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545B1 -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545B1
KR100313545B1 KR1020000007259A KR20000007259A KR100313545B1 KR 100313545 B1 KR100313545 B1 KR 100313545B1 KR 1020000007259 A KR1020000007259 A KR 1020000007259A KR 20000007259 A KR20000007259 A KR 20000007259A KR 100313545 B1 KR100313545 B1 KR 10031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insulating film
forming
semiconductor substrat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541A (ko
Inventor
유영호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0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5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1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cabl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은 게이트를 후속공정의 콘택과 절연하기위해서 절연막측벽 및 보호절연막으로 게이트를 보호하지만 절연막 측벽이 곡면을 이루면서 게이트를 감싸기때문에 게이트의 상부에서는 그 두께가 좁아 비트라인 콘택홀 형성시 게이트 상부의 식각에서 게이트를 효과적으로 절연하지 못하여 비트라인 콘택과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국부산화영역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의 상부에 게이트산화막을 형성하는 제 1공정과; 상기 형성한 반도체기판 상부에 차례로 폴리실리콘, 텅스텐실리사이드, 캡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2공정과; 상기 형성한 구조의 활성영역에서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캡절연막, 텅스텐실리사이드, 폴리실리콘, 게이트산화막을 식각하여 게이트를 형성한 후 상기 게이트를 하드마스크로 상기 반도체기판상에 저농도이온을 주입하여 저농도 소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구조 상부전면에 절연막을 높이 형성한후 이를 상기 비활성영역의 캡절연막이 드러나도록 평탄화하는 제 3공정과; 상기 절연막을 상기 저농도 소스/드레인영역의 위치에서 게이트간 이격보다 좁게 패터닝하여 게이트를 둘러싸도록형성하고, 반도체기판상에 고농도이온을 주입하여 고농도 소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한 후 상기 구조 상부전면에 보호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을 통해 게이트 측벽 및 보호절연막형성시 게이트 측벽이 게이트를 직사각형모양으로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비트라인 콘택홀을 형성하기위한 식각과정에서 보호절연막 및 게이트 측벽이 일부 식각 되더라도 게이트를 구성하는 적층구조가 노출되지 않도록하여 게이트와 콘택간의 전기적인 절연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랜지스터 형성방법{TRANSISTOR FORMING METHOD}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장치에서 저항역할을 하기위한 로드 트랜지스터를 형성함에 있어서 게이트 측벽을 직사각형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비트라인 콘택 형성시 게이트의 손실을 방지하여 단락을 방지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의 일실시예를 도 1a 내지 도 1d의 수순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부산화영역(2)이 형성된 반도체기판(1)의 상부에 게이트산화막(3)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성한 반도체기판 상부에 차례로 제 1폴리실리콘(4), 제 1텅스텐실리사이드(5), 캡절연막(6)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성한 구조의 활성영역에서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캡절연막(6), 제 1텅스텐실리사이드(5), 제 1폴리실리콘(4), 게이트산화막(3)을 식각하여 게이트를 형성한다.
