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667B1 -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667B1
KR100315667B1 KR1019990040420A KR19990040420A KR100315667B1 KR 100315667 B1 KR100315667 B1 KR 100315667B1 KR 1019990040420 A KR1019990040420 A KR 1019990040420A KR 19990040420 A KR19990040420 A KR 19990040420A KR 100315667 B1 KR100315667 B1 KR 100315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test
mastitis
antibody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258A (ko
Inventor
김용철
정충일
이재현
박홍양
Original Assignee
김용철
이재현
박홍양
정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이재현, 박홍양, 정충일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1019990040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667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6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의 유방염을 일으키는 균주의 다가항체(polyclonal antibodies) 및 단가항체(monoclonal antibodies)를 제조한 후 소에서 채취한 우유내 유방염 항원과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켜 소의 유방염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진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의 유방염 원인균주의 다가항체 및 단가항체를 라텍스, 염색 졸 및 금 졸로 염색하여 테스트 멤브레인에 적용시키므로 유방염에 감염된 소의 우유와 반응시킬 경우 테스트 멤브레인내의 색깔을 관찰하여 유방염 감염여부를 신속,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Test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pathogens cusing bovine mastitis and test with the test device}
본 발명은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소의 유방염을 일으키는 균주의 다가항체(polyclonal antibodies) 및 단가항체(monoclonal antibodies)를 제조한 후 소에서 채취한 우유내 유방염 항원과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켜 단시간에 소의 유방염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진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젖소의 유방염은 우유의 위생적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위생적인 원유생산 문제의 약 50%가 유방염 원인균과 관계가 있다. 현재, 유방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약 40여 가지 이상의 유방염 원인 균주들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병원성 균주들이 감수성을 보이는 다양한 항생제들이 개발되어져 있다. 유방염에 걸린 소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신속하게 치료하기 위해서는 유방염에 걸린 소의 원인 병원균을 신속, 정확하게 판단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신속, 정확하게 유방염의 원인균을 확인하는 방법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종래에는 유방염에 감염된 소의 우유로부터 감염을 일으킨 병원균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우유 내에 존재하는 균들을 배양한 후 생화학적 검사를 거쳐 판단하였으며 이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7 ~ 10일이다. 이러한 방법은 축산농가에 유방염 원인균의 확인에 장시간이 소요돼 경제적으로 커다란 손실을 가져오며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원인균의 정확한 판단 없이 임의의 항생제를 조기에 투여함으로서 항생제의 남용을 불러일으키며 그릇된 항생제의 투여로 인하여 이들 원인균은 투여한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갖음으로써 향후에 정확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으로 인해 원인균이 계속 증식함으로서 유방염 치료에 곤란 및 궁극적으로는 유방염 감염 소의 도태를 유발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신속, 정확하게 유방염을 일으키는 원인균을 밝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유방염 원인균주들 각각에 대한 단가 및 다가 항체를 생산하여 이들 각 균주에 따른 항체들과 유방염에 감염된소에서 채취한 우유를 반응시켜 우유내에 존재하는 병원균과 항원·항체 반응을 통하여 유방염 원인균을 신속, 정확하게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의 유방염 원인균을 항원·항체 반응에 의해 신속, 정확하게 진단하는 진단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진단기구를 이용하여 소의 유방염을 신속, 정확하게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유방염 원인 