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052B1 -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052B1
KR100314052B1 KR1019990035557A KR19990035557A KR100314052B1 KR 100314052 B1 KR100314052 B1 KR 100314052B1 KR 1019990035557 A KR1019990035557 A KR 1019990035557A KR 19990035557 A KR19990035557 A KR 19990035557A KR 100314052 B1 KR100314052 B1 KR 100314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member
air duct
mold
flange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245A (ko
Inventor
서진수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9003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05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17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out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21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 B29C2049/2047Tubular inserts,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인서트부재를 에어덕트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조사출물을 구비해야 하고 상기 보조사출물을 인서트부재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한 후 금형속에 설치하여 블로성형을 해야하므로 공정수가 많고 복잡하여 작업성이 양호하지 못하며, 부품이 많이 소모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덕트에 인서트부재가 결합되도록 블로성형을 함에 있어서, 일측의 끝단 외측둘레에 돌기(130)와 함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제1,2플랜지(110)(120)가 구비된 인서트부재(100)를 구성한 후, 상기 인서트부재(100)를 금형(210)속에 설치하되 인서트부재(100)의 끝단이 금형(210)과 금형이 이루는 공간부(230)에 돌출되도록 제2플랜지(120)를 금형(210)의 내면에 위치시켜 블로성형을 함에 따라 재료(300)와 인서트부재(100)가 융착되는 면적이 넓어지면서 견고히 결합되므로서,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100)의 융착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한 별도의 보조사출물(40)이 필요없게 되어 부품수가 절감되고 작업공정의 단축 및 작업성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an air duct and insertion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에어덕트에 인서트부재가 결합되도록 블로성형을 함에 있어서, 보조사출물과 같은 별도의 보조수단 없이 에어덕트에 인서트부재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에어덕트의 제작공정을 단축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 차체에 사용되는 수지 성형품은 디자인의 자유도, 일체형에 의한 부품수의 감소, 경량화, 방청 등의 효과에 의해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종류에는 시트, 천정, 인스트루먼트패널의 표피 등의 가공에 사용되는 캘린더성형과; 웨더스트립, 사이드 프로텍터 등의 가공에 사용되는 압출성형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패드, 도어트림, 펜더실드, 시트 표피 등의 가공에 사용되는 진공성형이 있다.
또한 범퍼페이스, 라디에이터그릴, 리어 패널가니시 등의 외장부품이나 인스트루먼트코아, 콘솔, 트림 등의 내장부품의 가공에 사용되는 사출성형과; 덕트, 스포일러, 헤드레스트, 탱크 등의 폐단면 부품을 가공할 때 사용되는 블로(blow)성형과; 범퍼페이스, 범퍼코아, 스포일러, 에어댐스카트 등의 외장부품이나 인스트루먼트패널패드, 도어트림, 스티어링휠 등의 소프트감이 있는 내장부품에 많이 쓰이는 RIM성형이 있다.
또한 인스트루먼트패드, 콘솔, 글로브박스 등의 주변부품이나 도어트림 등의 피혁조로 소프트감이 있는 내장 부품에 많이 사용되는 슬러시성형과; 스포일러, 에어댐스카트, 램프하우징, 리어앤드트림, 캐노피 등의 부품에 사용되는 SMC압축성형과; 범퍼빔, 배터리트레이 등의 부품에 사용되는 스탬핑성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형공법중 블로성형은 재료를 압출성형으로 어쿰레이터 헤드에 담고 원통상으로 예비 성형한 파리슨을 형내에 끼우고 압공하여 성형품을 얻는 공법으로 저압으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싼 형비로 되지만 상하 방향의 형은 생산성의 면에서 다소 떨어진다.
