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036B1 - 가변 젠더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젠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036B1
KR102291036B1 KR1020200050339A KR20200050339A KR102291036B1 KR 102291036 B1 KR102291036 B1 KR 102291036B1 KR 1020200050339 A KR1020200050339 A KR 1020200050339A KR 20200050339 A KR20200050339 A KR 20200050339A KR 102291036 B1 KR102291036 B1 KR 102291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lock
guide block
input spac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우진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5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6Testing of IC packages; Test features related to IC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젠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탑재 모드를 가짐으로서, 복수의 서로 상이한 타입 또는 크기를 갖는 SSD 를 젠더 장치의 변경 없이 탑재할 수 있는 가변 젠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 젠더 장치{GENDER APPARATUS}
본 발명은 가변 젠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탑재 모드를 가짐으로서, 복수의 서로 상이한 타입 또는 크기를 갖는 SSD 를 젠더 장치의 변경 없이 탑재할 수 있는 가변 젠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SSD(Solid State Disk)를 테스트할 때, SSD 를 테스트용 젠더에 탑재시키게 된다.
SSD 의 테스트 시 사용되는 제품에는 CASE 타입과 PCB 타입이 있다. 도 10 의 (a), (b) 는 각각 CASE 타입의 SSD 와, PCB 타입의 SSD 를 도시한 도면이다.
CASE 타입의 SSD 와 PCB 타입의 SSD 는 서로 크기, 외관이 상이하다. 따라서, SSD 를 젠더 장치에 탑재시키기 위해서는, SSD 의 타입에 따라서 상이한 테스트용 젠더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SSD 의 탑재를 위해서 테스트용 젠더가 복수 개 필요하며, 젠더 장치의 교체를 위한 공정, 시간,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서로 상이한 타입의 SSD 를 별도의 교체 없이 탑재할 수 있는 젠더 장치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 제2010-009661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탑재 모드를 가짐으로서, 복수의 서로 상이한 타입 또는 크기를 갖는 SSD 를 젠더 장치의 변경 없이 탑재할 수 있는 가변 젠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젠더 장치는, 반도체 칩의 테스트에 사용되는 젠더 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칩이 투입될 수 있는 소정의 투입 공간과 상기 투입 공간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바디를 갖는 젠더 바디; 상기 사이드 바디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 상기 사이드 바디 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을 상기 투입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사이드 바디 내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을 상기 투입 공간 방향으로 푸싱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바디는 서로 마주 보는 면에 위치하는 오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오픈부를 통해서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투입 공간 내에 돌출 가능하며,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적어도 일 부분이 맞닿는 레버 블록, 및 상기 레버 블록을 조작시키는 레버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 핸들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레버 블록이 상기 가이드 블록에 맞닿는 부분이 가변하여,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가이드 블록을 푸싱하는 거리가 가변하며,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가이드 블록을 푸싱하는 거리가 가변함에 따라서, 상기 오픈부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기 투입 공간 내에 돌출되는 돌출 폭이 가변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 핸들은, 상기 레버 블록을 회전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며, 상기 레버 블록은, 상기 레버 블록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지지부와, 상기 레버 블록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에 맞닿아 상기 가이드 블록을 상기 투입 공간 방향으로 푸싱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제1 푸싱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제2 푸싱 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푸싱 돌부와 상기 회전 중심 축 사이의 폭과 상기 제2 푸싱 돌부와 상기 회전 중심 축 사이의 폭은 서로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투입 공간과 마주하는 측에 위치하며 상기 오픈부를 통해 상기 투입 공간 내부로 돌출 가능한 가이드 바디, 및 상기 가이드 바디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 블록과 마주하는 측에 위치하는 푸싱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푸싱 바디를 상기 투입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푸싱 바디는, 상기 레버 블록과 마주하는 외측면부에 형성되는 푸싱 리세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바디는, 상기 투입 공간 측에 위치하는 내측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라인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바디는, 상기 레버 핸들을 지지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핸들 지지 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젠더 장치는, 복수의 탑재 모드를 가지며, 복수의 서로 상이한 타입 또는 크기를 갖는 SSD 를 가변 젠더 장치의 변경 없이 탑재할 수 있다. 예컨대, CASE 타입의 SSD 와 PCB 타입의 SSD 를 하나의 젠더에 탑재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 핸들을 선회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탑재 모드가 가변되어 SSD 를 선택적으로 가변 젠더 장치에 간단하게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 핸들을 지지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핸들 지지 돌부가 구비되어, 가변 젠더 장치의 탑재 모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 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젠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및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젠더 바디의 사이드 바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a), (b) 는 가이드 블록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의 (a), (b), (c) 는 각각 레버 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7 은 레버 핸들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선회시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젠더 장치의 탑재 모드를 각각 달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도 7 의 탑재 모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젠더 장치의 탑재 모드에서 핸들 지지 돌부에 의한 레버 핸들의 지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CASE 타입의 SSD 와, PCB 타입의 SSD 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은 도 1 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전후 방향은 X 축 방향이고, 좌우 방향은 Y 축 방향이며, 상하 방향은 Z 축 방향이다.