균주들을 배양한 후 이들 균주의 세포벽을 얻고 상기 균주와 세포벽의 다가항체 및 단가항체를 각각 제조하고 이 항체들을 테스트 스트립내의 테스트 멤브레인에 적용시켜 소의 유방염을 신속,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를 제조하고 제조한 진단기구에 유방염에 감염된 소에서 채취한 우유를 적용시켜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킴으로서 유방염을 진단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소의 유방염 진단을 위한 테스트 스트립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 소의 유방염 진단을 위한 테스트 스트립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국립수의과학 검역원으로부터 분양받은 유방염 원인균주들을 배양한 후 글래스비드로 분쇄하여 상기 균주들의 세포벽을 얻는 단계; 상기 배양한 유방염 원인균주와 균주의 세포벽을 각각 토끼 피하에 주사하고 부스터를 실시하여다가항체를 생산하는 단계; 토끼의 췌장을 분쇄하여 마이엘로마 세포와 융합하여 유방염 원인균주들과 이들 세포벽 성분을 각각 반응시켜 단가항체를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한 단가항체를 테스트 스트립내 테스트 멤브레인내 그 중에서도 반응지역에 적용시켜 소의 유방염 진단을 위한 본 발명 진단기구를 제조하고 이 진단기구를 이용하여 소의 유방염을 진단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는 테스트 멤브레인내 반응지역, 경쟁지역, 검사지역, 확인지역으로 구성된 A형과 경쟁지역, 검사지역, 확인지역으로 구성된 B형 및 반응지역, 검사지역, 확인지역으로 구성된 C형으로 구분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소의 유방염을 일으키는 각 균주에 대하여 생산한 항체들을 테스트 스트립(test strip)내의 테스트 멤브레인(test membrane) 그중에서도 반응지역에 적용시켰으며 이러한 각 균주에 대한 테스트 스트립들을 하나의 진단기구내에 모두 포함시켜 유방염에 감염된 소에서 채취한 우유로부터 신속하게 유방염 원인균을 찾았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유방염 원인균주는 유방염 발병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스테필로코크스 균주(Staphylococccusspp.)인 스테필로코크스 아우리우스(Staph. aureus;ATCC 25923), 스테필로코크스 에피데르미디스(Staph. epidermidis;ATCC 29970), 스테필로코크스 하에모리티쿠스(Staph. haemolyticus;ATCC 15796)와 스트렙토코크스 균주(Streptococcusspp.)인 스트렙토코크스 보비스(Str. bovis;ATCC 33317), 스트렙토코크스 유베리스(Str. uberis;ATCC 19436), 스트렙토코크스 아그락티아에(Str. aglactiae;ATCC 49446),스트렙토코크스 디스아가락티아(Str. dysgalactiae;ATCC 43078)를 국립 수의과학 검역원으로부터 분양을 받아 실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방염 원인균주들의 다가 및 단가 항체 생산
제 1 공정: 유방염 원인균주 및 이들 원인균주들의 세포벽 분리
국립 수의과학 검역원으로부터 분양받은 소의 유방염 원인 균주를 각각 트립틱 소이브로스 배지(배지 1리터당 포함된 성분: 17g Digest of casin, 3.0g Papaic Digest of Soybean Meal, 2.5g Dextrose, 5.0g NaCl, 2.5g K2HPO4)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했다. 이들 균주를 10,000g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회수했으며 증류수로 3회 세척한 후 냉동건조했다. 세포벽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세척한 균주들을 최종 5%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했다. 유리구슬(glass bead)를 첨가한 후 거세게 혼합하여 균들을 분쇄한 후 10,000g에서 20분간 하여 침전물을 회수했다. 이들을 1M NaCl에 2회 세척한 후 슈크로스 그레디언트(sucrose gradient)원심분리를 10,000g에서 15분간 실시하여 세포벽을 회수했으며 이를 증류수에 세척 후 냉동건조하였다.
제 2 공정: 유방염 원인균주 및 이들 세포벽의 다가항체 생산
상기 제 1 공정에서 얻은 소의 유방염 원인 균주 및 세포벽을 각각 1g씩 멸균한 생리식염수(1mM KH2PO4/K2HPO4, 0.15M NaCl, pH 7.4) 2.5㎖에 용해시킨 후 2.5㎖의 푸른더 용액(Freund complete adjuvant)에 용해시켜 토끼 피하에 6회에 나누어 주사한 후 8 ~ 12회의 부스터(booster)를 실시하였다. 이들 토끼들로부터 1 ~ 2개월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0.1M의 포스페이트 버퍼(KH2PO4/K2HPO4)에서 투석한 후 단백질 A(protein A) 친화 크로마토그래피(affinity chromatography) 칼럼으로 분리하여 생리 식염수에서 투석했다. 이와 같이 분리된 다가항체를 농축한 후 글리세롤을 첨가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제 3 공정: 유방염 원인균주 및 이들 세포벽 단가항체 생산
상기 제 2 공정의 토끼 췌장을 분쇄하여 마이엘로마 세포와 50%의 PEG 조건에서 융합하여 HAT(hypoxanthine, aminopterin, thymidine) 배지에서 선발했으며, 사멸된 유방염 원인균주들이나 이들의 세포벽 성분들과 반응시킨 후 알칼라인 포스파테이즈 효소와 연결된 토끼 항체(anti-rabbit immunoglobulin)를 반응시켜 각 원인 균주에 특이성을 갖는 단가항체들을 생산하는 클론들을 분리하였다. 이들로부터 단가항체 분리는 제 2 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분리하였다.
