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718B1 - 다량의 수분을 안정하게 함유한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 - Google Patents

다량의 수분을 안정하게 함유한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718B1
KR100311718B1 KR1019990015868A KR19990015868A KR100311718B1 KR 100311718 B1 KR100311718 B1 KR 100311718B1 KR 1019990015868 A KR1019990015868 A KR 1019990015868A KR 19990015868 A KR19990015868 A KR 19990015868A KR 100311718 B1 KR100311718 B1 KR 10031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id foundation
oil
beta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2916A (ko
Inventor
이승화
박명삼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9001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718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수분을 안정하게 함유하는 유중수(W/O)형 유화타입 고형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루코만난을 함유하거나,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β-1.6-branched-β-1.3-glucan) 및 알긴산나트륨(Na-algin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수상을 내상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에 의해, 피부건조로 발생되는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성 측면에서는 시원하고 청량감있게 펴 발리며 피부 밀착감과 지속성이 우수하며 마무리감이 매끄럽고 보송보송하게 해준다.

Description

다량의 수분을 안정하게 함유한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W/O emulsion-type pact foundation composition containing safely a large of water}
본 발명은 다량의 수분을 안정하게 함유하는 유중수(W/O)형 유화타입 고형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루코만난; 및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β-1.6-branched-β-1.3-glucan) 및 알긴산나트륨(Na-algin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수상을 내상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건조 분체를 혼합하여 색소를 분산시키는데, 즉, 체질안료, 백색안료, 색소안료와 같은 건조 분체만을 배합한 것에 입자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각종 유지류, 탄화 수소계 오일, 지방산류, 에스테르계 오일, 다가 알코올류, 금속비누 및 왁스 등이 혼합되어 용융된 액상결합제나, 분체결합체를 첨가한 다음 압축 성형한다. 이러한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은 피부에 도포했을 때 매끄러운 질감과 피부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가루날림을 억제하며, 휴대가 간편하고 수정화장이 용이하며 보송보송한 마무리 화장을 연출할 수 있지만, 제형상 수분을 함유할 수 없고, 소량의 유성성분만을 함유하기 때문에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고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유화타입의 액상 파운데이션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는 있으나, 고형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고형화되더라도 수중유형 유화타입의 액상파운데이션은 외상이 수용성 성분이라 공기중에 노출되었을 때, 내용물의 수축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외부로부터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영양결핍 등에 의해 피부의 기능이 저하되고, 피부노화가 촉진되므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화장품, 특히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예로 콘야쿠(KONYAKU) 분말, 글루코만난, 또는 이들의 수용액을 화장료에 첨가하여 우수한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가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 57-95905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글루코만난과 같은 보습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가 공지되어 있지만, 이들은 모두 액상의 화장료로서, 고형 화장료가 수분 및 보습성분을 용이하게 함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고형 파운데이션과 같은 고형 화장료에 적용된 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갖지 않는 고형의 화장료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글루코만난을 함유하는 수상을 내상으로 하고, 고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왁스, 안료, 유화제 등을 함유하는 오일상을 외상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한다면, 내상과 외상에서 수분이 동시에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피부건조에 의한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감 측면에서는 시원하고 청량감 있게 펴 발라지며, 피부 밀착감, 지속성 및 마무리감이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이 글루코만난 이외에도,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β-1.6-branched-β-1.3-glucan) 및 알긴산나트륨(Na-algina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수상을 내상으로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문제점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건조에 의한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할 때마다 시원하고 청량감 있게 펴 발라지며, 피부 밀착감, 지속성 및 마무리감이 우수한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은, 글루코만난; 및 히아루론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수상을 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은, 1차로 내상에 존재하는 글루코만난이 물에 용해되면서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고, 2차로 유중수형 제형의 특성상 오일상의 외상에 의해 내상에 존재하는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갖는다. 