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987B1 -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987B1
KR100315987B1 KR1019990015703A KR19990015703A KR100315987B1 KR 100315987 B1 KR100315987 B1 KR 100315987B1 KR 1019990015703 A KR1019990015703 A KR 1019990015703A KR 19990015703 A KR19990015703 A KR 19990015703A KR 100315987 B1 KR100315987 B1 KR 100315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serial
solenoid valve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7694A (ko
Inventor
김형의
김동수
조정대
Original Assignee
황해웅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해웅,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황해웅
Priority to KR1019990015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98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1One-way valv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olenoid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공압 분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데에 있어서, RS-485 직렬전송에 의한 제어를 함으로써,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고, 노이즈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병렬의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주제어부(100); 상기 주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제어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전송되어 입력되는 직렬의 상태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주제어부(100)로 출력하는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전송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부(200)로 전송하는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 직렬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병렬의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고,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에 따라 해당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감지신호를 직렬의 상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동부(500);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지역의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구동부(500)로 출력하고, 상기 구동부(50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통신부(200)로 전달하는 지역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Pneumatic Solenoid Valve Control System Controlled by Digital Serial Data}
본 발명은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공압 분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데에 있어서, RS-485 직렬전송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구조가 다양화되고, 복잡화되며, 컴퓨터 및 네트웍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각종 산업 부문에 자동화율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공장 자동화에 있어서는 제품의 제조단가를 줄여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더 높은 비율의 자동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공장 자동화의 경우, 각종 자동화 시스템은 예전에 인력에 의하여 수행되는 작업을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등 작동기의 왕복운동 및 회전운동에 의하여 수행하도록 하는데, 자동화의 비율이 높아지고, 고속화 및 정밀화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등 작동기의 작업도 자동화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등 작동기의 왕복운동을 제어하는 데에 있어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는데, 자동화가 고속화 정밀화됨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시스템도 고속화 및 정밀화되어 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기술에 의한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제어하고자 하는 솔레노이드별 다수 비트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장치(1);
상기 제어장치(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솔레노이드 밸브부(3)를 구동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부(3)의 구동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부(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장치(1)로 출력하는 구동부(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기술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어장치(1)는 작동기(5)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구동부(2)는 일반적으로 릴레이(relay)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부(3)를 구동시킨다.
솔레노이드 밸브부(3)는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해당하는 공압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실린더 등의 작동기(5)를 구동시킨다.
리미트 스위치부(4)는 상기 작동기(5)의 구동에 따라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구동부(2)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기(5)에 작동하는 실린더가 4개이고, 그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부(3)내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4개이며, 리미트 스위치부(4)내의 리미트 스위치가 4개인 경우, 상기 각각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는 각각 4개씩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다.
만약 상기 제어장치(1)에서 작동기(5)내의 실린더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장치(1)는 하나의 실린더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구동부(2)는 그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부(3)의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폐되어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를 구동시키며, 그에 따라 해당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는 리미트 스위치가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구동부(2)로 출력한다.
구동부(2)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사익 제어장치(1)로 전달하고, 제어장치(1)는 상기 구동부(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입력받아, 자신이 출력한 제어신호에 의한 결과를 확인하여 다음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그에 따라 해당하는 실린더가 작동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장치(1)는 프로그램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해당 실린더의 구동이 제어됨으로써, 실린더의 구동에 자동화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의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은 직접 제어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어장치(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수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고, 제어방식이 병렬 제어이기에 제어용 신호선의 부피가 커져 제어할 수 있는 거리가 현장으로 한정되며, 신호선이 길어지면 노이즈(noise) 특성에 의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은 직접 제어방식에 의한 릴레이의 사용으로 인해 회로 크기가 커지고, 전력 소비량도 많아지며 결과적으로 시스템 구성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압 분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데에 있어서, RS-485 직렬전송에 의한 제어를 함으로써,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고, 노이즈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을 적용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을 적용한 블럭도,
도 3은 도 2에서 제1통신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블럭도,
도 4는 도 2에서 제2통신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블럭도,
도 5는 도 2에서 지역제어부를 적용한 블럭도,
도 6은 도 2에서 구동부를 적용한 블럭도,
도 7은 다지점 네트웍에의 응용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주제어부 200 : 제1통신 인터페이스
300 : 제2통신 인터페이스 400 : 지역제어부
500 : 구동부 600 : 솔레노이드 밸브부
700 : 리미트 스위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병렬의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주제어수단;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제어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전송되어 입력되는 직렬의 상태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주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제1통신수단;
상기 제1통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전송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제2통신수단;
직렬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병렬의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고,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에 따른 병렬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직렬의 상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동수단;
상기 제2통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지역의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구동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통신수단으로 전달하는 지역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병렬의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주제어부(100);
상기 주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제어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전송되어 입력되는 직렬의 상태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주제어부(100)로 출력하는 제1통신 인터페이스(interface, 200);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전송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부(200)로 전송하는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