실시예 2: 진단기구 제조
본 실시예의 진단기구의 내부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스트 스트립은 시료접수지역(sample receiving zone), 여과지역(filtering zone), 테스트 멤브레인, 최종흡수지역(absorbing zone)으로 구성하였다. 시료접수지역은 우유를 흡수하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규격을 갖는 구경(pore size) 5nm 이상의 다공성 유리섬유로 구성하였으며 이의 역할은 우유를 흡수하며 또한 거대 이물질을 여과한다. 시료접수지역은 방사상 또는 일렬로 배열된 여과지역에 연결하였으며, 여과지역은 구경 5nm 이상의 다공성 유리섬유 패드로 구성하였고 이의 역할은 시료접수지역에서 전달된 유유를 전달하며 우유내에 존재하는 거대 이물질들을 제거한다. 여과지역은 테스트 멤브레인에 연결하였다. 테스트 멤브레인은 A, B, C 3가지로 만들었다. 최종흡수지역은 반응이 완료된 후의 용액들을 최종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테스트 멤브레인 A, B, C 형의 구성은 하기와 같다.
테스트 멤브레인 A의 구성
테스트 멤브레인 A는 반응지역(reaction zone), 경쟁지역(competition zone), 검사지역(dection zone), 확인지역(control zone)으로 구성하였다. 반응지역은 사각형의 구경이 5nm 이상인 다공성 유리섬유 패드나 구경이 8㎛ 이상인 다공성 나이트로 셀룰루스 종이에 위치시켰다. 경쟁지역, 검사지역, 확인지역은 구경이 8㎛ 이상인 하나의 나이트로 셀룰로스 종이에 일렬로 위치시켰으며 반응지역을 포함하는 유리섬유 패드나 나이트로 셀룰로스 종이와 말단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반응지역의 용액이 전달되도록 만들었다. 반응지역은 토끼로 부터 생산한 유방염 균주들의 항체와 함께 쥐에서 추출한 이뮤노글로블린 지(rat Lg G)를 혼합하였다. 이들 항체들은 우유가 유입되어 접촉시에는 이들 항체는 부착되어 있던 나이트로 셀룰로스 종이나 유리섬유에서 이탈되며 이때 토끼에서 생산된 균주들의 항체는 우유내 병원균과 항원·항체 반응을 하며 쥐의 이뮤노글로블린 지 항체와 함께 경쟁지역으로 이동하였다. 경쟁지역은 항원인 사멸된 유방염 균주나 이들 세포벽 물질을 고정시켰으며 이들 항원은 액체와 접촉에서도 종이로부터 떨어지지 않았다. 이때, 항원은 반응지역 균주들의 항체에 대한 것으로 경쟁지역의 항원은 유입된 우유내의 유방염 균이 반응지역의 항체와 결합할 경우에는 경쟁지역에 있는 항원과 반응지역에서 유입된 항체는 결합하지 않으며 검사지역으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유방염 균이 반응지역의 항체와 결합하지 못하거나 결합이 비특이적일 경우 항체는 경재이역에 고정되어 있는 항원과 결합하여 고정되며 검사지역으로 이동하지 않았다. 한편 쥐의 이뮤노글로블린 지는 이들과의 반응에 관련없이 검사지역으로 이동하였다. 검사지역은 양에서 생산한 토끼 항체 이뮤노글로블린 지(anti-rabbit Ig G)가 고정되어 있으며 액체와 접촉시에도 유리되지 않았다. 반응지역에 있던 항체가 우유내에 존재하는 유방염균과 결합하여 경쟁지역을 지나 검사지역에 도달하면 이들은 토끼 항체 이뮤노글로블린 지와 결합하여 고정되었다. 한편 쥐의 이뮤노글로블린 지는 확인지역으로 이동하여 말에서 생산한 쥐 항체 이뮤노글로블린 지(anti-rat Ig G)가 고정되어 있는 확인지역에서 반응하여 고정되며 검사자체의 성공여부를 판단하였다. 확인지역의 쥐 항체 이뮤노글로블린 지도 액체와의 접촉시 이탈되지 않았다. 확인지역은 최종 흡수지역에 연결하였다.