도 1 및 도 2 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젠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및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젠더 장치는, 반도체 칩의 테스트에 사용되는 가변 젠더 장치로서, 젠더 바디(100); 가이드 블록(200); 탄성 부재(300); 및 레버 부재(300);를 포함한다.
<젠더 바디(100)>
도 3 은 젠더 바디(100)의 사이드 바디(13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젠더 바디(100)는, 센터 바디(110), 및 상기 센터 바디(110)를 중심으로 상기 센터 바디(110)의 양 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바디(130)를 포함한다.
센터 바디(110)는 젠더 바디(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양 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바디(130)를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 형태의 부분일 수 있다.
센터 바디(110)는 반도체 칩이 투입될 수 있는 투입 공간(120)을 갖는다.
사이드 바디(130)는 후술하는 가이드 블록(200), 탄성 부재(300), 및 레버 부재(300)가 투입되는 박스 형태의 부분이다.
사이드 바디(130)는, 수납 공간(132)을 갖는다. 수납 공간(132)의 내측(투입 공간(120)과 마주하는 면)에는 오픈부(136)가 형성된다. 또한, 수납 공간(132)의 외측(투입 공간(120)과 이격된 면) 또한, 오픈되어 오픈 영역(134)을 가질 수 있다.
수납 공간(132)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탄성 부재(30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13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138)에는 탄성 부재(300)가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1 고정 홈(140)이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 바디(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기 오픈 영역(134)을 통해서 가이드 블록(200), 탄성 부재(300), 및 레버 부재(300)가 사이드 바디(130)의 수납 공간(132) 내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바디(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기 오픈부(136)를 통해 후술하는 가이드 블록(200)의 적어도 일 부분(가이드 바디(210) 부분)이 투입 공간(120)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바디(130)의 상단과 하단에는 축 고정 홈(142, 144)이 형성될 수 있다. 하단에 형성된 축 고정 홈(142)은 하방향으로 함몰된 홈일 수 있다. 상단에 형성된 축 고정 홈(144)은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일 수 있다. 상기 축 고정 홈(142, 144)에는, 후술하는 레버 부재(300)의 레버 축(440)이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상단에 형성된 축 고정 홈(144)의 양 측에는 핸들 지지 돌부(146)가 구비될 수 있다. 핸들 지지 돌부(146)는 후술하는 레버 핸들(450)을 지지하여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 블록(200)>
도 4 (a), (b) 는 가이드 블록(200)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가이드 블록(200)은 가이드 바디(210), 및 푸싱 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디(210)는, 상기 투입 공간(120)과 마주하는 측에 위치하는 블록 형태의 부분이다.
가이드 바디(210)는 상기 오픈부(136)를 통해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투입 공간(120) 내부로 돌출 가능하다.
가이드 바디(210)는 가이드 라인(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라인(212)은, 상기 투입 공간(120)에 면하게 위치하는, 가이드 바디(210)의 내측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라인(212)은 PCB 타입의 SSD 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소정의 홈일 수 있다. 즉, 가이드 라인(21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측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일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라인(212)의 상단에는 깔대기 형태의 탑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탑 가이드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는 PCB 타입의 SSD 를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잇다.
푸싱 바디(220)는, 상기 가이드 바디(21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 블록(410)과 마주하는 측에 위치하는 패널 형태의 부분이다. 측 방향에서 볼 때, 푸싱 바디(220)는, 가이드 바디(210)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푸싱 바디(220)는, 외측면부에 형성되는 푸싱 리세스(222)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싱 리세스(222)는 후술하는 레버 부재(300)의 제1 푸싱 돌부(420) 또는 제1 푸싱 돌부(430)에 맞닿을 수 있는 소정의 홈일 수 있다.