이때, 비활성영역상의 캡절연막(6), 제 1텅스텐실리사이드(5), 제 1폴리실리콘(4), 게이트산화막(3)은 그대로 잔류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를 하드마스크로 상기 반도체기판(1)상에 저농도이온을 주입하여 저농도 소스/드레인영역(7)을 형성하고, 상기 구조 상부전면에 절연막을형성한후 이를 에치백하여 상기 게이트 및 비활성영역에 잔류하는 다층막의 측면에 절연막측벽(8)을 형성하고, 반도체기판(1)상에 고농도이온을 주입하여 고농도 소스/드레인영역(9)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 상부전면에 보호절연막(10)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간의 공통 소스/드레인영역(9)이 드러나도록 상기 보호절연막(10)을 식각하여 비트라인 콘택홀을 형성하고, 상기 구조 상부 전면에 제 2폴리실리콘(11), 제 2텅스텐실리사이드(12)를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비트라인 콘택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를 보호하는 층은 게이트 상부의 캡절연막(6), 절연막측벽(8), 보호절연막(10)의 3개층이지만 절연막측벽(8)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곡면을 이루고 있어 비트라인 콘택홀 형성시 게이트 상부를 보호하지 못하게되므로 갭절연막(6)이 일부 식각되어 비트라인 콘택을 이루는 제 2폴리실리콘(11)과 제 1텅스텐실리사이드(5)가 단락되기 쉽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은 게이트를 후속공정의 콘택과 절연하기위해서 절연막측벽 및 보호절연막으로 게이트를 보호하지만 절연막 측벽이 곡면을 이루면서 게이트를 감싸기때문에 게이트의 상부에서는 그 두께가 좁아 비트라인 콘택홀 형성시 게이트 상부의 식각에서 게이트를 효과적으로 절연하지 못하여 비트라인 콘택과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 측벽 및 보호절연막을 직사각형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비트라인 콘택홀 형성시 게이트의 손실을 줄여 게이트와 비트라인 콘택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을 보인 수순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수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반도체기판 22 : 국부산화영역
23 : 게이트산화막 24 : 제 1폴리실리콘
25 : 제 1텅스텐실리사이드 26 : 캡절연막
27 : 저농도 소스/드레인영역 28 : 절연막
29 : 고농도 소스/드레인영역 30 : 보호절연막
31 : 제 2폴리실리콘 32 : 제 2텅스텐실리사이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은 국부산화영역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의 상부에 게이트산화막을 형성하는 제 1공정과; 상기 형성한 반도체기판 상부에 차례로 폴리실리콘, 텅스텐실리사이드, 캡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2공정과; 상기 형성한 구조의 활성영역에서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캡절연막, 텅스텐실리사이드, 폴리실리콘, 게이트산화막을 식각하여 게이트를 형성한 후 상기 게이트를 하드마스크로 상기 반도체기판상에 저농도이온을 주입하여 저농도 소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구조 상부전면에 절연막을 높이 형성한후 이를 상기 비활성영역의 캡절연막이 드러나도록 평탄화하는 제 3공정과; 상기 절연막을 상기 저농도 소스/드레인영역의 위치에서 게이트간 이격보다 좁게 패터닝하여 게이트를 둘러싸도록형성하고, 반도체기판상에 고농도이온을 주입하여 고농도 소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한 후 상기 구조 상부전면에 보호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의한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을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한 수순단면도를 일 실시예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부산화영역(22)이 형성된 반도체기판(21)의 상부에 게이트산화막(23)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성한 반도체기판 상부에 차례로 제 1폴리실리콘(24), 제 1텅스텐실리사이드(25), 캡절연막(26)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형성한 구조의 활성영역에서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캡절연막(26), 제 1텅스텐실리사이드(25), 제 1폴리실리콘(24), 게이트산화막(23)을 식각하여 게이트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를 패터닝 비활성영역상의 캡절연막(26), 제 1텅스텐실리사이드(25), 제 1폴리실리콘(24), 게이트산화막(23)은 그대로 잔류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를 하드마스크로 상기 반도체기판(21)상에 저농도이온을 주입하여 저농도 소스/드레인영역(27)을 형성하고, 상기 구조 상부전면에 절연막(28)을 높이 형성한후 이를 상기 비활성영역의 캡절연막(26)이 드러나도록 평탄화한다.
이때, 상기 비활성영역에서 격리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국부산화영역(22)은 반도체기판(21)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 상부에 형성된 제 1폴리실리콘(24), 제 1텅스텐실리사이드(25), 캡절연막(26)은 국부산화영역(22)이 반도체기판(21)상에 돌출된 두께만큼 게이트보다 높이 형성되므로 비활성영역의 캡절연막(26)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절연막(28)을 평탄화 하면 게이트상의 캡절연막(26) 상부에 국부산화영역(22)이 반도체기판(21)상에 돌출된 두께만큼의 절연막(28)이 형성된다.
