움종 (Verticillium species)
포도에서의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 (Plasmopara viticola)
과일과 채소에서의알테르나리아종 (Alternaria species).
본 발명의 신규 조성물은 예를 들면파에실로마아세스 바리오티 (Paecilomyces variotii)에 대하여 자재(목재)를 보호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살진균제는 일반적으로 0.1 내지 95,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90 중량%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
시용 비율은 원하는 효과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는 1 헥타르 당 활성 성분 조성물 0.01 내지 3 Kg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종자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때에는 일반적으로 종자 Kg 당 0.001 내지 50, 바람직하기로는 0.01 내지 10 g의 시용 비율이 요구된다.
생물학적 실험
실시예 1 밀곰팡이에의 방제 효과
"칸즐러" 변종의 밀 식물을 세잎 단계(3-leaf stage)에서 트리아졸-내성 밀곰팡이(에리시페 그라미니스 변종 트리티시)로 접종시키고 진균류 공격이 약 30% 정도에서 주어진 농도의 수용성 활성 성분 제제로 처리하였다. 물의 양은 200 l/h에 해당한다. 식물을 온실에서 20일 동안 10 내지 22 ℃에서 배양시켰다. 공격받은 잎 면적을 백분율로 결정하여 실험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숫자를 작용도 (degree of action)로 환산하였다. 활성 성분 조성물의 예상되는 작용도를 콜비 식 (Colby formula; 문헌[Colby, S. R., "Calculating synergistic and antagonistic responses of herbicide combinations", Weeds, 15, S. 20-22, 1967] 참조)으로 결정하여 관찰된 작용도와 비교하였다.
살진균 작용의 수치는 여러가지 실험들에서 달리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식물들이 다양한 공격 정도를 나타내었기 때문이며, 이는 살진균 작용에 대한 수치도 역시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동일한 실험내에서의 결과만이 다른 것들과 비교될 수 있다.
콜비 식 E = x + y - x ㆍ y/100
E = 활성 성분 A 및 B를 m 및 n의 농도로 사용하였을 때 처리되지 않은 대조물의 %로 나타낸 예상 작용도
x = 활성 성분 A를 m의 농도로 사용하였을 때 처리되지 않은 대조물의 %로 나타낸 작용도
y = 활성 성분 B를 n의 농도로 사용하였을 때 처리되지 않은 대조물의 %로 나타낸 예상 작용도
활성 성분
I. 메틸 α-메톡시미노-2-[(2-메틸페녹시)-메틸]-페닐아세테이트,
II. (±)-시스-4-[3-(4-tert-부틸페닐]-2-메틸프로필)-2,6-디메틸모르폴린(펜프로피모르프)
III. 2-(1,2,4-트리아졸-1-일메틸)-2-(4-플루오로페닐)-3-(2-클로로페닐)-옥시란(에폭시코나졸)
IV. 1-(N-프로필-N-2-(2,4,6-트리클로로페녹시)에틸카바모일)이미다졸(프로클로라즈)
V. 활성 성분 조합
활성 성분 I + 펜프로피모르프
105 : 210
VI. 활성 성분 조합
활성 성분 I + 에폭시코나졸
1 : 1
VII. 활성 성분 조합
활성 성분 I + 프로클로라즈
1 : 1
VIII. 활성 성분 조합
펜프로피모르프 + 프로클로라즈
281 : 200
IX. 활성 성분 조합
펜프로피모르프 + 에폭시코나졸
3 :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상기 결과는 3 가지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0.04%(0.01 + 0.03) 조성물이 개개 활성 성분 및 2 성분 활성 성분 0.05% 조성물 보다 더 우수한 살진균 작용을 갖는 다는 것을 보여준다.
트리아졸-민감성에리시페 그라미니스로 수행한 동일한 실험은 표 1에 주어진 결과물을 확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다양한 3 성분 활성 성분 조성물에 대한 이러한 결과들에서, 관찰된 작용되는 콜비 식으로 계산된 작용도보다 항상 컸다.
트리아졸-내성에리시페 그라미니스로 수행한 동일한 실험은 표 2에 주어진 결과들을 확인한다.

