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864B1 - 소세지링크를형성하기위한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소세지링크를형성하기위한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864B1
KR100314864B1 KR1019950704509A KR19950704509A KR100314864B1 KR 100314864 B1 KR100314864 B1 KR 100314864B1 KR 1019950704509 A KR1019950704509 A KR 1019950704509A KR 19950704509 A KR19950704509 A KR 19950704509A KR 100314864 B1 KR100314864 B1 KR 100314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usage
links
twisted
sausage links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렌제임스핸론
톰새들러린취
데릭사무엘데이비드노우드
프레더리커스요하니스브링크
잔스키퍼
Original Assignee
존 닐슨
데브로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닐슨, 데브로 피엘씨 filed Critical 존 닐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1/00Sausage making ; Apparatus for handling or conveying sausage products during manufacture
    • A22C11/10Apparatus for twisting or linking sausages
    • A22C11/108Apparatus for twisting or linking sausages with dividing elements located on the surface of a single rotary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ain Conveyer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비틀림이 풀리기 어려운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설명된다. 이 장치는 식품 에멀션이 채워진 관형 케이싱(18)을 축(12)을 중심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10)를 포함하며, 이 컨베이어는 연속하는 인접한 소세지 링크들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오그라뜨림 수단(14a∼14h)과 다수의 비틂 수단(15a∼15h)을 가지고 있다. 컨베이어(10)는 비틂 동작과 오그라뜨림 동작이 수행되는 스테이션(A∼I)을 지나 반원형 경로를 통해 소세지 링크를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소세지 링크는 관형 케이싱의 축선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비틀려진 제1 셋트의 소세지 링크와 반대방향으로 비틀려진 제2 셋트의 소세지 링크를 갖는다. 그 다음, 비틀려진 소세지 링크는, 반대로 비틀려진 소세지 링크 셋트들 사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96)를 가지고 피치가 감소하여 있는 스크류(104)를 사용하여 상기 비틀려진 소세지 링크를 수직으로 매달린 루프(91)로 배열하는 장치(90)에 공급되어, 상기 비틀려진 소세지 링크가 스크류(104)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반대로 비틀려진 소세지 링크 셋트들이 거의 풀리지 않는 매달림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Description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식품 에멀션(food emulsion)이 채워진 관형 케이싱으로부터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세지 링크는 식품 에멀션이 채워진 관형 케이싱을 끼워잡고 비틀거나 또는 그 동작들중 어느 하나를 행함으로써 제조된다. 케이싱은 식품 에멀션으로 채워지면서 압출되거나, 미리성형된 케이싱에 에멀션이 채워질 수 있다. 개개의 소세지는 유럽 특허 제69544호 및 제139333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다수의 성형 아암이 원형 판에 방사상으로 장착되어 있고, 한쌍의 캠이 장착된 고정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캠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성형 아암들을 움직이게 하기 위해 각각의 성형 아암과 관련된 캠 폴로워(cam follower)가 제공되어 있다. 속이 채워진 소세지 케이싱이 장치에 접선방향으로 공급되어, 한쌍의 개방된 성형 아암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 속에 수용되며, 성형 아암이 원형 판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움직임에 따라 캠이 성형 아암들을 서로 가압하여 개개의 소세지 링크를 형성한다. 일단 소세지 링크가 형성되면, 캠은 성형 아암들을 서로 근접하게 이동시켜 개개의 소세지 링크 사이에서 케이싱을 절단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관형 케이싱에 대하여 폐쇄되는 다수의 끼워잡음(핀칭) 수단과, 상기소세지 링크들 사이에 비틀린 부분을 형성하도록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관형 케이싱을 인접한 소세지 링크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다수의 비틂(트위스팅) 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는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틂 수단이, 제1 셋트의 다수의 인접한 소세지 링크들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다음의 제2 셋트의 인접한 소세지 링크들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식품 에멀션이 채워진 관형 케이싱으로부터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개개의 소세지 링크들을 형성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상기 관형 케이싱을 끼워잡는 단계와, 상기 소세지 링크들 사이에 비틀린 부분을 형성하도록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관형 케이싱을 인접한 소세지 링크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셋트의 다수의 인접한 소세지 링크들이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다음의 제2 셋트의 인접한 소세지 링크들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는 방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양태는, 특히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이 형성 후에 반출 또는 냉동, 경화, 훈제, 요리 등과 같은 추가 처리를 위해 루프 형태로 매달려야 하는 경우, 종래의 장치 및 방법으로 제조된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보다 거의 풀리지 않는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루프 형태로 매다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짝수 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인접한 소세지 링크들로 이루어진 소세지 링크 셋트들이 교호(交互)방향으로 비틀리는 것이 편리하다.
