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099B1 - 자동변속기의파아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파아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099B1
KR100312099B1 KR1019930029193A KR930029193A KR100312099B1 KR 100312099 B1 KR100312099 B1 KR 100312099B1 KR 1019930029193 A KR1019930029193 A KR 1019930029193A KR 930029193 A KR930029193 A KR 930029193A KR 100312099 B1 KR100312099 B1 KR 10031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ed
actuator
shaft
anchor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965A (ko
Inventor
오오카와유죠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임스 이. 미러
Publication of KR94001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25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pawls or wheels
    • F16H63/3433Details of latch mechanisms, e.g. for keeping pawls out of 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05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by locking of wheel or transmission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06Resilien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축을 회전할 수 없게 하거나 축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작동기에 의해 변속기축을 걸어맞추거나 해제하는 폴을 구비한 앵커아암을 가진 자동변속기 파아킹기구는, 앵커수단을 상기 축과 걸어맞추는데 중요한 소정범위를 넘어서 작동기 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부재와, 작동기수단의 제한시에 레인지 선택 부재와 작동기 사이의 슬립을 허용하는 슬립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아킹장치가 설치되는 자동변속기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아킹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부분절취 저면도.
제4도는 파아킹장치의 요부의 작동설명도.
(1) : 주변속기축 (2) : 2차변속기축
(7) : 파아킹앵커아암 (7 ) : 폴(pawl)
(12) :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 (14) : 원통롤러
(15) : 지지로드 (21) : 연결핀
(23) : 링크플레이트 (30) : 작동기타이로드
(47) : 코일스프링 (48) : 슬립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자동변속기, 특히 파아킹레인지의 신뢰성 있는 파아킹작동과 가벼운 해제작동을 확보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는 그 변속수단으로서 유성기어기구 또는 무한가변기어기구를 가진다. 이와 같은 자동변속기는 운전자에 의해 직접조작되는 선택레버 또는 시프트레버에 의해 전진레인지, 후진레인지, 중립레인지 및 파아킹레인지등의 소망레인지로 선택되어 놓여진다. 파아킹레인지의 선택은 파아킹장치가 자동변속기의 변속기축을 록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면, 병렬로 놓인 변속기축을 가진 형식의 자동변속기내에 설치된 이와 같은 파아킹장치는, 2차풀리가 부착되고 또 소위 2차변속기축이라고 불리우는 변속기축 중의 하나에 고착된 파아킹기어와, 폴을 가진 파아킹앵커아암을 구비하고 있다. 파아킹장치는 파아킹앵커가 폴을 파아킹기어와 걸어맞추도록 하고 있으며, 그에 의해 2차변속기 축은 기계적으로 록된다. 이와 같은 파아킹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57-173652호로 공지되어 있다.
