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839B1 - 안정성이 개선된 파크리탁셀 가용화 주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개선된 파크리탁셀 가용화 주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839B1
KR100310839B1 KR1019990009929A KR19990009929A KR100310839B1 KR 100310839 B1 KR100310839 B1 KR 100310839B1 KR 1019990009929 A KR1019990009929 A KR 1019990009929A KR 19990009929 A KR19990009929 A KR 19990009929A KR 100310839 B1 KR100310839 B1 KR 10031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litaxel
polyvinylpyrrolidone
anhydrous ethanol
composition
solu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113A (ko
Inventor
신현종
정규능
Original Assignee
정기련
주식회사 보락
강덕영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련, 주식회사 보락, 강덕영,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기련
Priority to KR101999000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839B1/ko
Publication of KR2000006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our-membered rings, e.g. tax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제(調製)가 용이하고 안정성이 개선된 파크리탁셀(Paclitaxel) 가용화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크리탁셀 주사제는 기존의 폴리에톡시테이트 35 피마자유를 가용화제로 사용하는 주사제보다 희석 안정성이 개선되고, 파크리탁셀과 가용화제와의 용해 혼합성을 개선하므로서 가용화 공정에서의 파크리탁셀의 용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안정성이 개선된 파크리탁셀 가용화 주사제 조성물{Improved stable paclitaxel injection concentrate}
파크리탁셀(Paclitaxel)은 유방암, 자궁암 등의 항암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디테르페노이드(Diterpenoid)계 화합물로서 유용한 암치료제의 하나이다.
그러나 파크리탁셀은 낮은 수용성 때문에 주사제로서 조제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현재는 파크리탁셀을 무수에탄올에 용해한 후 물 및 무수에탄올 용해성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배합하여 주사제 조성물(Injection concentrate)로 조제한 것이 시판되고 있다.
이때 파크리탁셀의 가용화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35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 폴리솔베이트 80 등이 있으며, 이 가용화제들은 조제 조성물 중에서 물 난용성의 화합물과 안정한 미셀(Micelle)을 형성하는 역활을 하므로 보통 미셀 가용화제(Micellar solubilizer)로 불리운다.
상기한 가용화제를 포함하는 기존의 주사제들은 생리 식염수 또는 포도당 용액에 인휴전(Infusion) 목적으로 희석할 때 희석 안정성이 낮아 주사제 조성물을 용해, 혼합하기 위하여는 초음파 용해 또는 고압 균질화 등의 공정을 거쳐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크리탁셀 주사제 조성물을 조제할 때 기존의 가용화제와 무수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분산용해가 빠르고, 또한 희석 사용시의 안정성이 우수한 파크리탁셀 주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파크리탁셀을 주사제 조성물로 조성하기 위하여 파크리탁셀을 무수에탄올이나 가용화제 투입 용해하는 대신 파크리탁셀과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의 혼합 마트릭스(Mixed matrix)을 제조한 후 이 혼합 마트릭스를 무수에탄올과 가용화제의 혼합용매에 투입 용해하므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파크리탁셀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혼합 마트릭스는 파크리탁셀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일정량의 무수에탄올에 용해하여 혼합용해물을 만든 다음 동결 건조 또는 40℃ 이하의 감압건조 방법으로 무수에탄올을 유거(留去)하여 파크리탁셀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의 공침혼합물(Co-precipitate)을 만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침혼합물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조건을 두 화합물의 혼합비율, 공통의 용매의 종류 및 용질과 용매의 비율, 용매를 유거하기 위한 방법 등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 조건 중 파크리탁셀의 주사제 조성물 조성과정에서의 분산, 용해 속도와 주사제 조성물의 희석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파크리탁셀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혼합 중량비이고 용매의 종류(메탄올, 무수에탄올 등의 저급알콜)나 용질과 용매의 비율 또, 용매 유거 방법(동결건조, 감압건조 등)은 그 영향이 매우 낮았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비닐피롤리돈 중 분산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K-치(K-value) 30의 폴리비닐피롤리돈(상품명 포비돈 K-30 ; 대한약전 7개정, USP 24의 '포비돈Povidon')을 사용하여 파크리탁셀 : 폴리비닐피롤리돈 중량비 1:1 내지 1:4의 범위에서 다음의 공침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파크리탁셀 30mg과 폴리비닐피롤리돈 30mg, 60mg, 90mg, 120mg을 각기 무수에탄올 5ml에 용해한 후 통상의 동결건조 조건(-40℃, 10-6mmHg)하에서 무수에탄올을 제거하여 공침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공침혼합물을 다음의 주사제 조성물 조성방법에 따라 주사제 조성물을 조성하였다.