컨베이어 수단은 연속적인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치의 간소함을 위해 원형 경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끼워잡음 및 비틂 동작들이 컨베이어 수단의 180°회전에서 완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워잡음 수단은, 채워진 케이싱의 일부를 수용하고 끼워잡은 다음, 해제하도록 개폐가능하게 배치된 핀치 아암(pinch arm) 형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스핀치 아암은, 컨베이어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경로상의 적절한 지점에서 소망의 펀치 아암 형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캠과 협동하는 캠 폴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다수의 캠이 제공될 수 있고, 각 셋트의 핀치 아암에는, 각각의 캠에 종동하도록 배치된 캠 폴로워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런 구조는, 제1 및 제2 셋 트의 소세지 링크들에 실행되는 비틂 동작의 상이한 요건들에 적합하도록 상이한 개폐 순서를 핀칭 아암들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장치 및 방법에 의헤 제조된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 1a 도∼제 1e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형성하는 방법의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 2 도는 제 1a 도∼제 1e 도의 비틂 단계 및 오그라뜨림(크림핑) 단계의 타이밍과, 제 1a 도∼제 1e 도의 장치의 부분들의 작동조건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 3a 도∼제 3c 도는 제 1a 도∼제 1e 도의 장치의 하나의 핀치 아암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제 4a 도 및 제 4b 도는 제 1a 도∼제 1e 도의 장치의 다른 핀치 아암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제 5a 도∼제 5c 도는 제 1a 도∼제 1e 도의 장치의 로울러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제 6a 도 및 제 6b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수직으로 매달린 루프 형태로 배열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 7 도는 제 6a 도 및 제 6b 도의 장치의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제 8도는 제 6a 도 및 제 6b 도의 장치의 클램프와 핀치 아암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8)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 1a 도∼제 1e 도를 참조한다. 이 장치는 축(12)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되는 장착판(10) 형태의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한다. 그 장착판(10)의 가장자리에는, 핀치 아암(pinch arm) 조립체(14a∼14h) 형태의 다수의 끼워잡는(핀칭) 수단과, 로울러 조립체(15a∼15h) 형태의 다수의 비틂(트위스팅) 수단이 방사상으로 장착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착판(10)이 회전함에 따라, 핀치 아암 조립체들과 로울러 조립체들이 작동하여 소세지 로프(rope)를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으로 형성한다. 이 공정을, 8개의 문자 A∼I로 나타낸, 각도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여러 위치들을 참조하여 장착판(10)의 회전에 따른 일련의 단계들로서 설명한다. 먼저, 제 1a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 케이싱(18)에 식품 에멀션(20)이 채워져 이루어진 소세지 로프(16)가 스테이션 A에서, 개방된 핀치 아암 조립체(14a)안에 제공된 다음, 그 핀치 아암 조립체가 폐쇄되어 소세지 로프(16)의 단부를 끼워잡는다. 그 다음, 휘일이 회전함에 따라 소세지 로프(16)가 스테이션 A를 통과하여 장착판(10)의 주위에서 당겨져, 다른 개방된 핀치 아암 조립체들 속으로 넣어진다. 스테이션 A를 통과한 때, 핀치 아암 조립체(14b, 14c)는 먼저 완전히 닫힌 다음, 부분적으로만 닫혀, 소세지 로프(16)를 보유하는(끼워잡지 않고) 한편, 핀치 아암 조립체(14d)는 스테이션 A를 통과한 후 즉시 소세지 로프(16)에 대하여 완전히 닫힌다. 