아울러, 푸싱 바디(220)의 내측면부에는 탄성 부재(300)의 일 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고정 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300)>
탄성 부재(300)는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300)는, 상기 사이드 바디(130) 내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300)는, 상기 가이드 블록(200)을 상기 투입 공간(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 부재(300)는 사이드 바디(130)의 일 면과 상기 가이드 블록(200)의 사이드 바디(130)의 일 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 부재(300)는, 상기 제1 고정 홈(140) 내에 일 단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 부재(300)는 상기 제2 고정 홈(224) 내에 타 단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300)는 사이드 바디(130)를 상기 투입 공간(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할 수 있다.
<레버 부재(300)>
도 5 의 (a), (b), (c) 는 각각 레버 부재(300)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레버 부재(300)는 상기 사이드 바디(130)의 수납 공간(1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부재(300)는 상기 투입 공간(12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200)보다 외측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부재(300)는 상기 가이드 블록(200)을 상기 투입 공간(120) 방향으로 푸싱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부재(300)는, 상기 가이드 블록(200)과 적어도 일 부분이 맞닿는 레버 블록(410), 및 상기 레버 블록(410)을 조작시키는 레버 핸들(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블록(410)은, 상기 사이드 바디(130) 내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바디(130) 내에 세워질 수 있다. 상기 레버 블록(4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직하는 선회 중심 축(CE)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상기 레버 블록(4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선회 중심 축(CE) 상에 위치하며 상, 하로 돌출되는 레버 축(440)이 구비될 수 있다. 레버 축(440)은 상기 사이드 바디(130)에 형성된 축 고정 홈(142, 144)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블록(410)은 상기 레버 블록(4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지지부(412)와, 상기 레버 블록(4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412)와 제2 지지부(414)는 서로 반대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412)에는 제1 푸싱 돌부(4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414)에는 제1 푸싱 돌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푸싱 돌부(420)와 상기 선회 중심 축(CE) 사이의 폭과 상기 제1 푸싱 돌부(430)와 상기 선회 중심 축(CE) 사이의 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선회 중심 축(CE)과 제1 푸싱 돌부(420) 사이의 폭은 제1 폭(D1)을 가지며, 선회 중심 축(CE)과 제1 푸싱 돌부(430) 사이의 폭은 제2 폭(D2)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지지부(412)는 평면 형태로 구성되며, 제2 지지부(414)는 반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푸싱 돌부(420)와 제1 푸싱 돌부(430)는 각각 선회 중심 축(CE)을 따라서 연장되는 돌기일 수 있다.
상기 레버 핸들(450)은, 상기 레버 블록(410)을 조작시키는 부분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 핸들(450)은, 상기 레버 축(44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 핸들(450)은 상부에 위치하는 레버 축(440)에 구비되며 일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 부재(300)가 사이드 바디(130) 내에 연결된 상태에서, 레버 핸들(450)을 선회시키면 상기 레버 블록(410)이 선회 중심 축(CE)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젠더 장치의 작동 및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 핸들(450)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레버 블록(410)이 상기 가이드 블록(200)에 맞닿는 부분이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 부재(300)가 상기 가이드 블록(200)을 푸싱하는 거리가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픈부(136)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 블록(200)이 상기 투입 공간(120) 내에 돌출되는 돌출 폭이 가변할 수 있다.
이를 도 6 및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6, 7 은 레버 핸들(450)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선회시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젠더 장치의 탑재 모드를 각각 달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도 7 의 탑재 모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 핸들(450)을 선회시킴에 따라서, 레버 부재(300)의 제1 지지부(412)와 상기 제2 지지부(414)가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200)에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412)가 상기 가이드 블록(200)을 상기 투입 공간(120) 방향으로 푸싱하거나, 또는 제2 지지부(414)가 상기 가이드 블록(200)을 상기 투입 공간(120) 방향으로 푸싱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지지부(412)에는 제1 푸싱 돌부(4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414)에는 제1 푸싱 돌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푸싱 돌부(420)와 상기 선회 중심 축(CE) 사이의 폭과 상기 제1 푸싱 돌부(430)와 상기 선회 중심 축(CE) 사이의 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선회 중심 축(CE)과 제1 푸싱 돌부(420) 사이의 폭은 제1 폭(D1)을 가지며, 선회 중심 축(CE)과 제1 푸싱 돌부(430) 사이의 폭은 제2 폭(D2)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블록(200)은 탄성 부재(300)에 의해서 투입 공간(120) 방향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시적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블록(200)의 외측면 부분은 레버 블록(410)에 상시적으로 맞닿아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412)가 상기 가이드 블록(200)을 투입 공간(120) 방향으로 푸싱할 때에는 상기 레버 부재(300)가 상기 가이드 블록(200)을 푸싱하는 거리(선회 중심 축(CE)과 가이드 블록(200) 사이의 거리)가 제1 폭(D1)이 된다.
