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061B1 -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061B1
KR100315061B1 KR1019990053116A KR19990053116A KR100315061B1 KR 100315061 B1 KR100315061 B1 KR 100315061B1 KR 1019990053116 A KR1019990053116 A KR 1019990053116A KR 19990053116 A KR19990053116 A KR 19990053116A KR 100315061 B1 KR100315061 B1 KR 100315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rod
hood
fender panel
groov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433A (ko
Inventor
손병락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53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0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0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후드를 지지하는 스테이로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이로드의 말단부와 차체의 펜더부를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변경하여 스테이로드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그로인해 후드를 장기간 지지하는 경우에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펜더 패널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클립을 결합하여 스테이로드를 클립과 밀착시키는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에 있어서, 펜더 패널에는 일측에 관통홈을 형성하고 타측에 플랜지 부를 형성하며, 상기 펜더 패널에 결합되는 클립은 몸체의 일측에 클램프 부를 형성하고 타측에 형성된 측면부의 상부에 관통홈의 내측을 향하여 절개되는 탄성부를 가지는 스테이로드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펜더 패널의 관통홈에는 스테이로드 삽입부를 결합하고 상기 펜더 패널의 플랜지 부에는 클램프 부를 결합하며, 상기 스테이로드 삽입부의 탄성부와 스테이로드의 돌기가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Hood stayrod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후드를 지지하는 스테이로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이로드의 말단부와 차체의 펜더부를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변경하여 스테이로드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그로인해 후드를 장기간 지지하는 경우에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차량의 점검 또는 차량의 사고시 전방으로 설치되는 후드(Hood)를 열고 스테이로드를 후드에 고정한 후 엔진룸을 점검하거나 파손된 부품을 교환하게 된다. 상기 후드를 열고 지지하는 방식은, 후드 앞에서 위쪽으로 올려 열도록 되어 있는 전개(前開) 방식과 후드 뒤에서 앞쪽으로 올려 열도록 한 후개(後開)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량의 후드를 열고 운전자(또는 작업자)가 엔진룸에 대한 점검 및 부품 교환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후드를 지지하는 스테이로드는 강한 지지력을 가지고 스테이로드 자체는 탄성 변형력이 없어야만 차량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후드를 장기간 지지하여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1a은 종래의 후드 스테이로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A부 상세도이다.
차량(10)에는 길이방향의 전방에 엔진 룸(12)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 룸(12)에는 상부에 후드(14)를 덮어 구성하며, 특히 상기 후드(14)는 개,폐가 용이한 구조로 상기 후드(14)를 열면 하부에서 스테이 로드(16)를 사용하여 지지하게 된다.
상기 스테이 로드(16)는 일측을 지지시키는 지지점을 차량(10)의 앞 펜더를설치한 라디에이션 지지 패널(18)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라디에이션 지지 패널(18)의 일측 상부에는 중앙부에 홈을 형성시킨 패드(20)를 안착하고 상기 패드(20)는 브라켓트(22)로 그 패드(20)를 감싸도록 형성하여 볼트(24)로 라디에이션 지지 패널(18)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 후 상기 패드(20)의 홈에는 고정부가 절곡되고 업셋(upsetting)된 스테이 로드(16)의 일단을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테이 로드(16)는 라디에이션 지지 패널(18)에 안착되어 브라켓트(22)로 고정되는 패드(20)의 홈에 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테이 로드(16)는 패드(20)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결합시키는 일측을 업셋된 부위로 형성시키는 관계로 스테이 로드(16)를 패드(20)에 결합시키는 경우 스테이 로드(16)의 업셋된 부위를 억지끼움하는 관계로 결합에 주위를 요한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차량의 펜더 패널(25)에는 절곡된 일측면에 중공부인 관통홈(26)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홈(26)에는 클립(28)을 결합한다. 상기 펜더 패널(25)의 관통홈(26)은 클립(28)과 접하는 부분을 말한다.
상기 클립(28)은 전체적인 형상을 'ㄴ'자로 굴곡되도록 형성시키는데, 상기 클립(28)의 일측은 펜더 패널(25)의 벤딩부(bending part)(30)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타측은 관통홈을 형성한 삽입부(32)를 형성하여 그 삽입부(32)가 펜더 패널(25)의 관통홈(26)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클립(28)의 삽입부(32)에는 스테이 로드(16)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펜더 패널(25)에 설치된 관통홈(26)과클립(28)의 삽입부(32) 중앙에 형성된 관통홈은 동일한 이름을 사용하였다.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차량의 라디에이션 지지 패널(18)에는 관통홈(2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26)에는 플러그(34)가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34)에는 또한 스테이 로드(16)를 결합시키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스테이 로드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의 구조는, 스테이 로드의 피벗(pivot)부에 대한 구조로 대변되는데, 상기 스테이 로드는 후드의 중량을 지지하는 고정부의 강도가 높아야만 차량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도 2와 도 3에서 예시한 타입은 펜더 패널과 라디에이션 지지 패널의 측면에 고정하는 타입으로 현재는 많이 사용되는 구조이다.