시프트레버와 파아킹앵커아암 사이에 긴 링크통로를 가진 형식의 자동변속기에 있어서, 파아킹장치의 여러가지 구성요소 또는 부품은 전형적으로 링크통로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대량생산되는 자동변속기 중에, 파아킹앵커아암은 이들 요소의 허용치수오차의 누적으로 인해 스트로우크 또는 요동운동각이 변화하기 쉽다. 실제로 파아킹앵커아암이 큰 스트로우크 또는 큰 요동운동각을 가지면, 파아킹장치는, 한편으로는, 파아킹레인지의 선택을 위해 신뢰성있는 작동을 행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파아킹레인지를 해제하기 위해 큰 작동력을 필요로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파아킹앵커아암이 작은 스트로우크 또는 요동운동각을 가지면, 파아킹앵커아암은 파아킹기어로부터 큰 반력을 받으며, 따라서 뜻하지 않게 폴을 파아킹기어로부터 용이하게 해베하게 한다. 또한, 이 링크통로의 이들 구성요소의 배치는 자동변속기 하우징내에 큰 스페이스를 요구하게 되어, 자동변속기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아킹앵커아암이 스트로우크 또는 요동운동각의 큰 허용오차를 갖더라도, 파아킹장치가 파아킹레인지 선택을 위해 신뢰성있는 작동을 행하고 또는 파아킹레인지의 해제를 위해 용이하고 가벼운 작동을 행하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속기하우징내의 소위 "데드스페이스"가 파아킹장치의 구성요소 또는 그와 관련된 부품을 배치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이용되어, 전체의 형태가 콤팩트하게 되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은 병렬로 놓인 입력축 및 출력축을 가진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파아킹장치는 작동기수단에 링크된 레인지선택수단에 의해 파아킹레인지를 선택할 때에 폴수단을 출력축과 걸어맞추기 위해 출력축에 가까운 입력축의 한쪽에 배치된 작동기수단을 포함한다. 이 파아킹장치는 또한, 폴수단을 출력축과 걸어맞추는데에 중요한 소정범위를 넘는 작동기수단의 피벗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된 제한수단과, 이 제한수단에 의한 작동기수단의 제한시에 작동기 수단에 대해 링크수단의 슬립을 허용하기 위해 링크수단과 작동기 수단사이에 배치된 슬립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에 의해, 파아킹시프트타이로드등의 링크수단이 이동하는 스트로우크의 작동변화를 무시해서, 레인지선택수단과 그와 관련되고 협동하는 요소 또는 부품이 큰 누적허용오차를 가진다면 그리고 파아킹시프트타이로드가 실제로 최소스트로우크 만큼 이동하면, 슬립수단은 작동기 수단과 링크수단사이에 상대슬립 또는 상대변위를 허용하지 않고 전체로서 작동한다. 한편, 그것이 최소스트로우크이상 이동하면, 슬립수단은 작동기수단과 링크수단사이에 상대슬립 또는 상대변위를 허용한다. 이것은, 링크수단이 최소스트로우크 만큼만 이동할 때, 작동기수단은 폴수단을 출력축과 걸어맞추게 하며, 이에 의해 출력축이 회전하는 것을 신뢰성있게 방지하며, 그리고 그것이 최소스트로우크이상이동할 때, 작동기수단과 링크수단사이의 슬립은 폴수단을 동일한 힘으로 출력축과 걸어맞추게 한다. 다시 말하면, 대량생산되는 자동변속기유닛의 파아킹장치의 스트로우크의 변화를 무시해서, 자동변속기를 작은 작동력으로 파아킹레인지에 놓고 또 그로부터 해제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 신뢰성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과 특징은, 첨부도면과 관련해서 고려할 때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제1도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파아킹장치가 내장된 자동변속기(100)가 표시되어 있다. 이 자동변속기(AT)는 제1 또는 주변속기(제 1TRM)(100), 제2 또는 2차변속기구(제 2TRM)(200), 및 토크콘버터(300)를 가진 형식으로 되어 있다. 엔진출력토크는 로크콘버터(300)를 개재해서 변속기입력축으로서 작용하는, 주변속기구(100)의 주변속기축(1)에 전달된후, 주변속기축(1)상에 동축으로 장착된 전후주변속기어세트(50) 및 (52)에 의해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주변속기구(100)내에서 변화된 엔진 출력토크는 또한 메인기어(82) 및 카운터기어(84)사이의 맞물림을 통해서 2차변속기구(200)에 전달된 후, 2차변속기축(2)상에 동축으로 장착된 2차 변속기어세트(56)에 의해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엔진출력토크는, 변속기출력기어(70) 및 차동입력기어(72)사이의 맞물림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차동기어(74)에 전달되어, 스플릿구동액슬을 개재해서 차동기어(74)에 연결된 구동휘일(75)을 차동회전시키게 된다.
당업자에 공지된 형식으로 할 수 있는 토크콘버터(300)는 엔진출력축(도시생략)에 고정된 펌프임펠러(66a), 주변속기축(1)에 고정된 터빈런너(66b), 펌프임펠러(66a) 터빈런너(66b)사이에 놓인 스테이터(66c) 및, 록업피스톤(66c)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토크콘버터(300)는 경작동오일의 도움으로 엔진 토크를 펌프임펠러(66a)로 부터 터빈런너(66b)에 전달해서 엔진토크를 증가시킨다. 증가량은 펌프임펠러(66a)의 터빈런너(66b)사이의 상대적 속도차에 따라 스테이터(66c)에 의해 행해진다.