테스트 멤브레인 B 구성
테스트 멤브레인 A와 B는 유사하며 이들간의 차이는 단지 반응지역과 경쟁지역이다. 테스트 멤브레인 B는 반응지역이 없으며 경쟁지역, 검사지역, 확인지역으로 나누어지며 이들은 하나의 구경이 8㎛ 이상인 나이트로 셀룰로스 종이에 일렬로 배열하였다. 경쟁지역은 테스트 멤브레인 A에서의 경쟁지역과 동일한 유방염 균주 혹은 이들 세포벽 항원을 미리 종이에 고정한 후 테스트 멤브레인 A의 반응지역에 존재하는 토끼에서 생산한 항체들과 반응시켰다. 경쟁지역에는 테스트 멤브레인 A의 반응지역에 있는 쥐의 이뮤노글로블린도 테스트 멤브레인 A에서와 마찬가지로 준비했다. 경쟁지역은 유입되는 우유의 유방염 균과 종이에 공정되어 있는 항원들과 토끼에서 생산된 균주항체에 대해 경쟁을 유도하여 우유의 유방염 균과 종이에 고정되어 있는 항원이 같을 경우 종이에 고정되어 있는 항원과 결합하고 있는 항체의 일부가 유리되었다. 유리된 항체는 검사지역으로 이동하며 이때 쥐의 이뮤노글로블린도 함께 검사지역으로 이동하였다. 검사지역과 확인지역에서 일어나는 모든 반응은 테스트 멤브레인 A에서와 정확히 같았다.
테스트 멤브레인 C 구성
테스트 멤브레인 C는 테스트 멤브레인 A나 B와는 달리 토끼에서 생산한 항체의 경우 단가 항체만을 사용하였으며 반응지역, 검사지역, 확인지역으로 구분되었다. 반응지역은 테스트 멤브레인 A에서와 같이 유리섬유나 나이트로 셀룰로스 종이에 일렬로 배열하였다. 토끼의 췌장세포와 마이엘로마 세포의 융합에서 생성된 단가항체는 유방염 균에 따라 테스트 멤브레인 에이에서와 같이 분류하였다. 유방염 균에 따라 분류된 다가항체의 경우 하나의 단가항체는 반응지역에 부착시켰으며 같은 균에서 유래된 또 다른 단가항체는 검사지역에 부착시켰다. 따라서 반응지역의 단가항체와 검사지역의 단가항체는 상호반응을 일으키지 않았다. 또한 반응지역에서는 쥐의 이뮤노글로블린 지를 혼합하였다. 반응지역의 항체는 테스트 멤브레인 A에서와 마찬가지로 우유와 접촉시는 종이나 유리섬유에서 유리되며 검사지역의 항체는 테스트 멤브레인 A에서와 마찬가지로 종이에 고정되어 우유와 접촉시에도 유리되지 않게 고정하였다. 확인지역은 테스트 멤브레인 A의 검사지역에서 사용한 말에서 분리한 쥐항체(anti-rat Ig-G)를 종이에 같은 원리로 고정시켰다.