이를, 워터홀딩시스템(water holding system)이라 하며, 이것에 의해 피부의 진피층내의 수분 결핍으로 인한 피부건조와 더 나아가서 이에 의한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글루코만난은 β-d-글루코스와 β-d-만노스로 구성된 글루코스 유도체로서 자신의 분자량 크기에 대하여 수십배에서 수만배까지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은 내상에 존재하는 다량의 수분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글루코만난을 내상 총중량에 대하여 0.001~0.5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파운데이션은 글루코만난에 의해 흡수된 다량의 수분을 더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히아루론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내상 총중량에 대하여 0.001~0.1 중량%의 양으로 더 함유한다. 이들은 다량의 수분이 흡수된 글루코만난과 상호혼합되어 고분자 겔을 형성하므로, 내상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막는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의 외상은, 통상적인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의 외상에 함유되는 성분, 즉, 세레신, 칸데릴라 납, 카르나우바 납, 파라핀, 밀납, 경화유 등의 왁스류, 탄화수소유,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실리콘유, 에스테르유, 유화제, 안료등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파운데이션류, 메이크업 베이스류, 트윈케이크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는 방법은 1) 물에 글루코만난을 용해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용액에 히아루론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콜로이드 형태의 겔을 얻는 단계; 3) 유성 성분들을 용해시킨 후, 안료를 분산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2)단계의 콜로이드 겔을 상기 3)단계의 안료가 분산된 유성성분에 넣고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방법)
1) 성분 1을 평량한 후 성분 17에 충분히 용해시켰다.
2) 상기 1)에 성분 2∼6을 넣고 80℃까지 가열하면서 완전 용해시켰다.
3) 성분 7∼15 및 18를 80℃까지 가열한 후, 충분히 용해시킨 다음 성분 16을 넣고 충분히 분산시켰다.
4) 상기 3)에 상기 2)를 첨가한 다음 성분 19을 넣고 호모믹서로 분산시킨 후, 60℃까지 냉각시킨 다음 제용기에 충진한 후 다시 30℃까지 급냉시켜서 고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수분보유(water holding) 능력시험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고형 파운데이션을 하기의 실험방법에 따라서 시간대별로 질량변화를 측정,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
1) 가로 5cm, 세로 5cm, 높이 1cm인 플라스틱 접시에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을 3개씩 샘플링하였다.
2) 화학저울을 이용하여 초기 내용물과 용기의 질량을 소수점 4자리까지 측정하였다.
3) 이들을 30℃ 항온조에 보관하였다.
4) 상기 화학저울을 이용하여 각 시간대 별 질량변화를 소수점 4자리까지 측정하였다.
5) 상기 질량변화를 평균하여 비교하였다.
(단위:중량)
초기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7시간
실시예 1 0 -0.9237 -1.1027 -1.2993 -1.5011 -1.7271 -1.9811 -2.2012
실시예 2 0 -0.1183 -0.2087 -0.3380 -0.3715 -0.4512 -0.5546 -0.7144
실시예 3 0 -0.6982 -1.0932 -1.1763 -1.2957 -1.4707 -1.4763 -1.7130
실시예 4 0 -0.2485 -0.4624 -0.6614 -0.7401 -0.9016 -1.1197 -1.2717
비교예 1 0 -1.7494 -2.0116 -4.9999 -6.0242 -6.8799 -7.3011 -7.6266
비교예 2 0 -1.3123 -1.5775 -1.7021 -1.9983 -2.2011 -2.5011 -2.8331
(시험예 2) 인체를 대상으로 한 피부보습개선효과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고형 파운데이션을 하기의 정전용량(capacitance) 측정법에 따라서 수분증감율을 측정, 비교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정전용량 측정법〉
남녀 각각 20명씩 전체 40명을 피검자로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보습효과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각 피검자는 시험 시작 직전에 얼굴 안면을 항온 항습실에서 30분간 적응하여 피부 수분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코네오미터(corneometer) CM820을 이용하여, 각 시료 도포 부위의 초기 피부 수분량을 측정한 후 시료를 도포하였다. 상기 각 시료 도포 부위에 시료를 30㎕ 도포하였으며 안면 굴곡 부위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피검자마다 도포하는 시료의 위치를 달리하였다. 시료 도포 30분 후에 시료가 완전히 건조, 흡수됨에 따라서 수분증감율을 1차 측정하였으며, 이후 2시간 후에 다시 수분증감율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부위를 3회 반복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피부 수분 증감율을 계산하였다.
보습력() = {(Tdi- TdO)-(NTdi-NTdO)}/{(NTdi-NTdO)+TdO}×100
식중에서,
Tdi는 시료 도포 부위에서 n번째 측정값
TdO는 시료 도포 부위에서 시료를 도포하기 전의 측정값
NTdi는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에서 n번째 측정값
NTdO는 시료를 도포하지 않은 부위에서 시료를 도포하기 전의 측정값
보습효과 측정 결과
30분 후의피부수분증감율 2시간 후의피부수분증감율
실시예 1 25.40 23.55
실시예 2 56.47 55.11
실시예 3 54.56 50.12
실시예 4 48.79 40.74
비교예 1 5.43 1.64
비교예 2 15.57 5.63
상기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의 고형 파운데이션이 수분보유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피부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사용감 비교측정 시험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고형 파운데이션을 사용하여 사용감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20∼25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품들을 10일동안 사용하게 한 후, 번들거리지 않는 정도, 은폐력, 지속성, 내수성, 밀착감 및 촉촉함을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게 한 후,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매우좋음: 5, 좋음: 4, 보통: 3, 나쁨: 2, 매우 나쁨: 1
평가항목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번들거리지 않는 정도 5 5 5 5 4 4
은폐력 3 3 3 3 3 3
지속성 4 5 5 5 2 3
내수성 5 5 5 5 4 4
밀착감 4 5 5 5 3 3
촉촉함 4 5 4 4 2 3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의 전반적인 사용성이 비교예 1~2의 사용성 보다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촉촉함, 내수성, 지속성이 우수함을 보이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은, 내상에 다량의 수분이 안정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피부건조로 발생되는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성 측면에서는 시원하고 청량감있게 펴 발리며 피부 밀착감과 지속성이 우수하며 마무리감이 매끄럽고 보송보송하게 해준다.