주변속기구(100)는, 2개의, 주로 전후의, 전후주선기어(50a) 및 (52a)를 가진 주유성기어세트(50) 및 (52), 전후주피니언기어(50b) 및 (52b) 및, 전후주링기어(50c) 및 (52c)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주변속기축(1)은 제1주클러치(K1)를 개재해서 전방주선기어(50a)에 착탈된다. 마찬가지로, 주변속축(1)은 제2주 클러치(K2)를 게재해서 후방주선기어(52a)에 착탈된다. 또한, 전방주선기어(50a)에 대해 직렬로 배치된 제3주 브레이크(B3) 및 전방주 원웨이클러치(OWCl)의 양쪽을 게재해서 또는 전방주선기어(50a)에 대해 직렬로 배치된 제1주브레이크(B1)및 전방주원웨이클러치(OWCl)를 게재해서 변속기하우징(8)에 대해서 록 및 언록된다. 전후주 유성기어세트(50) 및 (52)는 전방주피니언기어(50b)의 전방주피니언캐리어(50d)와 후방주링기어(52c)사이의 고정연결을 통해 작동가능하게 체결된다. 후방주링기어(52c)는, 변속기 하우징(8)에 대해 병렬로 배치된 제2주 브레이크(B2) 및 후방주원웨이클러치(OWC2)의 양쪽을 게재해서 변속기하우징(8)에 대해 록 및 언록된다. 또한, 전후주유성기어세트(50) 및 (52)는, 후방주피니언캐리어(52d)를 거쳐 후방주피니언기어(52b) 및 전방주링기어(50c)를 개재해서 작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주변속기구(100)로부터 2차변속기구(200)로의 출력회전으로서 후방주피니언기어(52b)의 회전의 전달을 연결하게 되어 있다.
2차변속기구(200)는 2차선기어(56a)를 가진 단일 유성기어세트(56), 2차피니언기어(56b) 및 2차링기어(56c)를 구비하고 있다. 2차선기어(56a)가 고정장착된 2차변속기축은 2차원웨이클러치(OWC0) 및 2차 브레이크(B0)를 게재해서 변속하우징에 대해 록 및 언록된다. 2차링기어(56c)는 카운터기어(84)와 맞물려있어, 주변속기구(100)로부터 2차변속기구(200)로의 회전의 전달을 연결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2차클러치(KO)를 게재해서 2차변속기축(2)에 대해 록 및 언록된다. 2차피니언기어(56b)는 2차피니언캐리어(56d)를 게재해서 변속기출력기어(70)에 고정연결되어 있어, 자동변속기(AT)로부터 차동기어(72)에의 출력회전으로서 2차피니언기어(56b)의 회전의 전달을 연결하게 되어 있다.
이들 마찰체결요소, 측 클러치(K1)-(K3) 및 (K0), 브레이크(B1)-(B3)및 (B0)와 원웨이클러치(OWC1), (OWC2) 및 (OWC0)는 선택적으로 체결 및 해제되거나 록 및 언록되어, 다음 표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자동변속기를 소망의 전진단 및 후진단에 놓게 되어 있으며, 여기서 마찰체결요소는 원으로 표시된 기어에 대해 체결 또는 록되며, 괄호내의 원으로 표시된 기어는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할 때만 제공된다.
[표 1]
간단히 설명하면, 주변속기구(100)는 클러치(K1) 및 (K2)를 선택적으로 록 및 언록함으로써 1속, 2속 및 3속등의 3개의 전진단중의 어느 하나에 놓이게된다.
2차변속기구(200)는 클러치(K0)를 록 및 언록함으로써 각각 고 및 저기어로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 2차변속기구(200)가 클러치(K0)의 록에 의해 고기어에 놓이면, 2차 유성기어세트(56)는 기계적으로 록되어, 변속비가 1.0이 되게 된다. 한편, 그것이 클러치(K0)의 언록에 의해 저기어에 놓이면, 2차 유성기어세트(56)는 2차 선기어(56a)와 2차링기어(56c)사이에 상대적 회전을 허용해서, 변속비가 1.0보다 작게 된다. 이와 같이, 주 및 2차변속기구(100)및 (200)를 조합해서, 자동변속기(AT)는 잠재적으로 6개의 전진기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주변속기구(100)의 2속과 2차변속기구의 고기어와의 조합을 제외하고 5개의 전진단만을 사용하게 되어 있다.