상기 멤브레인 A, B 및 C를 포함하는 테스트 스트립으로 구성된 진단기구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외부구조의 전체 규격은 직경이 10cm이상이며 두께는 5mm이상이고 각각의 테스트 스트립의 반응결과를 알 수 있는 창문구조가 각각의 테스트 멤브레인의 검사지역 및 확인지역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유방염 균을 판별하기 위하여 검사지역이 보이는 창문구조에 이들 각각의 병원균의 이름을 기록하였다. 테스트 멤브레인 A와 C의 반응지역과 테스트 멤브레인 B의 경쟁지역에 있는 유방염 원인균에 대한 항체 및 쥐의 항체에 색깔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항체들은 염색된 라텍스와의 결합, 염색 졸(dye sol)과의 결합 혹은 금 졸(gold sol)과의 결합을 통하여 색깔을 나타냈다.
첫째, 라텍스의 경우을 보면 유방염 원인균에 대한 항체는 적색으로 쥐의 항체는 청색으로 염색된 라텍스와 결합시켰다. 라텍스는 직경이 0.3㎛인 폴리스티렌비드를 사용하였다. 청색 및 적색의 염료를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후 라텍스 입자가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염색하였다. 염색된 라텍스 12.5mg을 0.1M의 보레이트 버퍼(H3BO3)에 희석한 후 4회에 걸쳐 보레이트 버퍼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세척 후 이들을 다시 보레이트 버퍼에 혼합한 후 항체 약 30㎍을 각각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상온에서 20시간 배양한 후 10.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를 실시한 후 0.5mg의 우혈청 알부민이 함유된 1.5㎖의 보레이트버퍼와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한 후 우혈청 알부민(5mg/㎖)이 포함된 포스페이트 생리식염수에서 원심분리를 통하여 3회 세척하였다. 이들을 다시 우혈청 알부민(5mg/㎖), 5%(w/v) 글리세롤이 함유된 포스페이트 생리식염수에 혼합하였다. 두 번째로 염색 졸의 경우, 50g의 염료를 1L의 증류수에 첨가한 후 분산시켰다. 실온에서 15,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으며 다시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이들을 500㎖의 증류수에 분산하여 염색 졸을 조제하였다. 항체는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최종농도가 2mg/㎖이 되도록 했다. 항체 100㎕, 염색 졸 2㎖, 0.1M 포스페이트 버퍼 2㎖, 증류수 15.9㎖을 혼합하였다. 5mM의 NaCl에 용해시켜 50mg/㎖ 농도인 우혈청 알부민을 4㎖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5분간 배양 후 3,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여 침전물을 회수하였으며 이들을 0.25%의 덱스트란(dextran), 0.5%의 락토스(lactose)를 포함한 0.04M의 포스페이트 버퍼 10㎖에 용해시켰다. 이들을 냉동건조하여 보관하였다. 세 번째 금 졸의 경우는 콜로이드 상태의 금인 G20을 0.1M의 K2CO3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중성으로 조정했다. 항체는 2mM의 보레이트 버퍼에 용해하여 최종 농도는 1mg/㎖로 하였다. 이러한 금 졸 20㎖과 항체 20㎕를 혼합하였으며 이들 혼합물을 0.1M의 K2CO3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중성으로 조정했다. 여기에 10% 우혈청 알부민 2㎖을 첨가한 후 3회에 걸쳐 12,000g에서 30분간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침전물인 금 졸-항체의 복합물을 회수하였다. 이들을 20mM 트리스, 150mM NaCl에 용해시킨 1% 우혈청 알부민에 용해시켰다.
반응지역의 경우, 반응지역을 갖는 나이트로 셀룰로스 종이나 유리섬유는 60% 슈크로스(sucrose) 용액을 에어브러쉬를 이용하여 선처리하였다. 염색된 라텍스와 결합하고 있는 항체들은 1% 메싸겔 캄(methacel KAM)과 0.6% 폴리비닐 알코올(polivinylalcohol) 용액에 처리한 후 슈크로스 용액을 선처리 한 곳에 에어브러쉬를 이용하여 3회 이상 도포한 후 건조시켰다.
경쟁지역, 검사지역, 확인지역의 경우, 경쟁지역은 생리식염수에 첨가된 사멸된 원인균이나 세포벽 성분을 마이크로 주사기를 이용해 도포한 후 건조시켰으며 검사 및 확인지역은 각각의 항체를 에어브러쉬를 사용하여 분사한 후 건조시켰다. 건조 후 나이트로 셀룰로스 종이는 비특이적 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1% 폴리비닐 알코올에서 30분간 처리했다.
