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582B1 -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582B1
KR102267582B1 KR1020170039020A KR20170039020A KR102267582B1 KR 102267582 B1 KR102267582 B1 KR 102267582B1 KR 1020170039020 A KR1020170039020 A KR 1020170039020A KR 20170039020 A KR20170039020 A KR 20170039020A KR 102267582 B1 KR102267582 B1 KR 102267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bstrate
high frequency
termin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373A (ko
Inventor
성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의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03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58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15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 H05K7/103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exterior leads co-operating by sliding, e.g. DIP carri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18Card guides, e.g. gro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05K9/0032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된 리프트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기 리프트판을 승하강 시키는 회동 링크를 포함하는 승하강 유닛; 기판을 고정하고, 상기 리프트판의 상부에 탄성 부재를 매개로 결합 되는 기판 고정 유닛;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단자에 접속되는 테스트 핀 유닛; 및 상기 리프트판에 교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제2 단자에 접속되는 고주파 인가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APPARATUS FOR CALIBRATING RADIO FREQUENCY}
본 발명은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소형 통신 장치들은 통신사 등에서 할당된 특정 주파수 대역 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 장비에 저장 또는 주파수 대역을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고주파 캘리브레이션(RF calibration)이 수행된다.
특히 하나의 제조사에서 제조된 소형 통신 장치를 다수 통신사에서 사용할 경우 통신사별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어야 한다.
종래 소형 통신 장치들은 주로 착탈식 배터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소형 통신 장치들의 후면을 개방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며, 후면 커버를 제거하면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단자가 노출되었기 때문에 소형 통신 장치들을 완제품으로 제조한 후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최근 일체형 배터리를 포함하는 소형 통신 장치들이 개발되면서 방수 기능과 함께 소형 통신 장치들이 후면 커버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로 개발 트랜드가 변경되고 있다.
따라서 일체형 배터리를 포함하는 소형 통신 장치들은 완제품으로 제조한 후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불가능하며, 일체형 배터리를 포함하는 소형 통신 장치들은 조립 이전에 회로기판에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에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052835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2016. 04. 29 출원에 기재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제1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제공유닛, 제2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RF 제공 유닛, 기판 고정 유닛 및 접속 유닛을 포함하며, 특히 접속 유닛은 제1 및 제2 가이드 유닛의 간격을 동시에 감소시켜 회로기판에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접속 유닛이 전원 제공 유닛 및 RF 제공 유닛을 동시에 구동해야 하며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접속 유닛의 작용 및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생산 원가가 크게 상승 되고, 복잡한 구성에 의하여 구동 불량 및 제품 마모 등이 쉽게 발생 될 수 있다.
(특허 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052835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출원일:2016. 04. 29.)
본 발명은 소형 통신 장치를 조립하기 이전에 회로기판의 전원 단자에는 구동 전원을 인가하고, RF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RF 단자에는 특정 고주파 신호를 제공하여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을 상승시켜 전원 단자와 회로 기판을 먼저 접촉시킨 후 RF 단자 및 회로 기판을 접속시켜 간단한 구성으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생산 원가 감소, 구성 단순화, 구동 불량 및 제품 마모에 따른 불량을 방지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된 리프트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기 리프트판을 승하강 시키는 회동 링크를 포함하는 승하강 유닛; 기판을 고정하고, 상기 리프트판의 상부에 탄성 부재를 매개로 결합 되는 기판 고정 유닛;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단자에 접속되는 테스트 핀 유닛; 및 상기 리프트판에 교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기판의 하면에 형성된 제2 단자에 접속되는 고주파 인가 유닛을 포함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상기 베이스판 및 상기 리프트판은 상호 평행한 상태에서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회동 링크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예각의 각도로 상기 리프트판에 결합 되고,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리프트판의 단부에는 스톱퍼에 걸리는 걸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 링크 및 상기 베이스판에는 복귀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결합 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기판 고정 유닛은 상기 기판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슬라이드 유닛들 및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판은 상기 관통홀에 각각 결합 되는 가이드 포스트 및 상기 가이드 포스트에 결합 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상기 고주파 인가 유닛은 상기 