제 1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치 아암 조립체(14a)가 스테이션 E에 도달한 때, 소세지 로프(16)는 개방된 핀치 아암 조립체(14e)안에 수용된다. 그 다음, 제 1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치 아암 조립체(14a)가 스테이션 F에 이르도록 장착판(10)이 회전한 때, 핀치 아암 조립체(14e)가 완전히 닫혀, 소세지 로프(16)를 끼워잡고, 로울러 조립체(15a, 15b, 15c)가 작동하여 소세지 로프를 회전시킴으로써 핀치 아암 조립체(14a, 14d)에서 소세지 로프에 꼬임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판(10)이 계속 회전하여 핀치 아암 조립체(14a)가 스테이션 H에 이르게 되면, 로울러 조립체(15a, 15c)는 회전을 멈추고, 핀치 아암 조립체(14b, 14c)가 소세지 로프(16)에 대하여 완전히 닫히는 한편, 로울러 조립체(15b)는 계속 회전하여 핀치 아암 조립체(14b, 14c)에서 소세지 로프에 꼬임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제1 셋트의 4개의 소세지 링크들이 모두 동일한 시계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비틀려져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e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 1로 회전한후, 핀치 아암 조립체(14a)가 열려, 소세지 로프(16)를 제2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상으로 방출한다. 이 위치에서, 핀치 아암 조립체(14e)는 제 1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핀치 아암 조립체(14a)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게 되고, 핀치 아암 조립체(14e)와 핀치 아암 조립체(14i) 사이의 제2 셋트의 4개의 소세지 링크들이 제1 셋트의 4개의 소세지 링크들에서와 동일한 끼워잡기 동작과 비틂 동작을 받지만, 이때는 소세지 로프(16)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2 도는 장착판(10)의 스테이션 A 내지 I 각각에서의 핀치 아암 조립체 및 로울러 조립체의 오그라뜨림(크림핑) 및 비틂(트위스팅) 동작의 타이밍 그래프를 나타낸다. 시간축(t)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상방으로 연장하는 점선에 의해 형성된 대각선 밴드는 장착판(10)의 회전에 따른 각 핀치 아암 조립체 및 로울러 조립체의 작동조건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핀치 아암 조립체(14a)를 나타내는 제 3a 도∼제 3c 도를 참조한다. 이들 도면은 여러 핀치 아암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3쌍의 캠(22, 24, 26)도 또한 나타내며, 핀치 아암 조립체(14a)는 중간 쌍의 캠(24)에 의해 작동된다. 핀치 아암 조립체(14a)는 장착판(10)에 고정된 장착 브래킷(28)을 포함한다. 그 장착 브래킷(28)은 축(30)을 포함하고, 그 축상에 한쌍의 아암(32, 34)이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들 아암(32, 34)은, 제 3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세지 로프(16)을 수용하도록 개방되거나, 제 3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개의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소세지 로프를 끼워잡도록 폐쇄될 수 있는 대향하는 죠오(jaw)(36, 38)를 형성한다. 아암(32, 34)은 축(30)에 장착된 스프링(40)에 의해 개방 위치로 바이어스(bias)되어 있고, 그 아암들은 캠(24)에 얹혀 있는 캠 폴로워(42, 44)에 의해 폐쇄 위치로 밀어붙여진다.
다음으로, 내측 쌍의 캠(22)과 협동하고 아암(46, 48)을 가지고 있는 핀치 아암 조립체(14b)를 나타내는 제 4a 도 및 제 4b 도를 참조한다. 아암(46, 48)은, 캠(22)의 형상에 의해, 스테이션 A에서는 소세지 로프(16)를 수용하기 위해 개방되고, 스테이션 E와 스테이션 H 사이에서는 소세지 로프를 끼워잡기 위해 완전히 폐쇄되거나, 또는 스테이션 A와 스테이션 E 사이에서 소세지 로프(16)를 장착판(10)상에 오그라뜨림 없이 보유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폐쇄(제 4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될 수 있다.