제2도에 의하면, 자동변속기(AT)는 2차변속기축(2)의 구동액슬(76)의 후상부로 부터 벗어나있고, 구동액슬(76)은 2차변속기축(2)의 후하부로부터 벗어나 있도록 실용적인 레이아웃을 갖고 있다. 2차 변속기축(2)과 협동하도록 되어있는 파아킹장치(400)는 2차변속기축(2)에 고착된 파아킹기어(5)와, 피벗축(9)에 요동동작을 위해 피벗된 파아킹앵커아암(7)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2차 변속기축(2)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어있다. 이 파아킹앵커아암(7)의 중앙에는 파아킹기어(5)의 톱니(5a)와 맞물릴수 있는 폴(pawl)(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부(7c)가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굴곡단부(7b)를 가지고 있다. 파아킹장치(400)는 또한 파아킹앵커아암(7)과 피멋축(9)사이에 배치된 복귀스프링(10)을 가지고 있어, 파아킹앵커아암(7)을 파아킹기어(5)로부터 떨어지도록하고 있다.
제3도 및 4도에 의하면, 파아킹장치(400)는 파아킹앵커아암(7)의 굴곡단부(7b)밑에 위치한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를 가지고 있다. 이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는, 각 변속기축의 축방향으로 파아킹앵커아암(7)의 양쪽에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부재(13)와, 한쌍의 가이드부재(13)사이에 뻗고 또 거기에 고정된, 파아킹앵커아암(7)의 굴곡단부(7b)밑에 위치한 중공원통롤러(14)와, 한쌍의 가이드부재(13)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변속기하우징(8)에 의해 회전하도록 지지된 지지로드(15)로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아킹앵커아암(7)의 선단부(7c)는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의 중공원통롤러(14)의 반시계방향이동경로에 놓여있다.
제4도에 상세히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로드(15)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부재(13) 및 중공원통롤러(14)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해서, 원통롤러(14)가 파아킹앵커아암(7)의 굴곡단부(7b)와 접촉해서 그것을 위로 밀어내도록 되어있으며, 이에 의해 파아킹앵커아암(7)을 밀어부쳐 피벗축(9) 둘레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파아킹앵커아암(7)은 그 폴(7a)을 파아킹기어(5)의 톱니(5a)와 접촉시켜, 2차변속기축(2)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어있다.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지지로드(15)에 장착된 슬립기구(48)와 협동한다.
슬립기구(48)는 작동기타이로드(30)에 의해 캠기구(32)에 링크되어 있다. 이 캠기구(32)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변속기시프트 또는 선택레버(도시생략)에 작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수직으로 뻗는 시프트레버연결축(40)의 말단에 고정된 부채꼴블레이드(33)와, 그 일단에서 피벗축(36)을 게재해서 변속기하우징(8)에 의해 회전지지되고, 그 타단에서 작동기타이로드(30)에 연결된, 대략 T형의 파아킹보조레버(34)를 가지고 있다. 이 부채꼴블레이드(33)는, 코일스프링(50)에 의해 가압된 클릭볼(37)에 의해 걸어맞춰지고 시프트레버연결축(40)의 중심축선에 그 중심을 가진 원호캠슬롯(33a)이 형성되어 있는 톱니형 주변과, 원호캠슬롯(33a)으로부터 반경방향바깥쪽으로 연속적으로 뻗은 직선캠슬롯(33b)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톱니형주변은 선택레인지 각각에 할당된 복수개의 톱니를 가지고 있다. 대략 T형의 파아킹보조레버(34)의 계단부에 고정된 캠종동자핀(34a)은 이들 슬롯(33a) 및 (33b)에 수용되어 슬라이드하게 되어있다. 부채꼴블레이드(33)에 고정된 로드(91)는 운전자에 의해 변속기시프트레버의 선택에 따라 유압제어회로의 수동밸브를 작동하도록 되어있다.