기판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마련된 복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된 고정 기판 및 상기 관통홀들 중 하나에 결합 되는 고주파 인가 부재 및 상기 고주파 인가 부재에 결합되는 고정 홀더를 포함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상기 고주파 인가 부재의 사이즈가 상기 관통홀의 사이즈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상기 고주파 인가 부재를 상기 관통홀에 고정하는 고정 지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그에는 상기 고정 지그를 상기 고정 기판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가 형성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상기 고정 지그의 일측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사이즈로 형성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지그의 상기 일측면과 대향 하는 타측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과 이격된 사이즈를 갖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상기 테스트 핀 유닛은 상기 고주파 인가 유닛이 상기 기판을 밀어 상기 기판이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부가 형성된 누름 기판을 포함하는 기판 누름 유닛을 포함한다.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상기 베이스판을 슬라이드 시키는 실린더 유닛 및 상기 기판을 수납하여 전자기파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쉴드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소형 통신 장치를 조립하기 이전에 회로기판의 전원 단자에는 구동 전원을 인가하고, RF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단자에는 특정 고주파 신호를 제공하여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는 회로 기판을 상승시켜 전원 단자와 회로 기판을 먼저 접촉시킨 후 RF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단자 및 회로 기판을 접속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생산 원가 감소, 구성 단순화, 구동 불량 및 제품 마모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회로기판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회로기판의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승강 유닛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기판 고정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인가 유닛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고정 지그의 전면 및 후면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회로기판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회로기판의 상면과 대향하는 하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회로기판(1)의 상면(2)에는 회로기판(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구동 전원)가 인가되는 제1 단자(3)가 형성되며, 제1 단자(3)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자(3)들은, 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테두리(edge)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의 상면(2)과 대향하는 하면(4)에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고주파가 입력되는 제2 단자(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단자(5)는 회로기판(1)의 하면(4)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로기판(1)의 상면(2)에 형성된 제1 단자(3) 및 하면(4)에 형성된 제2 단자(5)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서로 다른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900)는 쉴드 유닛(110), 커버(120) 및 실린더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유닛(110)은 외부의 전자기파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및 내부의 전자기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기 차폐 기능을 수행한다.
쉴드 유닛(110)은, 예를 들어, 일측면이 개구 된 직육면체 함체(box)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쉴드 유닛(110)은 직육면체 함체(box)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0)는 쉴드 유닛(110) 중 개구된 일측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커버(120) 역시 전자기 차폐 기능을 수행한다.
실린더 유닛(130)은 쉴드 유닛(110)의 대향하는 양쪽 측면들에 각각 배치된다.
실린더 유닛(130)은 실린더 몸체(135) 및 실린더 로드(137)를 포함한다.
실린더 몸체(135)는 쉴드 유닛(110)에 고정되며, 실린더 로드(137)는 실린더 몸체(135)에 결합 되어 길이가 가변 되며, 실린더 로드(137)의 단부는 커버(120)와 결합된다.
실린더 몸체(135)의 작동에 의하여 실린더 로드(137)의 길이가 증가 될 경우 커버(120)는 쉴드 유닛(110)으로부터 이격 되어 쉴드 유닛(110)을 개방한다. 반대로 실린더 몸체(135)의 작동에 의하여 실린더 로드(137)의 길이가 감소 될 경우 커버(120)는 쉴드 유닛(110)을 폐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승강 유닛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900)는 승하강 유닛(200), 기판 고정 유닛(300), 테스트 핀 유닛(400) 및 고주파 인가 유닛(500)을 포함한다.
전체적인 배치를 살펴보면, 승하강 유닛(200)의 상부에는 기판 고정 유닛(300)이 배치되고, 기판 고정 유닛(300)의 상부에는 테스트 핀 유닛(400)이 배치되며, 고주파 인가 유닛(500)은 승하강 유닛(200) 및 기판 고정 유닛(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승하강 유닛(200)은 베이스판(210), 리프트판(250) 및 회동 링크(270)를 포함한다.
베이스판(210)은 쉴드 유닛(110)의 내측면 바닥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베이스판(210)은, 예를 들어,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판(210)의 대향하는 양쪽 단부는 상호 마주하게 절곡 될 수 있다.
베이스판(210)의 선단은 도 3에 도시된 커버(120)에 결합 되며, 따라서 실린더 유닛(130)의 작동에 의하여 베이스판(210)은 커버(120)와 함께 쉴드 유닛(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또는 쉴드 유닛(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판(210)의 중앙부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판(210)이 이동되면서 베이스판(210)의 높이 편차가 발생 되지 않도록 베이스판(210)에는 높이 변경 방지 부재(215)가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판(250)은 베이스판(2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리프트판(250)은 베이스판(210)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일정 간격 이격 된 위치에 배치된다.