핀치 아암 조립체(14a, 14d, 14e, 14h)는 중간 쌍의 캠(24)에 종동하고, 핀치 아암 조립체(14b, 14f)는 내측 쌍의 캠(22)에 종동하고, 핀치 아암 조립체(14c, 14g)는 외측 쌍의 캠(26)에 종동한다는 것을 제 2 도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로울러 조립체들중 하나의 로울러 조립체(15a)를 나타내는 제 5a 도∼제 5c 도를 참조한다. 핀치 아암 조립체(14a)와 마찬가지로, 로울러 조립체(15a)에는, 장착판(10)에 부착하기 위한 장착 브래킷(5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장착 브래킷(50)에는 한쌍의 축(52, 54)이 장착되어 있고, 그들 축상에 한쌍의 아암(56, 58)이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아암(56)에는 3개의 기어 휘일(60a, 62a, 64a)이 장착되고, 아암(58)에는 3개의 기어 휘일(60b, 62b, 64b)이 장착되어 있으며, 또다른 단일의 기어 휘일(66)이 장착 브래킷(50)에 장착되어 있다. 기어 휘일(66)은 기어 휘일(60a, 60b) 모두와 맞물려 있고, 그 기어 휘일(60a, 60b)은각각 기어 휘일(62a, 62b)과 맞물려 있으며, 그 기어 휘일(62a, 62b)은 각각 기어 휘일(64a, 64b)과 맞물려 있다. 기어 휘일(60a, 60b, 64a, 64b) 각각에는 기다란 축(68, 70)이 제공되어 있고, 그 축들 각각은 각각의 아암(56, 58)을 넘어 연장하여, 각 쌍의 로울러(72, 74)를 위한 장착대를 제공한다.
로울러 조립체(15a)의 각 아암(56, 58)은 캠 폴로워(76, 78)를 가지고 있고, 그 캠 폴로워들은 외측 쌍의 캠(26)상에 얹혀 있어, 장착 브래킷(50)상의 축에 장착된 스프링(80)의 작용에 대항하여 로울러 조립체를 폐쇄하도록 작용한다. 제 5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폐쇄 위치에서, 로울러(72, 74)들이 소세지 로프(16)에 결합하여 그 소세지 로프를 보유한다. 제 5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방 위치에서는, 상부 쌍의 로울러(74)가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여, 소세지 로프(16)를 수용 및 방출할 수 있게 한다.
기어 휘일(66)의 회전과 그에 따른 로울러(72, 74)의 회전은 장착 브래킷(50)에 장착된 랙(rack)(82)의 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랙(82)의 외측 단부에는 캠 폴로워(84)가 설치되어 있고, 그 캠 폴로워(84)는 장착판(50)의 원주에 인접하여 장착된 캠(도시하지 않음)과 결합하여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랙(82)이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소세지 로프(16)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비틀리게 되고, 그 랙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소세지 로프가 시계방향으로 비틀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8)에 의해 만들어진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은 장착판(10)상의 핀치 아암 조립체 및 로울러 조립체로부터 제 6a 도 및 제 6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컨베이어(90)로 통과한다(제 6a 도와 제 6b 도는 서로 다른척도로 그려진 것이다). 이 컨베이어(90)는 장착판(10)으로부터 방출되는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수용한 다음, 제 6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수직으로 매달린 루프(loop)(91)로 배열시킨다. 이러한 수직으로 매달린 루프의 배열은 소세지의 수동 반출이나 또는 경화처리와 같은 연속적인 추가 처리에 편리하다.