한편, 도 1 은 블로성형으로 제작되는 에어덕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2 개의 금형(21)(22) 사이의 공간부(23)에 재료(3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금형(21)(22)을 압착한 다음 재료(30)에 공기를 집어넣게 되면 재료(30)가 양측 금형(21)(22)의 내면으로 밀착되고, 그 후 냉각 및 탈형을 통해 재료(30)가 파이프 형상의 에어덕트로 제작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덕트의 일측에 인서트부재(10)가 결합될 경우 인서트부재(10)를 일측 금형(21)속에 설치하고 블로성형을 하게 되는데, 이때 재료(30)와 인서트부재(10)의 접촉면적이 좁아 융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에어덕트가 완성된 후 인서트부재(10)가 에어덕트로부터 쉽게 흔들리거나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보조사출물(40)을 인서트부재(10)에 먼저 사출시킨 후 금형(21)속에 설치하여 블로성형을 하게 되면 보조사출물(40)에 의해 인서트부재(10)와 재료(30)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인서트부재(10)가 에어덕트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인서트부재(10)를 에어덕트에 설치하기 위해 별도로 보조사출물(40)을 인서트부재(10)에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시키는 작업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작업공정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며 작업성 또한 양호하지 못하고, 부품수의 증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며 부품의 관리 또한 별도로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서트부재가 결합되는 에어덕트를 블로성형으로 제작함에 있어서, 인서트부재를 별도의 보조사출물 없이 에어덕트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에어덕트의 제작공정이 단축되고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며, 부품의 감소로 제조원가의 절감효과 또한 얻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덕트에 인서트부재가 설치되도록 블로성형을 함에 있어서, 선단 외측둘레에 돌기와 함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플랜지가 구비되도록 인서트부재를 구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금형속에 인서트부재를 설치하되, 인서트부재의 끝단이 금형의 공간부에 돌출되도록 인서트부재의 플랜지를 금형의 내면에 위치시킨 다음 블로성형을 하게 되면 재료가 인서트부재의 플랜지와 함께 선단부를 감싸면서 견고히 결합됨에 따라 별도의 보조사출물이 필요 없게 되어 부품수가 절감되고 작업공정의 단축 및 작업성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에어덕트에 인서트부재가 결합되어 블로성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종래 인서트부재에 보조사출물이 설치된 후, 에어덕트에 결합되어 블로성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 은 종래 인서트부재가 설치된 에어덕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부재를 예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부재가 에어덕트에 결합되어 블로성형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라 인서트부재가 설치된 에어덕트를 예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서트부재 110 : 제1플랜지
120 : 제2플랜지 130 : 돌기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부재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에어덕트에 인서트부재가 결합되어 블로성형되는 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부재가 에어덕트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덕트에 인서트부재가 결합되도록 블로성형을 함에 있어서, 일측 외측둘레에 제1플랜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11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제2플랜지(120)가 형성되며, 끝단 외측둘레에는 다수의 돌기(130)가 형성된 인서트부재(100)를 사용하여 블로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10)은 금형이고, (230)은 금형(210)과 다른 금형이 이루는 공간부이며, (300)은 에어덕트가 되는 재료이고, (500)은 인서트부재(100)에 끼워지는 핀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에어덕트에 인서트부재(100)가 결합되도록 블로성형을 하되, 별도의 보조사출물(40)을 사용하지 않고, 인서트부재(100)와 에어덕트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부품을 절감시키고 작업공정을 단축시키며 작업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덕트에 결합되는 인서트부재 (100)를 형성하되, 일측 끝단 외측둘레에 4 개의 돌출된 돌기(130)를 형성하므로서 재료(300)가 상기 끝단에 접면되면서 융착될 때, 돌기(130)로 인해 재료(300)와 인서트부재(100)가 더욱 견고히 융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130)로부터 타측 방향으로는 일정한 거리를 둔 외측둘레에는 제2플랜지(120)를 형성하고, 상기 제2플랜지(120)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외측둘레에는 제1플랜지(110)를 설치하므로서, 인서트부재(100)와 재료(300)가 접촉하여 융착될 때, 제2플랜지(120) 및 끝단에 의해 접촉면적이 더욱 넓어지는 것이며, 상기 제2플랜지(120)는 재료(300)가 인서트부재(100)가 설치된 금형(210)속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한다.
그리고 제1플랜지(110)는 인서트부재(100)를 재료(300)에 더욱 깊게 설치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인서트부재(100)의 끝단을 금형(210)과 금형(도면중 미도시)이 이루는 공간부(230)로 더욱 돌출시켜 일측 금형(210)의 내면에 제1플랜지 (110)가 위치되도록 한 후, 재료(300)가 제1플랜지(110)와 융착되면서 인서트부재 (100)는 재료(300)에 더욱 깊숙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인서트부재(100)의 제2플랜지(120)가 금형(210)의 내면에 위치하여 금형(210)속으로 재료(30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에서 제2플랜지(120)가 이를완전히 방지하지 못할 경우, 제2플랜지(120)의 후방에 설치된 제1플랜지(110)가 방지하므로서, 인서트부재(100)가 설치된 금형(210)의 속으로 재료(300)가 빠져나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블로성형 과정을 도 5 를 통해 살펴보면 2 개의 금형중 하나의 금형(210)속에 인서트부재(1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인서트부재 (100)의 제2플랜지(120)가 금형(210)의 내면과 같은 선상에 위치되면서 제2플랜지 (120)에 의해 금형속은 차단되며, 끝단은 금형(210)과 금형이 이루는 공간부 (230)에 돌출된다.