직렬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병렬의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부(600) 중에서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고,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부(700)에서 해당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감지신호를 직렬의 상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동부(500);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지역의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구동부(500)로 출력하고, 상기 구동부(50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통신부(200)로 전달하는 지역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의 구성은,
상기 주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제어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고, 직렬신호로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며 전반적인 제1통신 인터페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신호제어부(210);
상기 신호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직렬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제어부(210)로 출력하는 전송신호 처리부(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제어부(210)의 구성은,
상기 주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제어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직렬신호로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주제어부(100)로 출력하는 직병렬 변환부(212);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의 통신 속도를 선택하는 속도 선택부(213);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or Unit, 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송신호 처리부(250)의 구성은,
상기 신호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를 이용하여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송신 처리부(260);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제어부(210)로 출력하는 수신 처리부(270);
입력되는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 처리부(2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수신 처리부(270)로 입력되는 신호의 입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버퍼부(290);
상기 신호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버퍼부(290)로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의 구성은,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지역제어부(400)로 출력하는 수신부(310);
상기 지역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송신부(320);
입력되는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310)로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송신부(3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입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전송 버퍼부(340);
상기 지역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버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송 버퍼부(340)로 출력하는 버퍼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역제어부(400)의 구성은,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지역의 제어신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지역 확인부(430);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의 통신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선택부(420);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와 지역제어부(400)와 구동부(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CPU(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500)의 구성은,
상기 지역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직렬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병렬신호로 변환시키는 직-병렬 변환기(510);
상기 직-병렬 변환기(5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동신호 생성부(520);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700)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직렬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지역제어부(400)로 출력하는 병-직렬 변환기(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주제어부(100)는 병렬의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주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제어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전송되어 입력되는 직렬의 상태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주제어부(10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는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전송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부(200)로 전송한다.
구동부(500)는 직렬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병렬의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부(600) 중에서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고,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부(700)에서 해당 리미트 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감지신호를 직렬의 상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지역제어부(400)는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지역의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구동부(500)로 출력하고, 상기 구동부(50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통신부(200)로 전달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의 신호제어부(210) 상기 주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제어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고, 직렬신호로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며 전반적인 제1통신 인터페이스의 제어를 수행하고, 전송신호 처리부(250)는 상기 신호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직렬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즉, 상기 신호제어부(210)의 직병렬 변환부(212)는 상기 주제어부(100)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제어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직렬신호로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주제어부(100)로 출력한다.
그리고, 속도 선택부(213)는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의 통신 속도를 선택하고, CPU(211)는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와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전송신호 처리부(250)의 송신 처리부(260)는 상기 신호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를 이용하여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수신 처리부(270)는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제어부(210)로 출력한다.
그리고, 버퍼부(290)는 입력되는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 처리부(2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수신 처리부(270)로 입력되는 신호의 입출력 동작을 제어하며, 동작 제어부(280)는 상기 신호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버퍼부(290)로 출력함으로써, 통신의 속도를 조절하고, 오류 발생시의 정상상태로의 복귀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의 수신부(310)는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지역제어부(400)로 출력하고, 송신부(320)는 상기 지역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버퍼 제어부(330)는 상기 지역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버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송 버퍼부(340)로 출력하고, 전송 버퍼부(340)는 상기 버퍼 제어부(330)로부터 출력되는 버퍼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310)로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송신부(3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입출력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지역제어부(4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지역제어부(400)의 지역 확인부(430)는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지역의 제어신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속도 선택부(420)는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의 통신 속도를 조절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CPU(410)는 상기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와 지역제어부(400)와 구동부(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5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500)의 직-병렬 변환기(510)는 상기 지역제어부(400)로부터 출력되는 직렬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병렬신호로 변환시키고, 구동신호 생성부(520)는 상기 직-병렬 변환기(5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구동신호 생성부(520)의 출력신호에 따라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동되면, 리미트 스위치부(700)의 해당 리미트 스위치가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하며, 병-직렬 변환기(550)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700)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직렬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지역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상기 동작을 제어신호의 전달에 따라 설명하면, 솔레노이드 밸브부(600)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해 주제어부(100)에서 프로그램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되어 설정된 전송속도에 따라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 전송되며, 이때 전송선로는 RS-485 직렬 전송선로이기에 수킬로미터 떨어진 원거리로의 전송이 가능하다.