리프트판(250)은, 예를 들어,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판(250)의 대향하는 양쪽 단부는 상호 마주하게 절곡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리프트판(250)의 절곡 된 부분은 베이스판(210)의 절곡 된 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리프트판(250)의 형상 및 사이즈는 베이스판(210)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리프트판(250)은 베이스판(21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리프트판(250)은 베이스판(210)에 대하여 엇갈리게 배치된다.
즉, 리프트판(250)의 선단은 베이스판(210)의 선단보다 뒤쪽에 배치되며, 리프트판(250)의 후단은 베이스판(210)의 후단보다 뒤쪽에 배치된다.
리프트판(250)의 후단의 중앙 부분에는 가이드 부재(255)가 배치되고, 가이드 부재(255)에는 걸림 부재(257)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부재(257)는, 예를 들어,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257)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고정된 스톱퍼(140)가 배치되며, 스톱퍼(140)를 걸림 부재(257)가 지정된 위치에 정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 링크(270)는 베이스판(210)의 양쪽 선단 및 리프트판(250)의 양쪽 선단을 연결한다. 또한 회동 링크(270)는 베이스판(210)의 양쪽 후단 및 리프트판(250)의 양쪽 후단을 각각 연결한다.
회동 링크(270), 베이스판(210) 및 리프트판(250)은, 예를 들어,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동 링크(270)는 베이스판(210) 및 리프트판(250)에 링크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회동 링크(270)는 베이스판(210) 및 리프트판(250)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다.
베이스판(210)에 대하여 리프트판(250)이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 링크(270)는 베이스판(210)에 대하여 예각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회동 링크(270)들이 회동 됨에 따라 베이스판(210) 및 리프트판(250) 사이의 높이는 감소 또는 증가 된다.
베이스판(210)의 선단 부분 및 상기 선단 부분과 인접한 회동 링크(270)의 사이에는 회동 링크(270)를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280)이 배치된다.
한편 베이스판(210)의 상면에는 리프트판(250) 및 베이스판(210) 사이의 최소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높이 유지 기둥(285)이 배치된다. 높이 유지 기둥(285)의 상단에는 리프트판(250)의 하면이 접촉된다.
도 6은 기판 고정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판 고정 유닛(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회로 기판(1)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기판 고정 유닛(300)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회로 기판(1)을 고정할 수 있다.
기판 고정 유닛(300)에 고정되는 회로 기판(1)의 상면은 상부를 향하게 배치되고, 회로 기판(1)의 하면은 하부를 향하게 배치된다.
기판 고정 유닛(300)은 고정 몸체(310), X 축 방향 가이드 부재(320), X 축 방향 슬라이더(330), Y축 방향 가이드 부재(340), Y 축 방향 슬라이더(350) 및 관통홀(365)이 형성된 부싱(360)을 포함한다.
고정 몸체(3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 몸체(310)의 중앙부에는 개구(315)가 형성된다. 개구(315)는,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X축 방향 가이드 부재(320)는 고정 몸체(310)의 개구(315)의 양쪽에 X 축과 평행하게 한 쌍이 배치되며, X 축 방향 가이드 부재(32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X축 방향 슬라이더(330)는 X 축 방향 가이드 부재(3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X 축 방향 슬라이더(330)는 X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X축 방향 슬라이더(330)는 세로 방향 길이가 서로 다른 회로 기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Y 축 방향 가이드 부재(340)는 고정 몸체(310)에 Y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Y 축 방향 가이드 부재(34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Y 축 방향 슬라이더(350)는 Y 축 방향 가이드 부재(340)에 결합 되며, Y 축 방향 슬라이더(350)는 Y 축 방향 가이드 부재(340)를 따라 슬라이드 된다. Y 축 방향 슬라이더(350)는 가로 방향 길이가 서로 다른 회로 기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부싱(360)은 고정 몸체(310)에 복수곳, 예를 들어, 4곳에 형성되며 부싱(360)은, 예를 들어, 대칭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부싱(360)에는 고정 몸체(310)를 관통하는 관통홀(365)이 형성된다.