Claims (4)

  1. (a) 메틸 α-메톡시미노-2-[(2-메틸페녹시)-메틸]-페닐아세테이트
    , 및
    (b) 4-(2-메틸-3[(4-tert-부틸페닐)-프로필)-2,6-디 메틸모르폴린(펜프로피모르프)
    또는 활성 성분 트리데모르프 또는 활성 성분 펜프로피딘, 및
    (c) N-프로필-N-[(2,4,6-트리클로로페녹시)에틸]이미다졸-1-카복사미드
    (Z)-2-(1,2,4-트리아졸-1-일메틸)-2-(4-플루오로페닐)-3-(2-클로로페닐)-옥시란
    1-부틸-1-(2,4-디클로로페닐)-2-(1,2,4-트리아졸-1-일)-에탄올 (일반명 헥사코나졸), 1-[(2-클로로페닐)메틸]-1-(1,1-디메틸)-2-(1,2,4-트리아졸-1-일)-에탄올, 1-(4-플루오페닐)-1-(2-플루오로페닐)-2-(1,2,4-트리아졸-1-일)-에탄올 (일반명 플루트리아폴), (RS)-4-(4-클로로페닐)-2-페닐-2-(1H-1,2,4-트리아졸-1-일메틸)-부티로니트릴, 1-[(2 RS, 4 RS; 2 RS, 4 SR)-4-브로모-2-(2,4-디클로로페닐)-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1H-1,2,4-트리아졸, 3-(2,4-디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퀴나졸린-4(3H)-온, (RS)-2,2-디메틸-3-(2-클로로벤질)-4-(1H-1,2,4-트리아졸-1-일)-부탄-3-올, 비테르타놀,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시프로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에타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플루실라졸, 테부코나졸, 이마잘릴, 펜코나졸, 테트라코나졸 또는 이러한 아졸 활성 성분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졸 활성 성분
    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살진균제로서의 유효량으로 함유하는 살진균제.
  2. (a) 메틸 α-메톡시미노-2-[(2-메틸페녹시)-메틸]-페닐아세테이트
    , 및
    (b) 4-(2-메틸-3-[4-tert-부틸페닐)-프로필)-2,6-디메틸모르폴린(펜프로피모르프)
    또는 활성 성분 트리데모르프 또는 활성 성분 펜프로피딘, 및
    (c) N-프로필-N-[(2,4,6-트리클로로페녹시)에틸]이미다졸-1-카복사미드
    (Z)-2-(1,2,4-트리아졸-1-일메틸)-2-(4-플루오로페닐)-3-(2-클로로페닐)-옥시란
    1-부틸-1-(2,4-디클로로페닐)-2-(1,2,4-트리아졸-1-일)-에탄올 (일반명 헥사코나졸), 1-[(2-클로로페닐)메틸]-1-(1,1-디메틸)-B-(1,2,4-트리아졸-1-일)-에탄올, 1-(4-플루오로페닐)-1-(2-플루오로페닐)-2-(1,2,4-트리아졸-일)-에탄올 (일반명 플루트리아폴), (RS)-4-(4-클로로페닐)-2-페닐-2-(1H-1,2,4-트리아졸-1-일메틸)-부티로니트릴, 1-[(2 RS, 4 RS; 2 RS, 4 SR)-4-브로모-(2,4-디클로로페닐)-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1H-1,2,4-트리아졸, 3-(2,4-디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퀴나졸린-4(3H)-온, (RS)-2,2-디메틸-3-(2-클로로벤질)-4-(1H-1,2,4-트리아졸-일)-부탄-3-올, 비테르타놀,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시프로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디페노코나졸, 디니코나졸, 에타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플루실라졸, 테부코나졸, 이마잘릴, 펜코나졸, 테트라코나졸 또는 이러한 아졸 활성 성분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아졸 활성 성분
    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살진균제로서의 유효량을 진균류의 공격을 받는 자재, 지역, 식물 또는 종자에 작용하도록 하는 진균류방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 a), b) 및 c)를 상승적 살진균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양으로 함유하는 살진균제.
  4.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 a), b) 및 c)를 a:b:c의 중량비 10 내지 1 : 10 내지 1 : 10 내지 1로 함유하는 살진균제.
