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405B1 -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 Google Patents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405B1
KR100313405B1 KR1019990007005A KR19990007005A KR100313405B1 KR 100313405 B1 KR100313405 B1 KR 100313405B1 KR 1019990007005 A KR1019990007005 A KR 1019990007005A KR 19990007005 A KR19990007005 A KR 19990007005A KR 100313405 B1 KR100313405 B1 KR 10031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ircuit board
pin
lift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935A (ko
Inventor
이병로
Original Assignee
이병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로 filed Critical 이병로
Priority to KR1019990007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40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8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electrical inspection o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1)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각종 전자 제품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P,C,B)을 검사되때 사용되는 검사용 지그를 개량한 것임.
(2) 발명의 목적.
다른 종류의 회로기판을 검사시 지그전체를 교환치 않고 핀설치판만 교제하여 사용토록 개선함으로써 비용과 자원을 절약할수 있도록 하려는 것임.
(3) 발명의 구성.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를 구성시, 전체를 사각체의 케이스 형태로 본체(2)를 구성한후 상면의 덮개판(3)을 본체(2)에 힌지로 고정시켜 개방가능토록 구성하고, 본체(2)의 내부에는 승강실린더(11)위에 설치되는 승강판(10)을 구성하고 승강판(10)의 위에 삽탈가능한 핀 설치판(17)을 삽입토록 하며, 덮개판(3)의 중앙에는 검사공간(5)을 형성한후 검사공간(5)의 바로옆에 승강판(10)의 상승에 의한 레바(40)의 작용으로 회로기판(100)을 고정시키는 장치를 설치하되 3개소에는 제자리에서 움직이는 고정물림장치(30)를 설치하고 1개소에는 일정거리를 이동가능한 이동물림장치(30')를 설치하며, 승강판(10)의 주면에는 보관구멍(22)이 다수 형성된 핀보관대(23)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4) 발명의 효과.
본발명은 회로기판(100)의 모델변경시 핀설치판(17)만을 손쉽게 교체하면 계속 검사작업이 가능하고 회로기판(100)의 크기에 따른 호환성도 갖고 있으므로 비용절감과 자원절약 및 환경보호를 동시에 이룰수가 있는 등의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Jig for P.C.B check}
본발명은 전자제품에 내장되는 P.C.B(인쇄회로기판)를 검사하는 지그에 관한것으로, 전자제품에 따라 다른기종의 회로기판을 호환성있게 검사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전자제품의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회로기판는 각종 전자부품을 설치한후 이상이 없는지를 검사한 다음에 전자제품의 내부에 장착하여야 하는 것으로, 전자제품에 장착한후 회로 또는 전자부품의 이상을 발견할 경우 다시 전자제품을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종래에도 회로기판을 검사하는 지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그 원리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지그의 상면에 회로기판을 얹은후 작동레바를 젖히면 회로기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 줌과 동시에 여러개의 검사핀이 상승하여 회로기판의 점검에 닿게 함으로써 회로기판의 이상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검사지그의 문제점은 핀보드(검사핀이 설치되는 판)의 교체가 어렵다는 것으로, 검사핀은 회로기판의 적절한 위치를 접촉하여야 하고 그 위치는 전자제품의 종류에 따른 회로기판의 종류에 따라 모두 다르기 때문에 한가지 모델의 회로기판을 검사한후 새로운 모델의 회로기판을 검사할 경우 핀의 위치를 옮겨주어야 하지만, 상기 종래의 검사지그는 승강을 위한 링크장치와 기판을 잡아 고정시키는 장치가 모두 핀 보드에 직접 연결설치되어 있으므로 분리해 내거나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고, 이에 따라 제조업체에서는 회로기판의 모델이 바뀌면 아예 새로운 검사지그를 만들어 사용하는 현실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행위는 엄청난 금전적 손실과 자원의 낭비라는 결과로 이어졌던 것이고 이를 보관하는데도 방대한 공간이 필요함과 아울러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페기처분을 하려해도 재질이 다른 핀보드와 검사핀을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 폐기하기도 쉽지 않았던 것이다.