변속기시프트레버에 의한 자동변속기(AT)의 파아킹레인지에의 선택 또는 시프팅은 시프트레버연결축(40), 즉 부체꼴블레이드(33)를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체꼴블레이드(33)의 파아킹레인지에 할당된 톱니를 클릭볼(37)에 걸어맞춰지게 한다. 또한, 연결핀(34a)은 가압되어 원호캠슬롯(34a)으로부터 빠져나와서, 직선캠슬롯(34b)에 들어간다. 그 결과, 파아킹보조레버(34)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벗축(36)에 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작동기타이로드(30)를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에 이동시키도록 되어있다. 작동기타이로드(30)가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의 지지로드(15)에 최소거리 또는 스트로우크만큼 이동하면, 원통롤러(14)는 굴곡단부(7b)를 위로 밀어, 파아킹앵커아암(7)을 피벗축(9)에 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앵커아암(7)의 폴(7a)이 파아킹기어(5)의 톱니(5a)의 걸어맞춰지게 된다. 폴(7a)과 톱니(5a)와의 걸어맞춤후에,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의 원통롤러(14)의 반시계방향으로의 더 이상의 이동은 파아킹앵커아암(7)의 선단부(7c)에 의해 제한되므로, 작동기타이로드(30)는 같은 방향으로 최소스트로우크 또는 거리 이상의 더이상의 이동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최소거리"는, 캠기구(32) 및 요소 또는 그와 관련되고 협동하는 부품이 설계사양에 따라 만족스럽게 작동할때 작동기타이로드(30)가 작동변화없이 이동하는 거리를 의미하며 또 그것을 설명하고 있다.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위에 배치된 슬립기구(48)는,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의 지지로드(15)상에 별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한쌍의 가이드부재(20)와, 가이드부재(20)의 하부를 함께 연결하고 또 그 사이에 배치된 원통형연결핀(21)을 가지며, 아래로 뻗은 하부연장부(23a)가 형성된 대략 정방형의 링크플레이트(23)는 가이드부재(20)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의 지지로드(15)에 고정되어 있다. 슬립기구(48)는 또한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의 지지로드(15)에 장착된 코일스프링(47)을 가지고 있다. 코일스프링(47)에는 지지로드(15)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뻗고 또 공간적으로 교차하는 단부연장부(47a) 및 (47b)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76)의 이들 단부연장부(76a) 및 (76b)는 각각 링크플레이트(23)의 하부연장부(23a) 및 연결핀(21)과 걸어맞추어져서, 링크플레이트(23)의 하부연장부(23a)를 가압하여, 연결핀(21)과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 슬립기구(48)는 가이드부재(20)중의 하나를 게재해서 작동기타이로드(30)에 작동가능하게 링크되어 있다.
이 슬립기구(48)에 의해,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의 원통롤러(14)가 파아킹앵커아암(7)의 선단부(7c)와 접촉하고 또 그에 의해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제한되면, 슬립기구(48)의 가이드부재(23)가 회전할 수 없어, 최소스트로우크를 넘는 더이상의 작동기타이로드(30)의 이동은 가이드부재(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 가이드부재(20)의 반시계방향회전은 연결된(21)을 링크플레이트(23)의 하부연장부(23a)로부터 분리시켜, 슬립스프링(47)에 복원력을 압축방향으로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작동기타이로드(30)는 최소스트로우크이상으로 이동하도록 허용되어,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에 대해 미끄러진다.