기판 고정 유닛(300)을 리프트판(250)의 상부에 배치하기 위해서 리프트판(250)에는 가이드 포스트(370)들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이드 포스트(370)들은 부싱(360)의 관통홀(365)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가이드 포스트(370)들은 관통홀(365)에 삽입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포스트(370)들은 부싱(360)의 관통홀(365) 내에서 상하로 이동 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포스트(370)에는 코일 스프링(380)이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380)의 일측단은 기판 고정 유닛(300)에 고정되고, 코일 스프링(380)의 일측단과 대향하는 타측단은 리프트판(25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기판 고정 유닛(300) 및 리프트판(250)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 포스트(370) 및 코일 스프링(380)에 의하여 가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테스트 핀 유닛(400)은 기판 고정 유닛(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테스트 핀 유닛(400)은 고정 고정 유닛(300)의 상부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테스트 핀 유닛(400)은 기판 고정 유닛(300)에 고정된 회로 기판(1)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단자(3)에 회로기판(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전원)를 제공하여 회로 기판(1)을 작동 시킨다.
테스트 핀 유닛(400)의 후면에는 기판 고정 유닛(300)에 고정된 회로 기판(1)의 상면이 리프트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로 기판(1)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핀(410)들이 형성된 누름 기판(420)을 포함하는 누름 유닛(430)이 결합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인가 유닛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고정 지그의 전면 및 후면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고주파 인가 유닛(500)은 리프트판(250)에 착탈 또는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며, 고주파 인가 유닛(500)은 기판 고정 유닛(300)에 고정된 회로 기판(1)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고주파 인가 유닛(500)은 리프트판(250)에 형성된 클램프 등에 의하여 리프트판(250)에 착탈 또는 교체 가능하게 결합 된다.
고주파 인가 유닛(500)은 기판 고정 유닛(300)에 고정된 회로 기판(1)의 하면에 배치되어 회로 기판(1)의 제2 단자에 고주파를 제공하여 구동 신호가 제공되어 작동된 회로 기판(1)에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고주파 인가 유닛(500)은 고정 기판(510), 고주파 인가 부재(520) 및 고정 지그(530)를 포함한다.
고정 기판(510)은,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 기판(510)은 리프트판(250)에 형성된 개구의 내부에 배치된다.
고정 기판(510)에는 기판 고정 유닛(300)에 고정되는 회로 기판(1)에 형성되는 제2 단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관통홀(515)들이 형성되며, 관통홀(515)의 주변에는 고정 지그(5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517)들이 형성된다.
고정 기판(510)에 형성된 관통홀(515)들의 사이즈는 고주파 인가 부재(520)의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고주파 인가 부재(520)는 회로 기판(1)의 하면에 배치된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2 단자에 고주파를 제공한다.
고주파 인가 부재(520)는 고주파 인가 단자(525) 및 고정 홀더(527)를 포함하며, 고정 홀더(527)는 고주파 인가 단자(525)에 삽입되어 고주파 인가 단자(525)를 홀딩한다.
고정 홀더(527)의 외측면에는 고정 지그(530)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고정 지그(530)는, 예를 들어, 장방형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 지그(530)의 일측단에는 고정 홀더(527)의 외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결합부(532)가 형성되고, 고정 지그(530)에는 고정 지그(530)를 고정 기판(51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534)이 형성된다.
결합부(532)의 일측면에는 제1 돌출부(536)가 형성되고, 결합부(532)의 일측면과 대향 하는 타측면에는 제2 돌출부(538)가 형성된다.
제1 돌출부(536)는 각각 반원 형태로 결합부(532)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 돌출부(536)의 외주면은 고정 기판(510)에 형성된 관통홀(515)의 내측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제1 돌출부(536)가 관통홀(515)에 결합 될 경우 고주파 인가 단자(525)는 지정된 위치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한편, 제2 돌출부(538)는 각각 반원 형태로 결합부(532)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2 돌출부(538)의 외주면은 고정 기판(510)에 형성된 관통홀(515)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 된다. 따라서 제2 돌출부(536)가 관통홀(515)에 결합 될 경우 고주파 인가 단자(525)는 지정된 위치로부터 다소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주파 인가 단자(525)가 관통홀(515) 내부에서 다소 움직일 수 있을 경우, 회로 기판(1)의 위치 오차, 회로 기판(1)에 형성된 제2 단자의 사이즈 오차 및 고주파 인가 단자(525)의 형상 및 배치 오차에 따라 고주파 인가 단자(525) 및 제2 단자의 정렬 불량을 해결할 수 있다.