따라서 재료를 금형(210)의 공간부(23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블로성형을 하게 되면 재료(300)가 인서트부재(100)의 제2플랜지(120) 및 돌기(130)가 형성된 끝단을 감싸면서 융착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인서트부재(100)에는 핀(500)을 끼워넣어 재료(300)가 인서트부재(100)의 구멍을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재료(300)와 인서트부재(100)가 융착되고 금형(210)의 형상에 따라 일정한 형상을 갖게 되면 냉각후 탈형을 하게 되면서 마무리 작업을 통해 도 6 과 같은 에어덕트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에어덕트에 인서트부재(100)를 견고히 부착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보조사출물(40)을 인서트부재(10)에 설치하여 에어덕트의 재료(30)와 인서트부재(10)의 융착되는 면적을 넓히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인서트부재(100)의 형상을 개선하여 별도의 보조사출물(40) 없이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100)의 융착되는 면적을 넓혀 인서트부재(100)와 에어덕트를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로성형을 통해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를 결합함에 있어서,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가 융착되는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별도의 보조사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개선된 형상의 인서트부재만으로 간단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체적인 작업공정을 단순화 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의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부품수의 감소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에어덕트에 인서트부재가 결합되도록 블로성형을 함에 있어서,
    일측 끝단 외측둘레에는 다수개의 돌기(13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30)로부 타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외측둘레에는 제2플랜지(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외측둘레에는 제1플랜지(110)가 형성된 인서트부재(100)를 구비한 후, 상기 인서트부재(100)를 금형(210)속에 설치하여 일측 끝단은 금형(210)의 공간부(230)에 위치되도록 하고, 제2플랜지(120)는 금형(210)의 내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블로성형시 재료가 제2플랜지(120)와 함께 돌출된 끝단에 융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
KR1019990035557A 1999-08-26 1999-08-26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 KR100314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557A KR100314052B1 (ko) 1999-08-26 1999-08-26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557A KR100314052B1 (ko) 1999-08-26 1999-08-26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245A KR20010019245A (ko) 2001-03-15
KR100314052B1 true KR100314052B1 (ko) 2001-11-15

Family

ID=1960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557A KR100314052B1 (ko) 1999-08-26 1999-08-26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0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245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0621B2 (ja) 自動車用スプラッシュシールド
US5043114A (en) Mol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expansion-molded insert-embedded resin product
US7677650B2 (en) Emblem for motor vehicle
JP5171032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US5715966A (en) Skin-covered lid
US20090026806A1 (en) Structural Element for a Motor Vehicle, Corresponding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One Such Structural Element
US6293613B1 (en) Air spoiler for automotive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073491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ad
KR100314052B1 (ko) 자동차용 에어덕트와 인서트부재의 결합구조
US8062576B2 (en) Method of molding a unitary object
JP2009040173A (ja) 車体用アンダーカバー並びに車体用アンダーカバーの製造方法
JPS60166420A (ja) 自動車の合成樹脂製内装材の製造方法
JP3637529B2 (ja) 板状構造体
JP3261608B2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S5920630A (ja) モ−ルデイングの製造方法
JP5402280B2 (ja) 発泡成形用金型
KR20010092253A (ko)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방법
MX2011000153A (es) Molde y metodo de fabricacion de una pieza de automovil parcialmente cubierta de plastico.
US2007006943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bumper cover for a motor vehicle
US620566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grated steering wheel
KR100863674B1 (ko) 자동차 리어 패키지 실드 모듈
US20070141190A1 (en) Multi-film junction structure
US20240034416A1 (en) Vehicular engagement member
JP3489311B2 (ja) 深い凹部をもつブロー成形樹脂製品の成形法、同成形型及び成形品
JP2000117822A (ja) 中空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