KR1019950704059A 1993-03-23 1994-03-10 살진균제 조성물 KR100316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09272A DE4309272A1 (de) 1993-03-23 1993-03-23 Fungizide Mischung
DEP4309272.1 1993-03-23
PCT/EP1994/000741 WO1994021123A1 (de) 1993-03-23 1994-03-10 Fungizide misch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6043B1 true KR100316043B1 (ko) 2002-11-27

Family

ID=648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059A KR100316043B1 (ko) 1993-03-23 1994-03-10 살진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EP (1) EP0690672B1 (ko)
JP (1) JP3611572B2 (ko)
KR (1) KR100316043B1 (ko)
CN (1) CN1119824A (ko)
AT (1) ATE144371T1 (ko)
AU (1) AU676031B2 (ko)
CZ (1) CZ288340B6 (ko)
DE (2) DE4309272A1 (ko)
DK (1) DK0690672T3 (ko)
ES (1) ES2092903T3 (ko)
GR (1) GR3021492T3 (ko)
HU (1) HU216718B (ko)
IL (1) IL108653A (ko)
NZ (1) NZ263170A (ko)
PL (1) PL173281B1 (ko)
RU (1) RU2129371C1 (ko)
UA (1) UA29473C2 (ko)
WO (1) WO1994021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4820B1 (de) * 1995-08-17 1999-10-13 Basf Aktiengesellschaft Fungizide mischungen eines oximethercarbonsäureamids mit einem morpholin- oder piperidinderivat
EP0844818B1 (de) * 1995-08-17 1999-09-22 Basf Aktiengesellschaft Fungizide mischungen eines oximethercarbonsäureamids mit azolderivaten
EA001085B1 (ru) * 1995-08-18 2000-10-30 Новартис Аг Бактерицидные композиции
DE19533796A1 (de) * 1995-09-13 1997-03-20 Basf Ag Fungizide Mischungen
BR9708604A (pt) * 1996-04-11 1999-08-03 Basf Ag Mistura fungicida processo para controlar fungos nocivos e uso de um composto
US6369090B1 (en) * 1997-06-04 2002-04-09 Basf Aktiengesellschaft Fungicidal mixture
DE10347090A1 (de) * 2003-10-10 2005-05-04 Bayer Cropscience Ag Synergistische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US9090604B2 (en) 2006-07-27 2015-07-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ungicidal azocyclic amides
TW200904330A (en) * 2007-06-15 2009-02-01 Bayer Cropscience Sa Pes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a strigolactone derivative and a fungicide compound
TWI428091B (zh) * 2007-10-23 2014-03-01 Du Pont 殺真菌劑混合物
TWI489941B (zh) * 2008-09-19 2015-07-01 Sumitomo Chemical Co 種子處理劑及保護植物的方法
CN102017961B (zh) * 2010-12-18 2013-06-05 陕西美邦农药有限公司 一种含十三吗啉的杀菌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4255A1 (de) * 1991-07-22 1993-01-28 Basf Ag Fungizide mischung
DE4130298A1 (de) * 1991-09-12 1993-03-18 Basf Ag Fungizide misch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45695A3 (en) 1996-01-17
CN1119824A (zh) 1996-04-03
HU9502779D0 (en) 1995-11-28
ATE144371T1 (de) 1996-11-15
IL108653A (en) 1998-12-06
PL310805A1 (en) 1996-01-08
DE59400914D1 (de) 1996-11-28
DE4309272A1 (de) 1994-09-29
IL108653A0 (en) 1994-05-30
HUT72732A (en) 1996-05-28
CZ288340B6 (en) 2001-05-16
ES2092903T3 (es) 1996-12-01
JP3611572B2 (ja) 2005-01-19
HU216718B (hu) 1999-08-30
AU676031B2 (en) 1997-02-27
WO1994021123A1 (de) 1994-09-29
NZ263170A (en) 1996-04-26
JPH08508019A (ja) 1996-08-27
DK0690672T3 (da) 1996-11-18
UA29473C2 (uk) 2000-11-15
PL173281B1 (pl) 1998-02-27
EP0690672B1 (de) 1996-10-23
RU2129371C1 (ru) 1999-04-27
AU6376094A (en) 1994-10-11
EP0690672A1 (de) 1996-01-10
GR3021492T3 (en) 199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9579A (en) Fungicidal compositions
KR100432454B1 (ko) 살진균제 혼합물
US5476868A (en) Fungicidal mixtures
JP2008525349A (ja) エネストロブリン、およびアゾール類の群から選択される少なくとも1種の活性物質を含有する殺菌剤混合物
CA2071601C (en) Fungicidal composition
CZ293009B6 (cs) Fungicidní směs a způsob potírání škodlivých hub
KR100316043B1 (ko) 살진균제 조성물
US5346909A (en) Fungicidal composition
US5994382A (en) Fungicidal mixtures
JP2004521887A (ja) 殺菌性混合物
JP2000509054A (ja) 殺菌剤混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