또다른 문제점으로는 검사를 위해 핀보드의 승강과 회로기판을 잡아 주는 동작이 수동레바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검사자들이 하루 수백, 수천번씩 레바를 작동시키는 것은 상당히 힘든 작업이 될수 밖에 없으며, 손으로 레바를 젖히는 것은 균일한 작용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과도한 작용에 의한 지그의 수명단축이나 검사를 잘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발명은 지그의 내부에 별도로 제작된 핀보드를 삽입하는 구성으로 개량하여 다른종류의 회로기판을 검사시 핀보드만 교체 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크기가 다른 종류의 회로기판도 검사할수 있게 하고 또한 핀보드의 승강도 항상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개량 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C - C'에서본 덮개판의 저면도
도 5는 도 1의 D - D'선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1의 E - E'선 확대단면도
도 7은 본발명에 사용되는 검사핀의 설치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작용상태도
도 9는 본발명의 핀보관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10은 본발명의 블럭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 도면중 주요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검사지그 (2) 본체 (3) 덮개판 (4) 힌지
(5) 검사공간 (10) 승강판 (11) 승강실린더 (12) 가이드봉
(13) 볼부시 (14) 블럭 (15) 삽입요부 (16) 베이스판
(17) 핀설치판 (18) 배선홈 (19) 손잡이 (20) 가이드핀
(21) 가이드구멍 (22) 보관구멍 (23) 핀보관대 (30) 고정물림장치
(30') 이동물림장치 (31) 받침판 (32) 이동판 (33) 장공
(34) 가이드나사 (35)(35') 연결판 (40) 레바 (41) 지지블럭
(42) 핀 (43) 경사부 (44) 작용편 (45) 경사부
(46) 작용편 (47) 작용간 (48) 연결봉 (50)(50') 슬라이드판
(51) 직선베어링 (52) 가이드봉 (53)(53')(53') 걸림홈 (54) 정지편
(55) 걸림부 (56) 보턴 (60)(60') 연결구 (61) 핀
본발명의 검사지그(1)는 사각체의 케이스 형태로 본체(2)를 구성한후 상부의 덮개판(3)은 후단쪽에 힌지(4)를 설치하여 개방가능토록 구성하였다.
본체(2)의 내부에는 승강판(10)을 설치하되 본체(2) 내부의 바닥면과 승강판(10)의 사이에 승강실린더(11)를 설치하여 승강실린더(11)의 작용으로 승강판(10)이 승강가능토록 구성하였고 또한 가이드봉(12)과 볼부시(13)를 설치하여 승강판(10)의 승하강이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승강판(10)의 상면 가장자리에 4개 방향 모두 블럭(14)을 고정시켜 승강판(10)의 상면 중앙에 삽입요부(15)가 구성되게 하였고 상기 삽입요부(15)에는 베이스판(16)과 핀설치판(17)을 삽입하여 구성한다.
상기 각 블럭(14)의 바깔쪽으로 경사진 배선홈(18)을 형성하였고 핀설치판(17)에는 검사할 회로기판(100)에 따라 임의의 삽입구멍(101)을 다수개 형성한후 상기 삽입구멍(101)을 이용해 검사핀(102)을 삽입하는 것이며, 핀설치판(17)의 양단에는 손잡이(19)를 설치하였다.
또 베이스판(16)에는 가이드핀(20)을 돌출시키고, 핀설치판(17)에는 가이드핀(20)과 같은 위치에 가이드구멍(21)을 형성함으로써 핀설치판(17)을 분리한후 다시 삽입하더라도 항상 정확한 위치에 삽입되도록 하였다.
본체(2)의 내부 나머지 공간, 즉 본체(2)와 승강판(10)과의 사이 공간에는 다수개의 보관구멍(22)을 형성한 핀보관대(23)를 설치하여 검사핀(102)을 끼워 보관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상부 덮개판(3)의 중앙에는 4각형태의 검사공간(5)을 형성한후 그 주면에 회로기판(100)를 물어고정시키는 장치가 구성되는데, 3개소 방향에는 제자리에서 약간 움직이며 회로기판(100)을 물어주는 고정물림장치(30)를 설치하고 나머지 한방향에는 회로기판(100)의 길이에 따라 옮겨다니면서 물어주는 이동물림장치(30')를 설치한다.
먼저 고정물림장치(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덮개판(3)의 상면에 받침판(31)을 고정시키고 받침판(31)의 위에 이동판(32)을 설치하되 이동판(32)에 장공(33)을 형성한후 가이드나사(34)를 삽입하여 받침판(31)에 나사결합시킨다.
덮개판(3)의 저면에는 지지블럭(41)에 핀(42)으로 지지핀레바(40)를 설치하여 상단부가 덮개판(3)과 받침판(31)을 관통하여 이동판(32)의 저면에 삽입되게 하였고, 레바(40)의 하단부에는 경사부(43)를 형성하였다.