컨베이어(90)는 연속적인 로울러 체인(92)을 포함하고, 그 로울러 체인(92)에는 다수의 지지부재(94)와 다수의 클램프(96)가 교대로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인접한 지지부재(94)와 클램프(96)는 2개의 소세지 링크의 길이만큼 떨어져 있고, 비틀려진 소세지 링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96)가 반대로 비틀린 소세지 링크들의 단부에 인접한 곳에서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에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부재(94)(하나의 지지부재가 제 7 도에 도시됨)는 로울러 체인(92)에 결합하는 장착부재(98)를 포함하고, 그 장착부재(98)에는, 로울러 체인(92)의 일측의 한쌍의 링크 지지 아암(100)(제 7 도에서 하나만 볼 수 있음)과, 로울러 체인(92)의 타측의 스크류 폴로워(102)가 장착되어 있다. 스크류 폴로워(102)는 컨베이어(90)의 주행경로의 상부 구간을 따라 연장하여 있는 스크류(104)와 맞물려 있고, 로울러 체인(92)을 구동시킨다. 컨베이어(90)의 상부 구간에는, 장착부재(98)에 장착된 휘일(110, 112)을 수용하는 한쌍의 레일(106, 108)이 또한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클램프(96)(하나의 클램프가 제 8 도에 도시됨)는 로울러 체인(92)에의해 지지되어 있고, 로울러 체인(92)에 부착된 부재(114)를 포함한다. 그 부재(114)에는 제1 와이어 클램프 아암(116)이 고정되어 있고, 그 제1 와이어 클램프 아암(116)에 제2 와이어 클램프 아암(118)이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와이어 클램프 아암(118)의 하단부에는, 스프링(121)에 의해 부재(114)의 반대측 면으로부터 먼쪽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는 블록(120)이 제공되어 있다. 제1 및 제2 와이어 클램프 아암(116, 118)은 그들 아암이 스프링(121)에 의해 클램핑 위치로 바이어스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클램프 아암들은, 컨베이어(90)의 상부 구간의 시작지점에 배치되고 스프링(121)의 작용에 대항하여 블록(120)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블록 편향 레일(122)의 존재에 의해,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의 반입을 허용하도록 개방되어 있다. 제1 와이어 클램프 아암(116)은 제2 와이어 클램프 아암(118)의 클램핑부(125)에 대향하는 클램핑부(124) 외에 수평 지지부(123)를 가지고 있음을 제 8 도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스크류(104)의 피치는 반입 장소로부터 먼쪽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있어, 그 스크류가 도면(제 6a 도 및 제 6b 도)에서 보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재(94)들이 서로 근접하게 됨으로써 그 지지부재(94)들 사이의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이 꺾여 접혀 수직 매달림 루프(91)(그 루프의 하단부에 클램프(96)가 부착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클램프(96)가 서로 반대로 비틀린 소세지 링크 셋트들 사이에서 소세지 로프(16)에 결합하기 때문에, 클램프들 사이의 4개의 소세지 링크는 초기에 컨베이어(90)에 반입되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나 또는 일련의 수직으로 매달린 루프로서 배열된 때 풀릴 수 없게 된다.
수직으로 매달린 루프는 소세지의 추가 처리를 위한 편리하고 간소한 배열을 제공하고, 또한 컨베이어(90)로부터의 소세지의 수동 반출을 용이하게 한다. 클램프(96)는 또 다른 캠(도시하지 않음) 위를 통과함으로써 제거된다.