공침혼합물을 각기 파크리탁셀 300mg이 함유되는 양을 취하여 무수에탄올 20ml,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롤리시노레이트 15ml, 폴리솔베이트80 5ml 및 폴리에틸렌글리콜400 10ml에 교반 용해한 후 0.2μ 필터로 여과, 질소 충진 포장하였다.
이 주사제 조성물의 희석 안정성을 생리 식염수에 1:10, 1:50의 비율로 희석후 침전이 생성되는 시간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파크리탁셀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혼합 중량비 1:1~1:4에서 모두 10시간 미만이였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비닐피롤리돈 중 K-치가 20이하의 것과 파크리탁셀 : 폴리비닐피롤리돈 혼합중량비 1:1 내지 1:5 까지의 배합비율로 공침혼합물을 제조후 K-30의 공침혼합물을 주사제로 조성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주사제 조성물은 조성한 후 희석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희석 안정성이 우수한 주사제 조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실시예 1.
파크리탁셀 30mg과 폴리비닐피롤리돈 K-17 50mg을 무수에탄올 5ml에 용해후 통상의 동결건조(-40℃, 10-6mmHg) 조건하에서 에탄올을 제거하여 공침혼합물 75mg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파크리탁셀 30mg과 폴리비닐피롤리돈 K-17 100mg을 무수에탄올 5ml에 용해후 통상의 동결건조(-40℃, 10-6mmHg) 조건하에서 에탄올을 제거하여 공침혼합물 127mg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3.
파크리탁셀 30mg과 폴리비닐피롤리돈 K-17 150mg을 무수에탄올 5ml에 용해후 통상의 동결건조(-40℃, 10-6mmHg) 조건하에서 에탄올을 제거하여 공침혼합물 176mg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4.
파크리탁셀 30mg과 폴리비닐피롤리돈 K-12 50mg을 무수에탄올을 5ml에 용해후 동결건조(-40℃, 10-6mmHg) 조건하에서 무수에탄올을 제거하여 공침혼합물 75mg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5.
파크리탁셀 30mg과 폴리비닐피롤리돈 K-12 100mg을 무수에탄올 5ml에 용해후 동결건조(-40℃, 10-6mmHg) 조건하에서 무수에탄올을 제거하여 공침혼합물 126mg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6.
파크리탁셀 30mg과 폴리비닐피롤리돈 K-12 150mg을 무수에탄올 5ml에 용해후 동결건조(-40℃, 10-6mmHg) 조건하에서 무수에탄올을 제거하여 공침혼합물 177mg을 획득하였다.
이 공침혼합물을 각각 파크리탁셀 300mg(0.6중량%)을 함유하는 양을 취하고 무수에탄올 20ml(40중량%), 폴리옥세에틸렌(15-20) 그리세롤리시노레이트 15ml(30중량%), 폴리솔베이트 80 5ml(10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10ml의 혼합용액에 교반 용해한 다음 0.2μ필타로 여과 질소충진후 포장하였다.
대비예로서 파크리탁셀 300mg 만을 취하여 상기의 주사제 조성물 제조방법으로 대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주사제 조성물의 희석 안정성을 0.9% 생리 식염수에 1:10, 1:50의 비율로 희석하여 상온(20℃)에서 육안으로 침전이 발생하는 시간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폴리비닐피롤리돈 K-12 또는 K-17을 사용하여 공침혼합물을 조성하고 이를 주사제 조성에 사용하는 경우 거의 모든 실시예에서 대비 조성물보다 희석 안정성이 양호하였고 특히 파크리탁셀 :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혼합중량비 30mg : 100mg의 배합비율의경우 희석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공침혼합물 사용하는 주사제 조성물의 희석 안정성
공침혼합물 제조 폴리비닐피롤리돈/배합양 희석 안정성(hr)
1:10 1:50
실시예 1실시예 2실시예 3 K-17/50mgK-17/100mgK-17/150mg 102020 101616
실시예 4실시예 5실시예 6 K-12/50mgK-12/100mgK-12/150mg 183026 122424
대비조성물 12 16
※ 희석 안정성 : 희석 비율에 따른 안정성
파크리탁셀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의 공침혼합물을 제조하여 파크리탁셀 가용화 조제(調製) 공정에 활용하므로서 파크리탁셀을 신속하게 또 간단한 교반 조작으로 분산용해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함유하는 주사제 조성물은 희석 안정성이 우수하다.