제2 지지부(414)가 상기 가이드 블록(200)을 투입 공간(120) 방향으로 푸싱할 때에는 상기 레버 부재(300)가 상기 가이드 블록(200)을 푸싱하는 거리(선회 중심 축(CE)과 가이드 블록(200) 사이의 거리)가 제2 폭(D2)이 된다.
일 예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412)가 상기 가이드 블록(200)을 투입 공간(120) 방향으로 푸싱할 때에는 상기 가이드 블록(200)은 젠더 바디(100)의 사이드 바디(130)부 내에 투입된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투입 공간(120)의 측 방향 폭이 사이드 바디(130) 사이의 거리가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SSD 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이드 바디(1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CASE 타입의 SSD 를 투입 공간(120) 내에 탑재할 수 있다.
도 7,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414)가 상기 가이드 블록(200)을 투입 공간(120) 방향으로 푸싱할 때에는 상기 가이드 블록(200)은 투입 공간(120) 방향으로 더 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블록(200)의 가이드 바디(210)가 오픈부(136)를 통해서 투입 공간(120) 내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투입 공간(120)의 측 방향 폭이 오픈부(136)를 통해서 돌출된 가이드 블록(200)의 폭 만큼 줄어든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SSD 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블록(20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라인(21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블록(200)이 오픈부(136)를 통해서 투입 공간(120) 내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라인(212)의 형상에 따라서 PCB 타입의 SSD 를 투입 공간(120) 내에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푸싱 리세스(222) 내에 제1 푸싱 돌부(420) 또는 제1 푸싱 돌부(430)가 끼워져 고정되므로, 안정적인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젠더 장치는, 레버 핸들(450)의 조작에 의해서 가변하는 복수의 탑재 모드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젠더 장치는, 복수의 서로 상이한 타입 또는 크기를 갖는 SSD 를 젠더 장치의 변경 없이 탑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SE 타입의 SSD 와 PCB 타입의 SSD 를 하나의 젠더에 탑재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 젠더 장치의 탑재 모드에서 핸들 지지 돌부(146)에 의한 레버 핸들(450)의 지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바디(130)의 일 측에는 핸들 지지 돌부(146)가 구비되며, 핸들 지지 돌부(146)는 레버 핸들(450)을 지지하여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 핸들(450)이 R1, R2 와 같이 선회되어 제1 지지부(412)가 가이드 블록(200)을 푸싱하는 상태, 또는 제2 지지부(414)가 가이드 블록(200)을 푸싱하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젠더 바디
110: 센터 바디
120: 투입 공간
130: 사이드 바디
132: 수납 공간
134: 오픈 영역
136: 오픈부
138: 지지면
140: 제1 고정 홈
142: 축 고정 홈
144: 축 고정 홈
146: 핸들 지지 돌부
200: 블록
210: 가이드 바디
212: 가이드 라인
220: 푸싱 바디
222: 푸싱 리세스
224: 제2 고정 홈
300: 부재
410: 레버 블록
412: 제1 지지부
414: 제2 지지부
420: 제1 푸싱 돌부
430: 제1 푸싱 돌부
440: 레버 축
450: 레버 핸들

Claims (7)

  1. 반도체 칩의 테스트에 사용되는 가변 젠더 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칩이 투입될 수 있는 소정의 투입 공간과 상기 투입 공간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바디를 갖는 젠더 바디;
    상기 사이드 바디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
    상기 사이드 바디 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을 상기 투입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사이드 바디 내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 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가이드 블록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을 상기 투입 공간 방향으로 푸싱하는 레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바디는 서로 마주 보는 면에 위치하는 오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오픈부를 통해서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투입 공간 내에 돌출 가능하며,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적어도 일 부분이 맞닿는 레버 블록, 및 상기 레버 블록을 조작시키는 레버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 핸들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레버 블록이 상기 가이드 블록에 맞닿는 부분이 가변하여,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가이드 블록을 푸싱하는 거리가 가변하며,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가이드 블록을 푸싱하는 거리가 가변함에 따라서, 상기 오픈부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기 투입 공간 내에 돌출되는 돌출 폭이 가변하는 가변 젠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핸들은,
    상기 레버 블록을 회전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며,
    상기 레버 블록은,
    상기 레버 블록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1 지지부와,
    상기 레버 블록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 블록에 맞닿아 상기 가이드 블록을 상기 투입 공간 방향으로 푸싱하는 가변 젠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제1 푸싱 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제2 푸싱 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푸싱 돌부와 상기 회전 중심 축 사이의 폭과
    상기 제2 푸싱 돌부와 상기 회전 중심 축 사이의 폭은 서로 상이한 가변 젠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투입 공간과 마주하는 측에 위치하며 상기 오픈부를 통해 상기 투입 공간 내부로 돌출 가능한 가이드 바디, 및
    상기 가이드 바디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 블록과 마주하는 측에 위치하는 푸싱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푸싱 바디를 상기 투입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하는 가변 젠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 바디는, 상기 레버 블록과 마주하는 외측면부에 형성되는 푸싱 리세스를 포함하는 가변 젠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디는,
    상기 투입 공간 측에 위치하는 내측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라인을 포함하는 가변 젠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디는,
    상기 레버 핸들을 지지하여 위치 고정시키는 핸들 지지 돌부를 포함하는 가변 젠더 장치.