상기한 것으로부터 분명하듯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의 파아킹기구에 의하여, 작동기타이로드(30)가 이동하는 스트로우크의 작동변화를 무시하고, 캠기구(32)의 그것과 관련되고 또 그것과 협동하는 요소 또는 부품이 크게 누적되는 허용오차를 가진다면 또 한편으로, 작동기타이로드(30)가 실제로 최소스트로우크만큼 이동하면, 슬립기구(48)는, 코일스프링(47)에 의해 함께 체결유지된 링크플레이트(23)와 가이드부재(20)사이의 상대슬립 또는 상대변위를 허용하지 않고 전체로서 모두 함께 작동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 그것이 최소 스트로우크이상 이동하면, 슬립기구(48)는 가이드부재(20)와 링크플레이트(23)사이의 상대슬립 또는 상대변위를 허용한다. 이것은, 작동기타이로드(30)가 최소스트로우크만 이동하면,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이 원통롤러(14)가 앵커아암(7)의 굴곡단부(7b)를 위쪽으로 밀어서, 앵커아암(7)의 폴(7a)을 파아킹기어(5)의 톱니(5a)와 맞물리도록하며, 이에 비해 2차변속기축(2)이 회전하는 것을 신뢰성있게 방지하며, 또한 작동기 타이로드(30)가 최소스트로우트 이상 이동하면, 링크플레이트(23)에 대한 가이드부재(20)의 슬립은 앵커아암(7)을 동일한 힘으로 파아킹기어(5)의 톱니(5a)와 맞물리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다시 말하면, 대량생산되는 자동변속기유닛의 작동기타이로드(30)의 스트로우크의 변화를 무시해서, 자동변속기를 작은 작동력으로 파아킹레인지에 놓거나 그로부터 해제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 신뢰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변속기의 파아킹기구에 있어서, 작동기타이로드(30)의 오우버스트로우크로 인해 발생되는 링크플레이트(23)에 대한 가이드부재(20)의 슬립은 코일스프링(47)의 압축에 의해서만 좌우되기 때문에, 파아킹기구는 대량생산되는 자동변속기의 작동기타이로드(30)의 스트로우크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기계적구조내에 배치되고 또 조정된다. 또한,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의 원통롤러(14)의 위치선택은, 슬립기구(48)의 협동하는 파아킹앵커작동기조립체(12)의 시프트레버연결축(40)에 링크된 캠기구(32)가 주변속기측(1)의 양쪽에 서로 분리배치되어 있고 또 긴 작동기타이로드(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레이아우트에 있어서도 용이하기 때문에, 대량생산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기구에 있어서 신뢰성있는 파아킹동작과 가벼운 해제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여러가지 다른 실시예와 변형예를 당업자는 생각해 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 및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사상내에 들며 또한 이들은 다음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커버될 것이다.

Claims (20)

  1. 제1축과 제2축을 가지며, 이 제2축은 엔진출력토크를 제2축과 병렬로 놓인 파우어 트레인의 출력축에 전달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에 있어서, 출력축을 회전할 수 없게 제2축과 걸어맞출 수 있고 또한 출력축을 회전할 수 있게 제2축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는 앵커수단과; 앵커수단을 제2축과 걸어맞추기 위해 제2축에 가까운 제1축의 한쪽과 제1축 및 출력축의 회전축들 사이에 뻗은 직선상에 베치된 작동기수단과; 레인지선택동작을 운전자에 의해 작동기수단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2축으로 부터 떨어진 제1축의 다른쪽에 배치되어, 레인지선택수단에 의해 파아킹레인지를 선택할 때 작동기수단에 의해 앵커수단을 제2축과 걸어맞추게 하는 레인지선택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수단은, 피벗된 앵커아암과, 이 앵커아암과 일체로 형성된 폴(pawl)을 구비하고, 이 폴은 제2축의 아래쪽으로부터 이 제2축과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선택수단은 작동기수단을 피벗이동시키는 링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수단에 의해서 상기 피벗된 앵커아암이 폴을 제2축과 걸어맞추게 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은 제1축과 출력축 위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드는 제1축 및 출력축의 회전축들 사이에 뻗은 직선 아래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은 제1축과 출력축 위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7. 