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141B1 -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 Google Patents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141B1
KR0150141B1 KR1019950021627A KR19950021627A KR0150141B1 KR 0150141 B1 KR0150141 B1 KR 0150141B1 KR 1019950021627 A KR1019950021627 A KR 1019950021627A KR 19950021627 A KR19950021627 A KR 19950021627A KR 0150141 B1 KR0150141 B1 KR 015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box
setting
jig
box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486A (ko
Inventor
안건준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141B1/ko
Publication of KR97000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지그박스를 자동으로 세팅 해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잭과 콘넥트가 다수 장착되는 지그박스를 용이하게 세팅하고,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통상의 지그박스의 세팅장치에 있어서, 지그박스의 착탈시 정확한 위체이 지그박스가 세팅 되지 않더라도 세팅블럭상의 BNC잭을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하여 세팅 여유를 줌으로써 원활하게 지그박스가 세팅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 장치는 특수 지그의 세팅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지그 착탈공정의 간소화등 시간적 경제적 효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박스 자동 세팅 장치에 있어서 세팅 초기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그박스 11a, b : 세팅블럭
12 : 공압실린더 13a, b : 슬라이드 블럭
14 : 출입구 15 : 베이스
16 : 업/다운 실린더 17 : 절삭면
18 : 잭(Jack) 19 : 핀콘넥터(Pin Connector)
20, b : 볼부시(Ball Bush) 21 : 경사면
22 : 잭홀더 23 : 콘넥터잭
24a, b : 맞춤핀 25a, b : 압소바
26 : 실린더 로드 27 : 접촉면
28 : 지지면
본 발명은 지그박스(Jig Box)의 자동 세팅(Setting)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잭(BNC Jack)과 콘넥트(Connect)가 다수 장착되는 지그박스를 착탈하고자 할때, 정확한 위치에 지그박스가 세팅되지 않더라도 잭을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어서 지그박스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분야 산업의 자동화 라인중 마지막 단계인 완성 인쇄회로기판(PCB)을 측정하고 검사, 조정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사용 장비등을 제어하고 안내 해주게 되는 전용 지그박스를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지그박스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가져온다 하더라도 지그를 장착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왜냐하면 지그를 단순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잭(BNC Jack)과 콘넥트가 접촉삽입 되면서 지그가 세팅되므로 잭(BNC Jack)과 콘넥트 부위가 지그 셋팅을 방해하게 되어 특정한 구조를 필요로 한다. 이런 구조는 특히 인쇄회로기판(PCB)의 검사조정 시스템 및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등의 잭과 콘넥트를 사용하는 지그를 착탈하는데 유용하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그박스 세팅시 고정된 잭과 콘넥터의 방해로 인한 매끄럽지 못한 세팅을 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 또는 측정하는 지그의 특성상 잭과 콘넥터가 다수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하여 지그를 용이하게 세팅시키고, 분리하고자 하는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사용장비 등을 제어하고 안내 해주게 되는 지그박스(10)와, 상기 지그박스(10)의 좌,우측에서 지그박스와 접속하게 되는 세팅블럭(11a, 11b)과, 상기 세팅블럭(11a, 11b)을 세팅 또는 원래의 위치까지 운반해 주기 위해 실린더(12)의 로드 끝에 장착된 슬라이드 블럭(13a, 13b)과, 상기 실린더(12)와 세팅블럭(11a, 11b)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그박스(10)의 출입구(14)가 형성된 베이스(Base)(15)와, 상기 지그박스(10)를 도시되지 않은 회전판에서 최초 세팅 위치까지 위치시키는 업/다운 실린더(UP/DOWON Cylinder)(16)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지그박스(10)는 일측의 절삭면(17)에 잭(BNC Jack)(18)과 핀콘넥터(Pin Connector)(1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잭(18)과 핀콘넥트(19)의 외측으로 