그 다음,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막(28)을 상기 저농도 소스/드레인영역(29)의 위치에서 게이트간 이격보다 좁게 패터닝하여 게이트를 둘러싸도록형성하고, 반도체기판(21)상에 고농도이온을 주입하여 고농도 소스/드레인영역(29)을 형성한 후 상기 구조 상부전면에 보호절연막(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절연막(28)을 패터닝하면, 그 절연막(28)이 게이트의 상부 및 측면을 각 변마다 일정한 두께로 둘러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간의 공통 소스/드레인영역(9)이 드러나도록 상기 보호절연막(30)을 식각하여 비트라인 콘택홀을 형성하고, 상기 구조 상부 전면에 제 2폴리실리콘(31), 제 2텅스텐실리사이드(32)를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비트라인 콘택을 형성하면, 절연막(30)의 일부는 식각되더라도 게이트를 구성하는 캡절연막(26), 제 1텅스텐실리사이드(25), 제 1폴리실리콘(24)은 전혀 손상되지 않아 게이트와 비트라인 콘택을 이루는 제 2폴리실리콘(31)의 전기적인 절연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은 게이트 측벽 및 보호절연막형성시 게이트 측벽이 게이트를 직사각형모양으로 둘러싸도록 함으로써 비트라인 콘택홀을 형성하기위한 식각과정에서 보호절연막 및 게이트 측벽이 일부 식각 되더라도 게이트를 구성하는 적층구조가 노출되지 않도록하여 게이트와 콘택간의 전기적인 절연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국부산화영역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의 상부에 게이트산화막을 형성하는 제 1공정과; 상기 형성한 반도체기판 상부에 차례로 폴리실리콘, 텅스텐실리사이드, 캡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2공정과; 상기 형성한 구조의 활성영역에서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캡절연막, 텅스텐실리사이드, 폴리실리콘, 게이트산화막을 식각하여 게이트를 형성한 후 상기 게이트를 하드마스크로 상기 반도체기판상에 저농도이온을 주입하여 저농도 소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구조 상부전면에 절연막을 높이 형성한후 이를 상기 비활성영역의 캡절연막이 드러나도록 평탄화하는 제 3공정과; 상기 절연막을 상기 저농도 소스/드레인영역의 위치에서 게이트간 이격보다 좁게 패터닝하여 게이트를 둘러싸도록형성하고, 반도체기판상에 고농도이온을 주입하여 고농도 소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한 후 상기 구조 상부전면에 보호절연막을 형성하는 제 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1020000007259A 2000-02-16 2000-02-16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100313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59A KR100313545B1 (ko) 2000-02-16 2000-02-16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59A KR100313545B1 (ko) 2000-02-16 2000-02-16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541A KR20010083541A (ko) 2001-09-01
KR100313545B1 true KR100313545B1 (ko) 2001-11-09

Family

ID=1964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259A KR100313545B1 (ko) 2000-02-16 2000-02-16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5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541A (ko) 200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996B1 (ko) 반도체장치의 콘택 형성방법
KR10025857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KR950000519B1 (ko) 폴리실리콘층을 이용한 자기정렬콘택 제조방법
KR20000051318A (ko)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5888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13545B1 (ko)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100382730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컨택 구조체 및 그 형성방법
KR100263673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 형성 방법
US20090061592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195234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443345B1 (ko) 반도체 소자의 자기정렬콘택 형성 방법
KR100268806B1 (ko) 반도체소자및그제조방법
KR100277905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65370B1 (ko) 디램제조방법
KR100568789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191779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용 트랜치
KR10041809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65830B1 (ko) 반도체장치의콘택홀형성방법
KR20000039307A (ko) 반도체장치의 콘택 형성방법
KR20040008600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20010011651A (ko) 반도체장치의 콘택 형성방법
KR19990041030A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홀 형성방법
KR20090022618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9980025851A (ko) 미세 콘택 형성을 위한 고집적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KR20080062011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