병렬로 놓인 입력축과 출력축을 가진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에 있어서, 출력축을 회전할 수 없게 출력축과 걸어맞출 수 있고 또한 출력축을 회전할 수 있게 출력축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는 앵커수단과; 앵커수단을 출력축과 걸어맞추기 위해 출력축에 가까운 입력축의 한쪽에 배치된 작동기수단과; 레인지선택동작을 운전자에 의해 작동기수단에 연결하기 위하여 출력축으로 부터 떨어진 입력축의 다른 쪽에 배치되어, 파아킹레인지를 선택할 때 앵커수단을 출력축과 걸어맞추게 하기 위하여 작동기수단을 피벗이동시키는 레인지선택수단과; 앵커수단을 출력축과 걸어맞추게 하는데 필수적인 소정범위를 넘어서 작동기 수단이 피벗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수단과; 제한수단에 의한 작동기수단의 제한시에 레인지선택수단과 작동기수단과의 슬립을 허용하기 위해 레인지선택수단과 작동기수단 사이에 배치된 슬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앵커수단과 상기 제한수단은 따로 따로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수단은, 피벗된 앵커아암과, 이 피벗된 앵커아암과 일체로 형성된 폴을 구비하고, 이 폴은 출력축의 아래쪽으로부터 출력축과 걸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선택수단은 작동기수단을 피벗이동시키는 링크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수단에 의해서 상기 피벗된 앵커아암이 폴을 출력축과 걸어맞추게 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수단은 레인지선택수단에 의해 피벗이동시키도록 지지된 피벗된 작동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는 레인지선택수단에 의한 파아킹레인지의 선택시에 상기 피벗된 앵커아암과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의 소정범위의 피벗이동시에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와 걸어맞춰지도록 상기 피벗된 앵커아암의 자유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단부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수단은, 링크로드에 연결된 피벗된 슬립부재와, 이 피벗된 슬립부재와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가 상기 제한수단에 의해 제한되게 될 때까지 그들을 함께 기계적으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그들 사이에 슬립을 허용해서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의 소정범위의 피벗이동 후 복원력을 충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피벗된 슬립부재와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 사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14. 변속기축을 가진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에 있어서, 변속기축을 회전할 수 없게 변속기축과 걸어맞출 수 있고 또한 변속기축을 회전할 수 있게 변속기축으로부터 해제할 수 있는 앵커수단과; 앵커수단을 변속기축과 걸어 맞추게 하는 작동기수단과; 레인지선택작동을 운전자에 의해 작동기수단에 연결해서 파아킹레인지의 선택시에 앵커수단을 변속기축과 걸어맞추게 하도록 작동기수단을 피벗이동시키게 되어 있는 레인지선택수단과; 앵커수단을 변속기축과 걸어맞추게 하는 데 필수적인 소정범위를 넘어서 작동기수단이 피벗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수단과; 제한수단에 의해 작동기수단을 제한할 때 레인지선택수단과 작동기수단과의 슬립을 허용하기 위하여 레인지선택수단과 작동기수단 상에 배치된 슬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앵커수단과 상기 제한수단은 따로 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수단은, 피벗된 앵커아암과, 이 피벗된 앵커아암과 일체로 형성된 폴을 구비하고, 이 폴은 변속기축의 아래쪽으로부터 변속기축과 걸어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선택수단은 작동기수단을 피벗이동시키는 링크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기수단에 의해서 상기 피벗된 앵커아암이 폴을 변속기축과 걸어맞추게 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수단은 레인지선택수단에 의해 피벗이동시키도록 지지된 피벗된 작동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는 레인지선택수단에 의한 파아킹레인지의 선택시에 상기 피벗된 앵커아암과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의 소정범위의 피벗이동시에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와 걸어맞춰지도록 상기 피벗된 자유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단부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수단은, 링크로드에 연결된 피벗된 슬립부재와, 이 피벗된 슬립부재와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가 상기 제한수단에 의해 제한되게 될 때까지 그들을 함께 기계적으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그들 사이에 슬립을 허용해서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의 소정범위의 피벗이동후 복원력을 충전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피벗된 슬립부재와 상기 피벗된 작동기부재 사이에 배치된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의 파아킹장치.