볼부시(Ball Bush)(20a)가 두개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의 절삭면의 중앙에는 볼부시(20b)가 하나 형성되어 있고, 양 절삭면(17) 아래의 모서리에 미끄럼 안내를 하기 위한 경사면(21)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지그박스(10)가 작업 위치가 되도록 세팅을 해주게 되는 세팅블럭(11a, 11b)중 좌측의 세팅블럭(11a)에는 상기 잭(18)과 결합하게 되는 움직이는 구조의 잭홀더(22)와 콘넥트잭(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그박스(10)의 볼부시(20a)에 맞춰 끼워지게 되는 맞춤핀(24a) 두 개와 지그박스(10)가 분리되도록 하는 압소바(25a)가 세 개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의 세팅블럭(11b)에는 상기 지그박스(10)의 볼부시(20b)에 맞춰 끼워지게 되는 맞춤핀(24b) 하나와 지그박스(10)가 분리되도록 하는 압소바(25b)가 두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2)의 로드(26) 끝에 연결되어 상기 지그박스(10)를 작업위치에 완전 세팅되도록 상승시키게 되는 슬라이드 블럭(13a, 13b)은 일단에 상기 지그박스(10)의 경사면(21)에 대하여 접촉저항을 덜 받도록 형성된 경사진 접촉면(27)과 완전 세팅을 지지 해주는 지지면(28)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데이타를 입력하면 도시되지 않은 회전판상의 지그박스(10)가 업/다운 실린더(16) 상에 위치하게 되고,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12)가 최대 상사점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지그박스(10)의 최종 세팅시 상기 맞춤핀(24a, 24b)이 정확히 들어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세팅블럭(11a, 11b)의 맞춤핀(24a, 24b) 끝에 상기 지그박스(10)의 볼부시(20a, 20b)에 5㎜정도 들어가게 되며, 상기와 같이 실린더(12)가 상사점에 이르게 되면 베이스면(15) 상에 서로 마주하고 있던 공압 실린더(12)가 기동하여 슬라이드 블럭(13a, 13b)을 로드하면 상기 슬라이드 블럭(13a, 13b)의 접촉면(27)이 상기 지그박스(00)의 양측에 있는 경사면(21)의 안내를 받아 수평운동을 계속하게 되고, 지그박스(10)는 슬라이드 블럭(13a, 13b)의 접촉면(27)을 따라 위로 올라가게 되어 지지면(28)에 이르면서 세팅이 된다. 이때 상기 세팅블럭(11a, 11b)의 맞춤핀(24a, 24b)과, 잭홀더(22)와, 콘넥트잭(23)이 상기 지그박스(10)의 볼부시(20a, 20b)와, 잭(18)과 콘넥트(19)에 각각 결합되어 세팅이 완료되게 된다. 작업이 종료되면 업/다운 실린더(16)가 상사점의 위치까지 상승하여 대기하고, 상기 업/다운 실린더(16)가 상사점에 도달함과 동시에 공압실린더(12)가 역로드를 하게 되는데, 이때 지그박스(10)의 왼쪽에는 잭(18)과 콘넥터(19)가 있고, 오른쪽에는 없으므로 왼쪽에 심한 힘의 편중이 생기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잭(18)과 콘넥터(19)가 있는 쪽의 실린더를 먼저 역로드시켜 왼쪽이 먼저 빠지도록 하여 왼쪽의 공압 실린더(12)가 먼저 역로드하게 되면 상기 세팅블럭(11a)의 압소바(25a)가 상기 지그박스(10)의 왼쪽 면을 밀어서 결합되어 있는 잭(18)과, 콘넥터(19)와, 볼부시(20a)에 끼워진 맞춤핀(24a)을 분리되도록 하고, 이어서 오른쪽의 공압 실린더(12)가 역로드를 하게 되고 상기 오른쪽 세팅블럭(11b)의 압소바(25b)가 상기 지그박스(10)의 오른쪽 면을 밀어서 결합되어 있는 볼부시(20b)와 맞춤핀(24b)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렇게 해서 빠져 나오게된 상기 지그박스(10)는 대기하고 있던 업/다운 실린더(16)상에 올려지고, 동시에 상기 업/다운 실린더(16)가 하강하여 도시되지 않은 회전판에 복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 장치는 특수 지그의 세팅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지그 착탈공정의 간소화등 시간적 경제적 효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에 있어서, 제품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사용 장비등을 제어하고 안내 해주게 되는 지그박스(10)는 일면에 잭(18)과 콘넥터(1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잭(18)과 콘넥터(19)의 외측으로 두개의 볼부시(Ball Bush)(20a)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면에는 한개의 볼부시(20b)가 그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밑면의 모서리가 미끄러짐을 안내해 줄 수 있도록 모따기 되어 경사면(21)을 이루며, 또한 상기 지그박스(10)의 좌,우측에서 지그박스(10)를 작업 위치가 되도록 세팅을 해주게 되는 세팅블럭(11a, 11b)중 일측의 세팅블럭(11a)에는 지그박스(10)의 세팅시 여유를 주기 위해 움직이는 잭홀더(22)와 콘넥터잭(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그박스(10)의 볼부시(20a)에 끼워지게 되는 맞춤핀(24a)과, 지그박스(10)가 분리되도록 돕는 압소바(25a)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의 세팅블럭(11b)에는 상기 지그박스(10)의 볼부시(20b)에 끼워지게 되는 맞춤핀(24b)과 지그박스(10)가 분리되도록 돕는 압소바(25a)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압실린더(12)의 