종래 차량의 라디에이션 지지 패널에 스테이 로드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의 구조는, 패드와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업셋된 스테이 로드를 고정시키는 경우, 스테이 로드에 업셋 공정을 추가하므로 작업 공정이 추가되고 부품수가 증가하며, 또한 스테이 로드에 업셋팅 부분이 발생되므로 스테이 로드를 패드에 결합시는 억지끼움을 하는 관계로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펜더 패널에 중공부인 관통홈을 형성하고 클립을 삽입한 후 스테이 로드를 결합시키는 경우, 펜더 패널에 형성된 관통홈이 진원을 정확히 형성하지 못하므로 클립을 결합시 관통홈과 클립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고, 또한 펜더 패널의 무게 중심부가 바닥면을 벗어나 있으므로 펜더 패널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힘이 발생되어 펜더 패널의 자체적인 소성 변형을 방지시키지 못하여 품질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펜더 패널부에 관통홈을 형성하고 플러그를 삽입시킨 후 그 플러그에 스테이로드를 결합하는 경우는, 날카로운 펜더 패널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관계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플러그가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지만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펜더 패널에 플랜지를 주게되면 펜더 패널에 대한 플러그의 삽입이 어렵고, 또한 그 플러그에 스테이로드를 결합시키는 경우 스테이로드가 플러그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스테이 로드를 결합시키는 클립에 클램프 부를 형성하여 펜더 패널의 플랜지와 견고하게 결합을 시킬 수 있어 스테이 로드를 사용하여 후드를 장기간 지지하여도 탄성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스테이 로드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에 돌기를 추가함으로써 스테이 로드, 클립의 스테이로드 삽입부 및 펜더 패널이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차량의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펜더 패널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클립을 결합하여 스테이로드를 클립과 밀착시키는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에 있어서, 펜더 패널에는 일측에 관통홈을 타측에 플랜지 부를 형성하며, 상기 펜더 패널과 결합되는 클립은 몸체의 일측에 클램프 부를 타측에 측면부의 상부로 스테이로드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펜더 패널의 관통홈에는스테이로드 삽입부를 결합하고 상기 펜더 패널의 플랜지 부에는 클램프 부를 결합하며, 상기 스테이로드 삽입부에는 관통홈의 내측을 향하여 절개되는 탄성부를 형성하여 외주연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가지는 스테이로드와 밀착되도록 결합시키는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를 제공한다.
도 1a은 종래의 후드 스테이로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도 1a의 A부 상세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또 다른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도 4a의 B-B 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C-C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40 : 펜더 패널 44,68 : 관통홈
48 : 플랜지 부 50 : 클립
54 : 몸체 58 : 클램프 부
60 : 측면부 64 : 스테이로드 삽입부
70 : 탄성부 74 : 스테이로드
78 : 돌기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B-B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C-C 단면도이다.
도 4a에서는 펜더 패널(40)에 클립(50)이 결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4b에서는 펜더 패널(40)에 삽입된 클립(50)에 스테이 로드(74)가 결착된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차량의 펜더 패널(40)에는 일측에 관통홈(44)을 타측에 플랜지 부(48)를 형성하며, 특히 상기 플랜지 부(48)와 관통홈(44)에는 클립(50)을 결합시킨다. 즉, 상기 클립(50)은 플랜지 부(48)에 클램프 부(58)가 결합되고 관통홈(44)에 스테이로드 삽입부(64)가 결합된다.
상기 클립(50)은 크게, 몸체(54), 클램프 부(58), 측면부(60) 및 상기 측면부(60)의 상부에 형성된 스테이로드 삽입부(64)로 형성된다. 상기 클립(50)의 클램프 부(58)는 단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펜더 패널(40)의 벤딩 부에 밀착되고 스테이로드 삽입부(64)는 중앙에 관통홈(68)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스테이로드 삽입부(64)에는 절개되는 다수개의 탄성부(70)를 형성하는 구조이며, 상기 클립의 관통홈(68)에는 스테이 로드(74)가 결합된다. 상기 클립(50)의 몸체(54)는 펜더 패널(40)의 바닥에 밀착되는 구조로서 펜더 패널(4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구조라 말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 로드(74)는 일측 말단에 외부로 돌출시키는 돌기(도면상 1개만 도시)(78)를 다수개 형성하는데, 상기 스테이 로드(74)의 돌기(78)에 의해서 클립(50)과 스테이 로드(74)가 밀착되게 된다.