KR1019930029193A 1992-12-24 1993-12-23 자동변속기의파아킹장치 KR1003120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44027 1992-12-24
JP4344027A JPH06191382A (ja) 1992-12-24 1992-12-24 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965A KR940013965A (ko) 1994-07-16
KR100312099B1 true KR100312099B1 (ko) 2001-12-28

Family

ID=1836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193A KR100312099B1 (ko) 1992-12-24 1993-12-23 자동변속기의파아킹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26909A (ko)
JP (1) JPH06191382A (ko)
KR (1) KR100312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0386A (en) * 1995-11-03 1997-04-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Parking brake for a power transmission
JP3168895B2 (ja) * 1995-12-06 2001-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US5964335A (en) * 1996-01-12 1999-10-12 Aisin Aw Co., Ltd. Parking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5827149A (en) * 1996-07-30 1998-10-27 Hi-Lex Corporation Electrically operated park lock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5794748A (en) * 1996-10-15 1998-08-1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Park lock mechanis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5993350A (en) * 1997-12-01 1999-11-30 Lawrie; Robert E.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clutch controller
US6019698A (en) * 1997-12-01 2000-02-01 Daimlerchysler Corporatio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shift sequence controller
US6006620A (en) * 1997-12-01 1999-12-28 Chrysler Corporatio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controller
US5979257A (en) * 1997-12-01 1999-11-09 Chrysler Corporatio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mode selection controller
US5943918A (en) * 1997-12-01 1999-08-31 Chrysler Corporation Powertrain system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US6065581A (en) * 1999-03-31 2000-05-2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Camming manual lever for pull-out load
CA2276648A1 (en) * 1999-06-23 2000-12-23 Bombardier Inc. Improved all terrain vehicle
FR2798635B1 (fr) * 1999-09-20 2001-12-07 Renault Frein de parking notamment pour vehicule a traction electrique
KR100335922B1 (ko) * 1999-11-29 2002-05-10 이계안 자동 변속기용 파킹기구 및 그 제어방법
FR2810422B1 (fr) * 2000-06-19 2003-01-03 Renault Mecanisme de verrouillage d'un arbre de transmission d'un vehicule
JP4165480B2 (ja) * 2004-09-08 2008-10-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20061665A (ko) * 2010-12-03 2012-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용 감속기의 파킹 시스템의 레이아웃
DE112014004608T5 (de) * 2013-12-25 2016-07-14 Aisin Aw Co., Ltd. Automatisches Getriebe
US10058032B2 (en) 2015-07-31 2018-08-28 Parker-Hannifin Corporation Mowing machine brake apparatus with slideable enga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6545A (ja) * 1983-11-29 1985-06-24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パ−キング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3652A (en) * 1981-04-21 1982-10-26 Nissan Motor Co Ltd Fixing device for parking of stepless v-belt transmission
JPS62110550A (ja) * 1985-10-30 1987-05-21 Daikin Mfg Co Ltd 自動変速機のパ−キング装置
US4907681A (en) * 1988-04-29 1990-03-13 Chrysler Motors Corporation Park locking mechanis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US5170869A (en) * 1990-06-18 1992-12-15 Ford Motor Company Gear selector parking ratchet for automatic transmissions
US5295412A (en) * 1993-07-09 1994-03-22 Chrysler Corporation Park lock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6545A (ja) * 1983-11-29 1985-06-24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パ−キング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91382A (ja) 1994-07-12
US5526909A (en) 1996-06-18
KR940013965A (ko) 199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099B1 (ko) 자동변속기의파아킹장치
US5024638A (en) Actuator for a frictional engaging device
US10539235B2 (en) Internal electronic park actuator
EP1544508B1 (en) Multi-speed transmission
JPS6153579B2 (ko)
JPS5815656B2 (ja) 変速歯車伝動装置
US5392664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N110864110B (zh) 变速箱及其驻车机构
EP0668457B1 (en) Shift control mechanism for a transmission
US4197760A (en) Manual shift control system for a multiple input-multiple output transmission
JP2011052830A (ja) 軸出力を制御するための多速度比装置
KR20010015154A (ko) 유성기어 변속기용 가역성 원웨이 클러치
US3939733A (en) Mechanical transmission and controls therefor
JPH0542822U (ja) 車両用手動変速機
US4155271A (en) Manual shift control system for a multiple input-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5437584A (en) Two-speed converter
TWI753058B (zh) 高效能同步傳動裝置
CN108368922B (zh) 无级变速器
EP0447086B1 (en) Transmission selector mechanism
JP5759326B2 (ja) 四輪駆動車用駆動力配分装置
JP2864328B2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機構
GB2300888A (en) Multi-speed hub for bicycles has actuating collar with claw teeth engaging sun gears
US5868644A (en) Multiple speed powershift transmission providing synchronous speed ratio changes
JP2532038Y2 (ja) 主変速と植付部との連動装置
SU121603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сцеплением и передаче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