상기한 실시형태는 4개의 소세지 링크를 한 셋트로 하여 각 셋트가 서로 반대로 비틀려 있는 소세지 링크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다른 조합의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고 취급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식품 에멀션이 채워진 관형 케이싱이라는 용어는, 식품 에멀션이 채워진 콜라겐(collagen) 또는 알기네이트(alginate)와 같은 연속적인 동시압출 제품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는, 상기한 특정 실시형태는 단지 본 발명의 예일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여러가지 변형 및 개선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로울러 조립체의 로울러(72, 74)는 밴드 또는 벨트로 대체될 수 있고, 또한 장착판(10)은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Claims (6)

  1. 식품 에멀션이 채워진 관형 케이싱으로부터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개개의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도록 상기 관형 케이싱에 대하여 폐쇄되는 다수의 끼워잡음 수단과, 상기 소세지 링크들 사이에 비틀린 부분을 형성하도록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관형 케이싱을 인접한 소세지 링크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다수의 비틂 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수단을 포함하는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틂 수단이, 제1 셋트의 다수의 인접한 소세지 링크들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다음의 제2 셋트의 인접한 소세지 링크들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세지 링크들의 체인을 루프 형태로 매다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짝수 개의 인접한 소세지 링크들로 이루어진 소세지 링크 셋트들이 교호(交互)방향으로 비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이 연속적인 원형 경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잡음 수단 및 상기 비틂 수단이 상기 원형 경로의 절반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
    소세지 링크 셋트들을 교호(交互)방향으로 비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
  5.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끼워잡음 작동과 비틂 작동이 반원형 경로를 따라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세지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
  6. 소세지가 채워진 케이싱으로부터 소세지 가닥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개개의 소세지 링크의 길이를 정하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상기 소세지가 채워진 케이싱을 끼워잡기 위한 다수의 파지수단과,
    한쌍의 파지수단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인접한 소세지 링크들 사이에서 상기 케이싱에 꼬임이 제공되게 하기 위해, 끼워잡힌 소세지 링크를 그의 종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비틀도록 작동하는 다수의 소세지 회전수단과,
    다수의 소세지 링크로 이루어진 한 줄의 소세지 가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소세지가 채워진 케이싱에 대하여 끼워잡음 작동과 비틂 작동이 행해지도록 상기 소세지가 채워진 케이싱을 상기 다수의 파지수단과 상기 다수의 소세지 회전수는 소세지 가닥을 형성하는 방법.
KR1019950704509A 1993-04-15 1994-04-15 소세지링크를형성하기위한장치및방법 KR100314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307773.8 1993-04-15
GB939307773A GB9307773D0 (en) 1993-04-15 1993-04-15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usage links
PCT/GB1994/000794 WO1994023584A2 (en) 1993-04-15 1994-04-15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usage lin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4864B1 true KR100314864B1 (ko) 2002-07-03

Family

ID=1073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509A KR100314864B1 (ko) 1993-04-15 1994-04-15 소세지링크를형성하기위한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5833525A (ko)
EP (1) EP0693880B1 (ko)
JP (1) JPH08508883A (ko)
KR (1) KR100314864B1 (ko)
AU (1) AU687047B2 (ko)
BR (1) BR9406454A (ko)
CA (1) CA2160450C (ko)
DE (1) DE69413530T2 (ko)
DK (1) DK0693880T3 (ko)
ES (1) ES2123780T3 (ko)
GB (1) GB9307773D0 (ko)
WO (1) WO19940235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7729B1 (it) * 1995-12-27 1997-11-12 Refin Srl Macchina per la suddivisione di un insaccato continuo in salsicce con involucro attorcigliato
AU6730396A (en) * 1996-08-27 1998-03-19 Dmp Industries Inc. Sausage link forming machine
FR2766670B1 (fr) * 1997-08-04 1999-09-10 Jacques Dolle Machine automatique a torsader et a couper les saucisses de longueur reglable
US6013295A (en) * 1998-03-06 2000-01-11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Method for linking coextruded foodstuff
US6721840B1 (en) 2000-08-18 2004-04-13 Triscend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facing an integrated circuit to synchronous dynamic memory and static memory
FR3046031B1 (fr) * 2015-12-29 2018-01-05 System B Appareil de mise en portion de saucisses s'enroulant autour d'une platine et dote d'un outil de coupe
FR3091803B1 (fr) * 2019-01-18 2021-12-10 Concept Epices SARL Dispositif de mise en portion de sauciss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84050A (en) * 1921-03-12 1921-07-12 Cramer Herman Sausage-linking machine
US1545813A (en) * 1924-06-03 1925-07-14 Clos Ludwig Sausage-linking machine
US1743858A (en) * 1924-07-18 1930-01-14 Henry Cohn Sausage-forming machine
GB246522A (en) * 1925-01-26 1926-06-17 Ferdinand Kruse Improvements in sausage forming machines
US1701712A (en) * 1927-03-28 1929-02-12 Packers Specialty Company Sausage-twisting machine
US1906372A (en) * 1928-03-07 1933-05-02 Automatic Linker Inc Sausage feeding and linking machine
US1901452A (en) * 1930-06-13 1933-03-14 Parker A Jacobson Sausage linking machine
US1966552A (en) * 1932-01-29 1934-07-17 Parker A Jacobson Sausage-linking machine
US2356099A (en) * 1942-01-14 1944-08-15 Sr Richard Swoboda Sausage linking machine
GB659549A (en) * 1948-09-25 1951-10-24 American Viscose Corp Method and machine for making sausages
US2663982A (en) * 1951-06-25 1953-12-29 American Viscose Corp Apparatus for making linked products
GB696874A (en) * 1951-06-25 1953-09-09 American Viscose Corp Apparatus for making linked products
DE2610315C3 (de) * 1976-03-12 1982-02-04 Albert Handtmann Gmbh & Co, 7950 Biberach Aufhängevorrichtung für Würste
DE3238023A1 (de) * 1982-10-13 1984-04-19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7950 Biberach Vorrichtung zur uebergabe von wurstschleifen auf einen rauchstock
DE3575659D1 (de) * 1984-10-25 1990-03-08 Fukutome Meat Packers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ufhaengen von wuersten auf einen stab.