KR1020200050339A 2020-04-24 2020-04-24 가변 젠더 장치 KR102291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339A KR102291036B1 (ko) 2020-04-24 2020-04-24 가변 젠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339A KR102291036B1 (ko) 2020-04-24 2020-04-24 가변 젠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036B1 true KR102291036B1 (ko) 2021-08-20

Family

ID=7746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339A KR102291036B1 (ko) 2020-04-24 2020-04-24 가변 젠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337B1 (ko) 2021-09-10 2024-06-10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Ssd 테스트용 젠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901A (ko) * 1998-06-05 2000-01-25 가야시마 고조 Ic디바이스의테스트용캐리어보드
KR20000056935A (ko) * 1999-02-25 2000-09-15 이병로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KR20100096612A (ko) 2009-02-25 2010-09-02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를 테스트하기 위한 가변형 테스트 젠더
KR101982758B1 (ko) * 2018-04-20 2019-05-28 주식회사 마이크로컨텍솔루션 더미 젠더
KR101987912B1 (ko) * 2018-07-30 2019-06-12 주식회사 마이크로컨텍솔루션 더미 젠더
KR102091155B1 (ko) * 2018-10-25 2020-03-19 주식회사 마이크로컨텍솔루션 젠더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901A (ko) * 1998-06-05 2000-01-25 가야시마 고조 Ic디바이스의테스트용캐리어보드
KR20000056935A (ko) * 1999-02-25 2000-09-15 이병로 회로기판 검사용 지그
KR20100096612A (ko) 2009-02-25 2010-09-02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를 테스트하기 위한 가변형 테스트 젠더
KR101982758B1 (ko) * 2018-04-20 2019-05-28 주식회사 마이크로컨텍솔루션 더미 젠더
KR101987912B1 (ko) * 2018-07-30 2019-06-12 주식회사 마이크로컨텍솔루션 더미 젠더
KR102091155B1 (ko) * 2018-10-25 2020-03-19 주식회사 마이크로컨텍솔루션 젠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337B1 (ko) 2021-09-10 2024-06-10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Ssd 테스트용 젠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1362B2 (en) Server device
EP2031596B1 (en) Fixing apparatus for hard disk drive
US7726194B2 (en) Vibration test device
US794875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848098B2 (en) Hard disk bracket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US7516935B2 (en) Stand for retaining computer chassis
US11052830B2 (en) Display holder
JP4296602B2 (ja) ディスプレイ及びディスプレイの自動安定装置
JP200605960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2291036B1 (ko) 가변 젠더 장치
US8902587B2 (en) Suppor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upport apparatus
US20110220480A1 (en) In-vehicle input device
US7354303B2 (en) Wire holder for fixing electrical wire in electronic device
JP5946539B2 (ja) 基板収納容器
JP2007030917A (ja) 電子部品収納トレイ
US11348815B2 (en) Board storing container
KR20230037995A (ko) Ssd 테스트용 젠더
JP3130774U (ja) ハードディスクユニットの防振装置
KR102673337B1 (ko) Ssd 테스트용 젠더
JP4268537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7254340B2 (ja) コンテナ型射出成形ユニット
JP4379349B2 (ja) モジュールユニット収納装置
KR10246760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JP2008010429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5066123A (ja) トレイの仕切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