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849B1 - 교환기와단말기간에송수신되는데이터를검색하는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와단말기간에송수신되는데이터를검색하는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849B1
KR100310849B1 KR1019980057850A KR19980057850A KR100310849B1 KR 100310849 B1 KR100310849 B1 KR 100310849B1 KR 1019980057850 A KR1019980057850 A KR 1019980057850A KR 19980057850 A KR19980057850 A KR 19980057850A KR 100310849 B1 KR100310849 B1 KR 10031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exchange
data transmitted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1840A (ko
Inventor
류정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849B1/ko
Publication of KR2000004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와 단말기간의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1전송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전송부와, 상기 제1전송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전송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2전송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전송부로 송신하며,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환기와 단말기간의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므로써 교환기 또는 단말기의 이상 유무를 쉽게 알 수 있다.

Description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TRANSMITION DATA BETWEEN EXCHANGER AND TERMINAL}
본 발명은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100)와 단말기(1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송 드라이버(101,111)를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렇게 연결된 교환기(100)와단말기(11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관찰하기 위해서는 교환기(100)의 시리얼 입출력 포트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관찰한다. 그리고, 단말기(110)는 교환기(10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관찰하기 위해서 제어 프로그램을 에뮬레이터(emulator)에서 실행하여 버퍼를 조사한다.
하지만, 모든 교환기가 별도의 시리얼 입출력 포트를 가지는 것은 아니고, 에뮬레이터에 의한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확인하므로 번거롭고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1전송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전송부와, 상기 제1전송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전송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2전송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전송부로 송신하며,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교환기와 단말기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장치의 구성도로서, 교환기(100)와 단말기(110)의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200)가 연결되어 교환기(100)와 단말기(11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니터(250)로 출력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전송부(210)는 DASL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220)의 제어하에 교환기(100)의 전송 드라이버(101)를 통해 교환기(100)와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제1전송부(210)는 교환기(100)의 전송 드라이버(101)을 통해 교환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반대로, 제1전송부(210)는 제어부(2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송 드라이버(101)를 통해 교환기(100)로 전송한다. 즉, 제1전송부(210)는 교환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20)를 통해 단말기(110)로전송하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부(220)로부터 입력받아 교환기(100)로 전송한다.
제어부(220)는 교환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1전송부(210)를 통해 수신하여 제2전송부(230)로 전송한다. 반대로, 제어부(220)는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2전송부(230)를 통해 수신하여 제1전송부(2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제1전송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모니터(250)로 출력하고, 제2전송부(2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모니터(250)로 출력한다.
제2전송부(230)는 제어부(2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단말기(110)로 전송하고, 단말기(1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부(220)로 출력한다. 제2전송부(230)는 DASL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220)의 제어하에 단말기(110)의 전송 드라이버(111)를 통해 단말기(110)와 상호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2전송부(230)는 단말기(110)의 전송 드라이버(111)를 통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반대로, 제2전송부(230)는 제어부(2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송 드라이버(111)를 통해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즉, 제2전송부(230)는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20)를 통해 교환기(100)로 전송하고, 교환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부(220)로부터 입력받아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와 단말기간의 송수신되는데이터를 검색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220)는 제1전송부(2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버퍼(221)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제2전송부(23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제1버퍼(2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제3버퍼(223)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모니터(250)로 출력한다. 즉, 제1버퍼(221)는 제어부(220)의 내부 버퍼로서 제1전송부(210)를 통해 교환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220)는 제2전송부(23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버퍼(222)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제1전송부(21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제2버퍼(222)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하여 제3버퍼(223)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모니터(250)로 출력한다. 즉, 제2버퍼(222)는 제어부(220)의 내부 버퍼로서 제2전송부(230)를 통해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제1전송부(210)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220)는 제1버퍼(221)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2전송부(230)로 전송하고, 제3버퍼(223)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모니터(250)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유지보수자는 모니터(250)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보고, 교환기(100)로부터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제2버퍼(222)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1전송부(210)로 전송하고, 제3버퍼(223)에 일시 저장하였다가 모니터(250)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유지보수자는 모니터(250)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보고, 단말기(110)로부터 교환기(10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3버퍼(223)는 교환기(100)로부터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과 단말기(110)로부터 교환기(10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으로 나누거나 각기 다른 버퍼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와 단말기간의 데이터 링크 상태를 라인 종단에서 정확히 관찰함으로써 문제점 발생시 직접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말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가상의 의사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환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막고, 임의의 데이터를 단말기로 보냄으로써 단말기를 사용자의 의도대로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교환기로 임의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고, 데이터를 받을 수 있으므로 교환기의 제어를 위한 시리얼 입출력 포트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형태로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 키폰시스템이나 사설 교환시스템의 개발이나 유지보수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