DE3536460A1 (de) * 1985-10-12 1987-04-16 Schnell Maschfab Karl Aufhaengevorrichtung fuer wurstketten
NO167181C (no) * 1987-11-04 1992-01-14 Oelve Ind As Maskin for tvinning av poelser i naturtarm.
DE8912219U1 (ko) * 1989-10-13 1989-11-23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7950 Biberach, De
DE4122370A1 (de) * 1991-07-05 1993-01-07 Vemag Maschinenbau Gmbh Verfahren zum aufhaengen von wuerstchenketten in schlaufen sowie eine vorrichtung dazu
US5306204A (en) * 1992-08-11 1994-04-26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Storage rack and linker for an elongated strand of linked meat products
US5354230A (en) * 1993-07-30 1994-10-11 Dec International Food processing system with simplified loading and trans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60450C (en) 2002-07-30
WO1994023584A3 (en) 1994-12-22
EP0693880A1 (en) 1996-01-31
BR9406454A (pt) 1996-01-02
WO1994023584A2 (en) 1994-10-27
US5833525A (en) 1998-11-10
ES2123780T3 (es) 1999-01-16
AU687047B2 (en) 1998-02-19
JPH08508883A (ja) 1996-09-24
US5944594A (en) 1999-08-31
DK0693880T3 (da) 1999-06-14
DE69413530T2 (de) 1999-06-02
DE69413530D1 (de) 1998-10-29
CA2160450A1 (en) 1994-10-27
AU6509094A (en) 1994-11-08
EP0693880B1 (en) 1998-09-23
GB9307773D0 (en) 199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4864B1 (ko) 소세지링크를형성하기위한장치및방법
EP01393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uffed sausage casing
CN1134908A (zh) 星形器皿传送轮
GB1571326A (en) Poultry eviscerating method and apparatus
EP2199219B1 (de) Spann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Spannvorrichtung zum Etikettieren von Gegenständen, Verfahren zum Etikettieren von Gegenständen
NZ532547A (en) Conveyance system for interface with component production and assembly equipment
AU2002341721A1 (en) Conveyance system for interface with component production and assembly equipment
US1743858A (en) Sausage-forming machine
US3435482A (en) Machine and process of linking stuffed casings
US4766625A (en) Box spring having rows of coil springs formed from a single length of wire
US3540075A (en) Sausage linker
US4903475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ornamental chains of the type known as "peacock eye"
US4766624A (en) Mattress assembly having rows of coil springs formed from a single continuous length of wire
EP07724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imping sausage links and ends
DE2001932C3 (de)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von Stranggut
US47261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row of spring coils from a continuous length of wire
US4624029A (en) Shirring device
US6468144B1 (en) Sausage link forming machine
HU17981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raided rings particularly wire hoops used for tyre casing beads
US3487500A (en) Apparatus for linking sausage strands
US3525119A (en) Apparatus for force feeding round flexible strands
US3228059A (en) Sausage forming and retaining rack
SU966752A1 (ru) Крутильна машина
RU208722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вухпетлевого стропа из кольцевого жгу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SU125356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крутки колбасных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