제2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송된 제어신호를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지역 제어부(400)를 거쳐 구동부(500)로 출력하고, 구동부(500)는 입력된 직렬의 제어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고, 그에 따라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부(600)를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며, 그에 따라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어 있는 리미트 스위치가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구동부(500)로 출력한다.
구동부(500)는 입력된 감지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직렬의 상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지역제어부(400)를 통하여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로 출력하고,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는 상태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RS-485 전송선로를 통해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로 전송하며, 제2통신 인터페이스(200)는 그 신호를 주제어부(1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병렬의 신호로 변환하여 주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주제어부(100)는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신호에따라 이전에 전송한 제어신호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고, 그 다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제어부(100)에서 출력한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신호에 따라 원거리에 위치한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상황신호도 궤환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제어 및 구동 확인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주제어부(100)의 위치가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한정되는 데에 비하여,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가 위치간 곳에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원거리에서도 제어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은 병렬 제어신호에 의한 직접 제어로 인하여 주제어부에서 제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수가 한정되었지만, 본 발명은 주제어부(100)에서 제어할 솔레노이드 밸브 및 해당 지역제어부의 수가 많은 경우에도 다지점 네트웍(multidrop network)을 구성함으로써, 모두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어부(CT)에서는 제1세그먼트당 32개까지의 지역제어부 및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할 수 있으며, 여기에 리피터(repeater, RP)를 이용하면, 더 이상의 지역제어부 및 솔레노이드의 제어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기능이 가능한 것은, 각 지역제어부 내의 지역 확인부가 있어, 주제어부에서는 제어하고자 하는 지역제어부 및 해당 솔레노이드에 해당하는 주소를 신호의 일정한 부분에 포함시켜 출력하고, 각각의 지역제어부 내의 지역 확인부에서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에서 주소부분을 판독하여 해당 지역의 주소인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각각의 개별적인 제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와 제2통신 인터페이스(300)에서 전송신호를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 포토 커플러를 이용함으로써,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전송 선로상의 데이터를 분리함으로써, 통신회선상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의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한편,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의 속도 선택부(213)와 지역제어부(400)의 속도 선택부(420)는 같은 속도로 설정되어 있어야 통신이 가능하며, 아래의 표 1에 나타난 것처럼 딥 스위치(dip switch,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해당 전송속도를 설정한다.
딥 스위치에 의한 전송속도 선택
제1딥 스위치 제2딥 스위치 전송 속도
오프 오프 31.25Kbps
오프 62.50Kbps
오프 187.50Kbps
375.00Kbps
즉, 전송 속도를 31.25Kbps로 설정하려면,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00)의 속도 선택부(213)와 지역제어부(400)의 속도 선택부(420)의 제1딥 스위치 및 제2딥 스위치를 모두 오프시키면 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속도 선택부(213, 420)에서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링잉(ringing)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진동완화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링잉 현상이란, 전기회로 신호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 출력회로의 파형에 감쇄적인 진동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링잉 현상이 발생하면 신호의 품질이 떨어져서 동작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공압 분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는 데에 있어서, RS-485 직렬전송에 의한 제어를 함으로써,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고, 노이즈에 의한 동작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시스템 구성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병렬의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주제어수단;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제어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전송되어 입력되는 직렬의 상태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주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제1통신수단;
    상기 제1통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전송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수단으로 전송하는 제2통신수단;
    직렬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를 병렬의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고,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에 따른 병렬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직렬의 상태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동수단;
    상기 제2통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지역의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구동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통신수단으로 전달하는 지역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수단의 구성은,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제어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고, 직렬신호로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며 전반적인 제1통신수단의 제어를 수행하는 신호제어수단;
    상기 신호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렬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통신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2통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전송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제어수단의 구성은,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병렬의 제어신호를 직렬의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직렬신호로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병렬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주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직병렬 변환수단;