고정 지그(530)는 체결홀(534)에 체결 나사를 삽입한 후, 고정 기판(510)의 고정홀(517)에 결합함으로써 고정 기판(5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 도 4,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실린더 유닛(130)이 작동하여 실린더 로드(137)가 실린더 몸체(135)의 외부로 연장됨에 따라 승하강 유닛(200) 및 기판 고정 유닛(300)은 쉴드 유닛(110)의 외부로 이동된다.
기판 고정 유닛(300)이 쉴드 유닛(110)의 외부로 이동된 후 기판 고정 유닛(30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제1 단자가 형성되고, 하면에 제2 단자가 형성된 회로 기판이 장착된다.
기판 고정 유닛(300)에 회로 기판이 고정된 후 실린더 유닛(130)이 작동하여 실린더 로드(137)가 실린더 몸체(135)의 내부로 이동됨에 따라 승하강 유닛(200) 및 기판 고정 유닛(300)은 쉴드 유닛(110)의 내부로 이동된다.
승하강 유닛(200)이 쉴드 유닛(110)의 내부로 이동되는 도중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유닛(200)의 걸림 부재(257)는 스톱퍼(140)와 접촉된다.
걸림 부재(257)가 스톱퍼(140)와 접촉됨에 따라 리프트판(250)은 더 이상 이동되지 않으나 베이스판(210)은 쉴드 유닛(110)의 내부로 계속 이동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판(210) 및 리프트판(250)에 결합된 모든 회동링크(27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되고 이로 인해 리프트판(250)은 베이스판(2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회동 링크(270)의 회동에 의하여 리프트판(250)이 상승됨에 따라 리프트판(250)에 결합된 기판 고정 유닛(300) 역시 베이스판(210)으로부터 상승된다.
한편, 기판 고정 유닛(300)의 상승에 의해 기판 고정 유닛(300)에 결합된 회로 기판의 제1 단자는 테스트 핀 유닛(400)에 전기적으로 먼저 접속되고 테스트 핀 유닛(300)으로부터 제1 단자로 구동 신호(전원)이 제공되며, 이로 인해 회로기판은 활성화된다.
한편 회로 기판의 제1 단자 및 테스트 핀 유닛(400)이 접속된 상태에서 리프트판(250)은 계속 상승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회로 기판의 제1 단자 및 테스트 핀 유닛(400)이 접속된 상태에서 리프트판(250)은 계속 상승함에 따라 회로기판의 제2 단자는 고주파 인가 유닛(500)의 고주파 인가 부재(5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활성화된 회로기판의 제2 단자로 고주파가 인가되어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소형 통신 장치를 조립하기 이전에 회로기판의 전원 단자에는 구동 전원을 인가하고, RF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단자에는 특정 고주파 신호를 제공하여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을 상승시켜 전원 단자와 회로 기판을 먼저 접촉시킨 후 RF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단자 및 회로 기판을 접속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생산 원가 감소, 구성 단순화, 구동 불량 및 제품 마모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10...쉴드 유닛 120...커버
130...실린더 유닛 200...승하강 유닛
300...기판 고정 유닛 400...테스트 핀 유닛
500...고주파 인가 유닛

Claims (8)

  1.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된 리프트판 및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기 리프트판을 승하강 시키는 회동 링크를 포함하는 승하강 유닛;
    상기 리프트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포스트 및 상기 가이드 포스트에 끼워진 코일 스프링,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부싱이 형성되며 상면에 제1 단자 및 하면에 제2 단자가 형성된 기판을 고정하는 고정 몸체를 포함하는 기판 고정 유닛;
    상기 기판 고정 유닛의 상기 제1 단자와 마주하게 배치된 누름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자로 전원을 제공하는 테스트 핀 유닛;
    상기 리프트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단자에 고주파를 제공하는 고주파 인가 부재를 포함하는 고주파 인가 유닛;
    상기 베이스판에 결합된 커버 및 상기 기판을 수납하는 쉴드 유닛;
    상기 쉴드 유닛에 결합되는 실린더 몸체 및 일측은 상기 실린더 몸체에 결합 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은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몸체의 외부로 연장되거나 상기 실린더 몸체의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베이스판을 슬라이드 시키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 유닛; 및
    상기 리프트판에 형성된 걸림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유닛에 의하여 상기 스톱퍼 및 상기 걸림부재가 접촉되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테스트 핀 유닛 및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고주파 인가 부재는 각각 마주하게 정렬되고,
    상기 실린더 유닛이 이송되면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테스트 핀 유닛이 접속되어 상기 제1 단자에 상기 전원을 제공하여 상기 기판이 작동된 후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고주파 인가 부재가 접속되어 상기 제2 단자에 상기 고주파를 제공하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및 상기 리프트판은 상호 평행한 상태에서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기 회동 링크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예각의 각도로 상기 리프트판에 결합 되고, 상기 회동 링크 및 상기 베이스판에는 복귀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결합 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기판 고정 유닛은 상기 기판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슬라이드 