상기 레바(40)를 작용시키기 위한 작용편(44)이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각 블럭(14)의 양단에 각각 경사부(45)가 있는 작용편(44)을 고정시켜 승강판(10)이 승강하면 작용편(44)의 경사부(45)가 레바(40)의 경사부(43)를 밀어 젖히도록 한 것이다.
이동물림장치(30')의 구성은 상기 고정물림장치(30)와 동일하지만 연동가능하게 구성되어 크기가 서로 다른 기판을 검사하기에 용이하게 하도록 배려한 구성이다.이들은 도시된 도 2,4,6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면들과 함께 이동물림장치(30')를 상세히 설명한다.도시된 도 2,6에서 보이듯 받침판(31)의 후면에 겹쳐질수 있는 2개의 연결판(35)(35')를 설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였다.즉, 연결판(35,35')은 본체 위에서 서로 미끄러지며 이동하는데, 특히 도시된 도 6의 연결판(35)에는 받침판(21), 이동판(32), 레버(40), 연결봉(48)과 일체되어 있기에 연결판(35)의 이동은 이들 모두의 이동이 된다.이러한 이동 가능성 때문에 검사를 요하는 회로기판(100)의 크기와는 상관 없이 기판을 단단히 물릴 수 있도록 돕는다.도 4는 이러한 이동물림장치(30')의 구성을 보이기 위해 덮개판(3)을 저면에서 저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도시된 듯이 덮개판(3)의 저면에 받침판(31)과 연결된 슬라이드판(50)(50')을 각각 연결시키고 슬라이드판(50)(50')에는 직선베어링(51)을 고정시킨후 덮개판(3)에 고정된 가이드봉(52)을 직선베어링(51)에 삽입시켰다.따라서 받침판(31)은 가이드봉(52)을 타고 덮개판(3)의 상부에서 연동할 수 있는 것이다.
도7, 도8에 도시된 것은 2개의 검사핀(102)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항상 2개의 핀이 하나의 부품을 검사하는 용도로 같은 위치에 사용되는 경우 핀(6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끝에 핀구멍(62)이 형성된 2개의 연결구(60)(60')를 사용함으로써 보관시 및 삽입시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게 한 것이다.
이동 물림장치(30')가 이동시 레바(40)를 젖혀 회로기판(100)을 잡을 수 있도록 고려한 구성은 도 10에서 볼수 있는 2개의 작용간(47)이 돌출된 작용편(46)이다.즉, 블럭(14) 상면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키되, 슬라이드판(50)(50')의 걸림홈(53',53') 간의 거리와 동일거리로 2개의 작동간(47)이 벌려져 있다.따라서 이 작동간(47)은 고정물림장치의 작용편(44)과 동일한 작동을 한다.즉, 승강실린더(11)에 의해 상승된 승강판(10)과 함께 상승한 블럭(14)에 고정된 작용편(46)에는 2개의 작용간(47)이 구성되어 있다.이 작용간(47)은 그 일부가 절단된 경사부(도 10에 도시됨 그러나 부호는 없다)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사부가 연결봉(48)을 비스듬하게 밀어 핀(42)을 중심으로 레버(40)를 연동시켜 결과적으로 이동판(32)을 이동 회로기판(100)을 잡게 된다.도시된 듯이 작용간(47)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각각 경사부를 가지기에 이동한 이동물림장치(30')의 이동판(32)을 연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양측레바(40)는 지지블럭(41)에 핀(42)을 중심으로 연동할 수 있도록 체결되어 있고, 받침판(31)에 형성된 구멍을 뚫고 올라가 이동판(32)에 그 끝단이 끼워져 있다(도 6에 도시).또한 이 레바(40)의 타측부는 경사부(43)를 가지게 구성되고, 연결봉(48)으로 그들간이 연결되어 있다(도 4의 저면도에 도시).따라서 상기 작용편(46)의 작용간은 상승하며 이 연결봉(48)을 밀어 레버(40)가 젖혀지도록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70은 작동스위치, 71은 연결잭, 72는 덮개판개방용 보턴, 73은 각종 스위치나 표시램프등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 74는 레바복귀용 스프링이다.