    제1통신수단의 통신 속도를 선택하는 속도 선택수단;
    제1통신수단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신호 처리수단의 구성은,
    상기 신호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송신 처리수단;
    상기 제2통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제어수단으로출력하는 수신 처리수단;
    입력되는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수신 처리수단으로 입력되는 신호의 입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버퍼수단;
    상기 신호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버퍼수단으로 출력하는 동작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수단의 구성은,
    상기 제1통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지역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수신수단;
    상기 지역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여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송신수단;
    입력되는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수단으로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입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전송 버퍼수단;
    상기 지역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버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송 버퍼수단으로 출력하는 버퍼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제어수단의 구성은,
    상기 제2통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지역의 제어신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지역 확인수단;
    상기 제2통신수단의 통신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선택수단;
    상기 제2통신수단과 지역제어수단과 구동수단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구성은,
    상기 지역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렬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병렬신호로 변환시키는 직-병렬 변환수단;
    상기 직-병렬 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동신호 생성수단;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동에 따른 병렬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직렬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지역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병-직렬 변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KR1019990015703A 1999-04-30 1999-04-30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KR10031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703A KR100315987B1 (ko) 1999-04-30 1999-04-30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703A KR100315987B1 (ko) 1999-04-30 1999-04-30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94A KR20000067694A (ko) 2000-11-25
KR100315987B1 true KR100315987B1 (ko) 2001-12-12

Family

ID=1958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703A KR100315987B1 (ko) 1999-04-30 1999-04-30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9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732B1 (ko) * 2000-05-30 2002-08-13 주식회사 쎄코 직렬 통신방식으로 스프레이 머신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KR101499803B1 (ko) * 2013-02-21 2015-03-0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고속 다채널 솔레노이드밸브 구동장치
CN105370962A (zh) * 2015-12-04 2016-03-02 南京中电自动化有限公司 一种模块化气动阀门控制单元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7071A (ja) * 1983-09-06 1985-04-02 Shoketsu Kinzoku Kogyo Co Ltd マニホ−ルド式電磁弁群の制御装置
JPS62165082A (ja) * 1986-01-10 1987-07-21 Tokyo Keiki Co Ltd 流体制御弁通信制御システム
JPS63102490A (ja) * 1986-10-17 1988-05-07 Tokyo Keiki Co Ltd 電磁式流体方向切換弁の制御装置
JPH07190234A (ja) * 1993-12-27 1995-07-28 Toyooki Kogyo Co Ltd 電磁弁制御装置
JPH07239052A (ja) * 1994-02-28 1995-09-12 Toyooki Kogyo Co Ltd 電磁弁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7071A (ja) * 1983-09-06 1985-04-02 Shoketsu Kinzoku Kogyo Co Ltd マニホ−ルド式電磁弁群の制御装置
JPS62165082A (ja) * 1986-01-10 1987-07-21 Tokyo Keiki Co Ltd 流体制御弁通信制御システム
JPS63102490A (ja) * 1986-10-17 1988-05-07 Tokyo Keiki Co Ltd 電磁式流体方向切換弁の制御装置
JPH07190234A (ja) * 1993-12-27 1995-07-28 Toyooki Kogyo Co Ltd 電磁弁制御装置
JPH07239052A (ja) * 1994-02-28 1995-09-12 Toyooki Kogyo Co Ltd 電磁弁制御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732B1 (ko) * 2000-05-30 2002-08-13 주식회사 쎄코 직렬 통신방식으로 스프레이 머신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KR101499803B1 (ko) * 2013-02-21 2015-03-0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고속 다채널 솔레노이드밸브 구동장치
CN105370962A (zh) * 2015-12-04 2016-03-02 南京中电自动化有限公司 一种模块化气动阀门控制单元
CN105370962B (zh) * 2015-12-04 2017-10-24 南京中电自动化有限公司 一种模块化气动阀门控制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94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1159B1 (en) Method of half-duplex serial signal control with multi-baud rate and multi-configuration
US6813538B2 (en) Welding system
US5400360A (en) Repeater for a digital control system
KR100315987B1 (ko) 디지털 직렬제어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시스템
US20040052219A1 (en) Ga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digital asynchronized half-duplex serial transmission between multi-interfac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944157B2 (en) Dual ring dedicated drive control system for medium voltage variable frequency drives
JP3445668B2 (ja) 通信システム
JPH04286239A (ja) 通信装置
CN107707558B (zh) 一种多工业总线的数据传输系统
KR100202977B1 (ko) 이중화 보드와 백보드상의 코넥터간 정합장치
CN113297108B (zh) 适用于半双工总线信号方向控制的电路结构及控制方法
CN111831241B (zh) 一种显示屏和显示屏的地址码设置方法
KR200212137Y1 (ko) 우선순위를 갖는 감시대상 유닛의 장애 상태 전달회로
WO1988009532A1 (en) Serial data link for numerical control device
JPH08270830A (ja) バルブ制御方法
KR0127877Y1 (ko) 알에스-485/알에스-232 컨버터를 구비한 피엘씨 통신 네트워크
JPH08123503A (ja) プラント制御装置
KR100562644B1 (ko) 데이터 송수신방법
JPH04117507A (ja) 通信制御回路及びデータ伝送装置
KR100262864B1 (ko) Plc의 통신 프로토콜
JPH0775345B2 (ja) シリアルインターフェイス
KR100238752B1 (ko) 전송장비에서의 유지보수 데이타 전송장치
KR20010083748A (ko) 통신 시스템의 교환기의 입출력 정합장치
KR100224876B1 (ko) 원격 제어장치
KR20120042447A (ko) 멀티드롭 광 중계 제어 방법 및 멀티드롭 광 중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