Claims (4)

  1.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에 있어서, 내상이 글루코만난(glucomannan); 및 히아루론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수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만난이 내상 총중량에 대하여 0.001∼0.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아루론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및 알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내상 총중량에 대하여 0.001∼0.1 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
  4. 제 1항 기재의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는 방법은,
    1) 물에 글루코만난을 용해시키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용액에 히아루론산,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 및 알긴산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콜로이드 형태의 겔을 얻는 단계;
    3) 유성 성분들을 용해시킨 후, 안료를 분산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2) 단계의 콜로이드 겔을 상기 3)단계의 안료가 분산된 유성성분에 넣고 분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의 제조방법.
KR1019990015868A 1999-05-03 1999-05-03 다량의 수분을 안정하게 함유한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 KR10031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868A KR100311718B1 (ko) 1999-05-03 1999-05-03 다량의 수분을 안정하게 함유한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868A KR100311718B1 (ko) 1999-05-03 1999-05-03 다량의 수분을 안정하게 함유한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916A KR20000072916A (ko) 2000-12-05
KR100311718B1 true KR100311718B1 (ko) 2001-11-08

Family

ID=1958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868A KR100311718B1 (ko) 1999-05-03 1999-05-03 다량의 수분을 안정하게 함유한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5571A (zh) * 2019-05-15 2019-08-02 中国科学院新疆理化技术研究所 一种超亲水玄武岩纤维材料的制备方法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916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4909B1 (en) High internal aqueous phase water-in-oil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JP2000500135A (ja) 長期持続性化粧製品の性能を向上させ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JPH0971504A (ja) 油性化粧料
KR20000011549A (ko) 필름형성중합체를포함하는화장용조성물
JP2000309504A (ja) 親水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を含有するメークアップまたは手入れ用組成物
EP0291683A1 (en) Water-in-oil-type cosmetic
WO2018109175A1 (en) Cosmetic preparation in gel form
JP3405588B2 (ja) 水中油型まつ毛用化粧料
US5599547A (en) Mascara compositions
KR0166631B1 (ko) 양친매성 지질계 다중 에멀젼 립스틱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11718B1 (ko) 다량의 수분을 안정하게 함유한 유중수형 유화타입의 고형 파운데이션
US4609545A (en) Compressing aid for compressing powders
KR101998776B1 (ko) 지속력이 향상되고 건조감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070109388A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AU771337B2 (en) Gel-based cosmetic composition
KR1009640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S6075406A (ja) 固形粉末化粧料
KR101739106B1 (ko)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는 크림형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JPH01230511A (ja) 油性メークアップ化粧料
KR20140110400A (ko) 수분산 폴리머를 포함하는 고체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H08157323A (ja) 油性化粧料
KR20070020587A (ko) 수분산 무기 점증제를 함유한 유중수형 에멀젼을 이용한소성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588313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3808919B2 (ja) 油性固形化粧料
JP2571098B2 (ja) 油性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