이하 본발명의 작용을 사용방법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검사할 회로기판(100)을 덮개판(3)의 상면에 설치한 고정물림장치(30) 및 이동물림장치(30')에 얹어주는데, 이동판(32)보다 좀더 돌출된 받침판(31)의 끝단을 이용하여 회로기판(100)의 가장자리가 걸리도록 얹어주며 그후 작동스위치(70)을 작동시켜주면 승강판(10)이 상승하면서 회로기판(100)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검사핀(102)이 회로기판(100) 저면의 접점에 닿으면서 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검사핀(102)은 핀설치판(17)에 형성한 삽입구멍(101)에 삽입하는데, 그 위치는 검사할 회로기판(100)의 형태에 따라 미리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 형성한후 검사핀(102)을 삽입하는 것이고, 검사핀(102)에 연결되는 배선은 블럭(14)의 배선홈(18)을 통해 승강판(10)의 외부아래로 인출시킨후 다시 본체(2)의 후면에 설치한 연결잭(71)으로 연결되며, 연결잭(71)으로부터 검사기능을 하는 회로가 있는 별도의 장치(미도시 됨)로 연결시킨다.,
작동스위치(70)를 작용시켜주면 승강실린더(11)가 작용을 하면서 승강판(10)이 상승을 시작하고 가이드봉(12)과 볼부시(13)에 의해 정확하고 안정적인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승강판(10)이 상승하여 검사핀(102)이 회로기판(100)의 저면에 닿기전 회로기판(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승강판(10)의 블럭(14)에 고정된 작용편(44)이 동시에 상승하면서 경사부(45)가 레바(40)를 젖혀주게 되는 것으로, 레바(40)가 핀(42)을 중심으로 젖혀지면서 이동판(32)을 밀어주므로 이동판(32)이 회로기판(100)을 덮어 감싸주면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용은 고정물림장치(30)와 이동물림장치(30')가 같이 이루어지지만 이동물림장치(30')는 회로기판(100)의 크기에 따라 그 위치를 옮겨가며 작용시킬수 있는 것으로, 통상 한가지 종류의 회로기판(100)이 모델변경으로 인해 바뀌더라도 회로기판(100)의 폭은 변하지 않고 길이만 어느정도 규격화 된 치수로 변경되는 것이다.
이때는 보턴(56)을 누른 상태에서 이동판(32)과 받침판(31)을 움직이면 되는데, 보턴(56)을 누르면 걸림부(55)가 걸림홈(53)(53')(53')을 이탈한다.슬라이드판(50)(50')이 가이드봉(52)에 가이드 되면서 이동을 하고 다른 위치의 걸림홈(53)(53')(53')에 걸림부(55)가 삽입되도록 하면 이동후 고정된다.즉 본 고안의 이동물림장치(30')는 이 걸림홈(53,53',53')의 간격만큼 이동가능한 것이다.언급함 것처럼 이 간격만큼 작용편(46)의 작용간(47)도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기에 이동판(32)을 연동시킬 수 있다.
전자제품의 모델변경에 의한 다른 종류의 회로기판(100)을 검사할때는 덮개판(3)을 열어 젖힌후 손잡이(19)를 이용해 핀설치판(17)을 들어내면 되는데, 핀설치판(17)에 꽂혀있던 검사핀(102)을 핀보관대(23)의 보관구멍(22)에 꽂아주면 편리하게 작업할수 있고 핀설치판(17)의 삽입구멍(101) 위치를 변경형성하여 새로 장착하거나 미리 준비된 다른 핀설치판(17)을 삽입하면 다시 다른 회로기판(100)을 검사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발명은 회로기판(100)의 모델변경시 핀설치판(17)만을 손쉽게 교체하면 계속 검사작업이 가능하고 회로기판(100)의 크기에 따른 호환성도 갖고 있으므로 비용절감과 자원절약 및 환경보호를 동시에 이룰수가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돋보이는 뛰어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Claims (6)

  1.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를 구성시, 사각체의 케이스 형태로 본체(2)를 구성한 후 상면의 덮개판(3)을 본체(2)에 힌지로 고정시켜 개방가능토록 구성하고, 본체(2)의 내부에는 승강실린더(11)위에 설치되는 승강판(10)을 구성하고 승강판(10)의 위에 삽탈가능한 핀 설치판(17)을 삽입토록 하며, 덮개판(3)의 중앙에는 검사공간(5)을 형성한후 검사공간(5)의 바로옆에 승강판(10)의 상승에 의한 레바(40)의 작용으로 회로기판(100)을 고정시키는 장치를 설치하되 3개소에는 제자리에서 움직이는 고정물림장치(30)를 설치하고 1개소에는 일정거리를 이동가능한 이동물림장치(30')를 설치하며, 승강판(10)의 주면에는 보관구멍(22)이 다수 형성된 핀보관대(23)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판(10)은 케이스(2) 내부의 바닥에 승강실린더(11)를 고정시킨후 그 상단에 고정시키고 4곳 모서리 부분에는 가이드봉(12)과 볼부시(13)를 설치하여 승강이 가이드되도록 하며, 승강판(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블럭(14)을 고정시켜 내부 중앙에 삽입요부(15)가 형성되게 하고 블럭(14)에는 다수의 배선홈(18)을 형성하면서 고정물림장치(30) 및 이동물림장치(3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용편(44)을 고정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핀설치판(17)은 삽입요부(15)에 삽탈가능토록 구성하되 삽입요부(15)내에 가이드핀(20)이 돌출된 베이스판(16)을 삽입하고 핀설치판(17)에는 가이드구멍(21)을 형성하며, 핀설치판(7)의 상면 