유닛들을 포함하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인가 유닛은 상기 기판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마련된 복수개의 관통홀들이 형성된 고정 기판 및 상기 관통홀들 중 하나에 결합 되는 고주파 인가 부재 및 상기 고주파 인가 부재에 결합되는 고정 홀더를 포함하는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인가 부재의 사이즈가 상기 관통홀의 사이즈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상기 고주파 인가 부재를 상기 관통홀에 고정하는 고정 지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그에는 상기 고정 지그를 상기 고정 기판에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가 형성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그의 일측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사이즈로 형성된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지그의 상기 일측면과 대향 하는 타측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과 이격된 사이즈를 갖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핀 유닛의 상기 누름 기판은 상기 고주파 인가 유닛이 상기 기판을 밀어 상기 기판이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상면을 누르는 누름부가 형성된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8. 삭제
KR1020170039020A 2017-03-28 2017-03-28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267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020A KR102267582B1 (ko) 2017-03-28 2017-03-28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020A KR102267582B1 (ko) 2017-03-28 2017-03-28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373A KR20180109373A (ko) 2018-10-08
KR102267582B1 true KR102267582B1 (ko) 2021-06-21

Family

ID=6386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020A KR102267582B1 (ko) 2017-03-28 2017-03-28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18833B (zh) * 2022-12-16 2023-10-11 稜研科技股份有限公司 射頻裝置調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805A (ja) * 2003-08-22 2005-03-17 Jst Mfg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
KR101442035B1 (ko) * 2013-10-01 2014-09-25 디플러스(주)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1514031B1 (ko) * 2014-04-28 2015-04-22 이성수 실드박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405B1 (ko) * 1999-02-25 2001-11-05 이병로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KR100412271B1 (ko) * 2001-11-21 2003-12-31 미래산업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클램핑 장치
KR101768280B1 (ko) 2014-10-17 2017-08-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르피너스 푸베센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9805A (ja) * 2003-08-22 2005-03-17 Jst Mfg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タクトアセンブリ
KR101442035B1 (ko) * 2013-10-01 2014-09-25 디플러스(주)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1514031B1 (ko) * 2014-04-28 2015-04-22 이성수 실드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373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035B1 (ko)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1652303B1 (ko) 제품 테스트 소켓
KR101850937B1 (ko)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US20180238957A1 (en) Ic socket
US20070069756A1 (en) Test fixture
KR102267582B1 (ko)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0339283B1 (ko) 소켓
JP2000182739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US7994805B2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testing device
KR101096387B1 (ko) 격리 커버를 갖는 회로기판 및 그 조립 방법
KR20180121717A (ko) 반도체 장치 검사용 소켓
KR200387615Y1 (ko) 모듈 테스트 소켓
KR102267580B1 (ko) 고주파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209062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소켓의 래치 개폐 제어 장치
KR102608592B1 (ko) 제품 테스트 소켓용 회로 기판 정렬 장치
JP6131622B2 (ja) 測定装置
US20140353895A1 (en) Carrying apparatus
TWI632373B (zh) 治具平台
TWI449613B (zh) 電子元件引腳校正裝置及方法
US10079124B2 (en) Keycap and keyboard apparatus
KR20230084837A (ko)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US20100062622A1 (en) Ic socket having improved latch device
KR20170046558A (ko) 무선주파수 교정용 받침대
KR200328579Y1 (ko) 모듈 검사용 지그조립체
CN210015964U (zh) 一种新型塑料隔离调试件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