  1.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제1전송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전송부와,
    상기 제1전송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전송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2전송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전송부로 전송하며, 상기 교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1전송부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2전송부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교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모니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송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2전송부로 출력하는 제1버퍼와,
    상기 제2전송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1전송부로 출력하는 제2버퍼와,
    상기 제1버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제2버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모니터로 출력하며, 상기 교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제1,제2전송부로 각각 출력하는 제3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장치.
  3. 모니터를 적어도 구비하며, 교환기와 단말기간을 연결하는 장치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교환기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기 모니터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교환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복사하여 상기 모니터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에서 상기 교환기과 상기 단말기간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로부터 상기 교환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로부터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와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
KR1019980057850A 1998-12-23 1998-12-23 교환기와단말기간에송수신되는데이터를검색하는장치및방법 KR10031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850A KR100310849B1 (ko) 1998-12-23 1998-12-23 교환기와단말기간에송수신되는데이터를검색하는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850A KR100310849B1 (ko) 1998-12-23 1998-12-23 교환기와단말기간에송수신되는데이터를검색하는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840A KR20000041840A (ko) 2000-07-15
KR100310849B1 true KR100310849B1 (ko) 2001-11-15

Family

ID=1956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850A KR100310849B1 (ko) 1998-12-23 1998-12-23 교환기와단말기간에송수신되는데이터를검색하는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8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840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702677A (ko)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KR100310849B1 (ko) 교환기와단말기간에송수신되는데이터를검색하는장치및방법
KR100459035B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 내 보드간의 이중화 구조 및 그운용 방법
KR910000629B1 (ko) 전화선 인터페이스용 선택모듈 및 그 인터페이스방법
KR100329652B1 (ko) 패킷망을 이용한 원격지 보드 제어방법
KR100474716B1 (ko) 교환기와외부장치간의입출력데이터모니터링방법
KR910003505A (ko) 중앙연산 처리장치간의 통신방법
KR960027690A (ko) 공통선(No.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 방법
KR100396782B1 (ko) 핫 스탠바이 이중화 보드와 하나의 리피터/허브를 사용한이더넷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191678B1 (ko) 통신망 이중화를 위한 통신망 검사방법
JPH10133903A (ja) データ転送制御装置及び折返し試験方式
JP2878026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0271299B1 (ko) Mk5025칩의자동절체방법
JPH05248692A (ja) 空気調和機の中継通信装置
JPH0236643A (ja) オプションフレーム送信方式
KR100545649B1 (ko) 셀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KR100425501B1 (ko) 단말기의 원격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950022597A (ko) 피포메모리를 이용한 프로세서간 통신장치
JPH06250958A (ja) 情報処理装置
JPS617546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940001628A (ko) 전전자교환 시스템의 입·출력 정합장치 및 입·출력 방법
JPS5952329A (ja) デ−タ端末装置
JPH01149557A (ja) 変復調装置
JPS58131844A (ja) デ−タ伝送装置
KR19980066194A (ko) 배전자동화용 전단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