로드(26) 끝에 연결되어 상기 지그박스(10)를 작업위치에 완전 세팅되도록 상승시키는 슬라이드 블럭(13a, 13b)은 일단에 상기 지그박스(10)의 경사면(21)과의 접촉으로 지그박스(10)의 상승 안내를 하는 접촉면(27)과, 완전 세팅을 지지 해주기 위해 상기 접촉면(27)의 상부에 평편한 지지면(28)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공압실린더(12)와 세팅블럭(11a, 11b)을 장착하게 되고 지그박스(10)의 출입구가 형성된 베이스(15)와 상기 지그박스(10)를 도시되지 않은 회전판에서 최초 세팅 위치까지 위치시키는 업/다운 실린더(16)로 구성되어 상기 지그박스(10)를 세팅할시 움직이는 구조의 잭홀더(22) 및 콘넥터잭(23)이 상기 지그박스(10) 용이하게 세팅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블럭(11a)의 압소바(25a)는 3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블럭(11b)의 압소바(25b)는 2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블럭(11a)의 맞춤핀(24a)은 상기 지그박스(10)의 볼부시(20a)에 맞춰지도록 2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블럭(11b)의 맞춤핀(24b)은 상기 지그박스(10)의 볼부시(20b)에 맞춰지도록 1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6. 지그박스의 자동세팅 장치에 있어서, 세팅을 위한 잭(18)과 콘넥터(19)와 볼부시(20a, 20b)를 가지는 지그박스(10)와, 상기 지그박스(10)와 접속하게 되며 잭홀더(22)와 콘넥터잭(23)과 맞춤핀(24a, 24b)과 압소바(25a, 25b)를 가지는 세팅블럭(11a, 11b)과, 상기 지그박스(10)를 세팅블럭(11a, 11b)에 접속시키는 슬라이드 블럭(13a, 13b)과, 상기 슬라이드 블럭(13a, 13b)을 로드하게 되는 공압실린더(12)와, 상기 셋팅블럭(11a, 11b)과 공압실린더(12)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그박스(10)의 출입구(14)가 형성된 베이스(Base)(15)와, 상기 지그박스(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업/다운 실린더(UP/DOWON Cylinder)(16)로 이루어져, 상기 지그박스(10)가 상기 업/다운실린더(16)에 의해 최초의 세팅 위치에 있게 될 때 상기 세팅블럭(11a, 11b)의 맞춤핀(24a, 24b)들이 상기 볼부시(20a, 20b)에 5㎜정도 들어간 위치로 조립설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KR1019950021627A 1995-07-21 1995-07-21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KR0150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627A KR0150141B1 (ko) 1995-07-21 1995-07-21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627A KR0150141B1 (ko) 1995-07-21 1995-07-21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486A KR970009486A (ko) 1997-02-24
KR0150141B1 true KR0150141B1 (ko) 1998-12-15

Family

ID=1942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627A KR0150141B1 (ko) 1995-07-21 1995-07-21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1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486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2400A (en) Apparatus for testing circuit boards
KR20060039845A (ko) 패널의 검사장치에 이용되는 전기적 접속장치
CN208953657U (zh) 一种芯片自动连接测试设备
WO2017095071A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US4628594A (en) Electronic circuit element insertion apparatus
KR0150141B1 (ko) 지그박스의 자동 세팅장치
CN219016369U (zh) 一种侧位测试针模模组及测试设备
US6049214A (en) Universal printed circuit board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CN116345266A (zh) 一种翻转定位自动化pin针组装机构
CN215678647U (zh) 一种防漏检测设备
CN115616382A (zh) 一种自动化测试设备及测试方法
JP3014055B2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の電気チェック装置
CN213689846U (zh) Pcba在线检测机
CN214691597U (zh) 检测设备
KR960009300Y1 (ko) 회로기판 검사장치
KR0140587Y1 (ko) 튜너 검사장치
CN217360166U (zh) 一种滑动式测试装置
CN218546925U (zh) 一种sib板双面检测装置
CN112345914B (zh) 自动烧录及功能测试治具
KR100313405B1 (ko)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CN220472612U (zh) 一种ic卡座平面度测试装置
JPH0540459Y2 (ko)
KR19980030152U (ko) 튜너 검사장치
JPH0336938Y2 (ko)
JPH0624785Y2 (ja) 両端可動型コンタクトピ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