양단에는 손잡이(19)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물림장치(30)와 이동물림장치(30')는 덮개판(3)의 상면에 받침판(31)을 고정시키고 받침판(31)의 위에 이동판(32)을 설치하되 이동판(32)에 장공(33)을 형성한후 가이드나사(34)를 체결하여 받침판(31)에 나사결합시키며, 덮개판(3)의 저면에는 지지블럭(41)에 핀(42)으로 지지된 레바(40)를 설치하여 상단부가 덮개판(3)과 받침판(31)을 관통하여 이동판(32)의 저면에 삽입되게 하였고 레바(40)의 하단에는 작용편(44)의 경사부(45)와 마찰되도록 경사부(43)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이동물림장치(30')에는 받침판(31)의 후면에 겹쳐질수 있는 2개의 연결판(35)(35')을 이동가능토록 설치하고 덮개판(3)의 저면에는 받침판(31)과 연결된 슬라이드판(50)(50')을 설치하되 슬라이드판(50)(50')에는 직선베어링(51)을 고정시킨후 덮개판(3)에 고정된 가이드봉(52)에 가이드되도록 하며, 일측 슬라이드판(50)에는 걸림홈(53)(53')(53')을 가진 정지편(54)을 고정시킨후 바로 옆의 덮개판(3)에는 하단걸림부(55)가 걸림홈(53)(53')(53')에 삽입도는 보턴(56)을 설치하고 이동물림장치(30')에 설치되는 레바(40)는 연결봉(48)으로 연결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6. 핀 설치판(17)에 삽입되는 검사핀(102)중 반드시 2개가 인근한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 사용토록, 핀(6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끝단에 핀구멍(62)이 형성된 2개의 연결구(60)(6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KR1019990007005A 1999-02-25 1999-02-25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KR10031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005A KR100313405B1 (ko) 1999-02-25 1999-02-25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7005A KR100313405B1 (ko) 1999-02-25 1999-02-25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35A KR20000056935A (ko) 2000-09-15
KR100313405B1 true KR100313405B1 (ko) 2001-11-05

Family

ID=19575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7005A KR100313405B1 (ko) 1999-02-25 1999-02-25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582B1 (ko) * 2017-03-28 2021-06-21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291036B1 (ko) * 2020-04-24 2021-08-20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가변 젠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35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286B1 (ko) 메모리 모듈 실장 테스터기용 착탈 지그
KR100313405B1 (ko)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US6966783B2 (en) Contact pin and socket for electrical parts provided with contact pin
US7973551B2 (en) Test fixture for printed circuit board
KR20110055361A (ko) 테스트핸들러용 개방장치
KR20010113539A (ko) 전기부품용 소켓 및 그 조립방법
KR101544510B1 (ko) 무빙 어댑터를 이용하여 프리 사이즈 인서팅이 가능한 패키지 인서트 가이드 및 얼라인 장치
US20020022386A1 (en) Socket for BGA package
JP3339608B2 (ja) Ic試験装置
KR102369323B1 (ko)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헤드
CN216816735U (zh) Pcb电性能测试用定位工装
JPH0540459Y2 (ko)
KR0137812B1 (ko)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20020097446A (ko) 인쇄회로기판의 롬라이팅 및 기능 검사 시스템
KR0150141B1 (ko)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KR10247755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핀 블록
CN216360231U (zh) 一种高速传输线定位治具
KR940002721Y1 (ko) 접속단자가 하우징에 끼워진 상태를 점검하는 장치
CN116559628B (zh) 一种电路板模块测试治具
KR0140588Y1 (ko) 튜너 검사장치
KR19990059041A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마킹 장치
KR101344458B1 (ko) 홀 위치 검사기구
KR200258234Y1 (ko) 패케지테스트소켓
KR20090101575A (ko) 콘택트 피치 조정지그 및 콘택트 피치 조정 및 조립 방법
JPH05404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