우유 시료흡수지역 및 여과지역은 이들 지역은 용해(10% scrose, 2% 우혈청알부민, 0.25% 젤라틴, 100mM NaCl, 50mM의 트리스)을 분사하거나 이에 침지하여 건조시켜 우유시료의 적절한 이동을 유도하였다.
실시예 3: 유방염에 감염된 소로부터 채취한 우유의 원인균 검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3가지(테스트 멤브레인 A를함유한 진단기구, 테스트 멤브레인 B를 함유한 진단기구, 테스트 멤브레인 C를 함유한 진단기구)의 우유 시료접수지역에 유방염에 감염된 소에서 채취한 우유 1㎖을 떨어뜨려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2 ~ 5분 이내에 검사결과를 얻었다. 실험결과, 반응지역의 항체들을 염색한 라텍스와 결합시킨 경우 우유내에 존재하는 유방염 감염 원인균의 항체가 존재하는 테스트 멤브레인의 경우는 검사지역에 적색의 선과 확인지역에 청색의 선이 창문을 통하여 나타났으며 나머지 테스트 멤브레인에서는 확인지역에서 청색선만 창문을 통하여 나타났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소의 유방염 원인균주의 다가항체 및 단가항체를 라텍스, 염색 졸 및 금 졸로 염색하여 테스트 멤브레인에 적용시키므로 유방염에 감염된 소의 우유와 반응시킬 경우 테스트 멤브레인내의 색깔을 관찰하여 유방염 감염여부를 신속,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수의학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소의 유방염 원인균 항체를 시료접수지역, 여과지역, 테스트 멤브레인, 최종흡수지역으로 구성된 테스트 스트립에 적용시켜 감염된 소에서 얻은 우유와 항원·항체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테스트 멤브레인은 소의 유방염 원인균 항체가 결합된 반응지역, 상기 소의 유방염 원인균의 사멸균이나 이들 세포벽 성분을 도포한 경쟁지역, 색을 관찰하여 유방염 감염여부를 판단하는 검사지역 및 확인지역으로 구성된 A형, 상기와 동일한 경쟁지역, 검사지역, 확인지역으로 구성된 B형 또는 반응지역, 검사지역, 확인지역으로 구성된 C형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테스트 스트립의 테스트 멤브레인에 적용된 항체들은 염색된 라텍스, 염색 졸, 금 졸과 결합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4. 제 2항에 있어서, 테스트 멤브레인의 반응지역 구경은 5nm이상인 유리섬유나 구경 8㎛ 이상인 나이트로 셀룰로스 종이로 구성되며, 경쟁지역, 검사지역, 확인지역은 구경 8㎛이상인 나이트로 셀룰로스 종이로 구성되며 테스트 멤브레인 뒷면은 용액에 불투과성 물질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5. 제 1 항 기재의 테스트 스트립에 유방염에 감연된 소로부터 얻은 우유를 시료접수지역에 적용시켜 거대 이물질을 여과하고 다시 여과지역에 통과시켜 나머지 이물질을 제거한 후 테스트 멤브레인내 반응지역에서 유리섬유에서 이탈되는 항체와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킨 다음 쥐의 이뮤노글로블린 지 항체와 함께 경쟁지역으로 이동시키고 경쟁지역에서 유방염 균이 반응지역 항체와 결합했을 경우에만 반응지역 항체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검사지역으로 이동하고 검사지역으로 이동한 경우만 토끼 항체 이뮤노글로블린 지와 결합하여 확인지역으로 이동하면서 검사지역과 확인지역에서 항체를 염색한 색깔을 관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의 유방염 진단방법.