Claims (2)

  1. 파크리탁셀 주사제 조성물에 있어서,
    파크리탁셀 : 30mg(0.6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 : 90~150mg(1.8~3.0중량%)
    폴리옥시에틸렌(15-20)글리세롤리시노레이트 (가용화제) : 0.5~1.5ml(10~30중량%)
    솔리솔베이트 80 (보조가용화제) : 0.5~1.0ml(10~20중량%)
    무수에탄올(용제) : 1.0~2.0ml(20~4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용제) : 1.0~2.0ml(20~40중량%)
    의 조성비를 갖으며 파크리탁셀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을 공침혼합물로 하여 조성한 파크리탁셀 가용화 주사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의 K-치(K-value)가 10~20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파크리탁셀 가용화 주사제 조성물.
KR1019990009929A 1999-03-23 1999-03-23 안정성이 개선된 파크리탁셀 가용화 주사제 조성물 KR10031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929A KR100310839B1 (ko) 1999-03-23 1999-03-23 안정성이 개선된 파크리탁셀 가용화 주사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929A KR100310839B1 (ko) 1999-03-23 1999-03-23 안정성이 개선된 파크리탁셀 가용화 주사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113A KR20000061113A (ko) 2000-10-16
KR100310839B1 true KR100310839B1 (ko) 2001-10-12

Family

ID=19577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929A KR100310839B1 (ko) 1999-03-23 1999-03-23 안정성이 개선된 파크리탁셀 가용화 주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741B1 (ko) 2003-01-16 2010-03-05 부광약품 주식회사 염산아포모르핀을 함유하는 구강스프레이 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809B1 (ko) 2006-05-22 2009-09-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우수한 저장안정성을 갖는 도세탁셀 함유 주사제 조성물
KR100917810B1 (ko) * 2006-06-02 2009-09-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파클리탁셀 함유 주사제 조성물
WO2007142440A1 (en) * 2006-06-02 2007-12-13 Sk Chemicals Co., Ltd.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paclitax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741B1 (ko) 2003-01-16 2010-03-05 부광약품 주식회사 염산아포모르핀을 함유하는 구강스프레이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113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722B1 (ko) 택산류 유도체를 기재로한 신규한 조성물
RU2144356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нъекций на основе таксоидов
TWI478921B (zh) 醫藥調配物
AU764626B2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taxanes
DE60031286T2 (de) Polymere zusammensetzung zur lösung von schwer wasserlöslichen medikament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H07505628A (ja) 静脈注射用のラパマイシン製剤
US5616588A (en) Rapamycin formulation for IV injection
KR100810066B1 (ko) 투명 수용성 마취제 조성물
AT395819B (de) Wasserloesliche monoester als solubilisatoren fuer pharmakologische wirkstoffe und pharmazeutische hilfsstoffe
JP2008542260A (ja) 新規の注射可能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US3966918A (en) Method of preparing aqueous solutions of sterol glycosides and their ester derivatives
KR100310839B1 (ko) 안정성이 개선된 파크리탁셀 가용화 주사제 조성물
EP4218721A1 (en) Rapamycin (rapa) self-microemulsifying injec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US2007003243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axane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U762963B2 (en) Cyclosporin solution
KR101612259B1 (ko) 고농도의 탁산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
KR100312628B1 (ko) 안정성이 개선된 파크리탁셀 주사제 조성물
KR100312177B1 (ko) 안정성이 개선된 파크리탁셀 주사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04019B1 (ko) 니모디핀의 가용화 방법
JPS6028916A (ja) アクラルビシンまたはその塩酸塩の油性組成物
DE3830494A1 (de) Wasserloesliche monoester als solubilisatoren fuer pharmakologische wirkstoffe und pharmazeutische hilfsstoffe
RU2481827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й состав для инъекций,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перфузионный раствор на основе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го состава
KR19980083257A (ko)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의 셀프 마이크로에멀젼 제제
KR20010002463A (ko)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를 사용하여 ddb 를 가용화시키는 방법
KR20060087005A (ko) 투명한 경구용 이부프로펜 액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