상기 클립(50)과 펜더 패널(40)의 결합에 의한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클립(50)의 스테이로드 삽입부(64)에는 관통홈(68)의 내측 중앙을 향하여 절개된 탄성부(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로드 삽입부(64)에는 스테이 로드(74)의 일측 고정부가 결합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테이 로드(74)에는 외주연에 돌출되는 돌기(78)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돌기(78)에 의해서 탄성부(70)는 외측으로 밀착되게 되어 클립(50)과 스테이로(74)가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50)의 클램프 부(58)에는 그 내측에 펜더 패널(40)의 플랜지 부(48)를 흔들림없도록 밀착시키는 관계로 스테이 로드(74)의 회전력에 대하여 펜더 패널(40)이 대항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후드 스테이로드의 구조는, 스테이 로드의 몸체의 일측에는 클램프 부를 형성하여 펜더 패널을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관계로 펜더 패널의 회전력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할 수있어 펜더 패널의 비틀림력에 강하게 대응하며, 또한 스테이 로드의 고정부에 돌기를 다수개 형성함으로 클립의 삽입부에 형성된 탄성부가 견고하게 밀착됨과 아울러 종래와 같은 구조에서 발생되던 펜더 패널과 클립 사이의 유격을 없앨수 있어 스테이 로드를 강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펜더 패널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클립을 결합하여 스테이로드를 클립과 밀착시키는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에 있어서, 펜더 패널(40)에는 일측에 관통홈(44)을 형성하고 타측에 플랜지 부(48)를 형성하며, 상기 펜더 패널(40)에 결합되는 클립(50)은 몸체(54)의 일측에 클램프 부(58)를 형성하고 타측에 형성된 측면부(60)의 상부에 관통홈(68)의 내측을 향하여 절개되는 탄성부(70)를 가지는 스테이로드 삽입부(64)를 형성하며, 상기 펜더 패널(40)의 관통홈(44)에는 스테이로드 삽입부(64)를 결합하고 상기 펜더 패널(40)의 플랜지 부(48)에는 클램프 부(58)를 결합하며, 상기 스테이로드 삽입부(64)의 탄성부(70)와 스테이로드(74)의 돌기(74)가 상호 밀착되도록 결합하는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구조.
KR1019990053116A 1999-11-26 1999-11-26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KR100315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116A KR100315061B1 (ko) 1999-11-26 1999-11-26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116A KR100315061B1 (ko) 1999-11-26 1999-11-26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433A KR20010048433A (ko) 2001-06-15
KR100315061B1 true KR100315061B1 (ko) 2001-11-24

Family

ID=1962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116A KR100315061B1 (ko) 1999-11-26 1999-11-26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0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954B1 (ko) * 2006-12-06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드 스테이 로드의 프로텍터
KR100828843B1 (ko) * 2006-12-08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패널 고정용 스테이로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433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5931B2 (en) Spacer for windshield wiper
GB2290346A (en) Articulated joint of two adjacent components
AU7187100A (en) Modular clip
KR100315061B1 (ko) 차량용 후드 스테이로드
US20020043819A1 (en) Structure for mounting a crash pad of an automobile
KR100510264B1 (ko) 변속기 지지구조
KR950005134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미러 홀더 플레이트 고정구조
CN211493771U (zh) 车辆顶棚拉手盖板装配结构
KR0152740B1 (ko) 프런트 범퍼의 체결구조
JPH06137357A (ja) バンパーバウンドとダストカバーとの組立構造
JPH02102812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の取付構造
JPS63141881A (ja) サスペンシヨン組立方法
ITMI941261A1 (it) Dispositivo per il supporto senza viti di un ammortizzatore di una lavatrice
KR970000617Y1 (ko) 차량의 카울그릴조립용 보호재
JPH04125958U (ja) フエンダープロテクターの取付構造
JPH0714695B2 (ja) ドアサッシュ組付け方法
KR100220064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어셈블리 조립장치
KR19980034842U (ko) 버스의 일체 구조형 프레임
JPS6020488Y2 (ja) リ−フスプリングの取付け装置
KR200168072Y1 (ko) 버스차량의 프론트 범퍼 커버 장착구조
KR960040712A (ko) 프런트 서스펜션용 스테빌라이저의 취부고정방법
KR0136844Y1 (ko) 개선된 자동차의 헤드램프 스페이서와 휀더 패널의 장착구조
KR20050034032A (ko) 조립장치
KR950009782A (ko) 새도우마스크 지지용 스프링
JP2000280840A (ja) フロントグリル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