KR1019990040420A 1999-09-20 1999-09-20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100315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420A KR100315667B1 (ko) 1999-09-20 1999-09-20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420A KR100315667B1 (ko) 1999-09-20 1999-09-20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258A KR20010028258A (ko) 2001-04-06
KR100315667B1 true KR100315667B1 (ko) 2001-11-30

Family

ID=1961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420A KR100315667B1 (ko) 1999-09-20 1999-09-20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7406A1 (zh) * 2019-09-26 2021-04-01 河北省科学院生物研究所 一种检测奶牛乳腺炎的试剂盒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25065T3 (es) * 2011-12-09 2017-07-18 Sietze Sietzema Método de detección de bacterias en la lech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388Y1 (ko) * 1982-09-20 1984-11-22 윤휘정 필 기 구
JPS6022664A (ja) * 1983-07-18 1985-02-05 Shigetaka Shibata ラクトフエリンによる乳腺炎の診断法、診断試薬および診断用試薬キツト
US4771007A (en) * 1982-03-18 1988-09-13 Wescor, Inc. Electrical conductivity device for detecting mastitis in dairy cows
US5132210A (en) * 1986-12-02 1992-07-21 Proscience Corporation Diagnostic test for staphylococcal mastitis
US5807684A (en) * 1994-01-21 1998-09-15 Simmons; Maxine Helen Mastitis tes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1007A (en) * 1982-03-18 1988-09-13 Wescor, Inc. Electrical conductivity device for detecting mastitis in dairy cows
KR840002388Y1 (ko) * 1982-09-20 1984-11-22 윤휘정 필 기 구
JPS6022664A (ja) * 1983-07-18 1985-02-05 Shigetaka Shibata ラクトフエリンによる乳腺炎の診断法、診断試薬および診断用試薬キツト
US5132210A (en) * 1986-12-02 1992-07-21 Proscience Corporation Diagnostic test for staphylococcal mastitis
US5807684A (en) * 1994-01-21 1998-09-15 Simmons; Maxine Helen Mastitis te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7406A1 (zh) * 2019-09-26 2021-04-01 河北省科学院生物研究所 一种检测奶牛乳腺炎的试剂盒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258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80362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 of reactivity between diagnostic reagents and microorganisms
Lightowlers et al. Serological diagnosis of Echinococcus granulosus infection in sheep using cyst fluid antigen processed by antibody affinity chromatography
JPH09500961A (ja) 同時免疫分析のための方法と装置
JPS62501645A (ja) 固相拡散試験法
JP4554472B2 (ja) パルボウイルス抗原検出用キット
KR100315667B1 (ko) 소의 유방염 진단기구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20100132964A (ko) 폐렴구군 검출방법
US20030124635A1 (en) Antibody and immunoassay
KR100593286B1 (ko)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에 의한 개 디스템퍼 바이러스 항체 진단키트
US20210324055A1 (en) Methods, Devices, Kits and Compositions for Detecting Tapeworm
WO2018150148A1 (fr) Methode de dosage immunologique d'anticorps specifiques d'antigenes de virus de la famille des poxviridae
US20030092086A1 (en) Method for detecting streptococcus sobrinus and antibody therefor
JPH02502121A (ja) ブドウ球菌性乳腺炎診断試験方法
DE19758017C2 (de) Verfahren zum Nachweis von Borna-Disease-Virus (BDV)-Infektionen über den Nachweis zirkulierender Immunkomplexe und hierfür verwendbarer diagnostischer Kit
EP2561362B1 (de)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salmonelleninfektion
CN111948388B (zh) 一种检测腐败梭菌的胶体金试纸条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782463C1 (ru) Способы, устройства, наборы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ленточных червей
KR102013954B1 (ko) 서울바이러스와 푸말라바이러스 유래의 재조합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 및 한탄바이러스 유래의 재조합 당단백질을 포함하는 신증후군출혈열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단 키트
Clausen et al. Antibody-mediated immunochemistry and immunoassay in plant-related diseases
DE3720655C2 (ko)
Reddy et al. Wb E34 monoclonal antibody: further characterization and diagnostic use in bancroftian filariasis
EP4302090A1 (en) Lateral flow assay for detecting pathogens in milk from mastitic cows
Ivaschenko et al.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enzyme immunoassay-based monoclonal test system for the detection of the Yersinia pestis V antigen
CA3184155A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une bacterie d'interet
Corbel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major antigens of Haemophilus equigenitalis (contagious equine metritis org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